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306B1 -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306B1
KR100816306B1 KR1020080006641A KR20080006641A KR100816306B1 KR 100816306 B1 KR100816306 B1 KR 100816306B1 KR 1020080006641 A KR1020080006641 A KR 1020080006641A KR 20080006641 A KR20080006641 A KR 20080006641A KR 100816306 B1 KR100816306 B1 KR 10081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wall
blade
vehic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7Vehicle decelerating or arresting surfacings or surface arrangements, e.g. arrester beds ; Escape roads, e.g. for steep descents, for sharp be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03One-shot shock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급커브 길에 일부분이 도로면 하부에 시설되며, 차량의 차량의 미끄럼 방지 및 속도 저감 효과를 발휘하며,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여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는 도로의 하부에 도로 포장재에 의해 덮이도록 도로 폭에 준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기저와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기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에 결합을 위한 슬릿이 형성되는 고정벽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플랜지와, 상기 삽입플랜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는 상부벽체 및 상기 상부벽체와 상기 삽입플랜지의 경계면에 상기 고정벽체의 상면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벽체와 체결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측면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드레일, 탈선, 차도, 도로, 전복

Description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Apparatus of protection secession car using curve road}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급커브 길에 일부분이 도로면 하부에 시설되며, 차량의 미끄럼 방지 및 속도 저감 효과를 발휘하며,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여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로 안전에 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많은 안전시설이 도로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시설 중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것이 도로의 중앙 또는 좌우 노견에 설치되는 이탈방지 시설 즉, 가드레일(Guardrail)이다. 이 가드레일은 도로가 주위 환경과 표고차를 가지도록 시설되는 경우, 도로 주변에 건물 등 보호를 필요로 하는 시설이 있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차량이 도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시설된다. 아울러, 가드레일은 차량이 도로로부터 탈선하는 것을 막는 목적과 함께 비상시 차량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등의 목적으로도 이 용된다.
이 때문에 가드레일은 왕복 2차선 이상의 도로 중앙에 양측 차선을 분리하는 용도로 시설되거나, 도로에 비해 주변 지형의 표고가 낮은 경우 즉, 절벽, 계곡, 강변로 등에서 차량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도로의 가장자리에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가속에 의해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여 절벽이나 계곡 또는 강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탈선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및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따라서, 가드레일은 일정한 강도 이상으로 지반에 고정되어야 하며, 소형 차량으로부터 대형 차량까지의 사고를 고려하여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요건은 가드레일의 설치가 어려운 지형 즉, 노견 폭을 확보하기 어려운 계곡, 산악, 절벽 지형 등에서도 유지해야만 차량 및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가드레일은 노견이 확보된 지형, 평지 등에서의 설치는 비교적 용이한 반면, 산간 계곡로와 같은 험준한 지형에서는 설치의 어려움과 함께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해 유명무실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일부 '령'급 계곡의 내리막의 경우 빈번한 차량 이탈 및 전복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나, 설치 기술 상의 제약으로 인해 시멘트 형 블럭 가드레일의 설치가 고작인 것이 현실이다. 특히, 내리막의 코너의 경우 브레이크 오조작, 기계적 결함으로 인해 가속되는 차량의 탈선이 빈번함에도 충분한 강성의 가드레일 설치가 어려워 사고를 예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부분이 도로면 하부에 시설되어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여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험로에의 설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결합 블럭에 의해 조립체 형태로 설치되도록 한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속 위험 구간에의 설치시 차량의 감속 유도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의 설치가 가능한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는 도로의 하부에 도로 포장재에 의해 덮이도록 도로 폭에 준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기저와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기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에 결합을 위한 슬릿이 형성되는 고정벽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플랜지와, 상기 삽입플랜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는 상부벽체 및 상기 상부벽체와 상기 삽입플랜지의 경계면에 상기 고정벽체의 상면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벽체와 체결되는 단 턱부를 포함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측면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설치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도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도로 포장재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상단에 결합을 위한 요철이 형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기저의 상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기저를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하는 블레이드 플랜지; 및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돌출된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요철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상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블레이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레이드 조립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로의 커브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는 장치의 일부분이 도로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하여 협소한 노견에도 설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도로 구조물에 의해 강성을 보조받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을 확실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는 지지체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의 파손시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성의 단순화로 인해 설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에 감속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을 함께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해짐과 아울러, 차량 및 탑승자의 안전을 부가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의도로서 행해진 것이고,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형태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포함된 동일한 또는 등가의 기능들이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도 1은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 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도로에 설치한 경우의 평면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도로에 설치한 경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도로에 설치한 경우의 예로 도 4와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블레이드의 설치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는 완충부재(100), 벽체(200), 지지체(300) 및 블레이드 조립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완충부재(100)는 차량에 의한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에 대한 차량의 충격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벽체(200)의 일면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완충부재(100)는 충격흡수 능력이 우수하고,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며, 자연환경 하에서 수명이 길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100)는 폴리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탄성고무와 같은 고무재질, 금속 및 이의 등가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완충부재(100)는 벽체(200)의 상부벽체(210) 일면, 특히 도로(600)와 대면하는 면에 결합부재(500)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볼트부재(500a)와 너트부재(500b)로 구성되는 결합부재(500)를 도시하였으나, 클립, 핀, 틀 및 이의 등가구조를 이용한 결합부재(500)의 사용도 가능하며, 도시된 결합부 재(500)는 일례로써 제시한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완충부재(100)는 결합부재(500)에 의해 벽체(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홀, 홈, 슬릿과 같은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볼트부재(500a)가 관통되는 결합홀(510)을 일례로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완충부재(100)와 벽체(200) 간의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한 어떠한 변경 및 변형도 무방하다. 그리고, 완충부재(100)의 접합면(101)은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 및 벽체(200)를 통한 충격의 분산이 용이하도록 벽체(200)의 결합면(201)과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100)의 노출면(103) 즉, 도로(600)를 향하는 노출면(103)은 충격의 전달 및 분산이 용이하도록 아치형, 반구형 및 이의 등가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완충부재(100)는 일정크기의 작은 블럭으로 구성되어 벽체(200)에 각각 조립될 수 있으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벽체(200)는 완충부재(100)를 고정하고, 완충부재(10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및 전달하여 완화한다. 벽체(200)는 전달되는 충격을 지지체(300)를 통해 지면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키고, 구부러짐과 같은 변형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킨다. 특히, 벽체(200)는 지지체(300)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를 통해 차량 충격시에도 차량이 도로(6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벽체(200)는 충격 흡수 능력이 우수하고, 특정 형태로의 형성이 용이하며, 자연환경에 의해 손상, 예를 들면 부식 등의 손상이 적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특히, 벽체(200)는 충격 발생시 늘어나거나 굴절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 완화함과 아 울러 부서지지 않고 차량의 탈선을 방지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때문에 벽체(200)는 스테인레스 스틸 및 이의 등가금속 또는 이의 합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벽체(200)는 상부벽체(210), 삽입플랜지(250) 및 단턱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벽체(210)는 완충부재(100)를 결합부재(500)에 의해 고정한다. 이를 위해 상부벽체(2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재(500a)가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볼트부재(500a)는 용접과 같은 공법에 의해 상부벽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형태의 결합부재(500a)를 사용하는 경우 도시된 형태와는 다른 형태로 결합부재(500a)가 상부벽체(21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벽체(210)는 상부벽체(210)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접합되어 형성되는 삽입플랜지(250)에 의해 지지체(300)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부벽체(210)와 삽입플랜지(250)의 경계 또는 접합부에는 단턱부(260)가 형성되고, 단턱부(260)에 형성되는 결합홀(51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부재, 예를 들면, 지지체(300)에 고정설치된 볼트부재(501a) 및 너트부재(501b)에 의해 상부벽체(210)가 지지체(300)에 결합 및 고정된다. 아울러 상부벽체(210)와 삽입플랜지(250)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플랜지(250)는 지지체(300)의 슬릿(320)에 삽입되어 벽체(200)를 지지체(300)에 결합 및 고정시킨다. 이 삽입플랜지(250)는 상부벽체(210)의 직하 방향 즉, 지지체(300)와의 결합방향에 형성되며, 상부벽체(2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각각 형성되어 상부벽체(210)에 접합될 수 있다.
단턱부(260)는 상부벽체(210)와 삽입플랜지(250)의 접합부 또는 경계면에 상부벽체(210)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단턱부(260)는 고정벽체 상면(311)과 대략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며, 벽체(200)와 지지체(300)의 결합시, 벽체(200)가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안정하게 지지체(300)에 결합되도록 보조한다. 특히, 단턱부(260)에는 결합홀(511)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결합홀(51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부재, 예를 들면, 지지체(300)에 고정설치된 볼트부재(501a) 및 너트부재(501b)에 의해 단턱부(260)가 고정벽체(3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지지체(300)는 완충부재(100)가 결합된 벽체(200)와 체결되어, 벽체(200)를 고정 및 지지함과 아울러, 벽체(200)에 강성을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체(300)는 단면 형상이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부가 가설되는 도로(600) 하부에 위치하여 완충부재(100) 및 벽체(200)를 견고히 고정하고, 차량 충돌에 의해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가 도로(6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지지체(300)는 고정벽체(310)와 기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벽체(310)는 기저(360)로부터 지면과 대략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된다. 이 고정벽체(310)에는 벽체(200)가 결합되며, 이를 위해 고정벽체 상면(311)을 따라 슬릿(320)이 형성된다. 슬릿(320)은 고정벽체 상면(311)으로부터 기저(360) 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가지도록 고정벽체 상면(311)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320)은 벽체(200)의 삽입플랜지(2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플랜지(25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벽체 상면(311)에는 벽체(200)의 단턱부(260)가 접합되며, 단턱부(260)를 이용하여 벽체(200)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재, 예를 들면, 지지체(300)에 고정설치된 볼트부재(501a) 및 너트부재(501b)가 설치될 수 있다.
기저(360)는 고정벽체(310)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벽체(3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기저(360)와 고정벽체(31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재질이면 무엇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스테인레스 스틸, 철근 콘크리트 및 이의 등가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기저(360)는 완충부재(100) 부착방향과 같은 방향 즉, 도로(600) 측으로 배치되며, 도로(600)의 가설시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도로(600) 층의 하부에 매설된다. 여기서, 기저(360)가 반드시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 층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더 견고히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의 하부 층보다 더 깊이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기저(360)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로(600) 측으로 돌출되는 폭이 한 개 차선의 도로(600)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저(360)가 기저(360) 상부에 시공되는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차량 충돌 발생시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가 도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유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합한 강도를 가지는 경우 기저(360)의 돌출폭은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기저(360)의 상면(361)에는 블레이드 조립체(4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완충부재(100), 벽체(200) 및 지지체(300)가 곡선형태로 도 시된 것은 도로의 커브구간에 설치될 경우를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즉, 직선 도로(600) 상에 설치되는 경우 완충부재(100), 벽체(200) 및 지지체(300)는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조립체(400)는 차량의 미끄럼 방지 및 속도 저감을 위해 기저(360)의 상면(361)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즉, 블레이드 조립체(400)는 노면에서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 장애물로 작용을 하여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킴은 물론,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조립체(400)는 기저(36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기립하는 형태로 블레이드 조립체(400)의 길이방향이 도로(600)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기저(360) 상에 설치된다. 특히, 블레이드 조립체(400) 사이에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도로(600) 부설물이 채워지며, 블레이드 조립체(400)의 상단(401) 일부는 도로(600)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 블레이드 조립체(400)의 재질에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강성의 확보를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 및 이의 등가금속을 이용할 수 있으면,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 조립체(400)는 블레이드(410), 블레이드 플랜지(430) 및 블레이드 커버(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블레이드(410)는 얇은 판형태로 형성되며, 기저(360)로부터 기립되어 도로(60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기저(360) 상에 배치된다. 이 블레이드(410)에는 기저와 수평방향으로 블레이드(410)의 측면으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되는 블레이드 플 랜지(430)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블레이드(410)는 이 블레이드 플랜지(4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결합부재(520), 예를 들면, 볼트부재에 의해 기저(360)에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블레이드(410)의 상단 즉, 도로(600) 표면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블레이드 커버(45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410)의 상단에는 블레이드 커버(450)의 결합을 위한 블리지(411)가 형성될 수 있다. 블리지(411)는 블레이드(410)의 상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종의 연속적인 돌기이다. 블레이드 커버(450)에는 이 블리지(411)와 대응되는 리드슬릿(451)이 형성되며, 블레이드 커버(450)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블레이드(410) 상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블레이드(410)에 리드슬릿(451)이 형성되고, 블레이드 커버(450)에 블리지(41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블레이드(410)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곡선형태의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차로의 중앙측 보다 벽체(200)가 위치하는 측의 도로(600)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안전한 회전을 위하여 도로(600)의 가장자리가 안쪽보다 높아지도록 도로가 설치되는 경우, 블레이드(410)의 양단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410)의 높이가 도로 안쪽에 근접할 수록 낮아지고, 벽체(200) 쪽에 근접할수록 높아지도록 하여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레이드 플랜지(430)는 블레이드(410)와 기저(360)가 접촉부분과 근접한 블레이드(410)의 측면으로부터 기저(360)와 대략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신장되어 형성된다. 블레이드 플랜지(430)에는 결합부재(520)에 의해 기저(360)와 블레이드 조립체(4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520)가 관통하는 결합홀이 형성된다.
블레이드 커버(450)는 도로(600) 표면 상으로 돌출된 블레이드(410)의 상단에 결합되며, 블레이드(410)의 상단을 보호한다. 또한, 블레이드 커버(450)는 블레이드(410)의 날카로운 부분을 덮어 차량의 바퀴가 블레이드(41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 블레이드 커버(450)는 블레이드(410)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면에 블레이드(410)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는 커버슬릿(453)이 형성되며, 커버슬릿(453) 내부에는 슬라이딩 결합을 위한 리드슬릿(451)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고정하는 지지체(300)의 일부가 도로(600) 층의 아랫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인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굴착과정이 불필요하며, 도로(600) 가장자리의 최소폭 노견만 확보되면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는 지지체(300)의 일부가 도로(600) 층의 아랫부분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가 차량 충격에 의해 도로(600)로부터 이탈되어 차량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지체(300)의 경우 도로의 시공시 함께 시공하고, 도로의 기저부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설치가 용이해짐과 아울러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의 기계적 강도도 우수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는 계곡로와 같이 충분한 노견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매설에 의한 도로의 급커브 길 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도, 도로 가설 공간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설치가 가능해지고, 설치 후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계곡의 내리막에서와 같이 차량의 과속에 의한 사고가 빈번한 지역의 경우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곡선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블레이드 조립체(400)와 같이 속도 저감 및 미끄럼 방지시설을 부가하여 차량 운행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도 1은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도로에 설치한 경우의 평면예시도,
도 4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도로에 설치한 경우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를 도로에 설치한 경우의 예로 도 4와 다른 형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블레이드의 설치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완충부재 101 : 접합면
103 : 노출면 200 : 벽체
201 : 결합면 210 : 상부벽체
250 : 삽입플랜지 260 : 단턱부
300 : 지지체 311 : 고정벽체 상면
320 : 슬릿 360 : 기저
400 : 블레이드 조립체 410 : 블레이드
411 : 블리지 430 : 블레이드 플랜지
450 : 블레이드 커버 451 : 리드슬릿
453 : 커버슬릿 500, 520 : 결합부재
510, 511 : 결합홀 600 : 도로

Claims (3)

  1. 도로의 하부에 도로 포장재에 의해 덮이도록 도로 폭에 준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기저와 상기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기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에 결합을 위한 슬릿이 형성되는 고정벽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플랜지와, 상기 삽입플랜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는 상부벽체 및 상기 상부벽체와 상기 삽입플랜지의 경계면에 상기 고정벽체의 상면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벽체와 체결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측면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설치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도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도로 포장재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상단에 결합을 위한 요철이 형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기저의 상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기저를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하는 블레이드 플랜지; 및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돌출된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요철에 대응하는 요철 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상단이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블레이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레이드 조립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커브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KR1020080006641A 2008-01-22 2008-01-22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KR10081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41A KR100816306B1 (ko) 2008-01-22 2008-01-22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41A KR100816306B1 (ko) 2008-01-22 2008-01-22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306B1 true KR100816306B1 (ko) 2008-03-24

Family

ID=3941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641A KR100816306B1 (ko) 2008-01-22 2008-01-22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3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8903A (ja) * 1988-01-30 1989-08-10 Akira Kawachi 車両運転者の注意喚起具
KR100557283B1 (ko) 2005-11-23 2006-03-10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KR100606206B1 (ko) 2005-12-31 2006-07-2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커브길도로 설치용 차량이탈방지장치
KR100634825B1 (ko) 2006-07-25 2006-10-18 주식회사 삼안코퍼레이션 커브길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탑승자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100649365B1 (ko) 2006-09-07 2006-11-29 주식회사 동호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 흡수용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8903A (ja) * 1988-01-30 1989-08-10 Akira Kawachi 車両運転者の注意喚起具
KR100557283B1 (ko) 2005-11-23 2006-03-10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KR100606206B1 (ko) 2005-12-31 2006-07-2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커브길도로 설치용 차량이탈방지장치
KR100634825B1 (ko) 2006-07-25 2006-10-18 주식회사 삼안코퍼레이션 커브길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탑승자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100649365B1 (ko) 2006-09-07 2006-11-29 주식회사 동호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 흡수용 가드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7973A (en) Road barrier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US4501411A (en) Guardrail for roadway
KR101720783B1 (ko)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용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KR100816306B1 (ko)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KR20130080175A (ko) 보강 기능을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KR101288063B1 (ko) 교량용 난간
KR20130035150A (ko) 매립식 레일 구조
KR101835861B1 (ko) 충격흡수성능이 향상된 고강도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1280769B1 (ko) 가드레일 보호장치
KR100769270B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101235823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KR101351136B1 (ko) 방호 울타리
KR20160027702A (ko) 차량방호울타리 레일 프레임
CN110678607B (zh) 具有带凸缘轮的轨道交通工具的轨道组件
KR20090089102A (ko) 조립식 차선규제봉
KR101703944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설치구조
KR102405808B1 (ko) 충격흡수 및 강성구조를 갖춘 가드레일
KR100717609B1 (ko) 가드레일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CN204097925U (zh) 新型梁柱式型钢护栏
KR200252807Y1 (ko) 도로곡선부 추락방지용 가드레일
KR101353774B1 (ko) 보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KR100663082B1 (ko) 차등 강성빔을 구비한 가드레일
KR200408827Y1 (ko) 차등 강성빔을 구비한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