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055B1 -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055B1
KR101237055B1 KR1020080094261A KR20080094261A KR101237055B1 KR 101237055 B1 KR101237055 B1 KR 101237055B1 KR 1020080094261 A KR1020080094261 A KR 1020080094261A KR 20080094261 A KR20080094261 A KR 20080094261A KR 101237055 B1 KR101237055 B1 KR 101237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underground space
time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993A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0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은, 지하공간 내에서 위치 이동하는 제 1 이동국, 제 1 이동국과 통신 연결하여 기지국 섹터 정보를 형성하는 기지국, 기지국 섹터 정보를 토대로 지하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여부, 또는 상기 지하공간에서의 위치이동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위치정보 제공서버 및 단말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제 1 이동국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2 이동국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철 내와 같은 지하공간에 위치추적 대상인 이동국이 진입하는지, 아니면 지하공간으로부터 진출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공간 내에 정지하여 위치하는지 등도 파악하여 위치추적을 요청하는 이동국에 안내할 수 있다.
지하철, 위치정보

Description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LOCATION INFORMATION IN UNDERGROUND SPACE}
본 발명은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에 기반하여 위치추적이 용이하지 않은 지하철 내와 같은 지하공간에 위치추적 대상의 이동국이 위치하는 경우, 이동국에 대한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 제공을 위한 위치측정 기술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셀 반경인 전파환경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네트워크 기반(network based) 방식과 이동단말기내에 장착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한 핸드셋 기반(handset based) 방식, 그리고 이들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혼합(hybrid) 방식으로 분류된다.
핸드셋 기반 방식으로는 A-GPS 방식과 E-OTD 방식이 있다.
A-GPS는 TDMA 무선접속방식을 사용하는 유럽의 GSM 기반망과 CDMA 무선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IS-95 기반망 기술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방식이다. CDMA 무선접속방식에서는 GPS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단말기와 CDMA망 내의 PDE 간에 IS-801-1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 때에 GPS 위성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4개 이상의 위성신호가 수신됨으로써 위치 결정이 매우 정확하다. A-GPS는 이동단말기에서 수신한 위성신호를 전송받아서 위치를 계산하는 PDE와 이동통신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 정보에 의한 계산을 가공 또는 다른 시스템으로 연계하는 위치정보센터(mobile positioning center, MPC)로 구성되어 있다.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방식은 TDMA 무선접속 규격을 사용하는 유럽의 TDMA 기반 GSM 방식의 GSM 표준위원회에서 LCS Release 98과 99를 통해 표준화되었다. 이동단말기가 3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대적인 도착시간과 거리의 차를 계산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E-OTD 방식은 OTD, RTD(real time difference), GTD(geometric time difference)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OTD 방식은 기지국에서 단말기까지의 두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도착시간을 계산하고, RTD 방식은 두 기지국에서 신호송신 시작시간의 차를 계산한다. 또한 GTD 방식은 기지국과 단말기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두 기지국의 거리차를 계산한다.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측정 기술은 이동단말과 서버와의 약속된 측위 프로토콜(IS-801-1:CDMA네트워크, RRLP:GSM 네트워크, RRC:W-CDMA네트워크)에 의해 단말에서 측정한 데이터(PPM, OTD등)를 측위서버에 전달하고, 그 단말 측정 데이터(PPM, OTD등)를 이용하여 측위서버에서 해당 이동단말의 위치측정 기능을 수행한다. 측위서버는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측정(GPS 위성을 이용한 위치측정 방식을 제 외한 서버 단에서 측위 요청한 단말의 위치를 측위하는 방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측위 서비스 요청한 대상에게(MPC, CP(Contents Provider) 혹은 서비스 요구한 단말) 전송한다.
이러한 네트워크2기반의 위치측정 기술은 기지국 반경 셀을 이용한 셀 ID 방식, 이동단말기에서 보내는 신호를 기지국에서 수신하면서 방향각(LOB: line of bearing)을 계산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AOA(angle of arrival) 방식, 3개 이상의 기지국간에서 발사한 전파의 도착시간으로 이동단말기에서 위치를 계산하는 TOA(time of arrival) 방식, 그리고 이동단말기에서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일롯(pilot) 신호의 도착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기지국간의 거리차를 계산하여 얻어진 2개의 쌍곡선(hyperbola)이 교차하는 지점을 이동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망에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현재는 위치 추적의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반대로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범위를 벗어나 있으면 위치 현재는 추적이 불가능하다.
또한 위치 측위 기술이 GPS 신호를 이용하는 A-GPS방식에서는 GPS 신호를 잡지 못하는 경우에는 위치 추적을 할 수 없게 된다.
더군다나, 지하철 내와 같은 지하공간에서는 상기에 언급된 종래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단말의 측위 기술로는 그 서비스 범위와 정확도 측면에서 부족한 면이 있고, 이로 인해 지하철 내에서의 위치검색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위치정보 제 공 서비스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망에 기반하여 위치추적이 용이하지 않은 지하철 내와 같은 지하공간에 위치추적 대상의 이동국이 위치하는 경우, 이동국에 대한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철 내와 같은 지하공간에 위치추적 대상의 이동국이 진입하는지, 아니면 지하공간으로부터 진출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안내할 뿐만 아니라, 지하공간에 정지하여 위치하는지도 파악하여 안내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방식으로 지하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녀의 안전을 걱정하는 보호자가 지상에서와 달리 지하철 내와 같은 지하공간에 자녀가 위치하는 경우, 정확한 자녀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여 자녀의 안전을 걱정할 수 있으므로, 지하공간에서도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은, 지하공간 내에서 위치 이동하는 제 1 이동국, 상기 제 1 이동국과 통신 연결하여 기지국 섹터 정보를 형성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지하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여부, 또는 상기 지하공간에서의 위치이동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위치정보 제공서버 및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 1 이동국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2 이동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는 지하철 노선 맵에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맵핑하여 상응하는 영역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역정보를 통해 상기 지하공간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이동국은 상기 제 1 이동국이거나, 상기 제 1 이동국과 다른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위치정보 제공 서버는, 제 1 이동국에 대한 기지국 섹터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제 1 이동국이 지하공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하공간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맵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상기 맵 정보에 맵핑하여 상응하는 영역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역정보를 통해 상기 지하공간의 위치를 설정하는 영역설정부,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1 이동국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속도 측정부,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이동속도를 반복 측정한 후, 반복 측정한 데이터 간을 비교하여 시간지연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지연 판별부, 상기 시간지연을 측정한 결과로 상기 제 1 이동국의 위치이동 여부, 또는 상기 지하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정보 형성부 및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제 2 이동국에 전달하기 위한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맵 정보는 지하철 노선 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속도 측정부는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RTD(Round Trip Deray)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간지연 판별부는 상기 시간간격이 제 1 시간, 제 2 시간 및 제 N 시간인 경우, 상기 제 1 시간 내지 상기 제 N 시간에 각각 상응하는 RTD(Round Trip Deray) 값을 비교하여 산출되는 값이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에 따라 상기 시간지연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 형성부는 상기 이동속도를 통해 상기 제 1 이동국이 정지 상태인지 또는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국이 상기 지하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 형성부는 상기 제 1 이동국이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간지연이 증가하면 상기 지하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1 이동국이 진출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 형성부는 상기 시간지연이 감소하면 상기 지하 공간에 상기 제 1 이동국이 진입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은, 제 1 이동국에 대한 기지국 섹터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수신 단계,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기 저장중인 맵 정보에 맵핑하여 상기 제 1 이동국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영역설정 단계,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1 이동국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속도 측정 단계,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이동속도를 반복 측정한 후, 반복 측정한 데이터 간을 비교하여 시간지연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지연 측정 단계, 상기 이동속도 및 상기 시간지연을 측정한 결과로 상기 제 1 이동국의 위치이동 여부, 또는 상기 지하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정보 형성 단계 및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제 2 이동국에 전달하기 위한 송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 형성 단계는 상기 이동속도가 정지 상태 또는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상기 제 1 이동국이 상기 지하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 형성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국이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간지연이 증가하면 상기 지하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1 이동국이 진출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 형성 단계는 상기 시간지연이 감소하면 상기 지하공간에 상기 제 1 이동국이 진입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에 기반하여 위치추적이 용이하지 않은 지하철 내와 같은 지하공간에 위치추적 대상의 이동국이 위치하는 경우에도 이동국에 대한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하철 내와 같은 지하공간에 위치추적 대상인 이동국이 진입하는지, 아니면 지하공간으로부터 진출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공간 내에 정지하여 위치하는지 등도 파악하여 위치추적을 요청하는 이동국에 안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은 지하철 내와 같은 지하공간(이하, '지하철'을 실시예로 하여 상술하고자 함)에서 위치 이동하는 제 1 이동국(100), 제 1 이동국(100)에 대한 위치추적 서비스 요청으로 인해 제 1 이동국(100)과 상응하는 기지국 섹터 정보를 형성하여 이동통신망에 제공하는 기지국(200), 기지국 섹터 정보를 제공받아 제 1 이동국(100)이 지하철 내로 진입하고 있는지 아니면 지하철 내에서 진출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거나, 지하철 내에 정지하여 위치하는지 아니면 지하철 내에서 천천히 이동하고 있는 지를 판별하여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한 후, 형성한 단말 위치정보를 제 1 이동국(100)에 대한 위치추적 서비스를 요청한 제 2 이동국(400)에 전달하는 위치정보 제공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이동국(400)은 위치추적 대상인 제 1 이동국(100)이거나, 제 1 이동국(100)이 아닌 다른 이동국인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제공서버(300)는 지하철 내에 제 1 이동국(100)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지하철 노선 맵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이동국(100)에 상응하는 기지국 섹터 정보를 이동통신망에 기반하여 제공받은 후, 기지국 섹터 정보를 기 저장중인 지하철 노선 맵에 맵핑하여 제 1 이동국(100)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정보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한 영역정보를 통해 지하철 노선 중 제 1 이동국(100)이 위치하는 곳을 특정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제공서버(300)인 위치정보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위치정보 제공 서버는 위치추적 대상인 제 1 이동국(100)에 대한 기지국 섹터 정보를 이동통신망에 기반하여 제공받기 위한 인터페이스(310), 제 1 이동국(100)이 지하철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이동국(100)이 지하철 노선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지하철 노선 맵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10), 제 1 이동국(100)에 상응하는 기지국 섹터 정보를 지하철 노선 맵에 맵핑하여 상응하는 영역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영역정보를 통해 제 1 이동국(100)에 대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영역설정부(330), 기지국 섹터 정보를 토대로 제 1 이동국(100)에 대한 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속도 측정부(340), 기 설정된 시 간 간격으로 이동속도를 반복 측정한 후, 반복 측정한 데이터 간을 비교하여 시간지연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지연 판별부(350), 시간지연을 측정한 결과로 제 1 이동국(100)의 위치이동 여부, 또는 지하철 내로 진입하는지 아니면 지하철 내로부터 진출하는지를 판별하여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정보 형성부(360), 및 단말 위치정보를 제 2 이동국(400)에 전달하기 위한 송출부(370)를 포함한다.
이동속도 측정부(340)는 기지국 섹터 정보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RTD(Round Trip Deray) 값을 이용하여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상세하게는 RTD(Round Trip Deray) 값을 거리로 환산한 후, 각 회수 간의 시간 차와 환산한 거리의 차를 이용한 연산으로 이동속도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시간지연 판별부(350)는 측정을 위해 기 설정된 시간간격이 제 1 시간, 제 2 시간 및 제 N 시간인 경우, 제 1 시간 내지 상기 제 N 시간에 각각 상응하는 RTD(Round Trip Deray) 값을 비교하여 산출되는 값이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에 따라 시간지연을 측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측정되는 이동속도 및 시간지연을 토대로, 위치정보 형성부(360)는 이동속도를 통해 정지 상태(예컨데, 이동속도가 '0km/h'인 경우)인지 또는 기 설정된 속도 이하(예컨데, 이동속도가 '30km/h' 이하 경우)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이와 같이 판별결과가 형성되면 제 1 이동국(100)이 지하철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
한편, 위치정보 형성부(360)는 이동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예컨데, 이동속도가 '30km/h'를 초과하는 경우), 반복 측정된 RTD(Round Trip Deray) 값을 비교하여 시간지연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지하철 내로부터 제 1 이동국(100)이 진출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한다.
또는, 반복 측정된 RTD(Round Trip Deray) 값을 비교하여 시간지연이 감소하는 것을 판별되면 지하철 내의 방향으로 제 1 이동국(100)이 진입하는 것으로 확인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은 제 2 이동국(400)의 위치정보 조회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제 1 이동국(100)에 대한 위치를 조회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이후로, 제 1 이동국(100)에 대한 기지국 섹터 정보를 제공받아 제 1 이동국(100)이 지하철 내에 전용으로 설치된 기지국(200)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 후, 지하철 내의 기지국(200)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하여 종래의 위치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한다(S104).
상기 S104 단계에서, 지하철 내의 기지국(200)에 위치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간격인 1초 간격으로 3회 제 1 이동국(100)에 대한 이동속도를 측정하고(S106), 제 1 이동국(100)의 이동속도가 정지 상태인지 아니면 기 설정된 속도인 30km/h 이내인지를 판별한다(S108).
상기 S108 단계에서, 제 1 이동국(100)의 이동속도가 정지 상태이거나, 30km/h 이내이면 지하철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하여 이를 근거로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S110).
한편, 상기 S108 단계에서, 제 1 이동국(100)의 이동속도가 30km/h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이동국(100)에 대한 전파 시간지연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게 되며(S112), 전파 시간지연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지하철 내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S114), 전파 시간지연을 거리로 산출한 정보와 기지국 정보 및 기지국(200)이 관할하는 섹터정보를 포함하여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한 후 제 2 이동국(400)에 제공한다(S116 내지 S120).
또한, 상기 S112 단계에서, 제 1 이동국(100)에 대한 전파 시간지연을 판별한 결과가 감소하는 경우, 지하철 내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제 1 이동국(100)이 위치 이동하는 것으로 판별하여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과정을 진행한다(S122).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 기반하여 위치추적이 용이하지 않은 지하철 내와 같은 지하공간에 위치추적 대상의 이동국이 위치하는 경우, 이동국에 대한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도,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 1 이동국 200 : 기지국
300 : 위치정보 제공서버 310 : 인터페이스
320 : 데이터베이스부 330 : 영역설정부
340 :이동속도 측정부 350 : 시간지연 판별부
360 : 위치정보 형성부 370 : 송출부
400 : 제 2 이동국

Claims (14)

  1. 지하공간 내에서 위치 이동하는 제 1 이동국;
    상기 제 1 이동국과 통신 연결하여 기지국 섹터 정보를 형성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1 이동국의 이동속도를 반복 측정하여 시간지연을 측정하고, 상기 이동속도 및 상기 시간지연을 측정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 1 이동국의 상기 지하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여부, 또는 상기 지하공간에서의 위치이동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지하공간에서의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위치정보 제공서버; 및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 1 이동국의 위치를 안내하는 제 2 이동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는
    지하철 노선 맵에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맵핑하여 상응하는 영역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역정보를 통해 상기 지하공간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국은
    상기 제 1 이동국이거나, 상기 제 1 이동국과 다른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 이동국에 대한 기지국 섹터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상기 제 1 이동국이 지하공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하공간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맵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상기 맵 정보에 맵핑하여 상응하는 영역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영역정보를 통해 상기 지하공간의 위치를 설정하는 영역설정부;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1 이동국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속도 측정부;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이동속도를 반복 측정한 후, 반복 측정한 데이터 간을 비교하여 시간지연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지연 판별부;
    상기 시간지연을 측정한 결과로 상기 제 1 이동국의 상기 지하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여부, 또는 상기 지하공간에서의 위치이동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지하공간에서의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정보 형성부; 및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제 2 이동국에 전달하기 위한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맵 정보는
    지하철 노선 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속도 측정부는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RTD(Round Trip Deray)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 판별부는
    상기 시간간격이 제 1 시간, 제 2 시간 및 제 N 시간인 경우, 상기 제 1 시간 내지 상기 제 N 시간에 각각 상응하는 RTD(Round Trip Deray) 값을 비교하여 산출되는 값이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에 따라 상기 시간지연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형성부는
    상기 이동속도를 통해 상기 제 1 이동국이 정지 상태인지 또는 기 설정된 속도 이하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국이 상기 지하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형성부는
    상기 제 1 이동국이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간지연이 증가하면 상기 지하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1 이동국이 진출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형성부는
    상기 시간지연이 감소하면 상기 지하공간에 상기 제 1 이동국이 진입하는 것 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버.
  11. 제 1 이동국에 대한 기지국 섹터 정보를 제공받는 정보수신 단계;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기 저장중인 맵 정보에 맵핑하여 상기 제 1 이동국이 위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영역설정 단계;
    상기 기지국 섹터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 1 이동국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이동속도 측정 단계;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상기 이동속도를 반복 측정한 후, 반복 측정한 데이터 간을 비교하여 시간지연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지연 측정 단계;
    상기 이동속도 및 상기 시간지연을 측정한 결과로 상기 제 1 이동국의 지하공간에 대한 진입 또는 진출 여부, 또는 상기 지하공간에서의 위치이동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지하공간에서의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정보 형성 단계; 및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제 2 이동국에 전달하기 위한 송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형성 단계는
    상기 이동속도가 정지 상태 또는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상기 제 1 이동국이 상기 지하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형성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국이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시간지연이 증가하면 상기 지하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1 이동국이 진출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형성 단계는
    상기 시간지연이 감소하면 상기 지하공간에 상기 제 1 이동국이 진입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KR1020080094261A 2008-09-25 2008-09-25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37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261A KR101237055B1 (ko) 2008-09-25 2008-09-25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261A KR101237055B1 (ko) 2008-09-25 2008-09-25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993A KR20100034993A (ko) 2010-04-02
KR101237055B1 true KR101237055B1 (ko) 2013-02-25

Family

ID=4221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261A KR101237055B1 (ko) 2008-09-25 2008-09-25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67B1 (ko) * 2010-12-31 2013-06-27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588177B1 (ko) * 2014-09-01 2016-0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상황 인지 기반의 상황 정보 추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287A (ko) * 2005-12-21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영지역의 위치 정보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18941B1 (ko) 2006-08-31 2008-04-0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287A (ko) * 2005-12-21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영지역의 위치 정보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18941B1 (ko) 2006-08-31 2008-04-0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운송 수단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993A (ko)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305B1 (ko) 이동국 위치 픽스를 유효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Yassin et al. A survey of positioning techniques and location based services in wireless networks
US84067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range of mobile device to wireless installation
US83698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ation of the posi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0518365C (zh) 提供定位服务可用性和可用定位服务之质量的指示
EP3295207B1 (en) Base station selection for positioning/localization based on an indication of capacity
EP1493040B1 (en) Locating mobile communication stations, methods and systems
US8825393B2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service and mobile terminal
US20150105103A1 (en) Methods nodes and computer program for positioning of a device
US20130237246A1 (en) Wireless signal model updating using determined distances
KR20120082446A (ko) 인도어 콘텍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686766B2 (en) Location positioning using M2M ecosystem
US20120021758A1 (en) Sensing relative position from a wireless transceiver
KR100790085B1 (ko) 수신신호 세기를 이용한 휴대인터넷 기반의 위치 측정 방법및 그 시스템
KR101237055B1 (ko) 지하공간 내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2277A (ko)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US201002380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EP3961263A1 (en) Proximity-based navigation method
KR101058098B1 (ko) 다른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그 위치정보의 신뢰도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 그리고 그 위치 측정 방법
KR101128456B1 (ko)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
KR101605393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위치 알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927511B1 (en) Loc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060066367A (ko) 혼성 항법시스템 및 상기 혼성 항법시스템에서 사용하는단말기의 위치결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