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850B1 - 디지털 에프에스케이 변조 및 아날로그 에프엠 변조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에프에스케이 변조 및 아날로그 에프엠 변조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850B1
KR100808850B1 KR1020070084368A KR20070084368A KR100808850B1 KR 100808850 B1 KR100808850 B1 KR 100808850B1 KR 1020070084368 A KR1020070084368 A KR 1020070084368A KR 20070084368 A KR20070084368 A KR 20070084368A KR 100808850 B1 KR100808850 B1 KR 10080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og
modulation
digital fsk
receiver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배
김동우
유동훈
신현기
Original Assignee
(주)프로차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차일드 filed Critical (주)프로차일드
Priority to KR102007008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FSK를 이용하여 비상방송을 수신하되, 복수개의 송신기에서 동시에 전파가 수신되는 경우의 신호 중첩으로 인한 수신 불능이 발생하는 경우 FM 비상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FSK 변조 및 아날로그 FM 변조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CATV 방송국에 설치된 메인서버가 평상시에 디지털 FSK와 아날로그 FM 데이터가 CATV 신호와 함께 동축케이블로 송신되도록 하고, 리피터를 통하여 이를 수신하게 되는 메인 수신기에서는 디지털 FSK를 수신하여 음성 출력으로 비상방송을 실시함과 아울러, 디지털 FSK와 아날로그 FM 전파로 송출하여 베이비 수신기에서 선택적으로 디지털 FSK나 아날로그 FM 전파를 수신하여 어느 경우에나 원활한 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해당 건물에 설치된 메인 수신기의 전파와, 인근 건물에 설치된 다른 가입자의 메인 수신기에서 발사된 전파가 동시에 수신되더라도 베이비 수신기에서는 항시 비상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되어 각종 재해 관련 정보를 거주자들에게 신속하게 인지시켜 적절히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귀중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084368
비상방송 송신 수신 디지털 FSK 아날로그 FM

Description

디지털 에프에스케이 변조 및 아날로그 에프엠 변조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Digital FSK Modulation and Analog FM Modulation Emergency Broad 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FSK 변조 및 아날로그 FM 변조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FSK를 이용하여 비상방송을 수신하되, 복수개의 송신기에서 동시에 전파가 수신되는 경우의 신호 중첩으로 인한 수신 불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FM 비상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FSK 변조 및 아날로그 FM 변조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비상방송 자동수신 및 사이렌 경보 자동취명 시스템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 0164546호(이하 '인용고안'이라 함)로 제안된 바 있으며, 도 1에 엔코더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키 입력 스위치(K1 - Kn) 일련의 동작 및 그에 따른 램프 구동과 데이터(디지털 코드방식)신호 발생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데이터신호를 발생하는 FSK 또는 PCM 발생기(2) 및 제 1발진기(3)와, FSK 또는 PCM 발생기(2)가 동작하기 위한 소정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제 2발진기(5)와, 전원 투입시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동작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세트 회로(4)와, FSK 또는 PCM 신호대역을 제외한 주파수 대역을 차단하기 위한 밴드 패스 필터(6)와, 미세한 FSK 또는 PCM 신호를 라인 앰프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버퍼 앰프(7)와, 보조 출력 회로를 위한 보조 앰프(8)와, AM/FM 방송 송출장비의 변조 입력에 필요로 하는 전력까지 증폭하기 위한 라인앰프(9)로 구성된다.
도 2는 인용고안에 관련된 디코더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역 선택 신호, 스위치 입력 및 FSK 또는 PCM 수신신호에 의해 일련의 경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와, FSK 또는 PCM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FSK 또는 PCM 디코더(22)와, 수신된 제어신호(경보신호)에 의해 사이렌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이렌 경보 신호 발생기(23)와, FSK 또는 PCM 신호 변환을 위해 소정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제 3발진기(24)와, 마이크로프로세서(21)가 동작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세트 회로(26)와, 디코더의 고유 코드를 설정하기 위한 딥스위치(27)와, FSK 또는 PCM 신호대역을 제외한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기 위한 밴드 패스 필터(28)와, 디코딩 수신기(30)로부터의 미세한 입력신호를 밴드패스 필터(28)에 필요한 전력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버퍼 앰프(29)와, 디코딩 되는 신호로 수신하기 위한 디코딩 수신기(30)와, 통상의 AM/FM 신호를 수신하는 AM/FM 수신기(31)와, 수신된 FSK 또는 PCM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음 발생시 디코딩 수신기(30)측으로 전환되는 전환 선택 스위치(32)와, 모니터용 보조 출력 단자(34)와 모니터 앰프(35)에 필요한 전력 레벨로 증폭하는 버퍼앰프(33)와, 수신된 경보 방송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전력 레벨로 증폭하는 모니터 앰프 (35)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인용고안은 엔코더 및 디코더를 사용하여 비상방송을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하는 것인 바,
이는 제 2발진기(5)의 출력이 FSK 또는 PCM 발생기(2), 밴드 패스 필터(6)를 거치면서 FSK 또는 PCM 신호대역의 출력만이 방송 송출장비의 변조 입력에 필요로 하는 전력까지 증폭하기 위한 라인앰프(9)로 공급되어 방송출력과 함께 변조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송출된 방송 출력은 수신기에 도달하여 수신된 FSK 또는 PCM 제어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의하여 디코딩 수신기(30)측으로 전환되는 전환 선택 스위치(32)와, 수신기 내부의 밴드 패스 필터(28)에 의하여 FSK 또는 PCM 신호대역만을 통과시키고, 수신된 FSK 또는 PCM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FSK 또는 PCM 디코더(22)와, 마이크로프로세서(21)에 의하여 디코딩 되는 신호로 경보신호발생기(23)를 작동시키거나 외부앰프를 작동시키는 등의 동작으로 비상방송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며,
FSK신호나 PCM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디코딩 수신기(30)로부터의 미세한 입력신호를 밴드패스 필터(28)에 필요한 전력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버퍼 앰프(29)와, 디코딩 되는 신호로 수신하기 위한 디코딩 수신기(30)와, 통상의 AM/FM 신호를 수신하는 AM/FM 수신기(31)가 작동되는 것이다.
이에서 볼 수 있는 인용고안을 비롯하여 비상방송 송수신시스템은 정규방송 FM방송을 이용하고, 비상방송은 기존의 주파수 대역에 FSK, PCM 출력이 결합되어 전송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최근의 비상방송 송수신시스템은 정규방송과 비상방송 모두를 디지털데이터로 송출하고 있어, 디지털 방식 메인 수신기에 의한 정규방송 수신과 비상방송 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메인 수신기는 스피커에 의한 방송 청취 구역이 극히 제한되므로, 장소가 넓은 경우나 2층 이상의 건물내부에서는 1개의 메인 수신기만으로는 방송 청취가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메인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고, 디지털 방식 베이비 수신기에서 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음성으로 방송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던 것이며, 이와 같이 하여 넓은 공간이나 2층 이상의 건물 내부에서도 1개의 메인 수신기와 복수개의 베이비 수신기에 의하여 실내 공간 어디에서나 방송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던 것이며, 이를 도 3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진센서 등 각종 재해 감지를 위한 센서에 의한 감지 데이터가 재해 관리 관청에 전달되면 이에서는 CATV방송국에 설치된 메인서버 및 FSK 방식 비상방송 출력 장치에 의하여 CATV 방송 설비의 출력 신호와 함께 동축 케이블 및 중간 증폭기를 거쳐 CATV 수신기 및 텔레비전 수신기가 연결됨과 아울러, 다수의 메인 수신기로 전달되고, 다수의 메인 수신기에서는 스피커로 수신된 비상방송 내용을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메인디지털 수신기만으로는 가입자가 거주하는 넓은 공간이나 다른 층에서는 수신이 불가능하므로, 메인 수신기에는 별도로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베이비 수신기는 전파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가입자의 해당 건물에 설치된 메인 수신기의 전파는 물론 옆 건물에 설치된 다른 가입자의 메인 수신기에서 발사된 전파를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베이비 수신기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는 각종 전기적 특성이 동일하지 않은 메인 수신기에서 송출된 것이어서, 베이비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는 복수개의 시차가 다른 전파의 파형이 합성되어 수신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디코딩하더라도 정상적인 복조가 불가능하게 되어 베이비 수신기는 수신 불능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수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 지진이나 홍수, 집중 호우, 폭설, 해일, 태풍 등 각종 재해 관련 정보를 알지 못하여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없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ATV 방송국에 설치된 메인서버가 평상시에 디지털 FSK와 아날로그 FM 데이터가 CATV 신호와 함께 동축케이블로 송신되도록 하고, 리피터를 통하여 이를 수신하게 되는 메인 수신기에서는 디지털 FSK를 수신하여 음성 출력으로 비상방송을 실시함과 아울러, 디지털 FSK와 아날로그 FM 전파로 송출하여 베이비 수신기에서는 먼저 디지털 FSK 전파를 수신하여 이를 디코딩하고 음성 출력을 재생하도록 하되, 디코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FM으로 수신하여 어느 경우에나 원활한 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된 디지털 FSK 변조 및 아날로그 FM 변조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재해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재해센서와 연결된 재해 관리청에서 통보된 비상방송 내용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서버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내용을 비상방송 신호로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에서 송출하며, CATV 방송국의 정규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합성된 신호가 동축케이블 및 하나 이상의 리피터를 경유하여 메인 수신기에 제공되고, 메인 수신기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전파로 FSK 전송하여 디지털 FSK 디코더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베이비 수신기 안테나에 유기되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디지털 FSK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술한 재해 관리청에서 통보된 비상방송 내용을 수신한 메인서버가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 및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에 의하여 송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메인 수신기에서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 및 아날로그 FM 변조 전 송기에 의하여 전파를 송출하며, 베이비 수신기에서는 디지털 FSK 디코더와, 아날로그 FM 복조기를 구비하여서 된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 및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해당 건물에 설치된 메인 수신기의 전파와, 인근 건물에 설치된 다른 가입자의 메인 수신기에서 발사된 전파가 동시에 수신되더라도 베이비 수신기에서는 항시 비상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진이나 홍수, 집중 호우, 폭설, 해일, 태풍 등 각종 재해 관련 정보를 거주자들에게 신속하게 인지시켜 적절히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귀중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 4로 보인 바와 같이, 각종 재해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재해센서(50)와 연결된 재해 관리청(51)에서 통보된 비상방송 내용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서버(52)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내용을 비상방송 신호로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54)에서 송출하며, CATV방송국의 정규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합성된 신호가 동축케이블(CX) 및 하나 이상의 리피터를 경유하여 메인 수신기(600)에 제공되고, 디지털 FSK 디코더(61) 및 스피커(SP)가 구비된 메인 수신기(600)에서는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60)의 출력이 안테나(ANT)를 통하여 전파로 전송되며, 디지 털 FSK 디코더(61) 및 스피커(SP)가 구비되고, 디지털 FSK 디코더(61) 및 스피커(SP)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베이비 수신기(700) 안테나(ANT)에 메인 수신기(600)의 디지털 FSK 변조 전파가 유기되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디지털 FSK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술한 재해 관리청(51)에서 통보된 비상방송 내용을 수신한 메인서버(52)가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60)에 추가하여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53)에 의하여 송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메인 수신기(600)에서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60) 및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63)에 의하여 디지털 FSK 변조 전파 및 아날로그 FM 전파를 송출하며, 베이비 수신기(700)에서는 디지털 FSK 디코더(71)와, 아날로그 FM 복조기(72)를 구비하며, 자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73)에 의하여 디지털 FSK 디코더(71)의 정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DAC(Digital Analog Converter)에 의한 출력이 스피커(SP)로 출력되게 하고, 아날로그 FM 복조기(72)의 출력이 정상 출력되는 경우에는 저주파 증폭기(723)의 출력이 스피커(SP)로 출력되도록 스위칭 수단(74)을 제어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지진 등 각종 재해, 재난의 발생시 CATV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비상방송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진 등 각종 재해 발생시 이는 재해센서(50)에 의하여 감지되고, 무선 또는 유선으로 재해 관리청(51)에 통보된다. 이러한 재해 신호는 CATV 방송국 측에 설치된 메인서버(52)에 전달되고, 메인서버(52)에서는 이에서 재해 종류, 재해 발생 위치, 재해 발생 시간, 재해 발생 강도, 재해 대피 내용, 재 해 관리청(51)의 조치사항 등 재해방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디지털 FSK 변조 데이터 및 아날로그 FM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FSK 변조 데이터 및 아날로그 FM 신호는 CATV의 정상적인 방송 신호 출력과 함께 동축케이블(CX)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리피터를 통하여 원격한 곳에 설치된 메인 수신기(600)에 도달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인 수신기(600)에는 디지털 FSK 디코더(61) 및 스피커(SP)가 구비되어 동축케이블(CX)을 통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FSK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서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스피커(SP)로 출력시키게 되어 메인 수신기(600) 부근의 거주자에게 비상 재해 방송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메인 수신기(600)에는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60) 및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63)가 내장되어 있어서, 이에서 디지털 FSK 변조 전파 및 아날로그 FM 전파가 송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FSK 변조 전파 및 아날로그 FM 전파는 하나 이상의 인근에 설치된 베이비 수신기(700) 안테나(ANT)에 유기되는 것이며, 베이비 수신기(700)에는 디지털 FSK 디코더(71) 및 스피커(SP)를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더하여 아날로그 FM 복조기(72)를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비 수신기(700)의 안테나(ANT)에는 두 가지 전파가 모두 유기되며, 이때, 자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73)는 먼저, 디지털 FSK 디코더(71)의 출력이 정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수신되는 디지털 FSK 신호가 중첩되지 않아 정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FSK 디코더(71)의 출력을 받아 DAC(Digital Analog Converter)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스위칭 수단(74)을 통하여 스피커(SP)로 출력되도록 하여 비상 재해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주변에서 다른 가입자의 메인 수신기(600)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있는 경우, 이는 베이비 수신기(700)의 안테나(ANT)에 중첩되어 유기된다. 이러한 중첩된 형태의 신호 파형은 다른 두 개의 메인 수신기(600)에서 송출된 것이어서, 각각의 전기적 특성에 의하여 시차, 전계 강도 등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중첩되었을 시, 이를 디지털 FSK 디코더(71)에 의하여 복조하였을 시 디지털 신호에 오류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DAC에 의하여 음성 신호로 출력시켰을 시, 청취가 불가능한 내용으로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73)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에 오류가 발생되었음을 패리티 체크(Parity check)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감지하고,
즉시, 스위칭 수단(74)의 접속 상태를 절환하여 아날로그 FM 복조기(72) 및 저주파 증폭기(723)의 출력이 스피커(SP)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인근에 설치된 복수개의 메인 수신기(600)에 의하여 베이비 수신기(700)에 중첩, 간섭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아날로그 FM 복조기(72)에 의하여 비상 재해 방송을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메인 수신기(600)의 구체적인 예를 도 5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FSK 디코더(61)를 필 터(610), 복조기(611), DAC(612)로 구현할 수 있으며, 동축케이블(CX)에 연결된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60)로는 가우시안 필터(601)와 변조기(602) 그리고 전력 증폭기(603)로 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63)로는 신호 증폭기(631)와, 발진기(632), 그리고 필터(633) 및 전압제어 발진기(634)가 전술한 전력 증폭기(603)의 입력단에 연결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에서는 동축케이블(CX)에서 인가된 디지털 FSK 신호 및 아날로그 FM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이는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가우시안 필터(601)를 통과시켜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최대 이득으로 신호를 추출하고, 변조기(602)를 거치면서 신호를 디지털 FSK 변조시킨 다음 전력 증폭기를 거쳐서 안테나(ANT)로 송신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신호는 필터를 거쳐서 중심 주파수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복조하여 디지털 신호를 얻고, 이를 아날로그로 변환시킴으로써 스피커(SP)로 음성 출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동축케이블(CX)로 공급된 아날로그 FM 변조신호는 발진기(632)를 거치면서 변조되고, 필터(633)를 거쳐서 정확한 중심 주파수의 출력 신호만을 출력시킨 다음 전압제어 발진기(634)로 반송파로 주파수 변조하여 전력 증폭기(603)를 거쳐서 안테나(ANT)로 전파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송출된 전파는 도 6으로 보인 베이비 수신기(700)의 안테나(ANT)에 유기되는 것인바, 이러한 베이비 수신기(700)는 디지털 FSK 디코더(71)로써, LC BPF(코일 콘덴서 Band Pass Filter)(710) 및 LNA(Low Noise Amplifier)(711)그리고 IF 필터(712), 복조기(713), DAC(714)로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아날로그 FM 복조기(72)는 FM검파기(721), LPF(Low Pass Filter)(722), 저주파 증폭기(723)로 구성된 것이며, 마이크로프로세서(73)는 디지털 FSK 디코더(71)의 복조기(713) 출력과, 아날로그 FM 복조기(72)의 저주파 증폭기(723)의 출력측과 연결되어 디지털 FSK 디코더(71)와 아날로그 FM 복조기(72)의 출력 상태에 따라 스위칭 수단(74)을 제어하여 디지털 FSK 디코더(71)의 정상적인 출력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전술한 패리티 체크에 의하여 검사하여 정상 출력되는 경우에는 DAC(714)의 출력이 스위칭 수단(74)을 거쳐서 스피커(SP)로 출력되도록 하고, 디지털 FSK 디코더(71) 출력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아날로그 FM 복조기(72)의 출력인 저주파 증폭기(723)의 출력이 스위칭 수단(74)을 거쳐서 스피커(SP)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73)는 지속적으로 디지털 FSK 디코더(71)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그 결과 복조기(713)의 출력이 정상으로 된 경우에는 스위칭 수단(74)을 절환시켜 디지털 FSK 디코더(71)의 DAC(714) 출력이 스위칭 수단(74)을 통하여 스피커(SP)로 비상 방송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5, 6에 의하여 메인 수신기(600)와 베이비 수신기(700)의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설계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유지하면서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는 종래의 비상방송 자동 송신부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비상방송 자동 수신부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재해 비상방송을 위한 CATV 전체 구성도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재해 비상방송을 위한 CATV 전체 구성도를 보인 설명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메인 수신기의 구성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수신기의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재해센서 51: 재해 관리청
52: 메인서버 53: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
54: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 60: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
600: 메인 수신기 61: 디지털 FSK 디코더
601: 가우시안 필터 602: 변조기
603: 전력 증폭기 610: 필터
611: 복조기 612: DAC
63: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 631: 신호 증폭기
632: 발진기 633: 필터
634: 전압제어 발진기 700: 베이비 수신기
71: 디지털 FSK 디코더 710: LC BPF
711: LNA 712: IF 필터
713: 복조기 714: DAC
72: 아날로그 FM 복조기 721: FM검파기
722: LPF 723: 저주파 증폭기
73: 마이크로프로세서 74: 스위칭 수단
ANT: 안테나 CX: 동축케이블
SP: 스피커

Claims (5)

  1. 재해센서(50)와 연결된 재해 관리청(51)에서 통보된 비상방송 내용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서버(52)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내용을 비상방송 신호로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54)에서 송출하며, CATV 방송국의 정규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합성된 신호가 동축케이블(CX) 및 하나 이상의 리피터를 경유하여 메인 수신기(600)에 제공되고, 메인 수신기(600)에서 안테나(ANT)를 통하여 전파로 FSK 전송하여 디지털 FSK 디코더(71)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베이비 수신기(700) 안테나(ANT)에 유기되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디지털 FSK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술한 재해 관리청(51)에서 통보된 비상방송 내용을 수신한 메인서버(52)가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60) 및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53)에 의하여 송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메인 수신기(600)에서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60) 및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63)에 의하여 전파를 송출하며, 베이비 수신기(700)에서는 디지털 FSK 디코더(71)와, 아날로그 FM 복조기(72)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FSK 변조 및 아날로그 FM 변조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메인 수신기(600)의 디지털 FSK 변조 전송기(60)는 가우시안 필터(601)와 변조기(602) 그리고 전력 증폭기(603)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FSK 변조 및 아날로그 FM 변조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술한 메인 수신기(600)의 아날로그 FM 변조 전송기(63)는 신호 증폭기(631)와, 발진기(632), 그리고 필터(633) 및 전압제어 발진기(634)가 전술한 전력 증폭기(603)의 입력단에 연결된 형태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FSK 변조 및 아날로그 FM 변조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베이비 수신기(700)의 디지털 FSK 디코더(71)는 LC BPF(코일 콘덴서 Band Pass Filter)(710) 및 LNA(Low Noise Amplifier)(711) 그리고 IF 필터(712), 복조기(713), DAC(714)로 구성됨과 아울러, 전술한 베이비 수신기(700)의 아날로그 FM 복조기(72)는 FM검파기(721), LPF(Low Pass Filter)(722), 저주파 증폭기(723)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FSK 변조 및 아날로그 FM 변조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전술한 베이비 수신기(7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73)는 디지털 FSK 디코더(71)의 복조기(713) 출력과, 아날로그 FM 복조기(72)의 저주파 증폭기(723)의 출력측과 연결되어 디지털 FSK 디코더(71)와 아날로그 FM 복조기(72)의 출력 상태에 따라 스위칭 수단(74)을 제어하여 디지털 FSK 디코더(71)의 정상적인 출력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패리티 체크에 의하여 검사하여 정상 출력되는 경우에는 DAC(714)의 출력이 스위칭 수단(74)을 거쳐서 스피커(SP)로 출력되도록 하고, 디지털 FSK 디코더(71) 출력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아날로그 FM 복조기(72)의 출력인 저주파 증폭기(723)의 출력이 스위칭 수단(74)을 거쳐서 스피커(SP)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FSK 변조 및 아날로그 FM 변조 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KR1020070084368A 2007-08-22 2007-08-22 디지털 에프에스케이 변조 및 아날로그 에프엠 변조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KR10080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368A KR100808850B1 (ko) 2007-08-22 2007-08-22 디지털 에프에스케이 변조 및 아날로그 에프엠 변조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368A KR100808850B1 (ko) 2007-08-22 2007-08-22 디지털 에프에스케이 변조 및 아날로그 에프엠 변조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850B1 true KR100808850B1 (ko) 2008-03-07

Family

ID=3939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368A KR100808850B1 (ko) 2007-08-22 2007-08-22 디지털 에프에스케이 변조 및 아날로그 에프엠 변조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072B1 (ko) 2010-05-17 2012-12-24 (주)트루테크놀러지스 다중신호 전송용 중계증폭장치
CN114710174A (zh) * 2022-03-09 2022-07-05 陕西科技大学 一种车载数字无线电广播的应急广播接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991A (ja) * 1994-05-31 1995-12-12 Shimizu Corp リモート防災情報システム
JP2004297131A (ja) 2003-03-25 2004-10-21 Hitachi Ltd 安否確認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装置
KR20050037017A (ko) * 2003-10-17 2005-04-21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통합 방재 시스템
KR20060116769A (ko) * 2006-09-22 2006-11-15 (주)한일에스티엠 도로변 재난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24529A (ko) * 2005-05-31 2006-12-05 케이티파워텔 주식회사 그룹 디스패치 기능을 이용한 환경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991A (ja) * 1994-05-31 1995-12-12 Shimizu Corp リモート防災情報システム
JP2004297131A (ja) 2003-03-25 2004-10-21 Hitachi Ltd 安否確認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装置
KR20050037017A (ko) * 2003-10-17 2005-04-21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통합 방재 시스템
KR20060124529A (ko) * 2005-05-31 2006-12-05 케이티파워텔 주식회사 그룹 디스패치 기능을 이용한 환경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6769A (ko) * 2006-09-22 2006-11-15 (주)한일에스티엠 도로변 재난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072B1 (ko) 2010-05-17 2012-12-24 (주)트루테크놀러지스 다중신호 전송용 중계증폭장치
CN114710174A (zh) * 2022-03-09 2022-07-05 陕西科技大学 一种车载数字无线电广播的应急广播接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592B1 (ko) 재난 및 안내 방송 시스템
KR100878998B1 (ko) 종합무선 중계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1888141B1 (ko) 터널 라디오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08850B1 (ko) 디지털 에프에스케이 변조 및 아날로그 에프엠 변조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JP4745281B2 (ja) 緊急警報受信機
JP2008178028A (ja) 告知放送システム、および受信端末装置
KR100285086B1 (ko) 지하무선망종합중계장치
JP5439471B2 (ja) 緊急放送受信機
JPS602823B2 (ja) 共同受信システムの増幅器監視装置及び共同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増幅器監視方式
KR20190069890A (ko) 안드로이드 기반의 재난방송용 중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방송 시스템
US731341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51796B1 (ko) Dmb를 이용한 재난 방송용 중계기
KR102051929B1 (ko) 라디오 재방송을 위한 터널 내 라디오 신호의 품질검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품질검사방법
KR101343128B1 (ko) 통합 원격 비상방송 장치
JP3192255U (ja) 放送信号変換伝送装置及び放送受信システム
KR100635340B1 (ko) 디지탈 방식의 지하 재방송 중계 장치
JP3236760B2 (ja) 中継増幅システム
JP2014096770A (ja) 防災ラジオ
KR20060061042A (ko)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JP3379366B2 (ja) 中継放送装置および放送受信装置
KR200164546Y1 (ko) 비상방송자동수신및사이렌경보자동취명시스템
KR200340349Y1 (ko) 원격 비상방송, 상태감시 및 제어를 제공하는 재방송중계기
JPS62250736A (ja) 緊急放送受信装置
KR20020031330A (ko) 원격 무선방송 장치 및 그 방법
KR0132286Y1 (ko) 무선 스피커 잡음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