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519B1 -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519B1
KR100807519B1 KR1020070053830A KR20070053830A KR100807519B1 KR 100807519 B1 KR100807519 B1 KR 100807519B1 KR 1020070053830 A KR1020070053830 A KR 1020070053830A KR 20070053830 A KR20070053830 A KR 20070053830A KR 100807519 B1 KR100807519 B1 KR 10080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moving object
screen
navig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562A (ko
Inventor
정문호
이준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5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탐색된 이동체의 주행경로를 축소시켜 요약경로를 생성하고, 그 요약경로를 요약경로 화면에 표시한다.
이동체의 주행경로 탐색명령에 따라 제어부가 지도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표시부의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탐색한 주행경로를 축소하여 요약경로를 생성하고, 생성한 요약경로를 표시부의 요약경로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탐색한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체가 주행할 경우에 제어부가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상기 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킨 후 상기 주행경로 안내화면 및 요약경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요약경로 화면을 통해 이동체가 현재 어느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전체 주행경로에서 어느 정도 주행하였는지의 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GPS, 네비게이션, 주행경로, 탐색, 요약경로,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Method for guiding summary routes in navig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이 적용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에서 요약경로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에 따라 표시부에 요약경로를 표시한 상태를 에로 들어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안테나 110 : GPS 수신기
120 : 센서부 130 : 지도데이터 저장부
140 : 제어부 150 : 표시부
160 : 명령 입력부 170 : 안내음성 생성부
180 : 스피커
본 발명은 차량 등을 비롯한 소정의 이동체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체를 주행시키도록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에 표시하는 주행경로 안내화면의 일부에 PIP(Picture In Picture)로 요약경로 화면을 삽입하고, 그 요약경로 화면에, 상기 탐색한 이동체의 전체 주행경로를 축소시킨 요약경로를 표시하면서 이동체의 주행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전세계 측위 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속하는 복수의 GPS 위성이 송신하는 항법 메시지와,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및 속도센서 등과 같이 이동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들이 검출하는 이동체의 주행상태 검출신호들을 이용하여 현재 주행중인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지도데이터에 매칭시켜 표시부에 표시하며, 또한 지도 데이터를 통해 이동체의 현재위치 또는 이동체의 출발지로부터 소정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체를 주행시키게 주행경로를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체가 상기 탐색된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할 경우에 이동체의 주행 전방에 교차로나 지하차도, 고가도로 또는 고속도로 입출구 도로 등을 포함하는 소 정의 안내대상을 탐색하고, 상기 이동체가 상기 탐색한 안내대상의 소정 거리 이내에 접근할 경우에 그 안내대상 위치에서의 이동체의 주행경로를 음성신호 등으로 안내하고 있으며, 또한 이동체가 주행경로에서 이탈하여 다른 도로를 주행하는 경로이탈의 여부를 판단하고, 경로 이탈이 판단될 경우에 이동체의 경로이탈을 사용자에게 알려 이동체를 주행경로를 따라 정확하게 주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표시부의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지도와 함께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표시할 경우에 이동체의 사용자가 이동체 주변의 지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축척으로 지도를 표시하고, 또한 이동체가 대략 주행경로 안내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이동체의 주행방향이 주행경로 안내화면의 상단으로 향하도록 지도를 이동 및 회전시켜 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주행경로 안내화면의 상단 중앙이 진북 방향이 되도록 지도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동체의 사용자는 표시부의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표시된 지도로 현재 이동체가 동서남북의 어느 방향으로 주행하는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었고, 또한 탐색된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할 경우에 이동체가 전체 주행경로에서 어느 정도의 거리를 주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탐색된 이동체의 전체 주행경로를 축소시켜 요약경로를 생성하고, 그 요약경로를 표시하는 요약경로 화면을 PIP(Picture In Picture)로 이동체의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삽입하여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약경로 화면의 상단 중앙이 진북방향이 되도록 요약경로를 표시하여 이동체의 사용자가 이동체의 주행 방향을 동서남북의 어느 방향인지를 간단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은, 이동체의 주행경로 탐색명령에 따라 제어부가 지도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표시부의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탐색한 주행경로를 축소하여 요약경로를 생성하고, 생성한 요약경로를 표시부의 요약경로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탐색한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체가 주행할 경우에 제어부가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상기 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킨 후 상기 주행경로 안내화면 및 요약경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체의 출발지 및 현재위치는, GPS 수신기가 수신하는 항법 메시지와 이동체에 설치된 센서부가 검출하는 이동체의 주행상태 검출신호를 이용하는 혼합항법으로 판단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약경로의 생성은 상기 탐색된 전체 주행경로를 축소시킬 축소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축소비율로 상기 탐색된 전체 주행경로를 균등 분할하며, 상기 균등 분할한 주행경로의 각 영역을 하나씩 선택하여 가운데 가장 근접하는 노 드 또는 형상점 위치를 선택하여 요약경로를 생성하며, 상기 축소비율 결정은 진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탐색된 주행경로의 X축 및 Y축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X축 및 Y축 거리를 상기 요약경로 화면의 X축 및 Y축 크기로 축소할 축소비율을 각기 계산하며, 상기 계산한 X축 및 Y축 축소비율들 중에서 값이 큰 축소비율을 상기 탐색된 주행경로의 축소비율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약경로 화면의 표시는 요약경로 화면의 상단 중앙이 진북방향을 향하도록 요약경로를 표시하고, 요약경로, 이동체의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체의 현재위치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은 투명 또는 반투명 처리하여 표시하며, 표시부의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으로 삽입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이 적용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GPS 위성이 송신하는 항법 메시지를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하는 GPS 수신기(110)와, 이동체의 주행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자이로스코프 및 이동체의 주행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 등을 비롯한 복수의 센서들을 설치하여 이동체의 주행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120)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130)와, 상기 GPS 수신기(110) 및 센서부(120)의 검출신호를 이용한 혼합항법으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상기 지도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킨 후 이동체의 주행경로 탐색 및 탐색된 주행경로의 안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14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명령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입력시키는 명령 입력부(160)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지도데이터, 이동체의 현재위치 및 이동체의 주행경로 등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150)와,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안내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180)로 출력하는 안내음성 생성부(170)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160)를 통해 이동체의 주행경로 탐색을 명령할 경우에 제어부(140)는 지도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표시부(150)의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탐색한 전체 주행경로를 본 발명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에 따라 축소시켜 요약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요약경로로 화면의 상단 중앙이 진북방향으로 되는 요약경로 화면을 생성하며, 생성한 요약경로 화면을 표시부(150)로 출력하여, 표시부(150)가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PIP 기능으로 요약경로 화면을 삽입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체가 주행할 경우에 GPS 수신기(110)가 수신하는 항법 메시지와 센서부(120)가 검출하는 이동체의 주행상태 검출신호를 이용한 혼합 항법으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판단한다. 즉, GPS 수신기(110)는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항법 메시지를 이용하여 DOP(Dilution of Precision)의 값을 출력하며, 그 DOP의 값은 수신한 항법 메시지로 계산한 이동체의 현재위치가 신뢰성이 있을 경우에 낮고, 신뢰성이 없을 경우에 낮은 것으로서 제어부(140)는 상기 DOP의 값으로 항법 메시지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신뢰성이 있을 경우에 상기 항법 메시지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검출하고, 신뢰성이 없을 경우에 신뢰성이 있는 항법 메시지로 검출한 이동체의 현재위치로부터 센서부(120)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검출하는 혼합항법을 사용하여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검출한다.
이동체의 현재위치가 검출되면, 제어부(140)는 검출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킨 후 표시부(150)로 출력하여 주행경로 안내화면 및 요약경로 안내화면에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면서 이동체의 주행 전방의 설정 거리 이내에 교차로나 분기점 등을 비롯한 소정의 안내 대상물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의 안내 대상물이 위치할 경우에 안내음성 생성부(170)를 제어하여 해당 안내 대상물에서의 안내 음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음성을 스피커(180)로 출력하면서 이동체의 주행경로를 안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약경로 안내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200)에서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160)를 조작하여 이동체의 주행경로 탐색을 명령할 경우에 제어부(140)는 단계(202)에서 이동체의 출발지와 목적지 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의 출발지는 GPS 수신기(110)가 수신하는 항법 메시지와 센서부(120)가 검출하는 이동체의 주행상태 검출신호를 이용한 혼합 항법으로 탐색한 이동체의 현재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단계(204)에서 지도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표시부(150)로 출력하여 이동체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단계(206)에서 제어부(140)는 상기 탐색한 전체 주행경로를 요약경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을 정도로 축소시킨 요약경로를 생성하여 요약경로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한 요약경로 화면을 표시부(150)로 출력하여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PIP 기능으로 삽입, 표시한다.
상기 단계(206)에서의 요약경로의 생성 및 표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300)에서 진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탐색된 전체 주행경로의 X축 및 Y축 거리를 판단하고, 단계(302)에서 탐색된 전체 주행경로를 요약경로 화면에 모두 표시할 경우에 X축 및 Y축의 축소 비율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상기 요약경로 화면의 크기는 60×60 화소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전체 주행경로의 X축을 60등분할 경우의 거리와, 전체 주행경로의 Y축을 60등분할 경우의 거리를 각기 계산하고, 계산한 거리로 X축 및 Y축의 축소 비율을 계산한다.
다음 단계(304)에서는 상기 계산한 축소비율들 중에서 가장 높은 하나의 축소비율을 선택하고, 단계(306)에서 진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탐색한 이동체의 주행경로의 X축 및 Y축을 상기 선택한 축소비율에 따라 균등하게 분할하고, 단계(308)에서 상기 분할한 주행경로의 각 영역을 하나씩 선택한다.
다음 단계(310)에서 상기 선택한 각 영역의 주행경로에서 중앙에 가장 근접하는 하나의 노드 또는 형상점을 선택하여 단계(312)에서 요약경로의 표시위치로 결정한다.
다음 단계(314)에서 요약경로의 생성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요약경로의 생성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단계(308)로 복귀하여 분할한 주행경로의 각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각 영역의 주행경로에서 중앙에 가장 근접하는 하나의 노드 또는 형상점을 선택하여 요약경로의 표시위치로 결정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서 요약경로를 생성하며, 요약경로의 생성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단계(316)에서 생성한 요약경로로 요약경로 화면을 구성하고, 예를 들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주행경로 안내화면(400)에 PIP 기능으로 요약경로 화면(410)을 삽입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요약경로 화면은, 요약경로, 이동체의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체의 현재위치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은 투명 또는 반투명 처리하여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표시된 지도가 요약경로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요약경로를 생성 및 표시한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단계(208)에서 이동체가 주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체가 주행할 경우에 GPS 수신기(110)가 수신하는 항법 메시지와 센서부(120)가 검출하는 이동체의 주행상태 검출신호를 이용한 혼합 항법으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검출한다.
다음 단계(212)에서는 상기 검출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키고, 단계(214)에서 상기 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킨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주행경로 안내화면 및 요약경로 화면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다음 단계(216)에서 제어부(140)는 이동체가 목적지까지 주행을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주행을 완료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단계(208)로 복귀하여 이동체의 주행에 따른 현재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킨 후 주행경로 안내화면 및 요약경로 화면에 출력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며, 이동체가 목적지까지 주행을 완료하였을 경우에 종료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체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체를 주행시키게 안내함에 있어서, 전체 주행경로를 축소시킨 요약경로를 생성하여 요약경로 화면의 상단 중앙을 진북방향으로 표시함으로써 이동체의 사용자가 요약경로 화면을 통해 이동체가 현재 어느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 주행경로에서 어느 정도 주행하였는지의 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이동체의 주행경로 탐색명령에 따라 제어부가 지도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표시부의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표시하여 이동체의 주행을 안내하는 단계;
    상기 탐색한 전체 주행경로를 모두 표시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여 요약경로를 생성하고, 생성한 요약경로를 표시부의 요약경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한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체가 주행할 경우에 제어부가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상기 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킨 후 상기 주행경로 안내화면 및 요약경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출발지 및 현재위치는;
    GPS 수신기가 수신하는 항법 메시지와 이동체에 설치된 센서부가 검출하는 이동체의 주행상태 검출신호를 이용하는 혼합항법으로 판단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경로의 생성은;
    상기 탐색된 전체 주행경로를 축소시킬 축소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축소비율로 상기 탐색된 전체 주행경로를 균등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균등 분할한 주행경로의 각 영역을 하나씩 선택하여 가운데 가장 근접하는 노드 또는 형상점 위치를 선택하여 요약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비율 결정은;
    진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탐색된 주행경로의 X축 및 Y축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한 X축 및 Y축 거리를 상기 요약경로 화면의 X축 및 Y축 크기로 축소할 축소비율을 각기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한 X축 및 Y축 축소비율들 중에서 값이 큰 축소비율을 상기 탐색된 주행경로의 축소비율로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경로 화면의 표시는;
    요약경로 화면의 상단 중앙이 진북방향을 향하도록 요약경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경로 화면의 표시는;
    요약경로, 이동체의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체의 현재위치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은 투명 또는 반투명 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경로 화면의 표시는;
    표시부의 주행경로 안내화면에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으로 삽입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KR1020070053830A 2007-06-01 2007-06-01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KR10080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830A KR100807519B1 (ko) 2007-06-01 2007-06-01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830A KR100807519B1 (ko) 2007-06-01 2007-06-01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819A Division KR20060118234A (ko) 2005-05-16 2005-05-16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562A KR20070076562A (ko) 2007-07-24
KR100807519B1 true KR100807519B1 (ko) 2008-02-26

Family

ID=3850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830A KR100807519B1 (ko) 2007-06-01 2007-06-01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73B1 (ko) 2008-03-21 2010-09-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최단 경로 탐색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119A (ko) * 1996-10-07 1998-07-15 오상수 차량항법시스템의 교차점표시방법
KR19990009130A (ko) * 1997-07-08 1999-02-05 윤종용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화면 축척 조절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119A (ko) * 1996-10-07 1998-07-15 오상수 차량항법시스템의 교차점표시방법
KR19990009130A (ko) * 1997-07-08 1999-02-05 윤종용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화면 축척 조절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73B1 (ko) 2008-03-21 2010-09-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최단 경로 탐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562A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4555A2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navigation system
US7630832B2 (en) Guiding a drive path of a moving object in a navigation system
CN105765345B (zh) 显示导航指令的设备及方法
KR101087483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안내 음성신호 출력 제어방법 및 장치
US981054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navigational routing
US765348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deviation of a mobile object in a navigation system from a travel route
EP1655578B1 (en) Voice guidance method of travel route in navigation system
KR100766677B1 (ko) 항법 장치
US6859724B2 (en) Method of searching for guidance route in navigation device
US20070233373A1 (en) Map scale 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KR101087484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이동체의 주행경로 안내방법
KR100807519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요약경로 안내방법
KR100743316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이동체의 위치표시 갱신방법
JP2006017644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と自車位置表示方法
JP2005331442A (ja) 通信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推奨経路表示方法
KR100634002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텍스트 데이터 필터링방법
JP4369376B2 (ja) 案内経路生成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案内経路生成方法
KR20060109722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주행경로 안내방법
KR100679400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동체의 주행경로 안내방법
KR20060114945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표시 필터링 방법
KR20060078076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지도 표시모드 변경방법
KR20080032508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탐색된 주행경로의 매핑방법
KR20070083257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주행경로 탐색방법
JP2011180067A (ja) 運転支援装置
KR20140118620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지도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