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520B1 - 콘텐츠 분배예약방법. 콘텐츠 분배방법, 예약제어장치와프로그램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콘텐츠 분배예약방법. 콘텐츠 분배방법, 예약제어장치와프로그램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520B1
KR100816520B1 KR1020027004919A KR20027004919A KR100816520B1 KR 100816520 B1 KR100816520 B1 KR 100816520B1 KR 1020027004919 A KR1020027004919 A KR 1020027004919A KR 20027004919 A KR20027004919 A KR 20027004919A KR 100816520 B1 KR100816520 B1 KR 100816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distribution
user
cont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462A (ko
Inventor
요시미네다카오
이하라게이고
니시무라다카노리
후쿠다준코
수에요시다카히코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7Network arrangements for conference optimisation or adap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1Centralised allocation of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1Real 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6Involving periods of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04N21/25435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involving characteristics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video resolution or the amount of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4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time of distribution, e.g. the best time of the day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or airing a children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위한 예약을 할 때에 콘텐츠 분배 목적지의 용량 또는 서비스 요금을 분배자가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공급시스템(100)에서, 스트리밍 서버(streaming server)(102)가 라이브 분배(live distribution)를 수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이용자 PC(106)가 인터넷(103)을 통해 시간대 예약을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에 예약한다. 여기에서, 스트리밍 서버(102)는 복수의 채널의 분배를 위한 채널을 가지며 동일한 시간대에서 각 채널에 대한 분배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각 채널은 미리 설정된 서비스 요금과 분배 목적지의 용량을 가지며 이용자는 예약을 할 때에 이러한 설정내용들을 고려하여 어느 채널이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지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분배예약방법. 콘텐츠 분배방법, 예약제어장치와 프로그램 저장매체 {Content distribution reservation metho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reservation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본 발명은 콘텐츠 분배를 예약하여 고객에게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수행하는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는 콘텐츠 분배예약방법, 콘텐츠 분배방법, 콘텐츠의 분배예약을 제어하는 예약제어장치와 예약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망 시스템에서는, 종래에 개인이 인터넷상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홈페이지를 개설하는 것이 일반적인 일이다.
이용자가 개인적으로 홈페이지를 개설할 때에, 이용자는 PC를 통해 홈페이지 생성 프로그램을 얻게 되며, 홈페이지 생성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복수의 콘텐츠와 하이퍼 링크된(hyper-linked) 홈페이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서버내에 홈페이지를 저장한다.
그 후에, ISP는 서버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홈페이지에 억세스하는 고객에게 홈페이지를 제공하며 홈페이지에 대한 앵커(anchor)가 클릭이 되면, ISP는 링크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고객에게 공급된 콘텐츠가 정지화상과 수 많은 동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자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 파일과 음성 파일은 ISP의 스트리밍 서버의 소정의 영역내에 미리 업로드된다. 그 후에, 고객의 요청에 의해, ISP의 스트리밍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요청에 대응하는 파일의 스트림(stream) 분배를 고객에 대해 수행한다.
게다가,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인터넷을 통해 수행하는 기술은 또한 "주문시 분배(on-demand distribution)" 뿐만 아니라 "라이브 분배(live distribution)"라고 불리우는 기술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동영상 파일은 미리 스트리밍 서버내에서 업로드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고객의 요청에 응답하여 분배된다. 라이브 분배에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는 콘텐츠 생성자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엔코드되며 이것은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된다. 그 후에, 스트리밍 서버는 콘텐츠 생성자로부터 실시간으로 공급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전용저장영역내에 기록하면서 스트리밍 재생을 수행하며, 실시간으로 동영상(moving image) 데이터를 요청고객에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라이브 분배가 수행될 때에, 콘텐츠 분배자는 분배되는 콘텐츠가 다수에 의해 열람되거나 또는 청취되어지기를 원하거나 또는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게다가, 분배되는 콘텐츠에 따라, 라이브 분배가 비용의 증가를 포함하더라도 콘텐츠가 다수에 의해 열람되거나 또는 청취되어지기를 원하거나, 또는 콘텐츠가 단지 소수에 의해 열람되거나 또는 청취되어지더라도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즉, 열람자 또는 청취자의 최대수 또는 콘텐츠 분배자가 요구하는 비용은 분배되는 콘텐츠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상황들을 고려하여 라이브 분배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는 분배자에게 중요하게 여겨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실현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분배자가 콘텐츠 분배 목적지의 용량 또는 서비스 요금을 고려하여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예약하는 콘텐츠 분배예약방법, 콘텐츠 분배예약을 제어하는 예약제어장치, 예약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매체와 상기 예약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분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망을 통해 분배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동시에 복수의 시스템을 이용한 망을 통해 고객 단말장치에 대해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기 위하여, 분배자단말장치가 분배서버의 예약상황을 제어하는 예약제어장치에 대해 망을 통해 분배서버의 이용예약을 실행할 때,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우선, 분배서버의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이용되기 위해서 요청되는지를 나타내는 희망하는 시스템과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하여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정보가 망을 통해 분배자단말장치에서 예약제어장치로 전송된다. 그리고 희망하는 시스템을 이용하고 예약요청정보내에 포함된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중에 분배서버의 이용을 위한 예약이 허용되고 그 예약이 설정될 때, 희망하는 시스템내에 미리 설정된 분배서버의 서비스 요금에 근거하여 예약에 관련된 과금처리가 수행된다.
이와같이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 라이브 분배가 수행될 때에, 예약 시스템을 채용하면, 콘텐츠 분배자는 콘텐츠 분배자에 의해 예약된 시간대에서 신뢰성 있게 콘텐츠 분배를 수행한다. 게다가, 예약을 할 때에, 분배서버의 상기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희망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정보를 분배단말장치로부터 예약제어장치로 전송하면, 분배서버의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사용되도록 요청되었는지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요청에 따라 예약이 설정되면, 희망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서비스 요금에 근거하는 과금처리가 수행된다. 이에 의해 분배자는 콘텐츠 분배를 위해 비용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 요금에 따라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고 예약할 때 사용되어질 시스템을 요청할 수 있다.
망을 통해 분배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동시에 복수의 시스템을 이용한 망을 통해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고객 단말장치에 대해 수행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분배서버를 이용하기 위해 예약제어장치에 대해 예약을 하고, 예약에 근거하여 콘텐츠를 분배자 단말장치로부터 분배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콘텐츠 분배를 수행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우선, 분배서버의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이용되기 위해서 요청되는지를 나타내는 희망하는 시스템과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분배하기 위하여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정보가 망을 통해 분배자단말장치에서 예약제어장치로 전송된다. 그리고 희망하는 시스템을 이용하고 예약요청정보내에 포함된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중에 분배서버의 사용을 위한 예약이 허용될 때, 허용된 예약에 근거하여 콘텐츠 분배를 수행하는 망을 통해 콘텐츠가 분배자 단말장치에서 분배서버로 전송된다. 그리고 고객단말장치가 망을 통해 분배서버로 콘텐츠의 분배요청을 전송할 때, 희망하는 시스템내에 미리 설정된 분배 목적지의 용량에 근거하여 고객단말장치의 분배요청을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고객단말장치의 분배요청이 허용될 때, 분배자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가 망을 통해 분배서버에서 고객단말장치로 스트림 분배된다.
콘텐츠 라이브 분배가 이와같이 분배서버에 의해 수행될 때에, 예약 시스템을 채용하면, 콘텐츠 분배자는 콘텐츠 분배자에 의해 예약된 시간대에서 신뢰성 있게 콘텐츠 분배를 수행한다. 게다가, 예약을 할 때에, 분배서버의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희망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정보를 분배단말장치로부터 예약제어장치로 전송하면, 분배서버의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사용되도록 요청되었는지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요청에 따라 예약이 설정되면, 희망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분배 목적지의 용량에 근거하는 분배를 요청하는 고객단말장치로 분배를 허용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분배자는 분배되는 콘텐츠가 열람되거나 청취되어지는 사람들의 대략적인 수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용량에 따라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고 예약할 때 사용되어질 시스템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이용방법이 적용되는 콘텐츠 공급시스템의 대략적인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콘텐츠 공급시스템으로부터 개인 캐스팅(casting) 서비스를 수신하는 이용자 PC의 구성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이용자 PC의 외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상기 이용자 PC에 의해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시작시에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촬상모드에서 상기 이용자 PC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업로드 모드에서 상기 이용자 PC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웹검사 모드에서 상기 이용자 PC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라이브 예약모드에서 상기 이용자 PC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라이브 분배모드에서 상기 이용자 PC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라이브 분배모드에서 효과표시필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라이브 분배모드에서 효과설정처리 동안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콘텐츠 공급시스템의 서버예약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상기 서버예약 제어장치의 라이브 캐스팅 서버의 하드 디스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톱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라이브 캐스팅 서버의 하드디스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라이브 캐스팅 서버의 하드디스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라이브 캐스팅 서버의 하드디스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라이브 캐스팅 서버의 하드디스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서버예약 제어장치의 서버 데이터베이스의 등록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번호등록시에 상기 라이브 캐스팅 서버와 이용자 PC의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순서흐름도이다.
도 20은 번호등록시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분배예약 동안에 상기 라이브 캐스팅 서버와 이용자 PC의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순서흐름도이다.
도 22는 분배예약 동안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상기 분배예약 동안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상기 분배예약 동안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상기 분배예약의 재확인 처리동안에 상기 이용자 PC와 라이브 캐스팅 서버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순서흐름도이다.
도 26은 상기 재확인 처리동안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상기 재확인 처리동안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상기 재확인 처리동안에 상기 이용자 PC로 전송되고 라이브 캐스팅 서버에 의해 생성된 예약설정 정보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상기 재확인 처리동안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상기 재확인 처리동안에 지정된 e-mail 어드레스로 전송된 e-mail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예약이 변경될 때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예약이 변경될 때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예약이 변경될 때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예약이 변경될 때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예약이 변경될 때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예약이 변경될 때에 상기 이용자 PC의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라이브 분배동안에 상기 콘텐츠 공급시스템의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순서흐름도이다.
도 38은 라이브 분배동안에 상기 콘텐츠 공급을 수신하는 고객 PC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상기 실시예에 따르는 망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 다.
도 40은 카메라 집적 디지털 셀룰러 전화의 외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투시도도이다.
도 41은 카메라가 회전될 때에 상기 카메라 집적 디지털 셀룰러 전화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략투시도이다.
도 42는 상기 카메라 집적 디지털 셀룰러 전화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A. 콘텐츠 공급시스템의 구성
A-1. 개략적인 전체 시스템 구성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분배 통지방법을 이용하는 개인 캐스팅(cas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공급시스템(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이 동영상 데이터와 같은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스트리밍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경우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콘텐츠 공급시스템(100)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도시 안됨)와 전화망(104)을 통해 인터넷(103)에 연결된 이용자 PC(분배자 단말장치)(106), 인터넷(103)에 연결된 서버예약 제어쎈터(101), 스트리밍 서버(처리서버)(102)와 전화선(도시 안됨) 또는 전용선(도시 안됨)을 통해 인터넷(103)에 연결된 복수의(도면의 3개의) 고객PC(107)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스트리밍 서버(102)는 전용서버 접속망(108)에 연결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라이브 분배동안에 데이터가 이용자PC(106)로부터 스트리밍 서버(102)로 전송될 때에, 이용자PC(106)는 전화망(104)을 통해 PPP(Point-to-Point)를 이용하여 전용서버 접속망(108)의 억세스 포트에 연결된다. 이러한 단계는 이용자PC(106)와 스트리밍 서버(102) 사이에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이러한 통신경로를 통해 콘텐츠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전용라인(109)은 또한 스트리밍 서버(102)와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사이에 설치되며 데이터는 후술되는 인증처리시에 전용라인(109)을 통해 쌍방 사이에서 전달된다.
이러한 콘텐츠 공급시스템(100)에서는, 이용자PC(106)의 이용자가 디지털 카메라 등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면, 라이브 음악으로부터 추출된 영상 데이터)를 예약시간대(예를 들면, 15:00 - 16:00)에서 스트리밍 서버(102)로 전송한다. 한편, 스트리밍 서버(102)는 요청을 전송한 고객PC(107)에 대해서 상술한 콘텐츠 데이터의 스트림 분배를 수행한다. 이와같이,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은 개인방송을 실행하는 개인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카메라 등을 이용하는 이용자PC(106)의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는 고객PC(107)에 의해 실시간 형식으로 수신되어 재생된다.
게다가, 이러한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은 희망하는 시간대에서 이용자가 신뢰성 있게 개인방송을 전송할 수 있는 개인 캐스팅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서 각 이용자가 스트리밍 서버(102)를 이용하거나 또는 억세스하기 위한 예약을 하는 예약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즉, 이용자는 개인방송을 수행하기 원하는 시간대 즉, 이용자(PC)가 스트리밍 서버(102)를 억세스하여 스트리밍 서버(102)에 의한 스트림 분배 기능을 이용하고 싶은 시간대의 예약을 위해서 인터넷(103)을 통해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에 요청한다. 그 후에, 예약이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에 의해 허가될 때에, 이용자PC(106)는 이러한 예약에 근거하여 상기 시간대에서 스트리밍 서버(102)를 억세스하여 라이브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은 상술한 예약시스템을 채택하는 개인 캐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며,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의 요소는 다음에 후술될 것이다.
A-2. 이용자 PC
우선, 이용자PC(106)가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용자PC(106)는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에 의한 개인 캐스팅 서비스에서 후술되는 등록절차 등이 완료된 후에, 콘텐츠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송자측(broadcasting party)이 될 수 있는 권리를 얻게 된 이용자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PC를 언급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용자PC(106)는 여러 가지 동작처리를 수행하고 각 부를 제어하는 CPU(120), CPU(120)의 작업 메모리로 이용되는 RAM(121), CPU(120)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 그룹을 저장하는 ROM(122), 응용 프로그램과 동작 시스템(예를 들면, "Windows 95/98/2000"(마이크로 소프트사))과 같은 CPU(120)에 의해 독출되고 실행되는 프로그램 그룹을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123), 이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와 같은 표시부(124), CPU(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부(124)상에 표시하는 표시 인터페이스(125), 키보드와 같은 조작부(126), 이용자가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해 이용하며 후술되는 마우스, 회전 다이얼과 조작버튼, 조작부(126)를 통해 입력된 지시 데이터를 CPU(120)에 공급하는 조작부 인터페이스(127), 전화망(104)(도 1 참조)을 통해 인터넷(103)(도 1참조)과 전용서버 연결망(108)(도 1참조)에 접속된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망인터페이스(128)와 이용자 PC(106)내에 포함된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로 구성된다. 한편, 하드 디스크(123)는 CPU(120)에 의해 독출되고 거기에 입력되며, 여러 가지 제어 데이터와 동영상을 저장하는데에도 이용된다.
여기에서, 도 3은 내장된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를 가지는 이용자PC(106)의 외관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이용자PC(106)는, 일반적인 노트북 PC의 경우와 같이, 액정화면(124a)으로 제공된 표시측 캐비넷(106a)과 키보드(126a)로 제공된 키보드측 캐비넷(106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둘다 힌지부(106c)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표시측 캐비넷(106a)은 또한 도면의 화살표(A)에 의해 나타낸 방향으로 키보드측 캐비넷(106b)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회전 조작다이얼(126b)은 표시측 캐비넷(106a)의 한 면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조작다이얼(126b)은 회전조작뿐만 아니라 누름(pressing)조작도 수행할 수 있다.
키보드측 캐비넷(106b)의 한 단말부에는, 복수의 조작버튼(도 4 참조)(126c)과 상술한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와 함께 버튼 캐비넷(106e)이 부착되어 있다. 버튼 캐비넷(106e)은 도시된 바와같이 키보드측 캐비넷(106b)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는 키보드측 캐비넷(106b)의 측단면상의 한 위치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는 도면의 화살표(B)에 의해 나타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이용자PC(106)가 도 3a에 도시된 일반적인 노트북 PC와 유사한 모드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도 3b - 3d내에 도시된 모드에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된 모드에서 사용되면, 이용자는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를 이용하여 자신의 사진을 이용자PC(106)가 촬상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액정화면(124a)은 도시된 바와같이 이용자측에 제공되므로, 이용자는 비데오를 검사하면서 촬상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서 사용하면, 키보드(126a)가 이용자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이용자가 키보드를 정확하게 조작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후술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르는 처리시에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의 촬상과 비데오 처리 등에 관련된 조작(예를 들면, 촬상의 시작과 중지, 주밍, 효과의 부가, 동영상 데이터의 저장과 전송 등을 지시하는 조작)은 상술한 조작 다이얼(126b)과 조작버튼(126c)에 의해 적당히 수행된다. 게다가, 도 3c에 도시된 모드에서 사용되면, 이용자는 LCD화면(124a)을 감시하면서 전면의 목표대상을 이용자PC(106)가 촬상하도록 한다.
도 2로 돌아와서, 이용자PC(106)는, 전원공급장치(도시 안됨)의 구동과 조작부(126)로부터 입력된 이용자의 명령에 의거한 ROM(122)과 하드 디스크(123)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20)에 의해 상술한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으로부터 서비스되는 동영상 데이터 분배처리, 동영상 데이터의 생성/처리와 WWW(World-Wide-Web) 브라우징과 같은 여러 가지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후로는,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에 따르는 처리를 실행하는 CPU(120)에 의해 실현되는 여러 가지 기능에 중점을 두며, 이용자PC(106)의 기능은 표시화면을 참고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우선, 이용자PC(106)가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도 4에 도시된 초기화면은 CPU(120)의 제어하에서 표시부(124)상에 나타난다. 동일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초기화면은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표시하는 대형 주화면 표시영역(40)과 응용 프로그램이 화면의 상부 우측상에서 이미 실행되었을 때에 촬상된 마지막 영상의 미리보기(preview)를 표시하는 소형 보조영상(sub image) 표시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게다가, 보조영상 표시영역(41)의 아래에는 모드, 영상(camera)의 형태, 설정과 지시 내용(조작)을 선택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표시된다. 이러한 항목들을 적절하게 선택/설정함으로써, 이용자는 모드를 선택하고, 정지화면(STILL) 또는 동영상(MOVIE)과 같은 영상의 형태를 선택하고, 설정을 변경하고 지시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응용에서는, 이용자는 캡쳐모드(GUI상의 "캡쳐(Capture)"가 선택될 때의 모드), 업로드 모드(GUI상의 "보기/전송(View/send)"이 선택될 때의 모드), 웹검사 모드(GUI상의 "웹 보기(View Web)"가 선택될 때의 모드), 라이브 예약모드(GUI상의 "라이브 예약/검사로(To live reservation/check)"가 선택될 때의 모드)와 라이브 분배모드(GUI상의 "라이브 분배로(To live distribution)"가 선택될 때의 모드)와 같은 5개의 모드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캡쳐모드는 응용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에 초기상태에서 선택된다.
캡쳐모드는 화상이 이용자PC(106)내에 포함된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모드이다. 그리고 이 모드가 선택될 때에 또는 초기상태에 있을 때에, 도 5a에 도시된 화면은 CPU(120)의 제어하에서 표시된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캡쳐모드내의 표시화면은 상술한 초기화면(도 4 참조)과 같이 주영상 표시영역(40)과 보조영상 표시영역(41)을 도시하고 있으며, 주영상 표시영역(40)은 현재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며 보조영상 표시영역(41)은 현재의 캡쳐 이전에 촬상된 마지막 영상의 미리보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모드에서는, 상술한 GUI가 보조영상 표시영역(41)의 아래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모드에서의 GUI는 "모드", "카메라", "설정" 및 "조작"과 같은 선택항목을 도시하고 있다. 이 모드에서 선택항목 "조작"은 영상의 캡쳐를 지시하는 항목("capture")과 인터넷과의 연결/단절을 지시하는 항목("net connect/disconnect")을 포함한다. 그리고 조작 다이얼(126b)을 회전시킴으로써 희망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포커스(F)(굵은 선으로 도시됨)를 희망하는 항목으로 이동시켜서 조작 다이얼(126b)을 누르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캡쳐 모드에서는, 캡쳐를 위해 요구되는 명령(예를 들면, 영상으로 제공되는 효과의 선택을 지시하는 명령)이 버튼 캐비넷(106e)상에 제공된 조작버튼(126c : 도 3참조)에 할당되면, 이용자는 키보드(126a)없이 조작 다이얼(126b)과 조작버튼(126c)의 조작을 통해서만 캡쳐모드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참조) 그러므로 키보드(126a)가 도 3b와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키보드를 조작하는 것이 어려운 위치에 있는 모드에서 캡쳐 조작을 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명령은 디폴트(default)로 조작버튼(126c)에 할당될 수 있으나, 이러한 캡쳐모드와 아래에 설명될 다른 모드에서는, 이용자가 각 모드에 대한 조작버튼(126c)에 할당된 명령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이용자는 각 모드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이 조작 버튼(126c)에 할당되도록 설정하므로 그에 의해 키보드(126a)를 조작할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각 모드에서의 조작성을 개선시킬 수가 있다.
도 5a의 화면의 하부에 도시된 상태 윈도우(SW)는 이용자 PC(106)의 현재상태(예를 들면, 배터리의 잔량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나머지 저장용량 등), 선택된 모드에서의 처리조건(예를 들면, 촬상된 영상의 데이터 크기, 지정된 저장 목적지(하드 디스크와 망 등))과 조작버튼(126c)의 명령할당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업로드는 상술한 캡쳐모드에서 촬상된 영상 데이터가 표시 또는 참조되거나,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어 인터넷(103)에 연결된 소정의 업로드 목적지의 서버(도시 안됨)로 전달되는 모드이다(도면 참조). 이 모드가 선택되면, 도 6a에 도시된 화면은 CPU(120)의 제어하에서 표시부(124)상에 표시된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업로드 모드에서의 표시화면은 미리보기(preview) 영역(42), 타일형태로 촬상된 영상(도면의 예에서는 수직선으로 도시됨)을 나타내는 리스트 표시영역(43), GUI, 상태 윈도우(SW)와 전송캡슐 아이콘(SC)을 나타내고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업로드 모드의 GUI의 "조작"은 인터넷과의 연결/단절을 지시하는 항목("connect/disconnect Net"), 영상 데이터의 전송의 시작/종 료를 지시하는 항목("transmit start/stop"), 리스트 표시영역(43)으로 포커스(F)를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항목("Move focus"), 전송캡슐 아이콘(SC) 내부의 화면 즉, 전송되기 위해 선택되는 영상 데이터의 리스트의 화면을 지시하는 항목("transmission capsule" 참조)등을 포함하며, 조작 다이얼(126b)을 회전하여 포커스(F)를 희망하는 항목으로 이동시키고 조작 다이얼(126b)을 누름으로써 희망하는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업로드 모드에서는, 조작버튼(126c)이 미리보기영역(42)으로 이동하는 동영상의 재생/중지와 정지화상의 표시를 지시하는 할당된 명령이다. 게다가, 이 모드의 상태 윈도우(SW)는 영상 데이터의 파일 이름, 파일 크기, 형태(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와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와 현재 지정된 전송 목적지를 가리키는 정보(업로드 되는 서버의 이름과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나타내고 있다.
포커스(F)를 리스트 표시영역(43)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지시하는 항목("Move focus")이 선택되면, 포커스(F)는 리스트 표시영역(43)위에서 이동한다. 포커스(F)가 리스트 표시영역(43)위에서 이동할 때에, 포커스(F)는 조작 다이얼(126b)의 회전조작에 따라 리스트되어 있는 한 개의 영상에서 다른 영상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이용자가 몇 개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에, 이용자는 조작버튼(126c)을 회전하고 포커스(F)를 관계되는 영상 데이터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 조작 다이얼(126b)을 누르게 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지시하는 SUBGUI와 이 SUBGUI의 한 항목에서의 포커스(F)의 이동이 표시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같이, SUBGUI는 "저장", "삭제", "미리보기"와 "전송캡슐(Transmission capsule)로 들어감"과 같은 지시항목을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이용자가 조작 다이얼(126b)을 회전하여 포커스(F)를 요구되는 처리인 "전송캡슐로 들어감"으로 이동시키고 회전 다이얼(126b)을 누르게 되면,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리스트에 부가된다. 이용자가 전송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그 영상 데이터를 이와 같이 전송할 때에, 이용자는 GUI의 한 항목으로 포커스(F)를 복귀시키고 "전송 시작/중지"를 선택한다. "전송 시작/중지"가 선택될 때에, 이용자 PC(106)의 CPU(120)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웹검사모드는 인터넷과 같은 망에 연결시키고 브라우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이다. 웹검사모드가 선택될 때에, 도 7a에 도시된 화면은 CPU(120)의 제어하에서 표시부(124)상에 표시된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웹검사모드는 웹 브라우져(browser)를 보여주는 브라우져 표시화면(41), 브라우져 표시화면(44)상의 표시자원(display resource)으로 입력된 URL을 나타내는 URL표시필드(45), GUI와 상태 윈도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웹검사모드가 선택될 때에, CPU(120)는 하드 디스크(123)내에 저장된 브라우져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인터넷 익스플로러(마이크로 소프트사)와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넷스케이프 통신회사의 등록된 상표))를 실행하며 표시화면이 상기한 브라우져 소프트웨어에 의해 브라우져 표시화면(44)상에 나타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웹검사모드에서 GUI는 브라우징할 때에 지시 항목 을 선택하기 위한 "브라우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브라우징"은 소정의 웹 페이지로의 점프를 지시하는 항목("jump")과 브라우져(browser)를 동작시키는 항목(예를 들면, "Next" 또는 "Return)을 나타내고 있다. 이 모드에서 "조작"(operation)은 인터넷과의 연결/단절을 지시하는 항목("Connect/disconnect Net"), 브라우져 표시화면(44)으로 포커스(F)를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항목("Move focus")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 다이얼(126b)을 회전시킴으로써 희망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포커스(F)를 희망하는 항목으로 이동시켜서 조작 다이얼(126b)을 누르게 된다.
이러한 "웹검사"는 이용자가 URL을 입력하는 것과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브라우징 처리를 수행하도록 허용한다.
그 후에, 라이브 예약모드는 인터넷(103)을 통해 서버예약 제어쎈터(101)(도 1참조)에 연결되어지는 시간대를 예약하고, 개인 캐스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방송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라이브 예약모드가 선택되면, 도 8a에 도시된 화면은 CPU(120)의 제어하에서 표시부(12)상에 표시된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라이브 예약모드는 상기 웹검사 모드와 예약리스트 표시영역(46)과 마찬가지로 브라우져 표시화면(44), URL 표시필드(45), GUI와 상태 윈도우(SW)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라이브 예약모드의 "조작"은 인터넷과의 연결/단절을 지시하는 항목("connect/disconnect net")과 브라우져 표시화면(44)으로 포커스(F)를 이동하라고 지시하는 항목("Move focus")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모드에서 GUI는 상기 웹검사모드의 경우와 같이 "브라우징"을 도시하고 있으며, "브라우징"은 웹페이지로 점프하여 라이브 예약을 지시하는 항목(예를 들면, "Next" 또는 "Return"등)과 브라우져를 동작시키는 항목("Next" 또는 "Return"등)을 도시하고 있다. 조작 다이얼(126b)을 회전시킴으로써 희망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포커스(F)를 희망하는 항목으로 이동시켜서 조작 다이얼(126b)을 누르게 된다. 한편, 라이브 예약을 하는 웹페이지는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의 후술되는 라이브 캐스팅 서버가 하드 디스크내에 저장하는 웹페이지를 언급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용자가 개인 캐스팅 서비스를 이용하여 라이브 분배를 위한 예약을 할 때에, 이용자는 웹페이지로 점프하여 분배를 위한 예약을 하도록 지시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결정한다. 그 후에, CPU(120)는 인터넷(103)을 통해 라이브 캐스팅 서버에 억세스하여 라이브 예약을 하고 그에 의해 관련된 라이브 캐스팅 서버로 예약요청정보를 전송하고 라이브 캐스팅 서버로부터 예약설정정보를 다운로딩하는 것과 같이 예약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약리스트 표시영역(46)은 이용자에 의해 상기 서버예약 제어쎈터(101)로 이루어진 예약의 콘텐츠의 리스트를 도시하며 각 예약에 대한 예약시간대와 같은 개략적인 정보를 표시한다. 이용자가 조작 다이얼(126b)을 회전하여 포커스(F)를 예약리스트 표시영역(46)으로 이동시키고, 조작 다이얼(126b)을 눌러 희망하는 예약정보를 도시하는 예약리스트 표시영역(46)상의 한 항목을 선택하면, CPU(120)는 상기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의 라이브 캐스팅 서버의 예약을 검사하기 위해서 웹페이지로 점프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용자PC(106)와 서버예약 제어쎈터(101)간의 예약관련 처리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기술될 것이다.
그리고 라이브 분배모드는 전화망(104)과 전용서버 연결망(108)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102)(도 1 참조)로 연결하고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 데이터와 같은 콘텐츠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102)로 전달하기 위한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 콘텐츠 데이터는 스트리밍 서버(102)에 의해 요청을 전송한 고객PC(107)로 스트림 분배되어진다(stream distributed). 이에 의해 이용자는 실시간으로 개인방송을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 분배모드가 선택되면, 도 9a에 도시된 화면은 CPU(120)의 제어하에서 표시부(124)상에 나타난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라이브 예약모드는 효과표시필드(48), 스트리밍 서버(102)로 전송된 영상, 즉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에 의해 촬상된 소정의 효과 등이 부가된 영상을 표시하는 미리보기화면(47), GUI와 상태 윈도우(SW)를 도시하고 있다.
라이브 분배모드에서 상태 윈도우(SW)는 분배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방송정보, 분배가 시작된 후 경과된 시간을 나타내는 분배경과 시간정보, 서비스 제공자측에서의 시간정보, 이용자PC(106)측에서의 시간정보, 예약시작시간과 예약종료시간을 나타내는 예약시간대 정보, 영상크기정보, 분배 데이터 전송율(비트율)을 나타내는 비트율 정보, 분배된 영상 데이터 제목이름 정보, 연결된 스트리밍 서버(102)와 채널을 나타내는 연결 목적지 정보와 스트리밍 서버(102)에 의해 스트림 분배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고객의 수를 나타내는 시청자수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같이, 라이브 분배모드에서 GUI의 "조작"은 인터넷과의 연결/단절을 지시하는 항목("Connect/disconnect Net"), 라이브 분배의 시작/종료를 지시화는 항목("Start/finish distribution"), 효과표시필드(48)내에 도시된 효과를 설정하는 효과설정항목("set effect"), 효과표시필드(48)로 포커스(F)를 이동시키라고 지시하는 항목("Move focus")등을 포함하며, 조작 다이얼(126b)을 회전시킴으로써 희망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포커스(F)를 희망하는 항목으로 이동시켜서 조작 다이얼(126b)을 누르게 된다. 여기에서, 이용자가 라이브 분배의 시작/종료를 지시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결정하면, CPU(120)는 상기 라이브 예약모드의 라이브 캐스팅 서버로부터 공급된 예약설정정보에 따라 전화망(104)과 전용서버 연결망(108)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102)에 연결한다. 그후에, 스트리밍 서버(102)와의 연결이 설정되면, CPU(120)는 예약설정정보내에 설정된 내용(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율 등)에 따라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서버(102)로 전송한다. 통신/연결후에, 스트리밍 서버(102)와의 통신/연결의 처리와 동영상 데이터전송처리등은 나중에 후술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라이브 분배모드의 효과표시필드(48)는 조작버튼(126c)내의 버튼(A, B)(버튼의 상부면에 "A"와 "B"로 표시됨)의 각각에 대해 수직방향의 순서대로 효과이름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최상부의 효과이름은 현재 선택된 효과이름이다. 도면의 예에서는, 버튼(A)이 위로부터 시작하여 "심장패턴표시", "없음", "클래핑소리"등과 같은 선택후보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이용자가 조작 다이얼(126b)을 회전할 때에 이동하는 포커스(F)에 의해 둘러싸인 효과이름, 즉 상부에 도시된 현재 선택된 효과이름에 대응하는 효과의 할당을 지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조작버튼(126c)의 버튼(A)을 누르면, 포커스(F)에 의해 선택되고 둘러싸인 효과이름에 대응하는 효과는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 첨부된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 버튼(A)이 눌려지면, "클래핑소리(Clapping sound)"에 대응하는 효과가 되는 박수(clapping)소리를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 데이터에 부가시키는 처리가 실행된다. 상기 포커스(F)가 이동한다는 것은 회전 다이얼(126b)의 조작에 의해 포커스(F)가 이동하지는 않으나 효과이름의 표시 스트링이 스크롤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포커스(F)는 표시 스트링상에 표시된 "효과이름"상에서 이동한다.
버튼(B)은 포커스(F)에 의해 현재 둘러싸인 즉, 선택된 효과이름 "제목부여(Title impose)"를 도시하며 이것의 아래에는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시작하는 "BGM1", "단색영상", "제목부여"....와 같은 효과이름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포커스(F)에 의해 둘러싸인 효과이름에 대응하는 효과가 부가되어지도록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조작버튼(126c)의 버튼(B)을 누르는 이용자에 의해, 포커스(F)에 의해 둘러싸인 효과이름에 대응하는 효과가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 부가된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 버튼(B)이 눌려지면, "Title impose"에 대응하는 효과가 되는 제목이름을 중첩하는 처리가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실행된다. 여기에서, 버튼(A)에 대응하는 효과처리는 일시적으로 부가되는 처리인 "클래핑소리"의 부가이다. 한편, 버튼(B)에 대응하는 효과처리는 연속적으로 부가되는 처리이다. 그러므로, 토글버튼은 이용자PC(106)의 조작버튼(126c)의 버튼(B)으로 이용된다. 일단 눌려지면, "단색영상"과 같은 효과부가처리는 버튼이 다음 번에 눌려질 때까지 계속된다.
게다가, 이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프리세트(preset) 효과이름은 화면의 버튼(B)에 대응하는 효과이름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효과는 버튼 조작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효과가 후술되는 효과설정에서 변경되지 않는다면 연속적으로 부가된다. 도면의 예에서는, "날짜/시간(Date/time)"이 설정되며 이 경우에서는, 날짜/시간이 분배되는 동영상 데이터내에 항상 중첩된다.
상기 효과처리는 라이브 분배가 수행될 것이라는 가정하에서 실행된다. 즉,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129)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될 것이라는 가정하에서 실행된다. 즉, 라이브 분배가 수행되면, 이용자PC(106)는 실시간으로 촬상된 영상을 전송하며 촬상된 영상에 효과를 부가할 때의 조작이 단순화되어지도록 요구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버튼(A) 또는 (B)를 누르는 단순한 조작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버튼(A) 또는 (B)를 누르는 단순한 조작에 의한 효과의 부가처리(processing of adding)를 지시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에, 버튼(A) 또는 버튼(B)이 다시 눌려지면(depressed), 효과표시필드(48)에서 포커스(F)에 의해 둘러싸인 효과이름에 대응하는 효과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므로, 효과표시필드(48)내에 도시된 효과이름과 표시순서가 이용자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포커스(F)가 이동되어지는 양은 요구되는 효과를 부가시키기 위해서 증가하며, 이로 인해, 조작 다이얼(126b)을 회전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희망하는 타이밍에서 희망하는 효과를 부가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라이브 분배모드에서 상기 GUI로부터 "효과설정(Set effect)"(도 9b 참조)을 선택하면 이미 제공된 많은 효과중에서 어느 효과가 어느 순서에 따라 상기 효과표시필드(48)내에 표시되어야 하는지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도 11은 상기 GUI의 "효과설정"이 선택될 때 표시부(24)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도면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설정화면, 버튼(A)와 (B) 그리고 프리세트 버튼이 제공된다. 도 11a의 버튼(A)에 대응하는 효과설정을 수행하는 화면은 일시적으로 할당되고 제공되는 많은 효과이름 즉, 화면의 좌측의 버튼(A)에 대응하는 효과이름을 리스트하는 버튼(A)효과 리스트 필드(50a)와 상기 화면의 우측의 효과표시필드(48)내에 표시된 등록 리스트 필드(52)를 도시하고 있다. 등록 리스트 필드(52)는 버튼(A)등록 리스트 필드(52a), 버튼(B)등록 리스트 필드(52b)와 프리세트 등록 필드(52c)를 표시한다. 버튼(A) 설정화면상에서는, 버튼(B)등록 리스트 필드(52b)와 프리세트 등록 필드(52c)의 표시 칼라가 버튼(A)등록 리스트 필드(52a)의 표시칼라와는 다르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현재 설정가능한 등록필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버튼(A)효과 리스트 필드(50a)에서는, 이용자가 효과처리를 위해 많은 제공된 실행가능한 효과이름을 스크롤 업과 다운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화면상에서는, 이용자가 버튼(A)등록 리스트 필드(52a)내에 표시된 효과중에서 효과표시필드(48)내에 표시되는 효과를 선택하고 선택된 효과를 버튼(A)등록 리스트 필드(52a)내에 드래그(drag)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버튼(A)에 대응하는 희망하는 효과가 희망하는 순서로 효과표시필드(48)내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버튼(B)에 대응하는 효과가 설정되면, 도 11b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의 우측에는, 연속적으로 부가되어 제공되는 효과이름 즉, 버튼(B)에 대응하는 수 많은 효과이름을 표시하는 버튼(B)효과 리스트(50b)가 표시된다. 버튼(B)효과 리스트(50b)에서는, 이용자가 효과처리를 위해 많은 제공된 실행가능한 효과이름을 스크롤 업과 다운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화면상에서는, 이용자가 버튼(B)효과 리스트 필드(50b)내에 표시된 효과중에서 효과표시필드(48)내에 표시되는 효과를 선택하고 선택된 효과를 버튼(B)등록 리스트 필드(52b)내에 드래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버튼(B)에 대응하는 희망하는 효과가 희망하는 순서로 효과표시필드(48)내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프리세트 효과가 설정되면, 도 11c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의 우측에는, 연속적으로 부가되어 제공된 많은 효과이름을 표시하는 프리세트 효과 리스트(50c)가 표시된다. 이러한 프리세트 효과 리스트(50c)에서는, 이용자가 효과처리를 위해 제공된 많은 실행가능한 효과이름을 스크롤 업 및 다운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화면에서는, 이용자가 프리세트 효과 리스트 필드(50c)내에 표시된 효과중에서 효과표시필드(48)내에 표시되어지는 효과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효과를 프리세트 등록 리스트 필드(52c)내로 드래그한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프리세트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라이브 분배를 수행할 때에, 이용자는 일반적으로 부가되는 효과의 형태의 설정된 개념, 그러한 효과를 부가하는 타이밍과 순서 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의 개념에 근거하여 효과들이 가산되는 순서와 부가되는 효과의 형태를 고려하여 설정이 이루어지면, 라이브 분배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용자의 개념을 좀 더 충실하게 재생하게 되는 효과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용자PC(106)는 상술한 캡쳐모드, 업로드 모드, 웹검사 모드, 라이브 예약모드와 라이브 분배모드와 같은 5개의 기능이 제공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하드 디스크(123)내에 저장할 수 있다. 게다가, 이용자PC(106)는 또한 라이브 분배를 위한 예약이 이루어질 때에, 후술되는 예약설정 정보파일을 자동적으로 포함시키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스트리밍 서버(102)와의 통신/연결을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능은 상세히 후술된다.
A-3. 서버예약 제어장치.
상술한 바와같이, 이용자PC(106)가 방송매체로서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면,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된 개인 캐스팅 서비스에서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시간대에서 스트리밍 서버(102)의 이용에 관한 예약을 하는 것이 필 요하다. 다음에, 스트리밍 서버(102)의 이용예약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자측의 서버예약 제어쎈터(101)는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버예약 제어쎈터(101)는, 모두 LAN에 상호 연결되어 있는,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 예약 데이터베이스(151), 이용자 데이터베이스(152), NTP(Network Time Protocol)서버(153), 망 인터페이스(154)와 데이터베이스 서버(155)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의 상기 각 부분은 망 인터페이스(154)와 전용라인(109)에 연결된 스트리밍 서버(102)를 통해 인터넷(103)에 연결된 이용자PC(106)와 고객PC(107)와 여러 가지 데이터를 교환한다(도 1).
라이브 캐스팅 서버(live casting server)(150)는 개인 캐스팅 서비스내의 라이브 분배 예약처리, 과금처리, 서비스 멤버 등록처리와 같은 모든 서비스를 제어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이다.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고객PC(107)로 라이브 분배되는, 이용자가 이러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권리를 얻기 위한 등록을 위한, 이용자로부터 예약을 수신하는 예약수신을 위한, 이용자가 예약을 확인 또는 변경하는 예약확인을 위한 그리고 프로그램표를 참조 프로그램표와 조회를 위한 등의 웹페이지를 하드 디스크내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용자PC(106) 또는 고객PC(107)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면, 이용자PC(106) 또는 고객PC(107)가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여 웹페이지를 브라우즈할 수 있다.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를 위해 제공된 웹페이지는 관련된 웹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요청한 PC측상의 브라우져 화면에 표시된 표시화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여기에서, 이용자PC(106)와 고객PC(107)와 같은 인터넷(103)에 연결가능한 PC를 이용하여, 이용자는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의 웹페이지의 상부 페이지(홈페이지)를 식별하기 위해 URL을 입력시키고 브라우징을 위한 요청을 할 때에, 도 13은 요청하는 PC측상에 나타나는 웹페이지 표시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의 웹페이지의 상부 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요청할 때에는, 상기 도시된 URL을 입력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다른 홈페이지상의 링크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관련 페이지로 점프하는 다른 방법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그인 하기 위한 암호와 이용자 ID를 입력하는 필드뿐만 아니라, "회원등록(Member registration)", "개인 캐스팅 TV란 무엇인가?(What is personal casting TV?)", "오늘의 라이브(Today's live)", 프로그램 안내(Program guide)", "나의 채널(My channel)", "라이브 분배예약(Live distribution reservation)", "프로그램 픽업(Program pickup)", "영상 스테이션(Image Station)"과 같은 링크 버튼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링크 버튼이 클릭되면, 각 링크버튼에 하이퍼 링크된(hyper-linked) 웹페이지는 PC측으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회원등록"이 클릭되면, 관련된 캐스팅 서비스에 적합한 회원을 등록시키는 웹페이지가 PC측의 표시화면상에 나타난다. 이것은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 후에, "개인 캐스팅 TV란 무엇인가?"가 클릭이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은 화면이 PC측상의 표시화면에 나타난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웹페이지는 상기 "회원등록" 웹페이지로 점프하기 위해 링크버튼 "등록 페이지로(To registration page)"와 개인 캐스팅 서비스의 회원등록을 지원하는 설 명을 도시하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표시화면은 개인 캐스팅 서비스와 처리절차의 개략적인 설명을 포함하고 있다.
"오늘의 라이브"가 클릭되면, 도 15에 도시된 화면이 PC측상의 표시화면에 나타난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웹페이지 화면은 오늘 분배되는 생방송 프로그램을 보여주며 상부에 서비스 제공자측의 현재시간(예약은 이 시간을 근거로하여 실행된다.)과, 특별 프로그램과 아래와 같이 오늘 분배되는 개인 프로그램의 분배시간, 제목, 분배자와 개요 등과 같은 항목의 정보리스트를 보여준다.(도면의 보기는 표시되는 항목의 이름을 기술하고 있으나, 상기 항목의 콘텐츠(분배자 이름과 제목 이름 등)는 실제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특별 프로그램"은 회사에 의해 공급된 콘텐츠이며 "개인 프로그램"은 이용자PC(106)와 같은 개인 이용자에 의해 공급된 콘텐츠를 의미한다. 게다가, 분배시간 대신에 "주문(On-demand)"으로 기술된 프로그램은 라이브 분배가 되어지나 분배 데이터가 미리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상에 저장되어 고객PC(107)의 요청에 의해 분배되는 주문형 분배 프로그램이 된다. 게다가, 개인 프로그램의 "용량"은 관련 프로그램의 콘텐츠의 분배를 수신할 수 있는 고객수의 용량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OPEN"과 "CLOSE"는 상기 용량과 같은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콘텐츠가 고객의 요청에 의해 현재 분배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OPEN" : 분배가능, "CLOSE" : 분배 불가능)
여기에서 상기 프로그램의 리스트의 "제목(Title)"은 링크 버튼이며 이 버튼이 클릭이 되면, 클릭이 된 "제목"의 생방송 프로그램의 상세한 정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이 화면상에서, 관련 프로그램의 분배시간 동안에 이용자가 정확한 암호를 입력하고 "재생(Replay)"버튼(175)을 클릭하면, 관련 생방송 프로그램을 위한 분배요청이 인터넷(103)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102)로 전송된다. 이에 의해 분배요청을 전송한 고객PC(107)는 스트리밍 서버(102)에 의해 관련된 생방송 프로그램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수신하며 실시간으로 이것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스트리밍 서버(102)에 의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분배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은 이러한 실시간 재생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재생 소프트웨어를 요구한다.(예를 들면, "Real player"(Real Networks Co., Ltd)와 "Windows Media Player)(Microsoft Corporation)등) 그러므로, 분배요청을 전송한 PC가 상기 재생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있지 않다면, "재생 소프트웨어"버튼(176)이 클릭된다. 이에 의해 상기 재생 소프트웨어를 PC로 다운로드하여 그것을 재생할 수 있으며 관련 PC에 의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서버(102)에 의해 스트림 분배된 콘텐츠를 볼 수 있다.
그 후에, "프로그램 안내"가 클릭이 되면, 도 17에 도시된 화면이 PC측의 표시화면에 나타난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웹페이지 화면은 현재 날을 포함한 월간 달력을 보여주며 달력의 칼라 배경상의 문자들에 의해 지시된 날짜에 분배된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표시된 프로그램의 리스트는 상술한 "오늘의 라이브"와 동일하다(도 16 참조). 이 표시화면상에서, 상기 월간 달력상의 희망하는 날짜를 클릭하면 관련 날짜에 대한 프로그램 리스트를 보여주게 된다. "오늘의 라이브"와 "프로그램 안내"를 위해 표시되는 화면은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것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수직축에는 시간을 수평축에는 채널을 보여주는 매트릭스 형태의 프로그램 표시컬럼(column)이 제공되는 신문의 TV컬럼과 같은 표시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목이름, 콘텐츠와 분배이름등은 관련 매트릭스내에 표시되며 이러한 표시형태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나의 채널"은 라이브 분배의 전송자가 될 수 있는 권리가 허용된 각 이용자(후술되는 프리미엄 회원으로 등록된 회원)에게 제공되는 웹페이지이다. 그리고 "나의 채널"이 클릭되면, 시간상의 실제 위치에서 라이브 분배의 예약 콘텐츠를 확인하는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게다가, "라이브 분배예약"이 클릭되면, 라이브 분배 예약을 하는 웹페이지가 표시되어지나, 이것은 나중에 상세하게 기술된다. 한편, 회원으로 등록되지 않은 이용자는 이용자ID 또는 암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상술한 이용자ID와 암호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처리시에 로그인(login)을 수행할 수가 없다. "나의 채널" 또는 "라이브 분배예약"이, 이와 같은 로그인 처리로 진행하지 않는 이용자의 PC상에서 클릭될 때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 점프가 이루어지지 않으나, 이용자가 회원으로 등록되기를 촉구하는 "개인 캐스팅 TV란 무엇인가?"로 점프가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픽업"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추천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웹페이지이며, 이것이 클릭되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추천된 프로그램에 관한 상세한 정보(도 16 참조)가 나타난다.
라이브 캐스팅 서버(15)는 하드 디스크내에 상술한 웹페이지를 저장한다.
도 12로 되돌아가서, 예약 데이터베이스(151)는 라이브 분배의 예약상황과 예약으로부터 발생되는 과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데이터베이스(151)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ID와 관련된 모든 예약을 위한 예약 시간대, 이용채널, 이용밴드(bps(bit per second))를 포함하는 예약 내용 정보, 예약이 설정되고 과금이 시간적으로 그 때에 기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과금 플래그 정보와 관련 예약이 완료되었을 때에 인증을 위해 이용되는 예약 ID를 저장한다. 이러한 각 정보는 후술되는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의해 예약처리시에 입력되며 후술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55)에 의한 인증처리시에 내장된 각 정보가 참조될 것이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152)는 개인 캐스팅 서비스를 수신하는 권리를 가지는 등록된 이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등록된 이용자에 대한 과금을 위해 이름, 이용자ID, 암호, e-mail 주소, 주소, 전화번호(셀룰러 전화와 팩스 번호), 신용카드 번호와 신용카드의 만기일과 같은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정보의 각각은 후술되는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의해 회원등록처리 동안에 입력될 것이며 후술되는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의해 예약처리 동안에 참조될 것이다.
NTP서버(153)는 중앙집중식으로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와 스트리밍 서버(102)와 같은 서비스 제공자측의 장치내의 시간정보를 제어하며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와 스트리밍 서버(102)는 NTP서버(153)로부터 시간정보를 얻으며, 획득된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라이브 분배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제어한다. 이것은 라이브 분배와 같은 서비스가 정확한 시간제어에 따라 동작해야 된다는 조건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측의 참조시간을 통일시키는 일은 서비스 제공자측의 장치가 되는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와, 스트리밍 서버(102)가 참조로서 서로 다른 시간을 이용하여 동작하지 못하도록 한다. 게다가, 이용자측의 장치가 되는 이용자PC(106)의 시간은 서비스 제공자의 시간과는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PC(106)의 이용자가 이러한 시간 차이를 인지하지 못한다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지정된 라이브 분배의 시작과 종료시간 사이와 이용자에 의해 인식된 라이브 분배의 시작과 종료시간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의한 예약처리는 이용자PC(106)에게 이러한 차이를 통보하며, 이러한 시간차이는 NTP서버(153)로부터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의해 얻어진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연산된다.
이용자PC(106) 또는 다른 불법적인 PC가 전용서버 연결망(108)의 억세스 포트로 스트리밍 서버(102)를 이용하고자 하는 연결요청을 전송할 때에, 데이터베이스 서버(155)는 전용서버 연결망(108)의 억세스 서버(도시 안됨)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억세스 PC가 유효한 예약을 한 PC(즉, 이용자PC(106))인지 아닌지에 대한 인증처리를 수행한다. 만약 그 PC가 상기 인증처리시에 유효한 PC라고 인증이 된다면, 스트리밍 서버(102)와 이용자PC(106)간의 통신/연결이 설정되며 이용자PC(106)는 스트림 분배처리를 실행하도록 스트리밍 서버(102)에게 요청한다. 이 경우, 스트리밍 서버(102)는 분배요청을 전송한 PC가 유효한 예약을 가지고 있는 PC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처리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서버(155)로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을 스트리밍 서버(102)로부터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155)는 그것이 유효한 예약을 가지고 있는 PC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인증처리는 예약 데이터베이스(151)를 참조함으로써 수행된다. 두 가지 종류의 상술한 인증처리는 나중에 후술될 것이다.
A-4. 스트리밍 서버
도 1에 도시된 스트리밍 서버(102)는 전용서버 연결망(108)을 통해 상술한 유효예약을 가지는 이용자PC(106)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데이터와 같은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인터넷(103)을 통해 분배요청을 전송한 고객PC(107)에 대해서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의 스트림 분배를 수행한다.
스트리밍 서버(102)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의 스트림 분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트리밍 서버(102)는 복수의 채널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일 시간대에서 복수의 분배자들은 스트리밍 서버(102)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서버(102)는 각 채널에 대해서 분배를 수신할 수 있는 소정의 사람수, 전송밴드(64kbps 또는 28.8kbps등)와, 서비스 요금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스트리밍 서버(102)를 이용하여 콘텐츠 분배를 수신하는 이용자는 상기 설정내용을 고려하여 예약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게다가, 스트리밍 서버(102)는 상술한 바와같이 이용자PC(106)와 같은 라이브 분배자로부터 전송된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처리를 수행하며 프로그램 간의 구간 또는 예약이 없는 자유 시간대 동안에 분배되는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자유 시간대에서 광고 콘텐츠의 분배처리를 수행한다.
게다가, 스트리밍 서버(102)는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에 의해 이용자PC(106)에 허용된 예약 콘텐츠에 따라 콘텐츠가 분배되어지는 고객PC(107)의 수에 대한 제한과 분배시간대를 제어한다. 이러한 처리는 후술될 것이다.
A-5. 라이브 분배를 위한 스트리밍 서버와 이용자PC간의 통신경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트리밍 서버(102)는 전용서버 연결망(108)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술한 라이브 분배가 수행될 때에, 이용자PC(106)는 전화망(104)망과 전용서버 연결망(108)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102)에 연결된다. 전용서버 연결망(108)은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에 의해 공급된 개인 캐스팅 서비스의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전용망이다.
여기에서, 스트리밍 서버(102)와 이용자PC(106)간의 통신/연결이 인터넷(103)을 통해 가능한 동안에는, 이러한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은 스트리밍 서버(102)에 연결되는 전용서버 연결망(108)을 제공하여 이용자PC(106)로부터 스트리밍 서버(102)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경로와 전송밴드를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전용망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사용된다. 이용자PC(106)가 인터넷(103)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용자PC(106)는 이용자PC(106)가 전화망(104)을 통해 계약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라고 부른다)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ISP는 이러한 개인 캐스팅 서비스의 등록된 회원 뿐만 아니라 복수의 인터넷 이용자의 PC로부터 연결요청을 수신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인터넷 이용자가 ISP와 인터넷(103)에 연결하면, 이용자PC(106)는 더 이상 라이브 분배를 위해 필요한 전송밴드를 확보할 수가 없다. 게다가, 이용자PC(106)는 라인이 사용중이라는 이유 때문에 ISP에 연결될 수 없다.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는 것은 희망하는 시간내에 실현될 수 있는 희망하는 비트율로 스트리밍 서버(102)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경로를 요구하고 있는 동안에는, 인터넷(103)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은 상술한 바와같이 열악한 연결환경과 같은 문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문제는 정상적인 서비스가 공급되는 것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은 인터넷(103)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전용서버 연결망(108)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방지한다.
여기에서는, 전용서버 연결망(108)이 스트리밍 서버(102)에는 연결되어지는 복수의 라인이 제공된다. 전용서버 연결망(108)을 위해 제공된 라인의 수는 동일한 시간대에서 스트리밍 서버(102)에 연결된 이용자의 최대수보다 더 많다(예를 들면, 연결이 허용된 이용자의 최대수가 10이라면, 라인의 수는 20이 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전용서버 연결망(108)의 억세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55)(도 12 참조)에 대해 접속을 요청한 PC에 대해 인증처리를 수행하고 접속요청을 한 PC가 정상적인 예약을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를 인증하도록 요청한다. PC가 이러한 인증처리시에 정상적인 예약이 없다고 판단되면, 접속요청을 한 PC로부터 나오는 호출이 바로 단절된다. 그러므로, 어느 불법적인 PC는 전용서버 연결망(108)의 라인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상기 인증처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한 개의 라인은 사용중에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연결이 허용된 이용자의 최대수가 제공된 라인의 수와 동일하다면, 불법 이용자는 개인 캐스팅 서비스를 방해하기 위해서 전용서버 연결망(108)의 억세스 포트에 동시에 복수의 호출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정상적인 예약을 가지는 이 용자의 PC는 연결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시된 바와같이 이용자의 최대수를 초과하는 라인을 제공하여 서비스가 불법 이용자에 의해 방해받게 되는 가능성이 감소된다.
게다가, 분배가 예약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기 전의 소정의 시간에서 이러한 개인 캐스팅 서비스는 스트리밍 서버(102)에 대한 연결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분배가 시작되는 시간 전에 인증과 같은 접속처리를 수행하고 예약된 분배가 시작되는 시간에서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른 이용자의 예약시간이 연속적이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전의 시간대를 예약한 분배를 수신하는 이용자의 연결이 분배가 시작될 때에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음의 시간대를 예약한 이용자에 의한 연결과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단지 분배만을 수신할 수 있는 이용자의 최대수에 대응하는 라인들은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이용자의 최대수의 두 배에 달하는 라인을 제공하면 이전의 시간대를 예약한 이용자에 의한 연결이 다음의 시간대를 예약한 이용자에 의한 연결을 중첩하는 경우라도 처리가 될 수 있다.
게다가, 스트리밍 서버(102)에 연결되는 전용서버 연결망(108)은 한 개의 캐리어의 망(예를 들면, 공중교환 전화망)을 위한 억세스 포트뿐만 아니라 복수의 캐리어의 망(예를 들면 ISDN망 또는 이동전화망)으로부터 억세스가능한 억세스 포트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PC(106)가 연결되는 캐리어를 선택하며, 관련 캐리어의 망에 대응하는 억세스 포트를 호출하여, 전용서버 연결망(108)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102)와의 통신/연결을 설정한다.
A-6. 고객PC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PC(106)로부터 스트리밍 서버(102)로 실시간 형태로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는 분배요청을 스트리밍 서버(102)로 전송한 고객PC(107)로 인터넷(103)을 통해 분배된다. 고객PC(107)는 상술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의 웹페이지(도 16 참조)로부터 분배요청을 전송하고 스트리밍 서버(102)의URL을 입력함으로써 분배요청을 스트리밍 서버(102)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스트리밍 서버(102)로 분배요청을 전송하고 스트리밍 서버(102)로부터 스트리밍 분배를 수신하는 PC를 참조하며 이러한 고객PC(107)는 실시간으로 스트림 분배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예를 들면, "Real player"(Real Networks Co. Ltd), "Windows Media player"(Microsoft Corporation)등) 그리고 분배가 수신될 때에 응용 프로그램을 실햄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분배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볼 수 있다.
B. 콘텐츠 공급 시스템의 동작
다음에, 라이브 캐스팅 서비스를 실현시키는 상기 구성에서 콘텐츠 공급 시스템(100)의 여러 가지 처리조작이 설명될 것이다.
B-1. 회원등록
우선, 이용자PC(106)의 이용자가 개인 캐스팅 서비스를 이용하여 라이브 분배를 수행할 때에,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의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회원등록을 신청하여 상기 개인 캐스팅 서비스의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는 권리를 얻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19는 이러한 회원등록을 신청할 때에 이용자PC(106)와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의 처리동작을 도시한 순서 흐름도이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원등록을 신청하기 위해서, 이용자PC(106)는 인터넷(103)에 연결하며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하는 요청을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로 전송한다(도 12 참조)(단계 Sa1). 여기에서, 이용자PC(106)가 인터넷(103)에 연결할 때에, 이용자PC(106)에 대한 전원이 먼저 구동되며 그 후에 상술한 응용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그 후에, 이용자가 웹검사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도 7a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부(124)상에 표시된다. 이러한 웹검사모드에서는, 이용자가 URL을 입력하여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의 웹페이지를 식별하며 브라우징을 요청한다.
이용자PC(106)가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하는 요청을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로 전송하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인터넷(103)을 통해 웹페이지를 이용자PC(106)로 전송한다.(단계 Sa2) 전송된 웹페이지를 수신한 이용자PC(106)는 브라우져 표시화면상에 웹페이지를 표시한다. (단계 Sa3)
이러한 브라우징 요청 또는 웹페이지 전송의 경우에는, 이용자PC(106)와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다음의 처리와 조작을 수행한다. 우선, 이용자PC(106)가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의 URL을 입력하고 브라우징 요청을 전송하면, 브라우져 표시화면(44)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내에 저장된 웹페이지의 상부 페이지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이용자는 회원등록을 신청하기 위해 "회원 등록"을 클릭한다. 이에 의해 이용자PC(106)의 CPU(120)는 인터넷(103)을 통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로 회원등록을 하기 위한 웹페이지 브라우징 요청을 전송한다. 그 후에,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회원등록 웹페이지를 전송하며 이것을 수신하여, 이용자PC(106)의 CPU(120)는 브라우져 표시화면(44)상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원등록화면을 표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원등록화면은 회원등록을 위해 입력되는 항목들의 이름과 관련된 항목을 입력하는 입력필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개인 캐스팅 서비스는 고객PC(107)의 상술한 기능 즉, 스트리밍 서버(102)에 의해 스트림 분배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일반회원과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서비스와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는 분배자로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리미엄 회원과 같은, 두 종류의 회원등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회원등록화면은 일반/프리미엄 회원을 위한 입력필드(210)와 프리미엄 회원만을 위한 입력필드(211)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표시화면에서는, 고객PC(107)의 이용자와 같은 일반회원으로서만 등록한 이용자는 입력필드(210)의 항목을 입력한다. 여기에서, 회원등록 입력화면은 입력된 내용를 취소하는 취소버튼(212)과 입력된 내용이 등록되도록 지시하는 입력버튼(213)을 표시하며 이용자가 입력버튼(213)을 클릭하면, CPU(120)는 입력필드(210)내에 입력된 내용이 인터넷(103)을 통해 등록정보로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로 전송되도록 지시한다.
한편, 이용자가 프리미엄 회원으로 등록할 때에는, 이용자가 검사박스를 검사하고 입력필드(210)와 입력필드(211)의 항목을 입력한다. 이용자가 이러한 항목의 입력을 완료하고 입력버튼(213)을 클릭하면, 이용자PC(106)의 CPU(120)는 상 기 회원등록 입력화면내에 입력된 것과 동일한 등록정보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것을 인터넷(103)을 통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로 전송한다. (단계 Sa4) 그리고 이용자PC(106)의 하드 디스크(123)내에 입력하여 저장한다.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상기 도시된 바와같이 인터넷(103)을 통해 이용자PC(106)의 이용자의 입력된 내용에 따라 생성된 등록파일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등록정보파일의 내용을 검사하고 그것이 등록이 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a5) 여기에서 처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어느 항목에 정보가 없을 때에는, 즉, 이용자가 그 항목내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았을 때에는, 이 사실이 재입력을 위해 이용자PC(106)로 통지된다. 게다가,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인터넷(103)을 통해 신용카드회사의 신용검사서버로 억세스하여 등록정보파일내의 신용카드가 유효한지를 검사하며 신용카드가 유효할 때에만 등록을 허가한다.
등록이 허가되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등록정보파일의 항목정보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152)내에 입력하며 이와같이 등록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a6) 게다가, 프리미엄 회원 등록처리에서는,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가 관련된 이용자에 대응하는 "나의 채널" 웹페이지를 생성하며 하드 디스크내에 저장한다.
이러한 등록처리가 완료되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인터넷(103)을 통해 이용자PC(106)에게 등록처리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통지한다. (단계 Sa7) 그리고 이러한 단계에 의해 회원등록처리가 완료된다.
B-2. 분배예약
상술한 회원등록처리가 완료될 때에, 이용자PC(106)의 이용자는 개인 캐스팅 서비스를 이용하여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며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대한 분배예약을 하여 실제적으로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는 분배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캐스팅 서비스에서는, 이용자가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대해 등록예약을 하고 예약된 라이브 분배시간의 소정의 시간전(예를 들면, 6시간전)까지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대한 예약을 재확인함으로써 예약이 성립된다. 예약을 한 이용자로 하여금 예약을 재확인시키는 것은 예약의 이행과 확립을 증진시키며 가짜 예약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이러한 개인 캐스팅 서비스는 등록된 이용자가 한 달을 예약할 수 있는 최대 프레임의 수(예를 들면, 1 프레임은 10분에 해당한다.)를 설정한다. 그러면 이것은 소수의 이용자들이 이 서비스를 독점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B-2-1. 예약등록
다음에는, 이러한 분배예약에 의해 예약등록이 수행되는 경우 이용자PC(106)와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의 처리조작에 대한 설명이 이용자PC(106)의 처리조작과 표시화면등의 순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 21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배예약이 이루어지면, 이용자는 이용자PC(106)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게 된다. 그 후에, 이용자는 라이브 예약모드를 선택하고 표시부(124)상에 도 8a에 도시된 화면을 개방한다. 이러한 라이브 예약모드에서는, 이용자가 조작 다이얼(126b)등을 조작하여, GUI의 선택항목이 되는 "예약 점프"를 선택/결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이용자PC(106)의 CPU(120)는 인터넷(103)에 대한 연결처리를 수행하고 웹페이지(도 13의 "라이브 분배예약"이 클릭될 때의 웹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요청하여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대한 분배예약을 하게 된다. (단계 Sb1) 이와같이, 이용자PC(106)는 웹페이지의 브라우징 요청을 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기능을 이용하여 "예약 점프"를 선택/결정함으로써 분배예약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용자PC(106)는 또한 URL을 입력함으로써 웹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 PC(106)는 URL을 입력하고 도 13에 도시된 홈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요청하여, 이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하고, "라이브분배예약"의 링크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웹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요청할 수 있다.
이용자 PC(106)가 라이브캐스팅서버(105)에 분배예약을 위한 웹페이지 브라우징요청을 하면, 웹페이지는 라이브캐스팅서버(150)로부터 인터넷(103)을 통하여 이용자 PC(106)로 전송된다(단계 Sb2). 전송된 웹페이지를 수신한 이용자 PC(106)는 그 웹페이지를 브라우져 표시화면(44)에 표시한다(단계 Sb3).
여기에서, 도 22는 브라우져 표시화면(44)에 표시된 분배예약 웹페이지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은 달력필드(220)와 달력의 칼라배경 윤곽문자(outline character)로 표시한 날짜상에 예약상황을 나타내는 예약상황표시필드(221)와 예약 신청을 지시하기 위한 예약버튼(223)과 예약입력필드(222)의 입력내용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버튼(224)을 나타내고 있다.
이 표시화면상에서, 이용자는 달력필드(220)의 원하는 예약날짜를 클릭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달력상의 칼라배경 상에 윤곽문자에 클릭한 날짜를 나타내도록 지시하게 되고, 인터넷(103)을 거쳐서 라이브케시팅서버(150)에게 그 날짜가 관련된 날짜 상에 예약상황을 표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이 요청을 수신하면,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그 날짜를 생성하여 예약데이터베이스(151)의 등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그 시점에서 관련날짜 상에 예약상황을 표시하고, 요청된 날짜에 예약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인터넷(103)을 거쳐서 이용자PC(106)로 전송한다. 이용자PC(106)의 CPU(120)는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약상황표시필드(221)를 표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예약상황표시필드(221)는 분배용량, 사용되는 전송밴드, 서비스요금, 각 채널마다 시간마다의 예약상황("예약 안됨(free)" 혹은 "예약됨(reserved)") 등을 표시하고, 이용자는 채널 및 시간대를 결정하고, 이 예약상황표시필드(221)를 참조하여 예약입력필드(222)의 항목들을 입력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분배용량과, 사용되는 전송대역과, 서비스요금은 각 채널마다 미리 설정되고, 콘텐츠의 분배자로서의 이용자PC(106)의 이용자는 예약상황표시필드(221)에 표시된 각 채널마다의 설정된 정보를 참조하여 원하는 서비스요금 및 용량 등과 일치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약입력필드(222)에 입력되는 항목들은 사용될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channel)"과, 예약날짜/시간을 지정하기 위한 "예약날짜/시간(reservation date/time)"과, "공개수준(disclosure level)"과, 콘텐츠의 제목을 입력하기 위한 "제목(title)"과, 그 콘텐츠가 속하는 장르를 입력하기 위한 "장르(genre)"와, 콘텐츠제공자의 이메일주소를 공개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이메일공개(e-mail disclosure)"와, 콘텐츠제공자의 웹페이지의 URL을 공개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WEB공개(WEB disclosure)"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패스워드(password)"와, "친구리스트(friend list)", 소정 갯수의 문자(예를 들어 20자)까지 콘텐츠의 개요를 기록하기 위한 "개요(outline)"와, 소정의 갯수(예를 들어 200자)까지 콘텐츠의 상세한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상세(detail)"이다.
예약입력필드(222)에서의 입력항목 "공개수준"은 이 예약에 기초하여 콘텐츠제공자로서의 이용자가 분배되는 콘텐츠제공의 공개수준, 즉 콘텐츠 수신자들의 제한을 특정하기 위한 아이템이고, "퍼블릭(Public)", "패스워드" 및 "비밀(Secret)"의 세가지 수준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퍼블릭"은 콘텐츠가 완전히 공개되는 것을 지정하는 것으로, "퍼블릭"이 지정되면, 일반회원으로 등록된 이용자들은 관련예약에 기초하여 콘텐츠분배를 통해 그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단, 정해진 용량내에서).
"패스워드"는 관련된 예약에 기초하여 콘텐츠제공을 수신할 수 있는 이용자들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유효한 패스워드를 입력한 이용자들만 콘텐츠분배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개수준이다. 이용자가 "패스워드"를 선택하면, 이용자는 이때 사용되는 패스워드를 미리 입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비밀"도 "패스워드"의 경우와 같이 유효한 패스워드를 입력한 이용자가 콘텐츠분배를 받을 수 있는 공개수준이다. 이용자가 "비밀"을 누르면, 이용자는 사용될 비밀번호를 미리 입력해둘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패스워드" 혹은 "비밀"이 선택되면, 관련프로그램 및 패스워드의 분배시간에 대한 정보가 후술하는 "친구리스트"에서 특정한 이메일주소로 통지된다.
또한, "패스워드"와 "비밀"은 콘텐츠가 특정이용자에게만 제공되게 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패스워드"가 선택되면, 이 예약에 기초한 프로그램이 상술한 "오늘의 라이브"와 "프로그램가이드"의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한편, "비밀"의 경우에는, 그 프로그램이 상술한 웹페이지상에 나타나지 않고 그 콘텐츠가 스스로 제공된다는 사실이 공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다르다. "비밀"이 선택되면, 콘텐츠가 분배되는 사실이 후술하는 "친구리스트"에 포함되는 이메일주소를 가진 사람에게만 통지된다.
이용자는 분배되는 콘텐츠를 고려하여 상술한 "공개", "패스워드" 혹은 "비밀"의 세 개의 공개수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소수의 특정인에게 콘텐츠분배를 하고자 한다면, 경제적인 면에서 볼 때 소용량(저렴한 요금)의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모두 공개할 경우에는, 상술한 특정인 이외의 사람들로부터 분배요청이 수신될 때, 상술한 특정인은 용량제한 때문에 콘텐츠분배를 받을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패스워드" 혹은 "비밀"을 선택함으로써 특정인으로의 콘텐츠분배를 신뢰도 있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약입력필드(222) 안의 "친구리스트" 입력항목은 이용자PC(106)의 이용자가 관련예약에 기초하여 어떤 채널과 어떤 시간대에서 콘텐츠가 분배될지를 통지해주고 싶은 사람의 이메일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필드이다. 여기에서,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관련된 예약에 기초하여 콘텐츠분배의 제공을 받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된 이메일주소로 전송한다.
상술한 예약입력필드(222)의 항목들의 입력이 완료되고 예약버튼(223)이 클릭되면, 이용자PC(106)의 CPU(120)는 예약입력필드(222)의 입력내용과 같은 내용이 있는 소정의 예약정보파일을 생성하여 이 소정의 예약정보파일을 인터넷(103)을 통하여 라이브캐스팅서버(150)에 전송한다(단계 Sb4). 도 22의 예에서는, 이용자는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예약입력필드(222)의 각 필드에 문자 등을 입력함으로써 입력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채널", "예약날짜/시간", "장르" 등의 소정의 입력내용이 있는 아이템에 대해서는, 이용자는 풀다운(pull-down) 메뉴로부터의 후보리스트로부터 선택/특정함으로써 입력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인터넷(103)을 거쳐서 상술한 이용자PC(106)의 이용자의 입력내용에 따라 생성된 원하는 예약정보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원하는 예약정보파일의 내용이 받아들일 수 있는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전송한다(단계 Sb5). 이러한 방식으로, 이용자PC(106)의 표시화면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하는 예약정보를 확인하라고 재촉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 경우,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예약에 기초한 서버스료, 후술하는 이용자PC(106)에 라이브캐스팅서버(150)로부터 전송될 예약설정정보의 전송자의 이메일주소 (이 이메일주소는 회원등록시에 이용자가 입력한 이메일주소임) 등을 확인하라는 재촉화면을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브분배를 예약한 이용자는 예약에 기초하여 예약시간의 소정시간전(예를 들어 6시간전)에 예약을 재확인해야만 하며,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이것과 재확인수행처리에 대해서 이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도 보여준다.
여기에서, 이용자가 상술한 확인화면상에 표시된 내용에 동의하면, 이용자는 동의버튼(240)을 클릭하게 되고, 동의하지 않으면, 취소버튼(241)을 클릭하게 된다. 일단 취소버튼(241)이 클릭되면, 이것이 라이브캐스팅서버(150)로 전송되고,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원하는 예약정보파일을 포기하고 이용자PC(106)의 표시화면상에 도 22에 나타낸 예약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재입력을 재촉한다. 한편, 동의버튼(240)이 클릭되면, CPU(120)는 이것이 인터넷(103)을 거쳐서 라이브캐스팅서버(150)에 전송되도록 지시한다(단계 Sb6).
동의버튼(24)이 클릭되면,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원하는 예약정보파일의 내용을 체크하고 예약이 허용되어야 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b7). 여기에서,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입력된 내용에 생략된 것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원하는 채널의 원하는 예약시간대에서 빈공간이 있는지 확인하고, 또한 예약을 신청한 이용자가 정해진 수의 프레임을 초과하는 예약을 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 이 라이브캐스팅서비스는 각 등록된 이용자마다 한달에 예약할 수 있는 프레임의 최대수(예를 들어 1프레임은 10분에 해당함)의 설정을 가지고 있다고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따라서, 예약을 허락할 지 여부를 체크할 때, 한달에 이용자에 의해 미리 예약된 프레임의 갯수가 상술한 프레임의 설정갯수를 초과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며, 설정된 프레임수를 넘으면 예약이 허락되지 않는다. 한편, 한달에 이용자가 미리 예약한 프레임수가 설정된 프레임수보다 작으면, 체크결과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다른 체크결과에 문제가 없으면 예약이 허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달에 이용자가 예약한 프레임갯수를 체크하기 위하여, 이용자데이터베이스(152)는 적어도 한달전부터 프리미엄회원으로서 등록된 모든 이용자를 위한 현재날짜까지 예약상황을 저장해둔다.
예약이 허락되면,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예약에 기초하여 예약이 수행될 때 인증을 위해서만 이용되는 예약 ID를 생성하고, 원하는 예약정보파일에 기초하여, 예약데이터베이스(151)(도 18) 내의 생성된 예약 ID와 예약한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ID, 친구리스트의 메일주소 등을 포함하는 예약내용정보, 사용되는 대역(bps: bit per second), 사용되는 채널, 예약시간대를 기록하고 등록한다(단계 Sb8). 한편, 이 예약등록시에, 과금(billing)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과금플래그정보가 과금이 "불가능"함을 나타내고, 재확인이 이루어지고 이후에 예약이 이루어지면, 과금플래그는 "가능"으로 재기록된다. 또한,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예약을 한 이용자에 대응하여, "나의 채널"의 웹페이지에 예약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고 기록한다. 또한, 예약에서의 공개수준이 "퍼블릭"이거나 "패스워드"이면,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오늘의 라이브"와 "프로그램가이드"의 웹페이지상의 이 예약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웹페이지를 갱신한다. 즉, 예약에 기초한 내용분배가 수행될 것이라는 정보가 브라우즈가 가능한 방식으로 저장된다. 이 경우, 인터넷(103)을 통하여 고객터미날장치(107)로부터 웹페이지를 브라우즈할 수 있고, 이 예약에 기초하여 라이브분배가 수행될 것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즉, "퍼블릭"이 설정되었지만, "패스워드"도 설정되었으면, 예약에 기초한 라이브분배가 수행될 것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웹페이즈를 브라우즈할 수 있고, 또한 어떠한 제 3자도 라이브분배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한편, "비밀"이 설정되면,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상술한 "프로그램가이드"와 "오늘의 라이브"의 웹페이즈에 대한 이 예약에 기초하여 수행된 라이브분배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밀"이 설정된 라이브분배에 대해서, 후술하는 전송된 이메일을 수신한 사람과 브라우즈한 사람과 같은 특정인만이 라이브분배가 수행된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러한 예약등록처리가 완료되면, 관련서비스가 사용될 때 저작권조정 및 금지 등을 표시하는 이용자에게 동의를 재촉하는 웹페이지가 이용자PC(106)에 전송되고 그 표시화면상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용자PC(106)로부터 동의 지시를 받으면,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이용자PC(106)에 재확인을 제외한 예약절차의 완료를 알리는 웹페이지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도 24는 이용자PC(106)의 표시화면에 표시된 예약절차완료화면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약절차완료화면은 이용자에게 재확인을 재촉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OK"버튼(245)이 클릭되면, 재확인을 제외한 예약절차가 완료되며, 이때부터,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이용자PC(106)에 생성된 예약ID를 포함하는 예약에 대한 이메일을 전송한다(단계 Sb9).
B-2-2. 재확인
상술한 바와 같이 예약이 수행되기 6시간 전에 예약을 재확인하라고 이 퍼스널캐스팅서비스는 이용자에게 요청하며, 이용자가 재확인을 하지 못하면, 예약은 강제로 취소된다. 따라서, 라이브캐스팅서버(150)로부터 이메일을 통해 예약 ID를 얻은 이용자는 예약을 확정하기 위하여 이용자PC(106)를 사용하여 예약을 재확인해야 한다. 상술한 예약ID가 수신될 때까지 예약절차는 라이브분배를 위하여 사용되는 PC와 다른 PC를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지만, 재확인을 위한 PC로서 라이브분배를 위해 이용되는 PC를 사용하는 것은 의무사항이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이용자PC(106)를 사용하여 재확인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재확인이 이루어질 때 라이브캐스팅서버(150)와 이용자PC(106)의 처리동작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재확인을 할 때, 이용자는 이용자PC(106)의 전원을 켜고, 상술한 응용프로그램을 시작시킨다(전원이 꺼진 경우에). 그리고, 이용자는 라이브예약모드를 선택하고 표시화면(124) 상의 도 8a의 화면을 보게 된다. 이 라이브예약모드에서는, 이용자는 조작다이얼(126b)을 조작하여 예약리스트필드(26)에 표시된 예약리스트(한 개일 수 있음)로부터 재확인할 예약을 선택/결정한다. 그리고, 이용자PC(106)의 CPU(120)는 인터넷(103)으로의 접속처리를 수행하고, 이용자에 대응하는 "나의 채널"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하기 위한 요청을 라이브캐스팅서버(150)에게 보낸다(단계 Sb10). 이러한 방식으로, 이용자PC(106)는 상술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기능을 이용하여 분배를 위한 예약을 하기 위한 웹페이지 브라우징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하기 위한 요청은 URL을 적절히 입력함으로써 전송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URL을 입력하고, 도 13에 나타낸 홈페이지의 브라우징요청을 전송하고, 이용자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한 뒤, "나의 채널"의 링크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웹페이지의 브라우징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나의 채널"의 웹페이지의 브라우징요청이 이용자PC(106)로부터 라이브캐스팅서버(150)로 전송되면,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이 웹페이지를 인터넷(103)을 통하여 이용자PC(106)로 전송한다(단계 Sb11). 전송된 웹페이지가 수신되면, 이용자PC(106)는 브라우져표시화면(44) 상에 이 웹페이지를 표시한다(단계 Sb12).
여기에서, 도 26은 브라우져표시화면(44) 상에 표시된 "나의 채널" 웹페이지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표시화면은 라이브캐스팅서버(150)에 대해서 이용자에 의해 현재 이루어진 예약의 목록인 예약리스트(250)와, 과거에 이용자에 의해 분배된 프로그램의 시청자수를 체크하기 위해 이 웹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버튼(251)과, 이용자데이터베이스(152)에 등록된 이용자의 등록정보파일(도 20 참조)을 수정하기 위해 웹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버튼(252)을 나타내고 있다. 이 표시화면은 예약을 취소하거나 수정하는 방법의 설명을 포함하며, 퍼스널캐스팅서버는 이용자가 채널 혹은 날짜/시간 등의 예약내용를 변경한다면 예약을 취소하도록 이용자에게 요구하고 다시 분배예약을 하도록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며, 이것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설명한다. 한편, 제목명 및 개요 등과 같은 채널 및 날짜/시간 이외의 정보가 예약을 취소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
예약리스트(250)는 각 예약마다, "예약시간/날짜", "채널", "제목", 이 예약이 "재확인 대기(waiting for a reconfirmation)"인지 또는 "재확인(reconfirmed)"인지의 상태를 가리키는 상태항목과 예약의 최소가 지시될 때 클릭되어질 "취소(cancel)" 버튼을 나타내고 있다(도면에 하나의 예약을 나타내었음).
이때, 만약 예약의 재확인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이 도면에 나타낸 상태항목에 "재확인 대기"를 표시하고, 예약재확인이 행해진 후에 이 페이지가 열리면, "재확인"이 표시된다. "재확인 대기"의 경우, 이것이 클릭되면, CPU(120)는 인터넷(103)을 통하여 라이브캐스팅서버(150)에 재확인화면의 브라우징요청을 전송한다. 이 요청에 응답하여,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인터넷(103)을 통하여 이용자PC(106)에 재확인 웹페이지를 전송하며, 도 27에 나타낸 화면이 이용자PC(106)에 표시된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확인화면에는, "이용자ID", "채널", "예약날짜/시간", "공개수준", "제목", "장르", "이메일공개", "웹공개", "패스워드", "친구리스트", "개요" 및 "상세" 등과 같은 관련예약에 대한 항목내용들이 표시된다. 이 표시화면에는 또한, 예약ID를 입력하기 위한 필드와, 예약 ID를 입력하고 재확인을 하도록 이용자에게 재촉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예약을 재확인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는 상술한 예약절차 중에 라이브캐스팅서버(150)로부터 전송된 이메일에 포함된 예약ID를 입력하고, 재확인버튼(261)을 클릭한다. 한편, 예약리스트(250) 등(도 26 참조)을 포함하는 "나의 채널" 화면으로 되돌아기 위해서, 이용자는 복귀버튼(262)을 클릭한다.
이때, 도 27에 나타낸 재확인표시화면으로부터 재확인버튼(261)이 클릭되면, 라이브분배에서의 스트리밍서버(102)와 통신/접속을 행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PC에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대응하는 PC 즉 라이브분배를 수행하는 PC 상에 재확인을 하라고 재촉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상술한 재확인버튼(261)이 클릭되면, 이용자PC(106)의 CPU(120)는 이용자가 재확인의 실행을 지시했다는 정보를 인터넷(103)을 통해 라이브캐스팅서버(150)로 전송한다(단계 Sb13).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PC(106)로부터 전송된 재확인실행지시를 수신한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예약데이터베이스(151)와 이용자데이터베이스(152)를 참조하여 이 예약에 대한 도 28에 나타낸 예약설정정보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b14). 이때, 예약데이터베이스(151)에 등록된 각 예약에 대한 정보 중에서,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예약에 기초하여 분배시작시간 6시간 전의 시점에서 예약데이터베이스(151)로부터의 예약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 예약을 취소한다.
즉, 분배시작시간 6시간 전의 시점 이후에 예약관련데이터는 예약데이터베이스(151)로부터 삭제된다. 그후, 예약시작시간 6시간 전 이후에 라이브캐스팅서버(150)가 재확인실행지시를 수신하면, 예약에 대한 데이터는 예약데이터(151)가 참조될지라도 더 이상 등록되지 않는다. 이 경우,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재확인이 실행되지 않았으므로 예약은 취소되었습니다. 예약을 하기 위해서는 분배예약절차를 다시 수행하세요" 등의 메시지를 붙인 웹페이지를 이용자PC(106)로 전송한다.
한편, 라이브캐스팅서버(150)가 분배시작시간 6시간 전보다 이전에 재확인실행지시를 수신하면,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예약설정정보를 생성한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브캐스팅서버(150)에 의해 생성된 예약설정정보파일은 "예약(reservation) ID", "라이브분배예약(live distribution reservation) 날짜/시간", "서버억세스가능시간(server accessible time)", "접속전화번호(connection telephone number)", "타겟서버정보(target server information)", "분배요청자주소정보(distribution requester address information)", "전송대역(transmission band)", "제목", "개요", "공개수준", "친구리스트주소정보" 및 "분배요청패스워드"를 포함한다.
"예약 ID"는 예약에 대해 생성된 예약 ID를 기술하고, "라이브분배예약 날짜/시간"은 예약된 분배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기술한다. "서버억세스가능시간"은 라이브분배를 수행하기 위해 스트리밍서버(102)로의 억세스가 허용되는 시간대역을 기술한다. 이 예에서는 분배시작시간의 3분전에서 분배종료시간의 3분 후까지 스트리밍서버(102)로의 억세스가 허용되는 것에 기초한 정보를 기술한다.
"접속전화번호"는 스트리밍서버(102)에 접속하기 위한 전용서버접속망(108)의 억세스포트의 전화번호를 기술하며, 이 예에서는 복수(이 도면에서는 4개)의 캐리어(전기통신사업자(carrier))들의 억세스포트의 전화번호를 기술한다. 후술될 스트리밍서버(102)로의 실제접속과정에서는, 이용자는 선택된 캐리어를 위한 억세스포트의 전화번호에 전화를 거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캐리어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타겟서버정보"는 "서버이름(server name)", "접속포트(connection port)", "서버의 스트림경로(stream path for server)" 등, 채널이 사용될 때 접속된 "서버의 형태(type of server)"와 같이 이 예약에서 선택된 채널에 따라 결정된 항목들을 기술한다. 이용자PC(106)와 전용서버접속망(108)의 억세스포트 사이의 통신/접속이 확립되면, 스트리밍서버(102)에 의해 예약된 채널을 사용하는 접속처리가 이 "타겟서버정보"의 기술(description)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분배요청자주소정보"는 고객PC(107)가 이용자PC(106)에 의해 스트리밍서버(102)에 전송되는 콘텐츠의 스트림분배를 요청할 때, 스트리밍서버(102)에 접속하기 위해 고객PC(107)에 의해 사용되는 URL정보를 기술 한다. 콘텐츠분배가 요청되면, 고객PC(107)는 인터넷(103)을 통하여 관련URL을 이용하여 스트리밍서버(102)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전송대역"은 예약된 채널에 따라 결정된 정보를 기술하고, 64kbps 및 28.8kpbs 등의 예약채널에 미리 설정된 전송대역에 대한 정보를 기술한다. "제목", "개요" 및 "공개수준" 각각은 예약시점에 등록된 내용을 기술한다(도 22 및 도 23참조). "친구리스트 주소정보"는 예약 시점에서 등록된 이메일주소를 기술한다.
"분배요청패스워드"도 또한 예약시점에서 등록된 패스워드정보를 기술한다. "공개수준"이 "퍼블릭"이면, 분배요청측에서는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분배를 요청할 수 있고, 이 경우, "분배요청패스워드"의 정보는 예약설정정보파일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라이브캐스팅서버(150)에 의해 생성된 예약설정정보파일은 스트리밍서버(102)와 통신/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서버의 접속포트 및 전화번호 등과, 후술하는 스트리밍서버(102)의 접속시점에서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예약ID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약설정정보파일은 라이브캐스팅서버(150)로부터 이용자PC(106)로 인터넷(103)을 거쳐 전송된다. 이 경우, 예약설정정보파일은 이용자PC(106)의 하드디스크(123) 상에 생성된 소정의 영역에, 예약설정정보파일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혼합(incorporation)시키기 위한 커맨드정보를 포함하며, 자동혼합이 정상적으로 종료되거나 실패한 것을 알려주는 메시지의 표시를 지시하는 커맨드정보를 포함한다. 분배자로서의 라이브캐스팅서버(150)로부터 전송되는 파일을 이용자PC(106)에 자동으로 기입하기 위한 기술로는, "ActiveX"(마이크로소프트사의 등록상표)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할 경우에는, 이용자PC(106)는 브라우져소프트웨어로서 "ActiveX"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마이크로소프트사)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커맨드들 및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텍스트데이터 등에 예약정보파일을 생성한 라이브캐스팅서버(150)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등의 암호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이 파일들을 암호화하여, 암호파일을 재확인완료화면을 표시하는 웹페이지와 함께 인터넷(103)을 통하여 이용자PC(106)에 전송한다(단계 Sb15).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브캐스팅서버(150)가 암호화한 예약설정정보파일 및 웹페이지를 전송하면, 이용자PC(106)의 CPU(120)는 이것을 수신하여 "ActiveX"의 기술을 이용하여 예약설정정보파일을 해독하고, 이 파일에 포함된 커맨드에 따라 하드디스크(123)의 소정영역에 이것을 자동으로 혼합하며(단계 Sb16), 브라우져표시화면(44)에 재확인완료화면을 나타낸다(단계 Sb17). 따라서, 이용자PC(106)는 상술한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여두고, 예약설정정보파일이 암호화될 때 이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또한, CPU9120)가 소정영역에 예약설정정보파일을 기록하면, 이용자PC(106)는 암호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고, 그 파일을 소정의 암호화시스템(DES 등)에 따라 기록하며, 이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이 예약설정정보파일은 암호화되고 저장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이용자는 자동적으로 혼합된 예약설정정보파일의 내용을 표시하거나 참조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전용서버접속망(108)의 억세스포트번호가 불필요하게 다수의 사람에게 공개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 서비스와 인터페이스를 할 의도로 전용서버접속망(108)의 억세스포트에 불법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도 29는 상술한 브라우져표시화면(44) 상에 표시된 재확인완료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화면은 서비스제공자의 현재시간과 이용자PC(106)의 시간을 나타낸다. 이때, 서비스제공자의 시간이란 라이브캐스팅서버(150)가 웹페이지를 전송할 때 NTP서버(153)로부터 얻은 시간정보를 말한다. 한편, 이용자PC(106)의 시간은 이용자PC(106)의 클럭에 의해 나타난 현재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용자PC(106)의 CPU(120)는 이들 시간 사이의 차이(분 단위로)를 계산하고, 차이가 있으면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차이를 경고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용자PC(106)의 이용자에게 서비스제공자와의 시간차이를 알려줘서 주위를 끌게 할 수 있고, 혹은 상술한 웹페이지와 함께 전송된 서비스제공자의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PC(106)의 시간을 자동으로 정정하기 위한 시간정정프로그램을 이용자PC(106)에 저장하고, 이용자PC(106)가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확인완료화면 웹페이지를 수신할 때, 이 정정프로그램을 수행하는 CPU(120)에 의해 서비스제공자의 시간에 따라 이용자PC(106)의 시간을 정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제공자와 이용자PC(106)가 같은 시간을 공유할 수 있게 되어, 시간의 정확도를 필요로 하는 라이브분배의 서비스를 유연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확인완료화면은 다이얼업 라우터(dialup router)를 이용하여 전용서버접속망(108)에 억세스하기 위한 특별 항목을 기술한다. 라이브분배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트림서버(102)와 통신/접속처리를 수행할 때, 이용자PC(106)는 상술한 예약설정정보파일(이후에 상세히 설명함)에 기술되어 있는 전용서버접속망(108)의 억세스포트로 억세스전화번호를 자동으로 호출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동전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CPU(120)에 의해, 이용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입력조작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도 통신/접속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용자PC(106)가 다이얼업라우터를 거쳐서 그 통신망에 접속되면, 다이얼업라우터를 통하여 전용서버접속망(108)에 접속되는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약설정파일에 기술된 전화번호에 의거해서 자동호출 처리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이용자는 억세스 포트의 전화번호 등을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특별 항목은, 다이얼업 라우터가 사용되고 이 경우에, 이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하여야 할 억세스 포트 번호, 로그인 ID(이 경우에 지정 ID) 및 패스워드가 표시될 때 수동설정의 필요성을 고려한 설명이다. 상기 기술된 예에서, 다이얼업 라우터를 이용하는 접속은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을 통해서만 허가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용자가 상기 확인화면의 표시를 확인하여 "OK"버튼(291)을 클릭하면, CPU(120)는 "OK"버튼(291)이 클릭되었다는 정보를 인터넷(103)(단계 Sb18)을 거쳐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로 전송하고 이용자측의 재확인 관련처리는 종료한다. 반면에, "OK"버튼(291)이 클릭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한 라이브 캐스팅 서버(105)는 예약 데이터베이스(151)를 참조해서 라이브 분배가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e-mail을 관련된 예약에 관한 "친구리스트(frient list)"에 등록된 e-mail 어드레스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 30은 상기 e-mail이 공개될 때 PC의 표시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나타낸다. 동일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e-mail은 "라이브 분배 날짜/시간", "제목", "개요", "분배요구자의 URL"(도 28의 "분배 요구자 어드레스 정보"를 참조), 공개수준이 "패스워드" 또는 "비밀"일 때 분배를 요구하기 위한 "패스워드"(도 28의 "분배요구 패스워드"참조)와 같은 정보를 나타낸다. 이용자 PC(106)의 이용자가 예약시에 표시되는 라이브 분배를 원하는 친구의 e-mail 어드레스를 등록하면, 이용자는 라이브 분배를 자동적으로 수신하도록 정보를 친구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라이브 분배를 실행하는 이용자가 전화로 라이브 분배를 수신하기 위해 정보를 전송하거나 관련정보를 포함하는 e-mail을 생성하는 것과 같은 귀찮은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필요성을 줄인다.
상기 설명에서, 상기 e-mail(도 30참조)을 "friend list"에 등록된 e-mail어드레스에 전송하는 처리는 재확인이 종료된 후에 실행되지만, 이용자로부터의 예약 요구에 의거해서 예약 데이터베이스(151)에 예약을 등록하는 처리(도 21의 단계 Sb8)가 종료될 때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의해 상기 e-mail 전송도 실행된다. e-mail이 예약 등록처리의 종료시에 전송되면, e-mail어드레스를 가진 자들은 라이브분배가 있다는 것을 좀 더 빨리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재확인 종료시에 다시 동일한 e-mail전송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도시한 바와 같이 e-mail을 전송하는데 덧붙여, 재확인 관련처리가 종료되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예약이 성립되고, 이 예약에 대한 예약 데이터베이스(151)의 과금 플래그 정보를 "enabled"로 재기록하고 예약에 대해서 과금 처리를 실행함을 뜻하는 것으로 여긴다. 여기서, 과금 합계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각 채널마다 미리 설정된 서비스 요금에 의거해서 계산된다. 예를 들면, 1프레임 당 100엔의 서비스 요금이 설정된 채널의 6프레임을 사용하는 예약이 수립되면, 예약에 대해서 600엔이 청구된다. 그러나, 실제 과금처리는 스트리밍서버(102)가 라이브 분배일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한 후에 실행된다.
상기 설명은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서 전송된 예약 설정정보를 암호화하여 자동적으로 저장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이용자 PC(106)가 사용된 경우를 기술하지만,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지 않은 PC는 파일을 자동적으로 혼합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예약설정정보파일을 PC에 혼합하기 위해서 다음 기술이 사용된다. 우선,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지 않아서 파일을 자동적으로 혼합할 수 없는 PC의 경우에는, 자동혼합이 실패된 정보는 PC의 표시화면에 표시된다.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덧붙여, 재확인 화면을 다시 브라우징하도록 요구하기 위해 "나의 채널(my channel)"(도 26 참조)화면으로 복귀하여 "재확인 대기(wait for reconfirmation)"를 클릭하도록 이용자에게 지시하는 다른 메시지가 동일한 화면에 나타난다. 반면에, 이용자 PC(106)로부터 재확인 버튼 "OK"를 수신하지 않고 이용자 PC(106)로부터 재확인 화면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는 라이브 캐스팅 서버(105)는 이용자 PC(106)가 예약설정 정보파일을 자동적으로 읽는 것을 실패하고 예약설정 정보파일을 다운로딩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이용자 PC(106)에 전송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결과적으로, PC측의 표시화면은 예약설정 정보파일을 다운로딩하는 버튼을 나타내며 이 버튼을 클릭하여 예약설정 정보파일의 다운로딩을 개시한다.
이것은 예약요구의 개시로부터 재확인 종료에 의해 예약의 수립까지의 분배예약 처리동작의 흐름이다. 이와 같이, 재확인이 종료된 후에도, 장르 및 개요와 같은 정보는 변경될 수 있으며, 재확인이 종료된 후라도 예약은 여전히 취소될 수 있다(이 경우에, 과금 처리는 상기 과금 플래그정보가 "enabled"이므로 실행된다). 이러한 변경 또는 취소가 이루어질 때의 동작처리를 이용자 PC(106)의 표시부(124)에 표시된 브라우져 표시화면(44)의 표시 내용을 참조해서 이후에 설명한다.
우선, 재확인 예약이 변경되거나 취소되는 경우에, "My channe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요구하는 동작은 상기 재확인이 이루어질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인터넷(103)에 대한 접속처리를 실행하고 관련된 이용자에 대응하는 "My channel"에 웹페이지를 브라우징하기 위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를 요구한다.
이용자 PC(106)가 "My channel" 웹페이지를 브라우징 하기 위해 라이브 캐스팅 서버(105)를 요구하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웹페이지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이용자 PC(106)에 전송한다. 전송된 웹이지의 수신시에, 이용자 PC(106)는 웹페이지를 브라우져 표시화면(44)에 표시한다.
여기서, 도 31은 브라우져 표시화면(44)(도 26참조)에 표시된 재확인 "My channel"웹페이지를 나타낸다. 재확인을 기다리는 "My channel"의 표시화면(도 26참조)과 비교하면, 재확인 "My channel"표시화면은 "재확인"이 예약목록(250)의 상태 항목에 표시되고 "change"링크버튼(310)이 표시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변경하기 위해서, 이 "change"링크버튼(310)은 클릭된다. "change"링크버튼(310)이 클릭되면,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change"링크버튼이 클릭된 정보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전송한다.
이것에 대응해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변경을 위한 웹페이지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이용자 PC(106)에 전송하고 그 결과, 이용자 PC(106)의 브라우져 표시화면(44)은 도 32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한다.
동일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화면은 현재 설정된 예약 내용과 이 표시 내용의 항목 "장르", "이메일 공개", "웹 공개", "패스워드", "개요" 및 "상세"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이들이 표시될 때, 변경될 수 있는 항목의 표시 색상은 변경될 수 없는 항목(예약 일시 등)과는 다르다.
이용자가 새로운 내용으로 현재 표시된 설정 내용를 덮어쓰고 갱신버튼(321)을 클릭한다. 내용이 변경되지 않으면, 이용자는 복귀버튼(322)을 클릭한다.
이후에, 이용자가 갱신버튼(321)을 클릭하면,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변경된 내용으로 정보파일을 생성하고 인터넷(103)을 통해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로 전송한다. 따라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변경된 내용을 갖는 정보파일에 의거해서 예약 데이터베이스의 등록 내용를 갱신하고 그 변경된 화면의 웹페이지를 인터넷(103)를 통해서 이용자 PC(106)에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브라우져 표시화면(44)는 도 33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한다.
동일한 화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이 수락된 메시지 상태에 덧붙여서, 변경종료화면은, 상기 재확인 종료화면과 동일한 방식으로 다이얼업 라우터가 사용될 때, 서비스 제공자측의 시간, 이용자 PC(106)측의 시간과 둘 사이의 시간차 및 특별항목을 나타낸다.(도 30참조) 여기서 "OK"버튼(331)을 클릭하여 변경을 종료하고 도 31에 나타낸 "My channel"화면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예약이 변경되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예약이 변경된 정보와 변경 내용 등을 포함하는 e-mail을 상기 friend list에 등재된 e-mail어드레스로 전송된다. 따라서, 이용자 PC(106)의 이용자는 라이브 분배의 예약 내용을 변경하거나 이러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e-mail을 생성하는 것을 전화로 통지할 필요 없이 라이브 분배의 예약 변경 내용의 친구리스트(friend list)를 e-mail어드레스를 가진 사람들에게 자동적으로 통보할 수 있다.
이후, 예약이 취소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재확인을 변경하는 경우와 같이, "My channe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요구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따라서, 브라우져 표시화면(44)는 도 31에 나타낸 재확인된 "My channel" 화면을 나타낸다.
예약을 취소하기 위해서, 이용자는 "취소" 링크 버튼(311)을 클릭한다. "취소" 링크 버튼(311)이 클릭되면,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취소" 링크 버튼이 클릭된 통지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전송한다. 이것에 대응해서, 라이브 분배 캐스팅 서버(150)는 취소에 대한 웹페이지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이용자 PC(106)로 전송하고 그 결과, 이용자 PC(106)의 브라우져 표시화면(44)은 도 34에 나타낸 취소화면을 표시한다.
동일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소화면은 현재 설정한 예약 내용 및 "예약 취소"버튼(341) 및 "복귀"버튼(342)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용자는 예약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예약취소"버튼(341)을 클릭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복귀"버튼(342)을 클릭한다.
이후, 이용자가 "예약취소"버튼(341)을 클릭하면,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예약이 취소되는 통지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05)에 전송한다. 따라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05)는 예약 데이터베이스(151)의 등록 내용을 삭제하고 취소 종료 화면의 웹페이지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이용자 PC(106)에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이용자 PC(106)의 브라우져 표시화면(44)은 예약이 취소된 것을 통지하는 도 35에 나타낸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용자가 "OK"버튼(343)을 클릭하면, 취소는 종료되고 도 31의 "My channel"화면은 복귀된다.
이와 같이 예약이 취소되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예약이 취소되었고 라이브 분배는 중지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상기 친구리스트에 등록된 이메일어드레스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용자 PC(106)의 이용자는 라이브 분배가 중지되거나 이러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메일을 생성하는 것을 전화로 통지할 필요없이 라이브 분배가 중지되는 것을 이메일어드레스를 가진 사람들에게 자동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상기 재확인이 이루어진 후 예약 내용을 확인하기를 원하면, 이용자는 도 31에 나타낸 화면에 나타낸 "재확인"버튼을 클릭한다. "재확인"버튼이 클릭되면,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정보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로 전송한다. 이것에 대응해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재확인 예약을 확인하는 웹페이지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이용자 PC(106)에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이용자 PC(106)의 브라우져 표시화면(44)은 현재 설정한 예약 내용, 다이얼업 라우터가 사용될 때의 특별항목, " PC접속설정 재입력(Reenter PC connection setting)"버튼(361) 및 "My channel"화면으로 복귀를 지시하는 "복귀(Return)"버튼(362)을 나타낸다.
"PC접속설정 재입력"버튼(361)이 클릭되면,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정보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에 전송한다. 이것에 대응해서,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예약설정정보파일(도 29참조)을 인터넷(103)을 통해서 다시 이용자 PC(106)에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이용자 PC(106)는 예약설정 정보파일을 자동적으로 혼합한다. 재확인을 위해 사용된 PC와 다른 PC가 라이브 분배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때에는 예약설정 정보파일의 재전송이 실행될 수 있다.
B-3 라이브 분배
상기 확인을 포함하는 분배예약이 종료되고 예약된 라이브 분배를 개시하는 시간이 다가오면, 이용자 PC(106)의 이용자는 전용서버 접속망(108)를 통해서 접속 하고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실행한다. 이후, 고객 PC(107)는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요구함으로써 콘텐츠의 공급을 수신한다.
B-3-1. 이용자 PC로부터 스트리밍 서버로의 콘텐츠 전송
이용자 PC(106)가 라이브 분배시에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버(102)에 전송할 때 이용자 PC(106)의 처리동작, 전용서버 접속 망(108), 데이터베이스서버(155)(도 12참조) 및 스트리밍 서버(102)를 처리동작의 순서 플로차트를 나타내는 도 3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라이브 분배가 실행되면, 스트리밍 서버(102)의 접속은 예약 라이브 분배를 개시하는 시각 5분 전부터 허가되기 때문에, 이용자 PC(106)와 스트리밍서버(102) 사이의 통신/접속을 수립하는 처리를 이 시점에서 개시한다. 이용자는 라이브 분배를 개시하는 시점 전에 콘텐츠 분배를 준비한다. 여기서, 콘텐츠 분배를 위한 준비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9)(도 3참조)의 위치를 촬영한 화상의 결정, 분배될 콘텐츠의 개념에 의거한 라이브 분배모드의 효과설정처리(도 10 및 도 11참조)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의 이용자 PC(106)는 예약된 라이브 분배 개시시간 전의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분전)에 "라이브분배가 곧 개시될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이용자에게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소정의 시간이 다가오면,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이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라이브분배가 곧 개시될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124)에 표시한다(단계 Sc1). 이것으로 이용자는 라이브분배 개시시간을 잊지 않게 된다. 여기서, 이용자 PC(106)가 상기 응용에서 라이브 분배모 드로 설정되지 않으면, CPU(120)는 이 응용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실행하여, 응용프로그램의 라이브 분배모드를 자동적으로 개시하여 표시화면(124)에 "라이브 분배모드"화면을 표시한다(도 9a참조).
이 후에, 스트리밍 서버(102)에 접속 개시가 허가되는 시간(개시되기 5분전)이 다가오면,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접속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스트리밍 서버(102)와 통신/접속 처리를 자동적으로 개시한다. 여기서, 개시된 통신/접속 처리는 전적으로 자동화되거나 이용자는 최종 접속개시에 대한 지시만을 입력할 수 있고 트리거로서 이 입력을 이용하여 통신/접속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상기 통신/접속 처리프로그램에 따른 CPU(120)에 의한 처리는 소정의 등록부(도 29참조)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예약설정 정보파일을 복호화하여 이 파일의 항목 "예약 ID", "서버억세스가능시간", "접속전화번호" 및 "접속서버정보"에 기술된 정보에 의거한 다음 통신/접속처리를 실행한다.
"서버억세스가능시간"으로 지정된 억세스가능한 개시시간이 다가오면, CPU(120)는 통신/접속처리를 개시하여, 예약설정 정보파일의 "접속전화번호"를 참조해서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캐리어의 억세스포트 전화번호를 취득하고 관련전화번호를 호출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CPU(120)는 예약 ID를 전용서버 접속 망(108)의 억세스 서버에 전송하고 통신/접속을 요구한다(단계 Sc2). 이와 같이 자동호출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전화번호 등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특히 라이브 분배의 경우에는, 키보드(126a)를 이용해서 정보 등을 입력함으로써 도 3b 또는 도 3c에 나타낸 방식으로 이용자 PC(106)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조작이며, 따라서 자동호출처리는 이용자에게 좀 더 편안한 콘텐츠 구축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억세스 포트에 접속을 요구하는 이용자 PC(106)가 유효한 예약을 가진 이용자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인증하기 위해서, 전용서버 접속망(108)의 억세스 서버는 보낸 예약 ID를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의 데이터베이스 서버(155)에 보낸다(단계 Sc3). 따라서, 전용서버 접속 망(108)에서 보낸 예약 ID를 수신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55)는 예약 ID가 현재 시점으로부터 개시하는 시간대에 있는 예약 데이터베이스(151)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색함으로써 인증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c4). 보낸 예약 ID가 예약 데이터베이스(151)에 등록되면, 억세스 서버는 이 예약 ID를 보낸 이용자 PC(106)가 유효한 예약인지와 보낸 예약 ID가 예약 데이터베이스(151)에 등록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고, 억세스 서버는 이 예약 ID를 보낸 이용자 PC(106)가 그 시간대에 유효한 예약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인증처리에 있어서, 상기 기술된 예약 ID만이 사용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면, 이용자 ID나 이 서버의 회원 패스워드를 이용해서 인증되면,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유효하고 억세스되는 회원으로 확인되는 경우라도, 회원이 그 시간대에 예약을 했는지를 판별할 수 없다. 따라서, 인증처리에 있어서, 이용자가 회원인지 아닌지를 인증할 필요가 있고, 예약의 등록 내용을 체크해서 이용자 ID를 가진 지정된 회원이 그 시간대에 예약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 이는 인증처리를 매우 복잡하게 만든다. 반대로, 상기 기술된 예약에 대한 인증용으로만 사용된 예약 ID가 사용되면, 예약 ID는 이용자만이 알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이용자 ID를 인증할 필요가 없고 예약 ID가 억세스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대에 예약으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간단한 인증처리를 통해서 이용자가 유효한 예약을 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예약 ID를 이용하여 인증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55)는 이 인증결과를 전용서버 접속망(108)의 억세스서버에 보낸다(단계 Sc5).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55)로부터의 인증결과가 유효 예약을 갖는 이용자에게 속할 때, 전용서버 접속망(108)의 억세스 서버는 이용자 PC(106)와 스트리밍 서버(102) 간에 접속을 허가하여, PPP접속과 양자 사이의 통신/접속을 수립한다(단계 Sc6). 반면에, 상기 인증결과가 유효 예약을 가진 이용자에 속하지 않을 때, 전용서버 접속망(108)의 억세스 서버는 이용자 PC(106)와 스트리밍서버(102) 사이의 접속을 허가하지 않고 즉시 이용자 PC(106)에서 호출을 중단한다. 따라서, 호출이 불법적인 이용자로부터의 것으로 판단될 때 호출을 즉시 중단시킴으로써, 회선은 유효한 예약을 가진 이용자에 대해서 보장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전용서버 접속망(108)을 통해서 스트리밍서버(102)에 접속될 때,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예약 ID를 스리밍서버(102)로 보내어 라이브분배를 요구한다(단계 Sc7).
이용자 PC(106)로부터의 라이브분배 요구를 수신한 스트리밍서버(102)는 보낸 예약 ID를 서버예약 제어쎈터(101)의 데이터베이스서버(155)로 보내서 라이브 분배를 요구한 이용자 PC(106)가 유효 예약을 가진 이용자에게 속하는지의 여부를 인증한다(단계 Sc8). 따라서, 스트리밍 서버(102)에서 보낸 예약 ID를 수신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55)는 이 예약 ID가 현재 시간으로부터 개시한 시간대의 예약 데이터베이스(151)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인증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c9).
여기서 인증처리는, 상기 전용서버 접속망의 억세스 서버(108)로부터 예약ID가 전송된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도시한 바와 같이 예약 ID를 이용하는 인증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155)는 이 인증결과를 스트리밍서버(102)로 보낸다(단계 Sc10).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155)로부터의 인증결과가 유효예약을 가진 이용자에게 속하는 경우에는, 스트리밍서버(102)는 이용자 PC(106)에 의해 라이브분배를 허가하고 허가 순서를 이용자 PC(106))로 보내어(단계 Sc11), 예약 데이터베이스(151)로부터의 예약(예약시간대, 채널 등)에 대한 정보를 구해서 이 정보에 의거한 라이브분배를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메시지 등을 표시하여 라이브분배가 허가된 것을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이용자로 하여금 콘텐츠 분배를 개시하도록 촉구한다. 이 통지의 수신시, 이용자는 조작다이얼(126b) 및 조작버튼(126c)을 적절하게 조작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9)로 촬영을 개시하여, 실시간 효과처리를 촬영한 비디오에 적용시킴으로써 얻어진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라이브분배의 시작을 지시하고 그 생성한 동화상 데이터를 전용서버 접속망(108)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서버(102)로 보낸다(단계 Sc12).
따라서, 이용자 PC(106)로부터 보낸 콘텐츠인 동화상데이터를 수신한 스트리밍서버(102)는 이 스트림-분배를 요구가 있는 고객 PC(107)에 대해서 실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라이브분배의 "공개수준"(도 22등 참조)이 "공개"이면, 스트리밍서버(102)는 라이브분배가 실행되는 채널 용량 내에 있다면 분배요구에 따라서 무조건적으로 스트림-분배를 실행한다. 반면에, "공개수준"이 "패스워드" 또는 "비밀" 이면, 스트리밍서버(102)는 라이브분배를 요구한 고객 PC(107)에게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촉구하여 유효한 패스워드를 입력한 고객 PC(107)에 대해서만 스트림분배를 실행한다. 스트리밍서버(102)와 고객PC(107) 사이의 분배요구 및 스트리밍 분배처리조작을 이후에 설명한다.
이와 같이 라이브분배가 개시되면, 스트리밍서버(102)는 NTP서버(153)에서 구한 서비스 제공자측의 시간정보와 라이브분배를 요구한 고객PC(107) 즉, 콘텐츠 분배를 요구한 고객의 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 PC(106)로 보낸다. 이후, 이용자 PC(106)의 표시부(124)에 표시된 상태 윈도우(SW)(도 9a참조)는 콘텐츠가 방송중인 정보, 분배시간이 경과된 정보, 서버제공자측의 시간정보, 이용자 PC(106)측의 시간정보, 청취자 수에 대한 정보, 예약시작/종료시간, 분배의 잔류시간을 나타내는 잔류시간정보, 화상크기정보 및 분배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한 정보 등을 나타낸다. 이 상태 윈도우(SW)의 표시와 관련해서, 이용자는 현재 처리중인 라이브분배에 대한 다양한 정보유형을 알 수 있다. 특히, 이것은 얼마나 많은 콘텐츠 전송자가 콘텐츠를 시청하는지에 관한 것이며 이는 라이브 분배가 다음에 실행될 때 채널을 선택(용량을 선택)하는데 기준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청취자수의 표시는 이용자에게는 중요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가 이용자 PC(106)로부터 스트리밍서버(102)로 보내지고 이용자 PC(106)의 이용자가 예약종료시간(서비스제공차측의 시간) 전에 라이브분배를 종료하면, 이용자는 조작다이얼(126b) 등을 조작해서 라이브 분배방식에서 GUI(도 9b참조)의 "분배 개시/종료"를 선택/결정한다. 따라서,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콘텐츠 전송을 종료하고 스트리밍서버(102)와의 접속을 중단한다(단 계 Sc13).
반면, 이용자가 예약종료시간 전에 개인적으로 콘텐츠 전송을 종료하면, 상기 처리는 실행되지만, 예약종료시간이 다가올 때 이용자 PC(106)로부터 스트리밍서버(102)까지의 콘텐츠전송이 진행중이면, 스트리밍서버102)는 예약종료시간이 다가올 때 고객 PC(107)에 대해서 이용자 PC(106)로부터 보내온 콘텐츠의 스트리밍 분배처리를 종료한다. 이용자 PC(106)와의 접속을 종료하기 위한 시간이 상기 "서버 억세스가능 시간"(도 29 참조)으로 나타낼 때, 스트리밍서버(102)는 이용자 PC(106)와 통신/접속을 강제적으로 중단한다.
B-3-2. 스트리밍서버로부터 고객 PC까지 콘텐츠의 스트리밍분배
상기 기술된 것은 라이브 분배중에 발신자단말인 이용자PC(106)로부터 스트리밍서버(102)로의 콘텐츠 전송처리의 세부내용이며, 스트리밍서버(102)는 이용자 PC(106)로부터 콘텐츠 전송을 수신하여 요구를 보낸 클라이언트 PC(107)로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수행한다. 콘텐츠 스트림 분배의 처리조작을, 분배요청을 보내는 고객 PC(107)의 표시화면 등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다음 설명에 있어서, 콘텐츠 분배의 "공개수준"(도 22참조)이 "패스워드" 또는 "비밀"이며 고객 PC(107)의 이용자가 콘텐츠 공급을 수신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고객 PC(107)의 고객 이용자가 콘텐츠 분배요구를 보내면, 고객 이용자는 고객 PC(107)에 전원을 인가해서 브라우져 소프트웨어를 기동한다. 이 후, 고객 이용자는 고객 PC(107) 상의 라이브 분배캐스팅 서버(150)의 웹페이지의 상부 페이지를 확인하기 위한 URL을 입력하고 고객 PC(107)의 CPU는 인터넷(103)을 통해서 웹페이지의 브라우징에 대한 요구를 라이브 캐스팅서버(150)에 보낸다. 따라서, 라이브 캐스팅서버(150)는 인터넷(103)을 통해서 웹페이지의 상부 페이지를 보내고, 그 결과로서 고객 PC(107)의 표시화면은 도 13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한다.
콘텐츠 분배를 수신하기 위해서, 고객 이용자는 예를 들어"오늘의 라이브"(도 15참조) 또는 "프로그램 안내"(도 17참조)와 같은 링크버튼을 클릭한다. 고객 이용자가 "프로그램 안내"를 클릭하는 경우, 도 17의 화면에 나타낸 달력상의 현재 날짜를 한번 더 클릭한다. 따라서, 그 날 분배된 프로그램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된다. 이 후, 이용자 고객은 표시된 프로그램으로부터 분배가 요구되는 프로그램의 "제목" 링크버튼을 클릭한다.
"제목" 링크버튼이 이와 같이 클릭되면, 고객 PC(107)의 CPU는 "제목"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웹페이지를 브라우징 하기 위한 요구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라이브 캐스팅서버(150)에 보낸다. 이 후,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는 지정된 라이브 프로그램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웹페이지를 인터넷(103)을 통해서 고객 PC(107)로 보낸다. 결과적으로, 고객 PC(107)의 표시화면은 도 16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한다.
고객 이용자가 상세정보를 가진 프로그램의 분배를 요구하면, 고객 이용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도 16에 나타낸 표시화면 상의 분배허가를 얻고 "재생"버튼(175)을 클릭한다. 고객 PC(107)가 실시간 재생 소프트웨어를 갖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고객 이용자는 "재생"버튼(175)을 클릭하기 전에 "재생 소프트웨어"버튼(176)을 클릭하여 미리 재생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한다.
패스워드가 입력되고, "재생(Replay)"버튼(175)이 클릭되었을 때, 고객 PC(107)의 CPU는 입력된 패스워드와 분배요청을 인터넷을 통하여 스트리밍서버(102)로 전송한다. 스트리밍서버(102)는 전송된 패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서버(155)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서버(155)는 전송된 패스워드가 유효한 것인지 아니면 보존데이터베이스(151)에 관련하지 않은 지에 대한 인증처리를 실행하고, 인증결과를 스트리밍서버(102)로 전송한다.
전송된 패스워드가 유효한 패스워드로 인증결과를 보여줄 때, 스트리밍서버 (102)는 콘텐츠 분배를 위하여 사용되는 채널에서 미리 설정된 용량에 의거하여 고객PC(102)로 분배를 실행할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더욱이, 스트리밍서버(102)는 콘텐츠의 분배를 실행하는 고객 PC(107)들의 수와 상기 용량을 비교하고, 콘텐츠 분배가 이미 상기 용량과 동일한 고객 PC(107)의 수로 실행되었다면, 스트리밍서버(102)는 더이상의 분배를 실행하지 않을 것이다. 즉, 분배요청시에 상기 용량의 고객 PC들에 대하여 콘텐츠의 분배가 실행되고 있을 때, 스트리밍서버(102)는 분배요청에 응답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콘텐츠를 수신하는 고객 PC(107)의 수가 분배요청시에 상기 용량보다 적다면, 스트리밍서버(102)는 요청하는 고객 PC들로 분배를 허용하고, 스트리밍서버(102)는 고객 PC들(107)로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실행한다. 이런 방식으로, 스트림 분배가 시작된다면, 고객 PC(107)의 표시화면은 도 3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그램 상세 정보표시화면상에서 재생 소프트웨어의 재생 표시화면(390)을 표시하고, 스트림-분배된 콘텐츠가 재생 표시화면(390)에서 실시간으로 재생된다. 이런 방식으로, 고객 PC들(107)의 이용자들은 실시간으로 라이브분배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보고, 들을 수 있다.
게다가, 스트리밍서버(102)는 프로그램의 분배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고객 PC(107)들의 수를 계산하고, 하나씩 분배를 수신하고, 이 계산 결과, 즉 콘텐츠 전송단말(상기 설명에서 이용자 PC(106))로 시청자의 수의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설명에서, 고객 PC(107)들은 스트리밍 서버(102)로 라이브 캐스팅서버(150)의 웹페이지를 통하여 분배요청을 전송하지만, 그러나 "친구 리스트"(도 22 참조)에 설정된 이메일의 주소를 가진 이용자가 고객 PC(107)를 사용하여 분배요청을 전송할 때, 이용자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라이브 캐스팅서버(150)로부터 전송된 이메일(도 30 참조)의 "분배요청자 주소정보"에 표시된 URL을 입력하거나 또는 표시된 URL을 클릭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PC(107)의 CPU는 URL로 지정된 목적지, 즉 스트리밍 서버(102)로의 연결 처리를 시작하고, 이것에 의해 스트리밍 서버(102)에 대하여 분배를 요청할 수 있다.
C. 수정안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후 기술되는 예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다.
(수정안 1)
상기 실시예에서, 스트리밍서버(102)는 이용자 PC(106)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고객 PC(107)로 스트림-분배한다. 스트리밍서버(102)는 스트림 분배처리를 실행하고, 하드 디스크와 같은 매체에서 이용자 PC(106)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주문-프로그램으로서 이것을 분배하는 것을 구성하는 재방송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늘의 프로그램" 상기 웹페이지(도 15 참조) 상에 재방송 프로그램을 게시하고, 요청하는 고객 PC(107)로 콘텐츠를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는 스트리밍서버(102)의 콘텐츠와 같이 실시간으로 이용자 PC(106)의 디지털 비디오카메라(129)에 의해 촬영된 동화상을 전송하여 콘텐츠 분배를 실행하지만, 이용자가 사전에 하드디스크(123)에서 이용자 PC(106)등을 사용하여 제작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지정된 분배시간에 스트리밍서버(102)로 콘텐츠를 전송하여 콘텐츠 분배를 실행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이용자 PC(106)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스트리밍서버(102)에 캡쳐되는 동화상과 같은 콘텐츠를 전송할 때, 이용자 PC(106)의 하드 디스크(123)에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콘텐츠 분배는 재차 라이브 분배를 위한 예약을 행하고, 이용자 PC(106)로부터 스트리밍서버(102)로의 재방송 프로그램으로서 저장된 콘텐츠를 분배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수정안 2)
상기 실시예에서, 스트리밍서버(102)는 이용자 PC(106)로부터 요청하는 고객 PC(107)로 전송된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나, 스트림 분배처리를 실행할 뿐만아니라, 하드디스크와 같은 매체에서 이용자 PC(106)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과 DVD-ROM(Digital Versatile Disc-Read Only Memory)과 같은 공지의 여러가지 패키지매체로 콘텐츠를 기록하고, 요청하는 이용자에게 콘텐츠를 분배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은, 서비스는 고객 PC(107)의 고객 이용자가 라이브-분배된 콘텐츠를 보고, 듣는 것을 허용하고, 분배될 패키지 매체에 기록된 마음에 드는 콘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허용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전용 서버연결 망(108)은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장치인 이용자 PC(106)와 스트리밍서버(102)간의 통신경로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충분한 전송대역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스트리밍서버(102)와 고객 PC (107)간의 통신경로는 인터넷(103)을 이용하는 것이고, 그러므로, 충분한 전송대역을 보호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고, 통신경로는 전송대역의 제한에 걸리기 쉽다. 그와 같은 전송대역의 제한으로 인하여 고객 PC로 분배되는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율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고, 이 경우, 콘텐츠의 재생되는 화상의 품질이 고객 PC(107)에서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서비스는 고품질의 영상 재생으로 마음에 드는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요청에 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패키지매체로 직접적으로 이용자 PC(106)에서 스트리밍서버(102)로 전송된 콘텐츠를 기록하고, 고객 이용자로 하여금 이용자 PC(106)에서 스트리밍서버(102)로 전송된 콘텐츠와 똑같은 품질의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고객 PC(107)를 이용하여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패키지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의 제공을 수신하는 고객이 패키지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고/표시하는 기능으로 제공되어 플레이어(PC와 다를 수 있음)를 이용하는 TV화면상에 재생되거나 표시된 콘텐츠를 시청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수정안 3)
상기 실시예는 이용자로 하여금 미리 예약된 시간대에만 라이브 분배를 실행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예약에 의거해서 라이브 분배가 진행 중에 있는 동안, 스트림서버(102)는 예약데이터베이스(151)를 참조하고, 현재 사용 중에 있는 채널의 예약시간이 종료된 후의 예약상황을 체크하여 어떠한 빈 공간이 있다면 "예약이
Figure 112006055648031-pct00043
Figure 112006055648031-pct00044
에게 연장될 수 있음"과 같은 메시지를 예약종료시간의 소정시간 전(예를 들면 10분전)에 이용자 PC(106)에게 보내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메시지 등을 수신한 이용자 PC(106)의 상태 윈도우(SW)(도 9a참조)는 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확장버튼은 상태 윈도우(SW)상에 표시되며, 이 확장버튼이 클릭되면, 이용자 PC(106)의 CPU(120)는 확장이 이루어지는 정보를 스트리밍서버(102)에 보낸다. 이것을 수신한 스트리밍서버(102)는 확장을 허가한다. 이와 같은 확장서비스의 실행은 분배자인 이용자 PC(106)의 이용자의 확장요구에 응할 수 있게 하고,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스트리밍서버(102)의 채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또한 허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수정안 4)
또한, 상기 실시예는 분배예약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의 하드디스크에 미리 설치되거나, 분배를 위하여 예약을 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처리 또는 라이브 분배를 위하여 다양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이용자 PC(106)의 하드디스크(123)에 미리 설치되는 경우를 기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과 DVD-ROM(Digital Versatile Disc-Read Only Memory)과 같은 패키지 매체로 구성하는 프로그램 저장매체를 재생함으로써 상기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이러한 프로그램이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반도체메모리 또는 광자기 디스크등과 같은 프로그램 저장매체를 재생함으로써 상기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들 프로그램 저장매체에 상기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로컬영역 망 또는 디지털 위성방송과 같은 유무선 통신매체를 이용하거나 이들 프로그램을 라우터 및 모뎀과 같은 다양한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저장할 수도 있다.
(수정안 5)
또한, 상기 실시예는 인터넷(103)이 이용자 PC(106)와 라이브캐스팅서버(150) 사이의 분배를 예약하기 위한 망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를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유형의 유무선 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이용자 PC(106)와 스트리밍서버(102)를 접속하기 위해 전용서버 접속망(108)이 준비되어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터넷(103)을 이용해서 양자를 접속할 수도 있다.
(수정안 6)
또한, 상기 실시예는 라이브 분배용 전송단말로서 내장형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29)를 갖춘 이용자 PC(106)를 사용하지만, 케이블을 이용하는 IEEE(Institu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1394 인터페이스 등을 거쳐서 접속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갖춘 표준 PC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갖춘 PC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블을 이용해서 접속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갖춘 셀룰러폰 또는 이용자 PC(106) 대신에 내장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갖춘 셀룰러폰을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 PC(106) 대신에 내장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는 셀룰러폰인 경우를 이후에 설명한다.
도 39에 있어서, 도면부호(200)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셀룰러폰(MS3)이 접속되어 있고 고정 무선국인 기지국(CS1∼CS4)이 통신서비스 공급영역을 원하는 크기로 나눈 결과로 인해 그들 각각의 셀에 위치되어 있는 망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들 기지국(CS1∼CS4)은 이동 무선국인 휴대정보단말(MS1 및 MS2)과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에 따라서 무선으로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 및 MS4)에 접속되어 있으며, 2[GHz]주파수대역을 이용해서 2[Mbps]까지의 데이터 전송속도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정보단말(MS1 및 MS2)과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 및 MS4)은 W-CDMA시스템에 따라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음성통신 뿐만 아니라 이메일의 송수신, 간단한 홈페이지의 브라우징, 화상의 송수신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통신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CS1∼CS4)은 유선회선을 통해서 전화망(104)에 접속되며, 이 전화망(104)은 인터넷(103) 및 다수의 가입자 유선단말(도시생략), 컴퓨터 망 및 옥내 망 등에 접속된다.
전화망(104)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억세스 서버(AS)에 또한 접속되며 억세스 서버(AS)는 관련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소유한 콘텐츠 서버(TS)에 접속된다.
이 콘텐츠 서버(TS)는 예를 들면 가입자 유선단말, 휴대정보단말(MS1 및 MS2) 및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 및 MS4)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소형 HTML(Hyper Text Markup Langage)형식으로 간단한 홈페이지와 같은 콘텐츠를 파일로서 제공한다. 이 소형 HTML은 반영될 수 있는 태그만을 유지하고 크기가 제한된 표시장치의 나머지를 제외함으로써 얻은 HTML서브세트이다. 예를 들면, NTT DoCoMo의 iMode(등록상표)는 셀룰러폰에 필요한 기능을 집중시키기 위한 i-mode HTML을 이용하여 30종류의 태그를 이용하고 문자속성 및 텍스트의 색상을 지정할 수 없고 2등급 GIF파일이 화상용으로 추천되도록 규제한다. 이동통신 프로토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으로 사용된 기술언어(descriptive languages)인 이 소형 HTML, HDML(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 및 WML(Wireless Markup Language)를 이용함으로써 제한된 표시영역과 표시용량을 갖춘 휴대단말에 의해 브라우즈된 간단한 홈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망 시스템(200)에 있어서, 인터넷(103)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서버예약 제어쎈터(101), 스트리밍서버(102)에 접속되며 가입자 유선단말, 휴대정보 단말(MS1 및 MS2) 및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 및 MS4)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서 서버예약 제어쎈터(101) 및 스트리밍서버(102)를 억세스할 수 있다. 기술된 예에 있어서, 콘텐츠 분배가 스트리밍서버(102)를 이용해서 실행될 때,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 및 MS4)은 콘텐츠를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전용서버 접속망(108)을 거쳐서 스트리밍서버(102)로 보내지만, 콘텐츠가 인터넷(103)을 거쳐서 보내지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휴대정보단말(MS1 및 MS2)과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 및 MS4)은 간단한 2[Mbps]의 전송프로토콜(도시생략)을 이용하는 기지국(CS1∼CS4)과 통신하며 기지국(CS1∼CS4)은 TCP/IP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인터넷(ITN)을 거쳐서 WWW서버(WS1∼WSn)와 통신한다.
그런데, 관리제어부(MCU)는 전화망(104)을 거쳐서
가입자 유선단말, 휴대정보단말(MS1 및 MS2) 및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 및 MS4)과 접속되어 가입자 유선단말, 휴대정보단말(MS1 및 MS2) 및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 및 MS4)에 대한 인증처리 및 과금처리를 책임진다.
그러면, 상기 이용자 PC(106)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의 외관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표시부(212)와 경계로서 가운데에 힌지부(211)를 갖춘 본체부(213)로 구분되며 힌지부(211)를 이용해서 접을 수 있다.
표시부(212)는 끼워 넣어지는 방식으로 상부 좌측에 설치된 송/수신 안테나(214)를 가지며 신호는 상기 안테나(214)를 통해서 기지국(CS3)에 송신 및 기지국(SC3)으로부터 수신된다.
또한, 표시부(212)는 거의 180도 각도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부 중심에 카메라부(215)가 설치되며 카메라부(215)에 장착된 CCD카메라(216)는 원하는 대상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여기서, 표시부(212)에 있어서 이용자가 거의 180도 각도로 카메라부(215)를 회전시키면, 카메라부(215)의 배면 가운데에 설치된 스피커(217)는 전면을 향하며 정상음성 전환상태를 제공한다.
표시부(212)는 전파의 수신상태, 배터리 잔량, 전화번호부로서 등록된 성명 및 전화번호, 전송이력, 이메일내용 및 카메라부(215)의 CCD카메라(216)로 촬영된 간단한 홈페이지 및 화상을 나타내는 LCD디스플레이(218)가 전면에 또한 갖추어져 있다.
반면에, 본체부(213)에는 숫자키 "0"∼"9", 호출키, 재다이얼키, 종료키 및 전원키, 삭제키 및 이메일키와 같은 조작키(219)가 갖추어져 있고 이러한 조작키(219)를 이용해서 다양한 명령를 입력할 수 있다.
본체(213)에는 조작키(219) 아래에 있는 메모버튼(220)과 마이크로폰(221)이 또한 갖추어져 있고 메모버튼(220)을 이용하여 통화중에 음성을 녹음할 수 있고 마이크로폰(221)으로 통화중에 이용자의 음성을 모을 수 있다.
본체부(213)는 조작키(219) 위에 조그다이얼(222)이 또한 갖추어져 있고, 이것은 선회 가능하고 본체부(213)의 표면에서 약간 도출되어 있으며, 조그다이얼(222)에 대한 회전조작에 따라 LCD디스플레이(218)에 표시된 전화번호부 및 이메일의 스크롤링, 간단한 홈페이지 및 이미지 공급조작 등의 롤링-업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조그다이얼(222)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LCD디스플레이(218)에 표시된 전화번호부에 있는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해서 조그다이얼(222)을 본체(213) 내부로 향해서 누르면, 본체(213)는 선택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관련 전화번호에 대한 자동호출처리를 실행한다.
그런데, 본체(213)는 배면에 배터리팩(도시생략)이 갖추어져 있고 호출종료키 또는 전원키가 켜지면, 배터리는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해서 동작되도록 한다.
반면, 본체(213)는 그 상부좌측에 제거가능한 메모리스틱(소니회사 상표명)을 삽입할 수 있는 메모리 스틱슬롯(224)이 또한 갖추어져 있고 메모버튼(220)이 눌려지면, 이 메모리스틱에 통신시에 상대방의 음성을 녹음하거나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이메일, 간단한 홈페이지 또는 CCD카메라(216)로 촬영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스틱(223)은 본 출원인인 소니회사에서 개발한 플래시메모리카드의 한 유형이다. 이 메모리스틱(223)은 플래시메모리소자이며, 21.5(H) × 50(W) × 2.8(D)[mm]의 작고, 얇은 플라스틱 케이스에 저장된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하며 프로그램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의 한 종류이며 10핀을 통해서 화상, 음성 및 음악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기록/독출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스틱(223)은 대용량의 메모리의 도입으로 인해 내부 플래시메모리의 설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사용된 장치와 호환성이 확보될 수 있는 독립된 시리얼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최대 1.5[MB/S]의 기록속도와 최대 2.45[MB/S]의 독출속도를 갖추어 고속실행을 행하며 오소거 방지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스틱(223)이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이 메모리스틱(223)을 통해서 다른 전자장치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집중 방식으로 표시부(212)와 본체부(213)를 제어하는 주제어부(250), 전원공급회로(251), 조작입력제어부(252), 화상엔코더 (253),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54), LCD(Liquid Crystal Display)제어부(255), 화상디코더(256), 다중화/분리부(257), 기록/재생부(262), 변/복조회로(258) 및 음성코덱(259)으로 구성되며, 이 모든 것은 메인버스(260)를 통해서 상호 접속되며, 화상엔코더(253), 화상디코더(256), 다중화/분리부(257), 변/복조회로(258) 및 음성코덱(259)은 동기버스(261)를 통해서 상호 접속된다.
이용자가 호출 종료/전원키를 키면, 전원공급회로(251)는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다른 부(section)로 공급하고 그것에 의해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 (MS3)을 동작하도록 한다.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마이크로폰(221)으로 모은 음성신호를 음성변환모드에 있어서 음성코덱(259)에 의해 디지털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변/복조회로(258)에서 스펙트럼 확산처리시키고, 송/수신회로(263)에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처리 및 주파수 변환처리하도록 하여, CPU, ROM 및 RAM등으로 구성된 주제어부(250)의 제어하에 안테나(214)에서 송신한다.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음성/변환모드에서 안테나(214)에서 수신된 수신신호를 증폭하고 이것을 주파수 변환처리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처리되게 하고, 변/복조회로(258)에서 스펙트럼 역확산처리되게 하여, 음성 코덱(259)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217)를 통해서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모드에서 이메일을 송신할 때,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조작키(219) 및 조그다이얼(222)을 조작함으로써 입력된 이메일의 텍스트 데이터를 조작입력제어부(252)를 통해서 주제어부(250)로 보낸다.
주제어부(250)는 텍스트 데이터를 변/복조회로(258)에서 스텍트럼 확산처리되게 하고, 송/수신회로(263)에서 디지털/아날로그처리 및 주파수변환처리되게 하여 안테나(214)를 거쳐서 기지국(CS3)(도 39참조)에 송신한다.
이것에 응하여, 데이터 통신모드에서 이메일을 수신할 때,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안테나(214)를 거쳐서 기지국(CS3)에서 수신된 수신신호를 변/복조회로(258)에서 스펙트럼 역확산처리되게 하여, 최초의 텍스트 데이터를 재구성해서 LCD제어부(255)를 거쳐서 LCD디스플레이(218)상에 이메일로서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리고,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수신된 이메일을 기록/재생부(262)를 거쳐서 메모리스틱(223)에 기록할 수도 있다.
반면에, 데이터 통신모드에서 화상데이터를 보낼 때,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CCD카메라(216)로 촬영한 화상데이터를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54)를 거쳐서 화상엔코더(253)에 공급한다.
그런데, 화상데이터가 보내지지 않을 때,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 (MS3)은 CCD카메라(216)로 촬영한 화상데이터를 카메라 인터페이스부(254)와 LCD제어부(255)를 거쳐서 LCD디스플레이(218)에 직접 표시할 수도 있다.
화상엔코더(253)는 CCD카메라(216)로부터 공급된 화상데이터를 MPEG(Moving Picture Expert Grup)(2) 또는 MPEG4와 같은 소정의 엔코딩 시스템에 따라서 압축/엔코딩에 의해 엔코드된 화상데이터로 변환하여 다중화/분리부(257)로 보낸다.
이 때, 카메라 내장형 셀룰러폰(MS3)은 CCD카메라(216)로 화상을 촬영하는 동안 마이크로폰(221)으로 수집한 음성을 디지털 음성데이터로서 음성코덱(259)을 거쳐서 다중화/분리부(257)로 보낸다.
다중화/분리부(257)는 소정의 시스템에 따라서 화상엔코더(253)에서 공급된 엔코드된 화상데이터와 음성코덱(259)에서 공급된 음성데이터를 다중화하고 그 결과의 다중화 데이터를 변/복조회로(258)에서 스텍트럼 확산처리하고, 송/수신부 (262)에서 주파수 변환처리하여 안테나(214)를 통해서 송신한다.
반면에, 데이터 통신모드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간단한 홈페이지 등에 링크된 동화상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할 때,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기지국(CS3)에서 안테나(214)를 거쳐서 수신된 수신신호를 변/복조회로(258)에서 스펙트럼 역확산처리하고 그 결과의 다중화된 데이터를 다중화/분리부(257)로 보낸다.
다중화/분리부(257)는 다중화된 데이터를 엔코드된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로 분리하여, 엔코드된 화상데이터를 동기버스(261)를 거쳐서 화상디코더(256)로 공급하고 음성데이터를 음성코덱(259)에 공급한다.
화상디코더(256)는 MPEG(2) 또는 MPEG(4)와 같은 소정의 엔코딩 시스템에 대응하는 디코딩 시스템에 따라서 엔코드된 화상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재생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LCD제어부(255)를 거쳐서 LCD디스플레이(218)에 공급하고, 이와 같이 예를 들면 간단한 홈페이지에 링크된 동화상 파일에 포함된 동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동시에, 음성코덱(259)은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스피커(217)에 공급하고 이와 같이 예를 들면 간단한 홈페이지에 링크된 동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한다.
이 경우에, 이메일의 경우와 동일하게,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 (MS3)은 이용자의 조작을 통해서 기록/재생부(262)를 거쳐서 메모리스틱(223)내의 수신된 간단한 홈페이지 등에 링크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덧붙여,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주제어부(250)의 ROM에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응용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이 응용프로그램에 의거해 예약제어쎈터(101)의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도 12참조)를 억세스하며 라이브 캐스팅 서버(150)를 갖춘 회원등록 및 재확인을 포함하는 라이브 분배 예약처리를 실행하고, 예약이 이루어지면, 예약설정 정보파일(도 28참조)을 수신하여 자동적으로 암호화하고 그 파일을 저장한다. 이 때,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상기 실시예에서 이용자 PC(106)에 의해 실행된 예약에 의거한 라이브 분배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브 분배중에 카메라 내장형 디지털 셀룰러폰(MS3)은 상기 예약 처리중에 저장된 예약설정정보파일을 자동적으로 독출하고 스트리밍서버(102)와 통신/접속을 확립하여 CCD카메라로 촬영한 콘텐츠를 스트리밍서버(102)로 보내고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예약할 때에, 본 발명은 분배자가 콘텐츠 분배 목적지의 용량 또는 서비스 요금을 고려하여 예약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망을 통해, 음악, 동영상과 정지화상과 같은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 예약분배를 수행하는 분배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0)

  1. 복수의 시스템을 가지고, 망을 통해 분배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망을 통해 상기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고객 단말장치에 대해 수행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분배자단말장치는 망을 통해 상기 분배서버의 이용예약을 상기 분배서버의 예약상황을 제어하는 예약제어장치에 대해 실행하는 콘텐츠 분배예약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배예약방법은,
    상기 분배서버의 상기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이용되기 위해서 요청되는지를 나타내는 희망하는 시스템과 상기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망을 통해 콘텐츠를 상기 분배자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예약제어장치로 분배하기 위한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예약요청단계와,
    상기 예약요청정보내에 포함된 상기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중에 상기 희망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분배서버의 이용예약이 허용되고 상기 예약이 확립될 경우, 상기 희망하는 시스템내에 미리 설정된 상기 분배서버의 서비스 요금에 근거하여 상기 예약에 관한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과금단계를 구비하는 콘텐츠 분배예약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가 예약상황을 브라우징하는 요청을 망을 통해 상기 예약제어장치로 전송할 때에, 상기 분배서버의 상기 시스템의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서비스 요금을 포함하는 예약상황정보를 망을 통해 상기 예약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예약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예약상황 표시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콘텐츠 분배예약방법.
  3. 복수의 시스템을 가지고, 망을 통해 분배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망을 통해 상기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를 고객 단말장치에 대해 수행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분배서버를 이용하기 위해 예약제어장치에 대해 예약을 하고, 상기 예약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를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분배서버로 전송하고 콘텐츠 분배를 수행하는 콘텐츠 분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배방법은,
    상기 분배서버의 상기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이용되기 위해서 요청되는지를 나타내는 희망하는 시스템과 상기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상기 분배자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예약제어장치로 망을 통해 분배하기 위한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예약요청단계와,
    상기 예약요청정보내에 포함된 상기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중에 상기 희망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분배서버의 이용예약이 허용될 경우, 상기 허용된 예약에 근거하여 콘텐츠 분배를 수행하기 위해 망을 통해 콘텐츠를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분배서버로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단계와,
    상기 고객단말장치가 상기 분배서버로 망을 통해 콘텐츠를 분배요청을 전송할 때에, 상기 희망하는 시스템내에 미리 설정된 분배 목적지의 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고객단말장치의 분배요청을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고객단말장치의 분배요청이 허용될 때에 상기 분배서버에서 망을 통해 상기 고객단말장치로 상기 분배자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콘텐츠의 스트리밍 분배를 수행하는 분배단계를 구비하는 콘텐츠 분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가 예약상황을 브라우징하는 요청을 망을 통해 상기 예약제어장치로 전송할 때에, 상기 분배서버의 상기 시스템의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분배 목적지의 용량을 포함하는 예약상황정보를 망을 통해 상기 예약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예약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예약상황 표시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콘텐츠 분배방법.
  5. 복수의 시스템을 가지고, 동시에 망을 통해 고객 단말장치로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의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약제어장치는,
    망을 통해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요청하는 분배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분배서버의 상기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희망하는 시스템과 상기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 분배를 요청하기 위한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예약요청정보내에 포함된 상기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동안에 상기 희망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분배서버의 이용 예약이 허용되어 설정될 때에, 상기 희망하는 시스템내에 미리 설정된 상기 분배서버의 서비스 요금에 근거하여 상기 예약에 관한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수단을 구비하는 예약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가 예약상황을 브라우징하는 요청을 망을 통해 상기 예약제어장치로 전송할 때에, 상기 분배서버의 상기 시스템의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분배 목적지의 용량을 포함하는 예약상황정보를 망을 통해 상기 예약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예약상황 전송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예약제어장치.
  7. 복수의 시스템을 가지고, 동시에 망을 통해 고객 단말장치로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의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약제어장치는,
    망을 통해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요청하는 분배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분배서버의 상기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희망하는 시스템과 상기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 분배를 요청하기 위한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고객단말장치가 상기 분배서버로 망을 통해 콘텐츠 분배요청을 전송할 때에, 상기 희망하는 시스템내에 미리 설정된 분배 목적지의 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고객단말장치의 분배요청을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구비하는 예약제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가 예약상황을 브라우징하는 요청을 망을 통해 상기 예약제어장치로 전송할 때에, 상기 분배서버의 상기 시스템의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분배 목적지의 용량을 포함하는 예약상황정보를 망을 통해 상기 예약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분배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예약상황 전송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예약제어장치.
  9. 동시에 복수의 시스템을 이용한 망을 통해 고객 단말장치로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의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망을 통해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요청하는 분배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분배서버의 상기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희망하는 시스템과 상기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 분배를 요청하기 위한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처리와,
    상기 예약요청정보내에 포함된 상기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동안에 상기 희망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분배서버의 이용 예약이 허용되어 설정될 때에, 상기 희망하는 시스템내에 미리 설정된 상기 분배서버의 서비스 요금에 근거하여 상기 예약에 관한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과금처리를 구비하는 프로그램 저장매체.
  10. 복수의 시스템을 가지고, 동시에 망을 통해 고객 단말장치로 콘텐츠의 스트림 분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의 예약을 제어하는 예약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망을 통해 콘텐츠의 라이브 분배를 요청하는 분배자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분배서버의 상기 복수의 시스템중 어느 시스템이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희망하는 시스템과 상기 분배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 분배를 요청하기 위한 희망하는 서비스 시간을 포함하는 예약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처리와,
    상기 고객단말장치가 상기 분배서버로 망을 통해 콘텐츠 분배요청을 전송할 때에, 상기 희망하는 시스템내에 미리 설정된 분배 목적지의 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고객단말장치의 분배요청을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처리를 구비하는 프로그램 저장매체.
KR1020027004919A 2000-08-31 2001-08-29 콘텐츠 분배예약방법. 콘텐츠 분배방법, 예약제어장치와프로그램 저장매체 KR100816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64565 2000-08-31
JP2000264565A JP2002077868A (ja) 2000-08-31 2000-08-31 コンテンツ配信の予約方法、コンテンツ配信方法、予約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462A KR20020041462A (ko) 2002-06-01
KR100816520B1 true KR100816520B1 (ko) 2008-03-24

Family

ID=1875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919A KR100816520B1 (ko) 2000-08-31 2001-08-29 콘텐츠 분배예약방법. 콘텐츠 분배방법, 예약제어장치와프로그램 저장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46169B2 (ko)
EP (1) EP1315377A4 (ko)
JP (1) JP2002077868A (ko)
KR (1) KR100816520B1 (ko)
CN (1) CN1171456C (ko)
AU (1) AU775210B2 (ko)
HK (1) HK1053926B (ko)
TW (1) TW524020B (ko)
WO (1) WO2002019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1011B2 (ja) 2000-08-30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効果付加装置、効果付加方法、効果付加プログラム及び効果付加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2074123A (ja) 2000-08-31 2002-03-15 Sony Corp サーバの使用予約方法、予約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KR100817931B1 (ko) * 2000-08-31 2008-03-3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서버의 예약방법, 예약관리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
JP2002074125A (ja) * 2000-08-31 2002-03-15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の通知方法、予約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774625B2 (ja) * 2001-05-16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制御サーバ、コンテンツ送信処理制御方法、コンテンツ送信処理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送信処理制御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20030005138A1 (en) * 2001-06-25 2003-01-02 Giffin Michael Shawn Wireless streaming audio system
US20030126447A1 (en) * 2001-12-27 2003-07-03 Jacques Debiez Trusted high stability time source
GB2385683A (en) * 2002-02-22 2003-08-27 Thirdspace Living Ltd Distribution system with content replication
US20030163339A1 (en) * 2002-02-25 2003-08-28 John Elliot Process of accessing live activities and events through internet
JP3789854B2 (ja) * 2002-06-11 2006-06-28 エヌ・ティ・ティ・コムウェア株式会社 ライブ配信サーバ、及びライブ配信方法
JP2004274531A (ja) * 2003-03-11 2004-09-30 Shu Company Co Ltd 動画配信システム
US7583955B2 (en) 2003-07-24 2009-09-01 Lg Electronic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85537B1 (ko) 2003-12-09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전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799273B2 (en) 2004-05-06 2010-09-21 Smp Logic Systems Llc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for validation, quality and risk assessment and monitoring of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processes
US20060005135A1 (en) * 2004-06-30 2006-01-05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quantifying a visual media file size in an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method and a software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565417B1 (ko) * 2004-11-30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텔레비젼 세트의 원격 캘리브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0666092B1 (ko) * 2005-09-02 2007-01-10 블루코드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설정된 조건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8035339A2 (en) * 2006-09-21 2008-03-27 Vringo, Inc. Personalized installation files
KR101236438B1 (ko) 2008-11-04 2013-02-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pns 환경에서 종단 단말기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
JP5240009B2 (ja) * 2009-03-30 2013-07-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分散保存システム、Webページ生成方法、サーバ装置、及びサーバ処理プログラム
CN102449636A (zh) * 2009-05-29 2012-05-09 牧乐咖股份有限公司 使用遗传信息的多媒体内容文件管理系统及方法
US8826332B2 (en) * 2012-12-21 2014-09-02 Ustudio, Inc. Media distribution and management platform
CN104753770B (zh) * 2015-03-31 2018-03-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控制图片分享的方法和装置
JP6347769B2 (ja) 2015-08-28 2018-06-2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イベント管理サーバー、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イベント参加管理方法
JP6313726B2 (ja) 2015-08-28 2018-04-18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イベント管理サーバー、イベント参加方法、およびイベント参加管理方法
JP7077174B2 (ja) * 2018-07-27 2022-05-30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ライブ動画を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86125B1 (ja) * 2018-12-26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3480A (ja) * 1995-09-01 1997-03-18 Fujitsu Ltd コンテンツ販売価格課金システム及び課金方法
JP2000115097A (ja) * 1998-10-05 2000-04-21 Sony Corp 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提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2466A (en) * 1992-12-28 1998-12-22 Canon Kabushiki Kaisha Teleconference system
US5920701A (en) * 1995-01-19 1999-07-06 Starburst Communications Corporation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US5905736A (en) * 1996-04-22 1999-05-18 At&T Corp Method for the billing of transactions over the internet
US5991306A (en) * 1996-08-26 1999-11-23 Microsoft Corporation Pull based, intelligent caching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data over a network
JP3244166B2 (ja) * 1996-12-25 2002-01-07 ユニデン株式会社 情報予約送信方式及び情報予約送信方法並びに送信サーバ
US6011782A (en) * 1997-05-08 2000-01-04 At&T Corp. Method for managing multicast addres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conferencing information on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US6745237B1 (en) * 1998-01-15 2004-06-01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livery of multimedia content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H11341471A (ja) * 1998-05-28 1999-12-10 Hitachi Ltd 映像配信装置および映像配信システム
KR100270711B1 (ko) * 1998-11-14 2000-11-01 윤종용 교환기에서 시각 변경시 과금시간 보상방법
US6564380B1 (en) * 1999-01-26 2003-05-13 Pixelworld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live video on the internet
EP2802120A1 (en) * 2000-03-30 2014-11-12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up a content schedule
JP2001282730A (ja) * 2000-03-30 2001-10-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サーバ接続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
US6748447B1 (en) * 2000-04-07 2004-06-08 Network Applian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network
JP3675310B2 (ja) * 2000-06-29 2005-07-27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JP2002074125A (ja) 2000-08-31 2002-03-15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の通知方法、予約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974405B2 (ja) * 2000-08-31 2012-07-11 ソニー株式会社 サーバ使用方法、サーバ使用予約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065102B2 (ja) * 2000-10-27 2008-03-19 誠治 納富 教育指導システム
JP2002152259A (ja) * 2000-11-13 2002-05-24 Yozan Inc 通信端末装置および課金処理装置
JP4191902B2 (ja) * 2001-02-28 2008-1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テンツ配信装置
JP4774625B2 (ja) * 2001-05-16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制御サーバ、コンテンツ送信処理制御方法、コンテンツ送信処理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送信処理制御プログラム格納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3480A (ja) * 1995-09-01 1997-03-18 Fujitsu Ltd コンテンツ販売価格課金システム及び課金方法
JP2000115097A (ja) * 1998-10-05 2000-04-21 Sony Corp 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提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15377A1 (en) 2003-05-28
KR20020041462A (ko) 2002-06-01
JP2002077868A (ja) 2002-03-15
US7246169B2 (en) 2007-07-17
HK1053926A1 (en) 2003-11-07
WO2002019711A1 (fr) 2002-03-07
AU775210B2 (en) 2004-07-22
EP1315377A4 (en) 2009-02-25
CN1171456C (zh) 2004-10-13
AU8253201A (en) 2002-03-13
TW524020B (en) 2003-03-11
US20020156648A1 (en) 2002-10-24
HK1053926B (zh) 2005-05-27
CN1389074A (zh) 200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460B1 (ko) 서버이용방법,서버예약 제어장치와 프로그램저장매체
KR100816520B1 (ko) 콘텐츠 분배예약방법. 콘텐츠 분배방법, 예약제어장치와프로그램 저장매체
KR100816519B1 (ko) 콘텐츠 분배방법, 예약관리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
US6970928B2 (en)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content supply system
US7386623B2 (en) Content distribution notification method, reservation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7856468B2 (en) Server reservation method, reservation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EP1185055B1 (en) Server reservation method, reservation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KR100846517B1 (ko) 서버의 사용예약방법, 예약관리장치 및 프로그램 격납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