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042A -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042A
KR20060061042A KR1020040099903A KR20040099903A KR20060061042A KR 20060061042 A KR20060061042 A KR 20060061042A KR 1020040099903 A KR1020040099903 A KR 1020040099903A KR 20040099903 A KR20040099903 A KR 20040099903A KR 20060061042 A KR20060061042 A KR 20060061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ignal
power line
frequency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128B1 (ko
Inventor
이억기
Original Assignee
이억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억기 filed Critical 이억기
Priority to KR102004009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128B1/ko
Priority to CN 200510125726 priority patent/CN1783744A/zh
Publication of KR2006006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1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내에 배선된 전력선을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인 앰프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송신장치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장치에서 추출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라인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구내 방송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데 적당하도록 한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오디오 소스와 접속되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실어서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반송파를 발생시키는 제1 발진기와, 상기 반송파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실어서 특정 주파수 신호로 출력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특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신호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RF초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력선을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추출기와, 상기 추출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증폭부와, 상기 고주파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상기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로 동조시키는 동조기와, 상기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2 발진기와, 상기 동조된 주파수 신호에서 상기 반송파를 제외한 오디오 신호만을 검파하는 검파기와, 상기 검파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저주파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 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선 통신, 오디오 신호

Description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signal by power line}
도 1은 본 발명인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를 보여주는 전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디오 신호 송신부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내에 배선된 전력선을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인 앰프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송신장치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장치에서 추출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라인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구내 방송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데 적당하도록 한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내 방송 시스템은 빌딩, 아파트, 학교, 선박, 병원 등에 설치 되어 각종 안내 방송이나 교육, 회의 또는 음악의 송출 및 비상사태의 발생시 긴급 대처 사항을 알리는 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내 방송 시스템은 설치되는 해당 장소의 특정 공간에 배치되어, 마이크로 입력되는 각종 안내 음성이나 컴퓨터, 오디오 시스템 등의 각종 음원 발생수단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앰프와, 공간의 면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앰프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구내에 위치하고 있는 전체 혹은 특정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일부의 사람들이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앰프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배선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내 방송 시스템은 특정 공간에 배치되는 앰프와 각 층별로 복수개로 배치되는 각각의 스피커를 배선으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배선의 연결에 있어 건물의 구조 등의 영향에 의해 많은 시간과 어려움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앰프와 각각의 스피커를 배선으로 연결함에 따라 배선의 설치에 있어 과다한 비용이 발생되고, 복잡한 배선의 연결로 인하여 단선 및 단락 등에 의한 고장의 원인이 증가하여 구내 방송 시스템의 구현에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대형 건물의 경우 임의의 배선에서 단락이나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지점을 찾아 수리하기에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앰프와 스피커간의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발생되는 신호의 손실을 감안하여 앰프의 출력을 높여야 하므로, 앰프의 과열 및 과부하로 고가의 앰프가 파손되어 전체 기능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전력선을 통해서 오디오 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전송하고, 전력선을 통해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전단에 연결된 수신장치에 의하여 증폭, 동조 및 검파함으로써, 별도의 오디오 전송라인을 가설하지 않고도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되지 않고 아날로그 형태로 송수신함으로써, 별도의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오디오 소스와 접속되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실어서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반송파를 발생시키는 제1 발진기와, 상기 반송파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실어서 특정 주파수 신호로 출력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특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신호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RF초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력선을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추출기와, 상기 추출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증폭부와, 상기 고주파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상기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로 동조시키는 동조기와, 상기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2 발진기와, 상기 동조된 주파수 신호에서 상기 반송파를 제외한 오디오 신호만을 검파하는 검파기와, 상기 검파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저주파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주파증폭부 입력단에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진 레벨 조정기를 더 구비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의 고주파증폭부 입력단에는 전압안정기(voltage regulator)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안정기는 두개의 제너다이오드로 구성되되, 상기 두개의 제너다이오드는 서로 캐소드끼리 연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장치에 관한 작용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를 보여주는 전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의 오디오 신호 송신부(100)는 오디오 소스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110)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실어서 전력선을 통해 전달하기 위해 고유한 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발진기(120)와, 상기 반송파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실어서 특정 주파수 신호로 출력하는 변조기(130)와, 상기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가 특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신호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RF쵸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100)와 대응한 오디오 신호 수신부(200)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력선을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추출기(210)와, 상기 추출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증폭부(220)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로 동조시키는 동조기(230)와, 상기 동조기에서 사용되는 동조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2 발진기(240)와, 상기 동조된 주파수 신호에서 오디오 신호만을 검파하는 검파기(250)와, 상기 검파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70)로 전달하는 저주파증폭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100)의 신호입력부(110)는 마이크 또는 컴퓨터 등의 음원 소스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때의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변환이 없는 순수한 아날로그 저주파 오디오 신호이다.
상기 저주파 오디오 신호는 별도의 오디오 전송라인을 통해 스피커(270)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옥내 또는 구내에 기 설치된 전력선을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전력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 주파수 신호(60㎐ 신호)에 간섭받지 않고 전달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전원 주파수 신호에 간섭받지 않고 전력선을 통해 전달되기 위해서 일정한 고유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에 실려서 전달된다. 즉, 21.4㎒의 고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에 실려서 전력선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고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는 설정된 클럭에 따라 고유의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발진기(120)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제1 발진기(120)에서 생성된 고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는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130)로 입력된다.
상기 변조기(130)는 상기 제1 발진기(120)에서 인가되는 고유의 주파수 신호에 오디오 신호를 캐리어 데이터로 실어서 특정 주파수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변조기(130)에서 이루어지는 변조는 주파수 변조(FM)와 진폭 변조(AM) 방식이 있다.
주파수 변조(周波數變調, frequency modulation)는 음성의 전기신호와 텔레비전의 영상을 유선이나 무선으로 송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변조방식을 말하고, 진폭변조(振幅變調, amplitude modulation)는 반송파(搬送波)의 진폭을 신호파의 진폭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법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음악이나 음성 ·영상 등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무선이나 유선으로 먼 곳에 보낼 수 있도록 반송파의 진폭을 신호파의 진폭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인 진폭 변조(AM)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진폭 변조 방식은 변조가 용이하나 잡음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은 노이즈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저전압 라인을 이용하고 각 종 노이즈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변조기(130)를 통해 진폭 변조되어 출력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는 RF쵸크(140)로 입력된다. 상기 RF쵸크(140)는 입력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가 소정의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상기 변조기(130)에서 발생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보다 소정 주파수(오디오 신호 주파수) 이상 높은 주파수대의 신호는 모두 차단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주파수대로 나타나는 노이즈는 상기 RF쵸크(140)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RF쵸크(140)를 통해 노이즈 등의 고주파수대의 신호들이 제거된 후, 상기 오디오 신호가 실린 특정 주파수 신호는 전력선을 통해 오디오 신호 수신부(200)로 전송된다.
상기 오디오 신호가 실린 특정 주파수 신호는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저전압 라인을 통해 전송된다. 즉, 옥내 또는 구내에 가설된 전력선 라인 중에 접지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옥내 또는 배선용으로 사용되는 정격전압이 전달되는 고전압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접지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미세전압을 나타내는 저전압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가 실린 특정 주파수 신호를 오디오 신호 수신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가 실린 특정 주파수 신호는 전력선의 저전압라인을 통해 오디오 신호 수신부(200)에 전달된다.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200)는 3단자 플러그를 포함하고 있어 옥내 또는 구내에 배치된 콘센트에 연결된다.
상기 전력선의 저전압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가 실린 특정 주파 수 신호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200)의 신호추출기(210)에서 추출된다. 즉, 상기 신호추출기(210)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실은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추출기(210)에 의하여 추출된 특정 주파수 신호는 전력선을 타고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쇄되기 때문에 고주파증폭부(220)에 입력되어 증폭된다. 즉, 고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 대역에 대해서 증폭을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도 증폭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주파증폭부(220)에 의해 증폭된 특정 주파수 신호는 동조기(230)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100)에서 사용한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로 동조된다. 즉, 상기 동조기(230)에 상기 고주파증폭부(220)에서 증폭된 특정 주파수 신호와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200)에서 사용한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입력시키면, 상기 동조기(230)는 상기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 신호에 공진되는 신호에 대해서만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200)에서 사용한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주파수 신호는 제2 발진기(240)에서 발생된다.
상기 동조기(230)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는 오디오 신호가 실린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만 첨예하게 증폭되어 출력되고, 이 주파수 신호는 검파기(250)에 입력된다.
상기 검파기(250)는 상기 동조된 주파수 신호에서 오디오 신호만을 검파하여 복조한다. 즉, 오디오 신호 송신부(100)에서 변조되어 전송된 특정 주파수 신호에 서 반송파를 제외한 오디오 신호를 검파하여 복조한다.
상기 검파된 오디오 신호는 저주파 신호로서, 스피커(270)로 출력되기 전에 일정 크기로 증폭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검파된 오디오 신호는 저주파증폭부(260)에서 일정 크기로 증폭되어 상기 스피커(270)로 출력된다.
도 2는 상기에서 설명한 오디오 신호 송신부(100)에 대응하는 회로도이고, 도 3은 오디오 신호 수신부(200)에 대응하는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 송신부(100)의 회로도는 오디오 소스와 인터페이스하는 신호입력부(110) 회로에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기(130) 회로에 입력된다. 그리고 반송파의 특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 발진기(120)가 반송파로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고, 이 특정 주파수 신호는 상기 변조기(130) 회로에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변조기(130) 회로는 오디오 신호와 특정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진폭 변조를 수행한다. 즉, 특정 주파수 신호인 반송파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실어서 출력한다. 상기 변조기(130)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1496 칩을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변조기(130)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변조된 주파수 신호는 RF쵸크(140) 회로에 입력되어 상기 변조된 주파수 신호 중에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차단된 상태로 출력된다. 상기 특정 주파수 이상의 신호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실린 특정 주파수 대역과 관계없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써 노이즈가 대부분 여기에 해당할 것이다.
상기 RF쵸크(14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가 실린 주파수 신호는 전송단자(150)와 연결된 전력선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전송단자(150)는 전력선의 세 라인중에 옥내 또는 구내 정격전압 전송 라인으로 사용되는 고전압라인과 연결되지 않고, 접지라인과 저전압라인과 연결된다. 즉, 노이즈로부터 영향을 덜 받기 위해서 저전압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저전압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가 실린 주파수 신호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200)에 전달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오디오 신호 수신부 회로에 입력된다.
상기 전력선의 저전압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 신호는 신호추출기(210) 회로에서 오디오 신호를 실고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선택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주파수 신호는 전송 과장에서 감쇄된 상태로 전달되기 때문에 고주파증폭부(220) 회로에서 설정된 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된다. 상기 고주파증폭부(220) 회로는 MC 1350 칩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주파증폭부(220)의 입력단에는 전압안정기(225)를 연결하여 부하 또는 칩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여 전체적인 회로 및 각 종 칩을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전압안정기(225)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제너(Zener)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구현하되, 상기 두개의 제너 다이오드가 캐소드끼리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한다.
상기 증폭된 고주파수 신호는 동조기(230) 회로에 입력되어 상기 오디오 신 호 송신부(100)에서 사용된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로 동조되어 출력된다. 즉, 제2 발진기(240)에서 오디오 신호 송신부(100)에서 사용한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 신호를 만들어 상기 동조기(230)로 전달하면, 상기 동조기(230) 회로에서는 증폭된 고주파수 신호 중에 상기 제2 발진기(240)에서 생성한 주파수 신호에 공진하는 신호만을 첨예하게 증폭하여 출력시킨다.
상기 동조기(230) 회로는 상기 고주파증폭부와 동일하게 MC 1350 칩을 사용하여 구현한다. 다만, 오디오 신호 송신부(100)에서 사용한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폭된 주파수 신호를 상기 동일한 주파수 신호에 동조시킨 후 증폭되어 출력시킨다.
상기 동조기(230) 회로에서 동조된 주파수 신호는 검파기(250) 회로에 입력되어 반송파가 제외된 오디오 신호만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고주파 성분인 반송파에 실린 저주파 신호인 오디오 신호가 검파되어 복조된다. 상기 검파기(250) 회로는 복조 칩으로 이용되는 MC 1330 칩을 채택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복조된 저주파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70)로 출력되기 전에 저주파증폭부(260)를 통해 일정 크기로 증폭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저주파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로서 청취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상기 저주파증폭부(260) 입력단에는 레벨조정기(265)를 더 구비시켜, 상기 스피커(270)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저주파증폭부(260)의 입력단의 레벨을 변화시켜 증폭 정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조정기(265)는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가변저항을 상기 저주파입력부(260)의 입력단에 연결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고주파증폭부(220), 동조기(230), 검파기(250), 저주파증폭부(260)에서 사용되는 DC 동작전원은 전원부(280)에서 제공한다. 즉, 상기 전원부(280)는 전력선의 고전압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레벨다운시키고 정류하여 각 부하요소(MC 1350, MC 1330 등)에 필요한 동작전원을 발생하여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장치에 의하면,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별도의 오디오 전송라인을 가설하지 않고 전력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오디오 전송라인 가설에 따른 비용, 시간, 노력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력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경되지 않고 아날로그 형태로 송수신되므로, 별도의 컨버터가 필요없어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소스와 접속되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실어서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반송파를 발생시키는 제1 발진기와, 상기 반송파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실어서 특정 주파수 신호로 출력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특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신호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RF초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력선을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추출기와, 상기 추출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증폭부와, 상기 고주파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상기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로 동조시키는 동조기와, 상기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2 발진기와, 상기 동조된 주파수 신호에서 상기 반송파를 제외한 오디오 신호만을 검파하는 검파기와, 상기 검파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저주파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증폭부 입력단에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진 레벨 조정기를 더 구비 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부의 고주파증폭부 입력단에는 전압안정기(voltage regulator)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압안정기는 두개의 제너다이오드로 구성되되, 상기 제너다이오드는 서로 캐소드끼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AM(Amplitude Modulation) 변조 방식에 의하여 상기 반송파에 오디오 신호를 실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송신부와 오디오 신호 수신부는 전력선의 저전압 라인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KR1020040099903A 2004-12-01 2004-12-01 전력선을 이용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KR100736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03A KR100736128B1 (ko) 2004-12-01 2004-12-01 전력선을 이용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CN 200510125726 CN1783744A (zh) 2004-12-01 2005-12-01 室内电力线通信中的对准电路和使用该电路的收发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03A KR100736128B1 (ko) 2004-12-01 2004-12-01 전력선을 이용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042A true KR20060061042A (ko) 2006-06-07
KR100736128B1 KR100736128B1 (ko) 2007-07-06

Family

ID=3677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903A KR100736128B1 (ko) 2004-12-01 2004-12-01 전력선을 이용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6128B1 (ko)
CN (1) CN178374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418B1 (ko) * 2006-02-10 2007-09-07 주식회사 다성마그네틱 전력선을 이용한 스테레오 오디오신호 송신기 및 수신기
KR100856378B1 (ko) * 2007-07-11 2008-09-04 주식회사 리모텍 전력선 통신용 영상신호의 송신 및 수신회로
WO2012134109A2 (ko) * 2011-03-25 2012-10-04 Kim Young 진폭변조방식의 전력선통신을 위한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CN107948855A (zh) * 2017-11-24 2018-04-20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通过电源线传输音频信号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A (ja) * 1984-06-20 1990-01-05 Tomio Konno 真空フアイバー電子通信の方法とその装置
US4847903A (en) 1987-05-22 1989-07-11 Recoton Corporation Wireless remote speaker system
AU1294897A (en) 1995-12-19 1997-07-14 Elcom Technologies Corporation Power line audio system
WO2001031806A1 (en) 1999-10-22 2001-05-03 Openglobe, Inc. Data power line network
KR20040006044A (ko) * 2002-07-09 2004-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
KR20050122744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다성마그네틱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장치와 이것을이용한 구내 방송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418B1 (ko) * 2006-02-10 2007-09-07 주식회사 다성마그네틱 전력선을 이용한 스테레오 오디오신호 송신기 및 수신기
KR100856378B1 (ko) * 2007-07-11 2008-09-04 주식회사 리모텍 전력선 통신용 영상신호의 송신 및 수신회로
WO2012134109A2 (ko) * 2011-03-25 2012-10-04 Kim Young 진폭변조방식의 전력선통신을 위한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WO2012134109A3 (ko) * 2011-03-25 2013-01-10 Kim Young 진폭변조방식의 전력선통신을 위한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CN107948855A (zh) * 2017-11-24 2018-04-20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通过电源线传输音频信号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128B1 (ko) 2007-07-06
CN1783744A (zh)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6303B1 (en) Wireless broadcast link to remote receiver
US4575750A (en) Communications apparatus for use with cable television systems
JPH01503831A (ja) ワイヤレス・リモート・スピーカ方式
KR100910532B1 (ko) 마을 방송 시스템의 무선 수신 장치
US200401565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signals over conventional power lines
KR100736128B1 (ko) 전력선을 이용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송수신 장치
US20090047919A1 (en) Radio with automatic tuning to modulated audio device
US7095866B1 (en) Wireless 900 MHz broadcast link
JPS602823B2 (ja) 共同受信システムの増幅器監視装置及び共同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増幅器監視方式
US6459408B1 (en) Satellite receiv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satellite dish antenna
KR101328957B1 (ko) 무선 마이크 수신기 및 혼신 방지 방법
CA2734792C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udio and dc signals
KR100808850B1 (ko) 디지털 에프에스케이 변조 및 아날로그 에프엠 변조비상방송 송수신 시스템
KR200238198Y1 (ko) 무선 텔레비전 방송 청취기
KR960004961B1 (ko) 무선 서라운드 스피커
KR20040094997A (ko) 고속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 수신 시스템
KR20050122744A (ko) 전력선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송/수신장치와 이것을이용한 구내 방송 시스템
KR200436762Y1 (ko) 마을 방송 시스템
KR0132286Y1 (ko) 무선 스피커 잡음 제거장치
JPS5940711Y2 (ja) 非常警報装置
KR100968816B1 (ko) 최소 노이즈 채널을 선택하는 감시카메라 및 방송장치
JP2010200214A (ja) マイク送信信号の混信防止システム
US3453547A (en) Muting device
KR100296520B1 (ko) 스테레오텔레비젼과상용전원선을이용한음성통신장치
KR970006764B1 (ko)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