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054B1 - 양말 편직장치 - Google Patents

양말 편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054B1
KR102638054B1 KR1020230097334A KR20230097334A KR102638054B1 KR 102638054 B1 KR102638054 B1 KR 102638054B1 KR 1020230097334 A KR1020230097334 A KR 1020230097334A KR 20230097334 A KR20230097334 A KR 20230097334A KR 102638054 B1 KR102638054 B1 KR 10263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magnetic material
electromagnet
cylinder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문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벨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벨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벨우드
Priority to KR102023009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슬릿(1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실린더(10); 상기 실린더(10)의 삽입슬릿(11)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니들(40); 상기 실린더(10)의 삽입슬릿(11)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니들(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40)을 지지하고, 상기 니들(4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잭(30);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10)와 조립되어 상기 실린더(1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샤프트(50); 상기 샤프트(5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50)의 회전 시 정지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50)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6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에 결합되고, 상기 잭(30)과 접촉되며, 회전 시 상기 잭(30)을 지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승강캠(70); 상기 실린더(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잭(30)의 상측을 상기 실린더(1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 상기 잭(30)의 하측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을 상기 승강캠(70)에 탑승시키는 푸시캠(20); 상기 실린더(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잭(30)의 하측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 상기 잭(30)의 상측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을 상기 승강캠(70)에서 하차시키는 액추에이터(80);를 포함하는 양말편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삽입슬릿에 배치된 잭 및 니들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싱커에 배치된 실을 걸수 있고, 회전을 통해 니들에 걸린 실을 편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말 편직장치{Sock kn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양말 편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은 방한을 위하여 또는 예의로 발에 신는 서양식 버선으로서, 양말의 종류에는 무릎까지 오는짧은 양말(socks/sox), 넓적다리까지 오는 스타킹(stocking)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양말은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와 같은 편직기에 의해 편직된다.
상기 양말편직장치는 바늘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회전하며 편직하는 기계로서, 니들(knitting needle)에 의해 뜨개질 루프(loop)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통 모양의 편직물을 만들 수 있다.
통상 모터에 의해 회전 작동을 하는 실린더 샤프트 외측에 원통형 니들 실린더가 설치되고 니들 실린더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다수의 슬롯이 배열 형성되며 슬롯마다 니들이 상, 하로 승강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각 니들과 니들 사이에 위치하여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을 하강시키는 싱커(sinker)가 니들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린더 샤프트에 의해 니들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각 니들이 상, 하 운동을 함과 동시에 싱커가 원사를 잡아주면서 편직이 이루어진다. 다수의 니들에 원사가 끼워진 채 순차적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갔다 다시 위로 올라옴과 동시에 각 싱커가 전, 후진함에 따라 루프를 연속으로 만들어 가면서 양말, 머플러, 덧버선, 토시 등과 같은 원통형 편직물을 편직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448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67211호
본 발명은 잭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말편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슬릿(1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실린더(10); 상기 실린더(10)의 삽입슬릿(11)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니들(40); 상기 실린더(10)의 삽입슬릿(11)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니들(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40)을 지지하고, 상기 니들(4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잭(30);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10)와 조립되어 상기 실린더(1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샤프트(50); 상기 샤프트(5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50)의 회전 시 정지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50)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6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에 결합되고, 상기 잭(30)과 접촉되며, 회전 시 상기 잭(30)을 지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승강캠(70); 상기 실린더(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잭(30)의 상측을 상기 실린더(1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 상기 잭(30)의 하측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을 상기 승강캠(70)에 탑승시키는 푸시캠(20); 상기 실린더(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잭(30)의 하측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 상기 잭(30)의 상측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을 상기 승강캠(70)에서 하차시키는 액추에이터(80);를 포함하는 양말편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니들(40)은, 니들바디(42)와, 상기 니들바디(42)의 상단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고리를 형성하는 니들후크(41)와, 니들바디(42)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잭(30)의 상단에 지지되는 니들지지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잭(30)은, 상기 삽입슬릿(11)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로어잭바디(31)와, 상기 삽입슬릿(11)에 삽입되고, 상기 로어잭바디(3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니들지지부(43)와 접촉되어 상기 니들(40)을 지지하는 어퍼잭바디(32)와, 상기 로어잭바디(3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11) 밖으로 돌출될 경우, 상기 승강캠(70)에 거치되어 탑승되는 승강버트(33)와, 상기 로어잭바디(3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승강버트(33)의 상측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80)로 부터 조작력을 전달받는 복수개의 선침버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0)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잭(30)의 반경방향 이동을 어시스트 하는 어시스트어셈블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시스트어셈블리(100)는, 상기 로어잭바디(31)의 내측면(36)에 배치된 로어자성체(110); 상기 어퍼잭바디(32)의 잭경사면(35)에 배치된 어퍼자성체(120); 상기 실린더(1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자성체(110)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형성시키는 로어전자석(130); 상기 실린더(10)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자성체(120)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형성시키는 어퍼전자석(140);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삽입슬릿에 배치된 잭 및 니들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싱커에 배치된 실을 걸수 있고, 회전을 통해 니들에 걸린 실을 편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잭이 실린더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때, 어시스트어셈블리가 전자기력을 통해 잭의 이동을 돕기 때문에, 잭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잭이 가이드바에 걸린 상태로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잭이 삽입슬릿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바가 잭의 회전중심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흡입슬릿을 통해 삽입슬릿의 이물질을 간헐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잭의 이동시 발생되는 작동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말편직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니들 및 잭의 이동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니들 및 잭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시스트어셈블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잭 및 삽입슬릿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니들 및 잭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 제 2 ,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양말편직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니들 및 잭의 이동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니들 및 잭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시스트어셈블리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잭 및 삽입슬릿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말편직장치는,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슬릿(1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의 삽입슬릿(11)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니들(40)과, 상기 실린더(10)의 삽입슬릿(11)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니들(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40)을 지지하고, 상기 니들(4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잭(30)과,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10)와 조립되어 상기 실린더(1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샤프트(50)와, 상기 샤프트(5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50)의 회전 시 정지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50)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6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에 결합되고, 상기 잭(30)과 접촉되며, 회전 시 상기 잭(30)을 지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승강캠(70)과, 상기 실린더(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잭(30)의 상측을 상기 실린더(1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 상기 잭(30)의 하측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을 상기 승강캠(70)에 탑승시키는 푸시캠(20)과, 상기 실린더(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잭(30)의 하측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 상기 잭(30)의 상측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을 상기 승강캠(70)에서 하차시키는 액추에이터(80)와, 상기 실린더(10)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잭(30)의 반경방향 이동을 어시스트 하는 어시스트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상기 잭(30) 및 니들(40)이 상기 삽입슬릿(11)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삽입슬릿(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삽입슬릿(11)은 상기 실린더(10)를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 슬릿면(12)과, 상기 제 1 슬릿면(12)과 대향되고, 상기 실린더(10)의 원주방향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 2 슬릿면(13)과, 상기 제 1 슬릿면(12) 및 제 2 슬릿면(13)을 연결하고, 상기 실린더(10)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제 3 슬릿면(1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슬릿면(12) 및 제 2 슬릿면(13)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릿면(12), 제 2 슬릿면(13) 및 제 3 슬릿면(14)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기 삽입슬릿(11)이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니들(40)이 상기 잭(30)의 상단에 거치되고, 상기 잭(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니들(4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니들(4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니들(40)의 상단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니들후크(41)에 편직을 위한 실이 걸릴 수 있다.
상기 니들(40)은, 니들바디(42)와, 상기 니들바디(42)의 상단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고리를 형성하는 니들후크(41)와, 니들바디(42)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잭(30)의 상단에 지지되는 니들지지부(43)를 포함한다.
상기 니들바디(42)가 상기 삽입슬릿(11)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니들후크(41)가 상기 실린더(1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니들지지부(43)의 외측단이 삽입슬릿(11)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잭(30)은, 상기 삽입슬릿(11)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로어잭바디(31)와, 상기 삽입슬릿(11)에 삽입되고, 상기 로어잭바디(3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니들지지부(43)와 접촉되어 상기 니들(40)을 지지하는 어퍼잭바디(32)와, 상기 로어잭바디(3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11) 밖으로 돌출될 경우, 상기 승강캠(70)에 거치되어 탑승되는 승강버트(33)와, 상기 로어잭바디(3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승강버트(33)의 상측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80)로 부터 조작력을 전달받는 복수개의 선침버트(34)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잭바디(32)는 상기 실린더(10)의 반경방향 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를 잭경사면(35)이라 한다.
상기 잭경사면(35)은 하단이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고, 상단이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푸시캠(20)이 상기 어퍼잭바디(32)의 반경방향 외측면을 누를 경우, 상기 잭경사면(35)이 상기 실린더(1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이로 인해 상기 로어잭바디(3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승강버트(33)는 상기 삽입슬릿(11)의 폭 내에 배치된다.
상기 실린더(1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캠(20)에 의해 상기 로어잭바디(3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승강버트(33)가 상기 삽입슬릿(11) 밖으로 돌출되어 승강캠(70)에 탑승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80)가 복수개의 상기 선침버트(34) 중 하나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넣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삽입슬릿(11) 밖으로 돌출된 승강버트(33)를 다시 삽입슬릿(11) 안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잭(30)을 승강캠(70)에서 하차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버트(33)가 승강캠(70)에 탑승된 경우, 상기 잭(30) 및 니들(40)이 상기 승강캠(70)의 캠면(7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니들(40)을 상하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린더(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상기 니들(4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싱커(90)에 걸린 실이 상기 니들(40)에 걸리게 되고, 편직캠어셈블리(1)가 상기 니들(40)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편직이 이루어진다.
상기 어시스트어셈블리(100)는, 상기 로어잭바디(31)의 내측면(36, 상기 실린더를 기준으로 반경방향 내측면)에 배치된 로어자성체(110)와, 상기 어퍼잭바디(32)의 잭경사면(35, 상기 실린더를 기준으로 반경방향 내측면)에 배치된 어퍼자성체(120)와, 상기 실린더(1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자성체(110)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형성시키는 로어전자석(130)과, 상기 실린더(10)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자성체(120)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형성시키는 어퍼전자석(140)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자성체(110)는 내측면(36)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자성체(110)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된다.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는 각각 영구자석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어잭바디(31)에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가 삽입되는 제 1 로어홈(31a)과, 상기 제 2 로어자성체(112)가 삽입되는 제 2 로어홈(31b)과, 상기 제 3 로어자성체(113)가 삽입되는 제 3 로어홈(31c)과, 상기 제 4 로어자성체(114)가 삽입되는 제 4 로어홈(31d)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가 각 로어홈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의 외측면이 상기 내측면(36)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어퍼자성체(120)는 잭경사면(3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자성체(120)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된다.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는 각각 영구자석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잭바디(32)에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가 삽입되는 제 1 어퍼홈(32a)과, 상기 제 2 어퍼자성체(122)가 삽입되는 제 2 어퍼홈(32b)과, 상기 제 3 어퍼자성체(123)가 삽입되는 제 3 어퍼홈(32c)과, 상기 제 4 어퍼자성체(124)가 삽입되는 제 4 어퍼홈(32d)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가 각 어퍼홈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의 외측면이 상기 잭경사면(35)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의 외측면은 상기 잭경사면(35)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커팅된다.
상기 어퍼전자석(14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어퍼전자석(141) 및 제 2 어퍼전자석(14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또는 제 2 어퍼전자석(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어퍼자성체(120)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및 제 2 어퍼전자석(142)이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시킨다.
그래서 상기 푸시캠(20)에 의해 상기 어퍼잭바디(32)이 상기 제 3 슬릿면(14) 측으로 밀착될 때,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또는 제 2 어퍼전자석(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또는 제 4 어퍼자성체(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 3 슬릿면(14)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이를 통해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퍼전자석(140)은 상기 푸시캠(20)에 의한 조작력이 미달되더라도 발생된 전자기력을 통해 상기 어퍼잭바디(32)을 끌어당켜 작동을 위한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에 의한 자기력은 상기 잭(30)의 자중에 의한 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잭(30)이 승강캠(7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잭(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어퍼전자석(140)은 상기 푸시캠(20)에 의한 힘을 어시스트 하기 위한 정도의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푸시캠(20)이 정상적으로 상기 어퍼잭바디(32)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또는 제 2 어퍼전자석(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또는 제 4 어퍼자성체(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 3 슬릿면(14)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어퍼잭바디(32)의 이동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이를 통해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들의 각 간격을 자성체간격(H2)이라 하고,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및 제 2 어퍼전자석(142)의 높이를 전자석높이(H1)라 정의한다.
상기 자성체간격(H2) 보다 상기 전자석높이(H1)가 더 길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이 상하로 이동될 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퍼자성체가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또는 제 2 어퍼전자석(142)으로 부터 자기력을 제공받게 설치된다.
상기 잭(30)이 최고높이까지 이동될 때,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로 부터 자기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잭(30)이 최저높이까지 하강될 때, 상기 제 2 어퍼전자석(142)로 부터 자기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및 제 2 어퍼전자석(142)를 통해 잭(30)의 상하 이동과 무관하게 반경방향 이동에 대한 힘을 어시스트 받을 수 있다.
상기 로어전자석(13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로어전자석(131) 및 제 2 로어전자석(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또는 제 2 로어전자석(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로어자성체(110)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및 제 2 로어전자석(132)이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시킨다.
그래서 상기 액추에이터(80)에 의해 상기 로어잭바디(31)이 상기 제 3 슬릿면(14) 측으로 밀착될 때,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또는 제 2 로어전자석(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또는 제 4 로어자성체(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 3 슬릿면(14)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이를 통해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로어전자석(130)은 상기 액추에이터(80)에 의한 조작력이 미달되더라도 발생된 전자기력을 통해 상기 로어잭바디(31)을 끌어당켜 작동을 위한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에 의한 자기력은 상기 잭(30)의 자중에 의한 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잭(30)이 승강캠(7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잭(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액추에이터(80)가 정상적으로 상기 로어잭바디(31)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또는 제 2 로어전자석(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또는 제 4 로어자성체(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 3 슬릿면(14)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로어잭바디(31)의 이동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이를 통해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들의 각 간격을 자성체간격(H2)이라 하고,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및 제 2 로어전자석(132)의 높이를 전자석높이(H1)라 정의한다.
상기 자성체간격(H2) 보다 상기 전자석높이(H1)가 더 길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이 상하로 이동될 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로어자성체가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또는 제 2 로어전자석(132)으로 부터 자기력을 제공받게 설치된다.
상기 잭(30)이 최고높이까지 이동될 때,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로 부터 자기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잭(30)이 최저높이까지 하강될 때, 상기 제 2 로어전자석(132)로 부터 자기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및 제 2 로어전자석(132)를 통해 잭(30)의 상하 이동과 무관하게 반경방향 이동에 대한 힘을 어시스트 받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니들 및 잭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잭(30)은, 상기 삽입슬릿(11)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로어잭바디(31)와, 상기 삽입슬릿(11)에 삽입되고, 상기 로어잭바디(3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니들지지부(43)와 접촉되어 상기 니들(40)을 지지하는 어퍼잭바디(32)와, 상기 로어잭바디(3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11) 밖으로 돌출될 경우, 상기 승강캠(70)에 거치되어 탑승되는 승강버트(33)와, 상기 로어잭바디(3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승강버트(33)의 상측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80)로 부터 조작력을 전달받는 복수개의 선침버트(34)와, 상기 로어잭바디(31)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잭바디(3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슬릿(37)과, 상기 가이드슬릿(37)과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어잭바디(31)의 내측면(36)으로 개구된 입구슬릿(39)를 포함한다.
상기 양말편직장치는, 상기 가이드슬릿(37)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 1 슬릿면(1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슬릿면(13)에 결합된 가이드바(3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잭(30)의 상하 이동 시, 상기 잭(30)이 상기 가이드바(38)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슬릿(37)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37)을 통해 상기 잭(30)이 실린더(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38)를 상기 가이드슬릿(37) 내부로 진입시키기 위해 상기 입구슬릿(39)이 형성된다.
상기 입구슬릿(39)은 상기 승강캠(70)의 상하 이동범위 밖에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승강캠(70)에 의해 상기 잭(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바(38)가 상기 입구슬릿(39)까지 이동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구슬릿(39)은 상기 가이드슬릿(37)의 최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38)가 푸시캠(20) 및 액추에이터(80)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잭(30)의 회전중심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바(38)가 반경방향에 대해 상기 잭(30)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푸시캠(20)이 어퍼잭바디(32)를 내측으로 밀때, 상기 가이드바(38)가 상기 잭(30)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로어잭바디(31)의 하단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용이하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80)가 상기 선침버트(34)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때, 상기 가이드바(38)가 상기 잭(30)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어퍼잭바디(32)의 상단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10)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실린더중공(17)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11) 및 실린더중공(17)을 연통시키는 흡입슬릿(150)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슬릿(150)은 상기 제 3 슬릿면(14) 및 실린더중공(17)의 내주면(16)을 연결한다.
상기 흡입슬릿(150)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슬릿(150)은 반경방향 외측단(151)이 높고, 반경방향 내측단(152)이 낮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슬릿(150)은 1개의 삽입슬릿(1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슬릿(150)은 상기 실린더(10)의 각 삽입슬릿(11)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에 음압을 형성시키는 진공펌프(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진공펌프가 주기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실린더중공(17)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삽입슬릿(11)에 정체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잭(30) 및 니들(40)의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실린더 20 : 푸시캠
30 : 잭 40 : 니들
50 : 샤프트 60 : 베이스플레이트
70 : 승강캠 80 : 액추에이터
90 : 싱커 100 : 어시스트어셈블리
110 : 로어자성체 120 : 어퍼자성체
130 : 로어전자석 140 : 어퍼전자석
150 : 흡입슬릿

Claims (5)

  1.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슬릿(1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실린더(10);
    상기 실린더(10)의 삽입슬릿(11)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니들(40);
    상기 실린더(10)의 삽입슬릿(11)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니들(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40)을 지지하고, 상기 니들(4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잭(30);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10)와 조립되어 상기 실린더(1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샤프트(50);
    상기 샤프트(5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50)의 회전 시 정지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50)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6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에 결합되고, 상기 잭(30)과 접촉되며, 회전 시 상기 잭(30)을 지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승강캠(70);
    상기 실린더(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잭(30)의 상측을 상기 실린더(1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 상기 잭(30)의 하측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을 상기 승강캠(70)에 탑승시키는 푸시캠(20);
    상기 실린더(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잭(30)의 하측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밀어 상기 잭(30)의 상측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을 상기 승강캠(70)에서 하차시키는 액추에이터(80);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40)은,
    니들바디(42)와, 상기 니들바디(42)의 상단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고리를 형성하는 니들후크(41)와, 니들바디(42)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잭(30)의 상단에 지지되는 니들지지부(43)를 포함하고,
    상기 잭(30)은,
    상기 삽입슬릿(11)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로어잭바디(31)와, 상기 삽입슬릿(11)에 삽입되고, 상기 로어잭바디(31)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니들지지부(43)와 접촉되어 상기 니들(40)을 지지하는 어퍼잭바디(32)와, 상기 로어잭바디(3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11) 밖으로 돌출될 경우, 상기 승강캠(70)에 거치되어 탑승되는 승강버트(33)와, 상기 로어잭바디(3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승강버트(33)의 상측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80)로 부터 조작력을 전달받는 복수개의 선침버트(34)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10)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잭(30)의 반경방향 이동을 어시스트 하는 어시스트어셈블리(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시스트어셈블리(100)는,
    상기 로어잭바디(31)의 내측면(36)에 배치된 로어자성체(110);
    상기 어퍼잭바디(32)의 잭경사면(35)에 배치된 어퍼자성체(120);
    상기 실린더(10)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자성체(110)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형성시키는 로어전자석(130);
    상기 실린더(10)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자성체(120)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형성시키는 어퍼전자석(140);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슬릿(11)은 상기 실린더(10)를 기준으로 원주방향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 슬릿면(12)과, 상기 제 1 슬릿면(12)과 대향되고, 상기 실린더(10)의 원주방향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 2 슬릿면(13)과, 상기 제 1 슬릿면(12) 및 제 2 슬릿면(13)을 연결하고, 상기 실린더(10)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제 3 슬릿면(14)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자성체(110) 및 어퍼자성체(120)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자성체(110)는,
    상기 로어잭바디(31)의 내측면(36)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고,
    상기 로어잭바디(31)에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가 삽입되는 제 1 로어홈(31a)과, 상기 제 2 로어자성체(112)가 삽입되는 제 2 로어홈(31b)과, 상기 제 3 로어자성체(113)가 삽입되는 제 3 로어홈(31c)과, 상기 제 4 로어자성체(114)가 삽입되는 제 4 로어홈(31d)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자성체(120)는,
    상기 어퍼잭바디(32)의 잭경사면(3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들이 자성체간격(H2)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전자석(14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어퍼전자석(141) 및 제 2 어퍼전자석(14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및 제 2 어퍼전자석(142)이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및 제 2 어퍼전자석(142)이 전자석높이(H1)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및 제 4 어퍼자성체(124)의 외측면은 상기 잭경사면(35)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커팅되고,
    상기 푸시캠(20)에 의해 상기 어퍼잭바디(32)이 상기 제 3 슬릿면(14) 측으로 밀착될 때,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또는 제 2 어퍼전자석(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상기 제 1 어퍼자성체(121), 제 2 어퍼자성체(122), 제 3 어퍼자성체(123) 또는 제 4 어퍼자성체(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 3 슬릿면(14)으로 끌어당길 수 있고,
    상기 자성체간격(H2) 보다 상기 전자석높이(H1)가 더 길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이 상하로 이동될 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퍼자성체가 상기 제 1 어퍼전자석(141) 또는 제 2 어퍼전자석(142)으로 부터 자기력을 제공받게 설치되고,
    상기 로어전자석(13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로어전자석(131) 및 제 2 로어전자석(13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및 제 2 로어전자석(132)이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와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액추에이터(80)에 의해 상기 로어잭바디(31)이 상기 제 3 슬릿면(14) 측으로 밀착될 때,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또는 제 2 로어전자석(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되어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또는 제 4 로어자성체(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 3 슬릿면(14)으로 끌어당길 수 있고,
    상기 제 1 로어자성체(111), 제 2 로어자성체(112), 제 3 로어자성체(113) 및 제 4 로어자성체(114)들이 자성체간격(H2)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및 제 2 로어전자석(132)이 전자석높이(H1)를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간격(H2) 보다 상기 전자석높이(H1)가 더 길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잭(30)이 상하로 이동될 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로어자성체가 상기 제 1 로어전자석(131) 또는 제 2 로어전자석(132)으로 부터 자기력을 제공받게 설치된 양말편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97334A 2023-07-26 2023-07-26 양말 편직장치 KR10263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334A KR102638054B1 (ko) 2023-07-26 2023-07-26 양말 편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334A KR102638054B1 (ko) 2023-07-26 2023-07-26 양말 편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054B1 true KR102638054B1 (ko) 2024-02-19

Family

ID=9005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334A KR102638054B1 (ko) 2023-07-26 2023-07-26 양말 편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0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525A (ko) * 1989-04-25 1990-11-13 가와세 신지 환편기에서의 전자인 선침 장치
KR200367211Y1 (ko) 2004-08-24 2004-11-11 (주) 태영기계 양말 편직기
KR20060018289A (ko) * 2004-08-24 2006-03-02 (주) 태영기계 양말 편직기
KR200429609Y1 (ko) * 2006-08-17 2006-10-24 박장용 양말편직기의 잭 푸시장치
KR20160114484A (ko) 2015-03-24 2016-10-05 최종화 양말의 통기구 편직 방법 및 장치
KR101930295B1 (ko) * 2018-06-22 2018-12-18 복종원 니들잭 상승패널을 구비한 양말 편직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525A (ko) * 1989-04-25 1990-11-13 가와세 신지 환편기에서의 전자인 선침 장치
KR200367211Y1 (ko) 2004-08-24 2004-11-11 (주) 태영기계 양말 편직기
KR20060018289A (ko) * 2004-08-24 2006-03-02 (주) 태영기계 양말 편직기
KR200429609Y1 (ko) * 2006-08-17 2006-10-24 박장용 양말편직기의 잭 푸시장치
KR20160114484A (ko) 2015-03-24 2016-10-05 최종화 양말의 통기구 편직 방법 및 장치
KR101930295B1 (ko) * 2018-06-22 2018-12-18 복종원 니들잭 상승패널을 구비한 양말 편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1109449A (ru) Способ стачивания мыска нос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10718075B2 (en) Method for preparing a tubular article, such as a sock or the like, for automated pickup at the end of its forming on a double cylinder circular machine with at least one feed or drop, and double cylinder circular machine for the execution thereof
KR20180090781A (ko)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상 편성 물품을 픽업하는 장치 및 방법
KR0165631B1 (ko) 양말류의 편직물의 초기단부를 폐쇄하는 장치
US20230056303A1 (en) Process to close an end of a tubular manufactured article directly on hosiery and knitwear circular machines and respective circular machine
KR102638054B1 (ko) 양말 편직장치
WO2019197928A1 (en) Turning device for tubular knitted items and method for turning tubular knitted items
US5197303A (en) Needle selection device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elastic jacks
KR101565494B1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캠조립체를 구비하는 양말편직기
CS276110B6 (en) Electromagnetic selective device of needles of a circular knitter, particularly for ladies' panty hoses
GB2272456A (en) Needle selecting device of a knitting machine
EP0997564A2 (en) Dial or half-dial for single-cylinder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s, particularly for producing tubular items closed at one longitudinal end
CZ2001935A3 (cs) Okrouhlý pletací stroj a způsob výroby hadicových výrobků
KR101930295B1 (ko) 니들잭 상승패널을 구비한 양말 편직장치
US5361608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of elastic needle type with a slider selection device
US11225736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JPH04289249A (ja) 丸編機における針の選択の方法および装置
US5165259A (en) Method and device for needle-by needle selection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by means of elastic selectors
KR101872686B1 (ko) 양말 편직장치
KR200383141Y1 (ko) 양말 편직기
WO2013017486A1 (en) Single-cylinder knitting machine without sinkers and related process
KR200405496Y1 (ko) 양말편직기 및 환편기
EP0564041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of elastic needle type with a selection device in the form of a rocking selector
CS274451B2 (en) The double-cylinder round knitting machinery
JP2789471B2 (ja) 円形編機のニードルシリンダー溝の底部にセレクターを係止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