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374B1 -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 Google Patents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374B1
KR100804374B1 KR1020060074245A KR20060074245A KR100804374B1 KR 100804374 B1 KR100804374 B1 KR 100804374B1 KR 1020060074245 A KR1020060074245 A KR 1020060074245A KR 20060074245 A KR20060074245 A KR 20060074245A KR 100804374 B1 KR100804374 B1 KR 100804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vehicle body
link
shaft
connec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001A (ko
Inventor
스스무 미치사카
다카시 스즈키
쥰지 아이하라
노리히코 사사키
히데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유닛 및 후륜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구조를 간소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연결 로드(84)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연결 로드(84)의 타단에 파워 유닛(56)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와 연결 로드(84)에, 파워 유닛(56)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기구(105)를 장착하고, 연결 로드(84)에 장착한 제3 피벗축(93)과 제4 피벗축(94)과 연결하는 선분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제4 피벗축(94)을 연결 로드(84)로 고무 부시(111)를 통하여 지지하였다.

Description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POWER UNIT SUSPENSION DEVICE FOR SCOOTER TYP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파워 유닛 현가 장치를 구비한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도(제1 실시형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 중앙부 및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제1 사시도(제1 실시형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 중앙부 및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제2 사시도(제1 실시형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제1 실시형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의 스톱퍼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제1 실시형태)이다. ·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주요부 측면도(제1 실시형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제1 실시형태)이다.
도 8은 도 6의 8-8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9-9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10-10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스톱퍼 기구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제1 실시형태)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스톱퍼 기구 및 연결 로드에 의한 스톱퍼 구조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제1 실시형태)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 중앙부 및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제2 실시형태)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제2 실시형태)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주요부 측면도(제2 실시형태)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제2 실시형태)이다.
도 17은 도 15의 17-17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제3 실시형태)이다.
도 19는 도 18의 19-19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제4 실시형태)이다.
도 21은 도 20의 21-21선 단면도(제4 실시형태)이다.
도 22는 도 20의 22-22선 단면도(제4 실시형태)이다.
도 23은 도 20의 23-23선 단면도(제4 실시형태)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부시 스톱퍼 기구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쿠터형 차량 11 : 차체(차체 프레임)
14 : 구동륜(후륜)
16A, 16B, 16C : 파워 유닛 현가 장치
26, 231c : 규제부(메인 프레임, 후벽)
31c : 절결 55 : 링크 기구
56 : 파워 유닛 59 : 엔진
61 : 메인 스탠드 81, 311 : 제1 링크,
82, 312 : 제2 링크 84, 236 : 연결 로드
84a : 돌기
93, 233 : 차체측 연결축(제3 피벗축)
94 : 파워 유닛측 연결축(제4 피벗축)
95 : 제2 차체측 연결축(중간축) 105, 266 : 스톱퍼 기구
111 : 탄성 부재(고무 부시)
123a, 123b, 128a, 128b : 구멍부 131, 132, 133 : 선분
175 : 제1 연결 지지부(왼쪽 아암)
178 : 제2 연결 지지부(단부 아암) 236A : 연장부
237 : 탄성체(스톱퍼 고무) 315 : 연결 부재
116 : 외통
361c : 규제 수단(스톱퍼)
366, 398: 탄성 부재(고무, 스톱퍼용 고무)
본 발명은,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로서, 차체에 링크 기구를 통하여 파워 유닛을 연결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소 62-120288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도 6을 이하에 설명한다.
메인 프레임(8)에는 제1 링크(21)의 일단이 지지축(14)으로 상하 스윙 자유롭게 장착되고, 제1 링크(21)의 타단에는 제2 링크(31)의 일단이 지지축(38)으로 스윙 자유롭게 연결되고, 제2 링크(31)의 타단에는 후부(後部) 차체 부분(파워 유닛)(3)이 볼트(42)로 스윙 자유롭게 연결된다.
제1 링크(21)는, 그 길이 방향이 뒤쪽으로 또한 경사 위쪽으로 연장되어, 제1 링크(21)에는 2갈래 형상 지지편(28, 28), 이 2갈래 형상 지지편(28, 28)에 장착되고, 크로스 멤버(12)와의 사이에 개재된 고무편(46, 46)이 설치되고, 이들 고무편(46, 46)이 압축에 의해 변형함에 따라서 파워 유닛(3)의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윽고 최대 압축 변형에 도달하면,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제2 링크(31)는 그 길이 방향이 뒤쪽으로 또한 경사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제1 링크(21)에는 돌출편(44), 제2 링크(31)에는 레버(45), 이 돌출편(44)을 관통하여 볼트 너트(55)에 의해 레버(45)에 연결되는 축(49), 돌출편(44)을 끼고 축(49)에 헐겁게 끼워맞춤되는 압축 고무편(47, 48)이 설치되고, 이들 압축 고무편(47, 48)이 압축에 의해 변형함에 따라서 파워 유닛(3)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허용되고, 이윽고 최대 압축 변형에 도달하면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차량에서는, 파워 유닛(3)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구를 제1 링크(21)에, 파워 유닛(3)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구를 제1 링크(21) 및 제2 링크(31)에 걸쳐서 배치하는 동시에, 각각 상이한 기구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부품 수가 증가하는 동시에, 구조가 복잡해져, 비용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워 유닛 및 후륜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파워 유닛에 엔진과 구동륜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차체에 파워 유닛을 스윙 자유롭게 현가하고, 차체에 제1 링크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는 동시에 제1 링크를 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 제1 링크의 타단에 제2 링크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는 동시에 제2 링크를 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 제2 링크의 타단에 파워 유닛을 스윙 자유롭게 연결하고, 차체에 연결 로드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연결 로드의 타단에 파워 유닛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차체와 연결 로드에, 파워 유닛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기구를 설치하고, 연결 로드에 설치한 차체측 연결축과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연결하는 선분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연결 로드로 탄성 부재를 통하여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로드의 작용으로서, 차체에 연결 로드의 일단(一端)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연결 로드에 설치한 차체측 연결축과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연결하는 선분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이 연결 로드와, 차체에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는 동시에 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한 제1 링크로, 파워 유닛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고, 파워 유닛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스톱퍼 기구로 규제하고, 또한, 연결 로드에 파워 유닛으로부터 상하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 변형과 제2 링크로 파워 유닛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고, 탄성 부재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이 커졌을 때에, 이 탄성력으로 파워 유닛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연결 로드에는, 차체측 연결축과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사이에 제2 차체측 연결축을 구비하고,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탄성 부재를 통하여 파워 유닛에 연결하고, 제2 차체측 연결축을 탄성 부재를 통하여 차체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 부재의 작용으로서, 파워 유닛측 연결축 및 제2 차체측 연결축의 각각의 탄성 부재가 파워 유닛의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 기능을 발휘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스톱퍼 기구를, 연결 로드에 설치한 돌기와, 이 돌기를 삽입하기 위해서 차체에 설치한 절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톱퍼 기구의 작용으로서, 파워 유닛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연결 로드의 돌기가 차체의 절결에 접촉하여 파워 유닛의 이동이 규제된다. 예를 들어, 돌기가 마모된 경우에는, 연결 로드를 교환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스톱퍼 기구를, 연결 로드의 차체측 연결축으로부 터 파워 유닛측 연결축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의 단부(端部)에 고정한 탄성체와, 이 탄성체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차체에 설치한 규제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톱퍼 기구의 작용으로서, 파워 유닛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연결 로드의 연장부의 단부에 고정한 탄성체가 차체에 장착한 규제부에 접촉되어, 파워 유닛의 이동을 완충·방진 기능을 발휘하면서 규제한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파워 유닛의 하부에 메인 스탠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워 유닛측에 메인 스탠드를 설치한 경우의 작용으로서, 종래의 링크 기구에 단일 혹은 복수의 탄성 부재를 장착한 경우에는, 파워 유닛 하부의 메인 스탠드를 세운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메인 스탠드 격납 시의 구동륜 접지 상태와 상이하기 때문에, 구동륜 접지 상태로부터 파워 유닛의 진동이 차체에 전해지기 쉬운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파워 유닛의 하부에 설치한 메인 스탠드를 세운 상태라도, 연결 로드의 복수의 탄성 부재의 댐퍼 기능에 의해서 파워 유닛의 진동을 흡수한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탄성 부재를 고무 부시로 구성하고,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고무 부시에,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상하에 구멍부를 구비함으로써 차체 전후 방향에 비해 상하 방향에 유연한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고무 부시의 작용으로서,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상하에 구멍부를 구비함으로써, 파워 유닛이 상하 진동하였을 때에 구멍부가 용이하게 압착되어, 상하 진동을 흡수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탄성 부재를 고무 부시로 구성하고, 제2 차체측 연결축의 고무 부시에, 제2 차체측 연결축의 전후에 구멍부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방향에 비해 차체 전후 방향에 유연한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차체측 연결축의 고무 부시의 작용으로서, 제2 차체측 연결축의 전후에 구멍부를 구비함으로써, 파워 유닛이 전후 진동하였을 때에 구멍부가 용이하게 변형되어, 전후 진동을 흡수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차체측 연결축과 제2 차체측 연결축을 연결하는 선분과, 제2 차체측 연결축과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연결하는 선분으로, く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로드의 각 연결축을 연결하는 축선의 작용으로서, 차체측 연결축과 제2 차체측 연결축을 연결하는 선분의 연장선에 대하여,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차체 뒤쪽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차체로부터 떨어뜨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연결 로드를 단일로 하여, 차체의 일측 쪽에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로드의 배치의 작용으로서, 단일 연결 로드를 차체의 일측 쪽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좌우 한 쌍의 연결 로드를 차체의 양 옆쪽에 설치하는 데 비해 부품 수가 적어져, 링크 기구가 간단해진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은, 연결 로드를, 단조(鍛造)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로드의 작용으로서, 연결 로드를 단조로 형성함으로써, 연결 로드의 강도가 향상하여, 소정의 강도를 확보한 경우에, 예를 들어, 동일 재료로 주조제인 것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은,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제2 링크에 구비하는 복수의 연결 지지부로 지지하고, 연결 로드를, 복수의 연결 지지부 중의 제1 연결 지지부와, 이 제1 연결 지지부보다 차체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연결 지지부로 끼워 파워 유닛측 연결축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로드의 지지 구조의 작용으로서, 연결 로드에 설치한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연결 로드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 지지부와 제2 연결 지지부로 지지함으로써, 연결 로드를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통하여 지지하는 부분의 강성이 높아진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은, 파워 유닛측 연결축과 연결 로드의 사이에 개재한 탄성 부재를 복수로 구성하고, 이들 탄성 부재를 축 방향에 나열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탄성 부재의 휨량을 소정값 이하로 설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탄성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규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으로서, 규제 수단에 의해서, 파워 유닛측 연결축과 연결 로드와의 사이에 개재한, 축 방향에 나열하여 배치된 복수의 탄성 부재의 휨량을 소정값 이하로 설정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파워 유닛 현가 장치를 구비한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도(제1 실시형태)이며, 스쿠터형 차량(10)은, 골격이 되는 차체 프레임(11)과, 전륜(12)을 현가 및 조타하기 위해서 차체 프레임(11)의 전부(前部)에 설치한 전륜 현가 조타 기구(13)와, 후륜(14)을 현가 및 구동하기 위해서 차체 프레임(11)의 거의 중앙부에 연결한 후륜 현가 구동 기구(16)와, 차체 프레임(11)의 후부 상부에 장착한 수납 박스(17) 및 연료 탱크(18)로 이루어진다.
차체 프레임(11)은, 전단(前端)에 설치한 헤드 파이프(25)와, 이 헤드 파이프(25)로부터 측면에서 볼 때 거의 U자 형상으로 뒤쪽으로 연장되고 뒤쪽 경사 위쪽으로 더 연장된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6, 27)(앞쪽 측의 부호(26)만 도시한다)과, 제1 피벗축(28)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피벗 플레이트(31, 32)(앞쪽 측의 부호(31)만 도시한다)와, 이들 피벗 플레이트(31, 32)를 메인 프레임(26, 27)에 함께 장착하기 위해서 메인 프레임(26, 27)의 거의 중앙의 후부에 장착한 좌우 한 쌍의 피벗 프레임(33, 34)(앞쪽 측의 부호(33)만 도시한다)과, 좌우의 메인 프레임(26, 27)을 연결하는 복수의 크로스 부재(도시생략)로 이루어진다. 또한, 36∼38은 보강 플레이트, 41은 보강 프레임, 좌우 한 쌍의 42, 43(앞쪽 측의 부호(42)만 도시한다)은 보강 프레임이다.
전륜 현가 조타 기구(13)는, 헤드 파이프(25)에 조타 자유롭게 장착한 프런트 포크(51)와, 이 프런트 포크(51)에 구비하는 스티어링축(52)의 상단에 장착한 바 핸들(53)로 이루어진다.
후륜 현가 구동 기구(16)는, 제1 피벗축(28)과, 이 제1 피벗축(28)에 스윙 자유롭게 장착한 링크 기구(55)와, 이 링크 기구(55)에 스윙 자유롭게 장착한 파워 유닛(56)과, 이 파워 유닛(56)의 상부에 장착한 흡기 장치(57)와, 파워 유닛(56)의 하부에 장착한 배기 장치(도시생략)와, 파워 유닛(56)의 후단 및 메인 프레임(26)의 후단의 각각에 걸쳐서 장착한 리어 쿠션 유닛(5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 피벗축(28), 링크 기구(55) 및 리어 쿠션 유닛(58)은, 파워 유닛(56)을 현가하는 파워 유닛 현가 장치(16A)를 구성하는 것이다.
파워 유닛(56)은, 거의 수평으로 한 실린더부(59a)를 구비하는 엔진(59)과, 이 엔진(59)의 후부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무단 변속기(60)로 이루어지고, 무단 변속기(60)의 후단에 후륜(14)의 차축이 되는 출력축(60a)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61은 파워 유닛(56)을 구성하는 크랭크 케이스(62)의 하부에 장착한 메인 스탠드이다.
도면 중의 65는 핸들 커버, 66은 헤드 램프, 67은 프런트 커버, 68은 프런트 펜더, 71은 스텝 플로어, 72는 시트, 73은 테일 램프, 74는 리어 펜더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 중앙부 및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제1 사시도(제1 실시형태)이고, 도면 중의 화살표(FRONT)는 차량 앞쪽을 나타낸다(이하 동일).
링크 기구(55)는, 제1 피벗축(28)에 스윙 자유롭게 장착한 제1 링크(81, 81)(앞쪽 측의 부호(81)만 도시한다)와, 이 제1 링크(81)의 선단에 장착한 제2 피 벗축(92)과, 이 제2 피벗축(92)에 스윙 자유롭게 장착한 제2 링크(82)와, 한쪽의 피벗 프레임(33) 측에 설치한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의 상부에 장착한 제3 피벗축(93)과, 제2 링크(82)의 선단에 장착한 제4 피벗축(94)과, 제3 피벗축(93)에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는 동시에 제4 피벗축(94)에 연결한 연결 로드(84)로 이루어진다.
피벗 플레이트(31)는, 메인 프레임(26) 및 피벗 프레임(33)의 각각의 외측면에 장착한 아웃터 피벗 플레이트(31a)와, 메인 프레임(26)의 내측면 및 피벗 프레임(33)에 장착한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로 이루어진다.
피벗 플레이트(32)는, 메인 프레임(27) 및 피벗 프레임(34)의 각각의 외측면에 장착한 아웃터 피벗 플레이트(32a)와, 메인 프레임(27) 및 피벗 프레임(34)의 각각의 내측면에 장착한 인너 피벗 플레이트(32b)(도시생략)로 이루어진다.
연결 로드(84)는,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중간축(95)을 통하여 장착한 부재이기도 하다.
제4 피벗축(94)은, 파워 유닛(56)(도 1 참조)을 스윙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 중앙부 및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제2 사시도(제1 실시형태)이고, 좌측의 메인 프레임(26) 및 피벗 프레임(33)에 피벗 플레이트(31)를 장착하고, 우측의 메인 프레임(27) 및 피벗 프레임(34)에 피벗 플레이트(32)를 장착하고, 이들 피벗 플레이트(31, 32)에 제1 피벗축(28)을 장착하고, 이 제1 피벗축(28)에 제1 링크(81, 81)를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 고, 이들 제1 링크(81, 81)에 제2 피벗축(92)을 통하여 제2 링크(82)를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제2 링크(82)의 후단에 제4 피벗축(94)을 장착하고,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제3 피벗축(93)을 통하여 연결 로드(84)를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연결 로드(84)의 하단을 제4 피벗축(94)에 연결하고, 중간축(95)으로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와 연결 로드(84)의 중간부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제1 실시형태)이고, 링크 기구(55)는, 주로, 제1 링크(81, 81)와, 제2 피벗축(92)과, 제2 링크(82)와, 제3 피벗축(93)과, 연결 로드(84)와, 제4 피벗축(94)과, 중간축(95)으로 이루어지고, 더 자세하게는, 제1 피벗축(28)과 제1 링크(81)를 연결하는 전부(前部) 상부 연결 기구(101)와, 제1 링크(81)와 제2 피벗축(92)을 연결하는 전부 하부 연결 기구(102)를 구비한다. 이들 전부 상부 연결 기구(101) 및 전부 하부 연결 기구(102)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의 스톱퍼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제1 실시형태)이고, 피벗 플레이트(31), 상세하게는,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의 후부 하부에 또한 중간축(95)의 앞쪽 경사 아래쪽에, 아래쪽으로 개방하는 절결(31c)을 형성하고, 연결 로드(84)의 내면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절결(31c) 내에 삽입한 돌기(84a)를 형성하고, 이들 절결(31c) 및 돌기(84a)에서 스톱퍼 기구(105)를 구성한 것을 나타낸다.
절결(31c)은, 앞 가장자리부(31j), 뒤 가장자리부(31k) 및 위 가장자리부(31m)를 구비하고, 돌기(84a)가 앞 가장자리부(31j) 또는 뒤 가장자리부(31k)에 접 촉함으로써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대한 연결 로드(84)의 전후 방향의 스윙이 규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주요부 측면도(제1 실시형태)이고, 제1 링크(81)는 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링크(82)는 거의 전후 방향, 자세하게는, 약간 뒤쪽이 올라가게 뒤쪽으로 연장되고, 연결 로드(84)는 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링크 기구(55)는, 제1 피벗축(28) 및 제3 피벗축(93)을 중심으로 하여 제2 링크(82)가 전후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링크(81)와 연결 로드(84)가 거의 평행한 평행 링크를 구성한다. 즉, 제1 링크(81) 및 연결 로드(84)에 의해서, 파워 유닛(56)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제2 링크(82)는, 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2 피벗축(92)을 중심으로 하여 스윙하고, 제4 피벗축(94)은, 연결 로드(84) 측에 탄성 지지한 것이기 때문에, 파워 유닛(56)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제1 실시형태)이며, 링크 기구(55)의 연결 로드(84)는, 제3 피벗축(93), 제4 피벗축(94) 및 중간축(95)의 각각과 연결하기 위해서 상단부, 하단부 및 중간부에 각각 관통 구멍(62c, 62c, 62c)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들 관통 구멍(62c, 62c, 62c)에 각각 고무 부시(111)를 끼워맞춤시킨 부재이다.
고무 부시(111)는, 제3 피벗축(93)에 끼워맞춤시킨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관통 구멍(62c)에 끼워맞춤시킨 외통(116)과, 이들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117)로 이루어진다.
고무 부시(111)는, 제4 피벗축(94)에 끼워맞춤시킨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관통 구멍(62c)에 끼워맞춤시킨 외통(116)과, 이들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123)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123a, 123b는, 고무(123)를 상하로 변형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내통(115)의 위쪽 및 아래쪽의 고무(123)에 형성한 원호 형상의 구멍부이다.
고무 부시(111)는, 중간축(95)에 끼워맞춤시킨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관통 구멍(84d)에 끼워맞춤시킨 외통(116)과, 이들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128)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128a, 128b는, 고무(128)를 상하로 변형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내통(115)의 앞쪽 및 뒤쪽의 고무(128)에 형성한 구멍부이다.
제3 피벗축(93)의 축선(93a)(축선(93a)을 검은 원으로 나타낸다)과 중간축(95)의 축선(95a)(축선(95a)을 검은 원으로 나타낸다)을 연결하는 선분을 131, 중간축(95)의 축선(95a)과 제4 피벗축(94)의 축선(94a)(축선(94a)을 검은 원으로 나타낸다)을 연결하는 선분을 132, 제3 피벗축(93)의 축선(93a)과 제4 피벗축(94)의 축선(94a)을 연결하는 선분을 133이라고 하면, 선분(131)에 대하여 선분(132)은 각도(θ)만큼 차량 뒤쪽 측으로 경사진 것이고, 선분(131)과 선분(132)은 く자 형상을 나타낸다. 즉, 제4 피벗축(94)을, 제3 피벗축(93) 및 중간축(95)에 대하여 차량 뒤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4 피벗축(94) 주위가 차체 측, 자세하게는, 피벗 플레이트(31, 32)(도 3 참조) 및 피벗 프레임(33, 34)(도 3 참조)과 간섭하지 않고서 전후 및 상하로 크게 이동 가능하게 하였다.
도 8은 도 6의 8-8선 단면도(제1 실시형태)이고, 제1 피벗축(28)과 제1 링크(81)를 연결하는 전부 상부 연결 기구(101)는, 피벗 플레이트(31)를 관통시켜 장착하는 동시에 제1 피벗축(28)을 삽입하는 중공부(141a)를 구비한 좌통부(左筒部)(141)와, 피벗 플레이트(32)를 관통시켜 장착한 우외통부(右外筒部)(142)와, 이 우외통부(142)에 나사 결합하는 동시에 제 1 피벗축(28)을 삽입하는 중공부(141a)를 구비한 우내통부(右內筒部)(143)와, 제1 피벗축(28)을 삽입하는 중공부(115a)를 구비한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주면의 양 단부에 끼워맞춤시킨 니들 베어링(146, 147)과, 이들 니들 베어링(146, 147)을 끼워맞춤시키기 위해서 중공부(116a)의 양 단부에 중공부(116a)보다도 내경을 크게 한 내주면(116b, 116c)을 형성한 외통(116)과, 내통(115)의 일단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니들 베어링(146)에 더스트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시일(151)을 부설(付設)하고 또한 제1 피벗축(28)의 삽입 통과 구멍(152a)을 형성한 단부 플레이트(152)와, 내통(115)의 타단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니들 베어링(147)에 더스트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시일(151)을 부설하고 또한 제1 피벗축(28)의 삽입 통과 구멍(154a)을 형성한 단부 플레이트(154)로 이루어져, 외통(116)의 양 단부 외주면에 제1 링크(81, 81)를 용접으로 장착한 것이고, 내통(115)에 대하여 니들 베어링(146, 147)을 통하여 외통(116)이 회전함으로써, 제1 피벗축(28)에 대하여 제1 링크(81, 81)가 스윙한다. 또, 156은 볼트 형상의 제1 피벗축(28)의 단부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한 너트이다.
제1 링크(81, 81)와 제2 피벗축(92)을 연결하는 전부 하부 연결 기구(102)는, 제2 피벗축(92)을 삽입하는 중공부(115a)를 구비한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주면의 양 단부에 끼워맞춤시킨 니들 베어링(162, 163)과, 이들 니들 베어링(162, 163)을 끼워맞춤시키기 위해서 중공부(116a)의 양 단부에 중공부(116a)보다도 내경을 크게 한 내주면(116b, 116c)을 형성한 외통(116)과, 내통(115)의 일 단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니들 베어링(162)에 더스트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시일(151)을 부설하고 또한 제2 피벗축(92)의 삽입 통과 구멍(152a)을 형성한 단부 플레이트(152)와, 내통(115)의 타단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니들 베어링(163)에 더스트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시일(151)을 부설하고 또한 제2 피벗축(92)의 삽입 통과 구멍(152a)을 형성한 단부 플레이트(152)로 이루어지고, 내통(115)에 대하여 니들 베어링(162, 163)을 통하여 외통(116)이 회전함으로써, 제2 피벗축(92)에 대하여 제2 링크(82)(도 6 참조)가 스윙한다. 또, 81a는 제2 피벗축(92)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제1 링크(81)에 형성한 볼트 삽입 통과 구멍, 171은 볼트 형상의 제2 피벗축(92)의 단부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한 너트이다.
도 9는 도 6의 9-9선 단면도(제1 실시형태)이며, 제2 링크(82)는, 외통(116)에 뒤쪽으로 감에 따라서 서로 넓어지도록 용접으로 장착한 왼쪽 아암(175) 및 오른쪽 아암(176)과, 이들 왼쪽 아암(175) 및 오른쪽 아암(176)의 각각의 중간부에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장착한 중간 연결 파이프(177)와, 이 중간 연결 파이프(177)의 왼쪽 아암(175)보다도 차체 좌측쪽으로 돌출한 측의 단부에 장착한 단부 아암(178)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3개의 연결 지지부로서의 왼쪽 아암(175), 오른쪽 아암(176) 및 단부 아암(178)으로 제4 피벗축(94)을 지지한다.
연결 로드(84)는, 왼쪽 아암(175)(제1 연결 지지부이다)과 단부 아암(178)(제2 연결 지지부이다)의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 왼쪽 아암(175) 및 단부 아암(178)으로 제4 피벗축(94)을 통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 로드(84)의 지지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62a, 62b는 파워 유닛(56)의 크랭크케이스(62)에 앞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한 링크 연결부이다.
도 10은 도 6의 10-10선 단면도(제1 실시형태)이고, 제4 피벗축(94)에 고무 부시(111, 111)를 통하여 파워 유닛(56)의 링크 연결부(62a, 62b)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다.
고무 부시(111)는, 제4 피벗축(94)을 삽입하는 중공부(115a)를 형성한 내통(115)과, 링크 연결부(62a)에 형성한 관통 구멍(62c) 또는 링크 연결부(62b)에 형성한 관통 구멍(62c)에 끼워맞춤하는 외통(116)과, 이들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186)로 이루어진다. 또한, 31e, 31f는 제3 피벗축(93)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형성한 볼트 삽입 통과 구멍, 31g, 31h는 중간축(95)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형성한 볼트 삽입 통과 구멍, 191은 제3 피벗축(93)의 단부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한 너트, 192는 제4 피벗축(94)의 단부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한 너트, 193은 중간축(95)의 단부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한 너트, 194는 제4 피벗축(94)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좌우의 고무 부시(111, 111) 사이에 배치한 칼라이다.
연결 로드(84)는, 제4 피벗축(94)을 지지하는 관통 구멍(62c)이, 제3 피벗축(93) 및 중간축(95)을 지지하는 관통 구멍(62c, 62c)에 비해 차체 폭 방향 중심 가까이에 배치되므로, 즉, 연결 로드(84)의 하단부가 차체 폭 방향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므로, 뱅크각을 크게 할 수 있다.
위에 서술한 스톱퍼 기구(105)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11a, 11b는 본 발명에 관한 스톱퍼 기구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제1 실시형태)이다. 또한, 도면 중의 상상선은 이동 전 또는 스윙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a에서, 예컨대, 파워 유닛(56)이, 흰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앞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연결 로드(84)가 제3 피벗축(93)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스윙하고, 고무 부시(111, 111)가 휘어 고무의 반력에 의해 이윽고 정지한다. 그러나, 연결 로드(84)의 앞쪽으로 스윙하는 각도가 더욱 커지면, 고무 부시(111, 111)가 크게 휘어, 연결 로드(84)에 설치한 돌기(84a)가, 피벗 플레이트(31) 측의 절결(31c)의 앞 가장자리부(31j)에 접촉하여, 피벗 플레이트(31)에 대한 연결 로드(84)의 스윙이 정지한다.
도 11b에서, 예컨대, 파워 유닛(56)이, 흰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뒤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연결 로드(84)가 제3 피벗축(93)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스윙하고, 고무 부시(111, 111)가 휘어 고무의 반력에 의해 이윽고 정지한다. 그러나, 연결 로드(84)의 뒤쪽으로 스윙하는 각도가 더욱 커지면, 고무 부시(111, 111)가 크게 휘어, 연결 로드(84)의 돌기(84a)가, 피벗 플레이트(31) 측의 절결(31c)의 뒤 가장자리부(31k)에 접촉하여, 피벗 플레이트(31)에 대한 연결 로드(84)의 스윙이 정지한다.
도 12a, 12b는 본 발명에 관한 스톱퍼 기구 및 연결 로드에 의한 스톱퍼 구조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제1 실시형태)이다. 또, 도면 중의 상상선은 이동 전 또는 스윙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a에서, 파워 유닛(56)이, 흰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4 피벗축(94)이 위쪽으로 이동하고, 제2 링크(82)가 제2 피벗축(9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스윙하고, 연결 로드(84)의 고무 부시(111)가 크게 휘어 제4 피벗축(94)의 위쪽으로의 이동이 커지면, 고무 부시(111)의 내통(115)이 외통(116)에 접근하여, 내통(115)과 외통(116)의 사이의 고무(123)가 크게 압축되어 큰 탄성력이 발생하고, 이 탄성력에 의해서 연결 로드(84)에 대한 제4 피벗축(94)의 상승이 정지한다. 또, 이 때의 연결 로드(84)의 고무 부시(111, 111)가 위쪽으로 휘는 것은, 고무 부시(111)에 비해 극히 근소하므로, 피벗 플레이트(31)에 대한 연결 로드(84)의 위치 관계는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 파워 유닛(56)의 위쪽으로의 이동 거리는, 거의 연결 로드(84)에 대한 제4 피벗축(94)의 이동 거리라고 할 수 있다.
도 12b에서, 파워 유닛(56)이, 흰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4 피벗축(94)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제2 링크(82)가 제2 피벗축(9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스윙하고, 연결 로드(84)의 고무 부시(111)가 크게 휘어 제4 피벗축(94)의 이동이 커지면, 고무 부시(111)의 내통(115)이 외통(116)에 접근하여, 내통(115)과 외통(116)과의 사이의 고무(123)가 크게 압축되어 큰 탄성력이 발생하고, 이 탄성력에 의해서 연결 로드(84)에 대한 제4 피벗축(94)의 하강이 정지한다. 또, 이 때의 연결 로드(84)의 고무 부시(111, 111)가 아래쪽으로 휘는 것은, 고무 부시(111)에 비해 극히 근소하므로, 피벗 플레이트(31)에 대한 연결 로드(84)의 위치 관계는 거의 변하지 않으므로, 파워 유닛(56)의 아래쪽으로의 이동 거리는, 거의 연결 로드(84)에 대한 제4 피벗축(94)의 이동 거리라고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 중앙부 및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제3 사시도(제2 실시형태)이며, 좌측의 메인 프레임(26) 및 피벗 프레임(33)에 아웃터 피벗 플레이트(31a) 및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로 이루어지는 피벗 플레이트(31)를 장착하고, 우측의 메인 프레임(27) 및 피벗 프레임(34)에 피벗 플레이트(32)를 장착하고, 이들 아웃터 피벗 플레이트(31a)와 피벗 플레이트(32)에 제1 피벗축(28)을 장착하고, 이 제1 피벗축(28)에 제1 링크(81, 81)를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들 제1 링크(81, 81)에 제2 피벗축(92)(도시생략)을 통하여 제2 링크(234)를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제2 링크(234)의 후단에 제4 피벗축(94)을 장착하고, 아웃터 피벗 플레이트(31a)와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제3 피벗축(233)을 통하여 연결 로드(236)를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제4 피벗축(94)에 연결 로드(236)의 하단부를 스윙 자유롭게 연결하고, 메인 프레임(26)과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의 후벽(231c)과의 사이에 연결 로드(236)의 상단부에 설치한 스톱퍼 고무(237)를 배치한 것을 도시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26, 27) 및 피벗 프레임(33, 34)에 대하여 파워 유닛(56)(도 1 참조)을, 링크 기구(240)로 스윙 자유롭게 지지한다.
제1 피벗축(28), 링크 기구(240) 및 리어 쿠션 유닛(58)(도 1 참조)은, 파워 유닛(56)(도 1 참조)을 현가하는 파워 유닛 현가 장치(16B)(도 15 참조)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제2 실시형태)이며, 링크 기구(240)는, 주로, 제1 링크(81, 81)와, 제2 피벗축(92)과, 제2 링크(234)와, 제3 피벗축(233)과, 연결 로드(236)와, 제4 피벗축(94)으로 이루어지고, 더 자세하게는, 제1 피벗축(28)과 제1 링크(81)를 연결하는 전부 상부 연결 기구(101)와, 제1 링크(81)와 제2 피벗축(92)을 연결하는 전부 하부 연결 기구(102)를 구비한다.
제2 링크(234)는, 외통(116)에 장착한 왼쪽 아암(241) 및 오른쪽 아암(242)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왼쪽 아암(241) 및 오른쪽 아암(242)으로 제4 피벗축(94)을 지지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주요부 측면도(제2 실시형태)이며, 제1 링크(81)는 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링크(234)는 거의 전후 방향, 자세하게는, 약간 뒤쪽이 올라가도록 뒤쪽으로 연장되고, 연결 로드(236)는 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링크 기구(240)는, 제1 피벗축(28) 및 제3 피벗축(233)을 중심으로 하여 제2 링크(234)가 전후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링크(81)와 연결 로드(236)가 거의 평행한 평행 링크를 구성한다. 즉, 제1 링크(81) 및 연결 로드(236)에 의해서, 파워 유닛(56)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또, 제2 링크(234)는, 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2 피벗축(92) 을 중심으로 하여 스윙하고, 제4 피벗축(94)은, 연결 로드(236) 측에 탄성 지지한 것이기 때문에, 파워 유닛(56)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제2 실시형태)이며, 링크 기구(240)의 연결 로드(236)는, 주 플레이트 부재(243)와, 이 주 플레이트 부재(243)의 중간부에 관통시켜 장착한 상부 통 부재(244)와, 주 플레이트 부재(243)의 하부에 관통시켜 장착한 하부 통 부재(246)와, 주 플레이트 부재(243)의 측면 및 상부 통 부재(244)의 외주면에 장착한 단면이 L자 형상인 상부 부 플레이트 부재(247)와, 주 플레이트 부재(243)의 측면 및 상부 부 플레이트 부재(247)의 내면에 걸쳐서 장착한 측면에서 볼 때 く자 형상인 내측 플레이트 부재(248)와, 주 플레이트 부재(243)의 측면에 장착하는 동시에 상부 통 부재(244) 및 하부 통 부재(246)의 각각의 외주면에 걸쳐서 장착한 단면이 コ자 형상인 하부 부 플레이트 부재(251)와, 제3 피벗축(233)과 연결하기 위해서 상부 통 부재(244)의 중공부에 끼워맞춤시킨 고무 부시(111)와, 제4 피벗축(94)과 연결하기 위해서 하부 통 부재(246)의 중공부에 끼워맞춤시킨 고무 부시(111)와, 내측 플레이트 부재(248)의 상부에 장착한 스톱퍼 고무(237)로 이루어진다. 또한, 236A는 연결 로드(236)의 제3 피벗축(233)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237a는 스톱퍼 고무(237)의 전면, 237b는 스톱퍼 고무(237)의 배면이다.
고무 부시(111)는, 제3 피벗축(233)에 끼워맞춤시킨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부 통 부재(244)에 끼워맞춤시킨 외통(116)과, 이들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258)로 이루어진다.
고무 부시(111)는, 제4 피벗축(94)에 끼워맞춤시킨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하부 통 부재(246)에 끼워맞춤시킨 외통(116)과, 이들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263)로 이루어지고, 고무(263)를 직선(265)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변형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고무(263)에 직선(265)에 대하여 선대칭인 원호 형상의 구멍부(263a, 263b)를 형성한 것이다.
스톱퍼 고무(237)는, 전면(237a)를 메인 프레임(26)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배면(237b)을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의 후벽(231c)에 접촉시킨 부재이고, 연결 로드(236)가 전후로 시소와 같이 스윙할 때에 연결 로드(236)의 스윙을 완충·방진시키면서 규제하는 스톱퍼 기구(266)로서 기능하는 탄성체이다.
즉, 상기 스톱퍼 고무(237)와,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의 후벽(231c)과, 메인 프레임(26)은 스톱퍼 기구(266)를 구성하는 것이고, 후벽(231c) 및 메인 프레임(26)은 차체에 설치한 규제부이다.
제3 피벗축(233)의 축선(233a)(축선(233a)을 검은 원으로 나타낸다)과 제4 피벗축(94)의 축선(94a)(축선(94a)을 검은 원으로 나타낸다)을 연결하는 선분을 267, 축선(94a)을 지나는 직선을 265, 축선(94a)을 지나고 직선(265)에 직교하는 직선을 268이라고 하면, 선분(267)과 직선(265)은 소정의 각도(α)를 이룬다.
직선(268)이 연장되는 방향, 자세하게는, 화살표(A)의 방향은, 차량이 가속하였을 때에 제4 피벗축(94)이 반력을 받는 방향, 화살표(B)의 방향은, 차량에 탑승자(1명)가 승차하였을 때(이 때의 상태를 승차(1G) 상태라고 한다)에 제4 피벗축(94)이 힘을 받는 방향, 직선(265)이 연장되는 방향은, 엔진(59)(도 1 참조)의 진 동 방향이다. 또한, 도면 중의 무단(無端) 형상의 곡선(271) 및 이 곡선(271)의 내측은 제4 피벗축(94)의 가동 범위이다.
제4 피벗축(94)을 탄성 지지하는 고무 부시(111)의 고무(263)에 직선(265)을 따르는 방향에 구멍부(263a, 263b)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가속 시의 반력에 대해서는 큰 스프링 정수 및 큰 히스테리시스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엔진 진동에 대해서는, 작은 스프링 정수로 지지함으로써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5의 17-17선 단면도이고, 제4 피벗축(94)에 고무 부시(111, 111)를 통하여 파워 유닛(56)의 링크 연결부(62a, 62b)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다.
고무 부시(111)는, 제4 피벗축(94)을 삽입하는 중공부(115a)를 형성한 내통(115)과, 링크 연결부(62a)에 형성한 관통 구멍(62c) 또는 링크 연결부(62b)에 형성한 관통 구멍(62c)에 끼워맞춤하는 외통(116)과, 이들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286)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231e, 231f는 제3 피벗축(233)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아웃터 피벗 플레이트(31a),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형성한 볼트 삽입 통과 구멍, 291은 제3 피벗축(233)의 단부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한 너트, 294는 제4 피벗축(94)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좌우의 고무 부시(111, 111) 사이에 배치한 칼라, 296, 297은 제2 링크(234)의 선단에 장착한 칼라, 298은 한쪽의 고무 부시(111)의 내통(115)과 칼라(297)와의 사이에 설치한 칼라, 301은 스톱퍼 고무(237)(도 16 참조)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내측 플레이트 부재(248)에 형성한 슬릿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제3 실시형태)이고, 이상에서 나타낸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링크 기구(310)는, 차체 프레임(11)(도 1 참조)에 대하여 파워 유닛(56)(도 1 참조)을 스윙 자유롭게 지지하는 것으로, 주로, 제1 피벗축(28)에 스윙 자유롭게 장착한 제1 링크(311, 311)와, 이들 제1 링크(311, 311)에 장착한 제2 피벗축(92)과, 이 제2 피벗축(92)에 스윙 자유롭게 장착한 제2 링크(312)와, 제3 피벗축(233)과, 연결 로드(236)와, 제2 링크(312)의 선단에 장착한 제4 피벗축(94)으로 이루어지고, 더 자세하게는, 제1 피벗축(28)과 제1 링크(311, 311)를 연결하는 전부 상부 연결 기구(314)와, 좌우의 제1 링크(311, 311) 사이에 걸쳐서 장착한 연결 부재(315)와, 제1 링크(311, 311)와 제2 피벗축(92)을 연결하는 전부 하부 연결 기구(316)를 구비한다.
이 링크 기구(310)와, 제1 피벗축(28)과, 리어 쿠션 유닛(58)(도 1 참조)은, 파워 유닛(56)을 현가하는 파워 유닛 현가 장치(16C)를 구성하는 것이다.
제2 링크(312)는, 통 부재(343)에 장착한 왼쪽 아암(317) 및 오른쪽 아암(318)과, 이들 왼쪽 아암(317) 및 오른쪽 아암(318)의 각각의 중간부에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장착한 중간 연결 파이프(319)로 이루어지고, 왼쪽 아암(317) 및 오른쪽 아암(318)으로 제4 피벗축(94)을 지지한다.
연결 부재(315)는, 전부 상부 연결 기구(314)를 구성하는 외통(116) 및 전부 하부 연결 기구(316)를 구성하는 외통(116)(도 19 참조)의 각각보다도 지름이 작게 한 것이다.
도 19는 도 18의 19-19선 단면도이고, 제1 피벗축(28)과 제1 링크(311, 311)를 연결하는 전부 상부 연결 기구(314)는, 왼쪽 상부 연결 기구(321)와 오른쪽 상부 연결 기구(322)와, 이들 왼쪽 상부 연결 기구(321) 및 오른쪽 상부 연결 기구(322)의 각각의 사이에 개재시킨 통 부재(323)로 이루어지고, 왼쪽 상부 연결 기구(321) 및 오른쪽 상부 연결 기구(322)는 좌우 대칭으로 기본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왼쪽 상부 연결 기구(321)만 설명한다.
왼쪽 상부 연결 기구(321)는, 제1 피벗축(28)을 삽입하는 중공부(115a)를 구비한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주면에 끼워맞춤시킨 니들 베어링(326)과, 이 니들 베어링(326)을 끼워맞춤시키기 위한 내주면(116a)을 형성한 외통(116)과, 니들 베어링(326)으로 더스트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시일(151)을 부설하고 또한 제1 피벗축(28)의 삽입 통과 구멍(152a)을 형성하여 아웃터 피벗 플레이트(31a)(오른쪽 상부 연결 기구(322)에 대해서는 피벗 플레이트(32))와 내통(115)과의 사이에 끼워 넣은 단부 플레이트(152)로 이루어지고, 외통(116)의 외주면에 제1 링크(311)를 용접으로 장착한 것이며, 내통(115)에 대하여 니들 베어링(326)을 통하여 외통(116)이 회전함으로써, 제1 피벗축(28)에 대하여 제1 링크(311)가 스윙한다. 또, 333은 니들 베어링(326)으로 더스트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통(115)과 외통(116)과의 사이에 설치한 더스트 시일이다.
제1 링크(311, 311)와 제2 피벗축(92)을 연결하는 전부 하부 연결 기구(316)는, 왼쪽 하부 연결 기구(341)와, 오른쪽 하부 연결 기구(342)와, 이들 왼쪽 하부 연결 기구(341) 및 오른쪽 하부 연결 기구(342)의 각각의 사이에 개재시킨 통 부재 (343)로 이루어지고, 왼쪽 하부 연결 기구(341) 및 오른쪽 하부 연결 기구(342)는 좌우 대칭으로 기본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왼쪽 하부 연결 기구(341)만 설명한다.
왼쪽 하부 연결 기구(341)는, 제2 피벗축(92)을 삽입하는 중공부(115a)를 구비한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주면에 끼워맞춤시킨 니들 베어링(346)과, 이 니들 베어링(346)을 끼워맞춤시키기 위한 내주면(116a)을 형성한 외통(116)과, 니들 베어링(346)으로 더스트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 시일(151)을 부설하고 또한 제2 피벗축(92)의 삽입 통과 구멍(152a)을 형성하여 제2 피벗축(92)의 두부(92a)(오른쪽 하부 연결 기구(342)에 대해서는 너트(171))와 내통(115)과의 사이에 끼워 넣은 단부 플레이트(152)로 이루어지고, 외통(116)의 외주면에 제1 링크(311)를 용접으로 장착한 것이며, 외통(116)에 대하여 니들 베어링(346)을 통하여 내통(115) 및 제2 피벗축(92)이 회전함으로써, 제1 링크(311)에 대하여 내통(115)에 용접한 제2 링크(312)가 스윙한다. 또, 353은 니들 베어링(346)으로 더스트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통(115)과 외통(116)과의 사이에 설치한 더스트 시일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제4 실시형태)이고, 도 1∼도 12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링크 기구(360)는, 제1 링크(81, 81)(앞쪽 측의 부호(81)만을 도시한다)와, 제2 피벗축(92)과, 이 제2 피벗축(92)에 스윙 자유롭게 장착한 제2 링크(358)와, 제3 피벗축(93)과, 제4 피벗축(94)과, 제3 피벗축(93)에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는 동시에 제4 피벗축(94)에 연결한 연결 로드(361)로 이루어진다.
연결 로드(361)는, 제3 피벗축(93), 제4 피벗축(94) 및 중간축(95)의 각각과 연결하기 위해서 상단부, 하단부 및 중간부에 각각 관통 구멍(62c), 부시 장착 구멍(361a), 관통 구멍(84d)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들 관통 구멍(62c), 부시 장착 구멍(361a), 관통 구멍(84d)에 각각 고무 부시(111, 111, 111)를 끼워맞춤시킨 부재이다.
고무 부시(111)는, 제4 피벗축(94)에 끼워맞춤시킨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부시 장착 구멍(361a)에 끼워맞춤시킨 외통(116)과, 이들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366)로 이루어진다.
고무 부시(111)는, 중간축(95)에 끼워맞춤시킨 내통(115)과, 이 내통(115)의 외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관통 구멍(84d)에 끼워맞춤시킨 외통(116)과, 이들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367)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의 367a, 367b는, 고무(367)를 상하로 변형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내통(115)의 앞쪽 및 뒤쪽의 고무(367)에 형성한 구멍부이고, 선분(131)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으로 한 부분이다.
도 21은 도 20의 21-21선 단면도(제4 실시형태)이고, 제1 피벗축(28)과 제1 링크(81)를 연결하는 전부 상부 연결 기구(371)는, 피벗 플레이트(31)를 관통시켜 장착하는 동시에 제1 피벗축(28)을 삽입하는 중공부(141a)를 구비한 좌통부(141)와, 피벗 플레이트(32)를 관통시켜 장착하는 동시에 제1 피벗축(28)을 삽입하는 중공부(141a)를 구비한 우통부(372)와, 제1 피벗축(28)을 삽입하는 중공부(115a)를 구비한 내통(115)과, 제1 피벗축(28)이 삽입되는 동시에 좌통부(141) 및 내통(115)의 각각의 사이에 배치한 왼쪽 고무 부시(111)와, 제1 피벗축(28)이 삽입되는 동시에 우통부(372) 및 내통(115)의 각각의 사이에 배치한 오른쪽 고무 부시(111)와, 이들 왼쪽 고무 부시(111) 및 오른쪽 고무 부시(111)를 끼워맞춤시키기 위해서 중공부(116a)의 양 단부에 중공부(116a)보다도 내경을 크게 한 내주면(116b, 116c)를 형성한 외통(116)으로 이루어지고, 외통(116)의 양 단부 외주면에 제1 링크(81, 81)를 용접으로 장착한 것이며, 내통(115)에 대하여 왼쪽 고무 부시(111) 및 오른쪽 고무 부시(111)를 통하여 외통(116)이 회전함으로써, 제1 피벗축(28)에 대하여 제1 링크(81, 81)가 스윙한다.
왼쪽 고무 부시(111)는, 제1 피벗축(28)을 삽입하는 중공부(115a)를 구비한 내통(115)과, 이 내통(115)을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외통(116)의 내주면(116b)에 끼워맞춤시킨 외통(116)과,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378)로 이루어진다.
오른쪽 고무 부시(111)는, 제1 피벗축(28)을 삽입하는 중공부(115a)를 구비한 내통(115)과, 이 내통(115)을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외통(116)의 내주면(116c)에 끼워맞춤시킨 외통(116)과, 내통(115) 및 외통(116)의 각각에 접착한 고무(383)로 이루어진다.
도 22는 도 20의 22-22선 단면도(제4 실시형태)이고, 제2 링크(358)는, 외통(116)에 뒤쪽으로 감에 따라서 서로 넓어지도록 용접으로 장착한 거의 U자 형상의 메인 아암(386)과, 이 메인 아암(386)의 좌측부에 장착한 서브 아암(387)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메인 아암(386) 및 서브 아암(387)으로 제4 피벗축(94)을 지지한다.
연결 로드(361)는, 메인 아암(386)과 서브 아암(387)의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 메인 아암(386) 및 서브 아암(387)으로 제4 피벗축(94)을 통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 로드(361)의 지지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면 중의 391은 크랭크케이스(62)의 링크 연결부(62a, 62b)에 각각 설치한 관통 구멍(62c, 62c)에 압입된 아웃터 부시, 392는 제4 피벗축(94)에 끼워 맞춤하는 동시에 아웃터 부시(391)와 미끄러짐 자유롭게 끼워맞춤하는 인너 부시이다.
도 23은 도 20의 23-23선 단면도(제4 실시형태)이고, 제4 피벗축(94)에 아웃터 부시(391) 및 인너 부시(392)로 이루어지는 메탈 부시(393, 393)를 통하여 파워 유닛(56)의 링크 연결부(62a, 62b)를 연결하고, 또한, 제4 피벗축(94)에 고무 부시(111)를 통하여 연결 로드(361)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다.
연결 로드(361)의 하단부는, 부시 장착 구멍(361a)과 같은 내경의 장착 구멍(361b)을 형성하고, 이 장착 구멍(361b)에 스톱퍼 부재(396)를 끼워맞춤시키고, 부시 장착 구멍(361a)과 장착 구멍(361b)과의 사이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스톱퍼 부재(361c)를 일체로 형성한 부분이다.
스톱퍼 부재(396)는, 장착 구멍(361b)에 끼워맞춤시킨 통 부재(397)와, 이 통 부재(397)의 내측에 접착한 스톱퍼용 고무(398)로 이루어지고, 스톱퍼용 고무(398)의 내경은, 고무 부시(111)의 내통(115)의 외경보다도 크고, 고무 부시(111)에 큰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스톱퍼용 고무(398)와 내통(115)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상기 고무 부시(111), 스톱퍼 부재(396) 및 스톱퍼(361c)는, 부시 스톱퍼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24a, 24b는 본 발명에 관한 부시 스톱퍼 기구의 작용을 도시하는 작용도이다.
도 24a는 제4 피벗축(94)과 연결 로드(361)와의 사이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다. 고무 부시(111)의 고무(366)는 휘지 않고, 스톱퍼 부재(396)의 스톱퍼용 고무(398)와 고무 부시(111)의 내통(115)과의 사이에 C1의 간극이 존재한다. 또한, 스톱퍼(361c)의 내주면(148b)과 내통(115)과의 사이에는 C2의 간극이 존재하고, C2>C1의 관계가 있다.
도 24b는 연결 로드(361)에 대하여 제4 피벗축(94)이 변위량(δ)만큼 변위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고무 부시(111)의 고무(366)는 휘고, 스톱퍼 부재(396)의 스톱퍼용 고무(398)는 약간 휘어 내통(115)에 접촉하고(즉, C2=제로), 내통(115)이 스톱퍼(361c)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위가 규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고무 부시(111)에 스톱퍼 부재(396)를 조합함으로써, 탄성 특성을 변위 도중에 크게 변화시킬 수 있어, 탄성 특성의 변경이, 예컨대, 스톱퍼용 고무(398)의 내경을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탄성 특성의 설계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스톱퍼(361c)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스톱퍼(361c)는 연결 로드와 별체로 구성하여, 고무 부시(111)와 스톱퍼 부재(396)에 협지하여도 좋다.
이상의 도 1,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파워 유닛(56)에 엔진(59)과 구동륜으로서의 후륜(14)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차체로서의 피벗 플레이트(31, 32)에 파워 유닛(56)을 스윙 자유롭게 현가하고, 피벗 플레이트(31, 32)에 제1 링크(81, 81)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는 동시에 제1 링크(81, 81)를 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들 제1 링크(81, 81)의 타단에 제2 링크(82)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는 동시에 제2 링크(82)를 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 제2 링크(82)의 타단에 파워 유닛(56)을 스윙 자유롭게 연결하고, 피벗 플레이트(31), 자세하게는,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연결 로드(84)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연결 로드(84)의 타단에 파워 유닛(56)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와 연결 로드(84)와, 파워 유닛(56)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기구(105)를 설치하고, 연결 로드(84)에 설치한 차체측 연결축으로서의 제3 피벗축(93)과 파워 유닛측 연결축으로서의 제4 피벗축(94)을 연결하는 선분(133)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동시에, 제4 피벗축(94)을 연결 로드(84)로 탄성 부재로서의 고무 부시(111)를 통하여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톱퍼 기구(105)로 파워 유닛(56)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뿐만 아니라, 연결 로드(84)에 설치한 제4 피벗축(94)의 고무 부시(111)의 변형 시에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한 파워 유닛(56)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어, 파워 유닛(56)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2방향의 이동 자유도를 가능하게 하면서, 파워 유닛(56)의 전후이동 및 상하이동을 연결 로드로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톱퍼 구조를 간소하게 하여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둘째로, 연결 로드(84)에는, 제3 피벗축(93)과 제4 피벗축(94)과의 사이에 제2 차체측 연결축으로서의 중간축(95)을 구비하고, 제4 피벗축(94)을 탄성 부재로서의 고무 부시(111)를 통하여 파워 유닛(56)에 연결하고, 중간축(95)을 탄성 부재로서의 고무 부시(111)를 통하여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무 부시(111∼111)에 의해, 탄성 부재가 단일한 경우에 비해 댐퍼 기능이 향상하여, 보다 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셋째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 기구(105)를, 연결 로드(84)에 설치한 돌기(84a)와, 이 돌기(84a)를 삽입하기 위해서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에 설치한 절결(31c)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예컨대, 돌기(84a)가 마모 등에 의해 교환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 종래와 같이 파워 유닛에 설치된 경우에 비해 교환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스톱퍼 기구(105)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넷째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 기구(266)를, 연결 로드(236)의 차체측 연결축으로서의 제3 피벗축(233)으로부터 파워 유닛측 연결축으로서의 제4 피벗축(92)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36A)의 단부에 고정한 탄성체로서의 스톱퍼 고무(237)와, 이 스톱퍼 고무(237)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차체에 설치한 규제부로서의 메인 프레임(26), 인너 피벗 플레이트(31b)의 후벽(231c)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스톱퍼 고무(237)의 형상, 혹은 스톱퍼 고무(237)의 경도를 변경함으로써, 스톱퍼 고무(237)로 완충·방진 효과를 발휘하면서 파워 유닛(56)의 전후의 스윙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스윙량을 더 크게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섯째로, 이상의 도 1,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 유닛(56)의 하부에 메인 스탠드(6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메인 스탠드(61)를 세운 상태라도, 연결 로드(84) 측의 3개의 고무 부시(111∼111)에 의한 댐퍼 기능의 향상에 의해서 파워 유닛(56)의 진동을 흡수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차체 프레임(11)에 전해지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섯째로, 탄성 부재를 고무 부시로 구성하고, 제4 피벗축(94)의 고무 부시(111)에, 제4 피벗축(94)의 상하에 구멍부(123a, 123b)를 구비함으로써 차체 전후 방향에 비해 상하 방향에 유연한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4 피벗축(94)의 고무 부시(111)가, 간단한 구조로 파워 유닛(56)의 상하이동에 의한 진동을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파워 유닛(56)의 상하 진동을 차체 프레임(11)에 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곱째로, 탄성 부재를 고무 부시로 구성하고, 중간축(95)의 고무 부시(111)에, 중간축(95)의 전후에 구멍부(128a, 128b)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방향에 비해 차체 전후 방향에 유연한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중간축(95)의 고무 부시(111)가, 간단한 구조로 파워 유닛(56)의 전후이동에 의한 진동을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파워 유닛(56)의 전후 진동을 차체 프레임(11)에 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덟째로, 제3 피벗축(93)과 중간축(95)을 연결하는 선분(131)과, 중간축(95)과 제4 피벗축(94)을 연결하는 선분(132)으로, く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4 피벗축(94)을 차체 프레임(11)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 로드(84)와 차체 프레임(11)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제4 피벗축(94)의 스윙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홉째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로드(84)를 단일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11)의 일측 쪽에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링크 기구(105)를 간소하게 하여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째로, 연결 로드(84)를, 단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톱퍼 기구(105)의 돌기(84a)를 고강도로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 로드(84)를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한 번째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피벗축(94)을 제2 링크(92)에 구비하는 복수의 연결 지지부로서의 왼쪽 아암(175), 오른쪽 아암(175) 및 단부 아암(178)으로 지지하고, 연결 로드(84)를, 복수의 연결 지지부(175, 176, 178) 중의 제1 연결 지지부로서의 왼쪽 아암(175)과, 이 왼쪽 아암(175)보다 차체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연결 지지부로서의 단부 아암(178)으로 끼워 제4 피벗축 (94)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연결 로드(84)가, 왼쪽 아암(175)과 단부 아암(178)으로 끼워져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 로드(84)를 지지하는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연결 로드(84)의 효과를 더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열두 번째로,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피벗축(94)과 연결 로드(361)와의 사이에 개재한 탄성 부재를 복수, 즉, 고무(366) 및 스톱퍼용 고무(398)로 구성하고, 이들 고무(366) 및 스톱퍼용 고무(398)를 축 방향에 나열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고무(366) 및 스톱퍼용 고무(398)의 휨량을 소정값 이하로 설정하기 위해서 고무(366)와 스톱퍼용 고무(398)와의 사이에 설치된 규제 수단으로서의 스톱퍼(361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무(366) 및 스톱퍼용 고무(398)의 휨량을 간단한 구조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스톱퍼(361c)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자유롭게 휨량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로드(84)를 차체 프레임(11)의 좌측에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체 프레임(11)의 우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고무 부시(111, 111)에서의 고무(123, 128)의 스프링 레이트를 변경하여 최적으로 설정함으로써, 구멍부(123a, 123b, 128a, 128b)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차량의 성질에 따라서는 구멍부가 불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116, 115)을 각각 좌우로 분할하였지만, 외통(116, 115) 중 한 쪽을 좌우로 분할하여도 좋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 및 도 14에 도시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외통(116, 116) 중 적어도 한쪽을 좌우로 분할하고, 분할한 외통(116, 116)을 연결 부재로 연결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는, 스쿠터형 차량에 적합하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서는, 차체에 연결 로드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연결 로드의 타단에 파워 유닛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차체와 연결 로드에, 파워 유닛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기구를 설치하고, 연결 로드에 설치한 차체측 연결축과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연결하는 선분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연결 로드로 탄성 부재를 통하여 지지하였으므로, 스톱퍼 기구로 파워 유닛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뿐만 아니라, 연결 로드에 설치한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탄성 부재의 변형 시에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한 파워 유닛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어, 파워 유닛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2방향의 이동 자유도를 가능하게 하면서, 파워 유닛의 전후이동 및 상하이동을 연결 로드로써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톱퍼 구조를 간소하게 하여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서는, 연결 로드에는, 차체측 연결축과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사이에 제2 차체측 연결축을 구비하고,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탄성 부재를 통하여 파워 유닛에 연결하고, 제2 차체측 연결축을 탄성 부재를 통하여 차체에 연결하였으므로, 탄성 부재가 단일한 경우에 비해 댐퍼 기능이 향상하여, 보다 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서는, 스톱퍼 기구를, 연결 로드에 설치한 돌기와, 이 돌기를 삽입하기 위해서 차체에 설치한 절결로 구성하였으므로, 예를 들어, 돌기가 마모 등에 의해 교환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 종래와 같이 파워 유닛에 설치된 경우에 비해 교환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써 스톱퍼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서는, 스톱퍼 기구를, 연결 로드의 차체측 연결축으로부터 파워 유닛측 연결축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의 단부에 고정한 탄성체와, 이 탄성체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차체에 설치한 규제부로 구성하였으므로, 예컨대, 탄성체의 형상, 혹은 탄성체의 경도를 변경함으로써, 완충·방진 효과를 발휘하면서 파워 유닛의 전후의 스윙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스윙량을 더 크게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서는, 파워 유닛의 하부에 메인 스탠드를 설치하였으므로, 메인 스탠드를 세운 상태라도, 연결 로드측의 복수의 탄성 부재에 의한 댐퍼 기능의 향상에 의해서 파워 유닛의 진동을 흡수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차체에 전해지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서는, 탄성 부재를 고무 부시로 구성하고,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고무 부시에,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상하에 구멍부를 구비함으로써 차체 전후 방향에 비해 상하 방향에 유연한 성질을 가지므로,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고무 부시가, 간단한 구조로 파워 유닛의 상하이동에 의한 진동을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파워 유닛의 상하 진동을 차체 프레임에 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서는, 탄성 부재를 고무 부시로 구성하고, 제2 차체측 연결축의 고무 부시에, 제2 차체측 연결축의 전후에 구멍부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방향에 비해 차체 전후 방향에 유연한 성질을 가지므로, 제2 차체측 연결축의 고무 부시가, 간단한 구조로 파워 유닛의 전후이동에 의한 진동을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파워 유닛의 전후 진동을 차체 프레임에 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에서는, 차체측 연결축과 제2 차체측 연결축을 연결하는 선분과, 제2 차체측 연결축과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연결하는 선분으로, く자를 형성하므로,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차체로부터 떨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 로드와 차체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파워 유닛측 연결축의 스윙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에서는, 연결 로드를 단일로 하여, 차체의 일측 쪽에만 설치하였으므로, 링크 기구를 간단하게 하여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에서는, 연결 로드를, 단조로 형성하였으므로, 스톱퍼 기구의 돌기를 고강도로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 로드를 경량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에서는,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제2 링크에 구비하는 복수의 연결 지지부로 지지하고, 연결 로드를, 복수의 연결 지지부 중 제1 연결 지 지부와, 이 제1 연결 지지부보다 차체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 지지부로 끼워 파워 유닛측 연결축에 연결하였으므로, 연결 로드가, 제1 연결 지지부와 제2 연결 지지부로 끼워져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 로드를 지지하는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연결 로드의 효과를 보다 확실히 발휘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에서는, 파워 유닛측 연결축과 연결 로드의 사이에 개재한 탄성 부재를 복수로 구성하고, 이들 탄성 부재를 축 방향에 나열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탄성 부재의 휨량을 소정값 이하로 설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탄성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규제 수단을 구비하므로, 탄성 부재의 휨량을 간단한 구조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규제 수단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자유롭게 휨량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Claims (12)

  1. 파워 유닛(56)에 엔진(59)과 구동륜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차체(11)에 상기 파워 유닛(56)을 스윙 자유롭게 현가하고, 상기 차체(11)에 제1 링크(81)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링크(81)를 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링크(81)의 타단에 제2 링크(82)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링크(82)를 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링크(82)의 타단에 상기 파워 유닛(56)을 스윙 자유롭게 연결하고,
    상기 차체(11)에 연결 로드(84)의 일단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상기 연결 로드(84)의 타단에 상기 파워 유닛(56)을 스윙 자유롭게 장착하고, 상기 차체(11)와 상기 연결 로드(84)에, 상기 파워 유닛(56)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기구(105)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 로드(84)에 설치한 차체측 연결축(93)과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연결하는 선분(131)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파워 유닛측 연결축을 상기 연결 로드(84)로 탄성 부재(111)를 통하여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84)는, 상기 차체측 연결축(93)과 상기 파워 유닛측 연결축(94) 사이에 제2 차체측 연결축(95)을 구비하고, 상기 파워 유닛측 연결축(94)을 탄성 부재(111)를 통하여 상기 파워 유닛(56)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차체측 연결축(95)을 탄성 부재(111)를 통하여 상기 차체(11)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기구(105)는, 상기 연결 로드(84)에 설치한 돌기(84a)와, 상기 돌기(84a)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차체(11)에 설치한 절결(31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기구(105)는, 상기 연결 로드(84)의 상기 차체측 연결축(93)으로부터 상기 파워 유닛측 연결축(94)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의 단부에 고정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차체(11)에 설치한 규제부(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유닛(56)의 하부에 메인 스탠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고무 부시로 구성되고, 상기 파워 유닛측 연결축(94)의 고무 부시는, 파워 유닛측 연결축(94)의 상하에 구멍부(123a)를 구비함으로써 차체 전후 방향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유연한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고무 부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차체측 연결축(95)의 고무 부시는, 제2 차체측 연결축(95)의 전후에 구멍부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방향에 비해 차체 전후 방향으로 유연한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연결축(93)과 상기 제2 차체측 연결축(95)을 연결하는 선분과, 상기 제2 차체측 연결축(95)과 상기 파워 유닛측 연결축(94)을 연결하는 선분은, く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9.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84)는 단일이고, 상기 차체(11)의 일측 쪽에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84)는, 단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11.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유닛측 연결축(94)을 상기 제2 링크(82)에 구비하는 복수의 연결 지지부로 지지하고, 상기 연결 로드(84)는, 상기 연결 지지부 중의 제1 연결 지지부(175)와, 상기 제1 연결 지지부(175)보다 차체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 연결 지지부(178)로 끼워져 상기 파워 유닛측 연결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12.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유닛측 연결축(94)과 상기 연결 로드(84) 사이에 개재한 상기 탄성 부재를 복수로 구성하고, 이들 탄성 부재를 축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의 휨량을 소정값 이하로 설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 사이에 설치된 규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KR1020060074245A 2005-08-31 2006-08-07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KR100804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2654 2005-08-31
JP2005252654 2005-08-31
JPJP-P-2006-00121774 2006-04-26
JP2006121774A JP4820207B2 (ja) 2005-08-31 2006-04-26 スクータ型車両のパワーユニット懸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001A KR20070026001A (ko) 2007-03-08
KR100804374B1 true KR100804374B1 (ko) 2008-02-15

Family

ID=3797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245A KR100804374B1 (ko) 2005-08-31 2006-08-07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20207B2 (ko)
KR (1) KR100804374B1 (ko)
TW (1) TW2007145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0194B2 (ja) * 2009-07-14 2013-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イング式パワーユニットの懸架装置
JP2012201242A (ja) * 2011-03-25 2012-10-22 Hond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のフレーム構造
JP6251615B2 (ja) * 2014-03-20 2017-1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懸架装置
JP2020015475A (ja) * 2018-07-27 2020-01-3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7155738B2 (ja) * 2018-08-13 2022-10-19 スズキ株式会社 フレーム構造及びスクータ型二輪車
EP3882118B1 (en) * 2018-11-12 2023-08-0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addled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0288A (ja) 1985-11-19 1987-06-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用車体連結装置
JPH05221370A (ja) 1992-02-13 1993-08-31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のパワーユニット懸架装置
JP2660313B2 (ja) 1992-09-29 1997-10-08 工業技術院長 溶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3491A (ja) * 1981-10-28 1983-05-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JPS6243375A (ja) * 1985-08-21 1987-0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メインスタンド取付装置
JPS62160977A (ja) * 1986-08-21 1987-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支持構造
JPH05185978A (ja) * 1992-01-10 1993-07-27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リヤアームの軸受部構造
JP4400777B2 (ja) * 2003-03-12 2010-01-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2005041382A (ja) * 2003-07-23 2005-02-17 Showa Corp 自動二輪車等の後輪懸架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0288A (ja) 1985-11-19 1987-06-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用車体連結装置
JPH05221370A (ja) 1992-02-13 1993-08-31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のパワーユニット懸架装置
JP2660313B2 (ja) 1992-09-29 1997-10-08 工業技術院長 溶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001A (ko) 2007-03-08
TW200714511A (en) 2007-04-16
JP2007091204A (ja) 2007-04-12
JP4820207B2 (ja) 2011-11-24
TWI305759B (ko) 200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374B1 (ko) 스쿠터형 차량의 파워 유닛 현가 장치
US8746717B2 (en) Saddle riding type vehicle
US4288096A (en) Front wheel suspension mechanism for vehicle
US10807426B2 (en) Multi-link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US7878290B2 (en) Saddle riding type vehicle
EP1874619B1 (en) Motorcycle
US20100078911A1 (en) Multi-link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for suspending wheels
JP2009532257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搭載オートバイ
KR20090116818A (ko) 차륜을 지지하기 위한 차륜용 서스펜션 장치 및 방법
JP2004306749A (ja)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JP2006347338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21054129A (ja) 鞍乗型車両
EP1747983B1 (en) Low-floor vehicle
JP3468014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トレーリングアーム支持構造
CN108382144B (zh) 悬架装置
EP4101750A1 (en) Tilting two wheel front fork assembly for a vehicle
US20100013180A1 (en) Three-wheeled vehicle with rear axle control link
CN100586787C (zh) 小型摩托车式车辆的动力单元悬架装置
JP5320194B2 (ja) スイング式パワーユニットの懸架装置
CA3101123A1 (en) Rear suspension assembly for a snowmobile
JP2009083638A (ja) 自動二輪車のパワーユニット懸架構造
JP2006192932A (ja) 自動車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11305833B2 (en) Saddle-riding-vehicle front part structure
JP2012111250A (ja) 車両用懸架装置および車両の制動偏向抑制方法
CN117985156A (zh) 摩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