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179B1 - 변화하는 지연값을 가지는 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변화하는 지연값을 가지는 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179B1
KR100815179B1 KR1020060134360A KR20060134360A KR100815179B1 KR 100815179 B1 KR100815179 B1 KR 100815179B1 KR 1020060134360 A KR1020060134360 A KR 1020060134360A KR 20060134360 A KR20060134360 A KR 20060134360A KR 100815179 B1 KR100815179 B1 KR 100815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burn
pulse signal
de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은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13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179B1/ko
Priority to US11/819,802 priority patent/US764978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15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clock generation or timing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11C29/50012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of tim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모드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지연값을 갖도록 하는 메모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장치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와 읽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 및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게, 노멀 모드에서는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지연선택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60134360
지연, 테스트모드

Description

변화하는 지연값을 가지는 메모리장치.{Memory Device having various delay}
도 1은 종래의 메모리장치에서의 리드 라이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지연선택부(260_2)를 도 2 와는 다르게 패스게이트들을 이용하여 구성한 일실시예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0: 지연부 260: 지연선택부
260_2: 260과는 다르게 구성한 지연선택부
250_2: 제1지연부 250_3: 제2지연부
260_3: 제1지연선택부 260_4: 제2지연선택부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장치의 동작전압에서의 스피드 마진(speed margin)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장치에서는 스트레스 테스트(stress test)를 하기 위해서 동작전원보다 높은 전원을 인가해서 하는 테스트인 번인 테스트(Burn In test)를 실시한다. 이때 동작전원보다 높은 전원을 인가해 읽기(read), 쓰기(write) 등의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 알아본다.
도 1은 종래의 메모리장치에서의 리드 라이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byprep신호와 구별신호(wt_rdb)가 낸드게이트(NA11)와 인버터(I11)에 의해 조합되어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가 생성되고 byprep신호와 구별신호(wt_rdb)를 인버터(I12)에 의해 반전한 신호가 낸드게이트(NA12)와 인버터(I13)에 의해 조합되어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가 생성된다. 즉, byprep신호와 구별신호(wt_rdb)가 모두 논리'하이'인 구간에서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가 생성되고, byprep신호가 논리'하이' 구별신호(wt_rdb)가 논리'로우'인 구간에서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가 생성된다.
여기서 byprep신호는 읽기(read) 쓰기(write) 동작을 위한 외부 커맨드가 입력되었을 때 생성되는 펄스신호로, 메모리장치의 동작시 Yi(컬럼선택신호)를 띄우고, 리드 동작에서는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 라이트 동작에서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이다.
또한, 구별신호(wt_rdb)는 읽기동작과 쓰기동작을 구별하기 위한 신호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별신호(wt_rdb)가 논리'하이'일 때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 논리'로우'일 때는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를 생성하게 된다.
byprep신호와 구별신호(wt_rdb)를 조합하여 생성된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는 지연부(110)에 의해서 지연되어 쓰기 드라이버(130)에 입력되는데,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에 의해 쓰기 드라이버(130)는 메모리장치의 쓰기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글로벌 입출력라인(GIO)의 데이터를 로컬 입출력라인(LIO)에 싣는다.
또한, byprep신호와 구별신호(wt_rdb)를 조합하여 생성된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는 지연부(120)에 의해 지연되어 입출력 센스앰프(IOSA: I/O Sense Amplifier)(140)에 입력되는데,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에 의해서 입출력 센스앰프(140)는 메모리장치의 읽기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로컬 입출력라인(LIO)의 데이터를 글로벌 입출력라인(GIO)에 싣는다.
byprep신호와 byprep신호에 의해서 생성되는 쓰기 인에이블(bwen),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들은 지연부(110, 120)를 거쳐서 오게 되는데, 이러한 신호들은 모두 펄스신호들이기 때문에 지연을 시키는데 있어서 캐패시터나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펄스신호들이 통과하는 지연부(110, 120)는 인버터를 직렬로 연결한 인버터체인(inverter chain)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글로벌입출력 라인(GIO)은 일반적으로 커다란 메탈라인 로딩(metal line loading)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의해 지연이 이루어진다.
펄스신호들이 통과하게 되는 인버터 체인의 형태를 가지는 지연부(110, 120)는 전원전압이 변함에 따라 그 지연값이 크게 달라진다. 하지만 메탈라인 로딩을 가지는 글로벌입출력 라인(GIO)은 전원전압이 변하더라도 그 지연값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번인 테스트(Burn In test)와 같이 동작전압보다 훨씬 높은 전압을 가지고 메모리장치의 쓰기 읽기 동작등을 테스트할 때는 인버터 체인 딜레이를 사용하는 지연부(110, 120)의 지연값은 많이 줄고, 글로벌입출력 라인(GIO)의 지연값은 별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작전압에 맞게 펄스신호들의 지연값을 세팅하여 놓은 경우에는,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는 신호들의 지연값이 맞지 않게 되어 쓰기/읽기 동작에 페일(fail)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메모리장치에서는 동작전압보다 높은 번인 테스트시의 전압에 맞게 지연값을 설정하고 있다. 즉, 번인 테스트 시와 같은 높은 전압에서의 동작 때문에 필요이상의 지연값을 설정하여 일반동작에서의 스피드 마진(speed margin)은 손해를 보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메모리장치의 일반적인 읽기/쓰기 동작에서의 스피드 마진(speed margin)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와 읽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 및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게, 노멀 모드에서는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지연선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모드는, 메모리장치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번인 테스트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연선택부는, 번인 테스트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가 인에이블 되면,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게,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면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1지연부; 읽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2지연부;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가 상기 제1지연부를 통과하게, 노멀 모드에서는 상기 제1지연부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제1지연선택부; 및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읽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가 상기 제2지연부를 통과하게, 상기 노멀모드에서는 상기 제2지연부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제2지연선택부를 포함한다.
이 또한, 상기 테스트모드는, 메모리장치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번인 테스트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및 제2지연선택부는, 번인 테스트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가 인에이블 되면, 상기 펄스신호들(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 읽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이 상기 지연부들(제1 및 제2지연부)을 통과하게,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면 상기 펄스신호들이 상기 지연부들을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의 점선 왼쪽 부분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장치에서 새로 추가된 부분이고, 도면의 점선 오른쪽 부분은 종래의 메모리장치와 동일한 부분이다. 점선 오른쪽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의 기술 부분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이하 점선 왼쪽부분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와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byprep)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250); 및 테스트 모드(test mode)에서는 펄스신호(byprep)가 지연부(250)를 통과하게,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는 펄스신 호(byprep)가 지연부(250)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지연선택부(260)를 포함하여 노멀 모드에 있어서 스피드마진을 개선한다.
상기 테스트 모드(test mode)는 메모리장치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읽기 쓰기 등의 동작을 하는 테스트 모드를 의미하며, 이러한 테스트모드의 일예로 번인 테스트 모드(Burn In test mode)가 있다.
지연선택부(260)는 번인 테스트 모드시 인에이블 되는 신호인 번인 테스트신호(TM_BI)를 입력받아 동작하며, 번인 테스트신호(TM_BI)가 인에이블 되면, 펄스신호(byprep)가 지연부(250)를 통과하게, 번인 테스트신호(TM_BI)가 디스에이블 되면 펄스신호(byprep)가 지연부(250)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한다.
지연선택부(260)는 지연부(250)를 통과한 펄스신호(byprep), 지연부(250)를 통과하지 않은 펄스신호(byprep), 번인 테스트신호(TM_BI)를 논리조합하는 낸드게이트들(NA23,24,25); 및 인버터(I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지연부(250)를 통과한 펄스신호(byprep)와 번인 테스트신호(TM_BI)를 입력받는 낸드게이트1(NA23); 지연부(250)를 통과하지 않은 펄스신호(byprep)와 번인 테스트신호(TM_BI)를 반전하여 입력받는 낸드게이트2(NA24); 및 낸드게이트1(NA23)과 낸드게이트2(NA24)의 출력을 입력받는 낸드게이트3(NA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번인 테스트신호(TM_BI)가 인에이블 되어 논리'하이'상태가 되면, 낸드게이트1(NA23)에 '하이' 낸드게이트2(NA24)에 '로우'가 입력된다. 낸드게이트2(NA24)에 '로우'가 입력되면 나머지 신호에 관계없이 낸드게이트 2(NA24)는 항상 '하이'를 출력하게 된다. 낸드게이트1(NA23)의 출력은 지연부(250)를 통과하여 입력되는 펄스신호(byprep)에 따라 결정되는데 펄스신호(byprep)가 '하이'이면 낸드게이트1(NA23)의 출력은 '로우', 펄스신호(byprep)가 '로우'이면 낸드게이트1(NA23)의 출력은 '하이'가 된다. 낸드게이트3(NA25)의 출력은 낸드게이트1,2(NA23,24)의 출력에 따라 결정되는데 낸드게이트2(NA24)에서는 계속 '하이'가 출력되는 상태이므로 결국 낸드게이트3(NA25)은 낸드게이트1(NA23)의 출력을 반전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낸드게이트3(NA25)의 출력은 지연부(250)를 통과한 펄스신호(byprep)와 같아진다.
반대의 경우 즉, 노멀 모드이어서 번인 테스트신호(TM_BI)가 논리'로우'상태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낸드게이트3(NA25)의 출력은 낸드게이트2(NA24)에 입력되는 펄스신호(byprep)가 된다. 즉, 지연부(250)를 통과하지 아니한 펄스신호(byprep)가 낸드게이트3(NA25)으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연선택부(260)는 번인 테스트모드 시에는 펄스신호(byprep)의 지연값을 늘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종래의 지연부(210, 220)의 지연값을 설정할때 번인 테스트에 대비하여 지연값을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고 동작전압에 맞추어서 지연값을 설정하고 번인 테스트 모드시 필요한 지연은 본 발명에 새로 추가된 지연부(250)가 담당하면 된다. 즉, 이제는 더 이상 종래의 지연부(210, 220)의 지연값을 동작전압에서 필요한 지연값보다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메모리장치의 스피드 마진(speed margin)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펄스신호(byprep)의 지연값만을 테스트 모드이냐 아니냐에 따라 조절하고 구별신호(wt_rdb)의 지연값은 조절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펄스신호(byprep)는 펄스(pulse) 형태의 신호이기 때문에 그 입력 타이밍이 중요하지만, 구별신호(wt_rdb)는 단지 레벨(level)신호이기 때문이다. 즉, 쓰기(write) 커맨드가 들어오면 '하이'가 되고 다음 읽기(read) 커맨드가 들어오기까지는 '하이'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신호로 그 타이밍이 크게 문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3은 지연선택부(260_2)를 도 2 와는 다르게 패스게이트들을 이용하여 구성한 일실시예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선택부(260_2)는 번인 테스트신호(TM_BI) 인에이블시 턴온되며, 지연부(250)를 통과한 펄스신호(byprep)를 전달하는 패스게이트1(PG1); 및 번인 테스트신호(TM_BI) 디스에이블시 턴온되며, 지연부(250)를 통과하지 않은 펄스신호(byprep)를 전달하는 패스게이트2(PG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스게이트1,2(PG1,2)는 게이트에 번인 테스트신호 혹은 번인테스트 신호를 인가받으며, 펄스신호를 자신의 드레인-소스 전송선로로 전달하는 NMOS 및 PMOS트랜지스터(N21, N22, P21, P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패스게이트1(PG1)은 게이트에 번인 테스트신호(TM_BI)를 인가받는 NMOS트랜지스터(N21)와 인버터(I25)에 의해 반전된 번인 테스트신호(TM_BI)를 게이트에 인가받는 PMOS트랜지스터(P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스게이트2(PG2)는 게이트에 번인 테스트신호(TM_BI)를 인가받는 PMOS트랜지스터(P22)와 게이트에 번인 테스트신호(TM_BI)를 반전하여 인가받는 NMOS트랜지스터(N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번인 테스트신호(TM_BI)가 '하이'로 인에이블 되면 트랜지스터N21,P21이 턴온 패스게이트1(PG1)이 턴온되어 지연부(250)를 통과한 펄스신호(byprep)를 전달하게 되고, 번인 테스트신호(TM_BI)가 '로우'로 디스에이블 되면 트랜지스터N22,P22가 턴온 패스게이트2(PG2)가 턴온되어 지연부(250)를 통과하지 아닌한 펄스신호(byprep)를 전달하게 된다.
즉, 그 구성에 있어서만 도 2의 지연선택부(260)와 상이할 뿐 그 역할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장치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byprep)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1지연부(250_2);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byprep)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2지연부(250_3); 테스트 모드에서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byprep)가 제1지연부(250_2)를 통과하게, 노멀 모드에서는 제1지연부(250_2)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제1지연선택부(260_3); 및 테스트 모드에서는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byprep)가 제2지연부(250_3)를 통과하게, 노멀모드에서는 제2지연부(250_3)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제2지연선택부(260_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펄스신호(byprep)가 입력 되는 두 경로 즉,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되는 경로와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되는 경로마다 지연부(250_2, 250_3)와 지연선택부(260_3, 260_4)를 구비한다.
이것은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와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가 통과하게 되는 지연부들(210, 220)의 지연값이 다르고, 이에 따라 전압의 변동에 따라 달라지는 지연부들(210, 220)의 지연값이 달라지게 될 경우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즉,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가 생성되는 경로 및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가 생성되는 경로 별로 번인 테스트 모드(Burn In testmode)에서 늘려야 하는 지연값이 다른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지연부(250_2, 250_3)와 지연선택부(260_3, 260_4)를 구비하면 된다.
도 4의 실시예는 지연부(250_2, 250_3)와 지연선택부(260_3, 260_4)가 2개씩 구비되었다는 점이 도 2의 실시예와 상이하나, 지연선택부(260_3, 260_4)가 번인 테스트모드 시에는 펄스신호(byprep)를 지연부(250_2, 250_3)를 통하여 지연하게 한다는 기본 동작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지연선택부들(260_3, 260_4)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번인 테스트 모드(Burn In testmode)에서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와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byprep)의 지연값을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노멀 모드에서의 쓰기 인에이블 신호(bwen)와 읽기 인에이블 신호(isotb)의 지연값을 설정할 때 그 지연값을 더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메모리장치의 스피드 마진(speed margin)을 개선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쓰기 인에이블 신호와 읽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 및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게, 노멀 모드에서는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지연선택부
    를 포함하는 메모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는,
    메모리장치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번인 테스트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선택부는,
    번인 테스트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가 인에이블 되면,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게,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면 상기 펄스신호가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선택부는,
    상기 지연부를 통과한 상기 펄스신호,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지 않은 상기 펄스신호,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를 논리조합하는 낸드게이트들;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선택부는,
    상기 지연부를 통과한 상기 펄스신호와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를 입력받는 낸드게이트1;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지 않은 상기 펄스신호와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를 반전하여 입력받는 낸드게이트2; 및
    상기 낸드게이트1과 상기 낸드게이트2의 출력을 입력받는 낸드게이트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선택부는,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 인에이블시 턴온되며, 상기 지연부를 통과한 상기 펄스신호를 전달하는 패스게이트1; 및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 디스에이블시 턴온되며, 상기 지연부를 통과하지 않은 상기 펄스신호를 전달하는 패스게이트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게이트1과 상기 패스게이트2는,
    게이트에 상기 번인테스트 신호 혹은 상기 번인테스트 신호를 인가받으며, 상기 펄스신호를 자신의 드레인-소스 전송선로로 전달하는 NMOS 및 PMOS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신호는,
    상기 펄스신호와 쓰기읽기 구별신호가 '하이'로 입력되는 구간에서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펄스신호가 '하이' 상기 쓰기읽기 구별신호가 '로우'로 입력되는 구간에서 상기 읽기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9.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1지연부;
    읽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2지연부;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가 상기 제1지연부를 통과하게, 노멀 모드에서는 상기 제1지연부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제1지연선택부; 및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읽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가 상기 제2지연부를 통과하게, 상기 노멀모드에서는 상기 제2지연부를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제2지연선택부
    를 포함하는 메모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모드는,
    메모리장치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번인 테스트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지연선택부는,
    번인 테스트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며,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가 인에이블 되면, 상기 펄스신호들(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 읽기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신호)이 상기 지연부들(제1 및 제2지연부)을 통과하게, 상기 번인 테스트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면 상기 펄스신호들이 상기 지연부들을 통과하지 않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KR1020060134360A 2006-12-27 2006-12-27 변화하는 지연값을 가지는 메모리장치. KR100815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360A KR100815179B1 (ko) 2006-12-27 2006-12-27 변화하는 지연값을 가지는 메모리장치.
US11/819,802 US7649789B2 (en) 2006-12-27 2007-06-29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various delay valu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360A KR100815179B1 (ko) 2006-12-27 2006-12-27 변화하는 지연값을 가지는 메모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179B1 true KR100815179B1 (ko) 2008-03-19

Family

ID=3941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360A KR100815179B1 (ko) 2006-12-27 2006-12-27 변화하는 지연값을 가지는 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49789B2 (ko)
KR (1) KR100815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378A (ko) * 2014-09-05 2016-03-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488A (ko) * 2001-12-29 2003-07-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번-인 테스트 모드시 열 선택신호 펄스폭 보상회로
KR20050086300A (ko) * 2004-02-25 2005-08-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입력 스트로브 신호 발생 회로
KR20060016656A (ko) * 2004-08-18 2006-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펄스 제어 장치
KR20070002943A (ko) * 2005-06-30 2007-01-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식 반도체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KR20080001055A (ko) * 2006-06-29 2008-01-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지연 시간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8118B2 (ja) 1988-12-13 1998-02-25 ソニー株式会社 可変遅延装置
US5530677A (en) * 1994-08-31 1996-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system having a write control circuit responsive to a system clock and/or a test clock for enabling and disabling a read/write latch
JP3756231B2 (ja) * 1995-12-19 2006-03-15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KR100252043B1 (ko) * 1997-11-07 2000-05-01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칼럼 선택 신호 제어기 및 칼럼 선택제어 방법
JPH11328972A (ja) * 1998-05-18 1999-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その設計方法およびその検査方法
KR100393217B1 (ko) * 2001-03-09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장치들과 데이터 버퍼를 동일한 클럭 주파수로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메모리 모듈
JP4768163B2 (ja) * 2001-08-03 2011-09-07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JP3866594B2 (ja) 2002-03-15 2007-01-10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遅延回路と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
KR100441870B1 (ko) * 2002-06-29 2004-07-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웨이퍼 번인 테스트용 디코딩 회로
WO2004086622A1 (ja) * 2003-03-25 2004-10-07 Fujitsu Limited 遅延回路、および遅延回路の制御方法
JP4332056B2 (ja) * 2004-04-01 2009-09-16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2005348296A (ja) 2004-06-07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
US7339841B2 (en) * 2005-09-16 2008-03-04 Infineon Technologies Ag Test mode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l memory timing signals
KR20070077982A (ko) * 2006-01-2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번인 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46620B1 (ko) * 2006-06-29 2007-08-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오토프리차지 신호 생성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488A (ko) * 2001-12-29 2003-07-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번-인 테스트 모드시 열 선택신호 펄스폭 보상회로
KR20050086300A (ko) * 2004-02-25 2005-08-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입력 스트로브 신호 발생 회로
KR20060016656A (ko) * 2004-08-18 2006-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펄스 제어 장치
KR20070002943A (ko) * 2005-06-30 2007-01-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식 반도체 소자의 내부 클럭 발생기
KR20080001055A (ko) * 2006-06-29 2008-01-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지연 시간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49789B2 (en) 2010-01-19
US20080159025A1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0370B2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for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due to DQS ripple
US7327613B2 (en) Input circuit for a memory device
US68883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US7173864B2 (en) Data latch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US766017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673829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ssociated data read method
US9653186B2 (en) Memory-testing device and memory-testing method
KR10032867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리드 방법
US805013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478262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input/output circuit
KR100815179B1 (ko) 변화하는 지연값을 가지는 메모리장치.
US7577046B2 (en)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column path control signals in semiconductor device
KR100801309B1 (ko) 라이트레벨링 동작을 하는 메모리장치.
KR20190118020A (ko) 반도체 장치
US7821852B2 (en) Write driving circuit
US6195296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ystem
KR20220052780A (ko) 테스트회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7800966B2 (en) Precharge control circuit
KR20000065617A (ko) 데이터 입력 버퍼 회로
KR20200109030A (ko) 반도체 장치
KR100772695B1 (ko) 파이프 래치 장치
US7535774B2 (en) Circuit for generating an internal enabling signal for an output buffer of a memory
KR20090094604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KR2008005183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제어 신호 생성 회로
KR20000050971A (ko) 안정적인 데이터 마스킹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데이터 마스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