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161B1 -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 Google Patents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161B1
KR100804161B1 KR1020050132022A KR20050132022A KR100804161B1 KR 100804161 B1 KR100804161 B1 KR 100804161B1 KR 1020050132022 A KR1020050132022 A KR 1020050132022A KR 20050132022 A KR20050132022 A KR 20050132022A KR 100804161 B1 KR100804161 B1 KR 100804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lastic ring
pipeline
installation member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621A (ko
Inventor
이제근
손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강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강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강개발
Publication of KR2006010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관로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노출 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에 관한 것으로, 원형으로 감겨 수축된 상태로 관로 내부에 삽입된 후 팽창되어 관로 내벽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수단과, 지지수단의 상부 내주면에 구비되어 지지되며 케이블 다발을 노출 없이 감싸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되고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블 수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관로 내부에 케이블을 간단하지만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케이블을 전혀 노출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노출로 인한 단선, 피복 손상 등으로부터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관로, 케이블, 가이드벨트

Description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Cable installation materials for a pip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블 설치부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블 설치부재가 관로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의 변형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400, 500, 600 : 지지수단
110, 310, 410, 510, 610 : 탄성링
111 : 절개부 112 : 가이드라인
113 : 굴곡부 120, 320, 420 : 가이드벨트
121, 521, 621 : 걸림돌기 200, 220, 240 : 케이블 수용관
본 발명은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로 내부에 케이블을 간단하지만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케이블을 전혀 노출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노출로 인한 단선, 피복 손상 등으로부터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설치부재는 관로 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케이블을 관로 내의 상측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설치를 위한 별도의 전용관로를 마련하는 대신 하수가 흐르는 기존의 하수관로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설치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같은 케이블 설치부재는 새로운 관로를 마련하지 않고도 기존의 하수관로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매설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을 덜고, 작업시간 및 노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최근 많은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다.
이에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블 설치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블 설치부재가 관로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블 설치부재(10)는 내측에 케이블이 관통되어지는 구멍(11)을 복수개 가지는 원형의 러버 슬리브로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케이블 설치부재(10)는 단독으로는 관로 내부에 설치되지 못하지만, 스틸 슬리브(20)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관로(P) 내부 벽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틸 슬리브(20)는 관로(P) 내부에서 팽창된 후 걸림돌기(21)에 의해 수축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그 외측에 끼워진 케이블 설치부재(10)를 관로 내부 벽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 설치부재(10)에 의해 설치된 케이블(C)은 관로(P) 내부에 그대로 노출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단선되거나 피복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는 노출된 상태로 방치된 케이블(C)은 우중에 상류측으로부터 관로 내를 채우면서 빠른 속도록 흐르는 하수와 함께 떠내려 오는 나무, 돌 등에 강하게 접촉되기 때문이다. 또한 고수압에 의한 제트 클리닝시 뒤엉키게 된 케이블(C)이 관로(P) 내부에 준설기계 등의 기계 또는 기구가 투입될 때 뽑히거나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 설치부재(10)는 단독으로는 관로(P) 내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없는 관계로 상기 스틸 슬리브(20)와 같은 보조재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스틸 슬리브(20)의 경우 단순히 끝단에 걸리는 걸림돌기(21)에만 의존하여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에 의해 일정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풀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스틸 슬리브(20)에 의존하는 종래의 케이블 설치부재(10)는 장기간 안정된 상태로 상기 케이블(C)을 지지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 설치부재(10)는 낱개의 케이블(C)이 관통하는 구멍(11)만을 구비하여 많은 양의 케이블(C) 다발을 수용하여 관로 내부에 설치하는 데에는 곤란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 내부에 케이블을 간단하지만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설치된 케이블을 노출되지 않게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는, 관로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관로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노출 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것으로서, 원형으로 감겨 수축된 상태로 관로 내부에 삽입된 후 팽창되어 관로 내벽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상부 내주면에 구비되어 지지되며, 상기 케이블 다발을 노출 없이 감싸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되고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블 수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은,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 수용관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접합되어 지지되고, 원형으로 감겨질 때 원래의 상태로 풀어지려는 탄성력을 갖는 복수의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가 교차하여 겹쳐지는 탄성링의 외측면 일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가 탄성링의 외측면 일단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케이블 수용관의 선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이르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 수용관이 접합되어 지지되며, 원형으로 감겨질 때 원래의 상태로 풀어지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가 교차하여 겹쳐지는 탄성링의 외측면 일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가 탄성링의 외측면 일단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벨트가 관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벨트는 양 끝단만 상기 탄성링의 외측면에 접합되어, 그 접합된 양 끝단 사이에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가 안내받아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벨트에는 상기 탄성링이 팽창된 후 수축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링의 타단에 걸려 구속되는 걸림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링의 타단 중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부위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부분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가이드벨트가 사다리꼴 형태로 부분 절개된 후 내측방향으로 꺾여지되, 탄성링의 타단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링에는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요입된 가이드라인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벨트는 상기 가이드라인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 수용관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접합되어 지지되고, 원형으로 감겨질 때 원래의 상태로 풀어지려는 탄성력을 가지며, 타단부와 교차하여 겹쳐지는 일단부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팽창된 후 수축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공에 걸려 체결되는 걸림돌기가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의 탄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케이블 수용관의 선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이르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 수용관이 접합되어 지지되며, 원형으로 감겨질 때 원래의 상태로 풀어지려는 탄성력을 가지며, 일단부와 교차하여 겹쳐지는 타단부에는 팽창된 후 수축되지 않도록 상기 일단부 끝단에 걸려 체결되는 걸림돌기가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탄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탄성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탄성링이 사다리꼴 형태로 부분 절개된 후 내측방향으로 꺾여지되, 탄성링의 일단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수용관은, 하나의 판재가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 굴곡지게 접혀진 후 좌우 양단부가 상기 지지수단의 내주면과 접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수용관은 중공의 관이 상기 지지수단의 내주면에 접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수용관은, 하나의 판재가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접혀지고, 그 좌우 양단부에는 관로 내벽에 밀착되도록 꺾어져서 연장된 연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케이블 설치부재는 관로 내부에서 설치되어 관로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노출 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로서, 하나의 판재가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접혀지고, 그 좌우 양단부에는 관로 내벽에 밀착되도록 꺾어져서 연장된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나사체결 가능하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케이블 수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수용관의 일부구간은 관로의 단차 및 곡선구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는 관로(P) 내부에 연속적으로 밀접하게 설치되며, 이때 케이블(C)을 수용하는 케이블 수용관(200)이 단절된 구간 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케이블(C)을 관로 내부에 노출 없이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그동안 케이블(C)의 노출로 인한 케이블(C)의 단선 및 피복 손상 등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가이드벨트(120)에 의해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을 관로 내부에 지지 고정하는 탄성링(110)의 수축 및 팽창 동작이 보다 안정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링(110)이 팽창된 후 구속 체결되면 웬만한 외력에도 쉽게 풀어지지 않게 되어 장기간에 걸쳐 케이블(C)을 안전하게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저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링(110) 및 가이드벨트(120)로 이루어진 지지수단(100)과, 케이블 수용관(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100)의 탄성링(110)은 전후로 길게 형성된 케이블 수용관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접합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탄성링(110) 중간 부위에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접합된다.
상기 탄성링(110)은 원형으로 감겨질 때 원래의 상태대로 풀어지려는 경향을 갖는 탄성력을 지니고 있고, 내식성 및 부식성에서 우수한 소재로 구성된다. 이같은 소재로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정도면 적당하다. 상기 탄성링(110)의 두께는 탄성력을 지니면서 원형으로 감겨질 때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한 정도면 된다. 또한, 상기 탄성링(110)의 폭은 상기 가이드벨트(120) 하나를 그 외측에 설치할 수 있는 정도면 적당하며 너무 넓을 필요는 없다. 상기 탄성링(110)의 타단부에는 수축 및 팽창시 상기 가이드벨트(120)의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벨트(120)가 관통되는 절개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링(110)의 타단 중 걸림돌기(121)가 걸리는 부위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부분 굴곡진 굴곡부(113)가 형성된다. 이렇게 굴곡부(113)가 형성되면 상기 가이드벨트(120)와의 접촉이 강화되면서 상기 걸림돌기(121)가 탄성링(110)의 타단에 더욱 확실하게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링(11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요입된 가이드라인(1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라인(112)은 상기 탄성링(110)의 형태를 보존할 수 있도록 강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112)은 상기 탄성링(110)의 외측면에서는 요입된 형태가 되고 내측면에서는 돌출된 형태가 되어 탄성링(110)이 겹친 상태에서 상호간에 부합되면서 상기 탄성링(110)이 감긴 상태에서 각각 외측과 내측에 위치하는 타단부 및 일단부가 좌우 어느 한편으로 어긋나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라인(112) 내에는 상기 가이드벨트(120)가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벨트(120)의 설치로 인한 돌출 정도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벨트(120)에 형성된 걸림돌기(121)가 상기 탄성링(110) 타단에 보다 확실하게 걸려 체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이드벨트(120)는 상기 탄성링(110)의 외측면 일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탄성링(110)이 감겨진 상태로 수축 및 팽창할 때 상기 탄성링(110)의 타단부가 탄성링(110)의 외측면 일단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벨트(1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벨트(120)는 상기 탄성링(1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절개부(111)를 관통한 상태로 양 끝단이 상기 탄성링(110)의 외측면 일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접합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벨트(120)의 양 끝단은 상기 탄성링(110)에 외측면에 접합되지만 양끝단 사이의 접합되지 않는 구간은 탄성링(110)의 타단부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구간이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벨트(120)는 탄성링(110)의 수축 및 팽창시 탄성링(110)의 타단부가 이동하는 거리보다 약간 정도 여유 있는 정도로 한다. 이같은 가이드벨트(120)의 설치로 인해 탄성링(110)의 수축 및 팽창시 탄성링(110)의 타단부가 탄성링(110)의 일단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보다 안정된 수축 및 팽창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벨트(120)에는 탄성링(110)이 팽창된 후 수축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링(110)의 타단을 걸어주는 꺾쇠형의 걸림돌기(121)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21)는 상기 가이드벨트(120)를 사다리꼴로 부분 절개(또는 반원형 절개도 무방함)하여 절개된 부위를 가이드벨트(120)의 내측으로 꺾어내려 형성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21)의 꺾인 정도는 상기 탄성링(110) 타단에 확실하게 걸릴 수 있도록 30° 내지 45°가 적당하고, 팽창시에는 상기 탄성링(110) 타단에 걸리지 않고 수축시에만 걸리 수 있도록 탄성링(110)의 타단을 마주보고 있어야 한다. 참고로, 상기 걸림돌기(121)가 상기 가이드벨트(12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은 다양한 구경을 갖는 관로 내부에서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이로써 탄성링(110)이 팽창되어 관로 내부에 설치된 후 상기 걸림돌기(121)가 상기 탄성링(110)의 타단에 확실하게 걸려 구속되면서 탄성링(110)의 수축이 억제되는 것은 물론 관로의 상류측에서 돌이나 나무 등의 이물질이 빠른 속도로 쓸려 내려와서 접촉되거나 관로 내부에서 시행되는 다양한 공사 중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도 쉽게 풀어지지 않는다. 이처럼 상기 탄성링(110)은 쉽게 풀어지지 않으면서 장기간에 걸쳐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을 안전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은 상기 탄성링(110)의 상부 내주면에 설치되며, 케이블을 노출 없이 감싸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되고 관로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용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을 마련하기 위해 하나의 판재가 전후 길이방향(관로의 종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접혀진 후 그 좌우 양단부가 상기 탄성링(110)의 상부 내주면과 접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었으며 관로의 상부 내벽에 접하여 케이블을 노출 없이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이 접합되는 케이블 수용관(200)의 좌우 양단부 끝자락은 상기 탄성링(110) 두께만큼 따내어 상기 탄성링(110)과 케이블 수용관(200)의 접합부위에서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래야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이 관로 내벽에 빈틈없이 밀착된다.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은 서로 연결되면서 케이블을 둘러싸 수용할 수 있 는 수용부를 형성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에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의 변형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220,240)은 케이블을 둘러싸 수용할 수 있는 종방향의 수용부만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경우 변형전과 비교하여 상기 케이블 수용관(220)의 절곡이 곡면으로 부드럽게 되는 대신 각진 모양으로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8의 경우 케이블 수용관(240)은 중공의 관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이 지지수단(100)의 상부 내부면에 접합되어 마련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100)이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에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 사시도이다.
먼저, 도 9는 케이블 수용관(200)과 중복되는 지지수단(300) 탄성링(310)의 일부 구간(D)을 제거한 것이다. 이같이 상기 케이블 수용관(200)과 중복되는 탄성링(310)의 일부 구간을 제거하여도 탄성링(310)의 신축 작용이나 가이드벨트(320)의 설치에는 거의 영향이 없으며, 오히려 불필요한 부위를 없애고 보다 일체화된 형태를 갖게 된다.
도 10은 변형된 지지수단(400)의 탄성링(410)이 케이블 수용관(200)의 선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이르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상기 탄성링(410)이 관로의 전후길이와 같은 넓은 폭으로 형성되면 케이블 설치뿐만 아니라 손상된 관로의 내부 벽면을 메워 보수하기 위한 보수부재로서의 용도를 겸할 수 있다. 이 경우 넓은 폭을 갖는 상기 탄성링(410)의 외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가이드라인(412)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가이드벨트(120)이 각각 설치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벨트(120, 도 5 참조)가 구비되는 대신 지지수단(500)의 탄성링(510) 자체적으로 구속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링(510)의 일단부와 교차하는 탄성링(510)의 타단부에는 상기 탄성링(510)의 일단이 걸려 체결되는 걸림돌기(521)가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돌기(521)는 상기 탄성링(5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탄성링(510)은 관로의 크기에 맞게 팽창된 후 구속 체결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도 11에 비해 지지수단(600)의 탄성링(610)의 폭을 넓게 형성시킨 것으로 걸림돌기(621)는 상기 탄성링(61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고 탄성링(610)의 폭에 따라 그 중간에도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수용관(250)의 좌우 양단부에 관로 내벽에 밀착되도록 꺾어져서 연장된 연장부(25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은 도 4 및 도 9에서 케이블 수용관(250)에 상기 연장부(251)가 더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1)가 더 구비되면 상기 케이블 수용관(250)이 관로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5는 케이블 수용관(260)의 일부구간에 주름(2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케이블 수용관(260)에 주름(263)이 형성되면 관로의 단차구간 및 곡선구간을 수용하면서 상기 케이블 수용관(260)을 관로에 보다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은 주름(263)은 지금까지 언급된 모든 케이블 수용관에 적용할 수 있으나 도 15에서는 그 중 하나의 예로서 연장부(261)가 형성된 케이블 수용관(260)만이 도시되었을 뿐이다.
도 16은 지금까지의 지지수단 없이 케이블 수용관(270) 자체만으로 본 발명의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를 구현하고자 한 것으로, 도 13 과 도 14의 케이블 수용관(250)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판재가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 길이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접혀지고, 그 좌우 양단부에는 관로 내벽에 밀착되도록 꺾어져서 연장된 연장부(27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271)에는 나사(274)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나사공(273)이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도 나사체결만으로도 상기 케이블 수용관(270)을 관로 내벽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별도의 지지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나사체결을 위해 관로에 얼마의 흠집을 내야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는 관로 내부에 케이블을 전혀 노출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케이블의 단선, 피복 손상 등과 같은 각종 폐해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전용관로를 마련하지 않고 기존의 하수관로를 이용하여 관로의 파손 없이 케이블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 내부에 매우 안정되고 견고하게 설치되어 관로 내부에서 시행되는 각종 공사 및 수압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쉽게 풀어지지 않으므로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링이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관로의 보수를 위한 보수부재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수용관에 형성된 주름에 의해 관로의 단차구간 및 곡선구간에서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공이 형성된 연장부가 케이블 수용관에 더 구비되면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도 관로 내에 바로 설치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케이블 설치부재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6)

  1. 삭제
  2. 관로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관로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노출 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로서,
    원형으로 감겨 수축된 상태로 관로 내부에 삽입된 후 팽창되어 관로 내벽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되며, 상기 케이블 다발을 노출 없이 감싸 수용할 수 있도록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블 수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은,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 수용관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접합되어 지지되고, 원형으로 감겨질 때 원래의 상태로 풀어지려는 탄성력을 갖는 복수의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가 교차하여 겹쳐지는 탄성링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가 탄성링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3. 관로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관로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노출 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로서,
    원형으로 감겨 수축된 상태로 관로 내부에 삽입된 후 팽창되어 관로 내벽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되며, 상기 케이블 다발을 노출 없이 감싸 수용할 수 있도록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블 수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케이블 수용관의 선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이르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 수용관이 접합되어 지지되며, 원형으로 감겨질 때 원래의 상태로 풀어지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가 교차하여 겹쳐지는 탄성링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가 탄성링의 외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벨트가 관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벨트는 양 끝단만 상기 탄성링의 외측면에 접합되어, 그 접합된 양 끝단 사이에 상기 탄성링의 타단부가 안내받아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벨트에는 상기 탄성링이 팽창된 후 수축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링의 타단에 걸려 구속되는 걸림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의 타단 중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부위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부분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가이드벨트가 사다리꼴 형태로 부분 절개된 후 내측방향으로 꺾여지되, 탄성링의 타단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에는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요입된 가이드라인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벨트는 상기 가이드라인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8. 관로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관로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노출 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로서,
    원형으로 감겨 수축된 상태로 관로 내부에 삽입된 후 팽창되어 관로 내벽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되며, 상기 케이블 다발을 노출 없이 감싸 수용할 수 있도록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블 수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은,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 수용관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접합되어 지지되고, 원형으로 감겨질 때 원래의 상태로 풀어지려는 탄성력을 가지며, 타단부와 교차하여 겹쳐지는 일단부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팽창된 후 수축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공에 걸려 체결되는 걸림돌기가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의 탄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9. 관로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관로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노출 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로서,
    원형으로 감겨 수축된 상태로 관로 내부에 삽입된 후 팽창되어 관로 내벽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되며, 상기 케이블 다발을 노출 없이 감싸 수용할 수 있도록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용부를 갖는 케이블 수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케이블 수용관의 선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이르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 수용관이 접합되어 지지되며, 원형으로 감겨질 때 원래의 상태로 풀어지려는 탄성력을 가지며, 일단부와 교차하여 겹쳐지는 타단부에는 팽창된 후 수축되지 않도록 상기 일단부 끝단에 걸려 체결되는 걸림돌기가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탄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탄성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탄성링이 사다리꼴 형태로 부분 절개된 후 내측방향으로 꺾여지되, 탄성링의 일단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꺾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12. 제 2항, 제 3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관은, 하나의 판재가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 굴곡지게 접혀진 후 좌우 양단부가 상기 지지수단의 내주면과 접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13. 제 2항, 제 3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관은 중공의 관이 상기 지지수단의 내주면에 접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14. 제 2항, 제 3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관은, 하나의 판재가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접혀지고, 그 좌우 양단부에는 관로 내벽에 밀착되도록 꺾어져서 연장된 연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15. 관로 내부에서 설치되어 관로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노출 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로서,
    하나의 판재가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접혀지고, 그 좌우 양단부에는 관로 내벽에 밀착되도록 꺾어져서 연장된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에는 나사체결 가능하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케이블 수용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16. 제 2항, 제 3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관의 일부구간은 관로의 단차 및 곡선구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KR1020050132022A 2005-04-07 2005-12-28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KR100804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146 2005-04-07
KR20050029146 2005-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621A KR20060106621A (ko) 2006-10-12
KR100804161B1 true KR100804161B1 (ko) 2008-02-22

Family

ID=3762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022A KR100804161B1 (ko) 2005-04-07 2005-12-28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115Y1 (ko) * 2011-10-26 2014-02-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파이프
KR200467320Y1 (ko) * 2011-12-21 2013-06-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배관용 배선 클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226A (ja) * 2001-05-21 2002-11-27 Mole Kogyo:Kk 鞘管固定具及び鞘管固定具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226A (ja) * 2001-05-21 2002-11-27 Mole Kogyo:Kk 鞘管固定具及び鞘管固定具装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621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9682A (en) Metal clamp for joining pipes
JP5099549B2 (ja) 管接続構造
KR100659017B1 (ko) 건축용 방수 전선관
KR100804161B1 (ko)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US20150121676A1 (en) Supporting collar for articles such as cables, pipes or the like
KR100512024B1 (ko) 관로의 비굴착 보수부재
KR101869319B1 (ko) 파이프 커버 기능을 갖는 배관 커플러
KR20110108865A (ko) 수축수지제를 이용한 파상형 전선관 방수 커플링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EP1750047A1 (fr) Support de pose pour des tuyaux, câbles, canalisations et autre circuits
KR101224634B1 (ko) 호스의 꺾임 방지 장치
JP3268720B2 (ja) 二重配管の端末保護管
KR101622961B1 (ko) 호스 고정용 클램프
JP4429508B2 (ja) ゴムユニット拡径保持材及び拡径保持材付ゴムユニット
JPH10304546A (ja) 光ケーブル切替接続部の防水保護方法および防水保護構造
JP2962991B2 (ja) 管渠内に懸吊体を敷設するための懸吊体保持具
KR100342127B1 (ko) 관의연결장치
KR20050098689A (ko) 통신관로 부분보수용 슬리브
KR200203763Y1 (ko) 익스펜션 조인트
KR200478539Y1 (ko) 튜브형 보온단열재
WO2001090496A1 (en) A connector for connecting end portions of double wall drain pipes
JP2005192326A (ja) 管路・ケーブル信頼性向上方法
KR20080054025A (ko) 관로의 케이블 설치부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공법
JP4231771B2 (ja) 保護管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732156B1 (ko) 관로 보수부재의 연속설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