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928B1 -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928B1
KR100812928B1 KR1020050032265A KR20050032265A KR100812928B1 KR 100812928 B1 KR100812928 B1 KR 100812928B1 KR 1020050032265 A KR1020050032265 A KR 1020050032265A KR 20050032265 A KR20050032265 A KR 20050032265A KR 100812928 B1 KR100812928 B1 KR 100812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olarizing film
metal coating
film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077A (ko
Inventor
신동윤
김진웅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Priority to KR1020050032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92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을 일정 두께로 코팅하고 식각액을 이용하여 금속 코팅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투과 기능과 반투과 기능을 하나의 편광필름에서 갖도록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하나의 편광필름에서 투과 부분과 반투과 부분을 동시에 가지는 것을 물론 금속코팅필름과 편광필름을 합지시 사용하는 광확산 기능을 가지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광확산 기능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금속, 코팅, 식각

Description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film with partly semi-permeat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편광필름 제조방법을 통하여 만들어진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투과 부분 20 : 투과 부분
본 발명은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을 일정 두께로 코팅하고 식각액을 이용하여 금속 코팅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투과 기능과 반투과 기능을 하나의 편광필름에서 갖도록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필름 및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인 편광필름과 반투과 편광필름이 각각 존재하였다. 투과 편광필름과 반투과 편광필름의 특성을 모두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두 개의 편광필름을 개별적으로 붙여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두 개의 편광필름을 물리 적으로 붙이는 경우 그 경계선이 일정치 않을 수 있고 부착 공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자동화 공정을 도입하기도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편광필름의 반사 기능 없이 LCD 모듈 또는 백라이트 모듈의 반사 기능 만을 활용하여 반사 모드에서의 LCD 구동을 하여 식별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방법의 경우 외부 빛의 활용률(반사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밝은 곳이 아니면 쉽게 화면을 인식하기가 매우 어렵다. 더욱이 반사율이 낮기 때문에 흑백의 색만 구현이 가능하고 다양한 색깔의 구동은 어렵다.
하지만, 금속 코팅 필름을 사용한 편광필름을 적용할 경우 LCD 의 반사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더 밝은 화면 구동이 가능하고 다양한 색깔의 패턴도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한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의 제공을 통하여 하나의 편광필름에서 투과형 편광필름과 반투과 편광필름을 동시에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광확산 미립자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부분 반투과 기능은 물론 광확산 기능도 할 수 있는 편광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한 편광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은 편광자 제조단계, 편광자보호층 접착단계, 금속 코팅단계, 금속코팅필름 식각단계, 금속코팅필름 합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편광자 제조단계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이하 'PVA'라 함)을 요오드(Iodine)나 이색성 염료 용액으로 처리한 후 연신하여 요오드나 염료 분자가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하도록 하여 편광기재 필름으로 하는 층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편광자는 중합도 1,700 내지 2,800, 비누화도 80% 내지 99.9%의 PVA를 사용한다. PVA 두께는 4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PVA 필름을 10℃ 내지 35℃ 의 물에 세정한다.
PVA의 중합도가 1,700 보다 작으면 편광기재로서 광학적 특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중합도가 2,800 보다 크면 편광자를 가공하기 위한 기계적 성능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또한, 비누화도는 가공 후 편광자의 신뢰성 및 내구성,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층과의 합지를 위하여 일정 범위의 비누화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VA 두께가 40㎛ 보다 작으면 PVA 연신 후 본 발명에서 원하는 두께를 얻기 힘들고 80㎛ 보다 크면 보통 이상의 연신을 하여야 하며, 연신후 PVA가 전체적으로 고르지 않을 수 있다. PVA 필름을 세정하는 물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으면 연신 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PVA 필름이 수축되거나 물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세정한 PVA를 붕산 또는 붕사가 8중량% 이하 녹아있는 물에서 팽윤시킨다. 팽윤시킬 때 물의 온도는 1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팽윤시키는 시간은 30초 내지 5분이 바람직하다.(팽윤과정)
붕산 또는 붕사의 함량이 8중량% 보다 많으면 지나치게 PVA가 팽윤 되지 않아 이색성 물질의 염색이 잘 되지 않아 편광자의 광학특성 및 외관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팽윤시킬 때 물의 온도가 15℃ 보다 낮으면 붕산 또는 붕사와의 반응 및 물에 의한 PVA 필름 팽윤 반응이 활발하지 못하고, 40℃보다 높으면 팽윤이 지나치게 활발하여 제어하기 힘들다. 팽윤 시간이 너무 짧으면 원하는 정도의 팽윤 상태를 얻을 수 없고, 팽윤 시간이 너무 길면 PVA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팽윤된 PVA 필름을 요오드와 요오드화 칼륨 또는 요오드화 암모늄을 1:2 내지 1:150 비율로 물에 녹여서 0.0001중량% 내지 0.1중량%의 농도를 염착한다. 염착하는 시간은 10초 내지 10분 동안 진행한다. 또한, 염착 과장시 온도는 25℃ 내지 45℃ 범위에서 진행한다.(염착과정)
요오드와 요오드화 칼륨 또는 요오드화 암모늄의 비율은 적정수준의 염착을 얻기 위하여 혼합하며, 1:2 내지 1:150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염착되는 요 오드 이온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많아 균일한 광학특성 및 색상 값을 얻기 어렵다. 요오드와 요오드화 칼륨 또는 요오드화 암모늄의 농도가 0.0001중량% 보다 적으면 염착이 일어나더라도 염착되는 양이 극히 적어 얻고자 하는 광학특성을 얻기 힘들고 농도가 0.1중량% 보다 크면 PVA가 지나치게 염착되어 매우 낮은 투과율의 편광필름이 된다.
상기 혼합비율과 농도 조건 하에서 염착 시간은 전술한 범위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착 후 8% 농도 이하의 붕산 또는 붕사를 이용하여 가교시키고, 온도가 40℃ 내지 60℃ 물속에서 PVA 필름을 3배 내지 7배 연신한다. 연신된 PVA 필름을 온도 40℃ 내지 85℃의 건조기 안에서 1분 내지 10분 동안 건조한다.
붕산 또는 붕사 농도가 0.1% 보다 작으면 가교 반응이 활발하지 못하고, 8% 보다 크면 과도하게 가교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PVA 필름의 내구성 및 광학적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연신할 수 있는 범위는 3배 내지 7배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팽윤과정과 가교과정을 거친 후 연신과정을 진행하거나, 연신과정을 거친 후 다시 가교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2) 편광자보호층 접착단계
편광자 보호층은 소수성 투명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편광자 상하 양측에 부착되어 편광자를 지지 및 보호하는 층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편광자 보호층으 로 트리아세틸 셀룰로스(triacetyl cellulose, 이하 'TAC'이라 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면 편광자 보호층은 TAC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TAC필름의 두께는 4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PVA 필름을 건조한 후 중합도 800 내지 3,000, 비누화도 80% 내지 99.9%의 PVA를 녹인 0.5중량% 내지 5중량% 수용액을 접착제로 사용하여 20℃ 내지 40℃의 온도 범위에서 건조된 PVA 필름의 양쪽에 TAC 필름을 접착한다.
TAC필름을 편광자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는 PVA와 접합성, 접합후 물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PVA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PVA 함량이 0.5중량% 보다 작으면 두 필름이 접합한 후 편광필름의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고, 5중량% 보다 크면 광학특성에 손상이 가고 외관 불량을 야기시켜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편광자보호층 접착단계에서는 TAC 필름을 접착하기 전에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농도가 5중량% 내지 25중량% 범위에서 온도가 30℃ 내지 70℃인 수용액에서 10초 내지 10분 동안 담그어 TAC 필름의 표면을 친수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AC 필름 표면을 친수성화하기 위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의 농도가 5중량% 보다 작으면 소수성을 친수성으로 바꾸는데 충분하지 못하고, 25중량% 보다 크면 편광필름의 광학적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 륨 수용액의 온도가 30℃ 보다 작으면 반응이 활발하지 못하고 70℃ 이상이면 편광필름의 광학적 물성에 영향을 미치고 TAC 필름의 외관을 손상할 수 있다. 친수성화에 걸리는 시간은 온도와 농도 조건 등을 감안하여 10초 보다는 길고, 10분 보다는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친수성화된 TAC 필름과 PVA를 일정 농도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PVA 필름과 합지한다. TAC 필름과 접착된 PVA 필름을 50℃ 내지 110℃의 건조기 안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건조시켜서 편광필름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금속 코팅단계
TAC(triacetyl cellulose),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poly ethylene), PC(poly carbonate), PMMA(Poly methylmethacrylate) 등과 같은 고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만들어진 고분자 필름에 금속을 코팅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필름에 사용하는 투명수지는 상기 언급된 고분자 수지에 한정하지 않고, 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아미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케톤계 중합체, 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 알콜계 중합체, 비닐리덴 클로라이드계 중합체, 비닐 부티랄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상기 중합체의 블렌드 중합체, 우레판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상기 중합체의 블렌드 중합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필름은 20㎛ 내지 80㎛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이다. 고분자 필름에 코팅되는 금속 코팅층은 투과율, 반사율 값에 따라 그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한 투과율의 범위는 0% 내지 50%이며, 반사율의 범위는 50% 내지 100%이다.
코팅되는 금속은 은(Ag), 금(Au), 구리(Cu), 알루미늄(Al), 백금(Pt), 니켈(Ni), 크롬(Cr), 납(Pb), 코발트(Co), 로듐(Rh), 루테늄(Ru), 주석(Sn), 이리듐(Ir), 팔라듐(Pd), 티탄(Ti)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속 코팅방법은 증착 코팅방법, 스퍼터링 코팅방법, 전자빔 코팅방법 등 다양한 코팅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4) 금속코팅필름 식각단계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두께로 코팅된 금속 코팅층을 일정한 모양 또는 패턴으로 식각한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 코팅층에 일정한 모양 또는 패턴을 가지도록 하는 위하여 전체 금속 코팅층에서 일부분을 식각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일정한 모양이나 패턴을 가진 코팅층을 고분자필름에 곧바로 코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금속 코팅층을 식각할 때 사용하는 식각액은 물(H2O), 불화수소(HF), 과산화수소(H2O2), 인산(H3PO4), 질산(HNO3), 초산, 수산화암모늄, 칼륨염, 나트륨염, 암모니아염, 알칼리수용액,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알코올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을 통하여 만들어진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은 도 1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편광필름에 투과 부분(20)과 반투과 부분(10)이 함께 존재한다. 도 1의 반투과 부분(10)에 해당하는 금속 코팅층의 너비는 0.1㎜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과 부분(20)에 해당하는 식각 처리된 부분의 너비는 0.5㎜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투과 부분의 너비가 0.1㎜ 보다 작으면 정밀하게 식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반투과 부분의 너비가 70㎜보다 크면 실제 편광필름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투과 부분의 너비가 0.5㎜ 보다 작으면 식각부분이 지나치게 넓어 경제성이 떨어지며, 투과 부분의 너비가 200㎜보다 크면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을 제조하는 이점이 크지 않다.
(5) 금속코팅필름 합지단계
합지단계에서는 편광자와 편광자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필름과 금속코팅필름을 합지한다.
합지시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아크릴계 점착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면 다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외에 스타이렌계 점착제, 기타 투명수지 화합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점착제의 기본 수지는 분자량 40만 내지 200만 범위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만 내지 200만이다. 분자량이 40만 이하면 점착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분자량이 200만 이상의 점착제는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는 확산 기능 및 반사 시인성 확대를 위하여 광확산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광확산 미립자는 실리카,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점토, 활석, 이산화티타늄, 산화세슘 등의 무기계 백색안료,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타이렌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단독 또는 코폴리머 등의 유기계의 투명 또는 백색 안료를 사용한다. 또한 아크릴계 고분자를 점착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 광확산에 필요한 굴절율 및 확산 정도를 만족하는 고분자 비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비드로는 멜라민 비드(굴절율 : 1.57), 아크릴 비드(굴절율:1.47), 아크릴-스타이렌 비드(굴절율 : 1.54), 폴리카보네이트 비드, 폴리에틸렌 비드, 염화비닐 비드 등이 있다.
필요에 따라서 광확산 미립자는 천연물이나 합성물의 수지류, 특히 점착성 부여 수지나, 유리섬유, 유리비드, 금속가루, 그 밖의 무기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나 안료, 착색제, 산화방지제 등을 점착 조성물에 첨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확산 미립자를 통하여 분산성이 우수하고 균일하고 높은 광확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광확산 미립자의 형상은 균일한 구상 또는 침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 미립자의 입자 직경은 0.5㎛ 내지 1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7㎛이다. 광확산 미립자의 입자 직경이 0.5㎛보다 작으면 가시광의 빛이 확산되는 효과가 적어 만족스러운 광확산 효과를 얻기가 힘들고, 광확산성이 저하되어 화상이 알루미늄 색상으로 변색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확산 미립자의 입자 직경이 10㎛보다 크면 점착 조성물에서 광확산 미립자로 인해 가시광 빛의 확산 정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화면의 배경이 거칠어지기 쉽고 화상 콘트라스트가 악화된다.
점착제의 확산 비율은 헤이즈 값으로 0.5% 내지 95%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 기본 수지 100 중량% 에 대하여 광확산 미립자의 함량은 0.5 중량%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층의 두께는 1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5㎛다.
점착제의 헤이즈 값이 95% 이상이면 전체적인 투명성이 저하되며, 점착제에 포함되는 광확산 미립자의 영향으로 헤이즈 값이 증가하여 0.5% 보다 작게 유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점착제의 두께는 광확산 미립자의 입자 크기를 고려하여 조정하는 것 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15㎛ 보다 작으면 광확산 미립자의 크기로 인하여 요철이 생길 수 있으며, 30㎛ 보다 크면 헤이즈, 광학물성 등이 원하는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확산 미립자의 굴절율은 점착제의 굴절율에 대하여 0.01 내지 0.4 의 차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굴절율 차이는 0.07 내지 0.3이다. 굴절율 차이가 0.01 보다 작으면 광확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굴절율차가 0.4보다 크면 내부 산란이 지나치게 크고 전체 광선 투과율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광확산 미립자의 굴절율은 점착 조성물의 굴절율보다 낮아야 굴절율 조정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한 편광필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원단을 일정한 크기로 정밀 절단(cutting)하여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칩(chip) 완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이 적용된 브라운관표시장치(CRT, cathode-ray tube),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al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nel)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도 본 발명에서 보 호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각 단계의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단계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용이하게 변환 또는 삭제 가능한 범위까지 포함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가능한 다양한 변형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전술한 기술적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편광필름에서 투과 부분과 반투과 부분을 동시에 가지는 편광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코팅필름과 편광필름을 합지시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부분 반투과 편광 기능은 물론 광확산 기능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코팅필름을 사용한 편광필름을 적용하여 LCD의 반사율이 향상시켜 더 밝은 화면 구동이 가능하고 다양한 색깔의 패턴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편광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팽윤공정, 염색공정, 수세공정, 연신공정 및 가교공정을 통하여 편광자를 제조하는 편광자 제조단계;
    상기 편광자의 상하 양측에 편광자보호층을 접착하는 편광자보호층 접착단계;
    두께가 20㎛ 내지 80㎛인 고분자 필름에 금속을 코팅하는 금속 코팅단계;
    금속이 코팅된 금속코팅필름에 식각액을 이용하여 코팅된 금속 일부분을 식각하여 다양한 모양 또는 패턴의 금속 코팅층을 만드는 금속코팅필름 식각단계;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필름과 상기 금속코팅필름을 합지하는 금속코팅필름 합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팅단계에서 코팅되는 금속은 은(Ag), 금(Au), 구리(Cu), 알루미늄(Al), 백금(Pt), 니켈(Ni), 크롬(Cr), 납(Pb), 코발트(Co), 로듐(Rh), 루테늄(Ru), 주석(Sn), 이리듐(Ir), 팔라듐(Pd), 티탄(Ti)을 단독 또는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팅단계에서 사용하는 고분자 필름은 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아미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설폰계 중합체, 케톤계 중합체, 설파이드계 중합체, 비닐 알콜계 중합체, 비닐리덴 클로라이드계 중합체, 비닐 부티랄계 중합체, 알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상기 중합체의 블렌드 중합체, 우레판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상기 중합체의 블렌드 중합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코팅필름 식각단계에서 사용하는 상기 식각액은 물(H2O), 불화수소(HF), 과산화수소(H2O2), 인산(H3PO4), 질산(HNO3), 초산, 수산화암모늄, 칼륨염, 나트륨염, 암모니아염, 알칼리수용액,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알코올을 단독 또는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코팅필름 합지단계에서 사용하는 점착제의 기본수지는 분자량 40만 내지 200만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층 두께가 1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헤이즈 값이 0.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실리카,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점토, 활석, 이산화티타늄, 산화세슘,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멜라민 비드, 아크릴 비드, 아크릴-스티렌 비드, 폴리카보네이트 비드, 폴리에틸렌 비드, 염화비닐 비드 중 적어도 하나의 광확산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미립자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 에 대하여 0.5 중량%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미립자의 크기는 입자 직경이 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050032265A 2005-04-19 2005-04-19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KR10081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65A KR100812928B1 (ko) 2005-04-19 2005-04-19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65A KR100812928B1 (ko) 2005-04-19 2005-04-19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077A KR20060110077A (ko) 2006-10-24
KR100812928B1 true KR100812928B1 (ko) 2008-03-11

Family

ID=3761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265A KR100812928B1 (ko) 2005-04-19 2005-04-19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55B1 (ko) * 2016-11-16 2019-04-1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인쇄를 이용한 전방 투사 방식의 홀로그램 호일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0627A (ja) * 1992-11-24 1994-06-0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78176A (ko) * 2000-02-07 2001-08-20 고사이 아끼오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JP2004004777A (ja) * 2002-04-24 2004-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フィルム、偏光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0627A (ja) * 1992-11-24 1994-06-0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78176A (ko) * 2000-02-07 2001-08-20 고사이 아끼오 반투과 반반사성 편광소자
JP2004004777A (ja) * 2002-04-24 2004-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フィルム、偏光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6160627
1020010078176
1600477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077A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6256B (zh) An optical laminate having a polarizing film
JP5602823B2 (ja)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性積層フィルム
WO2011125958A1 (ja) 偏光性積層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EP1840605A1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employing them
KR20140069096A (ko) 연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6116880B2 (ja)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CN106959484A (zh) 偏振片、偏光板和图像显示装置
JP2009186995A (ja) 偏光板
KR20020079496A (ko)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을 이용한 광학 필름 및 액정표시장치
JP2013182162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1113018A (ja) 偏光板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1150313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901479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6234977B2 (ja)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90086571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2012013764A (ja)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20203647A1 (ja) 光学フィルム
JP2002365432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1518499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편광판
JP4859038B2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812928B1 (ko) 부분 반투과 편광필름 제조방법
JP2005266325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20180081568A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6601523B2 (ja) 偏光能を示さない領域を有する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2006195320A (ja)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316

Effective date: 2008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