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031B1 -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031B1
KR100812031B1 KR1020070111225A KR20070111225A KR100812031B1 KR 100812031 B1 KR100812031 B1 KR 100812031B1 KR 1020070111225 A KR1020070111225 A KR 1020070111225A KR 20070111225 A KR20070111225 A KR 20070111225A KR 100812031 B1 KR100812031 B1 KR 100812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alfunction
tong
gear
sto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삼
Original Assignee
지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삼 filed Critical 지용삼
Priority to KR102007011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66C13/14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to load-engaging elements or motors associat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크레인에 연결되어 사용하는 가위식 통스(tongs)에 공통적으로 장착되는 통키(tong-key)의 오작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위식 통스의 작업능력과 안전을 확보하며 오작동 발생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확대하고 사고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상, 하부 캠(5)(4) 사이에 오작동 방지 슬리브(6)를 장착하며 이를 포함하여 제어하는 오작동 방지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오작동 방지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키 샤프트(2)의 로드핀(3)에 의해 회전되고 상,하부 캠(5)(4) 사이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로드핀을 안내하는 홈(6a)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톱니모양의 다수의 걸림턱(6b)과 상기 걸림턱(6b) 아래에 기어부(6c)를 형성한 오작동 방지 슬리브(6)와,
멈춤고리(7)를 구비한 멈춤고리 블럭(15)과 상기 기어부(6c)에 대응하는 아이들기어(16)를 회전시키는 레크기어 블럭(17)을 한 쌍으로 하여 상기 오작동 방지 슬리브(6)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로 이루어진 것이다.
천장크레인, 통키, 통키홀더, 키 샤프트, 키 헤드, 오작동 방지 슬리브

Description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Safety accident protect device of the Tong key}
본 발명은 천장크레인에 연결되어 사용하는 가위식 통스(tongs)에 공통적으로 장착되는 통키(tong-key)의 오작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스(tongs)는 링크에 의한 조임력 발생으로 운전되는 기계를 총칭하는 것으로 통스(tongs)를 동작하는 것은 통키(tong key)이다.
통키(tong key)는 상,하부 캠을 따라 안내되는 로드핀을 형성한 키 샤프트가 일정 스트로크(stoke)만큼 승하강하면서 회전운동으로 천장크레인에 권상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정물건을 집어 올릴 수 있도록 집게를 형성한 통스를 작동하는 기동장치이다.
본 발명은 천장크레인에 연결되어 사용하는 가위식 통스(tongs)에 공통적으로 장착되는 통키(tong-key)의 오작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위식 통스의 작업능력과 안전을 확보하며, 오작동 발생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확대하고 사고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과 같이 기존의 통키의 구조를 살펴보면 외부 케이스(1)를 상,하부 캠 (5)(4)사이에 설치하며, 상기 상,하부 캠(5)(4)의 골과 산을 따라 안내되는 로드핀(3)을 가지는 키 샤프트(2)와 키 샤프트(2)의 키 헤드(13)에 물리는 통키홀더(11)로 이루어지는데, 키 샤프트(2)의 키 헤드(13)가 T형으로 되어 있으며 키 헤드(13)에 물리는 통키홀더(11) 역시 직각 모양으로 상응되어 있다.
그리고,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통스는 사용자의 실제 경험을 근거하여 기존 통키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통키의 회전이 완벽히 되지 않아 통키의 키 헤드(13)가 통키홀더(11)를 이탈하여 통스에 막대한 피해와 주변 설비에 피해를 끼치는 경우가 발생하며, 통키에서 발생하는 오작동을 감지하기 위해 회전 방향에 전기 센서를 부착하여 오작동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나 장치가 없어 오작동 발생에 대하여 큰 불안감이 있었다.
또한, 로드핀(3)이 상,하부 캠(5)(4)을 따라 운동함에 있어 로드핀(3)이 상,하부 캠(5)(4)의 공간에서 머무르거나 뒤로 밀리는 오작동 범위에 위치하면 통키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때에 따라 통키의 잠금이 풀려 권상되는 물건이 풀리는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었다.
이는 천장크레인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부주의 및 운전자의 피로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으로 주로 하부 캠(4)에서 상부 캠(5)으로 이동하는 로드핀(3)이 상부 캠(5)의 최고점(회전종료상태의 상부 캠의 골에 위치하는 상태)에 도달하지 않는 상태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정상적인 동작인 상부 캠(5)을 타고 회전하는 상태가 아닌 키 샤프트(2)의 회전범위가 22.5°인 상태에서 자주 발생하는데, 로드핀(3)이 상부 캠(5)에 맞대여 있는 상태에서 통키를 다시 작동하여 올릴 경우 상부 캠(5)과 하부 캠(4) 사이의 빈공간에 로드핀(3)이 머무는 현상을 말한다.
아울러 종래 통키 조립작업시 숙련된 작업자라 할지라도 분리된 상,하부 캠(5)(4)에 케이스(1)를 용접조립할 때, 숙련도에 따라 각기 다른 조립 오차가 발생함으로 인해 통키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받을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키 샤프트에 형성된 로드핀이 상,하부 캠을 타고 회전을 할 때 순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 현상 즉, 로드핀이 상, 하부 캠의 공간상태에 놓이거나 뒤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오작동 방지 슬리브를 장착하고 오작동 방지 슬리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함으로써, 천장크레인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부주의 및 운전자의 피로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 및 장시간 사용시 발생하는 통키의 마모에서 나타나는 순간 역회전까지 방지하여 오작동 발생의 억제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종래 외부 케이스(1)를 상,하부 캠(5)(4) 사이에 설치하며, 상기 상,하부 캠(5)(4)의 골과 산을 따라 안내되는 로드핀(3)을 가지는 키 샤프트(2)와 키 샤프트(2)의 키 헤드(13)에 물리는 통키홀더(11)로 이루어진 천장크레인용 통키에 있어서;
상,하부 캠(5)(4) 사이에 장착되고 키 샤프트(2)의 로드핀(3)에 의해 회전되며 내주면에 홈(6a)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톱니모양의 다수의 걸림턱(6b)과 상기 걸림턱(6b) 아래에 기어부(6c)를 일부형성하여 가지는 오작동 방지 슬리브(6)와,
상기 오작동 방지 슬리브(6)의 회전을 제어하는 멈춤고리 블럭(15)과, 상기 멈춤고리 블럭(15)과 짝을 이루는 레크기어 블럭(17)으로 이루어진 제어부(20)를 포함하는 오작동 방지 장치(100)를 제공하여 오작동 발생의 억제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천장크레인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천장크레인에 장착된 통키의 오작동 발생을 억제함으로 인해 생산성 확대와 안전사고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 통키의 일부 단면 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 슬리브를 장착한 통키의 일부 단면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통키에 설치된 로드핀의 이동곡선 및 위치별 통키의 작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키 작동 원리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6은 통키 동작순서에 따른 본 발명 오작동 방지 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본 발명 오작동 방지 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이며, 도 8은 도 6 및 7에 따른 본 발명 오작동 방지 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상태 및 제어부의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제어부의 단면상태도이다.
본 발명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로드핀(3)을 안내하는 골과 산을 형성한 상,하부 캠(5)(4)과, 상기 로드핀(3)을 상부 외주측면 중심에 삽입하여 고정하며 하부에 키 헤드(13)를 일체 형성한 키 샤프트(2)와, 상기 키 샤프트(2)를 상,하부 캠(5)(4) 사이에 삽입하며 상,하부 캠(5)(4)의 일부를 둘러싸서 포용하는 케이스(1)와, 상기 키 헤드(13)에 물리는 통키홀더(11)로 구성되는 통키에 있어서;
키 샤프트(2)의 로드핀(3)에 의해 회전되고 상,하부 캠(5)(4) 사이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로드핀(3)을 안내하는 홈(6a)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톱니모양의 다수의 걸림턱(6b)과 상기 걸리턱(6b) 아래에 형성한 기어부(6c)로 구성한 오작동 방지 슬리브(6)와,
멈춤고리(7)를 구비한 멈춤고리 블럭(15)과 상기 기어부(6c)에 대응하는 아이들기어(16)를 회전시키는 레크기어 블럭(17)을 한 쌍으로 하여 오작동 방지 슬리브(6)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2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작동 방지 슬리브(6)에 형성된 걸림턱(6a)에 걸리는 멈춤고리(7)를 일측 선단에 형성한 멈춤편(15a)과, 가이드봉(18a)(18b)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가이드편(15b)을 일체 형성한 멈춤고리 블럭(15)과,
오작동 방지 슬리브(6)에 형성된 기어부(6c)에 대응하는 아이들기어(16)를 회전시키는 레크기어(17a)와, 가이드봉(18b)(18c)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가이드편(17b)을 일체 형성한 레크기어 블럭(17)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술한 멈춤고리 블럭(15)과 레크기어 블럭(17)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멈춤고리 블럭(15)은 핀(8)을 중심으로 상기 멈춤고리(7)가 스프링(10)의 탄성 및 오작동 방지 슬리브(6)의 회전에 의해 젖힘과 걸림을 반복하며, 가이드봉(18a)(18b)의 일측에 끼워진 압축스프링(19a)(19b)의 탄성으로 가이드봉(18a)(18b)을 따라 좌우로 운동하는 것이다.
상기 레크기어 블럭(17)은 오작동 방지 슬리브(6)의 회전으로 기어부(6c)가 회전하면 이에 대응하는 아이들기어(16)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가이드봉(18b)(18c)의 일측에 끼워진 압축스프링(19b)(19c)의 탄성으로 가이드봉(18b)(18c)을 따라 좌우로 운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 오작동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통키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A. 잠금상태 : 키 샤프트(2)의 키 헤드(13)와 통키홀더(11)에 걸려있는 상태.
B. 하강(통키홀더와 밀착) : 키 샤프트(2)의 키 헤드(13)가 통키홀더(11) 면에 접촉되는 상태.
C. 하강(회전시작) : 키 샤프트(2)의 하강으로 로드핀(3)이 상부캠(5)을 타고 회전하는 상태.
D. 하강(회전) : 계속되는 통키의 키 샤프트(2) 하강으로 회전 진행중인 상태.
E. 하강(회전 끝) 상승 : 로드핀(3)이 상부캠(5)의 골에 안착되어 회전 정지하는 상태.
F. 상승(회전시작) : 통키 키 샤프트(2)의 상승으로 로드핀(3)이 하부캠(4)에 접촉하고 회전을 시작하는 상태.
G. 상승(회전 끝) : 로드핀(3)이 하부캠(4) 골에 안착되어 회전 정지하는 상태.
H. 열림상태 : 통키 키 샤프트(2)의 키 헤드(13)와 통키홀더(11)가 빠져나올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상태.
이상과 같이 통키 키 샤프트(2)의 키 헤드(13)와 통키홀더(11)의 잠금에서 열림까지의 순환을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키 샤프트(2)에 구비된 로드핀(3)이 상,하부 캠(5)(4)에 형성된 골과 산을 따라 이동하여 키 헤드(13)와 통키홀더(11)가 잠금과 열림을 반복하는 것으로, 상,하부 캠(5)(4)의 고정거리를 스트로크 높이로 하여 하나의 사이클행정을 반복운행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핀(3)의 이동곡선 및 위치별 통키의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 캠(5)과 하부 캠(4) 사이로 로드핀(3)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데 로드핀(3)이 잠금상태의 위치에서 열림상태의 위치까지 상,하부 캠(5)(4)의 골과 산을 타고 이동하면 키 샤프트(2)는 회전운동하고 키 샤프트(2)에 형성된 키 헤드(13)가 통키홀더(11)를 물림과 풀림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통키는 로드핀(3)의 움직임에 따라 키 샤프트(2)의 키 헤드(13)가 상승, 하강, 회전을 하며 로드핀(3)의 이동 곡선을 따라 잠금 -> 상승 -> 캠을 타고 회전 -> 회전종료 -> 하강 -> 캠을 타고 회전 -> 열림을 반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키의 구성 부품 중 운동하는 것은 키 샤프트(2)와 오작동 방지 슬리브(6)로 키 샤프트(2)의 경우 회전과 승하강 운동을 반복하며 오작동 방지 슬리브(6)는 회전운동을 하는 것으로, 로드핀(3)에 의해 상기 키 샤프트(2)와 오작동 방지 슬리브(6)가 동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 오작동 방지 장치를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잠금상태 -> 상승상태 -> 회전종료상태 -> 하강상태 -> 열림상태로 이루어지는 통키의 작동 순서에 맞추어 구체적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잠금상태 : 키 샤프트(2)의 회전에 의해 오작동 방지 슬리브(6)가 회전하면 레크기어 블럭(17)이 후진하며 멈춤고리 블럭(15) 또한 후진한다. 이때 압축스프링(19a)(19b)은 압축력이 발생한다.
이는 레크기어 블럭(17)에 형성된 가이드편(17b)과 짝을 이루는 멈춤고리 블럭(15)에 형성된 가이드편(15b)이 가이드봉(18a)(18b)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레크기어 블럭(17) 가이드편(17b)의 후진으로 멈춤고리 블럭(15)이 밀려 후진하는 것이다.
② 상승상태 : 통키가 상승상태가 되면서 로드핀(3)이 통키 내부의 빈공간 진입시 압축스프링(19a)(19b)의 압축력에 의하여 멈춤고리(7)를 구비한 멈춤고리 블럭(15)이 전진하며 오작동 방지 슬리브(6)를 회전시켜 상기 오작동 방지 슬리브(6) 내에 설치된 로드핀(3)을 회전시킨다.
이때 레크기어 블럭(17)에 형성된 레크기어(17a)가 아이들기어(16)를 공회전시키며 압축스프링(19c)의 장력에 의해 레크기어 블럭(17)은 원위치하는 것이다.
이는 로드핀(3)이 상,하부 캠(5)(4)의 빈공간 진입으로 오작동이 발생하는 위치 즉, 키 샤트프(2)의 회전범위 22.5°를 벗어나게 오작동 방지 슬리브(6)를 회전시킨다.
통키의 키 샤프트(2)의 동작에서 로드핀(3)을 고정한 키 샤프트(2)의 회전범위가 22.5°상태에서 상기 로드핀(3)이 상,하부 캠(5)(4)의 빈공간에 움직이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를 극복하고자 본 발명은 상기 회전범위를 최소 25°이상 회전시켜 오작동 발생 회전범위를 벗어나도록 한 것이다.
즉, 키 샤프트(2)의 회전종료상태인 45°에 이르는 범위 25°~ 45°회전범위 내로 오작동 방지 슬리브(6)를 회전시켜 로드핀(3)이 상,하부 캠(5)(4)의 빈공간에 놓이는 오작동 회전범위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제어부(20)에 형성된 레크기어 블럭(17)의 운동에 따라 아이들기어(16)가 회전하고 오작동 방지 슬리브(6)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6c)가 상기 아이들기어(16)의 회전으로 인해 오작동 방지 슬리브(6)는 회전하는 것이다.
③ 회전종료상태 : 멈춤고리(7)를 구비한 멈춤고리 블럭(15)은 압축스프링(19a)(19b)의 압축력에 의하여 레크기어 블럭(17)에 접촉할 때까지 오작동 방지 슬리브(6)를 밀어 회전시킨다.
상기 멈춤고리 블럭(15)이 전진하며 오작동 방지 슬리브(6)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멈춤고리 블럭(15)에 형성된 멈춤고리(7)가 걸림턱(6b)에 걸려 오작동 방지 슬리브(6)를 회전시킨다.
④ 하강상태 : 통키가 하강상태가 되면서 오작동 방지 슬리브(6)가 회전하며 레크기어 블럭(17)은 멈춤고리(7)를 가지는 멈춤고리 블럭(15)을 후진시키는 준비단계가 된다.
즉, 오작동 방지 슬리브(6)가 회전하고 레크기어 블럭(17)에 형성된 레크기어(17a)가 아이들기어(16)를 공회전하여 멈춤고리(7)를 구비한 멈춤고리 블럭(15)을 후진시키는 준비단계가 되는 것이다.
⑤ 열림상태 : 회전종료상태 이전에 오작동 방지 슬리브(6) 하단에 형성한 기어부(6c)가 아이들기어(16)를 회전시켜 레크기어 블럭(17)을 후진시키고 이에 따라 멈춤고리(7)를 가지는 멈춤고리 블럭(15)을 후진시켜, 다음 작동을 위한 준비 상태가 되는데 이때 압축스프링(19a)(19b)(19c)은 압축력을 발생시키고 통키의 작동은 위와 같은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멈춤고리 블럭(15) 및 레크기어 블럭(17)은 가이드봉(18a)(18b)(18c) 일측에 끼워진 압축스프링(19a)(19b)(19c)의 작용으로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는 것이며, 멈춤고리 블럭(15)과 레크기어 블럭(17)에 형성된 가이드편(15b)(17b)은 상기 가이드봉(18a)(18b)(18c)을 따라 안내되는 것이다.
물론 제어부(20)는 통키 상,하부 캠(5)(4)을 포용하는 케이스(1) 외주 일측면에 하우징(25)으로 고정되는 것이며, 하우징(25)에 형성한 삽입홈(25a)으로 가이 드봉(18a)(18b)(18c)을 고정하여 가이드봉(18a)(18b)(18c)을 따라 멈춤고리 블럭(15)과 레크기어 블럭(17)은 전,후진하는 것이다.
도면에 미설명 부호는 아이들기어(16)를 고정하는 핀(16a)이다.
이상과 같이 멈춤고리 블럭(15)과 레크기어 블럭(17)의 상호작용으로 오작동 방지 슬리브(6)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통키의 원활한 작동을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통키는 잘록한 목의 형상을 한 키 헤드(13)를 일체 형성한 키 샤프트(2)의 상부 외주측면 중심에 로드핀(3)을 삽입고정하고, 분리된 상,하부 캠(5)(4) 사이로 상기 키 샤프트(2)를 끼워넣은 후, 상,하부 캠(5)(4)의 골과 산을 따라 운동하는 로드핀(3)에 의해 회전하는 오작동 방지 슬리브(6)를 장착한 것으로 오작동 방지 슬리브(6)는 내주면에 서로 대칭하는 홈(6a)을 형성하여 로드핀(3)을 안내하고 로드핀(3)의 운동으로 상기 오작동 방지 슬리브(6)가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오작동 방지 슬리브(6)의 외주면에는 톱니모양의 걸림턱(6b)을 다수 형성하여 케이스(1) 외주 일측면에 설치한 멈춤고리(7)로 하여금 상기 걸림턱(6b)에 걸리도록 하여 오작동 방지 슬리브(6)의 회전을 제어하는 한편, 제어부(20)를 통해 천장크레인 운전자의 부주의 및 운전자의 피로로 인한 통키의 오작동 현상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 장치는 청구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한 것으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기존 통키의 일부 단면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 슬리브를 장착한 통키의 일부 단면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통키에 설치된 로드핀의 이동곡선 및 위치별 통키의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키 작동 원리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통키 동작순서에 따른 본 발명 오작동 방지 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본 발명 오작동 방지 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도 8은 도 6 및 7에 따른 본 발명 오작동 방지 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상태 및 제어부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제어부의 단면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2 : 키 샤프트 3 : 로드핀
4 : 하부 캠 5 : 상부 캠 6 : 오작동 방지 슬리브
7 : 멈춤고리 8 : 핀 10 : 스프링
11 : 통키홀더 13 : 키 헤드 15 : 멈춤고리 블럭
16 : 아이들기어 17 : 레크기어 블럭 20 : 제어부
100 : 오작동 방지 장치

Claims (2)

  1. 로드핀(3)을 안내하는 골과 산을 형성한 상,하부 캠(5)(4)과, 상기 로드핀(3)을 상부 외주측면 중심에 삽입하여 고정하며 하부에 키 헤드(13)를 일체 형성한 키 샤프트(2)와, 상기 키 샤프트(2)를 상,하부 캠(5)(4) 사이에 삽입하며 상,하부 캠(5)(4)의 일부를 둘러싸서 포용하는 케이스(1)와, 상기 키 헤드(13)에 물리는 통키홀더(11)로 구성되는 통키에 있어서;
    키 샤프트(2)의 로드핀(3)에 의해 회전되며 상,하부 캠(5)(4) 사이에 장착되고, 내주면에 로드핀을 안내하는 홈(6a)을 형성하며 외주면에 톱니모양의 다수의 걸림턱(6b)과 상기 걸림턱(6b) 아래에 기어부(6c)를 형성한 오작동 방지 슬리브(6)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작동 방지 슬리브(6)에 형성된 걸림턱(6a)에 걸리는 멈춤고리(7)를 일측 선단에 형성한 멈춤편(15a)과, 가이드봉(18a)(18b)에 의해 좌우이동하는 가이드편(15b)을 일체 형성한 멈춤고리 블럭(15)과,
    오작동 방지 슬리브(6)에 형성된 기어부(6c)에 대응하는 아이들기어(16)를 회전시키는 레크기어(17a)와 가이드봉(18b)(18c)에 의해 좌우이동하는 가이드편(17b)을 일체 형성한 레크기어 블럭(17)으로 구성한 제어부(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
KR1020070111225A 2007-11-01 2007-11-01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 KR100812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225A KR100812031B1 (ko) 2007-11-01 2007-11-01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225A KR100812031B1 (ko) 2007-11-01 2007-11-01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031B1 true KR100812031B1 (ko) 2008-03-10

Family

ID=3939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225A KR100812031B1 (ko) 2007-11-01 2007-11-01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0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76B1 (ko) 2009-06-23 2010-03-18 (주)탬코 통스크레인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98528B1 (ko) 2011-07-08 2013-08-22 주식회사 포스코 통키 어셈블리
KR101798482B1 (ko) 2015-12-02 2017-11-16 (주)한성중공업 통키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통스크레인
CN112208769A (zh) * 2020-09-25 2021-01-12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直升机外吊挂货物挂钩收纳存放可调式锁闭机构
KR102605438B1 (ko) * 2023-08-21 2023-11-22 최현철 오픈 타입 통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680U (ko) 1987-08-06 1989-02-15
KR19980020625U (ko) * 1996-10-15 1998-07-15 김종진 픽업 크레인의 집게장치의 보조암 자동 리프팅 장치
KR20000011698U (ko) * 1998-12-07 2000-07-05 이구택 통크레인의 통스충격 완충장치
KR200208136Y1 (ko) 2000-07-26 2000-12-15 주식회사한성중공업 천장 크레인의 통키 안전장치
KR20030012670A (ko) * 2001-08-03 2003-02-12 주식회사 포스코 편차 자동 보상장치를 구비하는 폭가변식 통스 크레인 및그 편차 자동 보상장치
KR200302678Y1 (ko) 1998-12-01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통스크레인의 통키 홀더장치
KR200307877Y1 (ko) 1998-11-04 2004-09-07 주식회사 포스코 오토픽업크레인의통키회전사이클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680U (ko) 1987-08-06 1989-02-15
KR19980020625U (ko) * 1996-10-15 1998-07-15 김종진 픽업 크레인의 집게장치의 보조암 자동 리프팅 장치
KR200307877Y1 (ko) 1998-11-04 2004-09-07 주식회사 포스코 오토픽업크레인의통키회전사이클감지장치
KR200302678Y1 (ko) 1998-12-01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통스크레인의 통키 홀더장치
KR20000011698U (ko) * 1998-12-07 2000-07-05 이구택 통크레인의 통스충격 완충장치
KR200208136Y1 (ko) 2000-07-26 2000-12-15 주식회사한성중공업 천장 크레인의 통키 안전장치
KR20030012670A (ko) * 2001-08-03 2003-02-12 주식회사 포스코 편차 자동 보상장치를 구비하는 폭가변식 통스 크레인 및그 편차 자동 보상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76B1 (ko) 2009-06-23 2010-03-18 (주)탬코 통스크레인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98528B1 (ko) 2011-07-08 2013-08-22 주식회사 포스코 통키 어셈블리
KR101798482B1 (ko) 2015-12-02 2017-11-16 (주)한성중공업 통키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비한 통스크레인
CN112208769A (zh) * 2020-09-25 2021-01-12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直升机外吊挂货物挂钩收纳存放可调式锁闭机构
CN112208769B (zh) * 2020-09-25 2022-11-04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直升机外吊挂货物挂钩收纳存放可调式锁闭机构
KR102605438B1 (ko) * 2023-08-21 2023-11-22 최현철 오픈 타입 통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031B1 (ko) 천장크레인용 통키의 오작동 방지 장치
KR101569593B1 (ko) 자동잠금장치를 가진 중장비용 퀵커플러
CN201737548U (zh) 一种无机房电梯的轿厢锁定装置
CN203863293U (zh) 一种变速器辅助装配装置
CN102515016A (zh) 一种储存桶自动抓具
US3199911A (en) Manipulator for loading machine
CN201198439Y (zh) 单根钢轨吊具
CN113724905B (zh) 一种抓取设备
CN102359263B (zh) 一种整体提升式脚手架用自动防坠落装置
CN108483033B (zh) 防误操作的抓取装置
CN116084858B (zh) 一种油田修井作业安全起吊装置
WO2012039647A1 (ru) Захват кластера тепловыделяющих сборок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N115228004B (zh) 一种手持式铁塔攀爬防坠自锁器
CN102296800A (zh) 一种脚手架液压升降机构
CN206010916U (zh) 一种扭矩扳手
KR20090011891U (ko)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풀림방지장치
KR200417535Y1 (ko)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KR101227019B1 (ko)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CN208152787U (zh) 一种缆绳锁具装置
CN106044602B (zh) 具有监控和防护功能的酸枪升降装置
CN202473269U (zh) 一种储存桶自动抓具
RU159319U1 (ru) Захват крепления телеметрического прибора к автосцепк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CN107433440B (zh) 油缸整体拆卸和安装装置
CN203868669U (zh) 一种水力除焦系统用防坠落装置
CN217996741U (zh) 一种多功能井盖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