KR100820961B1 - 가금용의 사료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금용의 사료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961B1
KR100820961B1 KR1020037006425A KR20037006425A KR100820961B1 KR 100820961 B1 KR100820961 B1 KR 100820961B1 KR 1020037006425 A KR1020037006425 A KR 1020037006425A KR 20037006425 A KR20037006425 A KR 20037006425A KR 100820961 B1 KR100820961 B1 KR 100820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dispenser
tray
edge
dispens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2332A (ko
Inventor
대니 데룩크
Original Assignee
록셀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셀 엔.브이. filed Critical 록셀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6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 A01K39/0125Panfeeding systems; Feeding pan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료 분배 시스템은 사료 분배기들(20), 분배기 트레이들(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22)은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연속적인 가장자리 영역들(62)과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가장자리 영역들(62)과 함께 볼록 가장자리 영역(27)을 갖으며,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의 적당한 형태는 타원 형상, 삼각 형상, 육각형 형상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동물 복지, 특히 보다 큰 사료공급 공간 및 새들이 먹이를 먹지 않을 때 보다 큰 생활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육자에게 개선된 경제적 효율을 제공하는데, 특히 새 한 마리 당 사육 비용을 감소시킨다.
가금, 사료 분배, 분배기

Description

가금용의 사료 분배 시스템{FEED DISTRIBUTION SYSTEM FOR POULTRY}
본 발명은 닭, 칠면조 등과 같은 가금의 사료공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사료는 분말 형태 또는 과립 형태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이고, 상기 새들은 원칙적으로 큰 계사(poultry house)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계사는 일반적으로 약 100 m x 18 m 면적을 갖는다.
가금용의 사료공급 시스템(feed system)은 사육하고자 하는 새들의 종류, 예를 들면 닭 또는 칠면조, 및 식용 닭 또는 어미 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또한 유사한 점도 있다. 본 발명은 모든 사료공급 시스템들에 나타나는 분배 시스템들, 즉 입체구조(geometry)의 일 태양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새들은 분말 형태 또는 과립 형태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사료를 공급받는다. 상기 사료공급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상기 계사 내에 고정된 사료 분배 지점들이 존재하며, 분배되는 사료가 중앙 저장소에서 상기 사료 분배 지점들까지 이송되어야만 한다. 중앙 저장소로부터 상기 사료 분배 지점들까지 분배되는 사료를 이송하는 경우, 관 컨베이어 시스템(pipe conveyor system)이 존재하게 되며, 상기 관 컨베이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공급 컨베이어 관(feed conveyor pipe)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은 서로 실질적으 로 수평 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에는 상기 관들을 통하여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사료 분배 지점들은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을 따라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하나의 공급 컨베이어 관의 연속 공급 지점들 간의 상기 일정 거리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옆에 배치된 공급 컨베이어 관들 간의 거리들 보다 짧다.
이런 경우 상기 사료 분배 지점들은 일반적으로 상기 계사 바닥 상에 일정한 격자 형태를 형성하며, 상기 격자 형태는 상기 사료 분배 지점들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 점(corner point)들을 갖는 사각형 셀(rectangular cell)들로 구성된다.
사료 분배기(feed dispenser)는 각 사료 분배 지점에 배치된다. 사료 분배기는 그 자체로 트레이(tray)를 포함하는데 상기 트레이 상의 지지대에 사료가 모이고 새들이 상기 트레이의 사료를 쪼아먹을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수평 공급 컨베이어 관 바깥 및 상기 분배기의 트레이 안으로 사료의 일부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guide mean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 수단은 일반적으로 적당한 치수의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된 하향 관(down pipe)과,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의 출구에 연결되는 상기 하향 관의 상부 단부(top end)와, 상기 트레이의 중심 부분 위에 배치되는 상기 하향 관의 저부 단부(bottom en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향 관은 연결편(connecting piece)에 의해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트레이는 암(arm)들에 의해 상기 연결편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트레이, 상기 하향 관, 상기 연결편 및 상기 암들은 공급 컨베이어 관에 전체로서 부 착될 수 있는 모듈장치(modular unit)를 형성한다.
이런 방식으로, 사용 중에 사료가 상기 트레이 안으로 이송되고, 새들은 상기 트레이 바깥에서 사료를 쪼아먹게 된다. 사료를 쪼아먹기 위해서 상기 새들이 상기 트레이 주위에 원형으로 서 있게 된다.
새들은 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부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분배기 트레이는 이론적으로 매우 작은 용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은 계사의 표면적에 대해 적합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확한 물리적인 이유들로 인해, 상기 하향 관은 사료 이송이 방해받지 않도록 소정 최소 직경으로 구성되어야만 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향 관 바깥으로 유출되는 사료들을 수용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용적은 적어도 상기 하향 관의 용적 보다 크게 구성되어야만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트레이의 선택된 수평 용적이 상기 하향 관의 직경 보다 크게 구성되어야만 하는데, 그 결과 새들이 방해를 받지 않고 자신들의 머리를 사료 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 트레이는 상기 하향 관 옆에 있는 바닥 표면 상의 수직 돌출부(vertical projection)에 적어도 배치되는 사료 공급 부분(feed presentation section)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런 모든 것은 상기 트레이가 소정 최소 용적으로 구성되고 결과적으로 계사의 바닥 표면적의 한정된 부분만을 점유하게 됨을 의미한다.
상기 분배기 트레이의 "형상(shape)"이라는 용어는 사용 시에 상기 분배기의 정상 위치로부터, 계사 바닥 상의 상기 분배기 트레이의 수직 돌출부의 윤곽(contour)을 나타내기 위해 이하에서 사용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용어 분배기 트레이의 "표면적(surface area)"은 이하에서 상기 돌출된 형상의 표면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것이며, 용어 "원주(circumference)"는 상기 돌출된 형상의 원주를 표현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새들은 사료를 먹는 동안에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 주위의 원에 모이게 된다. 하나의 공급 컨베이어 관의 연속적인 분배기 트레이들 간의 거리들은 적어도 상기 인접한 분배기 트레이들 주위에 서있는 새들이 서로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도록 선택된다. 닭들의 경우,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가장자리에서 가장자리까지의 상기 거리는 40 cm 범위내이다.
따라서 공급 컨베이어 라인을 따라서 상기 연속적인 사료공급 지점들 간의 최소 거리는 한편으로는 새들의 크기에 의해서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의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약 35 cm의 일반적인 트레이 직경의 경우, 상기 연속적인 사료공급 지점들간의 최소 거리는 75 cm(중심 대 중심간의 거리)가 된다. 이하에서 용어 "분배기 피치(dispenser pitch)"로 표시되는 사료공급 지점들간의 이러한 거리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의 길이, 즉 관계된 계사의 길이를 따라서 제공될 수 있는 사료공급 지점들의 최대 수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각 분배기 트레이가 제한된 수의 새들에게만 동시에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상기 수는 새들이 밀집하여 서있는 경우에 상기 분배기 트레이 주위 원 안에 있는 새들의 수와 일치한다. 상기 수는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20이다. 이런 모든 것은 특정 계사에서 사육될 수 있는 새들의 총 수에 대한 제한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계사에 공급될 수 있는 새들의 수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을 따라서 상기 연속적인 사료공급 지점들의 분배기 피치를 감소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계사에 보다 많은 사료공급 지점들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개의 연속적인 분배기 트레이들 간의 거리가 감소하게 되고, 새들이 상기 계사 내에서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것이 방해받게 된다.
택일적으로, 상기 계사에 공급될 수 있는 새들의 수는 접시(pan)들의 직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원주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분배기 트레이 주위의 원 안에 보다 많은 새들이 모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효과는 제한되는데, 이는 상기 분배기들의 피치가 또한 증가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새들이 더 이상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있는 사료를 쪼아먹을 수 없게 되어, 상기 분배기들의 경제적 효율성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분배기 트레이가 커질수록 불가피하게 보다 많은 재료가 사용되므로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계사에서 사육되고 공급될 수 있는 새들의 총 수는 상기 계사에 설치된 모든 분배기 트레이들의 원주들의 총 길이에 비례한다. 현 디자인들의 경우 기본적인 개념은 각 새가 처리할 수 있는 가능한 한 많은 양의 먹이를 먹어야만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트레이 원주에 대한 트레이 표면적의 비가 가능한 한 크게 구성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려로 인해 트레이의 현재 디자인은 원형이고, 상기 원은 원주에 대한 표면적의 비가 가장 큰 계산된 형태의 원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에 의해서 상기 계사 내 점유된 사료공급 표면은 새 들이 이동해야만 하는 공간을 한정하게 된다. 새들에 대한 자유 생활 공간은 상기 계사의 총 표면적에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이 차지하는 총 표면적을 빼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이 차지하는 표면적이 커질수록 상기 새들에게 남겨지는 생활 공간은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사료 분배기는 예를 들면 프랑스특허출원 제680,949호(FR-A-2, 680,949)에 공지되어 있는데, 가늘고 긴 사각형의 분배기 트레이를 구비한 사료 분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사료 분배기는 또한 하향 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향 관의 저부 단부 가장자리도 가늘고 긴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계사 내 유효한 생활 및 사료공급 표면적들이 여전히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새들은 사료를 먹는 동안에 상기 분배기 트레이의 직선 원주 가장자리 면적들을 따라서 서로 자신들의 몸통들 중 가장 넓은 부분들, 즉 어깨들을 맞대고 서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분배기 트레이의 원주 가장자리에서 총 유효 길이가 비효율적으로 이용된다. 새들이 사료를 먹는 동안에 새들의 머리는 서로 상기 새들의 어깨 폭에 상응하는 거리인, 상대적으로 큰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줄이거나 제거한 개선된 사료 분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다른 디자인 개념에 근거하고 있다. 새 한 마리 당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사료를 제공하는 대신에, 본 발명은 각 새가 충분한 사료를 받 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능한 한 많은 수의 새들이 사료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선된 효율성 및 개선된 동물 친화성을 가짐으로써 종래 사료 분배 시스템들에 비해 향상된 사료 분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정의 유효 계사 표면적을 가짐으로써 보다 많은 새들을 사육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새들에게 보다 많은 운동 공간을 보장해줄 수 있는 사료 분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계사에서 다수의 새들에게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모든 분배기 트레이들의 원주들의 총 길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어야만 한다. 상기 새들이 이용할 수 있는 운동 공간을 가능한 한 크게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이 차지하는 바닥 표면적이 가능한 한 작아져야만 한다. 현재의 디자인들과는 완전히 대조적으로, 이러한 분명히 충돌하는 개념들로 인해 트레이 표면적 대 트레이 원주 비를 크게 구성해야만 하는 것이 디자인 기준이 된다.
이러한 디자인 기준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가금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 분배기로서, 분배기 트레이 및 수평 공급 컨베이어 관으로부터 상기 분배기 트레이로 사료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 트레이가 비원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사료 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는 원주형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원주형 가장자리는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가장자리 영역들 및 상기 제1 가장자리 영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가장자리 영역들을 포함하는 개선된 사료 분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는 원주 가장자리가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영역들 및 원주 가장자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영역들로 구성된다.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상기 만곡된 원주 가장자리 영역들로 인해 계사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의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새들을 위한 생활 및 사료공급 표면적들이 최적화될 수 있다. 새들이 사료를 먹는 동안에 상기 분배기 트레이의 만곡된 원주 가장자리 영역들을 따라서 서로 옆에 서있게 되는 새들은 자신들의 어깨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서로 머리들이 배치되며, 한편 원형 분배기 트레이들의 상기한 문제점들이 극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시스템에서,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인접 분배기 트레이들의 상기 가장자리 부분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고, 상기 공통 방향이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의 종 방향과 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속적인 분배기들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은 90°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각을 이룰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의 형상은 가늘고 길게 구성된다. 사료 분배 시스템에서 각 분배기 트레이의 종 방향이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의 종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가늘고 긴 분배기 트레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 분배기 및 사료 분배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된 사료 분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배기들을 구비한 계사(poultry house)의 도식적 평면도.
도 2는 분배기의 도식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인접한 분배기들의 도식적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늘고 긴 분배기의 도식적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분배기들의 도식적 평면도.
도 5a는 아래에 배치된 분배기 트레이를 구비한 공급 컨베이어 관의 도식적 단면도.
도 5b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분배기 트레이들의 효과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도 5와 비교되는 도식적 평면도.
도 6a는 하향 관의 도식적 투영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상기 하향 관의 벽 부분의 도식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료 분배기와 사료 분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바닥(floor) 2를 구비한 사육장 1을 나타낸 도식적인 평면도이며, 상기 사육장은 가금 4용의 일정한 형태의 사료공급 지점(feed point)들 3을 구비하고 있다. 분말 형태 또는 과립 형태의 사료용 사료 분배 시스템 10의 사료 분배기 20이 각 사료공급 지점 3에 제공된다. 상기 사료 분배 시스템 10은 그 자체로 복수의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은 서로 평행하여 배치되고 공통의 주관(common main pipe) 12에 의해 저장소(storage bin) 11에 연결되는데, 상기 저장소 11은 일반적으로 상기 계사 1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주관 12에는 주 공급 컨베이어 13, 예를 들면 컨베이어 웜(conveyor worm) 또는 나선형 컨베이어 또는 체인 시스템(chain system)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에는 각각 대응 공급 컨베이어 15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 컨베이어들 13 및 15는 도 1에서 도식적으로만 표시되어있는데, 관련 공급 컨베이어 관 12 또는 14에 대응하는 블록(block)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한 공급 컨베이어 시스템들을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상기 컨베이어 관들의 컨베이어 수단의 유형은 본 발명의 내용을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내용은 자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다.
상기 사료공급 지점들 3은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를 따라서 일정 간격 P3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개개의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 간의 간격은 P14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용어 "관 피치"로 표시된다. 상기 관 피치 P14는 일반적으로 상기 분배기 피치 P3보다 크다. 단순화하기 위해, 도 1에는 공급 컨베이어 관 당 4개의 사료공급 지점들만을 도시하였으며, 실제로는 그 수가 훨씬 커질 수 있다.
도 2에 도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료 분배기 20은 분배기 트레이(dispenser tray) 22 및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된 하향 관 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하향 관 21은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 위에 배치된다. 상기 하향 관 21의 상부 단부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 14의 출구 25에 연결된다. 상기 하향 관 21의 저부 부분은 일반적으로 끝이 퍼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하향 관 21의 상기 저부 단부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중심 부분 위에 배치된다.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베어링 암(bearing arm)들 24에 의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 14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하향 관 21의 상부 단부는 연결 요소(connecting element) 23에 의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 14에 부착되며,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베어링 암들 24에 의해서 상기 연결 요소 23에 부착된다. 연결 요소 23과, 하향 관 21과, 베어링 암들 24와 분배기 트레이 22가 결합되어 분배기 유닛(dispenser unit)을 형성한다.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저부(bottom) 26 및 가장자리(edge) 27을 갖는다. 사용 중에, 분말 형태 또는 과립 형태의 사료 5가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 14 바깥으로 이송되고 상기 하향 관 21을 통하여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상기 저부 26 상으로 이송된다. 예를 들어 닭, 칠면조 등과 같은 새 4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 바깥에 서있으면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에 있는 상기 사료 5를 쪼아먹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새들 4는 도 1의 A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 주위 원 안에 서있다. 상기 원 안에 서있을 수 있는 새들의 정확한 최대 수는 특히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용적 및 상기 새들 4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개개의 연속적인 분배 트레이들 22 간의 간격 D3은 두 개의 연속적인 분배기 트레이들 22 주위에 서있는 새들이 서로를 거의 방해할 수 없도록 선택된다. 처음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계사 1 안에 설치할 수 있는 분배기들 20의 수는 제한되므로 상기 계사 1에서 사육될 수 있는 새들의 수 N4도 제한된다. 원칙적으로, 상기 계사 1에서 사육될 수 있는 새들의 최대 수 N4는 다음 식 1과 같다:
Figure 112003016756787-pct00001
(1)
여기서 N3은 사료공급 지점들 3의 수이며,
L27은 각 분배기 트레이 22의 원주 길이이며,
8은 상기 새들의 형상과 크기에 의존하는 비례상수이다.
상기 계사 1에서 보다 많은 다수의 새들 4를 사육하고자 하는 경우, 사료공급 지점들 3의 수 N3을 증가시키거나 보다 큰 원주를 갖는 분배기 트레이들 22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원형 분배기 트레이들 22의 경우 원주가 클수록 직경이 커지게 된다. 보다 큰 분배기 트레이들 22를 배치하면 공급 컨베이어 관 14를 따라서 배치된 개개의 연속적인 분배기 트레이들 간의 간격 D3이 작아지게 되므로, 상기 새들 4는 사료가 공급되는 동안에 서로를 방해하게 된다. 상기 분배기 피치 P3이 감소되는 경우에도 그러하다.
대체로, 상기 관 피치 P14의 감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그 결과 상기 계사 1에 수 개의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연속적인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 간의 자유 공간 D14가 줄어들며, 다른 한편으로는 대응 컨베이어를 포함한 전체 컨베이어 라인들 때문에 실질적인 투자가 따라야 한다.
새들이 먹이를 먹지 않을 때에, 새들은 대개 상기 계사 1의 바닥 2를 여기저기 긁어 팔 수 있다. 그러는 동안에, 새들은 마음대로 쓸 수 있는 폭 D14를 갖는 스 트립 형상의 운동 영역들 6을 갖는데, 상기 영역들 6은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에 평행하고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 22에 접하는 선들 7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새들 4는 동일 공급 컨베이어 관 14의 두 개의 연속적인 분배기 트레이들 22 간의 폭 D3을 갖는 영역들 8을 통과함으로써 하나의 운동 영역 6에서 인접한 운동 영역 6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료공급 지점들 3이 증가하고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 22의 용적이 증가하면 상기 운동 영역 6과 상기 통로들 8이 작아지게 되는 것은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계사 1 안의 새들의 수가 다시 증가하는 경우, 결국 새 한 마리 당 운동 영역도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계사 1 안의 새들 4에 대한 자유 생활 공간 A4는 식 2와 같다:
Figure 112003016756787-pct00002
(2)
여기서 A2는 상기 바닥 2의 최대 유효 바닥 표면적이며, A22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표면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표면적은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수직 돌출부의 표면적으로 정의된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디자인은 새 한 마리 당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사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개념에 근거하였다. 특정 순간에 새들에게 제공되는 총 사료 양 X5는 다음 식 3과 같게 된다:
Figure 112003016756787-pct00003
(3)
여기서 ∀는 비례상수이다.
새 한 마리 당 사료 양 X5를 가능한 한 크게 하려면 최대 X5/N4 비 또는 최대 A22/L27 비를 얻어야 한다. 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형 윤곽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배기 트레이들 22가 유도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 형태는 이상적이지 않다. 첫째,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먹이를 먹는 중에 상기 바닥 2의 표면적의 이용이 최적화되지 않는다. 도 1에는 상기 새들 4의 후단들에 접하고 공급 컨베이어 관 1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보조 선들 331 및 332가 나타나 있으며, 상기 새들 4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 14에 속하는 상기 분배기들 20 주위의 원들 안에 서있게 된다. 사료공급 스트립(feeding strip) 32는 상기 선들 331 및 332에 의해 경계지어진 상기 바닥 2의 스트립 형상 부분으로 한정된다. 도 1에 잘 나타나 있듯이, 상기 새들 4가 상기 사료공급 스트립 32를 완전히 이용하고 있지 않다. 특히, 두 개의 연속적인 사료공급 지점들 3 간의 상기 사료공급 스트립 32의 모래시계 형상의 표면 부분은 이용되고 있지 않다.
부가적으로, 식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비 A22/L27의 최대화는 상기 비 A4/L27의 최소화를 동반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 22는 상기 새들 4가 사료를 먹는 장소가 아니라 상기 계사 1 안의 여기저기를 자유롭게 긁어 파는 장소인 상기 자유 생활 공간을 한정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제적 효율성의 측면에서 가금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개량된 사료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상기 시스템은 소정 계사 표면적을 갖는 특정 계사에서 보다 많은 새들을 수용하고 사육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금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개량된 사료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상기 시스템은 새 한 마리 당 유효 사료공급 공간 및 새 한 마리 당 유효 생활 공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계사 1 안의 새들의 복지를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각 새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 내에 적당한 사료가 항상 놓여져야 한다는 전제 조건 하에서 유효 공급장치 길이 L27을 상대적으로 큰 길이로 선택하는 경우에 상술한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다는 통찰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통찰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배기들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 22가 원형이 아니라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볼록하게 만곡된 원주 가장지리 영역들을 갖도록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원형 분배기 트레이들을 구비한 공지된 분배기들에 비해 개선되었다.
이러한 기본 개념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많은 변경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다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해당 부분 보다 큰 규모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인접한 분배기들을 구비한 공급 컨베이어 선 14의 일부분의 도식적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명확히 나타나 있듯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 2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원형 분배기 트레이들 22와는 달리 가늘고 길게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원형 분배기 트레이를 구비한 분배기의 단면도는 도 3에 나타낸 가늘고 긴 분배기 트레이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지적하고자 한다.
본 발명 내용 중에 언급되는 "가늘고 긴(elongate)"이라는 용어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분배기 트레이 22와 두 개의 선들 41 및 42의 도식적 평면도로서, 상기 두 개의 선들 41 및 42는 서로 평행하고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원주, 즉 상기 선들 사이에 있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가장자리와 접한다. 상기 두 개의 접선들 41, 42 간의 상호 간격은 도 4에서 문자 D로 표시된다. 상기 상호 간격은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배향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가 수직 축, 즉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인 회전 축 주위로 회전되면, 상기 두 개의 접선들 41, 42 간의 상호 거리가 바뀐다. 상기 두 개의 접선들 41, 42에 대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특정 회전 위치에서 상기 상호 간격 D는 최대가 된다. 그러한 특정 회전 위치에서 상기 두 개의 접선들 41, 42에 수직인 방향은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종 축 43을 정의하며, 상기 두 개의 접선들 41, 42 간의 대응하는 최대 상호 간격은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길이 L로 표시된다.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폭 B는 상기 두 개의 평행한 접선들 44, 45 사이에서 상기 종 축 43에 수직하게 측정된 치수로 정의된다.
앞서 정의된 길이 L이 상기 방식으로 정의된 폭 B보다 큰 경우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가늘고 길게" 구성된 것으로 기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그 전체 가장자리 27을 따라서 볼록 만곡부를 갖으며, 이는 상기 만곡부의 볼록면이 바깥쪽으로 향해있는 것을 의미한다.
적당한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분배기 트레이가 원형이 아니라는 점, 특히 상기 분배기 트레이가 가늘고 긴 형상으로 구성된다는 점에 의해서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정의된 폭 대 상기 정의된 길의 비로 정의되는 신장도 또는 L/B는 이때 1 보다 크다.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약 1.2 내지 약 1.5 범위 내의 신장도 L/B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늘고 긴 분배기 트레이들 22는 각 분배기 트레이 22의 종 축 43이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의 종 방향과 영(zero)보다 큰 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에 대해서 배향된다. 이상적으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은 약 90°이다. 상기 바닥 표면적의 보다 좋은 "용적 이용(capacity utilization)"이 달성됨을 알 수 있다. 인접한 분배기 트레이들 22 간에 동일한 상호 간격으로 구성되는 경우, 분배기 20 당 보다 많은 새들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새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생활 표면적도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가장자리 영역들 51 및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가장자리 영역들 52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가장자리 영역들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타원형 실시예에 나타나 있다. 이런 경우 인접한 분배기 트레이들 22의 상기 제1 가장자리 영역들 51은 서로 대향하며, 상기 공급 컨베이어 라인들 14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영역들이 서로 대향하여, 상기 공급 컨베이어 라인들 14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편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영역들은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로부터 횡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성들도 가능하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상기 사료 분배기 트레이 22는 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원형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이중 회전 대칭을 갖으며, 이는 상기 형상이 180°회전하면 동일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3중 회전 대칭(threefold rotation symmetry)을 갖으며, 이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가 항상 120°회전하면 동일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도 5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자체로 측면들 61과 모서리 영역(corner area)들 62를 갖는 만곡된 삼각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서리 영역들 62는 둥글게 구성되므로, 상기 영역들은 상기한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가장자리 영역들 52와 상응한다. 상기 측면들 61도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고, 상기한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가장자리 영역들 51과 상응한다.
3중 회전 대칭을 갖는 경우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들 61은 서로 동일 길이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 5의 B 및 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가 두 개의 동일 측면들 61A와, 보다 짧은 길이의 제3 측면 61B 또는 보다 긴 길이의 제3 측면 61C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런 경우 회전 대칭의 문제가 아니라 상기 제3 측면 61B, 61C에 수직한 대칭면 63에 대한 거울 대칭의 문제가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적인 분배기 트레이들 22는 상기 대칭면 63이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들 14에 대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연속적인 분배기 트레이들 22의 배향은 계속해서 교차된다. 이런 방식으로 인접한 분배기 트레이들 22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들 61A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 14에 대한 각도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성된다.
도 5A에 컨베이어 관 14를 관통하는 가상 수직면은 참조 번호 70으로 표시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분배기 트레이 22가 완전히 상기 평면 70 옆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하향 관 21은 도 5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을 이루어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하향 관 21이 상기 평면 70과 일치하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런 경우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도 5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는 상기 컨베이어 관 14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 70에 의해 두 개의 가상 부분들 71, 72로 나뉘게 된다.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가 삼각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평면 70에 의해 나뉘어지지 않는 하나의 가장자리 영역 61이 존재하며,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이하에서 횡 최외각 가장자리 부분(transversal outermost edge part) 61X(도 5 참조)로 표시될 것이다.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대향 가장자리 부분 62는 따라서 상기 평면 70의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되며, 이하에서 횡 최외각 모서리 부분(transversal outermost corner part) 62X로 표시될 것이다.
상기 두 개의 가상 부분들 71, 72의 폭들(즉 상기 평면 70에 수직한 가로 치수)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가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특히 적용 가능하지만, 또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가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형상 무게 중심 Z는 수학적인 방식에 따라 각 트레이 형상에 대해 정의 될 수 있다 (도 5 참조).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에서의 사료의 좋은 분배를 위해서 상기 하향 관 21이 상기 무게 중심 Z 위에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연속적인 분배기들 20은 그들의 개개의 무게 중심들 Z가 하나의 선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선은 예를 들면 상기 평면 70에 위치한다. 삼각형 트레이들 22로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경우, 상기 두 개의 가상 부분들 71, 72의 폭들은 서로 상이하다. 특히, 상기 횡 최외각 가장자리 부분 61X의 측면 폭은 상기 횡 최외각 모서리 부분 62X의 측면 폭 보다 작아진다.
삼각형 분배기 트레이들의 경우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이 상기 평면 70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바닥 표면적의 이용도가 커지는데, 이는 상기 분배기 피치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모서리 점 62X로부터 상기 평면 70까지의 횡 간격은 따라서 상기 대향 가장자리 부분 61X로부터 상기 평면 70까지의 횡 간격보다 작아진다. 이 때 연속적인 분배기 트레이들 22의 무게 중심들 Z는 상기 평면 70의 어느 한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연속적인 가장자리 영역들 61 및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가장자리 영역들 62와 함께 볼록 가장자리(convex edge) 27을 갖는 공급 분배기들 20을 구비한 공급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런 연결 구성에서 적당한 형상은 타원 형상, 만곡된 삼각 형상, 육각 형상 등이다. 본 발명은 개선된 동물 복지, 특히 보다 큰 사료공급 공간 및 새들이 사료를 먹지 않을 때 보다 큰 생활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육자에게 개선된 경제적 효율성을 제공하는데, 특히 새 한 마리 당 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도 2에서 참조 번호 21로 표시한 상기 하향 관(down pipe)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향 관은 그 자체로 분기하는 단면을 갖게 됨으로, 상기 하향 관 21이 상기 수평 공급 컨베이어 관 14에 연결되는 지점인 상부 단부의 내부 단면은 상기 하향 관 21의 저부 단부의 단면 보다 작게 구성되며, 상기 저부 단부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저부 26 부근에 배치된다. 공지된 사료 분배기들의 경우 상기 하향 관 21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상부 하향 관 부분 21A 및 원추 표면 형상으로 구성되는 저부 하향 관 부분 2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저부 하향 관 부분의 저부 단부 가장자리는 상기 하향 관의 유출 개구를 한정하며, 공지된 사료 분배기들에서 상기 하향 관의 상기 저부 단부 가장자리는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저부 단부 가장자리 21C는 비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저부 단부 가장자리(21C)는 예를 들면, 곡률 반경을 갖는 제3 가장자리 영역들 및 상기 제3 가장자리 영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4 가장자리 영역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저부 단부 가장자리(21C)는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만곡된 삼각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가장자리 27에 수직하게 측정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가장자리 27과 상기 하향 관 21의 저부 단부 가장자리 21C 간의 수평 간격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전체 원주 길이와 동일해 지도록 상기 하향 관 21의 저부 단부 가장자리 21C의 형상 및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형상은 서로 적합하게 구성된다.
상기한 형태의 사료 분배 시스템으로 가금에게 사료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분배기들 20은 다소 늙은 새들뿐만 아니라, 젊은 새들에게도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늙은 새들은 분배기 트레이들 내 사료를 찾는 것이 어렵다, 한편, 이런 늙은 새들은 몸집이 크므로,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 22의 상기 가장자리 27을 용이하게 훑어볼 수 있고 이런 방식으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에 놓여진 사료 5를 보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새들은 상기 사료 분배 시스템에 적응하여 상기 분배기 트레이들 22에서 사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상기 사료 분배기들은 갓 태어난 가금들에게도 사용된다. 갓 태어난 병아리들은 제공되는 사료를 찾는 것을 더 어려워하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병아리들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에서 사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아직 모르며, 다른 한편으로는 병아리들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가장자리 27을 용이하게 훑어 볼 수 없기에 거기에 놓여진 사료를 쉽게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새들이 태어난 첫날부터 사료를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새들을 효율적으로 사육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갓 태어난 병아리들도 자신의 먹이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사료 분배기를 개선하고자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이런 측면에 따라서 개선된 하향 관의 도식적 투영도로 서, 상기 하향 관은 참조 번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하향 관 100은 저부 단부 가장자리(bottom end edge) 111을 갖춘 저부 벽부(bottom wall part) 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부 벽부에는 관통 구멍들로 작용하는 개구들 112가 제공된다. 도 6B에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 20 상에 배치된 상기 하향 관 100의 저부 부분의 단면이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 저부 벽부 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향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6B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상기 저부 26은 원추형 중심 부분 26A, 및 상기 중심 부분 26A와 상기 가장자리 27 사이에 배치된 최저부 부분 26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최저부 부분 26B의 윤곽은 대개 실질적으로 원형 윤곽일 수 있다.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가 비원형 윤곽, 예를 들면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전술한 타원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최저부 부분 26B는 상기 형상과 일치하는 원주 윤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는 어떤 작동 상태, 즉 상기 하향 관 100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에 대해 수직 최저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하향 관 100의 저부 단부 가장자리 111은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상기한 최저부 부분 26B에 놓이게 된다. 사료가 상기 하향 관 100을 통해 상기 수평 컨베이어 관 14로부터 떨어져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 안으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사료 5의 적어도 일부는 화살표 P1로 도식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들 112를 경유하여 상기 하향 관 100의 상기 저부 벽부 110을 통과하게 되며, 이런 방식으로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원주 가장자리 27과 상기 하향 관 100의 저부 벽부 110 간의 환상 공간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 바깥에 서있는 새들은 상기 사료에 접근하기가 용이해진다. 그러나 갓 태어난 병아리들은 문제가 있는데, 상기 병아리들이 아직 너무 작아서 상기 가장자리 27 뒤에 놓여진 상기 사료 5를 쉽게 찾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병아리들은 상기 가장자리 27 뒤에서 상기 사료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하향 관 100은 상기 저부 벽부 110의 상부 단부에 미끼 테이블(bait table) 1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향 관 100은 상기 미끼 테이블 130으로부터 상기 연결 요소 23까지 상향 연장되는 상부 벽부 120을 구비하고 있으나, 도 6A 및 도 6B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상기 상부 벽부 120은 저부 가장자리 121을 갖으며, 상기 저부 가장자리 121은 상기 미끼 테이블 130을 위한 내부 가장자리를 한정하며, 관통 개구들 122를 구비하고 있다.
사료가 상기 컨베이어 관 14로부터 상기 하향 관 100 안으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떨어지는 사료의 일부는 도 6B의 화살표 P2로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관통 개구들 122를 경유하여 상기 하향 관을 지나서 상기 미끼 테이블 130 위에 떨어지게 된다. 상기 미끼 테이블 130은 상기 하향 관 100의 저부 벽부 110과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가장자리 27간의 상기 환상 공간 내 상기 사료 5의 상부면 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미끼 테이블 130 위에 놓이는 상기 사료 105는 갓 태어난 병아리들도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미끼 테이블 130은 도 6B에서 문자 H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 트레이 22의 원주 가장자리 27의 상부 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차이 H는 클 필요는 없으며, 약 몇 mm의 높이 차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상기 미끼 테이블 130이 상기 원주 가장자리 27의 상부보다 몇 mm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갓 태어난 병아리들은 상기 미끼 테이블 130 위에 놓여진 상기 사료 105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상기 미끼 테이블 130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하향 관 100이 밝은 색상으로 만들어지면 상기 미끼 테이블 130 위에 놓여진 상기 사료 105의 용이 가시성이 또한 개선되는데, 이는 사용되는 사료가 대개 어두운 갈색이어서 상기 사료 105와 상기 배경간의 좋은 시각적 대조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하향 관 100의 상부 벽부 120의 저부 가장자리 121은 상기 저부 벽부 110의 상부 가장자리 113의 윤곽과 일치하는 윤곽을 가지므로, 상기 미끼 테이블 130은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게 된다. 그러나,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벽부 120이 그 높이 일부분에 걸쳐 적어도 다각형 원주 윤곽,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은 육각형 원주 윤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에는 상기 상부 벽부 120이 6개의 벽 단면들 12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6개의 벽 단면들은 교차 가장자리들 124에서 서로 만난다. 수직 방향으로 상기 벽부 120은 분기하며, 즉 상기 저부를 향하는 횡 치수가 증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벽 단면들 123은 수직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며, 즉 바깥으로 향하는 중공 측면을 갖게 된다.
수평 평면을 갖는 벽 단면 123의 횡단면은 직선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A도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벽 단면들 123이 또한 수평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 곡되는 것이, 즉 바깥으로 향하는 중공 측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각 벽 단면 123의 저부 단부 가장자리 121은 볼록 선이며, 상기 볼록 선은 상기 저부 벽 부 110의 상부 가장자리 113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만곡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교차 가장자리들 124가 상기 저부 가장자리 부분 110의 상부 가장자리 113까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미끼 테이블 130은 사실상 원주 방향으로 6개의 연속적인 테이블 부분들로 세분된다.
도 6B의 실시예에서 상기 미끼 테이블 130의 최외각 원주 가장자리는 상기 저부 벽부 110의 상부 가장자리 113에 정확히 연결된다. 상기 벽부 110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 113은 또한 그 위로 흘러나오는 (P2) 상기 사료 105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미끼 테이블 130 위로 약간 돌출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미끼 테이블 130은 이런 방식으로 보다 큰 테이블 표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저부 벽부 110 너머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벽부 120의 각 관통 개구 122는 상부 가장자리 125와 저부 가장자리 126을 갖는다. 상기 저부 가장자리 126은 상기 벽 단면 123에 대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미끼 테이블 130의 높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부 가장자리 126이 상기 미끼 테이블 130 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로써 상승된 가장자리가 관통 개구 122의 상기 저부 가장자리 126 아래에 존재하게 되어 상기 미끼 테이블 130 위로 흘러나오는 상기 사료 105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 단면 123B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유지된다.
상기 관통 개구들 122는 대응하는 벽 부분들 123 내 구멍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벽 단면들 123이 수직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기 때문에, 관통 개구 122의 저부 가장자리 126은 대응하는 상부 가장자리 125 보다 방사상으로 바깥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하향 관 100에서 아래쪽으로 흐르는 상기 사료 105가 상기 관통 개구 122를 통하여 바깥으로 흘러나가는 (P2)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미끼 테이블 130 위에 있는 사료 105는 주로 미끼로서만 작용하므로 상기 미끼 테이블 130 위에 있는 사료 105의 양이 많을 필요는 없지만, 사료 105의 유출이 촉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관통 개구 122의 저부 가장자리 126은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미끼 테이블 130은 도 6A에서 벽 단면 123C에 대해 과장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향 관 100 안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내부 가장자리 131을 구비하게 되며, 이런 방식으로 아래쪽으로 흘러나오는 사료의 보다 많은 부분이 상기 하향 관 100에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가금용의 사료 분배기 및 사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금의 사육업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5)

  1. 가금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 분배기로서, 분배기 트레이(22) 및 수평 공급 컨베이어 관(14)으로부터 상기 분배기 트레이(22)로 사료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21)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 트레이(22)가 비원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사료 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22)는 원주형 가장자리(27)를 가지며, 상기 원주형 가장자리(27)는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가장자리 영역들(51) 및 상기 제1 가장자리 영역들(5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가장자리 영역들(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22)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22)는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트레이(22)는 만곡된 삼각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비원형 형상의 저부 단부 가장자리(21C)를 구비한 하향 관(2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부 단부 가장자리(21C)는 곡률 반경을 갖는 제3 가장자리 영역들 및 상기 제3 가장자리 영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4 가장자리 영역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단부 가장자리(21C)는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단부 가장자리는 만곡된 삼각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관(21)의 상기 저부 단부 가장자리(21C)는 상기 분배기 트레이(2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관(21)의 상기 저부 단부 가장자리(21C)와 상기 분배기 트레이(22)의 가장자리(27) 간의 수평 간격은 상기 분배기 트레이(22)의 원주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수평인 공급 컨베이어 관(14) 및 상기 공급 컨베이어 관에 서로 간격을 두고 부착된 복수의 사료 분배기들(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 시스템(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분배기들(20)은 종 축(43)을 가지며, 상기 종 축(43)은 상기 관련 공급 컨베이어 관(14)의 종 방향으로 영(zero)보다 큰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분배기들은 대칭면(63)을 가지며, 상기 대칭면(63)은 상기 관련 공급 컨베이어 관(14)의 종 방향으로 영(zero)보다 큰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은 90°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분배기 트레이들(22)이 교차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관(14)을 관통하는 수직면(70)으로부터 분배기 트레이(22)의 모서리 점(62X)까지의 횡 간격은 상기 수직면(70)으로부터 대향하는 가장자리 부분(61X)까지의 횡 간격 보다 짧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분배 시스템.
KR1020037006425A 2000-11-17 2001-11-15 가금용의 사료 분배 시스템 KR100820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6638 2000-11-17
NL1016638A NL1016638C2 (nl) 2000-11-17 2000-11-17 Voerdistributiesysteem voor gevogelte.
PCT/IB2001/002159 WO2002039811A1 (en) 2000-11-17 2001-11-15 Feed distribution system for poult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332A KR20030062332A (ko) 2003-07-23
KR100820961B1 true KR100820961B1 (ko) 2008-04-10

Family

ID=1977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425A KR100820961B1 (ko) 2000-11-17 2001-11-15 가금용의 사료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6786178B2 (ko)
EP (1) EP1333717B1 (ko)
JP (1) JP2004513642A (ko)
KR (1) KR100820961B1 (ko)
CN (1) CN1195403C (ko)
AT (1) ATE264052T1 (ko)
AU (2) AU2392502A (ko)
BR (1) BR0115408B1 (ko)
CA (1) CA2427862C (ko)
DE (1) DE60102833T2 (ko)
DK (1) DK1333717T3 (ko)
EA (1) EA004606B1 (ko)
ES (1) ES2219583T3 (ko)
HU (1) HUP0303575A3 (ko)
IL (1) IL155548A (ko)
MX (1) MXPA03004355A (ko)
NL (1) NL1016638C2 (ko)
PL (1) PL205540B1 (ko)
PT (1) PT1333717E (ko)
TR (1) TR200401344T4 (ko)
WO (1) WO2002039811A1 (ko)
ZA (1) ZA2003032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47599B (zh) * 2005-10-11 2012-04-18 Ctb公司 盘式种畜饲喂器
US7587990B2 (en) * 2005-10-11 2009-09-15 Ctb, Inc. Pan breeder feeder
WO2011046456A1 (en) * 2009-10-14 2011-04-21 Ptn Limited A poultry feeder
US20120116832A1 (en) 2010-02-01 2012-05-10 Dubinsky Ziv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livestock feeding
US20140000523A1 (en) * 2011-03-31 2014-01-02 Mf Co., Ltd. Feeding sheet and method of feeding baby bird
NL2010765C2 (en) 2013-05-07 2014-11-10 Roxell Bvba Poultry feed distribution system with feeding devices having rotatable attachment parts with drop tubes hingedly connected thereto.
KR101465108B1 (ko) * 2013-12-09 2014-11-26 주식회사 태명산기 사료 분배기
MX365085B (es) 2014-07-28 2019-04-30 Javier Septien Prieto Francisco Comedero para av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1825A1 (fr) * 1998-04-22 1999-10-27 Philippe Plouzen Mangeoire pour volailles, utilisée notamment dans une installation d'alimentation de vollail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412A (en) * 1970-09-22 1974-05-21 Chore Time Equipment Poultry feeder
JPS53154877U (ko) * 1977-05-11 1978-12-05
JPS5527410Y2 (ko) * 1977-07-06 1980-06-30
US4200060A (en) * 1978-11-09 1980-04-29 Chore-Time Equipment, Inc. Hog feeder
US4488509A (en) * 1983-05-05 1984-12-18 Awalt Patrick M Feeder system employing an adjustable dispenser outlet
US4527513A (en) * 1983-11-21 1985-07-09 Ctb, Inc. Poultry waterer
US4815417A (en) * 1986-05-08 1989-03-28 Strong George W Brooder feeding apparatus
US4722301A (en) * 1986-05-08 1988-02-02 Strong George W Brooder feeding apparatus
IT1239319B (it) * 1990-04-11 1993-10-19 Ska Mangiatoia con regolazione di livello del mangime.
FR2678480B1 (fr) * 1991-07-01 1993-11-05 Yves Gabriel Mangeoire avicole et installation de distribution d'aliments qui en est equipee.
FR2680949B1 (fr) * 1991-09-06 1993-11-26 Lead Sarl Mangeoire pour volailles.
JP3850560B2 (ja) * 1998-05-30 2006-11-29 タキロン株式会社 鶏舎用給餌といの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1825A1 (fr) * 1998-04-22 1999-10-27 Philippe Plouzen Mangeoire pour volailles, utilisée notamment dans une installation d'alimentation de volla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86178B2 (en) 2004-09-07
WO2002039811A1 (en) 2002-05-23
DE60102833T2 (de) 2005-04-21
JP2004513642A (ja) 2004-05-13
PL361000A1 (en) 2004-09-20
AU2002223925B2 (en) 2005-10-27
CA2427862A1 (en) 2002-05-23
AU2392502A (en) 2002-05-27
BR0115408B1 (pt) 2010-03-09
PT1333717E (pt) 2004-08-31
CN1195403C (zh) 2005-04-06
IL155548A (en) 2005-12-18
NL1016638C2 (nl) 2002-05-22
HUP0303575A2 (hu) 2004-03-29
EA200300578A1 (ru) 2003-10-30
TR200401344T4 (tr) 2004-07-21
KR20030062332A (ko) 2003-07-23
PL205540B1 (pl) 2010-04-30
EP1333717A1 (en) 2003-08-13
EA004606B1 (ru) 2004-06-24
MXPA03004355A (es) 2005-01-25
ES2219583T3 (es) 2004-12-01
US20040050336A1 (en) 2004-03-18
IL155548A0 (en) 2003-11-23
HUP0303575A3 (en) 2005-11-28
CA2427862C (en) 2009-06-30
DK1333717T3 (da) 2004-08-09
BR0115408A (pt) 2003-10-07
EP1333717B1 (en) 2004-04-14
ATE264052T1 (de) 2004-04-15
ZA200303204B (en) 2004-04-26
DE60102833D1 (de) 2004-05-19
CN1474648A (zh)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520B2 (en) Animal feeding apparatus
EP0665711B1 (en) Poultry feeding device
KR100820961B1 (ko) 가금용의 사료 분배 시스템
RU2416195C2 (ru) Раздаточный лоток для кормораздатчика
BR112012026827A2 (pt) acomodação para galinhas
US3776191A (en) Conveyor and trough feeder for poultry and the like
AU2002223925A1 (en) Feed distribution system for poultry
NL1011799C2 (nl) Inrichting voor het voeren en/of drenken van dieren.
US7581512B2 (en) Pan breeder feeder
US4299191A (en) Chick cage system
US4697548A (en) Device and method for keeping animals
US4715323A (en) Apparatus for supplying food to a plurality of cages
US2136587A (en) Feeding and watering device
EP1945023B1 (en) Pan feeder for breeders
NL1015653C2 (nl) Eierbroedlade met rechtopstaande broedstand.
US3225741A (en) Laying cages
US3180319A (en) Hog trough
US4528942A (en) Set of cages for animals
JPS6124058Y2 (ko)
SU124207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дачи кормов
JPS6211423Y2 (ko)
Myrberget et al. Breeding distribution in relation to habitat quality in a population of Willow Grouse Lagopus l. lagop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