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103B1 -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 Google Patents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103B1
KR100808103B1 KR1020070049180A KR20070049180A KR100808103B1 KR 100808103 B1 KR100808103 B1 KR 100808103B1 KR 1020070049180 A KR1020070049180 A KR 1020070049180A KR 20070049180 A KR20070049180 A KR 20070049180A KR 100808103 B1 KR100808103 B1 KR 100808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plate
wire mesh
roller
mesh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현
Original Assignee
(주)진영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영코리아 filed Critical (주)진영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4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G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MAKING KNOTTED CARPETS OR TAPESTRIES; KNOT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G1/00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 D04G1/02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in machines
    • D04G1/08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in machines using two series of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5/00Twist or bobbin-net lace-mak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04B5/32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the filling elements being sphe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겹 이상 여러 겹을 가지는 와이어 메쉬 망을 쉽게 편직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에 의하면, 내경의 서로 다른 실린더를 가지는 제1,2편직수단을 복층 혹은 다층으로 구현하여 두 겹 이상 여러 겹을 가지는 와이어 메쉬 망을 쉽게 편직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편직되어 배출되는 와이어 메쉬 망은 텐션수단의 장력에 의해서 일률적으로 편직되어져 배출될 것은 물론이고 각 롤러가 가지는 환홈에 의해서 그 형상의 변화를 최소화 시키면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와어이 메쉬 망, 편직기, 다축 감속기, 베어링

Description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A wire mesh net knitt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를 일부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의 개략적 종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텐션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20 : 고정판
30 : 편직수단 32 : 실린더
34 : 편침 36 : 와이어 공급수단
38 : 승하강수단 40 : 회동수단
100 :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110 : 프레임
112 : 지지다리 114 : 하판
116 : 상판 120 : 제1회전판
130 : 제2회전판 140 : 제1편직수단
150 : 제2편직수단 160 : 지지체 공급롤러
170 : 텐션수단 172 : 지지판
174a : 제1롤러 174b : 제2롤러
174c : 제3롤러 174d : 제4롤러
176 : 환홈 178 : 풀리
180 : 회동수단 182 : 구동모터
184 : 다축 감속기 186 : 회전축
187 : 제1구동판 188 : 제2구동판
189 : 타이밍벨트 M : 와이어 메쉬 망
본 발명은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겹 이상 혹은 여러 겹을 가지는 와이어 메쉬 망을 쉽게 편직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메쉬 망은 가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원통형 형상으로 편 직된 것을 말하며, 이러한 와이어 메쉬 망은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자동차 컨버터(Convertor)의 촉매 보호용, 자동차 머플러의 글래스 울 소손 방지용, 자동차 머플러 라인의 진동 흡수용, 선박 엔진의 에어필터, 환경 산업 소각로의 필터 및 자동차/농기계의 엔진 필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 메쉬 망은 통상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에 의해서 직조되고 있는데 즉,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를 일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종래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10)는 크게 지지대(미도시)에 지지되어져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는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20)에 장착되어져 공급되는 와이어를 메쉬 망 형태로 직조하는 편직수단(30)과, 상기 편직수단(30)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판(20)은 원판 형태이며, 중앙에는 상기 편직수단(30)이 장착되는 장착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미도시 된 지지대에 의해서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편직수단(30)은 상기 고정판(20)에 장착되어져 공급되는 와이어를 메쉬 망 형태로 직조하여 배출하는 기기로써, 크게 고정판(20)의 장착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의 외주면에 수직 결합되는 복수의 편침(34)과, 와이어 공급수단(36) 및 상기 실린더(32)의 회전에 의해 외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편침(34)을 순차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38)을 포함하 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편직수단(30)의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회전되는 실린더(32)의 외주면에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편침(34)이 회전중 승하강수단(38)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여 와이어 공급수단(36)에서 공급되는 와이어를 잡아 당겨 내림으로써 편직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편직수단(30)은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당업계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데, 특히 양말 편직기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상세한 구성 설명 및 상세한 작동 관계는 생략토록 하겠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수단(40)은, 상기 편직수단(30)의 실린더(32)를 회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다양한 구조가 제안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토록 하겠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10)는 회동수단(40)이 편직수단(30)의 실린더(32)를 회동시킴에 의해 편침(34)이 상하 운동을 하여 와이어를 잡아 당겨 메쉬 망(M) 형태로 직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편직되는 와이어 메쉬 망(M)은 그 사용처에 따라 한 겹으로 형성되거나 여러 겹으로 형성되어야 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한 겹의 와이어 메쉬 망(M)은 쉽게 편직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편직기(10)를 이용하여 여러 겹으로 구성된 메쉬 망(M)을 편직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불편함이 존재하였는 데, 하기에서는 도2를 참조로 하여 이에 대해 설명토록 하겠다.
여기서, 도 2를 참조로 하면, 먼저 (A) 내지 (C)편직수단(30)의 실린더(32)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실린더(32)의 내경이 (A)보다 (B)가 크고, (B)보다 (C)가 크게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편직기(10)를 이용하여 여러 겹을 가지는 메쉬 망(M)을 편직하기 위해서는, 우선 (A) 편직기(10)를 통해 와이어 메쉬 망(M1)을 편직한 후 이를 (B) 편직기(10)로 이동시켜 실린더(32) 내부로 삽입시킨 후 (B) 편직기(10)를 작동시켜 먼저 편직된 메쉬 망(M1) 외주면에 다시 메쉬 망(M2)을 편직하게 된다. 그러면, 두 겹을 가지는 와이어 메쉬 망(M1,2)을 직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 겹의 와이어 메쉬 망을 편직하기 위해서는 두 겹으로 편직된 상기 와이어 메쉬 망(M1,2)을 (C) 편직기(10)의 실린더(32) 내부에 다시 삽입시킨 후 동일한 방법으로 편직하게 되면 세 겹의 와이어 메쉬 망(M1,2,3)으로 편직된 메쉬 망(M)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의 편직기(10)를 이용하여 여러 겹의 와이어 메쉬 망(M)을 편직하기 위해서는 여러 편직기(10)를 이용하여야 됨은 물론이고 계속 이동시켜야 되므로 이를 편직하기 위해서는 작업 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두 겹 이상 혹은 여러 겹을 가지는 와이어 메쉬 망을 쉽게 편직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크 게 향상되는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어어 메쉬 망을 일률적으로 편직하는 것은 물론이고 그 형상의 변화를 최소화 시키면서 배출할 수 있는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되는 하판과, 상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판과 하판의 일측에는 관통된 장착구가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하판의 장착구 상부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판; 상기 상판의 장착구 상부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판; 상기 하판의 장착구 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침과, 상기 제1회전판에 고정 설치되어져 상기 편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제1회전판에 고정 설치되어져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편직수단; 상기 상판의 장착구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편직수단의 실린더가 가지는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침과, 상기 제2회전판에 고정 설치되어져 상기 편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제2회전판에 고정 설치되어져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편직수단;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져 상기 지지체와 외주면에 편직되는 와이어 메쉬 망을 적당한 장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텐션수단;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져 제1,2회전판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동시킴과 더불 어 상기 텐션수단을 회동시키도록 구비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텐션수단은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롤러, 제2롤러, 제3롤러 및 제4롤러로 구성되되, 각 롤러는 와이어 메쉬 망의 형상을 유지한 채 당길 수 있도록 환홈이 형성되어지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회동수단에 연결되어져 강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편직수단에 의해서 편직되는 와이어 메쉬 망은 편직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체 공급롤러를 매개로 상부에서 공급되어져 실린더 내부를 관통하는 지지체 외주면에 편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100)는 크게 프레임(110), 제1회전판(120), 제2회전판(130), 제1편직수단(140), 제2편직수단(150), 지지체 공급롤러(160), 텐션수단(170) 및 회동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프레임(110)은 지지다리(112)에 의해 지지되는 하판(114)과, 상 판(116)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판(114)과 하판(116)의 일측에는 관통된 장착구(미부호)가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회전판(120)은 상기 하판(114)의 장착구 상부 외주면에 베어링(B)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판(120) 외주면에는 타이밍벨트(189)와 상호 치합되도록 기어부(G)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회전판(130)은 상기 상판(116)의 장착구 상부 외주면에 베어링(B)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회전판(120)과 동일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편직수단(140)은 상기 하판(114)의 장착구 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침(34)과, 상기 제1회전판(120)에 고정 설치되어져 상기 편침(34)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38)과, 상기 제1회전판(120)에 고정 설치되어져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수단(3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종래 기술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구성 설명 및 작동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는데 다만, 본 발명의 제1편직수단(140)은 실린더(32)가 고정 설치되며 이 실린더(32)를 중심으로 제1회전판(120)과 이에 고정 부착된 승하강수단(38) 및 와이어 공급수단(36)이 회동되면서 편직을 하게 되는 것이 고, 종래의 편직수단(30)은 실린더(32)가 고정된 승하강수단(38) 및 와이어 공급수단(36)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편직을 하게 되는 차이점이 있는 것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때, 상기 하판(114)의 장착구 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32)는 여러 방법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을 것이나 하판(114)의 장착구 하면에 부착되되 실린더(32)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체(190)를 매개로 하여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커버체(190)의 관통공과 실린더(32)의 내경은 동일 수직선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편직수단(150)은 상기 상판(116)의 장착구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편직수단(140)의 실린더(32)가 가지는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침(34)과, 상기 제2회전판(130)에 고정 설치되어져 상기 편침(34)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38)과, 상기 제2회전판(130)에 고정 설치되어져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수단(3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편직수단(140)과 동일 구성이고, 동일한 작동을 하는데, 다만 각각의 실린더(32)의 내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편직수단(140)(150)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하게 작동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 구성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고, 동시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체 공급롤러(16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판(116)상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어져 상기 제1,2편직수단(140)(150)의 실린더(32) 내부로 지지체(162)가 관통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162)와 이를 가이드하는 공급롤러(160)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상기 제1,2편직수단(140)(150)에 의해서 편직되는 와이어 메쉬 망(M)이 편직되는 그 형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힘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체(162)는 제1,2편직수단(140)(150)의 각 실린더(32) 내부를 관통하여 후술할 텐션수단(170)에 지지되며, 이 지지체(162) 외주면에 와이어 메쉬 망(M)이 편직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텐션수단(170)은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어져 상기 지지체(162)와 외주면에 편직되는 와이어 메쉬 망(M)을 적당한 장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 텐션수단(170)의 구성 및 작동은 하기에서 더욱 상술토록 하겠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수단(180)은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어져 제1,2회전판(120)(130)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텐션수단(170)을 회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모터(182)와, 상기 구동모터(182)와 연결된 다축 감속기(184)와, 상기 다축 감속기(184)와 연결되어져 프레임(110)의 상하 판(114)(116)을 수직 관통하는 회전축(186)과, 상기 하판(114) 상면에서 회전축(186)에 부착되어져 상기 제1회전판(120)과 타이밍벨트(189)로 연결되는 제1구동판(187)과, 상기 상판(116)의 상면에서 회전축(186)에 부착되어져 상기 제2회전판(130)과 타이밍벨트(189)로 연결되는 제2구동판(188) 및 상기 텐션수단(170)과 벨트로 연결되어져 구동력을 전달하는 풀리(1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회동수단(18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구동모터(182)가 회동을 시작하면 다축 감속기(184)에 의해서 감속회전 되는 회전축(186)과 풀리(185)가 각각 회동을 시작한다. 동시에 이 회전축(186)에 연결된 제1,2구동판(187)(188)이 회동을 하게 되며, 타이밍벨트(189)를 매개로 연결된 제1,2회전판(120)(130)을 회동시키게 된다. 아울러 다축 감속기(184)와 연결되어져 연장된 풀리(185)가 벨트를 매개로 연결된 텐션수단(170)을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텐션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텐션수단(170)은 양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판(172) 및 상기 지지판(172)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롤러(174a), 제2롤러(174b), 제3롤러(174c) 및 제4롤러(174d)로 구성되되, 각 롤러(174a)(174b)(174c)(174d)는 와이어 메쉬 망(M)이 삽착되는 환홈(176)이 형성되어지며, 제2롤러(174b)는 상기 회동수단(180)의 풀리(185)와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져 강제 회동되도록 풀리(178)가 구비되어 있다.
이제, 상기 텐션수단(170)을 좀 더 살펴보면, 상기 제1롤러(174a)를 중심으로 제2롤러(174b)는 좌측 하단부에 설치되며, 제3롤러(174c)는 제2롤러(174b)의 우측 하단부에 설치되고, 제4롤러(174d)는 다시 제3롤러(174c)의 좌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연장되는 와이어 메쉬 망(M)은 제1롤러(174a)의 좌측면과 제2롤러(174b)의 우측면, 제3롤러(174c)의 좌측면과 제4롤러(174d)의 우측면에 적당한 장력을 지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2롤러(174b)는 다축 감속기(184)와 벨트로 연결되므로 강제 회동에 의해서 와이어 메쉬 망(M)을 천천히 하부로 배출하게 된다.
물론, 배출되는 와이어 메쉬 망(M)은 상기 각 롤러(174a)(174b)(174c)(174d)에 형성된 환홈(176)에 삽착된 채 제2롤러(174b)의 구동에 의해 배출되므로 와이어 메쉬 망(M)은 그 형상을 최대한 유지한 채 적당한 장력에 의해 배출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기능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우선, 작업자가 프레임(110) 상부에 구비된 지지체(162)를 제1,2편직수단(140)(150)의 실린더(32)를 각각 관통시켜 텐션수단(170)의 각 롤러(174a)(174b)(174c)(174d)에 형성된 환홈(176)에 삽착하여 장력을 지니도록 구비한다.
그런 뒤, 구동모터(182)를 회동시켜 회동수단(180)의 회전축(186)과 텐션수 단(170)의 제2롤러(174b)를 각각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전축(186)에 부착된 제1,2구동판(187)(188)이 회동되면서 타이밍벨트(189)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제1,2회전판(120)(130)을 동시에 회동시켜 지지체(162) 외주면에 메쉬 망(M) 형태로 편직을 시작토록 한다.
즉, 회전되는 제1,2회전판(120)(130)에 고정 설치된 승하강수단(38)과 와이어 공급수단(36)이 실린더(32)를 중심축으로 회동되면서 편직 작동을 하는 것으로, 승하강수단(38)이 회동되면서 실린더(32)에 결합된 편침(34)을 순차적으로 승하강시키게 되고, 와이어 공급수단(36)으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를 이 편침(34)이 잡아당겨 내리면서 지지체(162) 외주면에 편직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편직 작동에서 편직되는 와이어 메쉬 망(M)의 일정한 장력에 의해 배출되어야 되므로 그러기 위해서, 작업자는 지지체(162) 외주면으로 최초 편직되는 와이어 메쉬 망(M)의 하부를 지지체(162)에 부착하여 텐션수단이 지지체를 당길 때 같이 당겨질 수 있도록 구현하거나 혹은 작업자가 그 하부를 천천히 당겨서 상기 텐션수단(170)에 장력을 지니도록 구비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하던 또 다른 방법으로 하던 큰 상관없으며, 최초 한번만 지지체(162)와 와이어 메쉬 망(M)을 텐션수단(170)에 같이 걸어주면 그 다음부터는 와이어 메쉬 망(M)은 상시 일정한 장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
결국, 상판(116)에 설치된 제2편직수단(150)을 통해 편직된 와이어 메쉬 망(M)은 내경이 큰 제1편직수단(140)의 실린더(32)를 관통하게 될 것이고, 이 관통 되는 와이어 메쉬 망(M)의 외주면에 제1편직수단(140)이 와이어 메쉬 망(M)을 다시 편직하므로써 두 겹을 가지는 와이어 메쉬 망(M)을 편직하게 되고, 텐션수단(170)에 의해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채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편직되어 배출되는 와이어 메쉬 망(M)은 텐션수단(170)의 장력에 의해서 일률적으로 편직되어져 배출될 것은 물론이고 지지체(162)의 지지력과 각 롤러(174a)(174b)(174c)(174d)가 가지는 환홈(176)에 의해서 그 형상을 최대한 유지한 채 배출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제1,2편직수단(140)(150)을 구비하여 와이어 메쉬 망(M)이 두 겹으로 편직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제3,4,5편직수단을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하여 와이어 메쉬 망(M)을 여러 겹으로도 편직할 수 있음은 너무나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100)에 의하면, 내경의 서로 다른 실린더(32)를 가지는 제1,2편직수단(140)(150)을 복층으로 구현하여 두 겹 이상 혹은 여러 겹을 가지는 와이어 메쉬 망(M)을 쉽게 편직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편직되어 배출되는 와이어 메쉬 망(M)은 복수의 롤러로 구성된 텐션수단(170)의 장력에 의해서 일률적으로 편직되어져 배출될 것은 물론이고 지지체(162)의 지지력과 각 롤러가 가지는 환홈(176)에 의해서 그 형상의 변화를 최소 화 시키면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에 의하면, 내경의 서로 다른 실린더를 가지는 제1,2편직수단을 복층 혹은 다층으로 구현하여 두 겹 이상 혹은 여러 겹을 가지는 와이어 메쉬 망을 쉽게 편직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편직되어 배출되는 와이어 메쉬 망은 텐션수단의 장력에 의해서 일률적으로 편직되어져 배출될 것은 물론이고 각 롤러가 가지는 환홈에 의해서 그 형상 의 변화를 최소화 시키면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에 있어서,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되는 하판과, 상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판과 하판의 일측에는 관통된 장착구가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하판의 장착구 상부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판;
    상기 상판의 장착구 상부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판;
    상기 하판의 장착구 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침과, 상기 제1회전판에 고정 설치되어져 상기 편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제1회전판에 고정 설치되어져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편직수단;
    상기 상판의 장착구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편직수단의 실린더가 가지는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침과, 상기 제2회전판에 고정 설치되어져 상기 편침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제2회전판에 고정 설치되어져 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편직수단;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져 상기 지지체와 외주면에 편직되는 와이어 메쉬 망을 적당한 장력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비되는 텐션수단;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져 제1,2회전판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동시킴과 더불어 상기 텐션수단을 회동시키도록 구비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수단은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롤러, 제2롤러, 제3롤러 및 제4롤러로 구성되되, 각 롤러는 와이어 메쉬 망의 형상을 유지한 채 당길 수 있도록 환홈이 형성되어지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회동수단에 연결되어져 강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편직수단에 의해서 편직되는 와이어 메쉬 망은 편직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체 공급롤러를 매개로 상부에서 공급되어져 실린더 내부를 관통하는 지지체 외주면에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KR1020070049180A 2007-05-21 2007-05-21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KR100808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180A KR100808103B1 (ko) 2007-05-21 2007-05-21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180A KR100808103B1 (ko) 2007-05-21 2007-05-21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103B1 true KR100808103B1 (ko) 2008-02-28

Family

ID=3938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180A KR100808103B1 (ko) 2007-05-21 2007-05-21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1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642B1 (ko) 2009-09-07 2011-12-13 윤태증 와이어 메시 편직기에 구비된 와이어 메시 인장장치
KR101280318B1 (ko) * 2013-01-29 2013-07-01 (주)진영코리아 자동차 이중 배기관용 와이어 메쉬 연결체의 제조장치
KR101328407B1 (ko) 2013-07-24 2013-11-13 (주)진영코리아 와이어 메쉬망 편직기 및 와이어 메쉬망 제조방법
KR101535828B1 (ko) * 2014-02-17 2015-07-10 김청환 와이어 메쉬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
KR101901640B1 (ko) 2017-10-26 2018-09-28 (주)대광레이스 수직형 원사빔 거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8655A (en) 1976-01-17 1977-07-25 Daito Seiki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coating core material
JPH05228931A (ja) * 1991-10-03 1993-09-07 Aerospat Soc Natl Ind 中空繊維補強部材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8232145A (ja) * 1995-02-10 1996-09-10 Goodyear Tire & Rubber Co:The 編み機、編み方法および編み糸補強ホース
JPH09132844A (ja) * 1995-10-31 1997-05-20 Arisawa Mfg Co Ltd 改良ブレーダー並びに筒状織物の製造方法並びに筒状織物並びに円柱状織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8655A (en) 1976-01-17 1977-07-25 Daito Seiki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coating core material
JPH05228931A (ja) * 1991-10-03 1993-09-07 Aerospat Soc Natl Ind 中空繊維補強部材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8232145A (ja) * 1995-02-10 1996-09-10 Goodyear Tire & Rubber Co:The 編み機、編み方法および編み糸補強ホース
JPH09132844A (ja) * 1995-10-31 1997-05-20 Arisawa Mfg Co Ltd 改良ブレーダー並びに筒状織物の製造方法並びに筒状織物並びに円柱状織物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642B1 (ko) 2009-09-07 2011-12-13 윤태증 와이어 메시 편직기에 구비된 와이어 메시 인장장치
KR101280318B1 (ko) * 2013-01-29 2013-07-01 (주)진영코리아 자동차 이중 배기관용 와이어 메쉬 연결체의 제조장치
KR101328407B1 (ko) 2013-07-24 2013-11-13 (주)진영코리아 와이어 메쉬망 편직기 및 와이어 메쉬망 제조방법
KR101535828B1 (ko) * 2014-02-17 2015-07-10 김청환 와이어 메쉬 편직기용 니들 실린더
KR101901640B1 (ko) 2017-10-26 2018-09-28 (주)대광레이스 수직형 원사빔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103B1 (ko) 와이어 메쉬 망 편직기
US7908889B2 (en) Forming a tubular knit fabric for a paint roller cover
TWI481755B (zh) 具有用於切割織物管的可旋轉刀片之圓編機
US8833108B2 (en) Double-cylinder circular machine, particularly for knitting hosiery items or the like, with simplified actuation mechanism
CN101845703B (zh) 针织机的针床
US5099661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0424235Y1 (ko) 직물용환편기
CN110258016B (zh) 一种纺织经编机用空心针床
CN207971353U (zh) 一种金属网自动编织机
KR101488077B1 (ko) 편직장치
KR101195427B1 (ko) 양말 편직기 실린더부의 양말 내림튜브 회전장치
CN109402866A (zh) 一种內编式绳带编织机用转盘结构
JP3412844B2 (ja) 中空繊維補強部材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207828502U (zh) 一种带有大鼎高度调节机构的圆形针织机
KR100527838B1 (ko) 환편기
CN218521403U (zh) 一种电脑横机中的压脚装置
CN214736509U (zh) 一种排气管外用保温套筒编织装置
CN205711243U (zh) 一种电脑提花机的防尘装置
EP0036195A2 (en) Sing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two needle beds for knitting plain and purl stitches
KR940008522Y1 (ko) 끈 제조용 니트지 편직장치
KR20130072515A (ko) 직물용환편기
KR200267067Y1 (ko) 직물의 양면에 루우프를 편직하는 편직기
CN211689485U (zh) 一种可自动控制的针织设备
CN208430318U (zh) 一种新型地毯加工用针绣机
KR100502434B1 (ko) 의류용 환편기의 루프 긴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