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456B1 -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456B1
KR101128456B1 KR1020110062813A KR20110062813A KR101128456B1 KR 101128456 B1 KR101128456 B1 KR 101128456B1 KR 1020110062813 A KR1020110062813 A KR 1020110062813A KR 20110062813 A KR20110062813 A KR 20110062813A KR 101128456 B1 KR101128456 B1 KR 10112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signal
information
gps
va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김형철
이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이정원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110062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10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 G01S19/12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wherein the cooperating elements are telecommunication bas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5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aiding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1Acquisition or tracking of other signals for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은, 위치 정보 수신부를 통하여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위성 정보를 포함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신호 및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AP(Access Point)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AP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정보 산출부를 통하여 GPS 정보 신호 및 AP 정보 신호가 기 설정된(Predetermined) 위치 정보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GPS 정보 신호 및 AP 정보 신호가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GPS 정보 신호 및 AP 정보 신호에 각각에 대한 위치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좌표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의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 {Location detector and method of detect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위치 측정 단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위치 측정 방법에 기초하여 단말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나 사물 등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장치에 제공되며, 위치 정보가 제공되는 자동차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에도 제공될 수 있다.
정확한 위치기반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전자 기기 단말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 AP(Access Point) 통신 및 기지국 통신에 기초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들의 장점들을 취하기 위하여 각각의 특성에 의하여 산출된 위치 좌표들을 보상적으로 사용하여 위치 측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위치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위치 측정 방법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LBS 를 제공받으며, 제공받는 서비스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 위치 측정 방법 및 위치 측정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단말은,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위성 정보를 포함하는 GPS 정보 신호 및 상기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AP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AP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및 상기 GPS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GPS 위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AP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GPS 위치 좌표, 상기 산출된 AP 위치 좌표 및 상기 산출된 GPS 위치 좌표와 상기 산출된 AP 위치 좌표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은 GPS 위치 정보 조건 및 AP 위치 정보 조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GPS 위치 정보 조건은 상기 GPS 정보 신호의 수신 감도 및, 수신 감도 이상의 GPS 정보 신호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위치 정보 조건은 상기 AP 위치 정보 신호의 수신 감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은, 위치 정보 수신부를 통하여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위성 정보를 포함하는 GPS 정보 신호 및 상기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AP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AP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정보 산출부를 통하여 상기 GPS 정보 신호 및 상기 AP 정보 신호가 기 설정된(Predetermined) 위치 정보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정보 신호 및 상기 AP 정보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GPS 정보 신호 및 상기 AP 정보 신호에 각각에 대한 위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 좌표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며 GPS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은 실시간으로 위치를 측정할 수 있어 위치 측정에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위치 측정 방법 및 위치 측정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단말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산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 판단 및 좌표 산출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위치 측정 방법 및 위치 측정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측정 단말(3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10a, 10b)으로부터 GPS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AP(Access Point) 로부터 AP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측정 단말은 GPS 위성(10a, 10b)으로부터 궤도 정보 및 의사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GPS 정보 신호를 수신하며, AP 로부터 AP의 ID,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위도/경도 좌표 및 실제 주소 포함하는 AP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은 음영 지역에서의 정확도 저하와 도심지역에서의 전파 반사로 인한 시간적 오차가 생길 수 있다는 점과 실내에서의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AP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은 위치 측정 단말(30)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접속되는 AP에 대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어 위치 측정 시간이 길어지고 수신 감도를 달리하여 다양한 구간에서 AP 신호를 수신하여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단말은 GPS 및 AP 를 이용하여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GPS 및 AP 정보 신호가 모두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셀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단말은 다양한 위치 측정 방법을 보완하며 사용하여 위치 측정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최종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Local Based Service)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결국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 속도 향상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단말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치 측정 단말(30a)은 위치 정보 수신부(310) 및 위치 정보 산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310)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 신호(GPSI)를 수신하고, AP로부터 AP 정보 신호(API)를 수신하며,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정보 신호(BSI)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 산출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GPS 정보 신호(GPSI)는 GPS 수신부(311), AP 정보 신호(API)는 AP 수신부(313), 및 기지국 정보 신호(BSI)는 기지국 정보 수신부(315)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GPS 정보 신호(GPSI)에 기초하여 GPS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없고, AP 정보 신호(API)에 기초하여 AP 위치 좌표를 모두 산출할 수 없는 경우에 한정하여 기지국 정보 신호(BSI)가 수신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산출부(320)는 GPS 정보 신호(GPSI) 및 AP 정보 신호(API)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산출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기지국 정보 신호(BSI)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에서 기지국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지국에 서 이동국인 휴대 단말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알면, 이동국의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사용하여 동시에 3개 이상의 기지국에서의 거리를 계산하게 되면 삼각측량법에 의하여 이동국의 2차원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산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정보 산출부(320)는 GPS 위치 좌표 산출부(321), AP 위치 좌표 산출부(323), 및 좌표 결정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GPS 위치 좌표 산출부(321)는 GPS 정보 신호(GPSI)를 수신하여 GPS 정보 신호(GPSI)를 기 설정된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는 수신 감도가 -154 dBm 이하인 GPS 정보 신호(GPS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수신부(311)의 한계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수신 감도로 설정되어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의 검출에 사용될 수 있다.
GPS 위치 좌표 산출부(321)는 검출된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에 기초하여 GPS 위치 좌표(GPSC)를 산출할 수 있는 바, 실시예에 따라 GPS 위치 좌표(GPSC)는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가 적어도 2개 이상이어야 산출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에 기초하여 GPS 위치 좌표(GPSC)는 단일 위성 항법 시스템(Stand-alone GPS), 보정 위성 항법 시스템(Differential GPS, DGPS), 및 지역 보정 위성 항법 시스템(Local Area DGPS, LAGPS), 광역 보정 위성 항법 시스템(Wide Area DGPS, WADGPS) 및 반송파 보정 위성 항법 시스템(Carrier DGPS, CDGPS)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가 기 설정된 유효 GPS 정보 설정 개수 이상이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 설정된 유효 GPS 정보 설정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기 설정된 수신 감도와 기 설정된 유효 GPS 정보 설정 개수는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P 위치 좌표 산출부(323)는 AP 정보 신호(API)를 수신하고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AP 정보 신호(API) 중에서 유효 AP 정보 신호(VAPI)를 검출할 수 있다. AP 위치 좌표 산출부(323)는 검출된 유효 AP 정보 신호(VAPI)에 기초하여 AP 위치 좌표(APC)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효 AP 정보 신호(VAPI)는 수신 감도가 -80 dBm의 기 설정된 값 이상의 AP 정보 신호(API)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AP 위치 좌표 산출부(323)는 유효 AP 정보 신호들(VAPI)을 다시 기 설정된 수신 감도 값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VAPI1, VAPI2, VAPI3)로 분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VAPI1, VAPI2, VAPI3)은 기 설정된 수신 감도 분류 값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신 감도가 -80 dBm을 이상 -60 dBm 미만의 유효 AP 정보 신호(VAPI)는 제3 유효 AP 정보 신호(VAPI3)로 분류되고, -60 dBm 이상 -30 dBm 미만의 유효 AP 정보 신호(VAPI)는 제2 유효 AP 정보 신호(VAPI2)로 분류되며, -30 dBm 이상의 유효 AP 정보 신호(VAPI)는 제1 유효 AP 정보 신호(VAPI1)로 분류된다.
AP 위치 좌표 산출부(323)는 분류된 제1 내지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VAPI1, VAPI2, VAPI3)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AP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감도가 가장 큰 제1 유효 AP 정보 신호(VAPI1)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및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VAPI2, VAPI3)이 존재하는 지 여부와 관계없이, 제1 유효 AP 정보 신호(VAPI1)에만 기초하여 AP 위치 좌표(APC)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1 유효 AP 정보 신호(VAPI1)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AP 위치 좌표(APC)로 결정할 수 있으며, 제1 유효 AP 정보 신호(VAPI1)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제1 유효 AP 정보 신호(VAPI) 각각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평균 내어 AP 위치 좌표(APC)로 산출할 수 있다.
제1 유효 AP 정보 신호(VAPI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및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VAPI2, VAPI3)에 기초하여 AP 위치 좌표(APC)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VAPI2, VAPI3)에 대하여 수신 감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각각에 대하여 부여한 가중치를 해당하는 위치 정보들과 곱하고 이들을 합산하여 평균 값을 내어 AP 위치 좌표(APC)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유효 AP 정보 신호(VAPI3)가 존재하지 않고, 제2 유효 AP 정보 신호(VAPI2)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제2 유효 AP 정보 신호(VAPI2)에 대하여 평균을 내어 AP 위치 좌표(APC)를 산출할 수 있다.
좌표 결정부(325)는 GPS 위치 좌표(GPSC) 및 AP 위치 좌표(APC)를 수신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GPS 위치 좌표(GPSC)와 AP 위치 좌표(APC)의 차이에 따라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할 수 있다. GPS 위치 좌표(GPSC)와 AP 위치 좌표(APC)의 위치 좌표의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AP 위치 좌표(APC)의 위치 좌표를 최종 위치 좌표(TLOC)로 결정하고, GPS 위치 좌표(GPSC)와 AP 위치 좌표(APC)의 위치 좌표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 값 미만인 경우, GPS 위치 좌표(GPSC)를 최종 위치 좌표(TLOC)로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효 AP 정보 신호(VAPI)의 신호 유효 범위가 작기 때문에 GPS 위치 좌표(GPSC)보다 AP 위치 좌표(APC)의 오차가 작다. 따라서 GPS 위치 좌표(GPSC)와 AP 위치 좌표(APC)의 위치 좌표의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에는 AP 위치 좌표(APC)를 최종 위치 좌표(TLOC)로 결정하는 것이 오차 확율이 더 적다.
실시예에 따라서, GPS 위치 좌표 산출부(321)에서 판단한 결과 유효 GPS 위치 정보(VGPSI)가 기 설정된 유효 GPS 정보 설정 개수 미만인 경우, GPS 위치 좌표(GPSC)가 산출될 수 없다. 또한, AP 위치 좌표 산출부(323)에서 판단한 결과 유효 AP 위치 정보(VAPI)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AP 위치 좌표(APC)가 산출될 수 없다. GPS 위치 좌표(GPSC) 및 AP 위치 좌표(APC) 중에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 좌표 결정부(325)는 이들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할 수 있으나, GPS 위치 좌표(GPSC)와 AP 위치 좌표(APC)가 모두 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 정보 신호(BSI)가 좌표 결정부(325)에 제공되며, 좌표 결정부(325)는 기지국 정보 신호(BSI)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한다. 다만, 기지국 정보 신호(BSI)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하기 위해서, 좌표 결정부(325)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GPS 위치 좌표(GPSC) 및 AP 위치 좌표(APC)가 모두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기지국 정보 신호(BSI)를 수신하거나 기 설정된 시도 횟수 동안에 GPS 위성으로 GPS 정보 신호(GPSI)를 요청하거나, AP에 대하여 AP 정보 신호(API)를 요청하는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 기지국 정보 신호(BSI)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은 GPS 정보 신호(GPSI)를 수신하고(단계 S410), AP 정보 신호(API)를 수신(단계 S420) 할 수 있다. GPS 정보 신호(GPSI) 및 AP 정보 신호(API)는 위치 정보 수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으며 GPS 정보 신호(GPSI)는 해당하는 GPS 위성의 궤도 정보 및 의사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AP 정보 신호(API)는 접속 가능한 AP의 ID 및 MAC 어드레스 및 실제 AP가 위치한 지리적인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GPS 정보 신호(GPSI) 및 AP 정보 신호(API)에 대하여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판단한다(단계 S430).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은, GPS 위치 정보 조건 및 AP 위치 정보 조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GPS 위치 정보 조건은 GPS 정보 신호(GPSI)의 수신 감도 및 특정한 수신 감도 이상의 유효 GPS 정보 신호(VAPI)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4 dBm 이상의 유효 GPS 정보 신호(VAPI)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인 경우, GPS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GPS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GPS 위치 좌표(GPSC)가 산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AP 위치 정보 조건은 기 설정된 수신 감도 이상의 유효 AP 정보 신호(VAPI)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이며, AP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AP 위치 좌표(APC)가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GPS 정보 신호(GPSI) 및 AP 정보 신호(API)에 대하여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판단하여,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단계 S430, NO), 기지국 정보 신호(BSI)를 수신하여 수신된 기지국 정보 신호(BSI)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한다.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GPS 위치 정보 조건 및 AP 위치 정보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경우이다.
GPS 정보 신호(GPSI) 및 AP 정보 신호(API)가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즉 GPS 위치 정보 조건 및 AP 위치 정보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단계 S430, YES),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 및/또는 유효 AP 정보 신호(VAPI)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산출한다(단계 S440).
도 5는 도 4의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 판단(단계 S430) 및 좌표 산출(단계 S440)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GPS 위치 좌표 산출부(321)에서는 GPS 정보 신호(GPSI)의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를 검출한다(단계 S431).
검출된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가 기 설정된 유효 GPS 정보 설정 개수 이상인 경우(단계 S433, YES),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에 기초하여 GPS 위치 좌표(GPSC)를 산출(단계 S441)하여 좌표 결정부(325)에 제공할 수 있다.
검출된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가 기 설정된 유효 GPS 정보 설정 개수 미만인 경우(단계 S433, NO)에는 GPS 위치 좌표(GPSC)가 산출될 수 없다. 실시예에 따라 GPS 위치 정보 조건의 판단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행될 수 있다.
AP 위치 좌표 산출부(323)에서는 AP 정보 신호(API)의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유효 AP 정보 신호(VAPI)를 검출한다(단계 S432). 예를 들어, 특정한 값 이상의 수신 감도를 가지는 AP 정보 신호(API)는 유효 AP 정보 신호(VAPI)로 검출될 수 있다.
검출된 유효 AP 정보 신호(VAPI)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경우, 유효 AP 정보 신호(VAPI)를 기초로 하여 AP 위치 좌표(APC)가 산출된다(단계 S443).
산출된 AP 위치 좌표(APC)는 좌표 결정부(325)에 제공되고, 좌표 결정부(325)는 GPS 위치 좌표(GPSC) 및 AP 위치 좌표(APC)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GPS 위치 좌표(GPSC)와 AP 위치 좌표(APC)의 차이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GPS 위치 좌표(GPSC)와 AP 위치 좌표(APC) 중 하나만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공된 위치 좌표를 최종 위치 좌표(TLOC)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치 좌표(GPSC) 및 AP 위치 좌표(APC)를 평균을 내어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은 GPS 기반 혹은 AP 기반으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동시에 양자를 보완하여 위치 측정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으며, GPS 혹은 AP 위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기지국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어 위치 측정을 할 수 없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 정보 수신부(310)에 포함된 GPS 수신부(311)가 GPS 정보 신호(GPSI)를 수신한다(단계 S510). 수신된 GPS 정보 신호(GPSI)는 위치 정보 산출부(320)에 포함된 GPS 위치 좌표 산출부(321)에 제공되고, GPS 위치 좌표 산출부(321)는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GPS 정보 신호(GPSI) 중에서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를 검출한다(단계 S520).
검출된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가 기 설정된 유효 GPS 정보 설정 개수 이상인 경우(단계 S530, YES),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에 기초하여 GPS 위치 좌표(GPSC)를 산출하며, 좌표 결정부(325)는 GPS 위치 좌표(GPSC)를 최종 위치 좌표(TLOC)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S535).
검출된 유효 GPS 정보 신호(VGPSI)가 기 설정된 유효 GPS 정보 설정 개수 미만인 경우(단계 S530, NO), 위치 정보 수신부(310)에 포함된 AP 수신부(313)를 통하여 AP 정보 신호(API)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540).
위치 정보 산출부(320)에 포함된 AP 위치 좌표 산출부(323)는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AP 정보 신호(API) 중에서 유효 AP 정보 신호(VAPI)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 S550). 유효 AP 정보 신호(VAPI)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여 기 설정된 AP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단계 S560, YES), AP 위치 좌표 산출부(323)는 유효 AP 정보 신호(VAPI)에 기초하여 AP 위치 좌표(APC)를 산출하여 좌표 결정부(325)에 제공하고, 좌표 결정부(325)는 AP 위치 좌표(APC)를 최종 위치 좌표(TLOC)로 결정할 수 있다(단계 S565).
유효 AP 정보 신호(VAPI)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치 정보 산출부(320)는 기지국 정보 신호(BSI)를 수신하여 기지국의 위치에 기초하여 최종 위치 좌표(TLOC)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57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의 위치 측정 단말(30a)과 비교하였을 경우, 도 7의 위치 측정 단말(30b)은 LBS 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LBS 부(330)는 위치 정보 산출부(320)로부터 최종 위치 좌표(TLOC)를 제공받아 위치 측정 단말(30b)의 현재 좌표를 인지하고, 위치 정보 제공을 허용한 기관, 예를 들어 위치 정보에 따라 컨텐츠(Contents)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도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현재 좌표 신호(LTX)를 송신한다.
외부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가 현재 좌표 신호(LTX)에 기초하여 위치 측정 단말(30a)에 대하여 이동 중인 위치 측정 단말(30b)의 위치 정보를 다른 정보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부가적인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LBS 신호(LRX)를 수신할 수 있다.
LBS 신호(LRX)는 주변 정보, 엔터테인먼트, 안전 및 구난 서비스, 물류 및 관제 서비스, 광고 서비스 등의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위치 측정 단말(30b)은 LBS 부(330)를 더 포함하여 정확도 높은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위치 측정 방법은 GPS 기반의 위치 측정 방법, AP 기반의 위치 측정 방법 및 기지국 기반의 위치 측정 방법을 서로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위치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위치 측정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단말은 보다 정확한 위치 측정을 통하여 최적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위치 측정 단말의 위치가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에도 빠른 시간 내에 위치 측정을 수행할 수 있어 이동 경로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0, 30a, 30b: 위치 측정 단말
310: 위치 정보 수신부
320: 위치 정보 산출부
330: LBS 부

Claims (16)

  1.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위성 정보를 포함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신호 및 상기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AP(Access Point)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AP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및
    상기 GPS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GPS 위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AP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GPS 위치 좌표, 상기 산출된 AP 위치 좌표 및 상기 산출된 GPS 위치 좌표와 상기 산출된 AP 위치 좌표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GPS 위치 좌표와 상기 AP 위치 좌표의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AP 위치 좌표를 최종 위치 좌표로 결정하고, 상기 GPS 위치 좌표와 상기 AP 위치 좌표의 차이가 상기 기 설정된 차이 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GPS 위치 좌표를 상기 최종 위치 좌표로 결정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는,
    상기 GPS 정보 신호의 기 설정된 GPS 위치 정보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 GPS 정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유효 GPS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GPS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GPS 위치 좌표 산출부; 및
    상기 AP 정보 신호의 기 설정된 AP 위치 정보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 AP 정보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유효 AP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AP 위치 좌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단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P 위치 좌표 산출부는,
    기 설정된 수신 감도 분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AP 정보 신호를 제1 내지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제1 내지 제3 유효 AP 정보 신호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단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는,
    상기 GPS 위치 좌표 및 상기 AP 위치 좌표를 수신하고, 상기 산출된 GPS 위치 좌표와 상기 산출된 AP 위치 좌표의 차이 값에 기초하여 상기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 좌표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단말.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GPS 정보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GPS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상기 AP 정보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AP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는 상기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기지국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 산출부는 상기 기지국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단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종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신호를 송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LBS(Local Based Service)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단말.
  8. 위치 정보 수신부를 통하여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위성 정보를 포함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신호 및 상기 휴대 단말과 통신하는 AP(Access Point)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AP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정보 산출부를 통하여 상기 GPS 정보 신호 및 상기 AP 정보 신호가 기 설정된(Predetermined) 위치 정보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정보 신호 및 상기 AP 정보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GPS 정보 신호 및 상기 AP 정보 신호에 각각에 대한 위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GPS 위치 좌표와 상기 AP 위치 좌표의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 값 이상인 경우, 상기 AP 위치 좌표를 상기 휴대 단말의 최종 위치 좌표로 결정하고, 상기 GPS 위치 좌표와 상기 AP 위치 좌표의 차이가 상기 기 설정된 차이 값 미만인 경우, 상기 GPS 위치 좌표를 상기 휴대 단말의 최종 위치 좌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단말 위치 측정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GPS 정보 신호의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유효 GPS 정보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GPS 정보 신호가 기 설정된 유효 GPS 정보 설정 개수 이상인 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위치 측정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은 상기 AP 정보 신호 수신 감도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AP 정보 신호 수신 감도를 만족하는 상기 AP 정보 신호를 유효 AP 정보 신호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위치 측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수신 감도 분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AP 정보 신호를 제1 내지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제1 내지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위치 측정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효 AP 정보 신호에 대하여 제1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제1 유효 AP 정보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에 관계 없이 상기 제1 유효 AP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위치 측정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효 AP 정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제2 및 제3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2 유효 AP 정보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3 유효 AP 정보 신호에 관계없이 상기 제2 유효 AP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유효 AP 정보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3 유효 AP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위치 측정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효 AP 정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 각각에 대하여 제2 및 제3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2 유효 AP 정보 신호가 존재하고 상기 제3 유효 AP 정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유효 AP 정보 신호에 대한 평균 값을 내어 상기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및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유효 AP 정보 신호들의 수신 감도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위치 측정 방법.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GPS 정보 신호 중에서 상기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 유효 GPS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GPS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AP 정보 신호 중에서 상기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는 유효 AP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AP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위치 측정 방법.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최종 위치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GPS 정보 신호 및 상기 AP 정보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위치 정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최종 위치 좌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위치 측정 방법.
KR1020110062813A 2011-06-28 2011-06-28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 KR101128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13A KR101128456B1 (ko) 2011-06-28 2011-06-28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13A KR101128456B1 (ko) 2011-06-28 2011-06-28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456B1 true KR101128456B1 (ko) 2012-03-23

Family

ID=4614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813A KR101128456B1 (ko) 2011-06-28 2011-06-28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653B1 (ko) 2012-03-30 2012-09-17 주식회사 영신 스마트폰 및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착탈식 디지피에스 측량시스템
KR20210146697A (ko) * 2020-05-27 2021-12-06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기반의 이동 단말 위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83B1 (ko) * 2006-07-21 2007-11-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pan을 이용한 휴대폰의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그를 위한 위치 측위 서버와 그 동작 방법
KR20090008960A (ko) * 2007-07-19 2009-01-22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위치 추적 장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위치 추적 방법
KR20090076171A (ko) * 2008-01-07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추정 방법 및 그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83B1 (ko) * 2006-07-21 2007-11-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pan을 이용한 휴대폰의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그를 위한 위치 측위 서버와 그 동작 방법
KR20090008960A (ko) * 2007-07-19 2009-01-22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위치 추적 장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위치 추적 방법
KR20090076171A (ko) * 2008-01-07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추정 방법 및 그 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지규인. GPS/INS/CDMA 통신망 통합 복합 항법시스템. 연구보고서. 2004. 출처: http://img.kisti.re.kr/./originalView/originalView.jsp?url=/tr_img/2004028/bu1200411041859.pd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653B1 (ko) 2012-03-30 2012-09-17 주식회사 영신 스마트폰 및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착탈식 디지피에스 측량시스템
KR20210146697A (ko) * 2020-05-27 2021-12-06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기반의 이동 단말 위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342589B1 (ko) * 2020-05-27 2021-12-23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기반의 이동 단말 위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3410A1 (en) Sps spoofing detection
US7663540B2 (en) Server device, mobile terminal and positioning mode selecting method
US92374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range of mobile device to wireless installation
US9014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adio location accuracy with measurements
KR100553305B1 (ko) 이동국 위치 픽스를 유효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0518365C (zh) 提供定位服务可用性和可用定位服务之质量的指示
US20150198720A1 (en) Techniques for selecting sps measurements to use in determining a final location estimate based on a wlan-based location estimate
EP3295207B1 (en) Base station selection for positioning/localization based on an indication of capacity
US20130237246A1 (en) Wireless signal model updating using determined distances
US93925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ly determining locations of mobile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2216734A (zh) 使用运动传感器的基于无线的定位调整
WO20160037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whether a receiver is inside or outside a building
US9686766B2 (en) Location positioning using M2M ecosystem
WO20110086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hybrid satellite and wlan positioning system
KR20140081498A (ko) 기지국, 측위 장치, 및 그의 측위 방법
US8125943B2 (en) Method for positioning user equipment accessing multiple mobile networks
KR101627506B1 (ko) 측위 시스템, 측위 장치 및 그 측위 방법
US105479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accuracy of a position determination
KR101128456B1 (ko) 위치 측정 단말 및 단말 위치 측정 방법
KR20120102277A (ko)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KR101058098B1 (ko) 다른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그 위치정보의 신뢰도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 그리고 그 위치 측정 방법
KR20170077478A (ko) 위치 기반의 저전력 마케팅 단말,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