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211Y1 - 양말 편직기 - Google Patents

양말 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211Y1
KR200367211Y1 KR20-2004-0024186U KR20040024186U KR200367211Y1 KR 200367211 Y1 KR200367211 Y1 KR 200367211Y1 KR 20040024186 U KR20040024186 U KR 20040024186U KR 200367211 Y1 KR200367211 Y1 KR 200367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upled
knitting machine
ca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종연
Original Assignee
(주) 태영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영기계 filed Critical (주) 태영기계
Priority to KR20-2004-0024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2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8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4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3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와; 수직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실린더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방적수단과; 실린더와 결합되어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샤프트와; 방적수단의 하측끝단과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실린더가 회전하는 경우 실린더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방적수단을 상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양측단이 하향구배를 이루는 캠면이 상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캠을 교체하지 아니하고서도 샤프트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형상의 양말을 제조하고 입체 무늬를 양말에 편직할 수 있는 양말 편직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말 편직기 { Fully Electronic Drumless Socks Knitting Machine }
본 고안은 실린더를 회전시켜 양말을 편직하는 양말 편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회전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캠의 교체작업 없이도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형상의 양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입체 무늬를 양말에 편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양말 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양말 편직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양말 편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양말 편직기는,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수십 여 개의 삽입슬릿(12)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실린더(10)와, 실린더(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외부 싱커링(20) 및 내부 싱커링(30)과, 실린더(10)의 삽입슬릿(12)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바늘(40) 및 니들잭(42)과, 실린더(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실린더(10)를 회전시키는 샤프트(50)와, 샤프트(5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0)와, 니들잭(42)의 하측 끝단과 접촉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60)에 결합되는 제 1 정회전용 캠(72)과 제 2 정회전용 캠(74)과 제 3 정회전용 캠(76)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때, 실린더(10)의 외측면에는, 바늘(40) 및 니들잭(42)이 실린더(10)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며 삽입슬릿(12)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바늘(40) 및 니들잭(42)을 실린더(10)에 밀착시키는 스프링(14)이 추가로 결합된다.
도 2는 종래 양말 편직기의 동작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 편직기의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 실린더(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린더(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니들잭(42)은 정회전용 캠(72~76)의 상면과 접촉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니들잭(42)의 상측 끝단과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바늘(40) 역시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바늘(40)의 수직 왕복운동에 의하여 양말이 편직된다.
도 3은 실린더의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캠이 교체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양말을 편직한 후 다양한 형상의 입체 무늬를 양말에 편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린더(10)를 역회전시켜야 되는데, 종래의 양말 편직기에 적용되는 정회전용 캠(72~76)은 니들잭(42)이 한쪽 방향으로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캠면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있으므로 실린더(10)의 역회전이 불가하였다.
따라서, 실린더(10)를 역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캠(72~76)을 제거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용 캠(82~86)을 장착시켜야 하였다.
이때, 역회전용 캠(82~86)의 캠면은, 정회전용 캠(72~76)과 캠면과 반대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린더(10)의 역회전이 가능해지며, 실린더(10)가 정회전을 할 때와 마찬가지로 바늘(40)이 수직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양말 편직기는, 다양한 형상의 양말을 제조하거나 기타 여라 가지 패턴의 무늬를 양말에 편직하기 위하여 실린더(10)를 역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실린더(10)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 정회전 캠(72~76)을 역회전 캠(82~86)으로 교체시켜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번거로워질 뿐만 아니라 제품생산 효율이 현저히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캠의 교체 작업시 캠의 결합 위치가 미세하게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이 종종 발생되며, 니들잭(42)이 캠을 타고 올라갔다가 내려올 때에 충격력에 의하여 변형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충격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캠을 교체하지 아니하더라도 실린더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양말 편직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말 편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양말 편직기의 동작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린더의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캠이 교체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1 캠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2 캠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3 캠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리프팅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린더 110 : 삽입슬릿
120 : 스프링 체결홈 140 : 스프링
200 : 외부 싱커링 300 : 내부 싱커링
400 : 방적수단 410 : 바늘
420 : 니들잭 422 : 리프팅 돌기
500 : 샤프트 600 : 베이스 플레이트
610 : 단턱 700 : 리프팅 수단
710 : 제 1 캠 712 : 제 1 고정블록
714 : 제 1 캠판 715 : 제 1 캠면
716 : 제 1 결합판 720 : 제 2 캠
722 : 제 2 고정블록 724 : 제 2 캠판
725 : 제 2 캠면 726 : 제 2 결합판
730 : 제 3 캠 732 : 제 3 고정블록
734 : 제 3 캠판 735 : 제 3 캠면
736 : 제 3 결합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는,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와; 수직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실린더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방적수단과; 실린더와 결합되어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샤프트와; 방적수단의 하측끝단과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실린더가 회전하는 경우 실린더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방적수단을 상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양측단이 하향구배를 이루는 캠면이 상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는, 샤프트가 관통됨과 동시에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고정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리프팅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샤프트가 관통되는 부위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리프팅 수단은 캠면의 양측 끝단이 단턱의 상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실린더는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삽입슬릿이 형성되고, 방적수단은 삽입슬릿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는, 삽입슬릿에 방적수단이 삽입된 실린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상의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방적수단은, 직물을 짜기 위한 바늘과, 리프팅수단의 캠면을 타고 수직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바늘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리프팅수단 및 바늘과 각각 접촉되며 결합되는 니들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니들잭은 실린더에 결합되었을 때 실린더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프팅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리프팅수단은 캠면이 리프팅돌기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리프팅돌기가 리프팅수단의 캠면을 타고 넘어가는 동안 니들잭 및 바늘은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의 분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는,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삽입슬릿(110)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스프링 체결홈(120)이 형성되며,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100)와; 실린더(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외부 싱커링(200) 및 내부 싱커링(300)과; 삽입슬릿(110)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실린더(1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방적수단(400)과; 실린더(100)의 중심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실린더(100)를 회전시키는 샤프트(500)와; 샤프트(500)가 관통됨과 동시에 샤프트(50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고정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베이스 플레이트(600)와; 방적수단(400)의 하측끝단과 접촉됨과 동시에, 샤프트(500)의 회전에 의하여 실린더(100)가 회전하는 경우 실린더(100)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방적수단(400)을 상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600)에 고정 결합되는 리프팅 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리프팅 수단(700)은 제 1 캠(710)과 제 2 캠(720)과 제 3 캠(730)으로 구성되고 있는데, 리프팅 수단(700)을 구성하는 캠의 수는 방적수단(400)의 왕복주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내부 싱커링(300) 및 외부 싱커링(200)은 실린더(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방적수단(400)은 내부 싱커링(300) 및 외부 싱커링(200)을 관통하여 상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방적수단(400)은 내부 싱커링(300) 및 외부 싱커링(200)에 간섭되지 아니하며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적수단(400)은, 직물을 짜기 위한 바늘(410)과, 리프팅 수단(700)의 캠면을 타고 수직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바늘(410)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리프팅 수단(700) 및 바늘(410)과 각각 접촉되며 결합되는 니들잭(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니들잭(420)은 실린더(100)에 결합되었을 때 실린더(100)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프팅 돌기(422)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리프팅 수단(700)은 캠면이 리프팅 돌기(422)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리프팅 돌기(422)가 리프팅 수단(700)의 캠면을 타고 넘어가는 동안 니들잭(420) 및 바늘(410)은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바늘(410)과 니들잭(420)의 형상 및 결합구조는 종래의양말 편직기에 적용되는 바늘(410) 및 니들잭(420)과 동일하고, 바늘(410)이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양말을 짜도록 구성되는 양말 편직기의 동작은 종래의 양말 편직기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삽입슬릿(110)에 바늘(410)과 니들잭(420)이 삽입된 이후에, 바늘(410) 및 니들잭(420)이 실린더(100) 외부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실린더(100)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스프링(140)을 추가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140)은 링 형상을 이루는 코일형 스프링(140)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스프링(1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바늘(410)과 니들잭(420)이 삽입슬릿(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1 캠(710)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2 캠(720)의 분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3 캠(730)의 분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710)은,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제 1 고정블록(712)과, 니들잭(420)의 하측 끝단과 대응되는 부위에 양측으로 하향 구배를 갖는 제 1 캠면(715)이 형성되어 제 1 고정블록(712)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 1 캠판(714)과, 제 1 캠판(714)이 제 1 고정블록(71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1 캠판(714)의 상면을 덮으며 제 1 고정블록(712)에 결합되는 제 1 결합판(7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양말 편직기에 적용되는 캠은 캠면이 일측으로만 구배를 가지도록 구성되므로 캠판이 비스듬히 기울어져 결합되지만,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1 캠(710)은 제 1 캠면(715)의 좌우 양측이 모두 하향구배를 이루어야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판(714)은 수펑으로 제 1 고정블록(712)에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캠(720) 역시 제 1 캠(710)과 마찬가지로 제 2 고정블록(722)과 제 2 캠판(724)과 제 2 결합판(7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3 캠(7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고정블록(732)과, 제 3 고정블록(732)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3 캠판(734)과, 제 3 고정블록(732)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3 결합판(7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3 고정블록(732)과 제 3 캠판(734)은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되며, 제 3 고정블록(732)과 제 3 결합판(736)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제 3 고정블록(732)에 하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캠스프링(733)이 추가로 결합된다.
이때, 제 2 캠판(724)에 형성되는 제 2 캠면(725)과, 제 3 캠판(734)에 형성되는 제 3 캠면(735)은 양말 편직을 위해 요구되는 바늘(410)의 수직 상승 높이 및 왕복 주기에 따라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710, 720, 730)은, 양말 편직을 위해 바늘(410)을 수직방향으로 왕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상기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리프팅 수단(700)이 베이스 플레이트(600)에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수단(700)을 구성하는 각 캠(710, 720, 730)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6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600)는 샤프트(500)가 회전을 하더라도 샤프트(500)를 따라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리프팅 수단(700)을 구성하는 각 캠(710, 720, 730) 역시 결합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각 캠판(714, 724, 734)은, 각 캠면(715, 725, 735)이 실린더(100)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는 각 니들잭(420)의 하측 끝단과 접촉되도록, 실린더(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샤프트(500)가 관통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00)의 중심부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단턱(610)이 형성되고, 각 캠면(715, 725, 735)은 양측 끝단이 단턱(610)의 상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수단(700)이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600)가 샤프트(500)에 결합된 후, 방적수단(400)이 결합된 실린더(100)가 샤프트(500)에 장착되면, 니들잭(420)의 리프트돌기는 베이스 플레이트(600)의 단턱(610)과 각 캠면(715, 725, 735)에 안착된다. 리프트돌기가 각 캠면(715, 725, 735)에 안착되는 니들잭(420)은 리프트돌기가 단턱(610)에 안착되는 니들잭(420)에 비하여 상향으로 올라가게 되고, 이에 따라 니들잭(420)과 접촉되는 각 바늘(410) 역시 서로 다른 수직 높이를 갖도록 위치된다.
이때, 각 캠면(715, 725, 735)은 양측 끝단이 모두 단턱(610)과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므로, 리프트돌기는 샤프트(500)가 정회전을 하거나 역회전을 하는 경우 모두 부드럽게 각 캠(710, 720, 730)을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캠을 교체하지 아니하고서도 샤프트(500)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형상의 양말을 제조하거나 입체 무늬를 양말에 편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를 사용하면, 캠을 교체하지 아니하고서도 샤프트(500)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형상의 양말을 제조하거나 입체 무늬를 양말에 편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양말 편직기를 사용하면, 니들잭이 캠면을 타고 올라갔다가 내려오므로, 종래의 양말 편직기와 같이 니들잭의 자유낙하로 인한 충격력 및 충격음이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7)

  1.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100)와;
    수직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1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방적수단(400)과;
    상기 실린더(100)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00)를 회전시키는 샤프트(500)와;
    상기 방적수단(400)의 일부와 접촉됨과 동시에 샤프트(500)가 회전하더라도 위치가 변하지 아니하도록 고정 결합되며, 양측단이 하향구배를 이루도록 캠면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캠을 구비하는 리프팅 수단(7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편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00)가 관통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50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고정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600)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리프팅 수단(7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편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0)는,
    상기 샤프트(500)가 관통되는 부위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단턱(610)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 수단(700)은,
    상기 캠면(715, 725, 735)의 양측 끝단이 단턱(610)의 상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편직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00)는,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삽입슬릿(110)이 형성되고;
    상기 방적수단(400)은,
    상기 삽입슬릿(110)에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편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적수단(400)은,
    직물을 짜기 위한 바늘(410)과, 상기 리프팅 수단(700)의 캠면을 타고 수직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바늘(410)을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프팅 수단(700) 및 상기 바늘(410)과 각각 접촉되며 결합되는 니들잭(420)을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편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잭(420)은,
    상기 실린더(1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실린더(100)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프팅 돌기(422)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 수단(700)은,
    캠면이 상기 리프팅 돌기(422)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편직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슬릿(110)에 방적수단(400)이 삽입된 실린더(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상의 스프링(14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편직기.
KR20-2004-0024186U 2004-08-24 2004-08-24 양말 편직기 KR200367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186U KR200367211Y1 (ko) 2004-08-24 2004-08-24 양말 편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186U KR200367211Y1 (ko) 2004-08-24 2004-08-24 양말 편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598A Division KR100571290B1 (ko) 2004-08-24 2004-08-24 양말 편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211Y1 true KR200367211Y1 (ko) 2004-11-11

Family

ID=4944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186U KR200367211Y1 (ko) 2004-08-24 2004-08-24 양말 편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2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096B1 (ko) * 2010-02-18 2010-09-08 주식회사유담 양말 편직기용 실린더
KR101872686B1 (ko) 2018-01-24 2018-06-29 복종원 양말 편직장치
KR102638054B1 (ko) 2023-07-26 2024-02-19 주식회사 한국벨우드 양말 편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096B1 (ko) * 2010-02-18 2010-09-08 주식회사유담 양말 편직기용 실린더
KR101872686B1 (ko) 2018-01-24 2018-06-29 복종원 양말 편직장치
KR102638054B1 (ko) 2023-07-26 2024-02-19 주식회사 한국벨우드 양말 편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7196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particularly for producing items of clothing with three-dimensional shapes
US3971233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pattern producing devices
KR100571290B1 (ko) 양말 편직기
KR20120041178A (ko) 양말 제조용 단일 원통 원형 편직 기계
KR200367211Y1 (ko) 양말 편직기
KR20170125969A (ko) 니들 실린더 및 환편기
KR101488077B1 (ko) 편직장치
KR100929819B1 (ko) 환편기 및 이를 이용하는 편직 방법
KR101115031B1 (ko) 환편기
US7392669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particularly of the medium-diameter type, with improved needle actuation
US2030815A (en) Knitting machine
US6286342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producing tubular items closed at an axial end, and method for producing tubular items
KR200383141Y1 (ko) 양말 편직기
KR20150118790A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캠조립체를 구비하는 양말편직기
KR100234214B1 (ko) 원형 편물기계의 바늘과 연결되는 부바늘을 가지는탄성선별기
KR200405496Y1 (ko) 양말편직기 및 환편기
KR101363551B1 (ko) 편직 장치
KR101222016B1 (ko) 포켓을 갖는 원형 편직물의 직조방법
RU2489538C2 (ru) Петельный прижимной механизм и платина плосковязальных машин
KR100985116B1 (ko) 고밀도 환편직물의 제조 방법
KR102568326B1 (ko) 양말 편직장치
KR100593697B1 (ko) 자동 양말편기
KR20030000258A (ko) 환편기의 니들 및 니들 실린더
EP0962569A2 (en) Highly versatile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and the like with multiple drops or feeds
EP0036194A3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of the type having two needle beds for knitting rib patterned tubular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