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764B1 -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764B1
KR970006764B1 KR1019940021891A KR19940021891A KR970006764B1 KR 970006764 B1 KR970006764 B1 KR 970006764B1 KR 1019940021891 A KR1019940021891 A KR 1019940021891A KR 19940021891 A KR19940021891 A KR 19940021891A KR 970006764 B1 KR970006764 B1 KR 97000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ignal
level
amplifier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433A (ko
Inventor
김연은
변상기
Original Assignee
김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덕 filed Critical 김정덕
Priority to KR101994002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764B1/ko
Publication of KR960009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66Fault detection or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송수신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종래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중앙제어부 51 : 변조기
52 : 송신증폭기 53 : 커플러(coupler)
56 : A/D변환부 57 : 비교판정 제어부
63 : 송신상태 표시기 64 : 레벨메타
65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송신레벨을 검출하여 단말기 송신장치의 불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을 통하여 사용자 간의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와 같은 휴대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약칭한다)는 내장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 사용자와 음성신호 및 기타 정보를 송수신토록 한다. 이때, 단말기의 송신장치는 충전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신호의 레벨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송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성신호 또는 기타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제1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였다. 제1도를 참조하면,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송수신 겸용의 안테나(1), 송수신 신호를 필터링하는 듀플렉스(2),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수신증폭기(3), 수신신호와 수신용의 국부발진주파수를 합성하는 합성기(4), 국부발진주파수를 제공하는 수신용 국부발진기(5), 합성기(4)에서 합성된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증폭기(6),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7)로 단말기 수신부(20)가 구성되며, 송신부(30)는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10)과, 음성신호를 변조기(11), 송신용 국부발진주파수를 제공하는 송신용 국부발진기(9), 변조기(11)에서 변조된 음성신호 주파수와 송신용 국부발진주파수를 합성하는 합성기(12), 합성된 주파수를 송신증폭기(13)를 구비하여 되어 있고, 상기 수신부(20) 및 송신부(3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8)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여 상대방의 통화 채널과 연결하게 되면 중앙제어장치(8)에서는 송신명령을 하게 되고 라인(16)을 통하여 송신명령을 송신증폭기(13)에 전달한다. 송신증폭기(13)에 송신명령이 인가되면 송신증폭기(13)는 합성기(1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한다. 송신증폭기(13)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듀플렉스(2)에 인가되고, 이때 듀플렉스(2)는 증폭된 신호중에서 송신신호만 필터링하여 안테나(1)를 통해 공중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제2도를 참조하면 중앙제어장치(8)에서 송신증폭기(13)에 인가되는 송신명령 신호는 라인(16)를 통해 표시 제어부(14)에 인가된다. 송신명령 신호를 인가받은 표시 제어부(14)는 송신명령이 송신증폭기(13)에 인가 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온/오프 LED로 구성된 송신상태 표시기(15)를 제어한다. 따라서, 표시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송신상태 표시기(15)는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송신상태 검출장치는 중앙제어부(8)에서 출력되는 송신명령의 존재 유무만을 검출하여 그 상태를 표시하기 때문에 중앙제어부(8)의 송신명령에 의해 동작하는 송신증폭기(13)가 동작하지 않거나 송신증폭기(13)의 증폭도가 낮아 단말기가 동작하지 않아도 송신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표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말기 송신증폭기(13)의 오동작으로 신호가 증폭되지 않아도 단말기 사용자는 신호송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단말기의 송신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 송신장치의 불량상태 및 송신레벨도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는, 그 장치전체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음성입력장치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 송신용 국부발진기, 변조된 음성신호 주파수와 송신용 국부발진주파수를 합성하는 합성기, 상기 합성기에 의해 합성된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증폭기, 송신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듀플렉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합하여 된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증폭기와 듀플렉스에 접속되어 상기 송신증폭기에서 듀플렉스로 송신되는 신호의 일부를 커플링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접속되어 상기 커플러에서 출력되는 AC신호를 DC신호로 변환하는 AC/DC변환수단과, AC/DC 변환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AC/DC 변환수단에서 출력되는 DC레벨을 증폭하여 소정의 기준레벨과 비교판정하는 비교판정 제어부와, 상기 비교판정 제어부에 접속되어 이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송신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레벨 및 송신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송신상태를 표시하는 송신상태 표시기와 상기 신호레벨을 표시하는 레벨메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송신상태 표시기 및 레벨메타는 LCD 또는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정 제어부는 DC레벨을 증폭하는 증폭기와 증폭된 DC레벨을 소정의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비교기를 구비하여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는 송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증폭기의 정상 유무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송신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증폭 신호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장치전체의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회로 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앙제어부(50)와, 마이크로폰(62)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51), 중앙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송신주파수를 생성하는 송신용 국부발진기(60), 변조기(50)에서 변조된 음성신호 주파수와 국부발진기(60)에서 제공되는 송신용 국부발진주파수를 합성하는 합성기(59), 합성기(59)에서 합성된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로 구성되는 송신증폭기(52), 송신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듀플렉스(54),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55)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는 특징적으로 송신증폭기(52)와, 듀플렉스(54)에 접속되어 송신증폭기(52)에서 듀플렉스(54)로 인가되는 신호의 일부를 커플링하는 커플러(53)와, 이 커플러(53)에 접속되어 커플러(53)에서 출력되는 AC신호를 DC신호로 변환하는 AC/DC변환부(56)와, AC/DC 변환부(56)에 접속되어 이 AC/DC변환부(56)에서 출력되는 DC레벨을 증폭하는 증폭기(71)와 증폭기(71)에서 증폭된 DC레벨을 소정의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비교기(72)를 포함하여 상기 송신증폭기(52)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레벨이 정상인지 아닌지 또는 소정의 증폭도를 가지고 출력되는지를 비교판정하는 비교판정 제어부(57)를 구비하여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송신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비교판정 제어부(57)에 접속되어 이 제어부(57)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송신증폭기(52)에서 출력되는 신호 레벨 및 송신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60)는 송신증폭기(52)에서 출력되는 증폭 신호레벨을 표시하는 레벨메타(64) 및 송신상태가 정상적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송신상태 표시기(63)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레벨메타(64)는 비교판정 제어부(57)의 증폭기(71)에 접속되고 상기 송신상태 표시기(63)는 비교기(72)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하여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화채널이 연결되면, 중앙제어부(50)는 송신명령을 전송선(66)을 통해 송신증폭기(52)에 인가한다. 또한, 중앙제어부(50)는 송신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채널을 설정하도록 송신국부발진기(60)에 제어명령을 출력한다.
이때, 마이크로폰(62)에서 음성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변조기(51)에 인가되면 변조기(51)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송신용 음성신호로 변조한다. 변조기(51)에서 변조된 음성신호는 송신합성기(59)에 입력되어 송신용 국부발진기(60)에서 출력되는 송신국부발진주파수와 합성된 후 송신증폭기(52)에 입력된다.
송신증폭기(52)는 합성기(59)에서 출력되는 합성 송신신호를 입력받아 중앙제어부(50)의 명령에 따라 그 신호를 증폭한 후 그 증폭된 신호를 듀플렉스(54)에 출력한다. 송신증폭기(52)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은 듀플렉스(54)는 상기 신호 중에서 불요파를 제거한 후 안테나(55)를 통해 상기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한다.
상기와 같이 송신증폭기(52)에서 출력되어 듀플렉스(54)로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는 커플러(53)에 커플링 되는데, 이와 같이 커플러(53)에서 커플링되는 신호는 본 발명에서 특징적으로 사용된다. 즉, 커플러(53)에서 커플링된 신호는 일단 A/D변환부(56)에 인가되어 DC신호로 변환되고 비교판정 제어부(65)에 입력되며, 디스플레이부(65)는 비교판정제어부(65)의 출력에 따라 상기 송신증폭기(52)의 증폭레벨 및 송신상태를 수동적으로 표시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플러(53)에서 커플링되어 출력되는 AC신호는 실질적으로 소신호임으로 A/D변환부(56)는 상기 AC신호를 DC신호를 변환하여 후단의 비교판정 제어부(57)에서 용이하게 증폭되도록 한다. A/D변환부(56)에서 변환된 DC신호는 비교판정 제어부(65)의 증폭기(71)에 입력되어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비교기(72)에서 소정의 기준레벨과 비교된다. 여기서, 기준레벨은 사용 단말기의 성능 및 각종 재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들이다. 상기와 같이 비교판정 제어부(65)는 상기 송신증폭기(52)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증폭하고 비교한 후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65)에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65)로 하여금 송신증폭기(5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 또는 송신증폭기(5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정상 유무를 표시토록 한다. 즉, 디스플레이부(65)의 레벨메타(64)는 비교판정 제어부(57)의 증폭기(71)의 출력에 따라 송신증폭기(52)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의 레벨을 표시하며, 송신상태 표시기(63)는 비교기(72)의 출력에 따라 송신증폭기(52)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정상인지를 표시토록 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65)의 송신상태 표시기(63)를 확임함으로써 단말기의 송신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레벨메타(64)를 확임함으로써 송신증폭기(52)의 증폭도 및 배터리의 용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베터리 용량에 따라 송신신호 레벨이 변동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레벨메타(64) 및 송신상태 표시기(63)는 LED 또는 LCD로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신증폭기(52)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의 커플링 비율은 전송손실을 감안하여 커플링하여야 하는데, 커플러(53)의 삽입에 따른 삽입손실은 아래의 식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손실(dB)=10log(1/1-(10exp-a/10)) : 여기서, a는 커플링 비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는 단말기 송신장치의 송신신호 증폭레벨 및 그 신호의 정상 유무를 검출하고 표시함으로써 송신레벨 및 송신 불량상태까지 나타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는 사용자가 송신증폭기로부터 송출되어 나가는 신호의 레벨을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지역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상태 검출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송신 증폭레벨을 통해 배터리 용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이점까지도 제공한다.

Claims (3)

  1. 장치 전체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 음성입력장치에서 전기적으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 송신용 국부발진기, 변조된 음성신호 주파수와 송신용 국부발진주파수를 합성하는 합성기, 상기 합성기에 의해 합성된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증폭기, 송신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듀플렉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여 된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증폭기와 상기 듀플렉스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송신증폭기에서 상기 듀플렉스로 송신되는 신호를 커플링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에 접속되어 상기 커플러에서 출력되는 AC신호를 DC신호로 변환하는 AC/DC변환수단과, 상기 AC/DC 변환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AC/DC변환수단에서 출력되는 DC레벨을 증폭하여 소정의 기준레벨과 비교판정하는 비교판정 제어부와, 상기 비교판정제어부에 접속되어 이 비교판정제어부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송신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레벨을 표시하는 레벨메타 및 송신상태를 표시하는 송신상태 표시기를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판정제어부는 상기 DC레벨을 증폭하는 증폭기와 증폭된 DC레벨을 소정의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비교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상태 표시기 및 상기 레벨메타는 LED 또는 LC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KR1019940021891A 1994-08-31 1994-08-31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KR97000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891A KR970006764B1 (ko) 1994-08-31 1994-08-31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891A KR970006764B1 (ko) 1994-08-31 1994-08-31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433A KR960009433A (ko) 1996-03-22
KR970006764B1 true KR970006764B1 (ko) 1997-04-30

Family

ID=1939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891A KR970006764B1 (ko) 1994-08-31 1994-08-31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7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433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548A (en) Out-of-range warning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WO1989004569A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US6430217B1 (en) Noise eliminated digital wireless transceiver apparatus
US6085109A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operating as a cordless and cellular telephone
KR970006764B1 (ko) 단말기의 송신상태 검출장치
KR100658021B1 (ko) 통신 주파수 변경이 가능한 무전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5315994A (ja) 送受信共用無線装置
JP2944180B2 (ja) 無線電話装置
KR940009771B1 (ko) 무선전화기의 모뎀 자동선택 장치
KR0124498B1 (ko) 휴대폰/카폰 변환장치 및 그의 운용방법
KR200205563Y1 (ko) 이동 전화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JP2862683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電池状態表示装置
JP2002111572A (ja) 携帯電話機
KR100650864B1 (ko) 전력 손실을 줄인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 감지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JP2792184B2 (ja) 無線電話装置
KR200202132Y1 (ko) 핸드폰의 핸즈프리시스템
JP2570729Y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2492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13402Y1 (ko) 핸드 프리 키트
KR1004898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통화상태표시장치
JPH11103335A (ja) コードレス通信システム
JPH062187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9321843A (ja) 携帯電話機着信信号報知装置
JPH11196173A (ja) 通信装置
KR100189247B1 (ko) 전원선을 통한 음성 통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