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941B1 -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941B1
KR100818941B1 KR1020060083782A KR20060083782A KR100818941B1 KR 100818941 B1 KR100818941 B1 KR 100818941B1 KR 1020060083782 A KR1020060083782 A KR 1020060083782A KR 20060083782 A KR20060083782 A KR 20060083782A KR 100818941 B1 KR100818941 B1 KR 100818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se station
location
cover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364A (ko
Inventor
문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8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9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2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통하여 운송 수단이 위치한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상기 운송 수단의 노선 정보를 추출하고, 현재 시간 및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에 진입한 진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 정보 내의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대응되는 커버리지를 저장한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 번호에 대응되는 노선 정보를 저장한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운송 수단이 위치한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리지 내의 상기 운송 수단의 운송 수단 번호에 대응되는 노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현재 시간 및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진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노선 정보로부터 상기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송 수단, 위치, 위치 기반 서비스(LBS), 기지국, 커버리지

Description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운송 수단
120: 기지국
130: 위치 정보 제공 서버
140: 사용자 단말기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운송 수단이 위치한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상기 운송 수단의 노선 정보를 추출하고, 현재 시간 및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 정보 내의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편리함이 입증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여 이동통신사에서는 휴대 단말기로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디지털카메라, MP3 PLAYER, 캠코더 등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기기를 이용할 필요없이 휴대 단말기 하나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운송 수단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운송 수단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LBS를 이용하여 운송 수단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LBS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로서, 셀 단위로 설치된 기지국을 이용하여 운송 수단 내의 휴대 단말기가 교신하는 기지국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의 위치를 운송 수단의 현재 위치로 확인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기지국은 셀 단위로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셀이 포함하는 범위는 광범위하기 때문에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범위 내에 위치한 모든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는 모두 기지국의 위치로 확인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확한 운송 수단 위치를 휴대 단말기의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장착하여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GPS 수신기와 GPS 수신기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휴대 단말기에 별도로 설치해야 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GPS 수신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운송 수단의 정확한 현재 위치를 휴대 단말기의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운송 수단이 위치한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상기 운송 수단의 노선 정보를 추출하고, 현재 시간 및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 정보 내의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정확한 운송 수단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서버는 운송 수단이 통과한 인접 기지국에서의 이동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운송 수단이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운송 수단이 해당 노선 내의 어느 위치인지 결정함으로써, 별도의 GPS 수신기를 장착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정확한 운송 수단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위치 및 운송 수단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운송 수단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로 접근하는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운송 수단의 위치를 손쉽게 알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서버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정확한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데 따른 일정 금액을 과금하도록 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대응되는 커버리지를 저장한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 번호 에 대응되는 노선 정보를 저장한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운송 수단이 위치한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리지 내의 상기 운송 수단의 운송 수단 번호에 대응되는 노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현재 시간 및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진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노선 정보로부터 상기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대응되는 커버리지를 저장하는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 번호에 대응되는 노선 정보를 저장하는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운송 수단이 위치한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결정하는 기지국 식별부, 상기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리지 내의 상기 운송 수단의 운송 수단 번호에 대응되는 노선 정보를 추출하는 노선 추출부, 현재 시간 및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을 확인하는 시간 확인부, 및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진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노선 정보로부터 상기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운송 수단(110)는 선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버스, 셔틀 버스, 지하철, 모노레일 등의 운송 수단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 운동 수단에 따른 운송 수단 번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의 경우 버스 노선 번호, 지하철 또는 모노레일의 경우 호선 번호, 트럭, 택시, 자가용과 같은 일반 차량의 경우, 차량 번호가 상기 운송 수단 번호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수단(110)에 장착된 단말, 또는 운송 수단 운전자의 휴대 단말기 등에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식별 유니트가 설치되어 기지국으로 운송 수단의 위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에는 일반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식별 유니트가 운영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위치 식별 유니트에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운행 중인 운송 수단의 위치 식별 정보 또는 운송 수단 번호를 식별하기 위하여 등록된 단말 고유 정보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식별 정보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된 위치 기반 정보를 서비스 받기 위하여 이용되거나, 또는 운송 수단(110)의 이동 속도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 고유 정보는 운송 수단(110)에 장착된 단말, 또는 운송 수단 운전자의 휴대 단말기 등에 부여된 고유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기지국(120)은 이동전화단말기와 이동전화교환국(MTSO: 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 사이에 위치한 이동전화기지국(Mobile Base Station)으로서, 무선링크와 유선링크에 적합하도록 신호포맷을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보통 서비스 지역의 중앙 또는 주변부의 빌딩 옥상에 설치되며, 무선채널과 탑에 장착된 송수신용 안테나 등으로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와 비용이 소요되므로, 하나의 기지국이 포함할 수 있는 커버리지를 최대화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기지국(120)은 일정 반경 영역을 포함하는 셀 단위로 설치되며, 상기 일정 반경 영역을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20)은 운송 수단(110)의 위치 식별 유니트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단말 고유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 기지국(120)은 실시간으로 기지국 신호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로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위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단말 고유 정보를 상기 기지국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대응되는 커버리지를 저장한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기지국 신호를 전송한 해당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식별한다. 또한,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 번호에 대응되는 노선 정보를 저장한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 고유 정보가 나타내는 운송 수단 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리지 내의 노선 정보를 추출한다.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는 상기 기지국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 및 운송 수단(110)이 기지국(120)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현재 시간 및 상기 진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 정보로부터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현재 시간은 기지국(120)으로부터 상기 기지국 신호 수신 시 함께 수신하거나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에서 자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진입 시간은 운송 수단(110)이 기지국(120)의 커버리지 내에 진입할 때의 시점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는 운송 수단(110)이 통과한 인접 기지국에서의 이동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진입 시간으로부터 상기 현재 시간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커버리지에 포함되는 상기 노선 정보 내에서 상기 이동 거리가 얼마쯤인지 계산하여 운송 수단(110)이 해당 노선 내의 어느 위치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는 운송 수단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운송 수단이 위치한 기지국을 식별하여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상기 운송 수단의 노선 정보를 추출하고, 현재 시간 및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 정보 내의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정확한 운송 수단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40)는 휴대 단말기, PC 또는 웹서버일 수 있으며, 사 용자 위치와 운송 수단 번호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위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탑승하고자 하는 정류장과 연관된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운송 수단 번호는 탑승하고자 하는 운송 수단의 번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는 웹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운송 수단 번호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에 전달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40)로부터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운송 수단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운송 수단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로 접근하는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40)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상기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탑승하고자 하는 운송 수단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대응되는 커버리지를 저장하는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와,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 번호에 대응되는 노선 정보를 저장하는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202)와,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운송 수단이 위치한 기지국을 식별하고,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201)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결정하는 기지국 식별부(203)와,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리지 내의 상기 운송 수단의 운송 수단 번호에 대응되는 노선 정보를 추출하는 노선 추 출부(204)와, 현재 시간 및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을 확인하는 시간 확인부(205)와,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진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노선 정보로부터 상기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2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 기지국에서 머무는 시간은 현재 기지국에서 머무는 시간에 비례하고, 간격만 충분히 짧다면 바로 직전 운송 수단이 머문 시간과 현재 운송 수단이 머무는 시간은 비슷하다. 따라서, 위치 산출부(206)는 운송 수단(110)이 통과한 인접 기지국에서의 이동 속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진입 시간으로부터 상기 현재 시간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운송 수단(110)이 해당 노선 내의 어느 위치 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노선 정보 내의 상기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속도 정보는 상기 인접 기지국에서 운송 수단(110)의 이전 이동 속도의 측정값들의 평균이고, 상기 인접 기지국에서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해당 운송 수단 번호에 대한 가입자수와 핸드오프 빈도 수를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수단(110)의 이동 속도는 상기 위치 식별 정보를 기초로 현재 시간 관의 관계를 고려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운송 수단(110)의 이동 시에 상기 위치 식별 유니트가 설치된 단말 또는 운송 수단 내의 휴대 단말기 등이 다른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로 진입할 때, 기지국에서의 핸드오프 빈도가 적어지면 교통량이 많아 운송 수단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해당 운송 수단 번호에 대한 가입자의 운송 수단이 모두 관련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서 핸드오프 빈도가 적다면 운송 수단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것은 더욱 자명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가입자수와 핸드오프 빈도수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이동 속도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수단 중 일부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장착하고, GPS 수신기를 탑재한 운송 수단을 다양한 시간과 다양한 조건에서 기지국 사이를 움직이게 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이동 속도에 대한 평균을 구하여 일반 운송 수단들의 위치를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 수단이 통과한 인접 기지국에서의 이동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운송 수단이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운송 수단이 해당 노선 내의 어느 위치인지 결정함으로써, 별도의 GPS 수신기를 장착하지 않고도 정확한 운송 수단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40)로부터 사용자 위치 및 운송 수단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운송 수단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로 접근하는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40)로 전송하는 단말기 통신부(207)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301)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대응하 는 커버리지를 저장한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와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 번호에 대응되는 노선 정보를 유지하는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를 유지한다. 상기 커버리지는 일정 반경 영역 내에서만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운송 수단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커버(cover)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운송 수단에 대해서만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커버리지 밖의 영역에서는 다른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운송 수단이 운행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선 정보는 운송 수단이 운행하는 일정 경로를 가지는 노선의 정보로서, 하나의 운송 수단 번호를 가지는 운송 수단은 미리 정해진 하나의 노선으로만 운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운송 수단 번호를 안다면 그 운송 수단이 운행하는 노선을 알 수 있다.
단계(S302)에서 운송 수단(110)은 위치 식별 정보 또는 단말 고유 정보를 기지국(120)을 통해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 고유 정보는 운송 수단 번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고,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에 등록될 수 있다. 기지국(120)은 기지국 식별 번호 및 현재 시간도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식별 번호는 기지국(120)에 미리 부여된 식별자일 수 있으며,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단계(S303) 및 단계(S304)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운송 수단(110)으로부터 상기 위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단말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 기지국 정보 데이터베이스(201)와 노선 정보 데이터베이스(202)를 참조하여 기지국의 커버리지 와 상기 커버리지 내의 노선 정보를 식별한다.
단계(S305)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현재 시간 및 운송 수단(110)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을 확인한다. 이때,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운송 수단(110)이 통과한 인접 기지국에서의 이동 속도 정보를 수신하는데, 인접 기지국에서 머무는 시간은 현재 기지국에서 머무는 시간에 비례하기 때문에 인접 기지국에서의 이동 속도를 안다면 현재 기지국에서의 이동 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상기 이동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운송 수단(110)이 해당 노선 내의 어느 위치 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306)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상기 이동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진입 시간으로부터 상기 현재 시간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운송 수단(110)이 해당 노선 내의 어느 위치 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노선 정보 내의 상기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인접 기지국에서의 이동 속도 정보가 60km/h이면 현재 기지국에서의 이동 속도 정보를 60km/h로 예측하고, 현재 기지국의 진입 시간이 "4:30 pm"이고, 현재 시간이 "5:00 pm"인 경우, 상기 이동 거리는 30km로 산출되어 상기 진입 시점의 위치로부터 노선을 따라 30km를 이동한 지점이 상기 운송 수단 위치 정보로 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부호(40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운송 수단(110)의 대략적인 위치(원형)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운송 수단(110)의 대략적인 위치는 기지국(120)의 위치이다.
도면부호(40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기지국(120) 내에서 운송 수단(110)의 노선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 수단(110)이 위치할 범위(실선)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운송 수단(110)은 일정한 노선을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운송 수단(110)의 위치는 해당 노선에 한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40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인접 기지국의 이동 속도 정보를 현재 기지국의 이동 속도 정보로 예측하고, 기지국 진입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운송 수단(110)이 해당 노선 내의 어느 위치(점으로 표기한 곳) 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501)에서 사용자 단말기(140)는 사용자 위치 및 운송 수단 번호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위치 기반 서비스 또는 GPS 수신기를 통해 산출되어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40)는 휴대 단말기, PC 또는 웹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웹서버는 운송 수단의 위치를 알려주는 서버일 수 있다.
단계(S502)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운송 수단 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는 상기 사용자 위치로 접근하는 해당 운송 수단의 현재 위치 정 보와 상기 사용자 위치로 운송 수단이 도착할 도착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03)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는 상기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단계(S504)에서 사용자 단말기(140)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상기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40)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산출된 위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가 일정 지도 등에 표시되는 방법으로 서비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운송 수단이 도착할 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수단 회사가 PC를 이용하여 자사의 운송 수단이 현재 노선 중 어느 위치에 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 (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서버에 의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하여 운송 수단이 위치한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상기 운송 수단의 노선 정보를 추출하고, 현재 시간 및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 정보 내의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정확한 운송 수단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서버에 의하면, 운송 수단이 통과한 인접 기지국에서의 이동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운송 수단이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으로부터 현재 시간까지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운송 수단이 해당 노선 내의 어느 위치인지 결정함으로써, 별도의 GPS 수신기를 장착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정확한 운송 수단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서버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위치 및 운송 수단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및 상기 운송 수단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로 접근하는 해당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운송 수단의 위치를 손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서버에 의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정확한 운송 수단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데 따른 일정 금액을 과금하도록 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Claims (11)

  1. 운송 수단과 연관된 위치 식별 유니트로부터, 제1 기간에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인접하며 상기 제1 기간 직전의 제2 기간에 정보를 수신하던 인접기지국을 식별하는 단계;
    정해진 노선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인접기지국이 갖는 커버리지를 통과 함에 따라 결정되는 제2 이동 속도에 관한 이동 속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동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송 수단의 현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1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갖는 커버리지 내 노선을 주행하는 상기 운송 수단의 현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운송 수단에 대한 이동 속도 측정값들의 평균, 가입자수, 또는 핸드오프 빈도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운송 수단의 현위치를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이 갖는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진입 시간 이후 현재 시간까지의 경과된 시간과, 상기 결정된 제1 이동 속도를 곱하여, 이동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갖는 커버리지 내 노선상에서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연산된 이동한 거리를 주행 함에 따른, 상기 운송 수단의 현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위치 및 운송 수단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운송 수단 번호와 관련된 노선을 주행하는 운송 수단 중에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위치와 근접하는 상기 산출된 현위치의 운송 수단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추출된 운송 수단과 관련하여 안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은,
    버스, 지하철, 모노레일 또는 일반 차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6. 운송 수단과 연관된 위치 식별 유니트로부터, 제1 기간에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인접하며 상기 제1 기간 직전의 제2 기간에 정보를 수신하던 인접기지국을 식별하는 기지국 식별부; 및
    정해진 노선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인접기지국이 갖는 커버리지를 통과 함에 따라 결정되는 제2 이동 속도에 관한 이동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동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송 수단의 현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제1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갖는 커버리지 내 노선을 주행하는 상기 운송 수단의 현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산출부는,
    상기 운송 수단에 대한 이동 속도 측정값들의 평균, 가입자수, 또는 핸드오프 빈도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기지국이 갖는 커버리지에 진입한 진입 시간을 확인하는 시간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산출부는,
    상기 확인된 진입 시간 이후 현재 시간까지의 경과된 시간과, 상기 결정된 제1 이동 속도를 곱하여, 이동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기지국이 갖는 커버리지 내 노선상에서 상기 운송 수단이 상기 연산된 이동한 거리를 주행 함에 따른, 상기 운송 수단의 현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위치 및 운송 수단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운송 수단 번호와 관련된 노선을 주행하는 운송 수단 중에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위치와 근접하는 상기 산출된 현위치의 운송 수단을 추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추출된 운송 수단과 관련하여 안내하는 단말기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은,
    버스, 지하철, 모노레일 또는 일반 차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
  10. 삭제
  11. 삭제
KR1020060083782A 2006-08-31 2006-08-31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0818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782A KR100818941B1 (ko) 2006-08-31 2006-08-31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782A KR100818941B1 (ko) 2006-08-31 2006-08-31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364A KR20080020364A (ko) 2008-03-05
KR100818941B1 true KR100818941B1 (ko) 2008-04-04

Family

ID=3939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782A KR100818941B1 (ko) 2006-08-31 2006-08-31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55B1 (ko) 2008-09-25 2013-02-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95792B (zh) * 2023-04-07 2023-06-23 深圳普罗空运有限公司 用于运输工具上的设备的混合通信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923A (ko) * 2000-03-09 2001-09-26 유주열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노선 차량의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923A (ko) * 2000-03-09 2001-09-26 유주열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노선 차량의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55B1 (ko) 2008-09-25 2013-02-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364A (ko)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415B2 (ja) 移動端末機の課金情報を用いた交通情報獲得方法
US8838301B2 (en) Train traffic advisor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1098276B (zh) 针对无线lan设备的基于位置的调谐服务的方法和系统
US200701266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parked cars
CN101996490A (zh) 基于手机数据无线网络的公交车到站时间查询预报系统
US20150310356A1 (en) Facility and infrastructure utilization
CN103295415A (zh) 基于双信标和双模通信的公交车定位方法
CN103201777B (zh) 用于估计局部交通流量的系统和方法
KR20140080012A (ko) 버스 정차순서를 반영한 버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377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displacement time of a mobile user terminal equipment
KR100818941B1 (ko)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JP6455141B2 (ja) プログラム、情報配信装置、移動体端末、および方法
CN109326135A (zh) 基于预警消息处理的智能化公共交通调度系统
KR101591451B1 (ko) 차량도착안내방법, 차량도착안내장치, 및 기록매체
CN103366597B (zh) 采用zigbee进行公交车与电子站牌信息交换的方法
KR20040039762A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안내 시스템 및 그운용방법
JP2003187396A (ja) 車載用端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交通情報利用システム
KR101641997B1 (ko) 이동통신 기지국 데이터를 활용한 지하철용 게이트 시스템
Mishra et al. A Novel and Cost Effective Approach to Public Vehicle Tracking System
CN103177571A (zh) 一种实时监控调度系统及实现方法
JP5713645B2 (ja) 車載器、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車両の位置推定方法
KR101218959B1 (ko)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
CN1823539B (zh) 利用移动终端的计费信息获取交通信息的方法
KR19980075401A (ko) 이동전화를 이용한 이동체 위치 관리시스템
JP6244620B2 (ja) プローブ情報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