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814B1 -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814B1
KR100803814B1 KR1020060123254A KR20060123254A KR100803814B1 KR 100803814 B1 KR100803814 B1 KR 100803814B1 KR 1020060123254 A KR1020060123254 A KR 1020060123254A KR 20060123254 A KR20060123254 A KR 20060123254A KR 100803814 B1 KR100803814 B1 KR 100803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guide rail
shoe
tilting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쉐이드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된 선쉐이드 슈와, 차량의 급정거 및 급제동시 상기 선쉐이드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과, 루프패널상의 개구부 좌우 양단부에 전후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선쉐이드 슈가 상단에 상기 유동방지수단이 하단에 장착되는 2단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장착된 유동방지수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으로 틸팅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선쉐이드 슈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차단시킴에 의해 상기 선쉐이드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평상시 사용자가 적은 힘만으로도 손쉽게 상기 선쉐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어 작동감이 향상됨은 물론, 상기 선쉐이드의 슬라이딩 구성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선쉐이드, 가이드레일, 틸팅부재, 돌기부, 기어, 스프링

Description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A fixing device for sun-sh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5: 선쉐이드 10: 선쉐이드 슈
15: 유동방지수단 15a: 돌기부
15b: 스프링 15c: 틸팅부재
15d: 홈부 20: 가이드레일
20a: 상단 20b: 하단
25: 슬롯홈
본 발명은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에만 작동되도록 구성된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루프패널(roof panel)상에는 차내부와 외부를 선택저으로 연통시켜 차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또는 신선한 외기를 차 내부로 도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루프(sun roof)를 채용하고 있다.
즉, 루프패널 상면에 소정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의 좌우 양단부에 내면에 가이드 홈부를 가지는 가이드레일이 길게 배치되며, 이 가이드레일 상에 루프글래스를 상하로 틸팅 및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루프글래스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것이기 때문에 직사광선이 차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선쉐이드를 채용하게 되었다.
상기 선쉐이드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상기 루프글래스를 통해 유입되는 빛의 차광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쉐이드는 상기 가이드레일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나, 차량의 주행 중 어느 때나 슬라이딩되는 것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의를 분산시키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특히,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 상기 선쉐 이드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관성력에 대하여 부하가 발생되는 별도의 스토퍼장치를 마련하거나, 상기 선쉐이드를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움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선쉐이드에 결합되는 선쉐이드 슈의 구조를 다소 변경함으로써 소정의 관성부하를 발생시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는, 차량의 급출발시 및 급제동시가 아닌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기 선쉐이드를 빠른 속도로 잡아당겨 작동시킬 경우 소정의 관성부하가 발생되므로 그 작동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선쉐이드가 부드럽게 작동되지 않을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더욱 강한 외력을 작용시켜 재작동을 시도하게 되는데, 이때 심한 경우 상기 선쉐이드의 슬라이딩 구성요소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함께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정거시에만 작동되도록 구성된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는, 선쉐이드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된 선쉐이드 슈와, 차량의 급정거 및 급제동시 상기 선쉐이드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과, 루프패널상의 개구부 좌우 양단부에 전후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선쉐이드 슈가 상단에 상기 유동방지수단이 하단에 장착되는 2단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장착된 유동방지수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으로 틸팅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선쉐이드 슈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차단시킴에 의해 상기 선쉐이드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 바닥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후 이격되어 상방으로 소정높이 돌출된 돌기부와, 전후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 전후 양단부에 각각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에서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된 틸팅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틸팅부재의 하단부에는 평상시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면서,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돌기부를 타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으로 틸팅되도록 소정의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틸팅부재의 상단부에는 톱니형상의 기어가 다수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 바닥면에 밀착되는 상기 선쉐이드 슈의 하면에는 상기 틸팅부재의 톱니형상의 기어에 대응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으로 틸팅될 때 상기 틸팅부재의 톱니형상의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 바닥면에는, 상기 선쉐이드 슈의 하면이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 바닥면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장착된 틸팅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상기 선쉐이드 슈의 좌우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슬롯홈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쉐이드(5)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된 선쉐이드 슈(10)와, 차량의 급정거 및 급제동시 상기 선쉐이드(5)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15)과, 루프패널상의 개구부 좌우 양단부에 전후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선쉐이드 슈(10)가 상단(20a)에 상기 유동방지수단(15)이 하단(20b)에 장착되는 2단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2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쉐이드 슈(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쉐이드(5)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쉐이드(5)를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20a)에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종래 상기 선쉐이드 슈(10)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1단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하단(20b)에 상기 유동방지수단(15)을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선쉐이드 슈(10)가 장착되는 상단(20a) 외에 별도의 하단(20b)을 더 구성하여 2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수단(15)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 바닥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후 이격되어 상방으로 소정높이 돌출된 돌기부(15a)와, 전후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 전후 양단부에 각각 스프링(15b)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에서 차량의 급정거 및 급제동시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된 틸팅부재(15c),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기부(15a)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 바닥면과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틸팅부재(15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 전후 양단부에 스프링(15b)으로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 관성력에 의하여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0) 하단(20b)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부재(15c)의 하단(20b)부에는 평상시 상기 돌기부(15a)를 수용하면서, 차량의 급정거 및 급제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틸팅부재(15c)의 하단부가 상기 돌기부(15a)를 타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20a)으로 틸팅되도록 소정의 홈 부(15d)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틸팅부재(15c)의 상단면에는 톱니형상의 기어가 다수 배열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20a) 바닥면에 밀착되는 상기 선쉐이드 슈(10)의 하면에는 상기 틸팅부재(15c)의 톱니형상의 기어에 대응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부재(15c)가 상기 돌기부(15a)를 타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20a)으로 틸팅될 때 상기 틸팅부재(15c)의 상단면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기어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틸팅부재(15c)의 상단면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기어와 상기 선쉐이드 슈(10)의 하면에 형성된 기어가 서로 맞물림에 의해 상기 선쉐이드 슈(10)가 더 이상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20a)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틸팅부재(15c)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에서 상단(20a)으로 틸팅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20a)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 상단부와 연통시키는 상기 선쉐이드 슈(10)의 좌우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슬롯홈(25)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전후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틸팅부재(15c)의 좌우 두께는 상기 슬롯홈(25)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20a)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롯홈(25)의 좌우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에 장착된 유동방지수단(15) 중 상기 틸팅부재(15c)가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정거시에 슬라이딩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선쉐이드 슈(10)가 구비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20a)으로 틸팅되어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선쉐이드 슈(10)의 슬라이딩을 차단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선쉐이드(5)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특히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의 정상적인 주행 중 또는 정지상태에 해당되는 평상시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수단(15) 중 상기 틸팅부재(15c)에 어떠한 관성력도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부(15a)를 상기 틸팅부재(15c)의 하단부에 형성된 홈부(15d)가 수용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선쉐이드(5)를 닫거나 열려고 하는 경우, 상기 틸팅부재(15c) 및 선쉐이드 슈(10)가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이므로 작은 외력을 가하더라도 손쉽게 상기 선쉐이드(5)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정거시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수단(15) 중 상기 틸팅부재(15c)에 차량의 급작스런 이동에 따른 소정의 관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틸팅부재(15c)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단(20b)에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되고, 상기 돌기부(15a)를 타고 상기 슬롯홈(25)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20a)으로 틸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틸팅부재(15c)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단(20a)으로 틸팅되면, 상기 틸팅부재(15c)의 상단면에 형성된 기어와 상기 선쉐이드 슈(10)의 하단면에 형성된 기어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선쉐이드 슈(10)의 슬라이딩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선쉐이드(5)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는,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와 같은 소정의 관성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만 작동되어 선쉐이드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평상시 적은 힘만으로도 상기 선쉐이드를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동감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사용자의 과다한 외력에 의하여 부품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선쉐이드의 좌우 양단부에 결합된 선쉐이드 슈와;
    차량의 급정거 및 급제동시 상기 선쉐이드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과;
    루프패널상의 개구부 좌우 양단부에 전후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선쉐이드 슈가 상단에 상기 유동방지수단이 하단에 장착되는 2단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장착된 유동방지수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으로 틸팅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선쉐이드 슈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차단시킴에 의해 상기 선쉐이드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 바닥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후 이격되어 상방으로 소정높이 돌출된 돌기부와;
    전후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 전후 양단부에 각각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에서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된 틸팅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틸팅부재의 하단부에는 평상시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면서, 차량의 급출발 및 급제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돌기부를 타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으로 틸팅되도록 소정의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틸팅부재의 상단부에는 톱니형상의 기어가 다수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 바닥면에 밀착되는 상기 선쉐이드 슈의 하면에는 상기 틸팅부재의 톱니형상의 기어에 대응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으로 틸팅될 때 상기 틸팅부재의 톱니형상의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 바닥면에는, 상기 선쉐이드 슈의 하면이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 바닥면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장착된 틸팅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상기 선쉐이드 슈의 좌우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슬롯홈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후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KR1020060123254A 2006-12-06 2006-12-06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KR100803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254A KR100803814B1 (ko) 2006-12-06 2006-12-06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254A KR100803814B1 (ko) 2006-12-06 2006-12-06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814B1 true KR100803814B1 (ko) 2008-02-14

Family

ID=3934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254A KR100803814B1 (ko) 2006-12-06 2006-12-06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62B1 (ko) * 2014-08-22 2016-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451A (ja) * 1994-02-28 1995-09-12 Oi Seisakusho Co Ltd サンシェードのスライド開口停止装置
JP2001180279A (ja) 1999-12-27 2001-07-03 Webasto Japan Kk サンシェード装置
KR20020082609A (ko) * 2001-04-24 200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선쉐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451A (ja) * 1994-02-28 1995-09-12 Oi Seisakusho Co Ltd サンシェードのスライド開口停止装置
JP2001180279A (ja) 1999-12-27 2001-07-03 Webasto Japan Kk サンシェード装置
KR20020082609A (ko) * 2001-04-24 200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선쉐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62B1 (ko) * 2014-08-22 2016-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69932A (ja) 車両用照明装置
JP4747814B2 (ja) サンシェードパネル装置
KR102347698B1 (ko)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KR100803814B1 (ko)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KR100957096B1 (ko) 자동차용 선글라스 선바이저
JP5616078B2 (ja) 車両のための屋根アセンブリ
CN1990294B (zh) 车辆的遮阳装置
KR100559861B1 (ko) 측면 미관 향상 타입 차량용 선루프
US20100127537A1 (en) Vehicular roof structure
KR100803296B1 (ko) 선쉐이드 작동감 개선 구조
KR102298958B1 (ko)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JP2007055512A (ja) サンバイザ装置
KR100969021B1 (ko) 자동차용 선루프 선세이드의 마운팅구조
JP2008195239A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装置
KR20120135669A (ko) 차량용 롤 블라인드
JP5167650B2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9234322A (ja) 車両のルーフ装置
KR101585462B1 (ko)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KR100997248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20070035719A (ko) 선쉐이드 밀림 방지구조
KR20110099613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100969022B1 (ko) 차량용 선루프의 선세이드 소음방지구조
JP5879922B2 (ja) シェードストッパ
JP2537132Y2 (ja) 車両のサンシェード構造
KR200359894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