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959B1 -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959B1
KR101218959B1 KR1020060091818A KR20060091818A KR101218959B1 KR 101218959 B1 KR101218959 B1 KR 101218959B1 KR 1020060091818 A KR1020060091818 A KR 1020060091818A KR 20060091818 A KR20060091818 A KR 20060091818A KR 101218959 B1 KR101218959 B1 KR 101218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terminal
jurisdiction
serv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6794A (ko
Inventor
진승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959B1/ko
Publication of KR20080026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송서버에 의하여 운송수단의 이동경로와 휴대단말기의 승하차 위치의 GPS 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승하차 위치정보와 운송수단의 관할영역 변경을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며, 운송수단이 수집한 운임을 관할영역별로 정산하는 과정의 구성을 특징 등으로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면서, 관할영역이 다른 도시 사이를 운행하는 대중운송 수단의 승차에 대한 운임을 정확하게 정산하고, 시스템의 가동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 문자서버, 운임, 모바일 신용카드

Description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TRANSPORTATION FEE CALCULATION SYSTEM WITH SERVICE AREA AND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의 운용방법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대중 운송ㅅ단 요금 정산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공위성 110 : 휴대단말기
120 : 운송수단 130 : 기지국
140 : 이동교환국 150 : 공중망
160 : 문자서버 170 : 제 1 운송서버
180 : 제 2 운송서버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중 운송수단이 관할 영역을 달리하 는 인접 영역으로 진입하고 운행하는 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특히, 승객의 이동 상태를 함께 검출하여 관할 영역을 달리하는 대중 운송수단의 운임을 정산하는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의 눈부신 발달은 휴대단말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키고 있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휴대단말기,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이동하는 정도로 우리의 생활을 크게 변모시켰다.
휴대단말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통신망의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종래의 전통적인 통신시스템에 의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중의 하나가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로, 이동 상태에서 유선 및 무선 통신을 통해 쉽고 빠르게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고나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위치를 확인 및 추적하고 교통 정보나 주변지역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거나 관광지 레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등에 이용된다.
또한, 지역 특산품이나 기념품 쇼핑, 현장 티켓팅 등 위치기반 모바일 커머스(Mobile commerce)나 물류관제(화물 및 차량 추적)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위치기반 서비스에는 위치추적기술이 사용되고, 위치추적기술은 네트워크 또는 망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추적(NETWORK-BASED POSITIONING) 방식과,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추적(HAND-SET BASED POSITIONING) 방식 및 이러한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하이브리드 위치추적(HYBRID POSITIONING) 방식이 있다.
휴대단말기를 기반으로 이용하는 위치추적 방식에는, GPS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TOA(TIME OF ARRIVAL) 방식과, 3 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휴대단말기에 신호를 보내고 회신되는 시간의 차이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시간차이를 거리의 개념으로 환산하고,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AFLT(Advanced Forward Link Triangulation),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등의 방식이 있다.
그러나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수신되는 신호와 반사되거나 산란되어 간접 수신되는 신호에 의한 간섭을 잡음보다 우선적으로 해결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의한 셀 반경에 의존하는 Cell ID, Enhanced Cell ID(Ex, CITA+RXLEV) 등의 방식이 있으며, 이러한 위치추적 방식은 셀 반경에 크게 의존 하므로, 도심 외곽 지역 및 음영 지역과 같이 셀 반경이 넓은 지역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있어서 과도한 오차를 발생 시키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정보의 세기가 가변적이므로 정확도가 충분하지 못하다.
이러한 이동통신 기술은,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상태를 감시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결재 기능을 구비하여 모바일 신용카드로 이용하도록 하는 전자결제 서비스가 있으며, 모네타(MONETA) 등과 같이 서비스 제공 업체에 따라 다르게 부르고 있다.
휴대단말기에는 위치확인 서비스를 위하여, GPS 수신 기능을 구비하고, 인공위성으로부터 방송되는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므로, 현재 위치에서의 위도, 경도, 해발, 시간 등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서울권 및 수도권의 각 버스 운수업체는 소속된 버스 운송수단의 운행위치 및 현황 등을 확인하고 관리할 목적으로 BIS(BUS INFORMATION SYSTEM) 서버를 운용한다.
또한, 운송업체는 이용요금을 운송거리 단위로 산정 부과하며, 일예로, 서울권 버스의 경우, 10 Km 거리 단위로 운임을 징수한다.
이러한 운송업체는 소속된 영역을 넘어 운행하는 경우, 해당 영역을 관리하는 기관으로부터 영업영역 침범에 대한 문제를 발생시키며, 또한, 일반 시민들은, 생활 거주지와 사업장의 위치가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일예로, 특정 지역에서 인접지역으로 운행하는 버스 운송수단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시민이 있으나, 인접지역에서는 도로 유지보수 및 관리 등을 이유로 해당 버스 운송수단의 진입을 막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시민의 큰 불편을 초래한다.
그러나 특정 지역을 근거지로 하는 운송업체와 인접지역을 관리하는 기관 사이에서, 해당 지역에서 승하차 하는 시민에 대한 운임을, 합의된 일정비율로 상호 정산하면 분쟁 가능성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관할 영역을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경우, 시민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유지하면서도, 승하차 하는 시민의 이동 상태를 검출하여 관리하므로, 상호 정산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중운송수단과 승객의 이동상태 및 승하차 정보를 수집 관리하므로, 관할 영역을 달리하는 운행에서 발생된 운임을 원활하게 정산하도록 하는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로 운임을 결제하고 GPS 정보를 수신하여 승차 및 하차 위치정보를 운송서버에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승차시 결제된 운임에 의하여 정해진 운행구간의 승차위치로부터 하차위치까지 운송하고 상기 운행구간의 이동경로 GPS 정보를 운송서버에 제공하는 운송수단; 휴대단말기와 운송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운송수단이 관할영역을 변경하는 경우와 휴대단말기가 운송수단에 승차하고 하차하는 경우에 문자서버를 제어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운송서버; 운송서버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운송수단에 승차와 하차하는 경우, 상기 운송수단이 관할영역을 변경하는 경우를 알려주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문자서버가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운송서버에 의하여 운송수단의 이동경로에 대한 GPS 정보를 수집하고 휴대단말기가 승차 체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로부터 GPS 정보를 수집하고 승차위치의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는 과정; 운송서버는 운송수단이 관할영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에 영역변경의 문자메시지로 통보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하차 체크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휴대단말기가 하차 체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GPS 정보를 수집하고 하차위치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며 관할영역별 운임을 정산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의 운용방법 순서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대중 운송ㅅ단 요금 정산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은, GPS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위성(100); GPS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운송수단 요금을 결제하는 휴대단말기(110); 지정된 구간을 운행하는 운송수단(120);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130); 통신경로를 스위칭으로 설정하는 이동교환국(140); 다른 통신망과의 경로를 제공하는 공중망(150); 문자메시지의 전송을 관리하는 문자서버(160); 운송수단과 휴대단말기의 운행 및 운임을 관리하는 제1 및 제2 운송서버(170, 18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인공위성(100)은, 지구 궤도상으로 이동하면서 지구상에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미 국방성이 관리하고 20,000 Km 상공의 지구궤도를 도는 24개의 GPS 인공위성으로 구성되며, 1.5 GHz 주파수 대역, 2400 내지 4800 bps의 낮은 전송속도로 궤도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인공위성(100)의 GPS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단말기(110)와 운송수단(120)은, 최소 3개의 인공위성(1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삼각측량법 등으로 분석하므로, 현재 위치에서의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해발(SEA LEVEL)에 의한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또 한 개의 인공위성(1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추가하여 함께 분석하여 시간정보를 파악한다.
운송수단(120)은 지정된 구간을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것으로, 도시에 의한 관할영역을 변경하면서 넘나들고, 운행도중에 정거장 마다 승객을 승차시키거나 하차시킨다.
이하, 승객은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110)로 대체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운송수단(120)은, 일예로, 특정 도시 또는 영역에 근거지를 두고, 해당 도시 또는 영역을 운행하고 있으나, 많은 휴대단말기(110)가 인근의 다른 도시 또는 지역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운행경로를 요청하는 등에 의하여 인접한 도시 또는 영역을 변경하면서 운송한다.
이때, 각 도시 또는 관할영역은, 도로를 개설하고 교통 표지판과 신호등을 설치하며 정기적인 유지 및 보수를 하는 등의 많은 비용을 투입하고, 도로는 성격상, 무거운 운송수단이 많이 이동하는 경우 파손 또는 마모가 발생한다.
또한 일예로, 해당 도시 또는 영역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운송업체로부터 영업구역 또는 영업영역의 침범에 대한 논란의 소지가 있습니다.
일실시 예로, 서울시의 경우, 인접 수도권 대중운송수단이 서울권으로 진입하여 관할영역을 변경하면서 운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논란을 차단하기 위하여, 근거지를 달리하는 운송수단이 관할영역을 변경하면서 운행에 의한 이익을 취하는 경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운임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정산의 필요가 있다.
또한, 인접 도시 간 또는 관할영역 간 교통수단을 확보하므로, 시민의 운송수단을 확보하여 편리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할영역이 다른 운송수단이 해당 관할 구역에 진입하여 운행하는 거리 계산 또는 수입된 운임을 승차 거리 단위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정상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이다.
이러한 운송수단(120)은 지정된 구간을 정기적으로 운행하면서 지정된 정거장 또는 역에 정차하여 휴대단말기(110)를 승차하거나 하차한다.
휴대단말기(110)는 모바일 신용카드 기능을 이용하여, 승차하는 경우에 승차 체크하고, 목적지의 정거장에서 하차 체크하면서 하차하므로, 이동 거리에 따른 운 임을 계산 및 지불한다.
일예로, 운송수단(120)이 제 1 관할구역에 근거지를 두는 경우, 제 1 운송서버(170)는, 운송수단(120)이 이동경로를 통하여 인공위성(100)으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 1 운송서버(170)에 제공하고, 이러한 제1 운송서버(170)는 운송수단(120)의 이동경로를 통하여 제공하는 GPS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므로, 어느 시점에 어느 지점을 통화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10)가 운송수단(120)에 승차하면서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승차 체크하는 경우, 휴대단말기(110)는 인공위성(100)으로부터 수신되어 분석된 GPS 위치정보를 무선송신하고, 이러한 정보는 기지국(130), 이동교환국(140), 공중망(150)을 통하여 제 1 운송서버(170)에 전송된다.
이와 동시에 운송수단(120)에서도 승차 체크된 휴대단말기(110)의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 정보를 무선 송신하므로, 기지국(130), 이동교환국(140), 공중망(150)을 통하여 제 1 운송서버(170)에 전송된다.
그러므로 제 1 운송서버(170)는, 운송수단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동시에 휴대단말기(110)의 승차 상태를 확인 및 추적한다.
또한 제1 운송서버(170)는 문자서버(160)를 제어하여, 휴대단말기(110)가 승차한 위치정보를 문자메시지로 휴대단말기에 통보하므로, 휴대단말기는 승차한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운송수단(120)이 관할영역을 벗어나 인접한 다른 관할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즉, 제 1 운송서버(170)에 의하여 운송수단이 관할영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인지하는 경우, 문자서버(160)를 제어하여 관할영역 변경을 알리는 내용의 메시지를 휴대단말기(110)에 SMS 서비스로 통보한다.
즉, 문자서버(160)는 제1 운송서버(170)의 제어에 의하여, 운송수단(120)이 관할영역을 변경하여 운행하고 있는 상태를 문자메시지로 작성하고, 공중망(150), 이동교환국(140), 기지국(130)을 통하여 휴대단말기에 통보한다.
이때 기지국(130)은 전국적으로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므로, 모든 운송수단의 관할영역을 서비스 영역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각 운송서버는 운송수단(120)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GPS 정보를 분석하므로, 관할영역으로부터 인접 관할영역으로 이동하는지,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10)가 승차 체크하는 경우에 함께 제공하는 GPS 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운송수단(120)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정보를 대비하므로, 운송수단(120)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정보의 오차를 줄인다.
다른 일예로, 운송서버는 운송수단(120)의 이동경로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운송수단(120)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이동교환국(140)으로부터 해당 기지국(130)의 위치정보를 함께 수신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이동경로를 분석할 수도 있다.
휴대단말기(110)가 운송수단(120)에 승차하여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하차 하면서 하차 체크를 하고, 하차위치에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를 제1 운송서버(170)에 제공한다.
이러한 제1 운송서버(170)는, 운임을 확인하는 동시에 문자서버를 제어하여, 휴대단말기(110)에 하차위치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통보하고, 하차지점에서의 휴대단말기(110)와 운송수단으로부터 각각 GPS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대비하고 분석하므로, 운송수단(120)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치정보의 오차를 줄인다.
운송수단(120)이 운행을 완료한 경우, 제1 운송서버(170)는, 각 도시 또는 관할영역별 운임을 휴대단말기가 승차하여 이동한 거리 단위로 계산하고, 인접한 관할영역에서 운행된 운임에 대하여서는, 상호 별도로 약정된 비율로 정산하여, 인접한 관할영역을 관리하는 제2 운송서버(180)에 제공한다.
이때, 휴대단말기(110)와 운송수단(120)은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을 위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BACK-GROUND로 자동 실행되므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종료할 수 없다.
그러므로 도시 또는 관할영역을 넘나들면서 운행하는 대중운송 수단의 운임에 대한 정산을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산출하는 장점이 있다.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중운송수단 요금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면, 운송서버에 의하여 운송수단의 이동경로와 휴대단말기의 승하차 위치의 GPS 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승하차 위치정보와 운송수단의 관할영역 변경을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며, 운송수단이 수집한 운임을 관할영역별로 정산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일실시예로,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운송서버(170)는 운송수단(120)이 지정된 운행구간 이동에 의하여 제공하는 GPS 위치정보를 수집하고(S100), 휴대단말기(110)가 승차 체크하는지를 확인한다(S110).
이때 휴대단말기(110)가 운송수단에 승차하면서 승차 체크하는 경우, 운송수단(120)으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동시에 휴대단말기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집한다(S120).
제 1 운송서버(170)는 문자서버(160)를 제어하여 승차위치에 대한 정보를 휴대단말기에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는 동시에 운송수단(120)의 GPS 위치정보 오차를 수정한다(S130).
이러한 제1 운송서버(170)는 운송수단(120)의 이동경로 GPS 정보를 분석하므로, 관할영역을 벗어나는지 확인하고(S140), 관할영역을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문자서버를 제어하여 관할영역 또는 도시의 경계가 변경되었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SMS로 통보한다(S150).
또한 휴대단말기(110)가 운송수단을 하차하면서 운임 계산을 위한 하차 체크 하였는지 확인하고(S160), 하차 체크한 것으로 확인되면, 운송수단(120)과 휴대단말기(110)로부터 각각의 GPS 위치정보를 수집한다(S170).
이와 같이 수집된 GPS 위치정보를 분석한 제 1 운송서버(170)는, 문자서버(160)를 제어하여 하차위치의 정보를 휴대단말기(110)에 문자메시지로 SMS 통보하는 동시에, 각 GPS 위치정보를 대비하여 운송수단(120)의 위치정보 오차를 수정한다(S180).
제 1 운송서버(170)는, 운송수단(120)이 지정된 운송구간의 운행을 모두 완료하면, 관할 영역과 인접 관할 영역, 즉 도시 단위로 휴대단말기(110)가 모바일 신용카드로 지불한 운임을 거리 단위로 정산하여 인접 관할 영역을 관리하는 제 2 운송서버(180)에 통보한다.
그러므로 운송수단이 인접 관할영역인 다른 도시를 경유하여 운행하는 경우, 인접 관할영역에서 발생하는 운임을 거리 단위로 정확하게 정산하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상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110)와 운송수단은 인공위성(100)으로부터 각각의 위치에 대한 GPS 위치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확인한다(ST200, ST210).
운송수단(120)은 지정된 구간을 정기적으로 운행하면서 소속된 운송서버(170 또는 180)에 이동경로에 대한 GPS 정보를 제공한다(ST220).
이러한 운송수단(120)에 휴대단말기(110)가 승차하는 경우,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운임을 계산하기 위한 승차체크를 하고(ST230), 승차위치에서의 휴대단말기가 제공하는 GPS 위치정보를 운송서버에서 수집한다(ST240).
운송서버는 문자서버(160)를 제어하여 승차위치에서의 위치정보를 휴대단말기(110)에 통보하도록 요청하고(ST250), 문자서버(160)는 문자메시지로 승차위치의 정보를 휴대단말기(110)에 SMS로 통보한다(ST260).
이때, 운송서버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집된 GPS 위치정보와 운송수단으로부터 수집된 GPS 위치정보를 대비 분석하여, 운송수단의 GPS 정보 오차를 수정한다.
즉, 휴대단말기(110)와 운송수단(120)이 각각 동일한 인공위성(100)으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있으나,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동일한 지점에서 수신된 GPS 위치정보를 다수 수집하여, 일예로, 평균값을 구하게 되면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운송서버는 운송수단의 GPS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관할영역, 즉 도시 경계를 변경하는지 확인하고(ST270), 관할영역이 변경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문자서버(160)를 제어하여 휴대단말기에 관할영역 또는 도시 경계를 변경하고 있다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ST280).
이러한 문자서버(160)는 관할 영역이 변경되었음을 문자메시지로 작성하여 휴대단말기(110)에 통보한다(ST290).
또한, 휴대단말기(110)가 운송수단(120)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도달한 경우, 하차를 하면서 거리에 따른 요금 또는 운임을 계산하기 위하여,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하차 체크를 하고(ST300), 이와 동시에 하차 위치에서의 GPS 위치정보를 운송서버에 제공한다(ST310).
운송서버는 문자서버(160)에 하차위치의 정보를 휴대단말기(110)에 전송하도록 요청하고(ST320), 문자서버(160)는 하차위치의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작성하여 SMS로 휴대단말기(110)에 통보한다(ST330).
운송수단이 지정된 정기노선 구간의 운행을 완료한 경우, 운송서버는 휴대단말기가 승차와 하차를 통하여 지불한 운임을, 승차 거리 및 관할영역 별로 분석하고, 각 관할영역과 합의된 비율로 정산하여, 해당 관할영역을 관리하는 운송서버에 통보한다(ST340).
그러므로 관할영역이 상이한 인접 도시 사이를 운행하는 대중운송 수단의 운임을 승차 거리에 의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로 정확하게 산출하고, 상호 합의된 비율로 정확하게 정산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관할영역이 다른 도시 사이를 정기노선으로 운행하는 대중운송 수단의 운임을 승차 거리 단위로 정확하게 분석하여 정산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대중운송 수단이 인접한 다른 도시 또는 다른 관할영영에서 운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운임을 정확하게 정산하므로,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 분쟁의 소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발전적 협의를 가능하게 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기반 서비스와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므로 시스템의 운용율 또는 가동률을 높이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로 운임을 결제하고 GPS 정보를 수신하여 승차 및 하차 위치정보를 운송서버에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의 승차시 결제된 운임에 의하여 정해진 운행구간의 승차위치로부터 하차위치까지 운송하고 상기 운행구간의 이동경로 GPS 정보를 운송서버에 제공하는 운송수단;
    상기 휴대단말기와 운송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운송수단이 관할영역을 변경하는 경우와 휴대단말기가 운송수단에 승차하고 하차하는 경우에 문자서버를 제어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운송서버;
    상기 운송서버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운송수단에 승차와 하차하는 경우, 상기 운송수단이 관할영역을 변경하는 경우를 알려주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문자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운송서버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운송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운송수단에 탑승한 관할구역별 주행거리를 연산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와 운송수단에 GPS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위성;
    상기 휴대단말기와 운송수단에 무선접속하여 GP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운송수단 승차와 하차 위치정보, 상기 운송수단의 관할영역 변경운송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상기 휴대단말기에 송신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와 운송수단의 GPS 정보를 설정된 경로에 의하여 운송서버에 전송하고, 문자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문자메시지를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이동교환국; 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서버는,
    상기 연산된 휴대단말기의 주행거리에 의하여 운임을 관할영역 별로 정산하여 관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신용카드 서비스로 승차 체크와 하차 체크하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 수신된 GPS 정보를 운송서버에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운송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6. 운송서버에 의하여 운송수단의 이동경로와 휴대단말기의 승하차 위치의 GPS 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승하차 위치정보와 운송수단의 관할영역 변경을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며, 운송수단이 수집한 운임을 관할영역별로 정산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되,
    상기 운임은 상기 휴대단말기와 운송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운송수단에 탑승한 관할구역별 주행거리를 연산하여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운송 수단 요금정산 시스템의 운용방법.
  7. 운송서버에 의하여 운송수단의 이동경로에 대한 GPS 정보를 수집하고 휴대단말기가 승차 체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로부터 GPS 정보를 수집하고 승차위치의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는 과정;
    상기 운송서버는 운송수단이 관할영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에 영역변경의 문자메시지로 통보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하차 체크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휴대단말기가 하차 체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GPS 정보를 수집하고 하차위치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며 관할영역별 운임을 정산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운임을 정산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와 운송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운송수단에 탑승한 관할구역별 주행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중운송 수단 요금정산 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과정은,
    상기 운송서버에 의하여 운송수단의 이동경로에 대한 GPS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과정;
    상기 운송수단에 휴대단말기가 승차 체크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승차 체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승차위치의 GPS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승차위치의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상기 휴대단말기에 통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운송 수단 요금정산 시스템의 운용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승차위치에서 수집된 GPS 정보는, 상기 운송수단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서 수집된 GPS 정보와 대비하여 운송수단의 GPS 정보 오차를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운송 수단 요금정산 시스템의 운용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은,
    상기 서버에 의하여 운송수단의 GPS 정보를 분석하고, 관할구역을 변경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운송수단이 관할구역을 변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에 문자메시지로 관할영역 변경을 통보하는 과정;
    상기 휴대단말기가 운송수단으로부터 하차 체크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운송 수단 요금정산 시스템의 운용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과정은,
    상기 서버에 의하여 휴대단말기가 하차 체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하차 위치에서의 GPS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휴대단말기가 하차 체크한 위치정보를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는 과정;
    상기 운송수단이 휴대단말기의 승하차에 의하여 수집한 운임을 관할영역별 설정된 비율로 정산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중운송 수단 요금정산 시스템의 운용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하차위치에서 수집된 GPS 정보는, 상기 운송수단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서 수집된 GPS 정보와 대비하여 운송수단의 GPS 정보 오차를 정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운송 수단 요금정산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60091818A 2006-09-21 2006-09-21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1218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818A KR101218959B1 (ko) 2006-09-21 2006-09-21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818A KR101218959B1 (ko) 2006-09-21 2006-09-21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794A KR20080026794A (ko) 2008-03-26
KR101218959B1 true KR101218959B1 (ko) 2013-01-18

Family

ID=3941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818A KR101218959B1 (ko) 2006-09-21 2006-09-21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948A (ko) * 2013-04-25 2014-1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승하차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510A (ko) * 2001-05-02 2002-11-0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택시 요금 산출 및 택시 호출방법
JP2005100023A (ja) * 2003-09-24 2005-04-14 Nec Corp 交通費管理システムおよび交通費管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060033661A (ko) * 2004-10-15 2006-04-19 주식회사 팬택 버스 이용시 gps 방식을 이용한 요금 정보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39695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안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510A (ko) * 2001-05-02 2002-11-0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택시 요금 산출 및 택시 호출방법
JP2005100023A (ja) * 2003-09-24 2005-04-14 Nec Corp 交通費管理システムおよび交通費管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060033661A (ko) * 2004-10-15 2006-04-19 주식회사 팬택 버스 이용시 gps 방식을 이용한 요금 정보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39695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안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794A (ko) 200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9725A1 (en) Vehicle traffic and vehicle related transaction control system
CA2561136C (en) Electronic toll system for traffic routes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20100201505A1 (en) Occupancy Declaration/Verification For Passenger Transport Conveyances
CN100533504C (zh) 高智能实时交通管理的装置及方法
CN201918011U (zh) 一种出租车载客策略生成系统和设备
KR101246370B1 (ko) 버스 정류장의 정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1389A (ko) 지능형 택시 정보 시스템
EP1517271A1 (en) A method of collecting toll fees for vehicles using toll routes
KR19980068114A (ko) 이동전화를 이용한 종합 교통정보 관리시스템
KR20230037277A (ko)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CN109326135A (zh) 基于预警消息处理的智能化公共交通调度系统
KR100879598B1 (ko) 휴대인터넷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218959B1 (ko)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040039762A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안내 시스템 및 그운용방법
Annur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JP4482577B2 (ja) 配車タクシー管理システム、配車タクシー管理サーバおよび配車タクシー管理方法ならびにユーザ端末装置
KR100818941B1 (ko)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641997B1 (ko) 이동통신 기지국 데이터를 활용한 지하철용 게이트 시스템
EP1519322A2 (en) Payment system and method
Chavez et al. Ride express: An online seat reservation and vehicle location tracker with estimated time of arrival
US20210295630A1 (en) Check-in/be-out (cibo) and be-in/be-out (bibo) using mesh networks
Ramadan et al. An Overview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n India
KR102106938B1 (ko) Lps를 이용한 스마트 톨링 시스템
KR20230037276A (ko)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JP2004295715A (ja) 乗車列車同定サーバ及び乗車列車同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