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277A -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277A
KR20230037277A KR1020210120414A KR20210120414A KR20230037277A KR 20230037277 A KR20230037277 A KR 20230037277A KR 1020210120414 A KR1020210120414 A KR 1020210120414A KR 20210120414 A KR20210120414 A KR 20210120414A KR 20230037277 A KR20230037277 A KR 20230037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gestion
time
site
route
work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운
장준기
백세종
길민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투텍
Priority to KR1020210120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277A/ko
Publication of KR2023003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현장내 운송차량 운행관리시스템은 GPS 위성 또는 비콘; 상기 GPS위성, 또는 상기 비콘, 또는 상기 GPS위성 및 상기 비콘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상기 운송차량이 운행하는 현장 및 현장 내의 작업구역을 지오펜스로 설정하는 지오펜스설정부, 상기 지오펜스로 형성된 작업구역들을 노드로 보고 각 노드들간을 연결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운행경로설정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운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운송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운행정보수집부, 상기 현장을 상기 작업구역의 혼잡도인 제1혼잡도와 상기 운행경로의 혼잡도인 제2혼잡도를 포함하는 혼잡도를 판단하는 혼잡도판단부, 및 상기 혼잡도에서 예상소요시간을 환산하여 가장 작은 예상소요시간이 소요되는 최적경로를 제시하는 경로제시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Smart management system in site for transport vehicle}
본 발명은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등에서 운송차량의 효율적인 동선을 제시하는 스마트 운성차량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축 폐기물, 잔토등을 매립지나 폐기물 처리장으로 운송하거나, 토목 및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축자재, 사토등를 상차지에서 하차지까지 운송하기 위해서 덤프나 트럭 등 많은 운송차량이 사용되고 있다.
건설 토목 현장에서 발생되는 이러한 공사 또는 건축관련 자재를 운송하는 운송차량은 운행시간에 비례하여 비용이 지급될 뿐만아니라 운송차량의 비정상적인 운행으로 운행시간이 길어지면 공사일정이 늦추어지는 비효율이 초래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운송차량의 운행경로를 지정해 줌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져 공사일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런데 건설, 토목등의 공사현장에는 일반적인 교통 오픈(open)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존재하지 않아서 정체나 적체를 피하여 차량의 운송차량등의 운행경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10-1669975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도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또는 토목 공사 현장에서 작업지의 혼잡도 및 도로의 혼잡도 환경에 따른 운송차량의 운행정보를 파악하여 배차하고 운행경로를 지정하여 효율적인 운송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및 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구역과 운행경로가 혼재해 있고, 공개된 오픈 API가 없는 현장에 운송차량의 운행경로 제시를 위한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및 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은,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GPS 위성 또는 운송차량이 운행하는 현장에 설치된 비콘;
상기 GPS위성, 또는 상기 비콘, 또는 상기 GPS위성 및 상기 비콘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송수신기 또는 블루투스 송수신기가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
상기 운송차량이 운행하는 현장 및 현장 내의 작업구역을 지오펜스로 설정하는 지오펜스설정부;
상기 지오펜스로 형성된 작업구역들을 노드로 보고 각 노드들간을 연결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운행경로설정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운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운송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운행정보수집부;
상기 현장을 상기 작업구역의 혼잡도인 제1혼잡도와 상기 운행경로의 혼잡도인 제2혼잡도를 포함하는 혼잡도를 판단하는 혼잡도판단부; 및
상기 혼잡도에서 현장에서의 예상소요시간을 환산하여 가장 작은 예상소요시간이 소요되는 최적경로를 제시하는 경로제시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예상소요시간은 하기 식 1로 구해지는 시간일 수 있다.
(식 1)
예상소요시간 = 제1혼잡도환산시간*가중치+제2혼잡도환산시간*(1-가중치)
(상기 제1혼잡도환산시간은 상기 각 작업구역에서의 상기 제1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작업시간의 합이고, 상기 제2혼잡도환산시간은 상기 각 운행경로에서 상기 제2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운행시간의 합이고, 가중치는 현장의 지리적, 물리적, 시간적여건을 고려되는 값이다.)
이 때, 상기 가중치는 0에서 1까지의 값으로서, 작업구역의 진출입로 확보여부, 현장관리 인력의 수, 동원된 장비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오펜스설정부는 상기 작업구역을 상차지, 하차지, 및 계근지를 포함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오펜스설정부는 상기 작업구역을 실시간으로 운송차량이 군집화되는 기준으로 정해지는 군집지를 더 포함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행정보수집부는 상기 현장에 출입하는 운송차량을 모니터하는 현장모니터부, 상기 작업구역에 출입하는 운송차량을 모니터하는 작업구역모니터부, 상기 운행경로를 모니터하는 운행경로모니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은 현장내 출입하는 모든 운행차량에 대한 운행정보를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현장구역별, 운행경로별, 이상징후별로 차량수, 운행시간, 속도,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혼잡도판단부는 상기 각 작업구역을 구분하여 정해진 상기 작업구역 내 정해진 차량수 대비 실시간 차량수의 비율을 포함하여 제1혼잡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정해진 차량수는 상기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혼잡도판단부는 운행경로 내 차량 평균 운행시간 대비 실시간 운행시간의 비율을 포함하여 제2혼잡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운행시간은 상기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받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관리 방법은 운송차량이 운행하는 현장 및 현장내의 작업구역을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제1단계;
상기 지오펜스가 설정된 현장, 작업구역, 및 상기 작업구역을 연결하는 운행경로를 운행하는 운송차량으로부터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제2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작업구역의 혼잡도인 제1혼잡도 및 상기 운행경로의 혼잡도인 제2혼잡도를 판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혼잡도 및 상기 제2혼잡도를 포함하는 혼잡도에 따라 상기 운송차량의 최적경로를 제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혼잡도는 상기 작업구역의 실시간 차량수를 정해진 차량수의 비율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2혼잡도는 상기 운행경로 내 차량 평균 운행시간 대비 실시간 운행시간의 비율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적경로는 하기 식 1에 따른 예상소요시간이 최소로 정해지는 경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예상소요시간 = 제1혼잡도환산시간*가중치+제2혼잡도환산시간*(1-가중치)
(상기 제1혼잡도환산시간은 상기 각 작업구역에서의 상기 제1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시간의 합이고, 상기 제2혼잡도환산시간은 상기 각 운행경로에서 상기 제2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시간의 합이고, 가중치는 현장의 지리적, 물리적, 시간적여건을 고려되는 값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은 운송차량의 운행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작업구역 내 차량대수와 운행경로상의 소요시간으로 혼잡도를 파악하여 운송차량의 동선을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여 건축 또는 토목 공사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손실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 내 작업구역을 왕복하는 운송차량의 왕복 횟수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운송차량의 이탈, 타지 경유, 임의 반출 등을 통한 부당청구, 불법 매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오펜스의 설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군집지가 설정되는 상태를 보이는 설명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작업구역을 노드로 하여 운행경로가 설정되는 상태를 보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정보수집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정보수집부에서 운행정보를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보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로제시부가 현장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선제시부가 제시하는 최적경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상징후분석부의 설명도.
본 명세서에서 1)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2)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4)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5)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6)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7) '~후, ~전, 이어서, 후속하여, 이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8)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9)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측면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10)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에 따르면,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관리시스템은, GPS위성(310) 및 비콘(320), 모바일 단말기(200), 관리서버(100), 및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310)은 GPS 서비스를 위하여 미국 공군이 관리하는 위성으로서, 편의상 GPS위성이라고 기재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에 사용되는 위성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GLONASS위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GPS위성(310)은 운송차량의 위치정보, 즉 운송차량의 위도, 경도등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비콘(320)은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 장치로서, 블루투스를 이용하며 근거리 무선통신인 NFC보다 먼거리까지 작동할 수 있다. 비콘은 GPS위성을 보충하여 GPS음영 지역 또는 수신율이 저조할 때 운송차량에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보충적으로 활용된다.
비콘(320)은 BLE블루투스 4.0 이상의 저전력 하드웨어이고, 특정 UUID가 포함된 정보 패킷 송신용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UUID는 범용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모르는 개체들을 식별하고 구별하기 위해서 부여된 고유한 이름이다. UUID 표준에 따라 이름을 부여하면 고유성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는 없지만 실제 사용상에서 중복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인정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이로써 GPS위성(310)과 비콘(320)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GPS위성과 비콘을 이용하여 지오펜스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지오펜스(Geofence)는 지리(geograpy)와 울타리(fence)의 합성어로서 실제 지형에 구획된 가상의 반경의 의미로 사용되며, 가상의 경계나 구역을 만드는 기술로 활용되어, 단말기의 실시간위치, 출입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를 가진 단말기가 지오펜스 내로 진입하면 텍스트 메시지, 이메일, 앱 알림등 정해진 동작을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가 관리서버에 전달되면 관리서버는 단말기가 지오펜스 내에 머무는 시간, 구역 안으로 진입하는 위치, 밖으로 나가는 시각, 현재 위치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GPS위성, 및/또는 상기 비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송수신기 또는 블루투스 송수신기가 포함되며, 모바일 단말기는 차량에 고정되거나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차량에 운송차량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기사의 모바일 휴대폰이거나 차량 내의 IoT장비일 수 있다. 이로써, GPS위성(310)이나 비콘(32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를 후술할 관리서버에 전달하여 관리서버가 운송차량을 관리하게 한다.
도 2는 관리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에 따르면, 관리서버(100)는 지오펜스설정부(110), 운행경로설정부(120), 통신부(160), 운행정보수집부(130), 혼잡도판단부(140), 및 경로제시부(150)를 포함한다.
현장구획부(101)는 외부와 구별되는 현장과, 작업구역, 작업구역사이를 연결하는 경로를 구분하여 구획하는 것으로서, 지오펜스설정부(110)와 운행경로설정부(120)를 포함한다.
지오펜스설정부(110)는 현장 및 현장 내의 작업구역을 정하여 지오펜스를 설정한다. 도 3은 지오펜스가 설치된 현장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지도상의 현실위치를 바탕으로 가상의 현장에 지오펜스를 설정하고, 또한 현장 내부의 작업구역인 상차지, 하차지, 및 계근지등에도 별개의 지오펜스를 설정한다.
이 때 상차지는 현장자재를 운송차량에 싣는 구역이고, 하차지는 현장자재를 운송차량에서 부리는 구역이다. 또한 계근지는 계근대가 있는 지역으로서 운송차량의 현장자재의 중량을 측정하는 구역이다.
한편 작업구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장 내 미리 지정해 높은 상차지, 하차지, 계근지 이외에도 도 4와 같이 실시간으로 운송차량이 군집화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 때의 작업구역을 군집지로 하기로 하며, 이 때, 군집화알고리즘은 케이민스(k-means)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군집지를 작업구역으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작업구역을 세분화할 수 있어서 후술한 혼잡도 계산에 유리해 진다.
운행경로설정부(120)는 지오펜스로 형성된 작업구역들을 노드로 보고 각 노드들간을 연결하는 운행경로를 설정한다. 도 5는 노드를 설정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현장 내 각 작업구역들을 노드로 설정하고(1 내지 6), 각 노드들간을 연결하는 경로(A 내지 J)를 설정하였다.
이 때 경로들은 실제 도로를 반영하여 설정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혼잡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경우 새로운 도로를 신설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운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LTE네트워크통신, BLE 신등이 사용된다.
도 6은 운행정보수집부의 블록도이고, 도 7은 운행정보수집부에서 운행정보를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보이는 설명도이다. 이에 따르면, 운행정보수집부는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운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전달받고 가공 및 저장한다. 운행정보수집부(130)는 현장모니터부(131), 작업구역모니터부(133), 운행경로모니터부(135)를 포함한다.
현장모니터부(131)는 운송차량이 공사를 위해서 작업하고 운행하는 현장에 해당하는 지역에 설정된 지오펜스에 출입하는 운송차량을 모니터한다. 현장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작업구역과 운송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운행경로를 포함한다.
현장모니터부(131)는 지오펜스가 설치된 현장을 모니터하여 현장내 차량수, 현장내 운행시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현장 내외로 운송차량이 IN 및 OUT하는 것을 모니터링하고, OUT-IN 시간을 뺌으로써 현장내 운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작업구역모니터부(133)는 각 작업구역을 지오펜스로 설정하고, 작업구역 내의 운송차량을 모니터한다. 작업구역은 상차지, 하차지, 및 계근지를 포함한다. 이 때 상차지는 현장자재를 운송차량에 싣는 구역이고, 하차지는 현장자재를 운송차량에서 부리는 구역이다. 또한 계근지는 계근대가 있는 지역으로서 운송차량의 현장자재의 중량을 측정하는 구역이다.
작업구역모니터부(133)는 각 작업구역 내 차량수, 각 작업구역 내 체류시간을 얻을 수 있다. 즉, 작업구역 내외로 운송차량이 IN 및 OUT하는 것을 모니터링하고, OUT-IN 시간을 뺌으로써 작업구역내 차량수 및 체류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운행경로모니터부(135)는 지오펜스로 설정된 작업구역 간을 연결하는 각 운행경로상에 운행되는 운송차량의 운행상태를 모니터링한다. 각 운행경로별 운행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각 운행구간 별 운행시간, 속도, 거리를 포함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운행구간별 운행시간은 작업구역에서 작업구역으로 이동한 시간을 뺌으로써 얻을 수 있고, 구간별 거리는 GPS위치정보로 확보할 수 있다.
혼잡도판단부(140)는 운행정보수집부의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현장의 혼잡도를 판단한다. 혼잡도판단부(140)는 제1혼잡도판단부(141)와 제2혼잡도판단부(143)를 포함한다.
제1혼잡도판단부(141)는 현장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작업구역을 설정하고 각 작업구역별로 제1혼잡도를 판단하는데, 각 작업구역 내 정해진 차량수 대비 실시간 차량수에 대한 비율을 포함하여 고려한 제1혼잡도를 판단한다. 제1혼잡도는 작업구역이기 때문에 시간보다는 차량수에 보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 때, 정해진 차량수는 초기에는 수동으로 설정하고, 이후 누적 통계데이터가 갖추어지는 경우 구역 내 운행시간 대비 차량수를 분석하여 구역내 최적 차량수를 표출한다. 즉, 정해진 차량수는 운행통계데이터를 사용하고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받는다.
한편 제1혼잡도는 차량수 베이스의 혼잡도로서 정해진 차량수 대비 실시간 차량수에 대한 비율을 기초로 작업구역의 종류, 시간대, 날씨, 이상징후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요소를 고려하여 조정한 후 혼잡도를 판단한다.
즉, 제1혼잡도 = F1(정해진 차량수 대비 실시간 차량수의 비율, 작업구역의 종류, 시간대, 날씨, 이상징후)로 구해진다. 이 때의 조정비율은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에서 전달받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수의 비율이 1.1인 경우라도 작업구역이 상차지이고, 시간대로 오전이고, 기상이 나쁘며, 이상징후가 없는 경우 혼잡도의 비중을 조정하여 1.12로 조정하여 제1혼잡도를 도출한다.
또한 제1혼잡도를 판단할 때 제1혼잡도를 1이하인 경우, 1.5이하인 경우, 2이하인 경우 등으로 단계별로 부여할 수 있고, 이 때 각각 원활, 서행, 정체로 단계를 정하고 각 단계에 맞는 제1혼잡도를 부여할 수 있다.
제2혼잡도판단부(143)는 현장 내부에 작업구역들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운행경로를 설정하고 각 운행경로별로 제2혼잡도를 판단한다. 이 때, 제2혼잡도판단부는 운행경로 내 차량 평균 운행시간 대비 실시간 운행시간을 대비하여 혼잡도를 판단한다. 평균운행시간은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받아 사용한다.
제2혼잡도는 운행경로 내 차량 평균 운행시간 대비 실시간 운행시간의 비율을 기초로, 운행경로의 종류, 시간대, 날씨, 이상징후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요소를 조정하여 혼잡도를 판단한다.
즉, 제2혼잡도 = F2(운행경로 내 차량 평균 운행시간 대비 실시간 운행시간의 비율, 운행경로의 종류, 시간대, 날씨, 이상징후)로 구해진다. 이 때의 조정비율은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에서 전달받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경로 내 차량 평균 운행시간 대비 실시간 운행시간의 비율이 1인 경우라도 운경경로가 고속도로, 시간대가 오전, 날씨가 흐림, 이상징후가 없음인 경우 제2혼잡도가 조정될 수 있다.
제2혼잡도의 경우에도 제2혼잡도를 90%이내, 100%이내, 110%이내, 120%이내, 130%이내, 140%이내. 150%이내, 170%이내, 190%이내, 210%이내, 230%이내인 경우로 단계별로 부여할 수 있고, 이 때 각각각각 1, 2, 3, 4, 5, 6, 7, 8, 9, 10으로 단계를 정하고 각 단계에 맞는 제2혼잡도를 부여할 수 있다.
경로제시부(150)는 경로제시부는 배차부(151)와 노선제시부(153)를 포함한다. 배차부는 현장 내 최적 차량 수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현장배치를 한다. 도 8은 경로제시부가 현장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즉, 현장 내 전체 차량을 대수를 분석하여 차량 대수가 정해진 수보다 작은 경우 신규로 배차를 허용한다.
노선제시부(153)는 혼잡도판단부(140)에서 판단한 혼잡도가 낮거나 보통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최단거리 경로를 제시한다. 이 때, 최단거리 경로는 공지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혼잡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 최단거리 경로와 다를 수 있는 최적경로를 제시한다.
노선제시부(153)는 제1혼잡도가 낮은 작업구역과 제2혼잡도가 낮은 운행경로를 포함하는 경로를 제시하며, 결과적으로 가장 작은 예상소요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최적경로로 제시한다. 즉, 출발지에서 종착지까지 모든 작업구역과 모든 운행경로에서 걸리는 혼잡도를 고려하여 소요시간이 적게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경로를 제시한다.
이 때 예상소요시간은 혼잡도를 시간으로 환산하여 예상시간을 추정하는데, 제1혼잡도와 제2혼잡도를 전달받아 시간으로 환산하여 예상시간을 추정한다.
예상소요시간 = 제1혼잡도환산시간*가중치+제2혼잡도환산시간*(1-가중치)
제1혼잡도환산시간은 각 작업구역에서의 제1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작업시간의 합이고, 제2혼잡도환산시간은 각 운행경로에서 제2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운행시간의 합이다.
제1혼잡도환산시간 및 제2혼잡도환산시간은 예를 들면 전술한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작업구역 또는 운행경로에서 동일한 조건의 제1혼잡도 및 제2혼잡도일 때 소요된 시간들을 평균하여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가중치는 현장의 지리적 요건에 따라 정해지는 요소인데 작업구역의 진출입로 확보여부, 현장관리 인력의 수, 동원된 장비등 현장의 지리적, 물리적, 시간적여건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요소이다.
도 9는 노선제시부가 제시하는 최적경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에 따르면, 배차가 이루어진 자재를 싣지 않은 운송차량은 출발지->상차지-> 계근지 ->하차지-> 종착지의 순으로 운행하게 되며, 이 때 작업구역의 혼잡도인 제1혼잡도와 각 작업구역간 운행경로의 혼잡도인 제2혼잡도를 모두 고려하여 환산된 소요시간이 낮은 최적경로를 제시한다.
관리서버(100)는 이상징후분석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0은 이상징후분석부의 설명도이다. 이상징후분석부(170)는 현장의 실시간 운행정보, 사고정보, 통제정보, 기상정보, 지진정보를 전달받아 이상징후를 예측하고, 이를 통신부에 전달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푸시알림할 수 있다. 이 때, 사고정보나 통제정보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전달받고, 기상정보나 지진정보는 기상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400)는 현장내 출입하는 모든 운행차량에 대한 운행정보를 데이터화 한다. 즉,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현장구역별, 운행경로별, 이상징후별, 차량수, 운행시간, 속도,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이를 혼잡도 판단 및 경로제시를 위하여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관리방법은 제1단계, 제2단계, 제3단계, 및 제4단계를 포함한다.
제1단계는 운송차량이 운행하는 현장 및 현장내의 작업구역을 지오펜스를 설설정한다. 이 때 현장이란 공사구역등으로 설정된 큰 지역범위를 말하고, 작업구역이란 상차지, 하차지, 및 계근지등을 말한다.
따라서 현장 및 현장 내의 작업구역에 지오펜스를 설치한다는 것은 현장 및 작업구역별로 별개의 지오펜스를 설치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 때, 작업구역은 전술한 바 대로 임의의 군집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단계는 지오펜스가 설정된 현장 및 작업구역을 운행하는 운송차량으로부터 운행정보를 수집한다. 운송차량은 GPS 나 비콘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송신할 수 있으므로 관리서버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운송차량의 운행정보, 즉 지오펜스 내에 머무는 시간, 안으로 진입하는 위치, 밖으로 나가는 시각, 현재 위치등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오펜스가 설치된 작업구역 내의 차량수, 각 작업구역 내 체류시간을 얻을 수 있다.
제3단계는 상기 운행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현장의 혼잡도를 판단한다.
혼잡도는 작업구역내의 작업의 혼잡도를 판단하는 제1혼잡도를 바탕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1혼잡도는 작업구역의 실시간 차량수를 정해진 차량수와 대비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1혼잡도는 실시간 차량수에 의해서 정해진 비율, 상차지, 하차지, 계근지, 또는 군집지 중에 선택되는 작업구역의 종류, 매 1시간대별로 구별되는 시간대, 기상데이터, 이상징후 여부로 구분하여 판단한다.
또한, 운행경로상의 혼잡도를 판단하는 제2혼잡도를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제2혼잡도는 현장 내부에 작업구역들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운행경로를 설정하고 각 운행경로별로 판단하며, 운행경로 내 차량 평균 운행시간 대비 실시간 운행시간을 대비하여 혼잡도를 판단한다.
제2혼잡도는 운행경로 내 차량 평균 운행시간 대비 실시간 운행시간의 비율을 반드시 포함하고, 운행경로의 종류, 시간대, 날씨, 이상징후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요소를 고려하여 혼잡도를 판단한다.
이 때 제1혼잡도에 사용되는 정해진 차량수와 제2혼잡도에 사용되는 평균 운행시간은 현장내 출입하는 모든 운행차량에 대한 운행정보를 데이터화 한다. 즉,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현장구역별, 운행경로별, 이상징후별, 차량수, 운행시간, 속도,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통계화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단계는 상기 혼잡도가 낮을 경우 최단거리 경로를 제시하고, 상기 혼잡도가 높을 경우 최적경로를 제시한다. 최적경로는 제1혼잡도의 환산시간과 제2혼잡도의 환산시간을 계산하여 예상소요시간을 가장 작은 경로가 제시될 수 있다.
예상소요시간 = 제1혼잡도환산시간*가중치+제2혼잡도환산시간*(1-가중치)로 게산될 수 있다. 이때, 가중치는 0에서 1사이의 값으로서 작업구역의 진출입로 확보여부, 현장관리 인력의 수, 동원된 장비등 현장의 지리적, 물리적, 시간적여건등을 포함하여 결정된다.
제1혼잡도환산시간은 각 작업구역에서의 각 제1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작업시간의 합이고, 제2혼잡도환산시간은 각 운행경로에서 각 제2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운행시간의 합이다.
제1혼잡도환산시간 및 제2혼잡도환산시간은 예를 들면 전술한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작업구역 또는 운행경로에서 동일한 조건의 제1혼잡도 및 제2혼잡도일 때 소요된 시간들을 평균하여 계산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관리서버
110 : 지오펜스설정부
120 : 운행경로설정부
130 : 운행정보수집부
131 : 지오펜스설정부
131 : 현장모니터부
133 : 작업구역모니터부
135 : 운행경로모니터부
140 : 혼잡도판단부
141 : 제1혼잡도판단부
143 : 제2혼잡도판단부
150 : 경로제시부
151 : 배차부
153 : 노선제시부
200 : 모바일단말기
310 : GPS위성
320 : 비콘

Claims (15)

  1.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GPS 위성 또는 운송차량이 운행하는 현장에 설치된 비콘;
    상기 GPS위성, 또는 상기 비콘, 또는 상기 GPS위성 및 상기 비콘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송수신기 또는 블루투스 송수신기가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
    상기 운송차량이 운행하는 현장 및 현장 내의 작업구역을 지오펜스로 설정하는 지오펜스설정부;
    상기 지오펜스로 형성된 작업구역들을 노드로 보고 각 노드들간을 연결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운행경로설정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운송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운송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운행정보수집부;
    상기 현장을 상기 작업구역의 혼잡도인 제1혼잡도와 상기 운행경로의 혼잡도인 제2혼잡도를 포함하는 혼잡도를 판단하는 혼잡도판단부; 및
    상기 혼잡도에서 예상소요시간을 환산하여 가장 작은 예상소요시간이 소요되는 최적경로를 제시하는 경로제시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소요시간은 하기 식 1로 구해지는 시간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식 1)
    예상소요시간 = 제1혼잡도환산시간*가중치+제2혼잡도환산시간*(1-가중치)
    (상기 제1혼잡도환산시간은 상기 각 작업구역에서의 상기 제1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작업시간의 합이고, 상기 제2혼잡도환산시간은 상기 각 운행경로에서 상기 제2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운행시간의 합이고, 가중치는 현장의 지리적, 물리적, 시간적여건을 고려되는 값으로 0 내지 1이다.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작업구역의 진출입로 확보여부, 현장관리 인력의 수, 동원된 장비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펜스설정부는 상기 작업구역을 상차지, 하차지, 및 계근지를 포함하여 설정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펜스설정부는 상기 작업구역을 실시간으로 운송차량이 군집화되는 기준으로 정해지는 군집지를 더 포함하여 설정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수집부는 상기 현장에 출입하는 운송차량을 모니터하는 현장모니터부, 상기 작업구역에 출입하는 운송차량을 모니터하는 작업구역모니터부, 상기 운행경로를 모니터하는 운행경로모니터부를 포함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은 현장내 출입하는 모든 운행차량에 대한 운행정보를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날씨별, 현장구역별, 운행경로별, 이상징후별로 차량수, 운행시간, 속도,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혼잡도판단부는 상기 각 작업구역을 구분하여 정해진 상기 작업구역 내 정해진 차량수 대비 실시간 차량수의 비율을 포함하여 제1혼잡도를 정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차량수는 상기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받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혼잡도판단부는 운행경로 내 차량 평균 운행시간 대비 실시간 운행시간의 비율을 포함하여 제2혼잡도를 정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운행시간은 상기 운행통계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달받아 사용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12. 운송차량이 운행하는 현장 및 현장내의 작업구역을 지오펜스를 설정하는 제1단계;
    상기 지오펜스가 설정된 현장, 작업구역, 및 상기 작업구역을 연결하는 운행경로를 운행하는 운송차량으로부터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제2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작업구역의 혼잡도인 제1혼잡도 및 상기 운행경로의 혼잡도인 제2혼잡도를 판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혼잡도 및 상기 제2혼잡도를 포함하는 혼잡도에 따라 상기 운송차량의 최적경로를 제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혼잡도는 상기 작업구역의 실시간 차량수를 정해진 차량수의 비율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혼잡도는 상기 운행경로 내 차량 평균 운행시간 대비 실시간 운행시간의 비율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경로는 하기 식 1에 따른 예상소요시간이 최소로 정해지는 경로인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방법.
    (식 1)
    예상소요시간 = 제1혼잡도환산시간*가중치+제2혼잡도환산시간*(1-가중치)
    (상기 제1혼잡도환산시간은 상기 각 작업구역에서의 상기 제1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시간의 합이고, 상기 제2혼잡도환산시간은 상기 각 운행경로에서 상기 제2혼잡도 조건에서 소요되는 시간의 합이고, 가중치는 현장의 지리적, 물리적, 시간적여건을 고려되는 값으로 0 내지 1이다.)
KR1020210120414A 2021-09-09 2021-09-09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KR20230037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414A KR20230037277A (ko) 2021-09-09 2021-09-09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414A KR20230037277A (ko) 2021-09-09 2021-09-09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77A true KR20230037277A (ko) 2023-03-16

Family

ID=8598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414A KR20230037277A (ko) 2021-09-09 2021-09-09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72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8723A (zh) * 2023-08-10 2023-09-15 深圳市明心数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运输监测方法、系统及介质
CN117455339A (zh) * 2023-12-22 2024-01-26 长春理工大学 一种园区无人驾驶物流车的智能调度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975B1 (ko) 2016-02-22 2016-10-27 주식회사 비투텍 차량의 비정상 운행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975B1 (ko) 2016-02-22 2016-10-27 주식회사 비투텍 차량의 비정상 운행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8723A (zh) * 2023-08-10 2023-09-15 深圳市明心数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运输监测方法、系统及介质
CN117455339A (zh) * 2023-12-22 2024-01-26 长春理工大学 一种园区无人驾驶物流车的智能调度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299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among nodes for the internet of things, including autonomous vehicles, for optimizing operations of the nodes
CN110930747B (zh) 一种基于云计算技术的智能网联交通服务系统
US11012513B2 (en) Data-driven managed services built on top of networks of autonomous vehicles
US113628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al and adaptive urban scanning using self-organized fleets of autonomous vehicles
US106911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fleets of autonomous vehicles to optimize electric budget
CN101317168B (zh) 用于报告道路情况的方法和设备
US101227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traffic management in a network of moving things
Elkosantini et al. Intelligen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A review of architectures and enabling technologies
US7885758B2 (en) GPS-based traffic monitoring system
US7065446B2 (en) Real-time smart mobile device for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WO2018200438A1 (en) Fast discovery, service-driven, and context-based connectivity for networks of autonomous vehicles
US20220406184A1 (en) Proactive sensing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road infrastructure systems
KR20230037277A (ko)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CZ300497A3 (cs) Způsob a zařízení ke zajišťování dynamických dopravních informací
KR19980068114A (ko) 이동전화를 이용한 종합 교통정보 관리시스템
KR20230037276A (ko) 현장내 스마트 운송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KR20210063497A (ko) 자율주행차량의 운행 제어 방법
Christodoulou et al. Dynacargo routing subsystem and its algorithms for efficient urban waste collection
KR101218959B1 (ko) 대중운송 수단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운용방법
Sukuvaara et al. Wireless traffic service communication platform for cars
EP3962128A1 (en) Data network for controlling and speeding up an emergency response
Yang et al. Use of MOBITEX wireless wide area networks as a solution to land-based positioning and navigation
Bilke et al. Recognition of movable objects
Balke et al. Integrating Train Information for Advanced Transportation Management
McDonald et al. Delivering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Infrastructure and the Movement of Goods an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