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283B1 -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283B1
KR100557283B1 KR1020050112343A KR20050112343A KR100557283B1 KR 100557283 B1 KR100557283 B1 KR 100557283B1 KR 1020050112343 A KR1020050112343 A KR 1020050112343A KR 20050112343 A KR20050112343 A KR 20050112343A KR 100557283 B1 KR100557283 B1 KR 100557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ramp
parking lot
wal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수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Priority to KR102005011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7Vehicle decelerating or arresting surfacings or surface arrangements, e.g. arrester beds ; Escape roads, e.g. for steep descents, for sharp be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03One-shot shock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건축물의 지하에 구비되는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요철형상의 단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건축물의 진입램프의 바닥면과 양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에 진입램프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삽입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진입램프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 상기 단턱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양측면이 결합되면서 고정되고, 몸체의 중심에는 가로방향으로 다수 개의 결합홀이 구비되는 바닥판재; 상기 바닥판재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장공의 결합홀에 상단부가 돌출되도록 삽설되어 바닥판재의 상부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저면부의 넓이가 상면부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면서 중간부분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으며, 결합홀의 밑으로부터 상면부측으로 삽입되는 삽입재; 상기 단턱의 측면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상부면으로부터 삽입되는 외벽보호대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진입램프, 단턱, 바닥판재, 외벽보호대, 삽입재

Description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SLIDING OF CAR}
도 1은 종래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벽 410: 진입램프
420: 단턱 430: 바닥판재
440: 체결볼트 450: 삽입재
460: 앵커 470: 외벽보호대
480: 와이어 488: 와이어고정부재
490: 고정지지대
본 발명은 주차장을 진입램프의 미끄럼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하에 구비되는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요철형상의 단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예를 들면, 고층아파트, 빌딩 등과 같은 곳에는 많은 수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지하주차장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도심지에 건축되는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작은 공간에도 최대한의 공간 활용도를 이끌어 내고자 조밀한 지하주차장 배치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밀한 지하주차장으로의 진출입로인 램프를 인접한 거주공간과 충분하게 이격시킬 수 없게 되어, 차량 통행시 발생되는 진동이 인접한 건축물 내부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아파트의 1층부를 필로티로 처리하고 이곳을 지하주차장의 진,출입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거주자에게 직접적으로 차량의 진동 및 소음을 느끼게 하여, 불면증, 소화불량 등과 같이 세대 거주자에게 육체적으로는 물론 정신적으로도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은 종래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 지하주차장 램프의 바닥구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인 바닥 슬래브 상면에 무근 콘크리트 혹은 아스콘을 포장한 포장층(20)을 시공하고, 상기 무근 콘크리트 혹은 아스콘을 포장한 포장층(20)의 상부면에는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형상의 미끄럼 방지턱(도면상 미도시 됨)을 시공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지하주차장 램프의 바닥구조는 차량의 진,출입시 발생되는 진동을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및 벽체(40)로 그대로 전달하게 되고, 이는 인접한 거주영역에까지 진동의 여파를 전달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전파된 진동을 인접한 상부세대 안방에서 측정한 결과 평균적으로 인간이 인지하기 시작하는 진동의 시점인 50~55dB(V)를 과도하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지하주차장에서는 무근 콘크리트 혹은 아스콘 포장의 상부면에 방진패드 및 고무를 시공하거나 조면처리된 홈 사이에 방진고무를 코킹하는 시공방법을 시도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그 효과도 미미할 뿐더러 지속적으로 표면의 방진 재료를 교체해주어야 하며 분진에 의한 이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한계를 가진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지하에 구비되는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요철형상의 단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주차장에 구비되는 진입램프에 있어서, 상기 진입램프의 바닥면과 양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에 진입램프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삽 입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진입램프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 상기 단턱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양측면이 결합되면서 고정되고, 몸체의 중심에는 가로방향으로 다수 개의 결합홀이 구비되는 바닥판재; 상기 바닥판재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장공의 결합홀에 상단부가 돌출되도록 삽설되어 바닥판재의 상부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저면부의 넓이가 상면부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면서 중간부분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으며, 결합홀의 밑으로부터 상면부측으로 삽입되는 삽입재; 상기 삽입재의 양측면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볼트홀과 상기 바닥판재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볼트홀에 체결되어 바닥판재의 결합홀에 삽입된 삽입재가 바닥판재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볼트; 상기 단턱의 측면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상부면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로 이루어지는 외벽보호대; 상기 외벽보호대의 충격흡수부에 구비되는 와이어홀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외벽보호대를 상호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와이어; 그리고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바닥판재는 양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단턱의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앵커홀이 구비되어 앵커가 앵커홀에 삽설됨으로써 앵커에 의해 바닥판재가 고정되며, 상기 바닥판재의 중심에 형성되는 결합홀은 바닥면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삽입재가 바닥면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진입램프에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진입램프의 양측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양측벽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단턱에 다수개의 삽입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홈에 양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진입램프의 바닥면에 바닥판재를 설치한다. 상기 바닥판재의 중심에는 다수개의 결합홀을 구비시키고, 상기 장공의 결합홀에는 삽입재를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삽입재는 결합홀에 결합되면서 상단부가 바닥판재의 결합홀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바닥판재의 상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진입램프의 전면에 설치되는 바닥판재의 상부면에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미끄럼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램프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건축물의 지하주차장에는 진입램프(410)가 구비되고, 상기 진입램프(410)의 양측 벽(400)과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단턱(420)이 구비된다.
상기 단턱(420)은 진입램프(4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단턱(420)의 일측면에는 삽입홈(421)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420)의 삽입홈(421)은 진입램프(410)를 따라 단턱(420)에 다수개가 형성되며, 그 삽입홈(421)은 단턱(420)의 상면부로부터 바닥면까지 형성된다.
상기 진입램프(410)의 바닥면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단턱(4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바닥판재(430)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재(430)는 몸체의 중심에 결합홀(43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재(430)의 양측면에는 결합돌기(432)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판재(430)의 결합홀(431)은 진입램프(410)의 가로방향으로 장공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32)는 단턱(420)의 삽입홈(421)에 삽입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재(430)의 결합홀(431)은 바닥판재(430)에 한 줄 또는 두 줄씩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홀(431)은 바닥면이 상면부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431)에는 삽입재(450)가 삽설된다.
상기 삽입재(450)의 상단부는 결합홀(431)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설되고, 상기 삽입재(450)의 저면부가 갖는 넓이가 상면부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면서 중간부분이 굴곡되도록 다른 경사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삽입재(450)는 결합홀(431)의 밑으로부터 상면부측으로 삽입되면서 삽입재(450)의 상단부가 결합홀(431)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므로 바닥판재(43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재(45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볼트홀(451)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재(430)의 양측면에도 볼트홀(435)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재(45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볼트홀(451)과 바닥판재(43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볼트홀(435)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재(430)와 삽입재(450)의 볼트홀에는 체결볼트(440)를 삽입시켜 삽입재(450)가 바닥판재(430)에 상호 결합될 수 있는 한편, 상기 바닥판재(43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돌기(432)는 단턱(420)의 삽입홈(421)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돌기(432)의 상면에 구비되는 앵커홀(434)에는 앵커(460)를 착설시킴으로써 앵커(460)에 의해 바닥판재(430)가 진입램프(410)의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된다.
상기 단턱(420)의 삽입홈(421)에 바닥판재(430)의 결합돌기(432)가 삽설되면 바닥판재(430)의 두께가 삽입홈(421)이 구비되는 단턱(420)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삽입홈(421)의 상측부분이 잔존하게 된다. 상기 단턱(420)의 삽입홈(421) 상측부위에는 외벽보호대(470)가 설치된다.
상기 외벽보호대(470)는 단턱(420)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충격흡수부(471)와 삽입홈(421)에 삽입되는 삽입부(473)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흡수부(471)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장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와이어홀(472)이 구비된다.
상기 외벽보호대(470)는 단턱(420)에 진입램프(410)를 따라 구비되는 모든 삽입홈(421)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외벽보호대(470)의 와이어홀(472)에는 와이어(480)가 삽설됨으로써 모든 외벽보호대(470)가 와이어(480)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상기 와이어(480)의 끝단에는 와이어고정부재(480)가 결합되어 와이어(480)가 와이어고정부재(480)와 함께 외벽보호대(470)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와이어고정부재(480)는 와이어(480)의 끝단을 고정하는 부재로, 와이어(480)의 양끝단이 단턱(420)에 매설된 파이프 형태의 고정지지대(490)에 삽입되어 외벽보호대(470)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지지대(490)는 파이프형태로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물의 진입램프(410)에는 양측면에 단턱(420)이 구비되는 바, 그 단턱(420)의 일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홈(421)을 형성시키고, 상기 단턱(420)의 수직한 삽입홈(421)은 진입램프(410) 측이 폭이 좁고 벽(400) 측이 폭이 넓게 연접되게 형성되는 바, 외벽보호대(470)의 삽입부(473)도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진입램프(410)의 바닥면에는 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된 바닥판재(430)를 설치한다. 상기 바닥판재(430)는 양측면에 결합돌기(432)가 구비되어 단턱(420)의 삽입홈(421)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재(430)의 몸체에는 가로 방향으로 장공의 결합홀(431)을 형성시킨다. 상기 바닥판재(430)의 결합홀(431)은 한 줄 도는 두 줄로 다수개가 형성이 되고, 상기 결합홀(431)에는 삽입재(450)가 삽설된다.
상기 삽입재(450)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측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하고, 상기 결합홀(431)도 하측부가 상측부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삽입재(450)는 결합홀(431)의 밑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단부가 결합홀(431)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삽입재(450)의 상단부가 결합홀(431)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바닥판재(430)의 표면에는 자동으로 돌출부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단턱(420)은 높이가 바닥판재(4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단턱(420)의 삽입홈(421) 상단부에는 외벽보호대(470)를 삽설시켜 차량이 단턱(420) 방 향으로 충돌이 일어날 경우 외벽보호대(470)와 차량이 충돌되면 단턱(420) 및 진입램프(410)의 양측벽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 외벽보호대(470)는 장축방향으로 구비되는 와이어홀(472)에 와이어(480)를 삽설시켜 다수개의 외벽보호대(470)를 와이어(480)가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외벽보호대(470)와 양측벽(40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 외벽보호대(470)와 양측벽의 사이에 보조충격흡수재(495)를 삽설시킴으로써 외벽보호대(470)가 보조충격흡수재(495)와 함께 양측벽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충격흡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충격흡수재(495)는 외벽보호대(470)의 충격흡수부(47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벽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 외벽보호대(470), 보조충격흡수재(495)는 상술한 바닥판재(430)와 동일 재질로 제작가능하다.
상기 진입램프(410)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판재(430)의 표면에는 바닥판재(430)의 몸체 중심에 구비된 결합홀(431)에 삽설되는 삽입재(450)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가 진입램프(410)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양측벽에 외벽보호대(470)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진입 또는 진출시에 양측벽에 충돌할 경우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도면에는 진입램프(410)가 수직으로 도시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 진입램프(410)가 라운딩되는 곡선구간, 즉 급격한 곡선구간인 경우에도 그 진입램프(410)와 같은 형태로 바닥판재(430)와 외벽보호대(470)의 형태를 곡선 형 태로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연하여 곡선구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5에서는 외벽보호대(470)와 보조충격흡수재(495)가 설치되는 밀착된 상태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진입램프에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진입램프의 양측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양측벽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단턱에 다수개의 삽입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홈에 양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진입램프의 바닥면에 바닥판재를 설치한다.
상기 바닥판재의 중심에는 다수개의 결합홀을 구비시키고, 상기 장공의 결합홀에는 삽입재를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삽입재는 결합홀에 결합되면서 상단부가 바닥판재의 결합홀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바닥판재의 상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진입램프의 전면에 설치되는 바닥판재의 상부면에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미끄럼이 방지되고, 특히 차량이 진입램프의 경사면에 위치된 경우 후방으로 미끌어지지 않게 되어 차량의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건축물의 지하주차장에 구비되는 진입램프에 있어서,
    상기 진입램프의 바닥면과 양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에 진입램프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삽입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진입램프를 따라 형성되고 고정 지지대()가 길이방향 양측 끝단에 매설되는 단턱;
    상기 단턱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양측면이 결합되면서 고정되고, 몸체의 중심에는 가로방향으로 다수 개의 결합홀이 구비되는 바닥판재;
    상기 바닥판재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장공의 결합홀에 상단부가 돌출되도록 삽설되어 바닥판재의 상부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저면부의 넓이가 상면부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면서 중간부분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으며, 결합홀의 밑으로부터 상면부측으로 삽입되는 삽입재;
    상기 삽입재의 양측면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볼트홀과 상기 바닥판재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볼트홀에 체결되어 바닥판재의 결합홀에 삽입된 삽입재가 바닥판재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볼트;
    상기 단턱의 측면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상부면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로 이루어지는 외벽보호대;
    상기 외벽보호대와 벽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설되는 보조충격흡수 재;
    상기 외벽보호대의 충격흡수부에 구비되는 와이어홀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외벽보호대를 상호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는 양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단턱의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앵커홀이 구비되어 앵커가 앵커홀에 삽설됨으로써 앵커에 의해 바닥판재가 고정되며,
    상기 바닥판재의 중심에 형성되는 결합홀은 바닥면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삽입재가 바닥면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KR1020050112343A 2005-11-23 2005-11-23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KR100557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343A KR100557283B1 (ko) 2005-11-23 2005-11-23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343A KR100557283B1 (ko) 2005-11-23 2005-11-23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7283B1 true KR100557283B1 (ko) 2006-03-10

Family

ID=3717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343A KR100557283B1 (ko) 2005-11-23 2005-11-23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306B1 (ko) 2008-01-22 2008-03-24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6687A (en) 1975-04-16 1977-07-19 Kyoritsu Kikai Seisakusho Walking board for bo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6687A (en) 1975-04-16 1977-07-19 Kyoritsu Kikai Seisakusho Walking board for bo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306B1 (ko) 2008-01-22 2008-03-24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도로의 급커브 길에 설치되는 차량 이탈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0476C1 (ru) Сборный выравнивающий блок под барьерным ограждением поверх конструкции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удерживающей давление грунта
KR101855368B1 (ko)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43141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SK285586B6 (sk) Premostenie
KR200406161Y1 (ko) 돈사용 바닥판 결합체
KR102239510B1 (ko)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557283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구조
KR101410788B1 (ko) 슬림형 주차장용 조립식 바닥패널 및 이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구조
KR100650502B1 (ko)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 장치
KR100776676B1 (ko) 다층 건물 층간 소음 진동 저감장치
KR100590409B1 (ko) 조립식 건축용 바닥패널
KR200429869Y1 (ko) 도로 및 단지의 배수용 소음방지 그레이팅
KR102072977B1 (ko) 공동주택단지 전기케이블 보호를 위한 구부러짐 방지시설
JP5013826B2 (ja) 建築物における床支持構造
KR20050071444A (ko) 교량의 조립식 콘크리트 방호벽
KR100736445B1 (ko) 공동 주택용 주차블록의 주차 정위치 안내구조
JP2001081891A (ja) 建物における遮音床構造
KR100590823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방호구조물
KR100779184B1 (ko) 도로 및 단지의 배수용 소음방지 그레이팅
KR101021648B1 (ko) 공동주택의 지하공간 우수유입방지장치
KR200408450Y1 (ko) 에어 패드 및 그를 이용한 장선 구조물 및 마루 구조물
KR100564913B1 (ko)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진입램프
JP7441561B1 (ja) 目地プレート及び床用目地装置
KR200373464Y1 (ko) 복공판 이음부용 연결패드
JP3521973B2 (ja) 作業台ユニットを用いた建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