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089B1 -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 Google Patents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089B1
KR100806089B1 KR1020010004456A KR20010004456A KR100806089B1 KR 100806089 B1 KR100806089 B1 KR 100806089B1 KR 1020010004456 A KR1020010004456 A KR 1020010004456A KR 20010004456 A KR20010004456 A KR 20010004456A KR 100806089 B1 KR100806089 B1 KR 100806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reflective
transmissive
polarizing element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176A (ko
Inventor
혼다마사루
히가시코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6Reflective polariz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3Cholesteric 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색성 편광소자, 반사형 편광소자, 및 반투과 반반사층이, 이색성 편광소자의 투과축과 반사형 편광소자의 투과축이 동일방향이 되도록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半反射性) 편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동일한 반사 휘도를 가지면서 종래보다도 투과휘도가 밝은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 투과휘도, 이색성 편광소자, 반사형 편광소자

Description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TRANSFLECTIVE POLARIZER}
도 1 은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 3 은 인편형 반사성 입자의 수지체 중에서의 배향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 6 은 실시예의 투과 휘도 평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 7 은 실시예의 반사 휘도 평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도 9 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
11 : 종래의 편광광원장치
12 :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20 : 액정셀 21 : 배면측 투명전극
22 : 전면측 투명전극 23 : 액정층
31 : 전면측 이색성 편광소자 32 : 전면측 위상차소자
41 : 배면측 이색성 편광소자 42 : 배면측 위상차소자
43 : 반사형 편광소자 45 : 감압접착제
46 :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필름 47 : 반투과 반반사층
48 : 반투과 반반사층 51 : 광원
52 : 도광판 53 : 반사판
54 : 백색 도트 인쇄 55 : 확산 시트
56 : 렌즈 시트 57 : 광원장치
61 : 수지체 62 : 인편형 반사성 입자
71 :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72 : 편광광원장치
74 : 편광광원장치 75 :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
81 : 측광부 82 : 광파이버
83 : 휘도계 84 : 고리형 형광등
85 : 흑지
본 발명은 반투과 반반사성 (半反射性) 편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소형, 경량이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로서, 밝은 환경하에서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로서 사용하고, 어두운 환경하에서는 내장된 배면광원에 의해 조명하여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는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9 에 기초하여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 (10) 를 설명한다. 액정셀 (20) 은 대향하는 2 개의 투명전극, 즉 배면측의 투명전극 (21) 및 전면측의 투명전극 (22) 과, 그들 (21, 22) 사이에 협지 (挾持) 된 액정층 (23)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액정셀 (20) 의 전면에, 이색성 편광소자 (31), 위상차소자 (32) 등의 광학소자가 배치되며, 액정셀 (20) 의 배면에는 편광광원장치 (11) 가 배치되어 있다. 액정셀 (20) 과 편광광원장치 (11) 는 배면측의 위상차소자 (42) 를 통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편광광원장치 (11) 는, 액정셀 (20) 과 면하는 위치에 이색성 편광소자 (41) 와 반투과 반반사층 (46) 으로 구성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12), 그 배면에 배치된 도광판 (52), 이 도광판의 단부 또는 배면에 배치된 광원 (51), 및 도광판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판 (53) 으로 구성된다.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12) 로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체와 편광층의 적층필름에서 상기 반투명 수지체 중에 광확산성 물질을 분산시킨 것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5-46707 호) 이나, 투명물질 중에 진주안료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진주안료 표면에서의 반사를 사용한 것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5-84975 호)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종래와 동일한 반사 휘도를 가지면서 종래보다도 투과휘도가 밝은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부여할 수 있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이색성 편광소자, 반사형 편광소자, 및 반투과 반반사층이, 이색성 편광소자의 투과축과 반사형 편광소자의 투과축이 동일방향이 되도록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색성 편광소자에는 요오드계 편광필름 또는 염료계 편광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색성 편광소자의 적어도 편측의 면에 광확산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반사형 편광소자에는 2 종 이상의 고분자필름의 다층적층체, 2 종 이상의 고분자가 해도 (海島)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필름 또는 콜레스테릭액정으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4 분의 1 파장판이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투과 반반사층은 그 지상축 (遲相軸) 또는 진상축 (進相軸) 과 이색성 편 광소자의 투과축이 동일 방향인 것, 및/또는 반투과 반반사층의 면내 위상차값이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투과 반반사층은 금속 박막이 고분자필름 표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층 또는 인편 (鱗片) 형 반사성 입자가 감압접착제 중에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편형 반사성 입자로서는 운모 한쪽 표면에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입자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광원, 및 반사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광원장치 또는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광원을 단부에 배치한 도광판, 및 반사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광원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은, 본 발명의 편광광원장치, 액정셀, 및 이색성 편광소자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이다. 여기에서, 반투과 반반사형 편광소자와 액정셀 사이, 및 액정셀과 이색성 편광소자 사이의 적어도 일측에 1 장 이상의 위상차소자가 협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 액정셀과 이색성 편광소자 사이에 광확산층이 협지되어 있어도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71) 는 이색성 편광소자 (41), 반사형 편광소자 (43), 및 반투과 반반사층 (47) 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그래서 이 이색성 편광소자 (41) 의 투과축과 반사형 편광소자 (43) 의 투과축이 동일방향이 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이색성 편광소자의 「투과축」 및 반사형 편광소자의 「투과축」 은, 특정 진동방향의 편광광이 상기 편광소자의 수직방향으로부터 입사했을 때 투과율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말한다.
이색성 편광소자의 투과축과 반사형 편광소자의 투과축을 동일방향으로 하는 것은 반사형 편광소자를 통과한 편광광이 유효하게 이색성 편광소자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이 2 종의 편광소자의 투과축이 완전히 동일한 방향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서로의 투과축의 교차에 의한 광의 로스를 무시할 수 있는 범위이면, 실질적으로 「동일방향」 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교차하는 각도가 10 °이하이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색성 편광소자, 반사형 편광소자, 및 반투과 반반사층을 적층하는 순서로서는, 「이색성 편광소자 (41), 반사형 편광소자 (43), 반투과 반반사층 (47) 의 순서」 (도 1) 이거나, 「이색성 편광소자 (41), 반투과 반반사층 (47), 반사형 편광소자 (43) 의 순서」 (도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과 반반사층의 면내 위상차값이 큰 경우나 지상축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색성 편광소자, 반사형 편광소자, 반투과 반반사층의 순서」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반사형 편광소자의 면내 위상차값이 큰 경우에는 「이색성 편광소자, 반투과 반반사층, 반사형 편광소자의 순서」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반투과 반반사층을 2 층 이상 사용해도 되고, 「 이색성 편광소자, 반투과 반반사층, 반사형 편광소자, 반투과 반반사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의 「이색성 편광소자」란, 특정 진동방향의 편광광을 투과하고, 그것과 직교하는 편광광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색성 편광소자」로서는, 예컨대 공지된 요오드계 편광필름이나 염료계 편광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요오드계 편광필름」이란, 연신한 폴리비닐알콜필름에 요오드계를 흡착시킨 필름이고, 「염료계 편광필름」이란, 연신한 폴리비닐알콜필름에 이색성 염료를 흡착시킨 필름이다. 이들 편광필름은 내구성 향상을 위해 편광필름의 편측 또는 양측을 고분자필름으로 피복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호를 위해 피복하는 고분자의 재질로서는, 2 아세트산 셀룰로오스나 3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노르볼넨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보호를 위해 피복하는 고분자필름으로서, 후술하는 반사형 편광소자나 반투과 반반사층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색성 편광소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정표시소자 등에 본 발명의 편광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1 ㎜ 이하, 나아가서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반사형 편광소자」란, 특정 진동방향의 편광광을 투과하고, 그것과 직교하는 편광광을 반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반사형 편광소자」로서는, 예컨대 브류스터각에 의한 편광성분의 반사율의 차를 이용한 반사형 편광소자 (예컨대,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6-508449 호), 콜레스테릭액정에 의한 선택반사특성을 이용한 반사형 편광소자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3-45906 호), 미세한 금속선 형상 패턴을 시공한 반사형 편광소자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2-308106 호), 2 종의 고분자필름을 적층하여 굴절율 이방성에 의한 반사율의 이방성을 이용하는 반사형 편광소자 (예컨대,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9-506837 호), 고분자필름 중에 해도 구조를 가지며 굴절율 이방성에 의한 반사율의 이방성을 이용하는 반사형 편광소자 (예컨대, 미국특허 5,825,543 호), 고분자필름 중에 입자가 분산하여 굴절율 이방성에 의한 반사율의 이방성을 이용하는 반사형 편광소자 (예컨대,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11-509014 호), 고분자필름 중에 무기입자가 분산하여 사이즈에 의한 산란능차 (散亂能差) 에 기초하여 반사율의 이방성을 이용하는 반사형 편광소자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9-297204 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반사형 편광소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정표시소자 등에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1 ㎜ 이하, 나아가서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콜레스테릭액정에 의한 선택반사특성을 이용한 반사형 편광소자, 2 종의 고분자필름을 적층하여 굴절율 이방성에 의한 반사율의 이방성을 이용하는 반사형 편광소자, 및 고분자필름 중에 해도구조를 가지며 굴절율 이방성에 의한 반사율의 이방성을 이용하는 반사형 편광소자는, 본 발명의 편광소자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는 직선편광에 대하여 기능하므로, 콜레스테릭액정에 의한 선택반사특성을 이용한 반사형 편광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편광을 직선편광으로 변환하는 광학소자를 적층하여 반사형 편광소자로 할 필요가 있다. 이 광학소자는 일반적으로 1/4 파장판이라고 칭해진다.
표시화면이 밝은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얻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광선흡수율을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에 사용되는 이색성 편광소자의 투과율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색성 편광소자의 투과율을 높게 하면 편광도가 낮아지고,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었을 때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에서는 이색성 편광소자와 반사형 편광소자가 병용되므로, 반사형 편광소자의 편광도가 높은 경우에는 원하는 범위에서 이색성 편광소자의 투과율을 높게 하여 편광도를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반투과 반반사층」이란, 입사광선의 일부를 투과하고, 나머지 일부를 반사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전체 입사광선에 대하여 투과 및 반사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반투과 반반사층에 의해 흡수되어 유효이용할 수 없어지므로, 이 흡수는 최대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투과 반반사층」으로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체 중에 이 수지체와 굴절율이 다른 입자나 공동 (空洞) 을 분산시킨 것이나,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체상에 굴절율이 다른 입자나 공동을 분산시킨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피막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나,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체에 금속 박막을 부설한 것이나, 2 종 이상의 고분자 박막을 다층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 등을 단독 또는 2 층 이상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층 이상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층을 사용해도 되고, 다른 층을 사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의 반투과 반반사층에 사용되는 「수지체」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노르볼넨 등의 환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의 합성고분자나, 2 아세트산 셀룰로오스나 3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의 천연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지체」는 감압접착제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아크릴레이트계 감압접착제, 메타크릴레이트계 감압접착제, 염화비닐계 감압접착제, 합성고무계 감압접착제, 천연고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감압접착제 중에서도 아크릴레이트계 감압접착제는 핸들링성이나 내구성의 점에서 바람직한 수지체의 하나이다.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에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레이트기, 아릴기 등의 반응성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나, 에폭시기 등의 개환축합성 반응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광 또는 열경화를 행할 때에는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에 광중합개시제나,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광 또는 열경화를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반투과 반반사층에 사용할 수 있는 「굴절율이 다른 입자」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기입자, 무기입자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유기입자로서는, 예컨대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의 고분자 등의 입자를 들 수 있고, 가교된 가교 고분자이어도 된다. 또한, 에틸렌, 프로필렌, 스틸렌, 메타크릴산 메틸, 벤조구아나민, 포름알데히드, 멜라민, 부타디엔 등에서 선택되는 2 종 이상이 공중합되어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무기입자로서는 실리카, 실리콘, 산화티탄, 운모, 유리, 탈크, 하이드로탈사이트, 산화알루미늄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색상은 무색 또는 백색이 바람직한데, 장식성을 갖게 하기 위해 착색된 미립자를 사용해도 된다. 또, 입자에 의한 광선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굴절율 물질을 입자 표면에 피복해도 된다. 피복할 때에는 고굴절율 물질 피막이 반사증가막이 되도록 그 피복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율 물질로서는 산화티탄 등의 금속산화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형 또는 방추형 또는 부정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반사성능을 유효하게 부여하기 위해서는 인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에 단면모식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인편형 입자 (62) 가 수지체 (61) 중에 있어서 수지체 (61) 의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입경은 너무 작으면 광산란의 성능이 발현되지 않고, 너무 크면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했을 때 표시품위를 저하시키므로, 0.1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첨가량은 원하는 반사율의 대소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통상, 피분산체인 수지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의 반투과 반반사층에 사용할 수 있는 「금속 박막」에 사용되는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루미늄, 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막두께에 대해서는 원하는 투과성능/반사성능에 따라 조정된다. 즉, 반투과 반반사층에 대하여 투과율을 높게 하는 것을 중시하고, 따라서 반사율을 낮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 금속 박막을 얇게 함으로써 투과율을 높게 유지하여 반사율을 낮게 한다. 반대로, 반사율을 높게 하는 것을 중시하고, 따라서 투과율을 낮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 금속 박막을 두껍게 함으로써 투과율을 낮게 하여 반사율을 높게 할 수 있다. 그 범위는 사용하는 금속 등에도 의하지만, 통상 1 ㎚ 이상 10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 ㎛ 이하, 나아가서는 10 ㎚ 이상 100 ㎚ 이하의 두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투명 고분자필름에 금속 박막을 부설하는 방법으로서는 증착법이나 스퍼터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는데, 금속을 얇게 압연한 필름을 감압형을 포함하는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해도 된다. 금속 박막을 수지체에 부설할 때에는, 밀착성 향상을 위해 공지된 언더코트층을 형성해도 되고, 금속 박막의 보호를 위해 공지된 오버코트층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의 반투과 반반사층에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 박막」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앞에서 서술한 「수지체」에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박막을 다층 적층하여 반사성능을 부여하는 방법은, 예컨대 J.A.RADFORD 등에 의한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216 면 13 호 (1973 년) 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투과 반반사층의 지상축 또는 진상축과, 이색성 편광소 자의 투과축이 동일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반투과 반반사층의 면내 위상차값이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반투과 반반사층의 「지상축」 또는 「진상축」이란, 각각 이 반투과 반반사층의 면내에서의 굴절율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최소가 되는 방향을 말한다. 이들 축각도나 면내 위상차값의 한정은 이색성 편광소자나 반사형 편광소자를 통과한 편광광의 편광상태가 반투과 반반사층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반투과 반반사층의 지상축 또는 진상축과, 이색성 편광소자의 투과축이 엄밀하게 일치하고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다소의 차이가 있어도 편광상태에 끼치는 영향이 적으면 실질상 동일방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축각도의 상이가 10 °이하이면, 통상은 편광상태에 끼치는 영향은 적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반투과 반반사층의 면내 위상차값에 대해서도 0 ㎚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30 ㎚ 이하이면 통상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축각도나 면내 위상차값의 한정은 특히 반투과 반반사층이 이색성 편광소자와 반사형 편광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광확산성이 약한 경우에는, 이색성 편광소자의 적어도 편측의 면에 광확산층을 적층할 수 있다. 이 「광확산층」으로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체 중에 이 수지체와 굴절율이 다른 입자를 분산시킨 것이나,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체 상에 굴절율이 다른 입자를 분산시킨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피막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확산층에 사용되는 「수지체」 및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피막」 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앞에서 서술한 반투과 반반사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지체」 및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피막」으로서 예시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광확산층에 사용되는 「굴절율이 다른 입자」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기입자, 무기입자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유기입자로서는, 예컨대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고분자 등의 입자를 들 수 있고, 가교된 가교 고분자이어도 된다. 또한, 에틸렌, 프로필렌, 스틸렌, 메타크릴산 메틸, 벤조구아나민, 포름알데히드, 멜라민, 부타디엔 등에서 선택되는 2 종 이상이 공중합되어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무기입자로서는 실리카, 실리콘, 산화티탄, 유리, 산화알루미늄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색상은 무색 또는 백색이 바람직한데, 장식성을 갖게 하기 위해 착색된 미립자를 사용해도 된다. 「광산란층」에서의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산란층」이 전방산란소자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구형 또는 방추형 또는 입방체에 가까운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입경은 너무 작으면 광산란 성능이 발현되지 않고, 너무 크면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였을 때에 표시품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0.1㎛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 첨가량은 원하는 반사율의 대소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통상, 피분산체인 수지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이다.
광확산층을 적층할 때에는 그 광확산층의 지상축 또는 진상축과 이색성 편광 소자의 투과축이 실질상 동일 방향이거나 그 광확산층의 면내 위상차값이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한 경우, 배면 조명장치의 광원 형상을 반영한 휘도 편차가 생기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4 또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투과 반반사층을 2 층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2 층의 반투과 반반사층은 같은 종류의 층을 사용해도 되고 다른 종류의 층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적층할 때에는 공기와의 계면에 따른 광의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각 구성 소자 또는 층 사이에 공기층이 들어가지 않도록 예컨대 감압접착제를 협지하여 밀착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지된 감압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아크릴레이트계 감압접착제, 메타크릴레이트계 감압접착제, 염화비닐계 감압접착제, 합성고무계 감압접착제, 천연고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감압접착제 중에서도 아크릴레이트계 감압접착제는 핸들링성이나 내구성이라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광원장치」 의 일 형태는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와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이색성 편광소자는, 반대측 면에 광원과 반사판이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서,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와 광원 사이에 적어도 1 장의 확산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편광광원장치」 의 다른 형태는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와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이색성 편광소자는 반대측 면에 광원을 단부에 배치한 도광판과 반사판이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서,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와 도광판 사이에 적어도 1 장의 확산 시트 및/또는 적어도 1 장의 렌즈시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광원」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공지된 편광광원장치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냉음극관, 발광다이오드, 무기 또는 유기의 EL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사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공지된 편광광원장치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내부에 공동을 형성한 백색 플라스틱시트, 산화티탄이나 아연화 등의 백색 안료를 표면에 도포한 플라스틱시트, 굴절율이 다른 2 종 이상의 플라스틱필름을 다층 적층하여 이루어진 플라스틱시트, 알루미늄이나 은 등의 금속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시트는 경면 (鏡面) 가공된 것, 조면 (粗面) 가공된 것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 「플라스틱시트」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노르볼넨,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광판」이란, 광원에서 발해진 광을 내부로 입수하여 면형 발광체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공지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광판」으로는 예컨대, 플라스틱시트나 유리판으로 이루어지고 배면측에 요철 처리나 백색 도트 인쇄처리, 홀로그램 처리를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라스틱시트」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 노르볼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확산시트」란, 입사광을 산란 투과하는 시트로, 전체 광선 투과율이 60 % 이상이고 헤이즈율이 10 % 이상의 광학소자이다. 여기에서, 전체 광선 투과율은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 즉,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확산시트」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플라스틱시트나 유리판을 조면화 처리한 것이나 내부에 공동이나 입자를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라스틱시트」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노르볼넨,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면화 처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샌드블라스트나 엠보스롤의 압착에 의한 가공이나 플라스틱입자나 유리입자, 실리콘입자 등을 수지에 혼합한 것을 표면에 도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렌즈시트」란, 광원에서 발해진 광을 집광하는 것으로 공지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시트」로는, 예컨대 플라스틱시트상에 미세한 다수의 프리즘을 형성한 것이나 볼록렌즈나 오목렌즈를 깐 마이크로렌즈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광원장치와 이 편광광원장치의 반사판은 반대측에 액정셀과 이색성 편광소자가 이 순서대로 배 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서, 필요에 따라 이 편광광원장치와 이 액정셀 사이 및/또는 이 액정셀과 이 이색성 편광소자 사이에 광학 보상을 하는 위상차소자나 광확산소자를 개재시켜도 된다. 또, 이들 부재 사이는 감압접착제로 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를 사용하여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
헤이즈 컴퓨터 HGM-2DP (스가 시껭끼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에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감압접착제를 통해 유리판에 붙인 것을 유리판 측에서 측정광이 입사되도록 배치하여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을 측정하였다.
(2) 시감도 (視感度) 보정 투과율
시즈마 자기 분광광도계 UV-2200 (시즈마 세이사꾸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의 시료실 측정광 출사광부에 특정 진동 방향의 편광광을 출사하도록 니콜 프리즘을 설치하였다. 이어서, 이 편광광의 광로 상에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이색성 편광소자측에 감압접착제를 통해 유리판과 붙인 것을 이 편광광이 수직으로 유리판에서 입사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이 편광광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배치하고, 10㎚ 간격으로 입사파장 400㎚ 에서 700㎚ 까지 측정을 하여 각 파장 λ에서의 투과율 T (TD, λ) 를 얻었다. 계속해서, 이들 편광소자의 방향을 90°회전시키고, 10㎚ 간격으로 입사 파장 400㎚ 에서 700㎚ 까지 다시 측정을 하여, 각 파장 λ에서의 편광투과축의 직교축에서의 투과율 T (MD, λ) 을 구하였다. 이들 투과율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JIS Z8701 에 준하여 C 광원 2°시야에서의 자극값 (Y값) 을 계산하여 시감도 보정 투과율로 하였다.
(3) 시감도 보정 편광도
(2) 에서 측정된 투과율을 사용하여 각 파장 λ 에서의 평행 투과율 T ( 평행, λ) 을 (식 1) 로, 각 파장 λ에서의 직교 투과율 T (직교, λ) 를 (식 2) 로 구하였다.
T (평행, λ) = (T (TD, λ)2+ T (MD, λ)2)/2 ‥‥‥‥‥ (식 1)
T (직교, λ) = T (TD, λ) × T (MD, λ) ‥‥‥‥‥‥‥ (식 2)
이들 투과율에서 JIS Z8701 에 준하여 C 광원 2°시야에서의 자극값 (Y 값) 을 계산하여, 각각 시감도 보정 평행 투과율 Y (평행) 과 시감도보정 직교 투과율 Y (직교) 로 하였다. 이들을 이용하여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식 3) 으로 구하였다.
Py = ((Y (평행) - Y (직교)) / (Y (평행) + Y (직교)))1/2‥‥(식 3)
(4) 시감도 보정 반사율
시즈마 자기 분광광도계 UV-3100PC (시즈마 세이사꾸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에 절대 반사율 측정장치를 설치하여,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유리판에 붙인 것을 유리판 측에서 측정광이 입사되도록 배치하고, 입사 파장역 380㎚ 에서 5㎚ 간격으로 780㎚ 까지 측정한 반사율 측정을, 측정광의 편광성분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서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방향을 어느 일방향과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 방향에서 실시하여 평균화시킴으로써 각 파장에서의 반사율을 구하였다. 이어서, 이 분광광도계에 부속된 「컬러 측정 소프트웨어」 를 이용하여 C 광원 2°시야에서의 자극값 (Y 값) 을 계산하여 시감도 보정 반사율로 하였다.
(5) 투과 휘도
도 6 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에 냉음극관으로 이루어진 광원 (51) 을 배치하고, 배면에 백색 도트 인쇄 (54) 를 실시한 도광판 (52) 의 배면측에 발포 PET 로 이루어진 반사판 (53) 을, 전면측에 확산 시트 (55) 를 배치하여 광원 장치 (57) 를 제작하였다. 그 위에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71) 를 이색성 편광소자 (41) 가 유리판 (61) 측에 오도록 감압접착제를 통해 1.1㎜ 두께의 유리판 (61) 과 접착한 것을 배치함으로써 편광광원장치 (72) 를 제작하였다. 분광광도계 수광부와 광파이버 (82) 에 의해 접속된 측광부 (81) 를 편광광원장치 (72) 의 수직방향에 배치하였다. 이 편광광원장치 (72) 의 광원으로서 사용한 냉음극관 (51) 의 「청」「녹」「적」에 대응하는 휘선 스펙트럼은 각각 435㎚, 545㎚, 612㎚ 이었기 때문에 이들 파장에서의 투과수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6) 반사 휘도
라운드 루페 ENV-B-2 (오오쯔까 고오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의 루페를 분리한 것을 고리형 외부 광원장치로서 사용한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라운드루페의 고리형 형광등 (84) 을 베이스로부터 25㎝ 의 높이로 수평이 되도 록 배치하였다. 베이스 상에 여분의 광을 흡수하기 위한 흑지 (85) 를 놓는다. 암실 상태에서 그 흑지 상에 조도계를 놓고 고리형 형광등의 조도가 1000 럭스가 되도록 입력 전력을 조정하였다. 계속해서, 조도계 대신에 유리판에 붙인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유리판이 입사광면이 되도록 중심부에 배치하여 상부에 설치한 휘도계 BM-7 (83) 로 샘플의 반사 휘도를 측정하였다.
이색성 편광소자에는 시판되는 요오드계 편광필름인 상표명 스미카란 SR1862A, SRl872A 및 SRl882A (모두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를 사용하였다. 이들 이색성 편광소자의 시감도 보정 투과율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표 1 에 나타낸다.
반사형 편광소자에는 시판되는 옵티컬 필름 DBEF (스미또모 쓰리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을 사용하였다. 시감도 보정 투과율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표 1 에 나타낸다.
반투과 반반사층에는 펄마이카가 분산된 감압접착제로 이루어진 반투과 반반사층과 백색 안료가 분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반투과 반반사층의 적층 일체품인 시판되는 AS-011 및 펄마이카가 분산된 감압접착제로 이루어진 반투과 반반사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층 일체품인 AS-031 (모두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를 사용하였다. 단, 검토시에는 펄마이카가 분산된 감압접착제로 이루어진 반투과 반반사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반투과 반반사층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도 8 에 구성 개략을 나타낸 바와 같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71) 배 면에 시판되는 렌즈시트 (예컨대, 스미또모 쓰리엠샤 제조 상품명 BEF : 56) 를 배치하고, 또 배면에 시판되는 확산 시트 (예컨대 가부시끼가이샤 기모또 제조 상품명 라이트업 : 55) 을 배치하고, 또한 단부에 냉음극관으로 이루어진 광원 (51) 이 배치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도광판 (52) 을 배치하고, 그리고 배면에 발포 백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반사판 (53) 을 배치함으로써 편광광원장치 (74) 를 제작할 수 있다.
이 편광광원장치 (74) 전면에, 필요에 따라 위상차소자 (예컨대,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상표명 스미카라이트 : 42) 를 배치하고, 또 전면에 액정셀 (20) 을 배치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전면측 위상차소자 (32) 를 배치하고, 그리고 전면측 이색성 편광소자 (31) 를 배치함으로써,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 (75) 를 제작할 수 있다.
[비교예 1]
이색성 편광소자로서 상표명 스미카란 SR1862A 에 반투과 반반사층으로서 AS-011 의 펄마이카가 분산된 감압접착제를 밀착 적층하고, 그리고 반투과 반반사층으로서 AS-011 의 백색 안료가 분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밀착 적층함으로써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 및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이색성 편광소자로서 상표명 스미카란 SR1862A 에 반사형 편광소자로서 옵티 컬필름 DBEF 를 이색성 편광소자와 반사형 편광소자의 투과축이 일치하도록 감압접착제를 통해 밀착 적층하였다. 이 적층 일체품의 시감도 보정 투과율과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이 적층 일체품의 반사형 편광소자측에 반투과 반반사층으로서 AS-011 의 펄마이카가 분산된 감압접착제를 밀착 적층하고, 그리고 반투과 반반사층으로서 AS-011 의 백색 안료가 분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밀착 적층함으로써,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 및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표 3 에 나타낸다.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비교예 1 에 대한 투과수광 강도비 및 반사 휘도비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들 결과에서,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형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화면 밝기는 거의 동일하고, 「투과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색성 편광소자로서 상표명 스미카란 SR187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하였다. 시감도 보정 투과율과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표 2 에,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 및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표 3 에, 비교예 1 에 대한 투과수광 강도비 및 반사 휘도비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들 결과에서,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반투과 반반사형 액 정표시장치는 「반사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형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화면 밝기는 거의 동일하고, 「투과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색성 편광소자로서 상표명 스미카란 SR188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하였다. 시감도 보정 투과율과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표 2 에,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 및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표 3 에, 비교예 1 에 대한 투과수광 강도비 및 반사 휘도비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들 결과에서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형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화면 밝기는 거의 동일하고, 「투과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4]
이색성 편광소자로서 상표명 스미카란 SR1862A 에 반사형 편광소자로서 옵티컬필름 DBEF 를 이색성 편광소자와 반사형 편광소자의 투과축이 일치하도록 감압접착제를 통해 밀착 적층하였다. 이 적층 일체품의 시감도 보정 투과율과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이 적층 일체품의 반사형 편광소자측에 반투과 반반사층으로서 AS-011 의 펄마이카가 분산된 감압접착제를 밀착 적층하 고, 그리고 AS-011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밀착 적층함으로써,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비교예 1 에 대한 투과수광 강도비 및 반사 휘도비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들 결과에서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형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화면 밝기는 약간 저하되지만, 「투과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비교예 2]
이색성 편광소자 SR1862A 에 반투과 반반사층으로서 AS-031 의 펄마이카가 분산된 감압접착제를 밀착 적층하고, 그리고 반투과 반반사층으로서 AS-031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밀착 적층함으로써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 및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이색성 편광소자로서 상표명 스미카란 SR1862A 에 반사형 편광소자로서 옵티컬필름 DBEF 를, 이색성 편광소자와 반사형 편광소자의 투과축이 일치하도록 감압접착제를 통해 밀착 적층하고, 또 반투과 반반사층으로서 AS-031 의 펄마이카가 분산된 감압접착제를 밀착 적층하고, 그리고 AS-031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밀착 적층함으로써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 및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표 3 에 나타낸다.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비교예 2 에 대한 투과수광 강도비 및 반사 휘도비를 표 5 에 나타낸다.
이들 결과에서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형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화면 밝기는 거의 동일하고, 「투과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6]
이색성 편광소자로서 상표명 스미카란 SR187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평가를 하였다.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 및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표 3 에, 비교예 2 에 대한 투과수광 강도비 및 반사 휘도비를 표 5 에 나타낸다.
이들 결과에서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형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화면 밝기는 거의 동일하고, 「투과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7]
이색성 편광소자로서 상표명 스미카란 SR188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4 와 동일한 평가를 하였다.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 및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표 3 에, 비교예 2 에 대한 투과수광 강도비 및 반사 휘도비를 표 5 에 나타낸다.
이들 결과에서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형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화면 밝기는 거의 동일하고, 「투과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8]
이색성 편광소자로서 상표명 스미카란 SR1862A 에 반투과 반반사층으로서 AS-031 의 펄마이카가 분산된 감압접착제를 밀착 적층하고, 그리고 반반사형 편광소자로서 옵티컬필름 DBEF 를, 이색성 편광소자와 반사형 편광소자의 투과축이 일치하도록 밀착 적층함으로써,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전체 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율 및 시감도 보정 반사율을 표 3 에 나타낸다.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의 비교예 2 에 대한 투과수광 강도비 및 반사 휘도비를 표 5 에 나타낸다.
이들 결과에서 이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화면 밝기는 약간 상승되고, 「투과형」으로서 사용할 때에는 종래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시감도 보정 투과율 (%) 시감도 보정 편광도 (%)
SR1862A 43.2 99.9
SR1872A 44.1 99.5
SR1882A 45.2 96.7
DBEF 44.8 94.7
시감도 보정 투과율 (%) 시감도 보정 편광도 (%)
실시예 1 40.9 100.0
실시예 2 41.6 100.0
실시예 3 42.1 99.8
전체 광선 투과율 (%) 헤이즈율 (%) 시감도 보정 반사율 (%)
비교예 1 14.3 91.6 26.1
실시예 1 17.5 91.2 25.8
실시예 2 17.8 91.3 26.9
실시예 3 18.0 91.7 27.5
실시예 4 16.4 82.1 25.1
비교예 2 24.3 63.6 19.3
실시예 5 26.0 66.3 19.1
실시예 6 26.5 66.0 19.5
실시예 7 26.7 65.7 20.0
실시예 8 23.0 64.1 19.4
투과수광 강도비 반사 휘도비
435㎚ 545㎚ 612㎚
실시예 1 1.48 1.44 1.37 0.97
실시예 2 1.56 1.48 1.40 1.00
실시예 3 1.64 1.51 1.44 1.07
실시예 4 1.64 1.57 1.49 0.91
투과수광 강도비 반사 휘도비
435㎚ 545㎚ 612㎚
실시예 5 1.31 1.30 1.26 1.04
실시예 6 1.37 1.32 1.30 0.99
실시예 7 1.42 1.36 1.32 1.02
실시예 8 1.11 1.19 1.20 1.08

본 발명의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를 사용하면 반사 휘도는 종래와 동등하면서 종래와 동일 소비 전력으로 더 밝은 화면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화면 휘도라면 소비 전력을 적게 할 수 있으며, 1 회의 배터리 충전으로 장시간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배터리 용량을 작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Claims (16)

  1. 이색성 편광소자, 반사형 편광소자, 및 반투과 반반사층이, 상기 이색성 편광소자의 투과축과 상기 반사형 편광소자의 투과축이 동일방향이 되도록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색성 편광소자가 요오드계 편광필름 또는 염료계 편광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색성 편광소자의 양측의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광확산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소자는 2 종 이상의 고분자필름의 다층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소자는 2 종 이상의 고분자가 해도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편광소자는 콜레스테릭액정으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4 분의 1 파장판이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반사층의 지상축 또는 진상축과, 상기 이색성 편광소자의 투과축이 동일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반사층의 면내 위상차값이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반사층은 금속 박막이 고분자필름 표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반사층은 인편형 반사성 입자가 감압접착제 중에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편형 반사성 입자는 운모 한쪽 표면에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12. 제 1 항에 기재된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광원, 및 반사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광원장치.
  13. 제 1 항에 기재된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광원을 단부에 배치한 도광판, 및 반사판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광원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기재된 편광광원장치, 액정셀, 및 이색성 편광소자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와 액정셀 사이 및 액정셀과 이색성 편광소자 사이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1 장 이상의 위상차소자가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셀과 이색성 편광소자 사이에 광확산층이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020010004456A 2000-02-07 2001-01-31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KR100806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9158 2000-02-07
JP2000029158A JP2001215333A (ja) 2000-02-07 2000-02-07 半透過半反射性偏光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176A KR20010078176A (ko) 2001-08-20
KR100806089B1 true KR100806089B1 (ko) 2008-02-21

Family

ID=1855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456A KR100806089B1 (ko) 2000-02-07 2001-01-31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10022997A1 (ko)
JP (1) JP2001215333A (ko)
KR (1) KR100806089B1 (ko)
TW (1) TW5780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253A (ko) * 2014-12-11 2022-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624A (ja) * 2000-11-06 2002-05-17 Nitto Denko Corp 光学素子、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598987B2 (ja) * 2001-03-28 2004-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579439B (en) * 2001-06-04 2004-03-11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Semi-transmitting reflection film
WO2003034103A1 (fr) * 2001-10-12 2003-04-2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Feuille de dosage de la lumie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tte feuille
US20040109111A1 (en) * 2001-12-11 2004-06-10 Masumitsu Ino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3748406B2 (ja) * 2001-12-18 2006-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US7382466B2 (en) * 2002-04-11 2008-06-03 Zygo Corporation Coating for reflective optical components
US6908202B2 (en) * 2002-10-03 2005-06-21 General Electric Company Bulk diffuser for flat panel display
US6909486B2 (en) * 2003-02-18 2005-06-21 Ran-Hong Raymond Wang Liquid crystal display viewable under all lighting conditions
US20040196420A1 (en) * 2003-03-20 2004-10-07 Jie-Farn Wu Display apparatus with mirror function
KR100947182B1 (ko) * 2003-07-02 2010-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코팅형 광학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JP2005227606A (ja) * 2004-02-13 2005-08-25 Jsr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これらを使用した液晶表示素子
US7710511B2 (en) * 2004-10-15 2010-05-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laminated diffuser plates
KR100756067B1 (ko) * 2004-10-26 2007-09-07 (주)비노시스 편광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2928B1 (ko) * 2005-04-19 2008-03-1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US7633583B2 (en) 2005-05-23 2009-12-15 Ran-Hong Raymond Wang Controlling polarization for liquid crystal displays
DE102006023993A1 (de) * 2005-05-23 2007-03-08 Wang, Ran-Hong, Tustin Polarisationssteuerung für Flüssigkristallanzeigen
KR20070081577A (ko) * 2006-02-13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8268264A (ja) * 2007-04-16 2008-11-06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TWI605276B (zh) * 2009-04-15 2017-11-11 3M新設資產公司 光學結構及包含該光學結構之顯示系統
KR101291901B1 (ko) * 2009-08-05 2013-07-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846364B1 (ko) * 2011-07-29 2018-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6083924B2 (ja) 2011-08-05 2017-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光学積層体のセット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液晶パネル
KR20150094827A (ko) * 2014-02-10 2015-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거울 겸용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7640B1 (ko) * 2018-01-30 2022-11-1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960A (ko) * 1997-10-09 1999-05-25 야마모토 히데키 편광 소자, 광학 소자,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222622B1 (ko) * 1994-09-16 1999-10-01 니시무로 타이죠 표시 장치
JP2003029251A (ja) * 2001-07-16 2003-01-29 Nec Corp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5648A (en) * 1980-10-30 1985-10-08 Polaroid Corporation Nacreous transflector illumination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6096375A (en) * 1993-12-21 2000-08-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polarizer
CA2339153C (en) * 1998-07-31 2008-07-29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Reflectors and transflectors
US6199989B1 (en) * 1998-10-29 2001-03-1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Optical plate having reflecting function and transmitt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622B1 (ko) * 1994-09-16 1999-10-01 니시무로 타이죠 표시 장치
KR19990036960A (ko) * 1997-10-09 1999-05-25 야마모토 히데키 편광 소자, 광학 소자,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3029251A (ja) * 2001-07-16 2003-01-29 Nec Corp 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253A (ko) * 2014-12-11 2022-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90632B1 (ko) * 2014-12-11 2023-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15333A (ja) 2001-08-10
US20010022997A1 (en) 2001-09-20
TW578024B (en) 2004-03-01
KR20010078176A (ko) 200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089B1 (ko)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US11675117B2 (en) Optical film including collimating reflective polarizer
KR20030004062A (ko) 반투과 반반사성 필름,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필름 및 이를사용하는 편광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KR100750838B1 (ko) 산란 시트, 그것을 이용한 적층 시트 및 액정표시장치
JP4225042B2 (ja) 半透過半反射性偏光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I637198B (zh) 聚合多層光學膜
KR20090024739A (ko) 비드화 층을 포함하는 광학 용품
JP2004354678A (ja) 偏光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6952245B2 (en) Polarizing plate having polarizer sides covered with low moisture permeable layers with permeability different than protective films covering the polarizer surfaces
US6807005B2 (en) Polarizer, polarizing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2341343A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345958A (ja) 液晶パネル、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030147042A1 (en) Polarizing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4051933B2 (ja) 半透過半反射性偏光素子を備える偏光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30086169A1 (en) Polarization material, illuminat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H10206615A (ja) 半透過型反射板、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4038064A (ja) 積層偏光フィルム、偏光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235623A (ja) 半透過半反射性偏光素子
JP2004037988A (ja) 積層偏光フィルム及びそれの光学装置への適用
JP2003177236A (ja) 干渉型半透過反射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干渉型半透過反射板付き偏光板、半透過反射液晶基板、ならびに半透過反射液晶表示装置
JP2003215570A (ja) 半透過半反射型液晶表示装置とそれ用の光源装置及びフィルム
JP2001228310A (ja) 拡散シート、光源装置、偏光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3004944A (ja) 半透過半反射性偏光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装置
JP2002022947A (ja) 散乱型楕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410092B2 (ja) 光学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