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229B1 -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229B1
KR100815229B1 KR1020050115412A KR20050115412A KR100815229B1 KR 100815229 B1 KR100815229 B1 KR 100815229B1 KR 1020050115412 A KR1020050115412 A KR 1020050115412A KR 20050115412 A KR20050115412 A KR 20050115412A KR 100815229 B1 KR100815229 B1 KR 100815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mirror
mirror housing
vehicle
rear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998A (ko
Inventor
최동화
Original Assignee
최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화 filed Critical 최동화
Priority to KR102005011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229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comprising means for cleaning or de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에 있어서, 특히 차량의 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하여 백미러의 미러상에 맺힌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백미러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미러면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과,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의 상부측 가장자리가 접합되고 중앙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부를 갖도록 하는 상부면 및,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미러면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측면 칸막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과 상부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칸막이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외부의 바람을 통과시키는 간단한 구조의 물방울 제거장치를 부가 설치하여 비가 올때에는 쉽게 미러에 부착된 빗물을 쓸어내리고 평상시에는 미러에 달라붙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차량, 백미러, 물방울, 제거

Description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A Drop of Water Exclusion Unit for Back Mirror of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백미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물방울 100: 백미러
110: 미러 200: 물방울 제거장치
210: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 220: 상부면
230: 측면 칸막이 240: 칸막이
300: 탄성밸트 310: 탄성밸트 접속고리
본 발명은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하여 백미러의 미러상에 맺힌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백미러는 후사경이라고도 하며, 정확하게는 리어 뷰 미러(rear view mirror)라고 한다.
자동차를 운전할 때는 항상 앞을 주시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동시에 후속차에도 주의를 주어야 하므로 앞을 향한 자세로 뒷쪽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 백미러이다.
현재 한국의 자동차 보안기준으로는 차 실내에 1개, 좌우 팬더 위에 각 1개씩 3개의 백미러를 배치하고, 뒷쪽 50m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백미러(100)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라우드진 통 형태로서 일측면에 미러(1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차량의 좌우에 배치되는 백미러는 통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우천시에는 백미러의 거울에 물방울이 맺혀 뒷쪽의 후속차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가 멈추었다고 하더라도, 백미러에 맺힌 물방울이 제거되려면 상당한 시간을 기다려야 되고, 백미러에 맺힌 물을 제거하려면 창문을 열고 거울을 닦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물론, 고가의 차량에는 열선을 등을 이용하여 물방울을 제거토록 하고 있으나, 고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물방울이 사라지는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 되므로 비효율적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전방의 바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물방울 제거장치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백미러 물방울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백미러(100)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미러면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과,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상부측 가장자리가 접합되고 중앙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부를 갖는 상부면(220) 및,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미러면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측면 칸막이(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과 상부면(22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칸막이(24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에는 빗물 받이용 요철부 및 빗물 외부 이탈용 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전면에는 바람이 미러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바람막이 턱이 더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전면과 측면 칵만이의 하부에는 미 러 하우징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고리 및 탄성밸트를 각각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200)는 백미러(100)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과,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상부측 가장자리가 접합되고 중앙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공간부를 갖도록 하는 상부면(220)으로 이루어지며, 전방은 바람을 많이 끌어들일 수 있도록 입구가 크고 후방은 모여진 바람을 집 중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설계된다.
상기에서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은 측면 칸막이(230)를 일체로 결합하여 백미러의 측면으로 연장설치되는바, 상기 결합면(210)은 미러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형태가 측면까지 이어져 백미러 하우징(100)의 측면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이동을 막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미러의 측면 칸막이(230)는 상부가 길고 하부가 짧도록 경사지게 설치하여 미적감각을 유지하면서 빗방울의 침투를 차단하게 된다.
물론, 상기 측면 칸막이(230)는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과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과 상부면(220)에는 다수개의 칸막이(240)를 설치하였는바, 물방울은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바닥면에 정지되고 바람만이 미러(110)에 도착하도록 하였으며, 하부면의 끝단부에는 바람막이 턱(211)이 미러방향으로 꺽이도록 하여 바람이 미러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미러(110)에 존재하는 물방울(10)을 미러의 하부쪽으로 이동시켜 탈거되도록 하였다.
또한, 물방울 제거장치(200)의 칸막이(240)에 모아진 물방울을 자연스럽게 백미러(100)의 측면을 타고 내려갈 수 있도록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에 다수개의 요철(212)을 형성하였으며, 따라서 물방울 제거장치(200)를 통해 들어온 빗물은 요철(212)의 홈에 모아진 후 측면에 형성된 홀(2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칸막이(240)는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 장착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면에 1개를 배치하고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에 2개를 배치하여 빗물이 물방울 제거장치의 공간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칸막이(240)에 부디쳐 물은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바닥에 모이고 물방울이 제거된 상태의 바람만이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여 미러(110)에 도달토록 한다.
물론, 상기에서 칸막이(240)가 많을수록 빗방울은 보다 완벽하게 제거되고 바람만이 이동하나, 너무 많이 칸막이(240)를 장착하게 되면 바람의 세기가 약해져서 미러(110)에 붙어 있는 물방울이 신속하게 제거되지 않을수 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3개정도 칸막이(240)를 부착하게 되면 빗물이나 공기중의 물방울(10)은 제거되면서 동시에 바람의 세기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비록 물방울 제거장치(200)를 통과한 후에도 약간의 물이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미러(210)를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물방울 제거장치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성능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이중 접착 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도 2 내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밸트(300) 및 접속고리(310)를 이용하여 백미러 하우징의 후방을 경유하여 하부면에 걸어 고정토록 설계할 수도 있다.
물론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에는 접속고리(214)를 설치하여 고정하며, 상기 백미러 하우징 접속고리(300)와 밸트 접속고리(310)의 작용으로 물방울 제거장치(200)가 단단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측면 칸막이(230)의 일단에 고정클립(231)을 다수개 설치 또는 형성하여 백미러 하우징(100)의 전면을 통해 고정하면 된다.
물론, 최초 백미러(100) 제작시에 일체형으로 제작토록 하게 되면 보다 효율적이며, 이미 부착된 백미러에는 상기와 같이 접착수단이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물방울 제거장치를 백미러에 부착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차량을 구동하면서 동시에 바람은 계속적으로 미러의 상부면에 제공되게 되며, 상기 바람은 미러의 상부면을 타고 하부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미러에 달라붙는 먼지를 원천봉쇄할 수 있고, 또한 물방울(10)을 신속히 백미러의 하부로 이동시킨 후 외부로 탈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바람을 통과시키는 간단한 구조의 물방울 제거장치를 부가 설치하여 비가 올때에는 쉽게 미러에 부착된 빗물을 쓸어내리고 평상시에는 미러에 달라붙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laims (4)

  1. 백미러(100)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미러면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과,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상부측 가장자리가 접합되고 중앙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부를 갖는 상부면(220) 및,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미러면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측면 칸막이(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과 상부면(22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칸막이(24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전면과 측면 칵만이의 하부에는 미러 하우징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고리(310) 및 탄성밸트(300)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에는 빗물 받이용 요철부 및 빗물 외부 이탈용 홀(213)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 하우징 결합면(210)의 전면에는 바람이 미러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바람막이 턱(211)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4. 삭제
KR1020050115412A 2005-11-30 2005-11-30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KR100815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412A KR100815229B1 (ko) 2005-11-30 2005-11-30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412A KR100815229B1 (ko) 2005-11-30 2005-11-30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847U Division KR200370221Y1 (ko) 2004-09-17 2004-09-17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998A KR20060025998A (ko) 2006-03-22
KR100815229B1 true KR100815229B1 (ko) 2008-03-21

Family

ID=3713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412A KR100815229B1 (ko) 2005-11-30 2005-11-30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598A (ko) 2016-05-26 2017-12-06 김범수 잉크수두를 낮추며 잉크를 연속 공급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외부 연속공급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833Y1 (ko) * 1994-12-19 1998-04-14 장위덕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조
KR200317790Y1 (ko) 2003-03-29 2003-06-25 박재석 차량 진행력의 반작용에 의해 형성된 공기저항력을이용한 반사경 빗물 제거장치가 부착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0391955Y1 (ko) 2005-05-07 2005-08-10 장동훈 미러표면 습기제거용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833Y1 (ko) * 1994-12-19 1998-04-14 장위덕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조
KR200317790Y1 (ko) 2003-03-29 2003-06-25 박재석 차량 진행력의 반작용에 의해 형성된 공기저항력을이용한 반사경 빗물 제거장치가 부착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0391955Y1 (ko) 2005-05-07 2005-08-10 장동훈 미러표면 습기제거용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598A (ko) 2016-05-26 2017-12-06 김범수 잉크수두를 낮추며 잉크를 연속 공급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외부 연속공급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998A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7864B2 (en)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system
WO2005039932A3 (de) Reinigungsvorrichtung
US98341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 build up of snow or dust
US9669806B2 (en) Aftermarket side window wiper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tor vehicle
US20190152445A1 (en) Wiper blade adapter device
KR100629161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815229B1 (ko)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KR200370221Y1 (ko) 차량의 백미러 물방울 제거장치
JP3873238B2 (ja) ワイパーレスガラスクリーナー
KR100371547B1 (ko) 인사이드 미러와 레인센서 커버의 결합구조
US7412744B2 (en) Wiper for an automobile rear-view mirror
JP2012162246A (ja) エヤーワイパー
FR2783224A1 (fr) Dispositif de commande automatique d'une installation, notamment du moteur d'un balai d'essuie-glace d'une installation d'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KR200457975Y1 (ko) 차량 유리면의 물기 제거장치
CN102642524A (zh) 后视镜气压净镜装置
KR100917315B1 (ko) 차량용 와이퍼 보호 장치
KR101720141B1 (ko) 차량의 도어 유리창용 와이퍼 구조체
RU2626436C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дворник стекла заднего вида
US20150224965A1 (en) Windshield wiper squeegee attachment
KR20200117935A (ko) 자동차 사이드미러 빗물제거 방법
JP2000351356A (ja) バックミラー用エアーワイパー
KR200319746Y1 (ko) 픽업차량용 빗물유도장치
CN205059541U (zh) 履带式后视镜用雨刮装置
KR200177570Y1 (ko) 자동차용 보조 와이퍼
CN103863259A (zh) 一种超声波汽车后视镜除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