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077B1 - 편직장치 - Google Patents

편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077B1
KR101488077B1 KR20130023478A KR20130023478A KR101488077B1 KR 101488077 B1 KR101488077 B1 KR 101488077B1 KR 20130023478 A KR20130023478 A KR 20130023478A KR 20130023478 A KR20130023478 A KR 20130023478A KR 101488077 B1 KR101488077 B1 KR 10148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fting
needle
knitt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141A (ko
Inventor
모종연
Original Assignee
(주) 태영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영기계 filed Critical (주) 태영기계
Priority to KR2013002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07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8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04B15/22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4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적수단(30)의 니들(33)과 니들잭(31)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다수의 안내슬릿이 구비되고, 회전 구동이 가능한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 주변이 배치되고,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잭(31)을 들어올리기 위한 다수의 리프팅돌기가 인출입되는 리프팅수단(2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구비되어 상기 편직유닛(10)의 하부 배열되고, 상기 리프팅수단(20)의 리프팅돌기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33)이 하강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캠(310)을 구비한 가이드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중 편직물을 직조하기 위해 리프팅수단의 작동 여부에 따라 니들이 승강 또는 하강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수단이 유도함으로써 복수의 편직유닛에서 서로 다른 편직층을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직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편직장치{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이중 편직물을 직조하기 위해 리프팅수단의 작동 여부에 따라 니들이 승강 또는 하강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수단이 유도함으로써 복수의 편직유닛에서 서로 다른 편직층을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편직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1290호(2006.04.08.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양말 편직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와; 수직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실린더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방적수단과; 실린더와 결합되어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샤프트와; 방적수단의 하측끝단과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실린더가 회전하는 경우 실린더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방적수단을 상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양측단이 하향구배를 이루는 캠면이 상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캠을 교체하지 아니하고서도 샤프트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형상의 양말을 제조하고 입체 무늬를 양말에 편직할 수 있는 양말 편직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편직장치는 편직물을 직조하는데 있어 샤프트의 1회전에 의하여 하나의 편직층만이 직조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편직작업 시, 서로 다른 편직층이 연이어 직조될 수 있는 편직장치의 개발을 통하여 작업능률과 생산성을 높일 필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중 편직물을 직조하기 위해 리프팅수단의 작동 여부에 따라 니들이 승강 또는 하강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수단이 유도함으로써 복수의 편직유닛에서 서로 다른 편직층을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장치는 이중 편직물을 직조하기 위해 사도를 갖는 다수의 편직유닛(10)이 베이스플레이트(1)에 연속 배치되고, 니들잭(31)과 상기 니들잭(31) 상단에 연결되는 니들(33)로 구성되는 방적수단(30)이 회전구동과, 승하강 동작을 통하여 편직물을 직조하는 편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33)과 니들잭(31)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다수의 안내슬릿이 구비되고, 회전 구동이 가능한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 주변이 배치되고,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잭(31)을 들어올리기 위한 다수의 리프팅돌기가 인출입되는 리프팅수단(2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구비되어 상기 편직유닛(10)의 하부 배열되고, 상기 리프팅수단(20)의 리프팅돌기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33)이 하강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캠(310)을 구비한 가이드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수단의 가이드캠(310)은 상면부를 구성하는 제1 경사부(311)와, 하면부를 구성하는 제2 경사부(312)와, 상기 제1 경사부(311)에 구비되는 단턱부(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캠(310)은 상기 단턱부(313)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협폭(狹幅)부(314)와, 하부에 배치되는 광폭(廣幅)부(3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가이드캠(310)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수단(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동수단(3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 하부에 배열되는 장착블록(340)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31)과, 전단부에 상기 가이드캠(310)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홈(331)을 통하여 미끄럼이동 가능한 가이드바(332)와, 상기 가이드바(33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가이드캠(310)의 상부에 이격 배열되어 이동로를 형성하기 위한 보조가이드캠(3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장치는 이중 편직물을 직조하기 위해 리프팅수단의 작동 여부에 따라 니들이 승강 또는 하강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수단이 유도함으로써 복수의 편직유닛에서 서로 다른 편직층을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수단이 작동수단이 구비되어 가이드캠을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작업 형태에 따라 가이드수단에 의한 작업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작업 능률과, 새로운 작업 시, 장치를 새롭게 구성하지 않을 수 있어 작업효율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장치의 가이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장치의 캠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장치의 캠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베이스플레이트(1)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전단'이라 하고,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또는 후단'이라 특정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직장치는
상부에 배열되는 베이스플레이트(1)에 복수의 편직유닛이 원형 형태로 배치 구성되어 구동수단, 방적수단(30), 캠블록(100), 캠모듈(200) 및 제2 캠모듈에 의하여 편직물을 직조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 중심부에는 중공부(2)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2) 둘레에 8개의 편직유닛(10)이 배치되고,
이 경우 제1 편직유닛(10A)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제2 편직유닛(10B)과 편직물의 색도나, 모양, 특정 부분을 편직하기 위한 편직유닛들이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편직유닛에는 다수의 사도(11)가 구비되고, 상기 각 사도(11)에는 가이드홀에 형성되어 실이 관통되며, 편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특정 사도(11)가 하강하게 되면 방적수단(30)의 니들 훅(33a)에 실이 걸어 하강하면서 편직물을 직조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직장치의 구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은 원통형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안내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실린더를 회전시키기 위해 실린더에 연결되는 샤프트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실린더를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방적수단(30)은 상기 실린더의 각 안내슬롯에 안치되는 다수의 니들잭(31)과, 상기 각 안내슬롯에 안치되고, 상기 니들잭(31) 상단에 배치되는 다수의 니들(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니들잭(31)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리프팅 풋(31a)과, 상부에 배열되는 제2 다라이빙 풋(31b)이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각 니들(33)에는 상단에 실을 걸기 위한 니들 훅(33a)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드라이빙 풋(33b)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 하부에는 외측에 배치되는 회전캠(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주변에는 상기 니들잭(31)의 리프팅 풋(31a)들을 들어올리기 위해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리프팅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리프팅수단(20)은 다수의 리트팅돌기가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돌기는 전후방향으로 진출입하며, 상기 리프팅돌기가 인출된 경우 상기 니들잭(31)의 리프팅 풋(31a)이 상기 리프팅돌기를 타고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실린더가 회전 구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캠, 상기 리프팅수단(20)에 의하여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잭(31)이 승하강하면서 상기 니들(33) 역시 승하강 하여 편직물을 직조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캠블록(10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 하부에 장착되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수용공(110)이 형성되어 방적수단(30)이 수용공(1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110) 주변에는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벽면(120)이 구비되어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33)을 에워싸게 된다.
또한 상기 캠블록(100)의 가이드벽면(120) 하부에는 다수의 캠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니들잭(31)의 제2 다라이빙 풋(31b)이 캠면을 타고 이동하여 니들잭(31)의 승하강동작 시, 이를 안내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모듈(200)은
상기 캠블록(100)에 장착되고, 제1 안내캠(220)과 제2 안내캠(230)이 상하부에 배치되어 상호간 또는 주변에 구비된 다른 캠들에 의하여 이동로를 형성하여 니들(33)의 제1 드라이빙 풋(33b)이 이동로를 이동하면서 니들(33)의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우선 상기 캠모듈(200)을 캠블록(100)에 장착하기 위해 고정블록(21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록(210) 하면에는 진출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내캠(220)(230)은 상기 진출입홈을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블록(240) 전방에 상하로 이격되어 장착되고,
이 경우 상기 상기 각 안내캠 역시 전후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210)에는 구동블록(250)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블록(250)에는 구동바(251)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블록(210) 전면에는 상부에 스톱돌기(253)가 형성된 안내판(252)이 장착되며, 상기 구동블록(250)에는 구동수단(260)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바(251)는 안내판(252)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판(252) 상면에 접하여 상기 제1 안내캠(220)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블록(250)이 상기 구동수단(260)에 의하여 좌우측방향으로 작동되는 경우 상기 구동바(251) 상기 안내판(252)의 상면을 타고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구동바(251)가 상기 제1 안내캠(220)의 상면을 타고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1 안내캠(220)은 상하방향으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안내캠(220)은 상기 이동블록(240)에 힌지 결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캠블록(100)에 장착되어 상기 리프팅수단(20)이 정지된 상태, 즉 상기 리프팅돌기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33)이 하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캠(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캠블록(100) 상면에 장착블록(34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캠(310)은 상기 장착블록(340)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블록(340) 전방에는 수용부(341)가 구비되어 작동수단(330)에 의하여 가이드캠(310)이 후진하는 경우 가이드캠(310)이 수용부(341)에 수납된다.
아울러 상기 장착블록(340)에는 상기 가이드캠(310)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캠(310)을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작동수단(330)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수단(330)은 장착블록(340)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31)과, 전단부에 상기 가이드캠(310)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홈(331)을 통하여 미끄럼이동 가능한 가이드바(332)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33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바(332)가 상기 가이드홈(331)에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가이드바(332)가 가이드홈(331)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블록(340) 측면에는 고정판(350)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332)가 가이드홈(33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작동수단(330)은 상기 구동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바(332)가 상기 가이드홈(331)을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고, 이때 상기 가이드캠(310) 역시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수단(300)의 가이드캠(310)은 상면부를 구성하는 제1 경사부(311)와, 하면부를 구성하는 제2 경사부(312)와, 상기 제1 경사부(311)에 구비되는 단턱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캠(310)은 상기 단턱부(313)를 기준으로 상부의 형성 폭이 하부의 형성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턱부(313) 상부에는 협폭(狹幅)부(314)가 구비되고, 단턱부(313) 하부에는 광폭(廣幅)부(315)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수단(300)에는 상기 장착블록(340)에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캠(310) 상부에 이격 배열되는 보조가이드캠(320)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캠(310)의 협폭부(314) 상면과 상기 보조가이드캠(320)의 하면에는 사이에는 이동로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보조가이드캠(320)의 중심부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양측은 상기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좌측면부(321)와 우측면부(322)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로는 상기 가이드캠(310)의 제1 경사부(311), 보다 엄밀하게는 협폭부(314) 상면과 상기 보조가이드캠(320)의 우측면부(322) 하면 사이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경사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적수단(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기 리프팅수단(20)의 리프팅돌기가 인출된 경우 상기 니들잭(31)이 상기 리프팅돌기를 타고 승강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니들(33)의 제1 드라이빙 풋(33b)이 이 이동로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리프팅수단(20)의 리트팅돌기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니들잭(31)은 하강된 상태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니들(33)의 제1 드라이빙 풋(33b)은 상기 가이드캠(310)의 하면, 즉 제2 경사부(312)를 타고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2 경사부(312)는 니들(33)의 하강 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이중 편직물을 직조하기 위해 제1 편직유닛(10A)에서 속실과 겉실이 공급되어 이중 편직물을 직조하게 되는데,
이때 보다 신속한 작업을 위하여 제2 편직유닛(10B)에서도 속실과 겉실을 공급하여 제1 편직유닛(10A)에 의하여 직조되는 편직층 다음에 연속적으로 또 다른 편직층이 직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리프팅수단(20)에 의하여 리프팅돌기가 인출되는 경우 방적수단(30)의 니들잭(31)이 리트팅되어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니들(33) 역시 승강된 상태로 이동하여 하강하면서 니들 훅(33a)에 실이 걸어 편직물을 직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편직유닛(10A)에서 공급되는 속실과 겉실이 직조되는데,
이때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하여 니들잭(31)이 승강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모든 니들 훅(33a)에 제1 편직유닛(10A)에서 공급되는 속실과 겉실이 걸리게 되므로, 일부 니들잭(31)을 하강시켜 상기 제1 편직유닛(10A)에서 공급되는 속실과 겉실이 니들 훅(33a)에 걸리지 않고 통과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니들(33) 중 일부가 제1 편직유닛(10A)를 지나는 동안 하강하여 실을 걸지 않고 지나 상기 제2 편직유닛(10B)에서 공급되는 속실과 겉실이 니들 훅(33a)에 걸리도록 하기 위해 상기 리프팅수단(20)의 리프팅돌기가 인입되면 상기 니들잭(31)은 들어 올려지지 않은 상태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니들(33)의 제1 드라이빙 풋(33b)은 상기 가이드수단(300)의 가이드캠(310) 하면, 즉 상기 제2 경사부(312)를 타고 아랫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니들 훅(33a)에는 실이 걸리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강된 니들(33)은 제2 편직유닛(10B)에서 공급되는 속실과 겉실이 니들 훅(33a)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1 편직유닛(10A)의 편직층 상부에 또 다른 편직층을 직조하게 되므로 편직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캠모듈(200)과 가이드수단(300)과의 관계에서 상기 캠모듈(100)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수단(300)은 작동수단(330)에 의하여 후진하여 해당 작업에 관여하지 않게 되고,
반대로 상기 가이드수단(300)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캠모듈(200)은 이동블록(240)이 후진하게 되고, 이때 각 안내캠도 후진하여 해당 작업에 관여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편직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베이스플레이트 2 : 중공부
10 : 편직유닛
10A : 제1 편직유닛 10B : 제2 편직유닛
11 : 사도
20 : 리프팅수단
30 : 방적수단
31 : 니들잭 31a : 리프팅 풋
33 : 니들 33a : 니들 훅
33b : 드라이빙 풋
100 : 캠블록
110 : 수용공 120 : 가이드벽면
200 : 캠모듈
210 : 고정블록 220 : 제1 안내캠
230 : 제2 안내캠 240 : 이동블록
250 : 구동블록 251 : 구동바
252 : 안내판 253 : 안내홈
260 : 구동수단
300 : 가이드수단
310 : 가이드캠 311 : 제1 경사부
312 : 제2 경사부 313 : 단턱부
314 : 협폭부 315 : 광폭부
320 : 보조가이드캠 321 : 좌측면부
322 : 우측면부 330 : 작동수단
331 : 가이드홈 332 : 가이드바
340 : 장착블록 341 : 수용부
350 : 고정판

Claims (6)

  1. 이중 편직물을 직조하기 위해 사도를 갖는 다수의 편직유닛(10)이 베이스플레이트(1)에 연속 배치되고, 니들잭(31)과 상기 니들잭(31) 상단에 연결되는 니들(33)로 구성되는 방적수단(30)이 회전구동과, 승하강 동작을 통하여 편직물을 직조하는 편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33)과 니들잭(31)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다수의 안내슬릿이 구비되고, 회전 구동이 가능한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 주변이 배치되고,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잭(31)을 들어올리기 위한 다수의 리프팅돌기가 인출입되는 리프팅수단(20);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구비되어 상기 편직유닛(10)의 하부 배열되고, 상기 리프팅수단(20)의 리프팅돌기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방적수단(30)의 니들(33)이 하강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캠(310)을 구비한 가이드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수단의 가이드캠(310)은
    상면부를 구성하는 제1 경사부(311)와,
    하면부를 구성하는 제2 경사부(312)와,
    상기 제1 경사부(311)에 구비되는 단턱부(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캠(310)은 상기 단턱부(313)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협폭(狹幅)부(314)와, 하부에 배치되는 광폭(廣幅)부(3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가이드캠(3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수단(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3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 하부에 배열되는 장착블록(340)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31)과,
    전단부에 상기 가이드캠(310)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홈(331)을 통하여 미끄럼이동 가능한 가이드바(332)와,
    상기 가이드바(332)에 연결되어 가이드바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가이드캠(310)의 상부에 이격 배열되어 이동로를 형성하기 위한 보조가이드캠(3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장치.
KR20130023478A 2013-03-05 2013-03-05 편직장치 KR10148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3478A KR101488077B1 (ko) 2013-03-05 2013-03-05 편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3478A KR101488077B1 (ko) 2013-03-05 2013-03-05 편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141A KR20140109141A (ko) 2014-09-15
KR101488077B1 true KR101488077B1 (ko) 2015-01-29

Family

ID=5175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3478A KR101488077B1 (ko) 2013-03-05 2013-03-05 편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86B1 (ko) * 2018-01-24 2018-06-29 복종원 양말 편직장치
KR101930295B1 (ko) 2018-06-22 2018-12-18 복종원 니들잭 상승패널을 구비한 양말 편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7995B (zh) * 2017-04-11 2022-12-30 杨志林 一种织袜缝头一体机用针筒保护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290B1 (ko) 2004-08-24 2006-04-18 (주) 태영기계 양말 편직기
JP2009531558A (ja) 2006-03-31 2009-09-03 ロナティ エッセ.ピ.ア.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
KR100921156B1 (ko) 2008-12-16 2009-10-12 주식회사 동성정밀 발가락양말 편성용 환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290B1 (ko) 2004-08-24 2006-04-18 (주) 태영기계 양말 편직기
JP2009531558A (ja) 2006-03-31 2009-09-03 ロナティ エッセ.ピ.ア.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
KR100921156B1 (ko) 2008-12-16 2009-10-12 주식회사 동성정밀 발가락양말 편성용 환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86B1 (ko) * 2018-01-24 2018-06-29 복종원 양말 편직장치
KR101930295B1 (ko) 2018-06-22 2018-12-18 복종원 니들잭 상승패널을 구비한 양말 편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141A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25437A (ja) 立体形状の衣料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丸編機
KR101488077B1 (ko) 편직장치
EP2452005B1 (en) Single 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aking socks
KR102477441B1 (ko) 싱커 구동 장치를 구비한 편물, 양말류 등을 위한 원형 기계
KR950001716B1 (ko) 스타킹용 다중 급사 원편기
CN107488934B (zh) 织袜机
KR100571290B1 (ko) 양말 편직기
EP1620591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particularly of the medium-diameter type, with improved needle actuation
KR100602060B1 (ko) 직물용환편기
IT9019969A1 (it) Macchina circolare da maglieria e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calzetteria sportiva a disegno flottato
KR101186789B1 (ko) 발가락양말 편성용 환편기
EP3240921B1 (en) System for selecting the stitch forming organs for textile machines
KR101155205B1 (ko) 색상 무늬 메쉬를 형성하는 직물 편직기
US1791976A (en) Device for selecting the needles of circular-knitting machines
KR200469730Y1 (ko) 환편기 엑츄에이터
KR200367211Y1 (ko) 양말 편직기
KR101601435B1 (ko) 경편기
KR20170097522A (ko) 환편기의 편침실린더 구조
KR100234214B1 (ko) 원형 편물기계의 바늘과 연결되는 부바늘을 가지는탄성선별기
EP0962569A2 (en) Highly versatile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and the like with multiple drops or feeds
KR200348623Y1 (ko) 양말편직기
IT201900007464A1 (it) Macchina da maglieria e metodo di tessitura a maglia
KR20100099682A (ko) 언더니들 선택장치
KR100530776B1 (ko) 스탠다드-테리니트 및 샌드위치-테리니트를 형성하는 원형편물기계용 하강 싱커 구동 캠세트
KR100502434B1 (ko) 의류용 환편기의 루프 긴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