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497B1 - 이엠알용 처치구 및 이엠알장치 - Google Patents
이엠알용 처치구 및 이엠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0497B1 KR100820497B1 KR1020040036057A KR20040036057A KR100820497B1 KR 100820497 B1 KR100820497 B1 KR 100820497B1 KR 1020040036057 A KR1020040036057 A KR 1020040036057A KR 20040036057 A KR20040036057 A KR 20040036057A KR 100820497 B1 KR100820497 B1 KR 100820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eling
- emr
- lesion
- bump
- introd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44—Blunt dissectors
- A61B2017/320048—Balloon diss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서 합병증 및 환자에게 주는 부담의 경감을 도모하면서 병변부를 절제하기 위한 EMR용 처치구 및 EMR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EMR용 처치구(100) 및 EMR장치(150)에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갖춰져, 이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의해 병변부(4)를 포함하는 피분리부분(5a)과 비이환부분(2b)을 박리해서 분리시켜 상기 병변부(4)를 융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수술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수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탈착기구를 갖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EMR용 처치구에서 제1도입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EMR장치에 갖춰진 내시경의 선단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생체의 몸 속에 생긴 병변부 및 그 근방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가진 EMR장치를 가지고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점막하층 내에 주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가진 EMR장치를 가지고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점막하층 내에 EMR장치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가진 EMR장치를 가지고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점막하층 내에 삽입한 박리융기용 부재를 부풀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가진 EMR장치를 가지고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병변부절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가진 EMR장치를 가지고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병변부절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가진 EMR장치를 가지고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병변부 및 절제할 곳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제1도입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안내부재를 제1도입부재 내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제1도입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병변부절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내시경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a는 도 1 ~ 도 3에 도시된 박리융기용 부재를 팽창시켰을 때의 형상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b는 도 1 ~ 도 3에 도시된 박리융기용 부재를 팽창시켰을 때의 형상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c는 도 1 ~ 도 3에 도시된 박리융기용 부재를 팽창시켰을 때의 형상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EMR장치에 갖춰지는 집게감자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에 포함되는 삽입용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가진 EMR장치를 가지고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서, 도 19에 도시된 삽입용 부재에 의해 박리융기용 부재삽입용의 주입부분을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가진 EMR장치를 가지고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서, 도 19에 도시된 삽입용 부재에 의해 박리융기용 부재삽입용의 주입부분을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가진 EMR장치를 가지고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서, 도 19에 도시된 삽입용 부재에 의해 박리융기용 부재삽입용의 주입부분을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용 처치구를 가진 EMR장치를 가지고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서, 도 19에 도시된 삽입용 부재에 의해 박리융기용 부재삽입용의 주입부분을 형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EMR용 처치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도 20의 평면도,
도 26은 도 21의 평면도,
도 27은 도 22의 평면도,
도 28은 도 23의 평면도,
도 29는 종래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EMR(Endoscopic Mucosal Rejection) 즉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 사용되는 EMR용 처치구(處置具) 및, 이 EMR용 처치구를 구비한 EMR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식도나 위(胃), 소장(小腸), 대장(大腸)과 같은 생체 체강(體腔)의 점막 속의 악성 및 양성 병변부(病?部)에 대해 개복수술을 하지 않고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내시경(10)을 이용해서 체강 내로 튜브(11)를 집어넣고서 전기메스의 일종인 이른바 고주파나이프 등을 삽입하여, 이 고주파나이프 등으로 상기 병변부를 절제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內視鏡的粘膜切除術)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서, 종래에는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병 변부(4)가 존재하는 점막층(5)의 아래에 존재하는 점막하층(粘膜下層;2)에 생리식염수나 5%포도당액, 에피네프린그리세올용액, 또는 0.5% 히알루론(hyaluronate)과 같은 약제를 주입해서 병변부(4)를 포함한 점막층(5) 및 점막하층(2)을 융기시킨 후, 융기된 부분 양쪽에서 상기 고주파나이프(6) 등으로 병변부(4)를 포함한 점막층(5) 및 점막하층(2)과 함께 상기 약제주입부분(7)에 존재하는 점막하층(2)의 결합조직(7a)을 절제(切除)하도록 되어 있다(일본국 특개2001-192336호 공보 참조). 도 29에서 참조부호 1은 생체의 체강이고, 1a는 체강의 안쪽, 1b는 체강의 바깥쪽, 3은 근조직(筋組織), 6은 고주파나이프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주입된 약제가 점막하층(2)에 흡수되기 쉬워 상기 융기상태가 허물어지기 쉽다. 그리고, 주입된 약제가 점막층(5) 및 점막하층(2)의 절개가 개시되면 점막 밖으로 유출되어 상기 융기상태가 소멸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점막하층(2)과 그 아래쪽에 있는 근조직(3)과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천공이 일어날 염려가 있고, 병변부(4)의 잔재가 남겨질 염려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약제가 소멸됨으로써 수술도중 여러 번에 걸쳐 병변부(4)를 융기시킬 필요가 있게 되는 바, 2번째 이후의 융기동작에서 점막하층(2) 내에서 전회(前回)와 같은 층에 상기 약제를 주입해서 당해 층을 융기시키기는 곤란하기 때문에, 가끔 너무 깊은 층에서부터 융기시키게 됨으로써,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국 천공이나 출혈이라는 합병증이나 병변부(4)의 잔존부가 남아 있게 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그리고, 내시경 선단부분에 촬영용 렌즈가 존재하기 때문에, 병변부(4)를 눈으로 보면서 시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29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내시경 선단부분을 병변부(4)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해서 병변부(4)를 포함한 점막층(5) 및 점막하층(2)을 위에서부터 절제해 가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약제주사방법에서는 상기 약제주입부분(7)의 상하를 접속시키는 결합조직(7a)이 잔존하게 됨으로써, 당해 결합조직(7a)을 절단해 가면서 병변부(4)를 포함한 점막층(5) 및 점막하층(2)을 절제해 놓아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병변부(4)를 포함한 점막층(5) 및 점막하층(2)을 융기부분 측면에서 절제할 수밖에 없어, 내시경 선단부분이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융기부분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융기부분의 측면에 내시경 선단부가 배치되면, 병변부(4)를 눈으로 살피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눈으로 살펴보기가 어렵게 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천공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이나 병변부(4)의 잔존부가 남는 경우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서 합병증 및 환자에게 주는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병변부를 절제할 수 있는 EMR용 처치구 및 이 EMR용 처치구를 갖춘 EMR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MR용 처치구는, 내시경을 통해 생체의 체강 내에 삽입된 후 이 체강의 점막층에 존재하는 병변부의 아래 쪽에 위치하는 점막하층에 삽입되어 상기 병변부가 존재하는 피분리부분과 이 피분리부분 아래의 상기 병변부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을 박리해서 분리함과 더불어 상기 병변부를 융기시키는 박리융기용 부재와, 이 박리융기용 부재가 상기 점막하층 내로 삽입하는 것을 지지해주는 제1도입부재를 갖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가 자루모양으로, 상기 제1도입부재(12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짐으로써, 상기 팽창에 의해 상기 병변부를 융기시킬 수 있는 크기로 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는 융기된 상기 병변부를 절제할 때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지게 된다.
또,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에 의해 상기 병변부가 융기된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에서 상기 제1도입부재를 이탈시키는 탈착기구(脫着機構)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를 상기 점막하층으로 쉽게 삽입하도록 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점막하층으로 삽입되어 팽창하게 됨으로써 상기 병변부가 존재하는 피분리부분과 이 피분리부분 아래에 상기 병변부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을 분리시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주입부분을 형성하도록 하는 삽입용 부재와, 선단부분에 이 삽입용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삽입용 부재가 상기 점막하층 내로 삽입되는 것을 지지해주는 제2도입부재가 갖춰질 수도 있다.
또, 상기 제1도입부재 및 상기 제2도입부재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EMR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EMR용 처치구와, 생체 밖에서 체강 내로 삽입되는 내시경으로서, 상기 EMR용 처치구가 삽통되어져 이 EMR용 처치구를 상기 체강 내로 유도하는 내시경을 갖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EMR장치는 상기 EMR용 처치구를 구성하는 도입부재로서, 상기 체강의 점막층에 존재하는 병변부를 융기시키는 박리융기용 부재를 지지함과 더불어, 이 박리융기용 부재로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는 제1도입부재에 생체 밖에서 접속되어 상기 병변부를 융기시키기 위해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를 팽창시키는 팽창용 용구가 더 갖춰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EMR용 처치구에는, 상기 점막하층으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를 삽입하기 쉽도록 하는 부재로서, 상기 점막하층으로 삽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병변부가 존재하는 피분리부분과 이 피분리부분 아래의 상기 병변부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을 분리시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주입부분을 형성하는 삽입용 부재가 더 갖춰지고, 상기 EMR용 처치구를 구성하는 도입부재로서, 상기 생체의 체강의 점막층에 존재하는 병변부를 융기시키는 박리융기용 부재를 지지함과 더불어, 이 박리융기용 부재로서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는 제1도입부재에 생체 밖에서 접속되어 상기 병변부를 융기시키기 위해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를 팽창시키는 팽창용 용구를 갖추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MR용 처치구 및 EMR장치에 의하면, 박리융기용 부재가 갖춰져 이 박리융기용 부재에 의해 병변부를 포함하는 피분리부 분과 상기 병변부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非罹患部分)을 박리시켜 분리함과 더불어 상기 병변부가 융기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점막층의 절개를 개시하게 되면 융기가 소실되는 일이 상기 EMR용 처치구 및 EMR장치에서는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여러 번에 걸쳐 환부(患部)를 융기시킬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천공(穿孔)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이나 병변부가 잔존하게 될 가능성이 거의 없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EMR용 처치구 및 EMR장치는 종래에 비해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수술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환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가 박리해서 분리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점막하층에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가 삽입되는 부분을 미리 형성시키기 때문에, 예컨대 고주파나이프 등으로 광범위한 박리 및 절개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개동작에 수반되는 천공이나 출혈, 병변부가 잔존하는 등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박리융기용 부재에 의해 피분리부분과 비이환부분의 박리 및 분리를 시행하는 경우, 커다란 박리융기용 부재를 병변부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막하층에 한번에 삽입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융기동작을 하기 전에 상기 점막하층으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를 삽입하기 쉽게 하는 삽입용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점막하층에 대해 상기 피분리부분과 비이환부분과의 박리 및 분리를 수행하는 박리융기용 부재가 주입되는 부분을 미리 형성시켜놓게 됨으로써 박리융기용 부재의 삽입 및 융기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다. 이에 따라 시술하기가 쉬워지고, 천공이나 출혈, 병변부의 잔존과 같은 위험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EMR용 처치구 및 제2실시예인 EMR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같은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내시경이라 함은 생체의 체강 내의 병소(病巢)를 직접 육안이나 영상으로 관찰하면서 진료 및 치료하는 기구 일반을 지칭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EMR용 처치구(100)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EMR용 처치구(100)는 박리융기용 부재(110)와 제1도입부재(120)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는 EMR용 풍선이라고도 불려지는 바, 이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시경(10)에 갖춰지는 도 5에 도시된 감자(柑子)채널(12)을 통해, 예컨대 위나 대장, 소장, 식도와 같은 체강 내에 삽입된 후, 이 체강의 점막층(5)에 존재하는 병변부(4)의 아래쪽 점막하층(2)으로 삽입되어, 병변부(4)가 존재하는 점막층(5)을 포함하는 피분리부분(5a)과 이 피분리부분(5a)의 아래에서 병변부(4)를 갖지 않는 점막하층(2) 내의 비이환부분(非罹患部分;2b)을 박리해서 분리함과 더불어 병변부(4)를 포함한 상기 피분리부분(5a)을 융기시키는 부재로서, 상기 제1도입부재(120)의 선단부분(121)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분리부분(5a)은 점막층(5)만의 경우와, 점막층(5) 및 이 점막층(5)과의 경계 근방에서 점막하층(2)의 상층부분까지의 경우,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도 5에 도시된 참조부호 13은 체강 내를 촬영하기 위한 렌즈를 나타 내고, 참조부호 14는 상기 촬영용의 조명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도입부재(120)의 선단부분(121)을 조여주도록 제1도입부재(1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박리융기용 부재(110)는 자루모양으로, 예컨대 고무재질과 같은 자유로이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는 탄성재료로 만들어져, 상기 제1도입부재(12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또는 액체에 의해 부풀려져 앞에서 설명된 박리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적어도 병변부(4)가 융기되도록 한다.
이렇게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의해 융기된 병변부(4)는 뒤에 설명되듯이 이 병변부(4) 주변의 점막층(5) 또는 점막층(5) 및 점막하층(2)의 일부와 함께 고주파나이프(6) 등에 의해 절제되기 때문에,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상기 절제가 이루어질 때의 열이나 스파크 및 침(針) 등에 의한 손상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의 예로는 실리콘고무, 천연고무, 합성고무와 같은 고무재질, 스틸렌계 및 우레탄계의 엘라스토머재질,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플라스틱재질, 염화비닐 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또,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두께는 뒤에 설명되는 삽입용 부재(130)와는 달리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도록 만들어지고서, 삽입용 부재(130)에서의 최대두께 이상의 두께가 되도록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는 적어도 병변부(4) 또는 이 병변부(4)의 주변부분을 포함한 점막층(5) 및 점막하층(2)의 일부를 융기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 에,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크기가 병변부(4)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바, 적어도 병변부(4)를 융기시킬 크기로 되어야 한다. 그 한 예를 들어보면, 팽창했을 때는 직경이 약 50mm인 대략 원형모양을 이루고, 팽창했을 때의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전체 높이(두께)는 약 5 ~ 10mm가 된다. 이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팽창했을 때의 형상은 앞에서 설명한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병변부(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예컨대 도 17a에 도시된 타원형, 도 17b에 도시된 반원형, 또는 도 17c에 도시된 원호형상과 같은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입부재(120)는 내시경(10)의 감자채널(12) 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직경(d)이 약 1.8mm, 길이가 약 2m인 관 모양의 부재로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단부분(121)에는 이 제1도입부재(120)를 통해 자루모양의 박리융기용 부재(110) 내로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제1도입부재(120)에 대해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수축된 상태로 제1도입부재(120)의 선단부분(121)의 바깥에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주입하는 기체로는 공기가 일반적이고, 액체로는 생수나 생리식염수 또는 겔 형태의 약제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시경(10)의 감자채널(12) 내를 통과시키는 한편, 병변부(4)의 아래쪽 점막하층(2) 내로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삽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1도입부재(120)를 지지하기 위해 제1도입부재(120)가 과도한 경도(硬度)를 가진 재료로 형성되거나, 예컨대 피아노선과 같은 적당한 경도를 가진 안내부재(122)를 제1도입부재(120)에다 매몰 또는 매설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도입부재(120) 내에 안내부재(1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입부재(120)와 박리융기용 부재(110)는 탈착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점막하층(2) 내에서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부풀린 후 팽창된 상태 그대로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점막하층(2) 내에 남기고서 제1도입부재(120)를 박리융기용 부재(110)에서 이탈시켜, 제1도입부재(120)만을 체강 내에서 환자의 몸밖으로 뽑아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팽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박리융기용 부재(110)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탈착기구(115)가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탈착기구(115)의 한 예로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리융기용 부재(110)에서 제1도입부재(120)가 이탈됨과 동시에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도입부재삽입구(111)를 폐쇄하게 되는 체크밸브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탈착기구(115)는 그 체크밸브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대해 제1도입부재(120)를 나사로 조여줌으로써 상기 팽창상태를 유지한 채 박리융기용 부재(110)와 제1도입부재(12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 탈착기구(115)를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아닌 제1도입부재(120)에다 설치하거나, 박리융기용 부재(110) 및 제1도입부재(120) 양쪽에다 설치할 수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도입부재(120)의 선단부 및 박리융기용 부재(110)는 점막하층(2) 내로 삽입할 필요가 있게 되는 바, 제1도입부재(120)의 선단부를 뾰족한 형상으로 하게 되면, 상기 점막하층(2) 내로 삽입할 때 제1도입부재(120)의 선단부의 직진성(直進性)이 강해져 힘이 남게 되어 점막하층(2) 아래의 근조직(筋組織;3) 또는 체강외부(1b)까지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제1도입부재(120)의 선단부는, 이 선단부를 근조직(3)쪽으로 비스듬히 삽입하는 경우에도 제1도입부재(120)의 선단부분(121)의 직진성이 약해져, 근조직(3)에는 이르지 않고 점막하층(2) 내에 제1도입부재(120) 및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유도하는 약직진성 형상(弱直進性形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약직진성 형상의 한 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예컨대 주걱모양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4는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제1도입부재(120) 내에 배치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MR장치(150)는 앞에서 설명한 EMR용 처치구(100)와, 이 EMR용 처치구(100)가 삽통(揷通)되어 이 EMR용 처치구(100)를 환자의 체내(51)의 체강(1) 내로 들여보내는 내시경(10)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시경(10)에 삽입된 EMR용 처치구(100)에 갖춰진 제1도입부재(120)의 내에서, 환자의 체외(52)에 위치하는 내시경 밖으로 이어지는 후단부분(123)에는, 선단부분(121)에 부착되어 있는 박리융기용 부재(110)로 상기 기체 또는 액체를 공급해서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팽창시키는 팽창용 용구(151)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 팽창용 용구(151)로는 도시된 것과 같은 주사통(注射筒)이 편리하지만 주사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EMR용 처치구(100) 및 EMR장치(150)의 사용방법, 즉 EMR용 처치구(100) 및 EMR장치(150)를 사용해서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 제술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체강(1)의 점막층(5)에 존재하는 병변부(4)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천자주입침(穿刺注入針) 등을 내시경(10)을 통해 병변부(4)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막하층(2) 내의 분리위치(2a)로 찔러 넣어 예컨대 생리식염수 등을 주입한다. 이는 뒤에 설명되는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병변부(4) 아래쪽의 점막하층(2)으로 삽입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분리위치(2a)는 점막하층(2)의 두께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해당하는 바, 그 최상위치는 점막층(5)과 점막하층(2)의 경계부분(5b)이고, 그 최하위치는 점막하층(2)과 근조직(3)의 경계부분(3a)으로 된다.
다음에는 내시경(10)을 통해 고주파나이프(6) 등으로 병변부 주변부(4a)에다 점막하층(2)에 이르는 작은 구멍을 뚫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EMR용 처치구(100)를 내시경(10)의 감자채널(12)로 삽입하고서, 앞에서 생리식염수 등을 주입한 주입부분(2a)으로 상기 작은 구멍을 통해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삽입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EMR용 처치구(100)의 제1도입부재(120)의 환자 체외(52)에 위치하는 후단부분(123)에 접속되어 있는 팽창용 용구(151)를 사용해서 상기 기체 또는 액체를 제1도입부재(120)를 통해 박리융기용 부재(110)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팽창하게 되어 병변부(4)가 존재하는 점막층(5) 또는 점막하층(2)의 일부까지도 포함하는 피분리부분(5a)과 이 피분리부분(5a)의 아래의 병변부(4)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2b)을 점막하층(2) 내에서 박 리해서 분리시켜, 적어도 병변부(4)를 융기시키게 된다. 여기서 융기시키는 높이, 즉 비융기부의 점막층(5) 표면에서 융기부의 점막층(5) 표면까지의 높이(H)는 대략 5mm 정도가 되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막하층(2) 내에서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부풀려 피분리부분(5a)과 비이환부분(2b)을 박리해서 분리시킴으로써, 도 29를 참조로 해서 설명한 점막하층(2)의 분리부분에서의 결합조직(7a)이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팽창에 의해 절단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시술할 때 결합조직(7a)을 절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음, 도 12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융기되어 있는 부분(41) 내의 병변부(4) 주변부분의 절제할 곳을 따라 내시경(10)이 삽통된 고주파나이프(53) 등으로 병변부(4)를 포함한 피분리부분(5a)을 절제한다. 이때, 박리융기용 부재(110)에는 상기 절제에 수반되는 열이 작용하기는 하지만,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내열성에 의해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손상을 받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시술하는 도중에 병변부(4)의 융기상태가 소멸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제를 함에 있어, 상기 고주파나이프(53) 대신에 또는 이 고주파나이프(53)와 함께 도 18에 도시된 집게감자(161)를 쓸 수도 있다.
또, 박리융기용 부재(110) 및 제1도입부재(120)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다 앞에서 설명한 탈착기구(115)를 설치한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리융기용 부재(110)에서 제1도입부재(120)를 이탈시켜 이 제1도입부재(120)를 환자 체외(52)로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절제할 곳(42)을 따라 고주파나이프(53) 및 집게감자(161)의 적어도 한쪽을 가지고 병변부(4)를 포함한 피분리부분(5a)의 점막을 절제한다.
그리고, 상기 어느 경우에도 절제된 피분리부분(5a)은 박리융기용 부재(110) 및 제1도입부재(120)도 포함해서 내시경(10)까지 환자 체외(52)로 끄집어낸다. 또, 제1도입부재(120)를 먼저 환자 체외(52)로 끄집어낸 경우, 환부를 절제한 후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수축시켜 내시경(10)과 함께 환자 체외(52)로 끄집어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점막절제술이 끝나게 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탈착기구(115)가 박리융기용 부재(110) 및 제1도입부재(12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환자 체외(52)에 있는 제1도입부재(120)의 후단부분(123)을 폐쇄시켜 점막하층(2) 내에서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팽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박리융기용 부재(110) 및 제1도입부재(120)를 환자 체내(51)로 삽입한 상태에서, 일단 내시경(10)을 환자의 체외(52)로 뽑아내어 내시경(10) 내에서 제1도입부재(120)를 뽑아낸다. 그 후, 내시경(10)을 다시 환자 체내(51)로 삽입해서 빈 감자채널(12)에다 고주파나이프(53) 및 집게감자(161)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삽통시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피분리부분(5a)을 절제한다.
이렇게 피분리부분(5a)을 절제한 후, 절제된 피분리부분(5a) 및 내시경(10)을 체강(1) 내로부터 환자 외부(52)로 끄집어내면,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이 끝나게 된다.
또, 도 10 및 도 11에는 융기부분의 측면에서부터 고주파나이프(53) 등으로 절제할 곳(42)을 따라 피분리부분(5a)을 절제하도록 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팽창에 의해 상기 주입부분(2c) 내의 결합조직(7a)이 이미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병변부(4)를 눈으로 보기가 어려운 융기부분 측면에서부터 고주파나이프(53) 및 집게감자(161)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집어넣을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병변부(4)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켜 시술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EMR용 처치구(100) 및 EMR장치(150)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병변부(4)의 위쪽에 내시경(10)의 선단부를 배치하고서, 병변부(4)의 위쪽에서부터 절개할 곳(42)을 따라 고주파나이프(53) 및 집게감자(161)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피분리부분(5a)을 절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조직(7a)이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절개할 곳(42)을 따라 피분리부분(5a)을 끊기만 하여도 피분리부분(5a)이 비이환부분(2b)에서 끊어져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보다 쉽고 안전하게 피분리부분(5a)을 절제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EMR용 처치구(100) 및 EMR장치(150)에 의하면, EMR용 처치구(100)에서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써서 이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부풀려줌으로써, 병변부(4)를 포함한 피분리부분(5a)과 병변부(4)를 포함하지 않은 비이환부분(2b)을 박리해서 분리하고, 적어도 병변부(4) 바람직하기로는 병변부(4)를 포함해서 그 주변부분을 융기시키도록 되어 있어서, 종래와 같이 점막을 절제하기 시작함과 더불어 융기가 소멸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아 수회에 걸쳐 환부를 융기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천공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이나 병변부(4)가 잔존하는 등의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점막하층(2) 내에서의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팽창에 의해 점막하층(2)의 결합조직(7a)이 절단되기 때문에, 바꿔 말해 피분리부분(5a)과 비이환부분(2b) 사이에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개재(介在)시켜지기 때문에, 융기부분의 양쪽에서 고주파나이프(53) 등을 넣어 결합조직(7a)을 절단하면서 피분리부분(5a)을 절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내시경(10)에 의한 병변부(4)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병변부(4)에 대향시켜 내시경(10)의 선단부를 배치하여, 병변부(4)의 위쪽에서부터 고주파나이프(53) 및 집게감자(161)의 적어도 한쪽으로 피분리부분(5a)을 절제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시술하기가 용이해지게 되고, 이점에서도 천공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게 되며, 시술의 안전성이 높아지고,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EMR용 처치구(100) 및 EMR장치(150)는 종래에 비해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시술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수술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어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EMR용 처치구(100)의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팽창용 용구(151)를 사용해서 기체 또는 액체를 공급함으로서 팽창하도록 되어 있으나, 예컨대 흡수성을 가진 재료로 박리융기용 부재를 형성시켜 점막하층(2) 내에서 수분 등을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스스로 팽창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부풀림으로서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병변부(4)를 포함한 피분리부분(5a)과 병변부(4)를 포함하지 않은 비이환부분(2b)을 박리해서 분리하는 동작과, 적어도 병변부(4) 바람직하기로는 병변부(4)를 포함해서 그 주변부분을 융기시키는 동작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박리융기동작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비교적 크게 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큰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병변부(4)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막하층(2)으로 삽입해서 도입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게 된다. 따라서, EMR용 처치구(100)에 포함되고도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비해 크기가 작아지도록 해서,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삽입용 부재(130)를 더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삽입용 부재(130)는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점막하층(2)으로 삽입하기에 앞서 사용되어, 상기 박리 및 분리를 하기 위해 미리 점막하층(2)에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주입부분(2c)을 형성하고, 이러한 주입부분(2c)의 형성동작에 수반해서 점막하층(2)의 결합조직(7a)의 절단동작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삽입용 부재(130)는 앞에서 설명한 주입부분(2c)의 형성작용을 달성할 수 있는 한 그 형태는 묻지 않는다. 삽입용 부재(130)의 한 형태로서 IB풍선이라 불려지는, 다음에 설명되는 풍선형태를 채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삽입용 부재(130)는 점막하층(2)으로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서, 이 박리융기용 부재(110)는 점막하층(2)으로 삽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제2도입부재(131)의 선단부분(131a)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삽입용 부재(130)는 박 리융기용 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자루모양의 형태로서 고무재질, 에라스토머재질과 같이 자유로이 팽창되고 수축될 수 있는 탄성재료로 만들어져, 점막하층(2)으로 삽입된 후 상기 제2도입부재(131)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에 의해 부풀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팽창에 의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조직(7a)의 절단이 이루어져, 피분리부분(5a)과 비이환부분(2b)을 박리해서 분리시켜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삽입되는 주입부분(2c)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용 부재(130)는 어디까지나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팽창시킬 때 점막하층(2)에서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점막하층(2)으로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삽입되어 팽창되도록 하는 상기 주입부분(2c)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피분리부분(5a)과 비이환부분(2b)을 박리해서 분리시키는 범위는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경우에 비해 작도록 되어 있다.
또, 삽입용 부재(130)의 역할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막하층(2)의 일부분에 대해 결합조직(7a)의 절단 및, 피분리부분(5a)과 비이환부분(2b)을 박리해서 분리시켜 주입부분(2c)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체 등의 공급에 의해 팽창을 할 때에는, 삽입용 부재(130)가 박리융기용 부재(110)와 같이 전체 길이에 걸쳐 대체로 균등하게 부풀어지는 것보다, 선단부(1301)에서 후단부(1302)를 향해 옆으로 넓혀지지 않고 가늘고 길게 점차적으로 부풀어지는 쪽이 상기 절단 및 순리동작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팽창동작을 행해지도록 하기 위해, 삽입용 부재(130)에서는 선단부(1301)에서의 삽입용 부재(130)의 두께(1301a)를 후단부(1302)에서의 두께(1302a)에 비해 얇게 되도록 형성시켜, 선단부(1301)에서 후단부(1302)를 향해 서서히 그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게 성형되어 있다. 각 부위에서의 두께는 예컨대 병변부(4)의 크기 등에 대응해서 결정되는 바, 그 한 예로서 선단부(1301)의 두께(1301a)는 약 150㎛이고, 후단부(1302)의 두께(1302a)는 약 200㎛가 되도록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삽입용 부재(130)를 다시 사용해서 수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두께가 전체 길이에 걸쳐 대체로 균일하도록 성형하게 된다.
또, 삽입용 부재(130)의 크기는 병변부(4)의 크기에 대응한 크기를 준비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대응한 크기로 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삽입용 부재(130)의 크기는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크기와 같을 필요는 없고, 박리융기용 부재(110)보다 작은 경우가 많은 바, 그 한 예로서는 약 1.5 ~ 2.0cm가 된다.
상기 제2도입부재(131)는 관 형상으로 앞에서 설명한 제1도입부재(120)와 같은 크기 및 같은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고, 당해 제2도입부재(131)를 지지하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안내부재(1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제2도입부재(131) 내로 주입되는 물질도 제1도입부재(120)와 마찬가지이고, 기체로서는 예컨대 공기이고 액체로서는 생수나 생리식염수 또는 겔 형상의 약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삽입용 부재(130)는 그 선단부(1301)에서 후단부(1302)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부풀려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팽창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제2도입부재(131)에 삽입용 부재(130)를 부착시킨 상태에 대해,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도입부재(131)의 앞 끝이 삽입용 부재(130)의 선단부(1301) 근방에 배치될 정도까지 가늘고 긴 삽입용 부재(130)의 안쪽으로 제2도입부재(131)의 선단부분을 삽입해서, 삽입용 부재(130)의 후단부(1302)만 제2도입부재(131)에 접합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박리융기용 부재(110)와 삽입용 부재(130)의 양쪽을 쓰는 경우, 뒤에 설명되듯이 삽입용 부재(130)가 팽창에 의해 피분리부분(5a)과 비이환부분(2b)을 분리한 후 그 역할이 끝나게 됨으로, 이를 수축시켜 제2도입부재(131)와 함께 체외(52)로 끄집어내게 된다. 따라서, 삽입용 부재(130)에는 상기 탈착기구(115)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 제2도입부재(131)도 제1도입부재(120)와 마찬가지로 점막하층(2) 내로 삽입되므로, 제1도입부재(120)와 마찬가지로 제2도입부재(131)의 선단부가 약직진성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앞에서 설명한 제2도입부재(131)의 선단부에 부착된 삽입용 부재(130)를 더 갖춘 EMR용 처치구(100)를 구비한 EMR장치(150)를 사용해서 시행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체강(1)의 점막하층(2)에 존재하는 병변부(4)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천자주입침 등을 내시경을 통해 병변부(4)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막하층(2) 내의 분리위치(2a)로 찔러 넣어, 예컨대 생리식염수 등을 소량 주입해서 병변부(4)를 조금 융기시킨다. 이 융기동작은 다음에 설명하는 삽입용 부재(130)의 삽입용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위치(2a)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막하층(2)의 두께방향의 임의의 위치이다.
다음, 내시경(10)을 통해 고주파나이프 등으로 병변부주변부(4a)에 점막하층(2)에 이르는 작은 구멍을 만든 후,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EMR용 처치구(100) 내로 삽입용 부재(130)가 설치된 제2도입부재(131)를 내시경(10)의 감자채널(12)로 삽입하고서, 다시 상기 주입부분(2c)으로 상기 작은 구멍을 통해 제2도입부재(131)의 선단부 또는 이 선단부에 부착된 삽입용 부재(130)의 선단부(1301)를 삽입한다.
다음, 도 21 및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도입부재(131) 중 환자의 체외(52)에 위치하는 후단부분(1311)에 접속된 팽창용 용구(151)를 사용해서 공기 또는 상기 액체를 제2도입부재(131)를 통해 삽입용 부재(130)로 공급한다. 상기 삽입용 부재(13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1301)의 두께(1301a)를 얇게 하고서 이 선단부(1301)에서 근원부분으로 서서히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부풀어졌을 때는 선단부(1301)가 부풀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용 부재(130)의 선단부(1301)는 상기 작은 구멍을 통해 주입부분(2c)으로 삽입되어져 있기 때문에, 부풀려진 선단부(1301)가 상기 작은 구멍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작은 구멍이 스토퍼(stopper)적인 기능을 하게 되어, 삽입용 부재(130)가 부풀려짐에 따라 삽입용 부재(130)가 점막하층(2)에서 체강(1) 내로 되눌려지는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삽입용 부재(13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1301)에서부터 점차로 근원부인 후단부(1032) 쪽으로 부풀려져 가 게 된다. 따라서, 삽입용 부재(130)는 팽창이 진행됨에 따라 도 22 및 도 27과, 도 23 및 도 28의 순으로, 도 22 및 도 27과 도 23 및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점막하층(2) 내의 결합조직(7a)을 절단하면서 점막하층(2) 내를 전진하여, 상기 피분리부분(5a)과 이 피분리부분(5a)의 아래에 병변부(4)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2b)을 점막하층(2) 내에서 박리시켜 분리하면서 주입부분(2c)을 형성해 가게 된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용 부재(130)가 그 축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부풀려져 가게 됨으로써, 상기 박리 및 분리되는 범위가 도 26에서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늘고 긴 범위로 되어, 병변부(4)를 중심으로 하기는 하지만 원형을 이루지는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용 부재(130)는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삽입용 굴(tunnel)을 형성하게 된다.
적어도 병변부(4)에 대응한 범위의 피분리부분(5a)에 대해 삽입용 부재(130)에 의한 상기 분리동작이 끝난 시점에서, 팽창용 용구(151)를 벗겨 삽입용 부재(130)의 팽창을 해제시켜 수축되도록 한다. 이렇게 수축이 된 후 제2도입부재(131) 및 삽입용 부재(130)를 내시경(10)을 통해 체외로 뽑아낸다.
제2도입부재(131) 및 삽입용 부재(130)를 뽑아낸 후,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시경(10)의 감자채널(12)에 EMR용 처치구(100)의 제1도입부재(120) 및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삽입하고, 삽입용 부재(130)에 의해 형성된 점막하층(2) 내의 주입부분(2c)으로 상기 작은 구멍을 통해 제1도입부재(120)의 선단부분 및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삽입한다. 이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팽창시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시술한다. 그리고,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의한 융기동작으로 피분리부분(5a)과 비이환부분(2b)의 박리 및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삽입용 부재(130)에 의해 미리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삽입용 굴, 즉 상기 주입부분(2c)이 점막하층(2)에 형성됨으로써,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쉽게 점막하층(2)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한편,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팽창시켰을 때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점막하층(2)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박리융기용 부재(110)는 용이하게 적어도 병변부(4), 바람직하기로는 병변부(4)를 포함해서 그 주변부분을 융기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박리융기용 부재(110)만으로 상기 분리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비해 시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천공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이나 병변부(4)가 남아있게 되는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아져 시술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환자에게 주는 부는 부담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것은 삽입용 부재(130) 및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양쪽을 사용하는 경우였으나,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삽입용 부재(130) 및 박리융기용 부재(110)의 특징적인 점을 합체시켜 일체적으로 형성시킨 삽입박리융기용 부재(140)를 만들 수도 있다. 이 삽입박리융기용 부재(140)에서는 삽입용 부재(130)와 마찬가지로 삽입박리융기용 부재(140)에서의 두께가 그 선단부(1401)에서 후단부(1402)쪽으로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고서, 탈착기구(115)를 갖추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박리융기용 부재(140)에서 상기 탈착기구(115)는 설치되지 않아도 좋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삽입박리융기용 부재(140)는 삽입용 부재(130) 및 박리융기용 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제1도입부재(120) 및 제2도입부재(131)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가진, 제1도입부재(120) 및 제2도입부재(13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제3도입부재(141)의 선단부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삽입박리융기용 부재(140)에 의하면, 피분리부분(5a)과 비이환부분(2b)의 박리 및 분리동작과 피분리부분(5a)의 융기동작이 1개의 부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가 있어, 수술시간의 단축과 그에 수반되어 환자의 부담경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에 사용되는 EMR용 처치구(100) 및 이 EMR용 처치구(100)를 구비한 EMR장치(150)에 적용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여러 가지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해서 충분히 기재하기는 하였지만, 이 기술에 관해 숙련된 사람이라면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수정해서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인 바, 그러한 변형 또는 수정해서 실시하는 것도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MR용 처치구 및 EMR장치에서는 박리융기용 부재가 갖춰져, 이 박리융기용 부재에 의해 병변부를 포함하는 피분리부분 과 상기 병변부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을 박리시켜 분리함과 더불어 상기 병변부가 융기되도록 할 수도 있어서, 종래와 같이 점막층의 절개개시와 더불어 융기가 소실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아 여러 번에 걸쳐 환부를 융기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천공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이나 병변부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거의 없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해 수술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환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20)
- 내시경(10)을 통해 생체의 체강(1) 내에 삽입된 후 이 체강(1)의 점막층(5)에 존재하는 병변부(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막하층(2)에 삽입되어 상기 병변부가 존재하는 피분리부분(5a)과 이 피분리부분(5a) 아래의 상기 병변부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2b)을 박리해서 분리함과 더불어 상기 병변부(4)를 융기시키는 박리융기용 부재(110)와, 이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선단부분(121)에 접속되어 이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상기 점막하층(2) 내로 삽입되는 것을 지지해주는 제1도입부재(120)를 갖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자루모양을 하고서 상기 제1도입부재(12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에 의해 팽창되는 재료로 만들어져, 상기 팽창에 의해 상기 병변부(4)를 융기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융기된 상기 병변부(4)를 절제할 때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융기된 상기 병변부(4)를 절 제할 때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의한 상기 병변부(4)가 융기된 상태 그대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로부터 상기 제1도입부재(120)를 이탈시키는 탈착기구(115)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의한 상기 병변부(4)가 융기된 상태 그대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로부터 상기 제1도입부재(120)를 이탈시키는 탈착기구(115)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의한 상기 병변부(4)가 융기된 상태 그대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로부터 상기 제1도입부재(120)를 이탈시키는 탈착기구(115)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하층(2)으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삽입하기 쉽도록 하는 부재로서, 상기 점막하층(2)으로 삽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병변부(4)가 존재하는 피분리부분(5a)과 이 피분리부분(5a)의 아래의 상기 병변부(4)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2b)을 분리시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주입부분(2c)을 형성하는 삽입용 부재(130)와, 이 삽입용 부재(130)가 선 단부분(131a)에 설치되어 삽입용 부재(130)가 상기 점막하층(2) 내로 삽입하는 것을 지지해주는 제2도입부재(131)가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하층(2)으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삽입하기 쉽도록 하는 부재로서, 상기 점막하층(2)으로 삽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병변부(4)가 존재하는 피분리부분(5a)과 이 피분리부분(5a)의 아래의 병변부(4)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2b)을 분리시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주입부분(2c)을 형성하는 삽입용 부재(130)와, 이 삽입용 부재(130)가 선단부분(131a)에 설치되어 삽입용 부재(130)가 상기 점막하층(2) 내로 삽입하는 것을 지지해주는 제2도입부재(131)가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하층(2)으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삽입하기 쉽도록 하는 부재로서, 상기 점막하층(2)으로 삽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병변부(4)가 존재하는 피분리부분(5a)과 이 피분리부분(5a)의 아래의 상기 병변부(4)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2b)을 분리시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주입부분(2c)을 형성하는 삽입용 부재(130)와, 이 삽입용 부재(130)가 선단부분(131a)에 설치되어 삽입용 부재(130)가 상기 점막하층(2) 내로 삽입하는 것을 지지해주는 제2도입부재(131)가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용 부재(130)가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와 일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도입부재(120) 및 상기 제2도입부재(131)도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용 부재(130)가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도입부재(120) 및 상기 제2도입부재(131)도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용 부재(130)가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3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도입부재(120) 및 상기 제2도입부재(131)도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용 처치구.
- EMR용 처치구(100)와 내시경(10)을 갖춰 이루어지되, 상기 EMR용 처치구(100)가 내시경(10)을 통해 생체의 체강(1) 내에 삽입된 후 이 체강(1)의 점막층(5)에 존재하는 병변부(4) 아래쪽에 위치하는 점막하층(2)에 삽입되어 상기 병변부가 존재하는 피분리부분(5a)과 이 피분리부분(5a) 아래의 상기 병변부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2b)과를 박리해서 분리함과 더불어 상기 병변부(4)를 융기시키는 박리융기용 부재(110)와, 이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선단부분(121)에 접속되어 이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상기 점막하층(2) 내로 삽입되는 것을 지지해주는 제1도입부재(120)를 갖도록 된 것이고, 상기 내시경(10)은 생체 밖에서 체강(1) 내로 삽입되는 내시경으로서 상기 EMR용 처치구(100)가 삽통되어 이 EMR용 처치구(100)를 상 기 생체 내로 유도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EMR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자루모양을 하고서 상기 제1도입부재(12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에 의해 팽창되는 재료로 만들어져, 상기 팽창에 의해 상기 병변부(4)를 융기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EMR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EMR용 처치구(100)가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의한 상기 병변부(4)의 융기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에서 상기 제1도입부재(120)를 이탈시키는 탈착기구(115)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EMR용 처치구(100)를 구성하는 도입부재로서, 상기 생체의 체강(1)의 점막층(5)에 존재하는 병변부(4)를 융기시키는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지지함과 더불어, 이 박리융기용 부재(110)로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는 제1도입부재(120)로 생체 체외(52)에서 접속되어, 상기 병변부(4)를 융기시키기 위해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팽창시키는 팽창용 용구(151)가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EMR용 처치구(100)가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의한 상기 병변부(4)의 융기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에서 상기 제1도입부재(120)를 이탈시키는 탈착기구(115)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EMR용 처치구에는, 상기 점막하층(2)으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삽입하기 쉽도록 하는 부재로서, 상기 점막하층(2)으로 삽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상기 병변부(4)가 존재하는 피분리부분(5a)과 이 피분리부분(5a)의 아래의 상기 병변부(4)를 갖지 않은 비이환부분(2b)을 분리시켜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는 주입부분(2c)을 형성하는 삽입용 부재(130)가 더 갖춰지는 한편, 상기 EMR용 처치구(100)를 구성하는 도입부재로서, 상기 생체의 체강(1)의 점막층(5)에 존재하는 병변부(4)를 융기시키는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지지함과 더불어, 이 박리융기용 부재(110)로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는 제1도입부재(120)로 생체 체외(52)에서 접속되어 상기 병변부(4)를 융기시키기 위해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를 팽창시키는 팽창용 용구(151)를 더 갖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EMR용 처치구(100)가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에 의한 상기 병변부(4)의 융기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박리융기용 부재(110)에서 상기 제1도입부재(120)를 이탈시키는 탈착기구(115)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R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146478 | 2003-05-23 | ||
JP2003146478 | 2003-05-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1032A KR20040101032A (ko) | 2004-12-02 |
KR100820497B1 true KR100820497B1 (ko) | 2008-04-10 |
Family
ID=3309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6057A KR100820497B1 (ko) | 2003-05-23 | 2004-05-20 | 이엠알용 처치구 및 이엠알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165437A1 (ko) |
EP (1) | EP1479351A3 (ko) |
KR (1) | KR100820497B1 (ko) |
CN (1) | CN100382770C (ko) |
TW (1) | TW20050779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62538A (ja) * | 2012-04-19 | 2020-04-23 | フラクティル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組織拡張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129726A1 (ja) * | 2005-05-31 | 2006-12-07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 粘膜剥離装置、および粘膜剥離方法 |
WO2007120727A1 (en) * | 2006-04-13 | 2007-10-25 | Wilson-Cook Medical Inc. | Apparatus and methods for endoscopic resection of tissue |
US7867228B2 (en) * | 2006-04-28 | 2011-01-11 | Ethicon Endo-Surgery,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
US20070255278A1 (en) * | 2006-04-28 | 2007-11-01 | Nobis Rudolph H | Apparatus and method for deploying a cutting element dur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
US7651491B2 (en) * | 2006-04-28 | 2010-01-26 | Ethicon Endo-Surgery, Inc. | Method for perform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
JP4980777B2 (ja) * | 2007-04-06 | 2012-07-18 |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内視鏡用処置具 |
EP3834757B1 (en) | 2011-01-19 | 2022-03-09 | Fractyl Health, Inc. |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the small intestine |
KR101056698B1 (ko) * | 2011-02-22 | 2011-08-12 | 정명준 | 복수개의 모드를 멀티시술모듈을 통해 하나의 장치로 동작시키는 내시경하 점막하층 멀티용 시술기구 |
JP6167115B2 (ja) | 2012-02-27 | 2017-07-19 | フラクティル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組織の治療のための熱切除システム、デバイスおよび方法 |
WO2014022436A1 (en) | 2012-07-30 | 2014-02-06 | Fractyl Laboratories Inc. | Electrical energy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
WO2014026055A1 (en) * | 2012-08-09 | 2014-02-13 | Fractyl Laboratories Inc. | Abl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
EP2903626A4 (en) | 2012-10-05 | 2016-10-19 | Fractyl Lab Inc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CARRYING OUT MULTIPLE TREATMENTS OF A PATIENT |
WO2014197632A2 (en) | 2013-06-04 | 2014-12-11 | Fractyl Laboratories, Inc.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reducing the luminal surface area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
EP3043732B1 (en) | 2013-09-12 | 2021-04-07 | Fractyl Laboratories, Inc. | Systems and devices for treatment of target tissue |
AU2014352874B2 (en) | 2013-11-22 | 2019-03-14 | Fractyl Health, Inc.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he creation of a therapeutic restric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
US10959774B2 (en) | 2014-03-24 | 2021-03-30 | Fractyl Laboratories, Inc. | Injectate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EP3169260B1 (en) | 2014-07-16 | 2019-09-25 | Fractyl Laboratories, Inc. | System for treating diabetes and related diseases and disorders |
US11185367B2 (en) | 2014-07-16 | 2021-11-30 | Fractyl Health,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diabetes and related diseases and disorders |
US9844641B2 (en) | 2014-07-16 | 2017-12-19 | Fractyl Laboratories, Inc.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in the intestine |
CN104490430B (zh) * | 2015-01-05 | 2016-09-07 | 四川大学华西医院 | 一种用于内镜粘膜下剥离的隧道支撑器 |
EP3405118A1 (en) * | 2016-01-21 | 2018-11-28 |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 System and apparatus for assisting with submucosal dissections |
CN106073835B (zh) * | 2016-06-06 | 2019-05-07 | 常州乐奥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内镜粘膜下隧道支撑器 |
US11369400B2 (en) * | 2019-03-20 | 2022-06-28 | Covidien Lp | Balloon dissector |
BR112022016153A2 (pt) * | 2020-02-18 | 2022-10-04 | Seabas Entpr Pty Ltd | Dipositivo de proteção para uso durante cirurgia |
CN111407430A (zh) * | 2020-03-27 | 2020-07-14 | 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总医院 | 一种抗感染的扩张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1120A (ja) * | 1991-07-29 | 1993-02-09 | Olympus Optical Co Ltd | 把持鉗子 |
JPH07100144A (ja) * | 1993-10-12 | 1995-04-18 | Olympus Optical Co Ltd | レーザー治療装置 |
US5411475A (en) * | 1991-10-24 | 1995-05-02 |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 Directly visualized method for deploying a detachable balloon at a target site in vivo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13461A (en) * | 1977-09-15 | 1980-07-22 | Pevsner Paul H | Miniature balloon catheter |
US4327734A (en) * | 1979-01-24 | 1982-05-04 | White Jr Robert I | Therapeutic method of use for miniature detachable balloon catheter |
US4509523A (en) * | 1981-07-22 | 1985-04-09 | Pevsner Paul H | Method of using miniature balloon catheter for perfusing |
US4441495A (en) * | 1982-08-16 | 1984-04-10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Detachable balloon catheter device and method of use |
FR2546069B1 (fr) * | 1983-05-20 | 1985-08-30 | Centre Nat Rech Scient | Catheter a ballonnet gonflable et larguable |
US4517979A (en) * | 1983-07-14 | 1985-05-21 | Cordis Corporation | Detachable balloon catheter |
US5359995A (en) * | 1991-02-04 | 1994-11-01 | Sewell Jr Frank | Method of using an inflatable laparoscopic retractor |
US5803901A (en) * | 1991-05-29 | 1998-09-08 | Origin Medsystems, Inc. | Inflatable devices for separating layers of tissue and methods of using |
US5632761A (en) * | 1991-05-29 | 1997-05-27 | Origin Medsystems, Inc. | Inflatable devices for separating layers of tissue, and methods of using |
US5344400A (en) * | 1992-04-06 | 1994-09-06 | Terumo Kabushiki Kaisha | Balloon catheters containing molded polyarylenesulfide material |
US5607441A (en) * | 1995-03-24 | 1997-03-04 | Ethicon Endo-Surgery, Inc. | Surgical dissector |
CN2302766Y (zh) * | 1997-01-15 | 1999-01-06 | 丛庆文 | 消化道早癌内镜粘膜切除器 |
US6293960B1 (en) * | 1998-05-22 | 2001-09-25 | Micrus Corporation | Catheter with shape memory polymer distal tip for deployment of therapeutic devices |
US6036697A (en) * | 1998-07-09 | 2000-03-14 | Scimed Life Systems, Inc. | Balloon catheter with balloon inflation at distal end of balloon |
US6312405B1 (en) * | 1999-02-02 | 2001-11-06 | American Medical Systems, Inc. | Self-sealing detachable balloon |
US6527741B1 (en) * | 1999-12-21 | 2003-03-04 |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 Angioplasty catheter system with adjustable balloon length |
JP2001192336A (ja) * | 2000-01-11 | 2001-07-17 | Hironori Yamamoto | 高粘性物質を用いた内視鏡的粘膜切除術 |
-
2004
- 2004-04-30 TW TW093112253A patent/TW200507792A/zh unknown
- 2004-05-20 US US10/849,133 patent/US2005016543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5-20 KR KR1020040036057A patent/KR1008204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5-21 EP EP04012099A patent/EP1479351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5-21 CN CNB2004100475261A patent/CN10038277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1120A (ja) * | 1991-07-29 | 1993-02-09 | Olympus Optical Co Ltd | 把持鉗子 |
US5411475A (en) * | 1991-10-24 | 1995-05-02 |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 Directly visualized method for deploying a detachable balloon at a target site in vivo |
JPH07100144A (ja) * | 1993-10-12 | 1995-04-18 | Olympus Optical Co Ltd | レーザー治療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62538A (ja) * | 2012-04-19 | 2020-04-23 | フラクティル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組織拡張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
JP7054400B2 (ja) | 2012-04-19 | 2022-04-13 | フラクティル ヘル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組織拡張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1032A (ko) | 2004-12-02 |
TW200507792A (en) | 2005-03-01 |
US20050165437A1 (en) | 2005-07-28 |
CN100382770C (zh) | 2008-04-23 |
EP1479351A3 (en) | 2005-02-02 |
CN1572258A (zh) | 2005-02-02 |
EP1479351A2 (en) | 2004-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0497B1 (ko) | 이엠알용 처치구 및 이엠알장치 | |
US20230414247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submucosal medical procedures | |
US8929988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submucosal implantation of a devic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 body | |
AU2007238753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endoscopic resection of tissue | |
ES2235173T3 (es) | Aparato para desarrollar un espacio anatomico para procedimientos laparoscopicos. | |
JP4422472B2 (ja) | 粘膜下層剥離処置具及びそのシステム | |
US20120071812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Submucosal Implantation of a Devic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with a Therapeutic Agent | |
JP2009183516A (ja) | Esd用処置具 | |
AU719712B2 (en) | Tissue separation cannula with dissection probe and method | |
WO2008030788A1 (en) | Hood member for use with an endscope | |
CA2649518A1 (en) | Suction dome for atraumatically grasping or manipulating tissue | |
JP4073965B2 (ja) | バルーン切開装置 | |
KR20130097793A (ko) | 신체 내의 조직의 상승을 위한 팽창 가능 및 조향 가능한 벌룬 | |
JP4536306B2 (ja) | 視覚化を向上させたバルーン切開装置 | |
JP2005007161A (ja) | Emr用処置具及びemr装置 | |
JP3737540B2 (ja) | トロカール外套管およびトロカール | |
JP2020175190A (ja) | ピンを含むバルーン付きトロカール | |
JP2000505672A (ja) | バルーン切開装置 | |
KR101742882B1 (ko) | 성대 미세 내시경 | |
CN113384346A (zh) | 一种腹腔镜保胆碎石取石用套管器 | |
JP2000005184A (ja) | 経皮的組織層剥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