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019B1 -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019B1
KR101227019B1 KR1020120032257A KR20120032257A KR101227019B1 KR 101227019 B1 KR101227019 B1 KR 101227019B1 KR 1020120032257 A KR1020120032257 A KR 1020120032257A KR 20120032257 A KR20120032257 A KR 20120032257A KR 101227019 B1 KR101227019 B1 KR 101227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od
latch
drive shaft
rod driv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갑준
Original Assignee
한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갑준 filed Critical 한갑준
Priority to KR1020120032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06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 G21C7/08Control of nuclear reaction by application of neutron-absorbing material, i.e. material with absorption cross-section very much in excess of reflection cross-section by displacement of solid control elements, e.g. control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는 원자로에 사용되는 제어봉 구동축을 인출 또는 제거하기 위해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개구된 삽입홀이 형성된 아웃터 칼럼(outer column)과, 상기 아웃터 칼럼의 내측에 설치된 인너 칼럼(inner column)을 가지는 칼럼부; 상기 아웃터 칼럼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핀; 상기 인너 칼럼의 외측에 삽입되고, 작업자에 의해 상기 아웃터 칼럼이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될 때 탄성 압축되었다가, 상기 아웃터 칼럼이 원 위치될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아웃터 칼럼을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 상기 칼럼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축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하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제어봉 구동축의 외주면과 록킹 및 록킹 해제되는 래치와, 상기 아웃터 칼럼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래치의 외측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래치 커버를 가지는 장착부; 및 상기 래치 커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로 이동된 제어봉 구동축의 서로 다른 길이에 상관없이 상기 제어봉 구동축에 래치를 안정적으로 록킹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봉 구동축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Control Rod Drive Shaft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경수로형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축을 인출,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봉 구동축을 안전하게 인출 및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압수식 원자로는 용기 축과 평행한 축을 가지는 병렬 배치된 프리즘 형상(prism-shaped)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원자로 코어(core)를 둘러싸는 수직 축으로 배치된 원통 형상의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원자로 운전중에 용기를 채우는 고온 고압의 원자로 냉각수를 밀봉하는 방식으로 용기에 부착된 반구 형상의 제거식 헤드에 의해 밀폐되는 상단부를 포함한다.
원자로에서 제어봉 구동축(CRDS)은 상부 내장물 가이드 튜브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봉 집합체(RCCA)와 연결되어 제어봉의 삽입량을 조절하여 원자로의 출력을 조정하고 비상시 제어봉을 긴급 삽입하여 원자로를 정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현재 제어봉 구동축과 제어봉 집합체를 분리 결합하는 공구는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제어봉 구동축만을 교체할수 있는 공구는 없는 실정이다. 기존의 공구는 제어봉 구동축을 인양 제거 할수 없으며 현재로서는 제어봉 구동축을 제거하기 위해 수조 내 붕산수를 배수하여 수위를 낮추어 재장조 기중기 보조 호이스트에 짧은 수동 취급공구를 설치하고 폴라 크레인에 설치된 바스켓에 작업자가 올라 탄 상태로 상기 제어봉 구동축 가까이 접근하여 수동 취급공구를 사용하여 체결한 후에 인양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어봉 구동축에 대한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작업자가 제어봉 구동축에 대한 작업을 실시하는 동안 붕산수 배수로 인해 고방사선에 노출되어 작업자의 고방사선 피폭에 따른 작업 제한과 바스켓에 올라 작업을 실시할 때 안전사고의 위험 또는 추락의 위험이 많은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9378호 (공개일: 2006년12월15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자의 고방사선 피폭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하고, 수동 취급공구로 작업시 제어봉 구동축 상부에서의 손상을 방지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자로에 사용되는 제어봉 구동축을 인출 또는 제거하기 위해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개구된 삽입홀이 형성된 아웃터 칼럼(outer column)과, 상기 아웃터 칼럼의 내측에 설치된 인너 칼럼(inner column)을 가지는 칼럼부; 상기 아웃터 칼럼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핀; 상기 인너 칼럼의 외측에 삽입되고, 작업자에 의해 상기 아웃터 칼럼이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될 때 탄성 압축되었다가, 상기 아웃터 칼럼이 원 위치될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아웃터 칼럼을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 상기 칼럼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축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하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제어봉 구동축의 외주면과 록킹 및 록킹 해제되는 래치와, 상기 아웃터 칼럼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래치의 외측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래치 커버를 가지는 장착부; 및 상기 래치 커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로 이동된 제어봉 구동축의 서로 다른 길이에 상관없이 상기 제어봉 구동축에 래치를 안정적으로 록킹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봉 구동축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기 인너 칼럼은 상단에 설치되고 크레인에 설치된 후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아웃터 칼럼의 하단과 연결된 상태로 상, 하로 이동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좌, 우 양측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에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의 하단이 삽입되며 인너 칼럼의 하단과 고정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는 내측이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는 하단이 외측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래치의 상단에 설치된 연결 핀; 상기 래치의 하단에 제어봉을 향해 돌출된 돌출편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 커버는 상기 래치가 제어봉 구동축과 언 록킹 상태가 유지될 경우에 상기 래치의 하단이 상기 래치 커버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개구된 래치 홀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조내 붕산수를 배수하지 않고 수중에서 제어봉 구동축에 대한 인양과 제거 작업을 실시하여 작업자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하고, 상기 작업자가 방사능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며 설비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와 제어봉 구동축이 언 록킹 상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와 제어봉 구동축이 언 록킹 결합된 상태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와 제어봉 구동축이 록킹 상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1)는 원자로에 사용되는 제어봉 구동축(2)을 인출 또는 제거하기 위해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개구된 삽입홀(10)이 형성된 아웃터 칼럼(outer column)(110)과, 상기 아웃터 칼럼(110)의 내측에 설치된 인너 칼럼(inner column)(120)을 가지는 칼럼부(100)와, 상기 아웃터 칼럼(1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홀(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핀(20)과, 상기 인너 칼럼(120)의 외측에 삽입되고, 작업자에 의해 상기 아웃터 칼럼(110)이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될 때 탄성 압축되었다가, 상기 아웃터 칼럼(110)이 원 위치될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아웃터 칼럼(110)을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30)와, 상기 칼럼부(10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축(2)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하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212)를 가지는 삽입부(210)와, 상기 삽입부(210)를 통해 삽입된 제어봉 구동축(2)의 외주면과 록킹 및 록킹 해제되는 래치(220)와, 상기 아웃터 칼럼(110)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래치(220)의 외측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래치 커버(230)를 가지는 장착부(200)와, 상기 래치 커버(23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210)로 이동된 제어봉 구동축(2)의 서로 다른 길이에 상관없이 상기 제어봉 구동축(2)에 래치(220)를 안정적으로 록킹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봉 구동축(2)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가지는 케이스(252)와, 상기 케이스(252)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축(2)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254)가 구비된 길이 조절부(250)를 포함한다.
칼럼부(100)는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봉 구동축(2)이 위치한 경수로를 향해 연장되고,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 아웃터 칼럼(110)이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 칼럼(110)의 내측에 인너 칼럼(120)이 삽입 설치된다. 칼럼부(100)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파이프에 해당된다.
아웃터 칼럼(110)은 상단 외측에 설치되고 외측을 향해 직각으로 연장된 리프팅 바(111)를 포함한다. 리프팅 바(111)는 상기 아웃터 칼럼(110)을 길이 방향을 따라 상, 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되고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이동시킬 수 있으며, 외주면에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소정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미끄럼 방지면이 형성된다.
인너 칼럼(120)은 상단에 연결부(122)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122)는 크레인(미도시)에 설치된 후크와 연결되도록 U자 형상의 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삭제
본 실시예에 의한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1)는 삽입홀(10)이 아웃터 칼럼(110)의 상단에 2개가 개구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고정 핀(20)은 아웃터 칼럼(110)의 위치가 리프팅 바(111)에 의해 이동된 후에 특정 위치에 아웃터 칼럼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에 대해 설명한다.
탄성부(30)는 인너 칼럼(120)의 외측에 삽입되고, 아웃터 칼럼(110)이 리프팅 바(111)에 의해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될 때 탄성 압축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다. 코일 스프링은 하단이 제2 지지편(S2)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은 아웃터 칼럼(110)의 외측에서 인너 칼럼(12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지지편(S1)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지지편(S2)은 코일 스프링이 위치한 아웃터 칼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개구된 개구 슬롯(미도시)을 따라 이동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 칼럼(110)이 하측으로 이동시에 제1 지지편(S1)은 상기 개구 슬롯을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30)를 토일 스프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다른 부재로의 대처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코일 스프링이 압축될 경우 인너 칼럼(120)은 하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하향되고 이로 인해 후술할 래치(220)를 통한 제어봉 구동축(2)의 록킹 및 언 록킹이 이루어진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장착부(200)를 설명하며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착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장착부(200)는 전술한 아웃터 칼럼(110)의 이동에 따라 칼럼부(100)의 하단에서 상, 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플레이트(241)와, 상기 제1 플레이트(241)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 바(242)와, 상기 제1 플레이트(241)와 마주보며 설치된 제2 플레이트(243)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241)는 아웃터 칼럼(110)의 하단에 상면이 고정되고, 인너 칼럼(120)은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중앙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상기 인너 칼럼(120)이 삽입 설치된다.
가이드 바(24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2 플레이트(243)에 하단이 삽입된다.
제2 플레이트(343)는 제1 플레이트(241)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제1 플레이트(241)의 중앙을 경유하여 연장된 인너 칼럼(120)의 상단과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 칼럼(110)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정도에 따라 인너 칼럼(120)이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인너 칼럼(120)과 고정된 제2 플레이트(243)가 함께 가이드 바(242)를 따라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된다.
장착부(200)는 제어봉 구동축(2)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장착봉(200a)의 하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212)는 하단이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부(212a)를 포함한다.
경사부(212a)는 제어봉 구동축(2)이 개구부(212)로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봉(2)이 개구부(212)의 정 중앙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경사부(212a)의 경사진 구간 이내에만 상단이 접촉될 경우에는 상기 경사부(212a)를 따라 개구부(212)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래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래치(220)는 도면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 설치되고, 상단에 설치된 연결 핀(221)을 매개로 하단이 외측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치(220)는 하단에 제어봉 구동축(2)을 향해 돌출된 돌출편(222)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편(222)은 제어봉 구동축(2)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홈부(2a)와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제어봉 구동축(2)과 록킹 결합이 이루어진다.
래치(220)는 상단 외측이 내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래치 경사부(223)를 포함한다. 래치 경사부(223)는 래치 커버(230)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면서 상기 래치(22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래치 커버(230)는 아웃터 칼럼(110)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래치(220)의 외측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래치 커버(230)는 장착부(200)의 외측을 감싸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플레이트(243)과 함께 세로 방향으로 이동된다.
래치 커버(230)는 래치 홀(232)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홀(232)은 제어봉 구동축(2)이 개구부(212)로 삽입되는 초기에 상기 제어봉 구동축(2)의 홈부(2a)에 돌출편(222)이 록킹 결합되지 않도록 래치(220)의 상측 위치에 위치되므로, 상기 래치(220)의 하단이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봉(2) 구동축이 개구부(212)에 모두 삽입된 이후에는 리프트 바(111)에 의해 하강된 인너 칼럼(120)에 의해 래치(220)의 상단이 외측을 향해 소정 각도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즉, 인너 칼럼(120)이 하강될 경우에는 래치 커버(230)의 내주면이 래치(220)의 하단을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홈부(2a)에 돌출편(222)을 밀착 유지시키고, 상기 인너 칼럼(120)이 상승될 경우에는 래치(220)의 상단과 면접촉되면서 상기 래치(220)의 하단은 외측을 향해 소정 각도만큼 벌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길이 조절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를 참조하면, 길이 조절부(250)는 제2 플레이트(243)의 하면에 고정되어 제어봉 구동축 상단에 안착된 상태이며 길이가 다른 제어봉 구동축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을 실시하기 위해 설치된다.
길이 조절부(250)는 제2 플레이트(243)의 하면에 고정되고 탄성부재(254)가 삽입된 케이스(252)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54)는 통상의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 또는 제어봉 구동축(2)의 상단과 접촉되어 탄성 압축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의 변경도 가능할 수 있다.
탄성부재(254)는 제어봉 구동축(2)의 상단에 의해 케이스(252)의 내측 상부를 향해 탄성 압축되고, 상기 제어봉(2)의 길이가 변화되는 경우에도 케이스(252)의 길이에 따른 변화량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봉 이동 장치를 통해 이동되는 제어봉 구동축(2)이 탄성부재(254)와 접촉되지 않는 길이를 가질 경우에는 삽입부(210)에 그대로 제어봉 구동축(2)을 삽입시켜 이동을 실시하면 된다.
만약 제어봉 구동축(2)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 경우에는 전술한 탄성부재(254)가 제어봉 구동축(2)의 상단에 의해 탄성 압축되면서 제어봉 구동축(2)의 길이 변화에 따른 변화량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제어봉 구동축(2)의 길이에 상관없이 이동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와이어와 연결된 후크(H)에 연결부(122)를 결합시킨 후에 제어봉 구동축(2)이 위치한 곳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어봉 구동축(2)의 상단과 개구부(212)의 위치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와이어와 연결된 후크(H)를 하강시켜 제어봉 구동축(2)을 개구부(212)의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제어봉 구동축(2)은 상단이 개구부(212)의 정 중앙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경사부(212a)의 구간 이내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상기 경사부(212a)의 경사진 기울기를 따라 상단이 개구부(212)의 내측으로 가이드 되면서 안정적인 삽입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어봉 구동축(2)의 세로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제어봉 구동축(2)의 상단이 탄성부재(254)를 탄성 압축시켜 확대도에 도시된 상태로 커버(254)의 상단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압축 변형시킨 상태로 삽입 유지된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제어봉 구동축(2)의 록킹을 위해 아웃터 칼럼(11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고정 핀(20)을 외측으로 인출시킨 후에 리프팅 바(111)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 핀(20)을 점선의 위치에서 실선의 위치로 이동시켜 삽입홀(10)에 삽입시킨다.
래치(220)는 후술할 리프트 바(111)가 하강되기 이전에는 래치 커버(230)의 내주면과 래치 경사부(223)가 접촉되어 상기 래치(220)가 연결핀(22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가 유지된다.
아웃터 칼럼(110)이 리프팅 바(111)에 의해 하측으로 하강되면, 제2 플레이트(241)는 가이드 바(242)를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대이동되며, 래치 커버(230)는 래치(220)를 경유하여 하측으로 동시에 이동된다.
래치(220)는 래치 커버(230)의 내주면에 의해 돌출편(222)이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어 홈부(2a)와 록킹 되면서 상기 제어봉 구동축(2)과의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첨부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임의의 위치까지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1)의 이동을 실시한 후에 제어봉 구동축(2)의 인출을 위해 삽입홀(10)에 결합된 고정핀(20)을 외측으로 분리시키고, 화살표 방향을 따라 리프팅 바(111)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분리된 고정핀(20)을 삽입홀(10)에 결합시킨다.
리프팅 바(111)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아웃터 칼럼(110)과 고정된 제1 플레이트(241)가 가이드 바(24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래치 커버(230)는 래치(220)의 상단으로 이동된다.
래치(220)는 래치 경사부(223)의 경사진 부분이 래치 커버(230)의 내주면과 접촉되면서 연결핀(221)을 기준으로 돌출편(222)이 위치한 하단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해 각각 이동되면서 홈부(2a)와 돌출편(222)과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래치(220)와 제어봉 구동축(2)의 홈부(2a)와의 록킹 상태가 완전히 해제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봉 구동축(2)이 개구부(212)의 외측을 향해 안전하게 이동되고, 작업자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해서 다수개의 제어봉(2)에 대한 이동을 실시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제어봉 구동축
100 : 칼럼부
110, 120 : 아웃터 칼럼, 인너 칼럼
200 : 장착부
210 : 삽입부
212 : 개구부
220 : 래치
230 : 래치 커버
241 : 제1 플레이트
242 : 가이드 바
243: 제2 플레이트

Claims (10)

  1. 원자로에 사용되는 제어봉 구동축을 인출 또는 제거하기 위해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개구된 삽입홀이 형성된 아웃터 칼럼(outer column)과, 상기 아웃터 칼럼의 내측에 설치된 인너 칼럼(inner column)을 가지는 칼럼부;
    상기 아웃터 칼럼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핀;
    상기 인너 칼럼의 외측에 삽입되고, 작업자에 의해 상기 아웃터 칼럼이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될 때 탄성 압축되었다가, 상기 아웃터 칼럼이 원 위치될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아웃터 칼럼을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
    상기 칼럼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축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하측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제어봉 구동축의 외주면과 록킹 및 록킹 해제되는 래치와, 상기 아웃터 칼럼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래치의 외측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래치 커버를 가지는 장착부; 및
    상기 래치 커버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로 이동된 제어봉 구동축의 서로 다른 길이에 상관없이 상기 제어봉 구동축에 래치를 안정적으로 록킹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봉 구동축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봉 구동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칼럼은,
    상단에 위치되어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아웃터 칼럼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리프팅 바(Lifting bar)를 포함하는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칼럼은,
    상단에 설치되고 크레인에 설치된 후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아웃터 칼럼의 하단과 연결된 상태로 상, 하로 이동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좌, 우 양측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 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측에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의 하단이 삽입되며 인너 칼럼의 하단과 고정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내측이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하단이 외측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래치의 상단에 설치된 연결핀;
    상기 래치의 하단에 제어봉을 향해 돌출된 돌출편을 포함하는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커버는,
    상기 래치가 제어봉과 언 록킹 상태가 유지될 경우에 상기 래치의 상단이 상기 래치 커버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개구된 래치 홀을 포함하는 제어봉 구동축 취급장치.
  10. 삭제
KR1020120032257A 2012-03-29 2012-03-29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KR101227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57A KR101227019B1 (ko) 2012-03-29 2012-03-29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57A KR101227019B1 (ko) 2012-03-29 2012-03-29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019B1 true KR101227019B1 (ko) 2013-01-28

Family

ID=4784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257A KR101227019B1 (ko) 2012-03-29 2012-03-29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0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32Y1 (ko) * 2014-04-02 2015-08-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로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KR101703819B1 (ko) * 2015-12-21 2017-02-08 한국원자력연구원 하부설치형 제어봉 구동장치의 피구동라인 교체방법 및 이를 위한 마운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89B1 (ko) * 1982-04-08 1992-01-11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원자로 성분 어셈블리의 운반장치
JPH095483A (ja) * 1995-06-15 1997-01-10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炉制御棒の駆動軸取外し工具
KR200181492Y1 (ko) * 1999-12-09 2000-05-15 한전기공주식회사 분리기 집합체의 연료 멈추개축 안전걸쇠 장치
KR20110002459U (ko) * 2009-09-03 2011-03-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제어봉 구동축의 분리 및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89B1 (ko) * 1982-04-08 1992-01-11 웨스팅 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원자로 성분 어셈블리의 운반장치
JPH095483A (ja) * 1995-06-15 1997-01-10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炉制御棒の駆動軸取外し工具
KR200181492Y1 (ko) * 1999-12-09 2000-05-15 한전기공주식회사 분리기 집합체의 연료 멈추개축 안전걸쇠 장치
KR20110002459U (ko) * 2009-09-03 2011-03-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제어봉 구동축의 분리 및 체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32Y1 (ko) * 2014-04-02 2015-08-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로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KR101703819B1 (ko) * 2015-12-21 2017-02-08 한국원자력연구원 하부설치형 제어봉 구동장치의 피구동라인 교체방법 및 이를 위한 마운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3814C2 (ru) Грейфер
TW201327577A (zh) 核子反應爐補充燃料方法及裝置
EP2580762B1 (en) Control rod drive shaft unlatching tool
KR101227019B1 (ko) 제어봉 구동축 취급 장치
KR101067065B1 (ko) 원자로 냉각재 계통 저온관의 열전달 완충 슬리브 제거장치
KR101162002B1 (ko)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상단고정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단고정체 제거 방법
JP6416788B2 (ja) 核燃料集合体取扱装置
KR101067232B1 (ko) 원자로 냉각재 계통 저온관의 열전달 완충 슬리브 제거방법
EP2071582B1 (en) Channel-Lifting Tool and Method
KR102134044B1 (ko) 핵연료와 같은 핵물질 샘플의 취급 홀더에 적용될 수 있는 취급 및 가둠 후드
KR20080089857A (ko) 핵연료 재장전기 그래플
EP2442314B1 (en) Auxiliary system for assisting a movement system of fuel elements of a nuclear reactor
JP2005172806A (ja) 燃料集合体ノズル交換用の工具と方法
KR20210126764A (ko) 탈착식 연결부
KR200450155Y1 (ko) 관 마개 교환 공구
CN220972242U (zh) 滤芯更换工具
JP2002243889A (ja) 制御棒取扱装置
JPS6032839B2 (ja) 制御棒を炉心から抜き出すためのリフト具
KR20110088856A (ko) 화력발전소의 복수기 냉각용 해수 취수구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 스크린용 프레임의 잠금장치
KR102135636B1 (ko) 원자로 상부구조물 인양기구의 상부렌치와 하부렌치의 체결구조
KR100567844B1 (ko) 중성자 선원의 취급장치
RU2113343C1 (ru) Манипулятор для тепловыделяющих сборок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KR820000438B1 (ko) 원자로 제어봉 승강기용 연장축 걸쇠 장치
JP2005010117A (ja) 炉内中性子束モニタの取外し装置及び方法
JP2003177197A (ja) 原子炉構造物の交換方法および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