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535Y1 -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535Y1
KR200417535Y1 KR2020060007533U KR20060007533U KR200417535Y1 KR 200417535 Y1 KR200417535 Y1 KR 200417535Y1 KR 2020060007533 U KR2020060007533 U KR 2020060007533U KR 20060007533 U KR20060007533 U KR 20060007533U KR 200417535 Y1 KR200417535 Y1 KR 200417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plug
fastening frame
bubbling
fit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곤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조선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선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7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5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8Pouring-nozzles with gas inj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6Introducing a fluid jet or current into the charge
    • F27D2003/166Introducing a fluid jet or current into the charge the fluid being a treatmen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강(製鋼) 조업에 사용되는 래들(Ladle)에서 용강의 2차 정련처리 작업시 래들내에 불활성 가스를 통과시키는 버블링플러그(Bubbling Plug)를 래들 저부에 안정적으로 체결시키기 위한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는 상기 가스주입봉(12)의 외측으로 긴밀하게 끼워지는 밀착끼움관(110); 상기 밀착끼움관(110)의 외측으로 끼워져 플러그 본체(11)의 저부에 밀착되는 지지부재(120); 상기 래들(1)의 삽입홀(1a) 외측을 따라 체결되는 베이스(130); 상기 밀착끼움관(110)의 외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상기 베이스(130)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프레임(140); 및 상기 밀착끼움관(110)의 외측으로 끼워져 체결프레임(140)의 내주면과 나선결합되며, 나선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밀착끼움관(110)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부에 위치된 밀착끼움관(110)을 밀어올려 버블링플러그(10)를 래들(1) 저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스크류가압관(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블링플러그, 래들, 고정장치

Description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Bubbling plug locking apparatus for lad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를 통해 버블링플러그가 래들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에서 바라본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를 통해 버블링플러그가 래들의 내부로부터 탈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래들 1a...삽입홀
2...내화물 블럭 10...버블링플러그
11...플러그 본체 12...가스주입봉
110...밀착끼움관 120...지지부재
130...베이스 131...환형홈부
132...절취홈부 140...체결프레임
141...결합돌기 142...안내돌기
143...손잡이 150...스크류가압관
160...간섭부재
본 고안은 제강(製鋼) 조업에 사용되는 래들(Ladle)에서 용강의 2차 정련처리 작업시 래들내에 불활성 가스를 통과시키는 버블링플러그(Bubbling Plug)를 래들 저부에 안정적으로 체결시키기 위한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조업에서 고청정강 생산 및 각 공정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2차정련처리를 하게 되며, 이를 위해 래들 저부에 버블링플러그를 설치하고 이 버블링플러그를 통해 불활성 가스(통상 아르곤 가스임)를 취입하여 블로우잉(Blowing)하는 작업이 행하여진다.
상기 버블링플러그는 래들 저부의 내화물블럭에 삽입되며, 플러그와 래들과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내화 모르타르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 본체의 저부에는 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가스주입봉이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버블링플러그를 통해 래들 내부에 아르곤 가스를 취입하여 블로우잉하면 용강의 대류작용에 의해 래들내의 용강온도 분포가 균일화되고 용강성분이 조정되어 균일화되며, 용강내에 포함된 비금속 개재물이 부상 분리가 촉진되면서 용강의 탈 가스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버블링플러그는 래들내에 고온의 용강이 담긴 상태에서 사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압으로 아르곤 가스를 취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강에 대한 마모저항성과 온도차에 의한 내스폴링성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아르곤 가스에 의해 버블링 처리가 수행된 후 연속주조 완료시까지 버블링플러그는 래들내에 용강이 담긴 상태에서 있게 되므로 다공성의 기공 또는 슬리트 사이로 용강이나 슬래그가 수mm 깊이로 침투하게 됨에 따라, 래들의 연속주조가 완료되면 버블링플러그의 기공 또는 슬리트 공간에 침투된 용강이나 용융물의 침윤층을 산소세척을 통해 개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랜싱작업이 필수적으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랜싱작업에 의해 버블링플러그의 개공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아르곤 가스에 의한 블로우잉 및 산소세척 작업이 수회 반복됨에 따라 버블링플러그의 용손이 가속화되므로 안정적인 조업을 위해서는 버블링플러그의 용손 정도를 체크하여 적절한 시기에 교환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버블링플러그는 소정의 고정장치를 통해 래들의 저부의 내화물 블럭으로부터 안전하고 간편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는 버블링플러그가 래들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최소 2개 이상의 볼트나 쐐기를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볼트와 쐐기 등은 플러그 본체가 원추형으로 형성된 관계로 체결 순서에 따라 버블링플러그와 래들 내부의 내화물블럭 사이가 편심되면서 틈새가 발생되어 원주방향에 대하여 균일한 모르타르 두께를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버블링플러그와 래들내부의 내화물블럭과의 모르타르두께가 동일하지 못하면 일측이 편심되면서 틈새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모르타르 두께가 상대 적으로 두꺼운 쪽이 용강에 의해 마모와 손상을 더 받게 되므로 용강의 침투와 누출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균일한 모르타르 두께를 확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쐐기를 박아 버블링플러그를 지지하는 경우는 용강을 수강하게 되면, 고 중량의 용강하중과 이동 중의 충격으로 인하여 쐐기가 빠지면서 용강 유출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적절한 방법이 아니다.
또한, 버블링플러그의 교체과정에서도 다수의 볼트나 쐐기를 일일이 풀어내야 하므로 별도의 유압실린더나 전동공구 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대장치의 비용증대가 예상되며 교체작업도 번거롭다.
또한, 버블링플러그의 교체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버블링플러그가 바닥으로 낙하할 수도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도 매우 크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래들에 버블링플러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편심되지 않고 래들 내부의 내화재 블럭과 버블링플러그의 원주방향에 대해 균일한 모르타르 두께를 형성하여 그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별도의 전동 및 유압 체결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화 모르타르가 도포된 상태로 래 들 저부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래들 내부의 내화물 블럭으로 삽입되는 원추형상의 플러그 본체와, 상기 플러그 본체의 중앙하부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가스주입봉을 구비한 버블링플러그를 래들 저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주입봉의 외측으로 긴밀하게 끼워지는 밀착끼움관; 상기 밀착끼움관의 외측으로 끼워져 플러그 본체의 저부에 밀착되는 지지부재; 상기 래들의 삽입홀 외측을 따라 체결되는 베이스; 상기 밀착끼움관의 외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상기 베이스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프레임; 및 상기 밀착끼움관의 외측으로 끼워져 체결프레임의 내주면과의 나선결합되며, 나선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밀착끼움관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부에 위치된 밀착끼움관을 밀어올려 래들하부에 밀착시키는 스크류가압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수평의 환형홈부와, 상기 수평홈부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절취홈부를 구비하며, 체결프레임의 외측선단에는 상기 절취홈부를 통과하도록 돌출되어 체결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환형홈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프레임의 외측선단에는 상기 베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 내측으로의 체결프레임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가압관과 밀착끼움관과 가스주입봉의 하부는 체결프레임의 저부로부터 차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가압관의 하단으로 돌출된 밀착끼움관에 결합되어 체결프레임과의 나선결합상태가 해제되 면서 하강하는 스크류가압관의 하단에 간섭되는 간섭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체결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버블링플러그는 내화 모르타르가 도포된 상태로 래들 저부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래들 내부의 내화물 블럭으로 삽입되는 원추형상의 플러그 본체와, 상기 플러그 본체의 중앙하부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가스주입봉을 구비한 것으로서 종래의 버블링플러그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버블링플러그(10)의 가스주입봉(12)의 외측으로 긴밀하게 끼워지는 밀착끼움관(110)과, 상기 밀착끼움관(110)의 외측으로 끼워져 플러그 본체(11)의 저부에 밀착되는 지지부재(120)와, 상 기 래들(1)의 삽입홀(1a) 외측을 따라 체결되는 링 형상의 베이스(130)와, 상기 밀착끼움관(110)의 외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상기 베이스(130)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프레임(140), 상기 밀착끼움관(110)의 외측으로 끼워져 체결프레임(140)의 내주면과의 나선결합되는 스크류가압관(150)으로 구성된다.
이중 상기 지지부재(120)는 밀착관의 외측을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밀착끼움관(110)의 외주면에 여유있게 끼워지며, 밀착끼움관(110)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버블링플러그(10)의 저부를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으로 제작된다. 상기 플러그 본체(11)의 저부에는 후술하는 스크류가압관(150)의 상단에 접촉되는 접촉단(121)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접촉단(121)은 스크류가압관(150)과 지지부재(120)의 저부을 소정거리 이격시킴으로써 버블링플러그(10)가 래들(1)로부터 탈락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121)의 외경은 스크류가압관(15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버블링플러그(10)가 래들(1)로부터 탈락될 때에 지지부재(120)가 버블링플러그(10)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단(121)이 체결프레임(14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버블링플러그(10)의 탈락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래들(1)의 삽입홀(1a) 외측에는 베이스(130)가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130)는 삽입홀(1a)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환형의 평판부재로서, 체결볼트를 통해 삽입홀(1a)의 외측을 따라 래들(1) 저부에 밀착 체결된다.
상기 체결프레임(140)은 상기 밀착끼움관(110) 외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베 이스(130)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130)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는 환형홈부(131)가 구비되며, 상기 환형홈부(131)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절취홈부(1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프레임(140)의 외측선단에는 상기 절취홈부(132)에 끼워져 지지되는 결합돌기(141)가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141)는 상기 절취홈부(132)를 통과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상기 절취홈부(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절취홈부(132)를 통과한 상태에서 체결프레임(140)이 회동되는 것에 의해 환형홈부(131)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프레임(140)의 상부에는 베이스(130)의 내측으로 체결프레임(140)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돌기(14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돌기(142)는 상기 삽입홀(1a)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프레임(140)의 내주면에는 스크류가압관(150)과 나선체결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스크류가압관(150)은 밀착끼움관(110)의 외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를 통해 상기 체결프레임(140)의 내주면과 나선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가압관(150)의 하단 외주면은 스패너나 렌치 등의 수동공구(S)를 이용하여 스크류가압관(15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예컨대 볼트머리 형상과 같이 다각으로 형성된다.
이 스크류가압관(150)은 나선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밀착끼움관(110)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부에 위치된 밀착끼움관(110)의 접촉단(121)에 접촉됨으로써 밀착끼움관(110)을 밀어올려 래들(1) 저부에 밀착시킨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가압관(150)과 밀착끼움관(110)과 가스주입봉(12)의 하부는 체결프레임(140)의 하단으로부터 차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본 고안의 고정장치를 설치한 다음 가스주입봉(12)의 하단이 밀착끼움관(1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야만 돌출된 가스주입봉(12)의 하단으로 가스주입봉(12)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이며, 스크류가압관(150)의 하단이 체결프레임(140)으로부터 돌출되어야 스패너나 래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가압관(150)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가압관(150)의 하단으로 돌출된 밀착끼움관(110)에 결합되어 체결프레임(140)과의 나선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하강하는 스크류가압관(150)의 하단에 간섭되는 간섭부재(16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섭부재(160)는 밀착끼움관(110)의 하단에 끼워져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고정핀이나 너트가 적당하다.
한편, 체결프레임(140)의 착탈시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프레임(140)의 양측으로 체결프레임(14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손잡이(14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래들(1)의 삽입홀(1a)에 베이스(130)를 볼트로써 단단히 고정시킨 다 음, 버블링플러그(10)를 래들(1)의 저부에 형성된 삽입홀(1a)을 통해 래들(1) 내부의 내화물 블럭(2)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가스주입봉(12)의 외측으로 밀착끼움관(110)을 긴밀하게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밀착끼움관(110)은 버블링플러그(10)가 래들(1)의 저부에 삽입되기 전 미리 가스주입봉(12)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끼움관(110)이 조립되면 밀착끼움관(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접촉단(121)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지지부재(120)가 끼워지고, 체결프레임(140)이 상기 밀착끼움관(110)의 외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베이스(130)의 내주면에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체결프레임(140)은 베이스(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절취홈부(132)에 결합돌기(141)들이 각각 일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일측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결합돌기(141)가 절취홈부(132)를 통과하여 결합돌기(141)가 삽입홀(1a)의 환형홈부(131)의 내측으로 끼워짐으로써 베이스(130)에 수평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프레임(140)에 안내돌기(142)가 더 형성될 경우, 상기 안내돌기(142)가 밀착끼움관(110)이 베이스(130) 내측에 지지될 때 베이스(130)의 내주면에 밀착되므로 체결프레임(140)은 안내돌기(142)를 통해 가이드되어 수평상태로 베이스(13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프레임(140)의 하부 양측에 손잡이(143)가 더 구비된 경우,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143)를 잡고 체결프레임(14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거나 결합돌기(141)가 삽입홀(1a)의 환형홈부(131)의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회동시키기 매우 용이하다.
이와 같이 체결프레임(140)이 베이스(130)에 수평상태로 지지되면, 체결프레임(140)과 밀착끼움관(110)의 사이로 스크류가압관(150)을 삽입한 다음 스패너 또는 렌치 등을 이용하여 스크류가압관(150)을 체결프레임(140)에 체결시킨다. 그리고, 스크류가압관(150)의 하단으로 돌출된 밀착끼움관(110)이 외주면에 고정핀이나 너트 등과 같은 간섭부재(160)를 결합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스크류가압관(150)을 스패너나 렌치등과 같은 수동공구(S)를 통해 조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버블링플러그(10)를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편심됨 없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스크류가압관(150)을 스패너나 렌치 등을 이용하여 회동시켜 체결프레임(140)과의 체결을 진행시키면, 스크류가압관(150)이 체결프레임(140)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상승하면서 스크류가압관(150) 상단의 지지부재(120)를 밀어 올리게 되고, 밀어 올려진 지지부재(120)가 플러그 본체(11)의 하단을 상방으로 균일하게 가압하게 되므로, 버블링플러그(10)는 수평상태로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편심되지 않고 래들(1)의 내부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장기간의 사용에도 버블링플러그(10)가 래들(1)로부터 탈락되지 않음은 물론, 래들(1)에 버블링플러그(1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래들(1) 내부의 내화재 블럭(2)과 버블링플러그(10)의 원주방향에 대해 균일한 모르타르 두께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되므로 그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용강의 침투와 누출사고 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버블링플러그(1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스패너나 렌치등과 같은 수동공구(S)만을 이용하여 스크류가압관(150)과 체결프레임(140)과의 체결을 해제시키면 된다. 즉, 스크류가압관(150)과 체결프레임(140)의 체결이 해제되면, 스크류가압관(150)이 체결프레임(140)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플러그 본체(11)의 저부을 지지하고 있던 지지부재(120)의 가압력이 해제된다.
가압력이 해제되면 지지부재(120)가 자중에 의해 밀착끼움관(110)을 따라 돌출단을 체결프레임(140)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아래로 이동되면서 버블링플러그(10)가 탈락되기 위한 공간이 발생된다. 작업자는 이 상태에서 밀착끼움관(110)의 하단을 잡아당겨 버블링플러그(10)를 래들(1) 내부의 내화물 블럭(2) 하단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다.
이때, 래들(1) 내부의 내화물 블럭(2)으로부터 탈락된 버블링플러그(10)는 하부에 위치된 체결프레임(140)에 걸려 래들(1)의 삽입홀(1a) 내에서 매달려 있게 되므로 교체작업중 작업자의 실수로 버블링플러그(10)가 바닥에 떨어져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체결프레임(140)의 손잡이(143)를 이용하여 래들(1)의 삽입홀(1a)에 지지된 체결프레임(140)을 삽입홀(1a)으로부터 빼내면 버블링플럭의 교체작업은 완료된다.
한편, 스크류가압관(150)과 체결프레임(140)의 체결이 해제되면, 버블링플러그(10)가 자중에 의해 래들(1) 내부의 내화물 블럭(2)으로부터 탈락되어야 하나, 장기간의 가압에 의해 버블링플러그(10)가 내화물 블럭(2)에에 고착되어 탈락되지 않게 되어 원활한 버블링플러그(10) 교체작업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가압관(150)의 하단으로 돌출된 밀착끼움관(110)에 소정의 차단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가압관(150)을 체결프레임(140)과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계속 회동시키면 스크류가압관(150)이 하강하면서 밀착끼움관(110)에 고정된 차단부재의 상단에 접촉되는데, 이 상태에서 스크류가압관(150)을 계속 회동시키면 스크류가압관(150)이 간섭부재(160)를 아래방향으로 강하게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밀착끼움관(110)을 비롯한 버블링플러그(10)가 함께 간섭부재(160)를 따라 아래로 이동되면서 버블링플러그(10)는 래들(1) 내부의 내화물 블럭(2)으로부터 자동으로 탈락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밀착끼움관(110)의 하단을 잡아당겨 버블링플러그(10)를 래들(1)의 하단으로부터 탈락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버블링플러그(10) 교체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탈락된 버블링플러그(10)는 하부에 위치된 체결프레임(140)에 걸려 래들(1)의 삽입홀(1a) 내에서 매달려 있게 되므로 교체작업이 매우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에 의하면, 체결프레임을 래들 저부에 수평상태로 지지시키고 이 체결프레임의 내측으 로 스크류가압관을 나선결합시켜 상부의 버블링플러그를 밀어올림으로써, 버블링플러그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편심되지 않고 래들 내부의 내화재 블럭과 버블링플러그의 원주방향에 대해 균일한 모르타르 두께를 형성하는 안정적인 체결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밀착끼움관 하단에 차단부재가 고정되면, 버블링플러그가 하강하면서 차단부재와 간섭되면서 래들의 삽입홀로부터 버블링플러그가 자동으로 탈락되므로 버블링플러그 교체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전동 및 유압 체결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스패너나 렌치 등과 같은 수동공구만을 이용하여 버블링플러그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최소의 비용으로 신속하고 간편한 교체가 가능해진다.
또한, 래들의 삽입홀에 지지된 버블링플러그가 버블링플러그의 교체과정에서 체결프레임이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하므로 조업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7)

  1. 내화 모르타르가 도포된 상태로 래들 저부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래들(1) 내부의 내화물 블럭에 삽입되는 원추형상의 플러그 본체와, 상기 플러그 본체의 중앙하부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가스주입봉을 구비한 버블링플러그를 래들 저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주입봉의 외측으로 긴밀하게 끼워지는 밀착끼움관;
    상기 밀착끼움관의 외측으로 끼워져 플러그 본체의 저부에 밀착되는 지지부재;
    상기 래들의 삽입홀 외측을 따라 체결되는 베이스;
    상기 밀착끼움관의 외측으로 여유있게 끼워져 상기 베이스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프레임; 및
    상기 밀착끼움관의 외측으로 끼워져 체결프레임의 내주면과 나선결합되며, 나선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밀착끼움관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부에 위치된 밀착끼움관을 밀어올려 버블링플러그를 래들 저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스크류가압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수평의 환형홈부와, 상기 환형홈부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절취홈부를 구비하며,
    체결프레임의 외측선단에는 상기 절취홈부를 통과하도록 돌출되어 체결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환형홈부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프레임의 외측선단에는 상기 베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 내측으로의 체결프레임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가압관과 밀착끼움관과 가스주입봉의 하부는 체결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차례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가압관의 하단으로 돌출된 밀착끼움관에 결합되어 체결프레임과의 나선결합상태가 해제되면서 하강하는 스크류가압관의 하단에 간섭되는 간섭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프레임 하부 양측에는 체결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가압관의 하단 외주면은 스패너 또는 렌치 등을 이용하여 스크류가압관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각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KR2020060007533U 2006-03-21 2006-03-21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KR200417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33U KR200417535Y1 (ko) 2006-03-21 2006-03-21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33U KR200417535Y1 (ko) 2006-03-21 2006-03-21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535Y1 true KR200417535Y1 (ko) 2006-05-30

Family

ID=4176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533U KR200417535Y1 (ko) 2006-03-21 2006-03-21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5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79Y1 (ko) 2013-07-26 2015-02-09 주식회사 우진 오토 커플러 장치
KR101497769B1 (ko) * 2011-12-30 2015-03-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포러스 플러그, 이를 이용한 고질소강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50030204A (ko) * 2012-08-27 2015-03-19 리프랙토리 인터렉추얼 프라퍼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가스 정화 요소 및 관련 가스 공급 라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69B1 (ko) * 2011-12-30 2015-03-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포러스 플러그, 이를 이용한 고질소강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50030204A (ko) * 2012-08-27 2015-03-19 리프랙토리 인터렉추얼 프라퍼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가스 정화 요소 및 관련 가스 공급 라인
KR101687091B1 (ko) * 2012-08-27 2016-12-15 리프랙토리 인터렉추얼 프라퍼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가스 정화 요소 및 관련 가스 공급 라인
KR200476179Y1 (ko) 2013-07-26 2015-02-09 주식회사 우진 오토 커플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535Y1 (ko) 래들용 버블링플러그 고정장치
HU18068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die casting non-ferrous metals
KR102229093B1 (ko) 분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10300525B2 (en) Molten metal filtration device
JP2018087468A (ja) 杭圧入方法及び杭把持爪アタッチメントユニット
US9435178B2 (en) Oil and gas reservoir electric logging overflow safety control wireline hanger
KR101912483B1 (ko) 천공된 블록과 천공된 블록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
KR101812202B1 (ko) 수직이동 용접장치
KR100771048B1 (ko) 턴디쉬용 톱 노즐 조립장치
US66638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or replacing a furnace tap hole insert
CN213350794U (zh) 一种铸造用铁水包
US5695675A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nection of a stopper rod for a metallurgical vessel to a lifting device
KR102117818B1 (ko) 탭 가이드용 지그
KR20040003181A (ko) 래이들 경동스탠드 새들의 슬래그 제거장치
CN108721802B (zh) 一种用于电火花机床的专用灭火固定机械
CN114836590B (zh) 一种转炉喷补出钢口辅助装置及方法
CN217922462U (zh) 一种混棉机多仓斜帘的更换辅具
CN211035980U (zh) 一种转炉用挡渣塞加装工具
JP6997998B1 (ja) 機器の昇降装置、及び機器の昇降装置の操作方法
CN213134989U (zh) 一种流量可调的热室压铸机
KR100868086B1 (ko) 래들의 리프팅 러그 고정장치
CN217701337U (zh) 一种透气砖芯拔出装置
KR101253978B1 (ko) 노즐개폐장치
JP3212931U (ja) 煙突用断熱材設置装置
CN217781200U (zh) 一种氧枪防坠落止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