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132B1 -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 Google Patents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132B1
KR100811132B1 KR1020070097067A KR20070097067A KR100811132B1 KR 100811132 B1 KR100811132 B1 KR 100811132B1 KR 1020070097067 A KR1020070097067 A KR 1020070097067A KR 20070097067 A KR20070097067 A KR 20070097067A KR 100811132 B1 KR100811132 B1 KR 10081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s
sides
binding
cas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9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선로에 낙석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선로의 외측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I형 단면의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하부와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평면패널(20)과,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돌출패널(30)과,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40)과, 중앙부분이 상기 돌출패널(30)의 상부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안내판(50)과, 상기 안내판(50)의 회동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안내판(50)의 양측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탄성밴드(60)와,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하부전방에 수평으로 다수의 로드(72)를 설치하도록 각 포스트(10)의 플랜지(11) 전방에 설치되는 하부가이드(70)를 포함하므로, 일정간격마다 설치된 포스트 사이에 차음재로 형성된 다수의 패널을 적층하고 그 일측면에 탄성을 가지며 회동하는 안내판을 설치하여 낙석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유입되는 낙석이 하부로 집적되도록 함으로써 철로로의 낙석유입을 방지하고 펜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차음재로 형성된 패널에 의해 철도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97067
철도선로, 펜스, 낙석방지, 차음

Description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Fence of railroad line for blocking falling rocks}
본 발명은 철도선로에 낙석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간격마다 설치된 포스트 사이에 차음재로 형성된 다수의 패널을 적층하고 그 일측면에 탄성을 가지며 회동하는 안내판을 설치하여 낙석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유입되는 낙석이 하부로 집적되도록 함으로써 철로로의 낙석유입을 방지하고 펜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차음재로 형성된 패널에 의해 철도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에 관한 것이다.
절개지나 연약지형을 통과하는 철도 선로는 자연적인 침식이나 침하 등에 의해 성토경사면에 발생된 낙석들이 선로상으로 유입되어 철도차량의 사고를 초래하거나 운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로와 경사면 사이에 낙석방지 펜스를 필수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낙석방지 펜스는 다수의 기둥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강선이나 철망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대량 또는 대형의 낙 석이 유입되는 경우 강선이나 철망이 파손되어 낙석들이 선로 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는 낙석들이 펜스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줌으로써 발생되는 현상으로서, 낙석이 떨어질 때 충격을 완화시켜 펜스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철도차량은 자동차와 달리 발생되는 소음이 매우 크며 인접한 주택 등으로 전파되어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하므로 상기에서와 같은 낙석방지기능만이 아니라 철도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도 함께 차단할 수 있는 펜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낙석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유입되는 낙석이 하부로 집적되도록 하여 철로로의 낙석유입을 방지하고 펜스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철도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속홈을 구비하여, 철도선로의 외측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I형 단면의 포스트;
내부가 비고 배면이 개방되어 양측면에 결속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내후측 상하부에 브래킷부가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후면 상하단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차음부재와,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배면에 삽입되어 상하부가 브래킷부에 고정되는 커버를 구비하여, 양측면의 결속부가 양쪽 포스트들의 결속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들 사이의 하부와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평면패널;
내부가 비고 배면이 개방되어 양측면에 결속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첨단부의 양쪽에 각각 힌지부가 형성된 돌출경사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후측 상하부에 브래킷부가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후면 상하단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경사부 내에 삽입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차음부재와,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배면에 삽입되어 상하부가 브래킷부에 고정되는 커버를 구비하여, 양측면의 결속부가 양쪽 포스트들의 결속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들 사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돌출패널;
결속홈에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결속부를 구비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전면 양쪽에서 각각 전방으로 수평돌출되며 각 단부에 홈부와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돌출바를 구비하여, 양측면의 결속부가 양쪽 포스트들의 결속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들 사이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중앙에 힌지홀이 관통되어 상기 양쪽 힌지부와 함께 힌지축으로 관통되고, 양측면의 단부에 볼트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돌출경사부의 상부면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안내판;
일단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관통공을 통해 볼트로 고정되고, 다수의 상기 홀과 볼트공을 통해 고정볼트로 고정되어, 상기 안내판의 회동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안내판의 양측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탄성밴드; 및
상기 각 포스트의 플랜지 전방에 설치되고, 상부에 전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가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까지 다수의 로드가 수평으로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들 사이의 전방 하부로 떨어지는 낙석을 차단하는 하부가이드; 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에 의하면, 일정간격마다 설치된 포스트 사이에 차음재로 형성된 다수의 패널을 적층하고 그 일측면에 탄성을 가지며 회동하는 안내판을 설치하여 낙석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유입되는 낙석이 하부로 집적되도록 함으로써 철로로의 낙석유입을 방지하고 펜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차음재로 형성된 패널에 의해 철도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를 다수개 연결하여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의 기본단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는, 철도선로(2)의 외측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I형 단면의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하부와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평면패널(20)과,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돌출패널(30)과,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40)과, 중앙부분이 상기 돌출패널(30)의 상부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안내판(50)과, 상기 안내판(50)의 회동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안내판(50)의 양측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탄성밴드(60)와,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하부전방에 수평으로 다수의 로 드(72)를 설치하도록 각 포스트(10)의 플랜지(11) 전방에 설치되는 하부가이드(7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의 돌출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배면측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정면측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포스트(10)는 철도선로의 외측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I형 단면의 스틸제 부재로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는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면에 밀착되어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속홈(1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패널(20)은 양측면의 결속부(22)가 양쪽 포스트(10)들의 결속홈(12)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하부와 상부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부재로서, 도 3과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21), 차음부재(25) 및 커버(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는 내부가 비어 있고 배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결속부(22)가 돌출되어 있고 내후측의 상하부에는 브래킷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음부재(25)는 상기 케이스(21) 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후면 상하단에 단턱(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7)는 상기 케이스(21) 의 개방된 배면에 삽입되어 상하부가 브래킷부(23)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와 커버(27)의 통공(24,28)들은 철도차량의 소음이 차음부재(25)내로 흡입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패널(30)은 양측면의 결속부(311)가 양쪽 포스트(10)들의 결속홈(12)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중앙부분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부재로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31), 차음부재(32) 및 커버(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1)는 내부가 비어 있고 배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뾰족한 돌출경사부(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경사부(312)의 첨단부 양쪽에는 각각 힌지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면에는 결속부(311)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후측 상하부에는 각각 브래킷부(3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3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음부재(32)는 상기 케이스(31) 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후면 상하단에는 단턱(322)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는 삽입부(321)가 돌출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출경사부(3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3)는 상기 케이스(31)의 개방된 배면에 삽입되어 상하부가 브래킷부(314)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3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315,331)들도 역시 흡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프레임(40)은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스틸부재로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41) 및 그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돌출바(42)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바(41)의 양단부에는 결속부(43)가 구비되어 있어서, 각 결속부(43)가 양쪽 포스트(10)들의 결속홈(12)에 각각 삽입됨에 의해 포스트(10)들 사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돌출바(42)는 수평바(41)의 전면 양쪽에서 각각 전방으로 수평돌출되어 있으며, 각 단부에는 전방에 형성된 홈부(44)와 수평으로 관통된 관통공(45)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판(50)은 중앙부분이 상기 돌출패널(30)의 상부면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부재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중앙에는 힌지홀(51)이 관통되어 있어서 상기 돌출패널(30)의 양쪽 힌지부(313)와 함께 힌지축(52)으로 관통되어 상기 돌출경사부(312)의 상부면에 힌지부(313)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측면의 단부에는 각각 볼트공(5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밴드(60)는 도 2 및 도 3과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판(50)의 회동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안내판(50)의 양측 전방에 각각 설치되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된 부재로서, 그 일단부가 상기 홈부(44)에 삽입되어 관통공(45)을 통해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그 아래부분이 홀(61)과 볼트공(53)을 통해 고정볼트(54)로 고정되어 있어서, 다수의 안내판(50)들을 상부프레임(40)에 연결시켜 함께 탄성을 가지며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이드(70)는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전방 하부에 수평으로 다수의 로드(72)를 설치하도록 각 포스트(10)의 플랜지(11) 전방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부에는 전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70)에는 다수의 수평통공이 하부에서 상부까지 형성되어 있어서 양쪽 하부가이드(70)의 각 통공을 통하여 수평으로 로드(72)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를 선로와 경사면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를 설치한 선로에 낙석이 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에 의해 낙석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낙석방지 펜스를 철도선로의 외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경사면(1)으로부터 낙석이 굴러 내려오면 안내판(50)에 떨어지게 되는데,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판(50)의 외측면에 떨어질 경우 안내판(50)이 회동하면서 탄성밴드(6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면서 외측 하부로 떨어지게 되며, 내측에 떨어질 경우 경사각에 의해 아래로 굴러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낙석이 패널(20,30)들에 대해 직접적으로 충격을 주지않게 되어 낙석방지 펜스의 수명이 길어지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보듯이 안내판(50)의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낙석은 하부의 하부가이드(70)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된 다수의 로드(72)에 의해 차단되며, 이와 같이 하부로 떨어진 낙석들은 하부가이드(70) 아래에 모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를 다수개 연결하여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의 기본단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의 돌출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배면측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정면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를 선로와 경사면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를 설치한 선로에 낙석이 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낙석방지 펜스에 의해 낙석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경사면 2:철도선로
10:포스트 11:플랜지
12:결속홈 20:평면패널
21:케이스 22:결속부
23:브래킷부 24,28,315,331:통공
25:차음부재 26,322:단턱
27,33: 커버 30:돌출패널
31:케이스 32:차음부재
40:상부프레임 41:수평바
42:돌출바 43:결속부
44:홈부 45:관통공
50:안내판 51:힌지홀
52:힌지축 53:볼트공
60:탄성밴드 61:홀
70:하부가이드 71:절곡부
72:로드 311:결속부
312:돌출경사부 313:힌지부
314:브래킷부 321:삽입부

Claims (1)

  1. 지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11)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속홈(12)을 구비하여, 철도선로(2)의 외측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I형 단면의 포스트(10);
    내부가 비고 배면이 개방되어 양측면에 결속부(22)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내후측 상하부에 브래킷부(23)가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통공(24)이 형성된 케이스(21)와, 후면 상하단에 단턱(26)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1) 내에 삽입되는 차음부재(25)와, 표면에 다수의 통공(28)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1)의 개방된 배면에 삽입되어 상하부가 브래킷부(23)에 고정되는 커버(27)를 구비하여, 양측면의 결속부(22)가 양쪽 포스트(10)들의 결속홈(12)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하부와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평면패널(20);
    내부가 비고 배면이 개방되어 양측면에 결속부(311)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첨단부의 양쪽에 각각 힌지부(313)가 형성된 돌출경사부(312)가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후측 상하부에 브래킷부(314)가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통공(315)이 형성된 케이스(31)와, 후면 상하단에 단턱(32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경사부(312) 내에 삽입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부(321)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1) 내에 삽입되는 차음부재(32)와, 표면에 다수의 통공(331)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1)의 개방된 배면에 삽입되어 상하부가 브래킷부(314)에 고정되는 커버(33)를 구비하여, 양측면의 결속부(311)가 양쪽 포스트(10)들의 결속홈(12)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돌출패널(30);
    결속홈(12)에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결속부(43)를 구비한 수평바(41)와, 상기 수평바(41)의 전면 양쪽에서 각각 전방으로 수평돌출되며 각 단부에 홈부(44)와 관통공(45)이 형성된 한 쌍의 돌출바(42)를 구비하여, 양측면의 결속부(43)가 양쪽 포스트(10)들의 결속홈(12)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40);
    중앙에 힌지홀(51)이 관통되어 상기 양쪽 힌지부(313)와 함께 힌지축(52)으로 관통되고, 양측면의 단부에 볼트공(53)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돌출경사부(312)의 상부면에 힌지부(313)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안내판(50);
    일단부가 상기 홈부(44)에 삽입되어 관통공(45)을 통해 볼트로 고정되고, 다수의 홀(61)과 볼트공(53)을 통해 고정볼트(54)로 고정되어, 상기 안내판(50)의 회동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안내판(50)의 양측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탄성밴드(60); 및
    상기 각 포스트(10)의 플랜지(11) 전방에 설치되고, 상부에 전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71)가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까지 다수의 로드(72)가 수평으로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10)들 사이의 전방 하부로 떨어지는 낙석을 차단하는 하부가이드(70); 를 포함하는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KR1020070097067A 2007-09-22 2007-09-22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KR10081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067A KR100811132B1 (ko) 2007-09-22 2007-09-22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067A KR100811132B1 (ko) 2007-09-22 2007-09-22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132B1 true KR100811132B1 (ko) 2008-03-10

Family

ID=3939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067A KR100811132B1 (ko) 2007-09-22 2007-09-22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13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897B1 (ko) 2017-11-08 2018-04-13 강혜경 낙석 방지책의 완충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3920B1 (ko) * 2017-11-30 2018-05-02 오세성 낙석 방지책의 롤러형 완충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59077A (ko) * 2016-11-25 2018-06-04 한국과학기술원 토석류 방재를 위한 유연성 방호책 및 토석류 방재 방법
KR101905473B1 (ko) 2016-10-18 2018-10-10 (주)창광이앤씨 완충형 와이어 로프 체결장치를 이용한 분리가능한 낙석방지망 구조체
KR101914693B1 (ko) 2018-01-31 2018-11-02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단 분리형 토석류 방호 완충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35546B1 (ko) 2018-02-21 2019-01-04 차윤호 암반밀착식 낙석방지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2132A (ko) * 2017-06-29 2019-01-08 김정구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KR101936857B1 (ko) 2018-07-04 2019-01-09 오인철 낙석방지망
KR101937941B1 (ko) 2018-07-02 2019-01-14 (주)목양 낙석방지책의 간이 개폐식 윈도우 장치
CN111535082A (zh) * 2020-05-09 2020-08-14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钢轨的多向液压减振动力吸振器结构
KR102307138B1 (ko) 2021-05-14 2021-09-30 (주)화정엔지니어링 철도 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0307A (ja) * 1990-09-11 1992-04-21 Bridgestone Corp 空気圧利用除雪装置
JP3102296U (ja) * 2003-12-16 2004-07-02 英穂 村上 折畳型防風・防雪柵
KR100654633B1 (ko) 2006-08-19 2006-12-0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철도 선로의 낙석 받이망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0307A (ja) * 1990-09-11 1992-04-21 Bridgestone Corp 空気圧利用除雪装置
JP3102296U (ja) * 2003-12-16 2004-07-02 英穂 村上 折畳型防風・防雪柵
KR100654633B1 (ko) 2006-08-19 2006-12-0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철도 선로의 낙석 받이망 구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473B1 (ko) 2016-10-18 2018-10-10 (주)창광이앤씨 완충형 와이어 로프 체결장치를 이용한 분리가능한 낙석방지망 구조체
KR101942012B1 (ko) 2016-11-25 2019-01-24 한국과학기술원 토석류 방재를 위한 유연성 방호책 및 토석류 방재 방법
KR20180059077A (ko) * 2016-11-25 2018-06-04 한국과학기술원 토석류 방재를 위한 유연성 방호책 및 토석류 방재 방법
KR20190002132A (ko) * 2017-06-29 2019-01-08 김정구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KR101997904B1 (ko) 2017-06-29 2019-07-08 홍용택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KR101848897B1 (ko) 2017-11-08 2018-04-13 강혜경 낙석 방지책의 완충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3920B1 (ko) * 2017-11-30 2018-05-02 오세성 낙석 방지책의 롤러형 완충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14693B1 (ko) 2018-01-31 2018-11-02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단 분리형 토석류 방호 완충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35546B1 (ko) 2018-02-21 2019-01-04 차윤호 암반밀착식 낙석방지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37941B1 (ko) 2018-07-02 2019-01-14 (주)목양 낙석방지책의 간이 개폐식 윈도우 장치
KR101936857B1 (ko) 2018-07-04 2019-01-09 오인철 낙석방지망
CN111535082A (zh) * 2020-05-09 2020-08-14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钢轨的多向液压减振动力吸振器结构
KR102307138B1 (ko) 2021-05-14 2021-09-30 (주)화정엔지니어링 철도 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132B1 (ko) 철도선로의 낙석방지 펜스
KR101094247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낙석방지책
AU2020101111A4 (en) Cantilever truss supported resilient flexible protective shed tunnel
EP3737796B1 (en) Cable safety fence with noise absorbing panel
KR100584083B1 (ko) 도로의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219272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가드레일
KR101708856B1 (ko) 봉형상의 흡음재를 이용한 풍하중 저감형 방음패널, 이를 구비한 회전식 방음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CN115565338B (zh) 地质灾害预警装置
KR100507748B1 (ko) 소음 흡수를 위한 트랩형 방음판
JP4630792B2 (ja) 落石防護ネット用支柱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落石防護ネット工法
EP2626470A1 (en) Integrated road barrier
CN208668335U (zh) 一种防撞隔离栏
KR100953164B1 (ko) 체육시설용 펜스
CN115596277A (zh) 一种抗冲击式防护栏
CN111005350A (zh) 防汛装置
KR101144060B1 (ko) 방음판용 에이치빔의 전면 가림판
CN214573725U (zh) 一种抗冲击护坡
JP3493619B2 (ja) 緩衝式防護柵及びそれのための躯体
CN213013985U (zh) 一种耐候钢声屏障
KR101425782B1 (ko) 통풍형 흡음 방음판
KR100596038B1 (ko) 도로의 낙석방지공 설치구조
KR102544456B1 (ko) 유목차단기능을 갖는 홍수 방어벽
CN201428275Y (zh) 一种钢制防护网
KR101130236B1 (ko) 강재를 이용한 터널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