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588B1 - 폐폴리에스텔 수지를 재활용하여 유용한 원료수지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폴리에스텔 수지를 재활용하여 유용한 원료수지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588B1
KR100803588B1 KR1020010086442A KR20010086442A KR100803588B1 KR 100803588 B1 KR100803588 B1 KR 100803588B1 KR 1020010086442 A KR1020010086442 A KR 1020010086442A KR 20010086442 A KR20010086442 A KR 20010086442A KR 100803588 B1 KR100803588 B1 KR 10080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ester resin
water
composi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258A (ko
Inventor
김효성
김도균
김충길
Original Assignee
김도균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균,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도균
Priority to KR102001008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588B1/ko
Priority to EP02791089A priority patent/EP1468034A4/en
Priority to JP2003552832A priority patent/JP4902102B2/ja
Priority to AU2002366296A priority patent/AU2002366296A1/en
Priority to US10/498,920 priority patent/US7166690B2/en
Priority to PCT/KR2002/002359 priority patent/WO2003051956A1/en
Publication of KR20030056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 C08J11/2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by treatment with organic 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J11/2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by treatment with organic oxyge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재활용하여 첨단 신소용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A) 반응기에 폐 폴리에스테르를 넣고 다가알콜로 해중합하고 반응기내를 고진공상태로 감압하여 과잉 함유된 다가알콜을 일정량 제거하여 해중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과 또는 B) 해중합 조성물에 고형수지 안정제를 첨가하여 상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해중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해중합 조성물에 수친화성 관능기 부여용 단량체인 디메틸 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디움 솔트 (약칭 DMSSIP라 한다)를 단독 또는 다염기산을 혼합하여 첨가하고 반응시켜 중축합하여 수용성 폴리에스텔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텔수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텔 수지를 결착제로 사용하는 전자사진용 현상제, 잉크젯 잉크, 분체도료, 접착제, 수용성 섬유 가공제, 코팅제용 결착제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 친화적이고 고부가가치의 고기능 소재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폴리에스텔 수지를 재활용하여 유용한 원료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하 PET로 지칭한다.), 특히, 폐 PET성형품, 폐 PET섬유, 폐 PET필름등을 물리적으로 분쇄하여 다가알콜중에서 해중합하여 과잉 다가알콜을 일정량 제거하여 해중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과 또는 해중합 안정제인 고형수지를 첨가하여 상용시켜서 안정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해중합 조성물에 수친화성 관능기 부여용 단량체인 디메틸 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디움 솔트 (약칭 DMSSIP라 한다)를 단독 또는 다염기산과 혼합하여 첨가하고 중축합 반응시켜 수분산 가능한 폴리에스텔 수지조성물을 포함하는 상용성, 용해성, 분산성이 좋은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폴리에스텔수지가 다른 수지에 비해서 내열성, 가공성, 투명성, 무독성등 그 물성이 뛰어나게 좋아서 생활용품, 산업용품등에 많이 사용되므로 그 수요가 계속증가되어 생산량도 많아졌다. 반면 이들의 폐기물도 많이 발생되어 그 처리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또한 환경문제가 심각할 정도로 대두되었다. 이 폐기물들은 폐기물 관리법에 의해 재활용가능품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물리적으로 재용융하 여 상형품을 만드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그래서 재생품의 품질은 수요자의 욕구에 기대하지 못하여 재활용의 양이 극히 제한적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1) 폐 폴리에스텔을 전처리 분쇄하여 칩으로 만들고 여기에 다가알콜을 첨가하여 해중합하고 과잉 함유된 다가알콜을 일정량 감압하여 제거한 후 해중합 안정화 고형수지를 넣어 상용시켜 안정화 시키는 단계; (2) 상기 해중합 조성물에 수친화성 관능기 부여용 단량체인 DMSSIP 단독 또는 다염기산과 혼합하여 첨가하고 반응시킨 후 다가 알콜을 가하여 중축합하면서 산가를 조절하여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단계 (2)의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A) 물에 용해한 수용액 조성물을 제조하거나, 또는 (B) 수친화성 용제에 용해한 액상조성물을 제조하거나, 또는 (C) 괴상상태의 수지조성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폐 PET를 재활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자사진용 현상제, 잉크젯 잉크, 분체도료, 접착제, 수용성 섬유 가공제, 코팅제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 폐 폴리에스텔을 전처리 분쇄하여 칩으로 만들고 여기에 다가알콜을 첨가하여 해중합하고 과잉 함유된 다가알콜을 일정량 감압하여 제거한 후 고형수지를 넣어 상용시켜 안정화 시키는 단계; (2) 상기 해중합 조성물에 수친화성 관능기 부여용 단량체인 DMSSSIP 단독 또는 다염기산과 혼합하여 첨가하고 반응시킨 후 다가알콜을 가하여 중축합하면서 산가를 조절하여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단계 (2)의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A) 물에 용해한 수용액 조성물로 제조하거나, 또는 (B) 수친화성 용제에 용해한 액상조성물로 제조하거나, 또는 (C) 괴상상태의 수지조성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3)(A)에서 얻어진 상기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은 물에 용해되어 5∼70%의 수용액의 상태로 전자사진용 현상제, 잉크젯잉크, 섬유가공제, 또는 필름코팅제의 결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 (3)(B)에서 얻어진 상기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은 수친화성 용제에 용해되어 5∼70%의 용액의 상태로 전자사진용 현상제, 잉크젯잉크, 접착제, 또는 필름코팅제의 결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1)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텔은 일반적으로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글리콜로부터 합성된 중합체로서 폐PET성형품, 폐PET섬유, 폐PET필름등 각종 폐PET를 물리적으로 분쇄한 칩이고 단계 (1)에서 폐폴리에스텔을 해중합시키는 다가알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소량첨가량으로도 충분히 250℃이하의 온도에서 해중합이 가능한 다가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알콜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쓰리톨등이다.이들은 단독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첨가량은 폐PET에 대하여 20∼90중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중합 촉매는 모노부틸주석 화합물이고 사용량은 폐PET와 다가 알콜의 합계량에 대하여 0.05∼1.0중량%양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용 고형수지는 송지 및 송지유도체, 수첨송지, 송지에스텔, 탈로진, 말레인화송지, 석유수지 및 그 유도체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고형수지는 해중합 조성물에 대하여 10∼10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친화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는 디메틸 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디움 솔트 (약칭 DMSSIP라 한다)를 포함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설폰산 알카리금속염군중에서 선택됨(전체 다염기산 성분중에 1∼30몰%의 양으로 함유)이 바람직하고 다염기산은 무수프탈산, 무수말레인산, 푸말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아디핀산, 무수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트리멜리트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멜리트산등이있다. 이들 다염기산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다염기산은 단계(1)의 생성물에 대하여 10∼50중량%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가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가알콜을 10∼50중량%양으로 넣고 중축합 반응을 시킨다.
단계 (3)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친화성 용제는 알콜류, 아세톤, 디아세톤알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에틸셀솔브, 부틸셀솔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N-메틸-2피롤리돈등이며 이들은 단독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계(2)의 생성물에 대하여 10∼10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반응기에 분쇄하여 칩으로 된 폐PET와 다가알콜을 넣고 190~270℃의 온도에서 촉매의 존재하에 해중합을 시행한다. 해중합을 촉진하는 촉매는 유기산 금속염, 모노부틸틴 화합물이고 사용량은 0.05∼0.5중량%이다. 이 해중합물을 고진공으로 감압하여 과잉함유된 다가알콜을 일정량 제거한 후 해중합안정제로 고형수지를 첨가하여 상용시킨 다음 이들 고형수지는 폴리에스텔의 중축합반응중에 중합도를 조절하고 생성된 수지의 연화점과 용융점도를 낮게하여 유동성과 정착성을 향상시키는 인자로 작용하는 물질이다. 상기 생성물에 다염기산을 10∼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180∼260℃ 중축합을 시행하여 산가 1∼50mgKOH/g인 폴리에스텔을 제조한다. 연화점 80~150℃, 중량 평균 분자량 3,000∼50,000의 수용성 폴리 에스텔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텔수지를 제조한다.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폴리에스텔수지 조성물은 전자사진용 현상제, 잉크젯 잉크, 분체도료, 접착제, 수용성 섬유 가공제, 코팅제용 결착제 수지 조성물로 사용한다. 본 발명 폴리에스텔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전자사진용 현상제는 착색제, 전하제, 이형제등을 첨가하여 중합법 또는 분쇄법으로 만들어지는 토너로서 저온정착성이 양호하여 화상이 선명하고 보다 향상된 고품질의 토너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잉크젯 잉크는 착색제, 수친화성 용제, 분산제, 습윤제등을 혼합하여 고속분산기로 분산시키고 1㎛이하의 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만든 잉크젯 잉크로써 화상이 선명하고 매체에 침투성이 좋고 번짐이 없는 고품질의 잉크젯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분체도료는 착색제, 경화제, 응집방지제 등을 첨가하여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만들어 가열 경화시켜서 도막을 형성시키는데 경화제를 에폭시 수지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분체도료용 폴리에스텔 수지는 연화점이 95∼105℃, 유리전이 온도 55℃∼65℃와 낮은 용융점도, 180℃의 낮은 경화온도로 흐름성이 좋아서 도막 외관이 우수하고 내열성, 내약품성, 내수성, 내용제성, 내후성 및 부착성이 뛰어난 분체도료를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온도가 낮고 짧은 시간에 경화가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도료이다.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핫멜 트 접착제는 상용성이 좋고 연화점이 낮고 용융점도가 낮아서 종이, 직물, 가죽, 목재, 플라스틱, 금속등에 접착이 좋고, 내구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수용성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수용성 섬유 가공제 및 코팅제는 접착성, 유연성, 침투성, 내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로써 희석 및 세척이 가능함으로 인체에 무해하고 경제적인 것이 특징인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 질소주입구를 갖춘 반응기에 분쇄된 폐PET칩500g, 에틸렌글리콜300g, 모노부틸주석 0.3g,을 넣고 질소기류 중에서 235℃로 가열하여 2시간 30분동안 해중합시킨후 내용물이 투명해지면 감압하여 에틸렌글리콜 200g을 제거하고 150℃로 냉각시켜 DMSSIP 100g을 가하고 다시 가열하여 180℃로 승온시켜 메탄올 유출을 확인하여 제거하면서 1∼2시간 유지시킨 후 220℃로 승온시켜 2∼3시간 반응을 시킨후 산가조절을 위하여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부가물100g을 넣고 230℃에서 5∼6시간동안 중축합 반응을 시켜서 냉각하여 폴리에스텔수지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수지조성물 500g을 물 1500g과 혼합하여 80℃로 용해하여 수용성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수지조성물을 수지용액A로 지칭한다. 유리전이온도 59℃이다. 상기 수용성폴리에스텔수지용액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중합법으로 정전하현상용토너를 제조한다.
수지용액A 100중량부와 카본블랙(데구사PRINTEX150T) 5중량부, 전하제어제(오리엔트사BONTRON S-34) 1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 2중량부를 고속분산기에 혼합 분산시켜서 응집촉진제 함유한 수용액중에 현탁시켜서 입자를 만들고 여과 및 수세 과정을 3회반복하여 얻어진 입자를 건조하여 응집입경을 측정한 결과 평균입경이 10㎛이었다. 외첨제(데구사 시리카 R972)를 상기건조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비율로 첨가하여 헨셀믹서로 잘 혼합하여 토너를 만든다. 얻어진 토너는 시판중인 레이저프린터(삼성전자 ML6060)을 개조한 장치로 화상을 형성시켜 본 결과 저온정착이 가능하고 오염이 없는 고화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 질소주입구를 갖춘 반응기에 분쇄된 폐PET칩500g, 네오펜틸글리콜 300g, 모노부틸주석 0.3g,을 넣고 질소기류 중에서 235℃로 가열하여 2시간 30분동안 해중합시킨후 내용물이 투명해지면 감압하여 네오펜틸글리콜 200g을 제거하고 150℃로 냉각시켜 DMSSIP 70g, 이소프탈산 50g을 가하고 다시 가열하여 180℃로 승온시켜 메탄올 유출을 확인하여 제거하면서 1∼2시간 유지시킨 후 220℃로 승온시켜 2∼3시간 반응을 시킨후 산가조절을 위하여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부가물 50g을 넣고 230℃에서 5∼6시간동안 중축합 반응을 시켜서 냉각하여 폴리에스텔수지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수지조성물 500g을 물 1500g과 혼합하여 80℃로 용해하여 수용성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수지조성물을 수지용액B로 지칭한다. 유리전이온도 58℃이다. 상기 수용성폴리에스텔수지용액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중합법으로 정전하현상용토너를 제조한다. 〈실시예 1 〉과 같은 방법으로 화상을 형성시켜본 결과 같은 수준의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 질소주입구를 갖춘 반응기에 분쇄된 폐PET칩500g, 플로필렌글리콜 300g, 모노부틸주석 0.3g,을 넣고 질소기류 중에서 235℃로 가열하여 2시간 30분동안 해중합시킨후 내용물이 투명해지면 감압하여 플로필렌글리콜 200g을 제거하고 말레인화송지 100g을 넣어 150℃로 냉각시켜 DMSSIP 100g을 가하고 다시 가열하여 180℃로 승온시켜 메탄올 유출을 확인하여 제거하면서 1∼2시간 유지시킨 후 220℃로 승온시켜 2∼3시간 반응을 시킨후 산가조절을 위하여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부가물70g을 넣고 230℃에서 5∼6시간동안 중축합 반응을 시켜서 냉각하여 폴리에스텔수지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수지조성물 500g을 물 1500g과 혼합하여 80℃로 용해하여 수용성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수지조성물을 수지용액C로 지칭한다. 유리전이온도 57℃이다. 상기 수용성폴리에스텔수지용액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중합법으로 정전하현상용토너를 제조한다.
수지용액C 100중량부와 카본블랙(데구사PRINTEX150T)5중량부, 전하제어제(오리엔트사BONTRON S-34)1중량부, 폴리에틸렌왁스 2중량부를 고속분산기에 혼합 분산시켜서 응집촉진제 함유한 수용액중에 현탁시켜서 입자를 만들고 여과 및 수세 과정을 3회반복하여 얻어진 입자를 건조하여 응집입경을 측정한 결과 평균입경이 8㎛이었다. 외첨제(데구사 시리카 R972)를 상기건조입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비율로 첨가하여 헨셀믹서로 잘 혼합하여 토너를 만든다. 얻어진 토너는 시판중인 레이저프린터(삼성전자 ML6060)을 개조한 장치로 화상을 형성시켜 본 결과 저온정 착이 가능하고 오염이 없는 고화질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반응기에 폐PET칩 500g, 에틸렌글리콜 300g, 모노부틸주석 0.3g, 검로진 50g, DMSSIP 50g, 이소프탈산 50g, 산가 조절용비스페놀A에틸렌 옥사이드부가물 100g을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하여 수용성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수지조성물을 수지용액D로 지칭한다. 유리전이온도 61℃이다. 상기 수용성폴리에스텔수지용액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잉크젯 잉크를 제조한다.
수지용액 D 50 중량부, 카본블랙(데구사FW200) 20중량부, 증류수 80중량부를 혼합하여 샌드밀로 30분동안 밀링하고 단계(2) TRITONX-100 1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콘 5중량부, 증류수 100중량부를 첨가하여 희석한후 0.5㎛테프론막 여과기를 통과시켜 여과하여 잉크를 제조한다. 얻어진 잉크로서 캐논BJC-2000SP 프린터에 장입시켜 인쇄하였다. 지면에 번짐 현상이 없고 인쇄품질이 우수하고 장기간 방치해도 침전이 없으며 노즐 막힘이 없는 잉크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5〉
반응기에 폐PET칩 500g, 에틸렌글리콘 300g, 모노부틸주석 0.3g, 수첨디싸이론 펜타디엠 100g, DMSSIP 30g, 이소프탈산 50g, 산가조절용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100g을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한다.생성된 수지조성물을 E라 지칭한다. 유리전이온도 59℃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분쇄법으로 정전하현상용 토너를 아래와 같이 제조한다. 수지 조성물E 100중량부, 마그네타이트 35중량부, 카본블랙(데구사PRINTEX150T) 3중량부, 전하제어제 (BONTORN S-34)
1중량부, 카나바왁스 2중량부를 헨셀믹서로 혼합하여 용융혼련기로 혼련하고 젯트밀로 분쇄, 분급하여 평균입경 8∼10㎛의 토너를 제조하였다. 이 토너를 시판 삼성전자 레이저프린트(SLB3105V)용 카트리지에 장입하여 화상을 현상한 결과 원만하게 만족할 만한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6〉
반응기에 폐PET칩 500g, 네오펜틴글리콜 300g, 모노부틸주석 0.3g, C5계 석유수지 100g, DMSSIP 30g, 이소프탈산 35g, 아디핀산 35g, 산가조절용 프로필렌글리콜 50g,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50g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한다.
생성된 수지조성물을 F라 지칭한다. 생성된 수지조성물 F를 사용하여 핫멜트접착제를 아래와 같이 제조한다.
수지조성물 F 100중량부, 가소제 10중량부, 에스텔왁스 5중량부를 혼합기에 넣고 혼련하여 용융 혼련기에서 혼련하고 사출하여 칩으로 만들어 핫멜트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핫멜트 접착제는 상용성이 좋고 연화점이 낮고 용융점도가 낮아서 종이, 직물, 가죽, 목재, 플라스틱, 금속등에 접착이 좋고, 내구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7〉
반응기에 폐PET칩 500g, 네오펜틸글리콘 3000g, 모노부틸주석 0.3g, 디싸이로펜타디엔 50g, DMSSIP 25g, 이소프탈산 75g, 산가조절용 네오펜틸글리콜 50g, 비 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50g을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한다.생성된 수지조성물을 G라 지칭한다.
유리전이온도 59℃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생성된 수지조성물G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분체도료를 제조한다. 수지조성물 G 100중량부, 에폭시 수지(EPICOTE 1050) 100중량부, 카본블랙(FW200) 15중량부, 모다프로 0.5중량부, 이가녹스 0.5중량부를 용융 혼련기에서 혼련하고 젯트밀로 분쇄하여 30㎛∼50㎛ 입경분체를 만들어 정전 도장기로 분사하여 180℃에서 10분동안 열경화시켜 도편을 만들결과 고광택, 내열성, 내수성, 내약품성, 내후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도장면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 질소주입구를 갖춘 반응기에 분쇄된 폐PET칩500g, 에틸렌글리콜300g, 모노부틸주석 0.3g,을 넣고 질소기류 중에서 235℃로 가열하여 2시간 30분동안 해중합시킨후 내용물이 투명해지면 감압하여 에틸렌글리콜 200g을 제거하고 150℃로 냉각시켜 DMSSIP 100g, 아디핀산 100g을 가하고 다시 가열하여 180℃로 승온시켜 메탄올 유출을 확인하여 제거하면서 1∼2시간 유지시킨 후 220℃로 승온시켜 2∼3시간 반응을 시킨후 산가조절을 위하여 에틸렌글리콜 50g, 네오펜틸글리콜 50g을 넣고 230℃에서 5∼6시간동안 중축합 반응을 시켜서 냉각하여 폴리에스텔수지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수지조성물 500g을 물 1500g과 혼합하여 80℃로 용해하여 수용성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수지조성물을 수용성 수지용액 H로 지칭한다. 유리전이온도 45℃이다. 상기 수용성폴리에스텔수지용액을 사용하여 접착제, 섬유코팅제, 필름코팅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폐PET를 재활용하여 만들어진 폴리에스텔수지조성물은 수용성 폴리에스텔수지를 포함하는 기능성 고분자 조성물로서 전자사진용 현상제, 잉크젯 잉크, 분체도료, 접착제, 수용성 섬유 가공제, 코팅제용수지 조성물 등 첨단 신소재로 사용할 수 있어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등 높은 사회적 가치를 지닌다.

Claims (8)

  1. (1) (A) 폐 폴리에스텔을 다가알콜로 해중합하여 과잉의 다가알콜을 감압하여 일정량 제거하여 해중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과
    (B) 해중합 안정화 고형수지를 첨가하여 상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해중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A) 상기 해중합 조성물에 수친화성 관능기 부여용 단량체인 디메틸 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디움 솔트(DMSSIP)를 단독 또는 (B) DMSSIP와 다염기산을 혼합하여 첨가하고 반응시켜 중축합하면서 산가조절용 다가알콜을 후첨가하여 폴리에스텔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폴리에스텔 수지조성물을 (A) 물에 용해하여 수용액 조성물로 제조하거나, 또는 (B) 수친화성 용제에 용해한 액상조성물로 제조하거나, 또는 (C) 괴상상태의 수지조성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1) (A)의 해중합용 다가알콜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비스페놀A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또는 펜타에리쓰리톨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폐폴리에스텔의 양에 대하여 20∼90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계 (1) (B)의 고형수지는 송지 및 송지유도체, 수첨송지, 송지에스텔, 탈로진, 말레인화송지, 석유수지 또는 그 유도체이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고형수지는 상기 해중합 조성물에 대하여 10∼100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2) (A)의 수친화성 관능기 부여용 단량체는 DMSSIP를 포함하는 방향족디카르복실산의 설폰산 알카리 금속염중에서 선택되고, 전체 다염기산 성분중에 1∼30몰%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 (2)(B)의 수친화성 관능기 부여용 단량체인 DMSSIP 1∼30몰%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염기산은 무수프탈산, 무수말레인산,푸말산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아디핀산, 무수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트리멜리트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멜리트산, 숙신산, 사이클로헥산디카복실산, 나프탈렌디카복실산군중에서 선택되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상기 단계 (1)의 생성물에 대하여 10∼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계 (3)(A)에서 얻어진 상기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은 물에 용해되어 5∼70%의 수용액의 상태로 전자사진용 현상제, 잉크젯잉크, 섬유가공제, 또는 필름코팅제의 결착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단계 (3)(B)에서 얻어진 상기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은 수친화성 용제에 용해되어 5∼70%의 용액의 상태로 전자사진용 현상제, 잉크젯잉크, 접착제, 또는 필름코팅제의 결착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계 (3)(C)에서 얻어진 상기 괴상상태의 수지조성물은 분쇄법토너, 핫멜트접착제, 또는 분체도료의 결착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텔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86442A 2001-12-15 2001-12-27 폐폴리에스텔 수지를 재활용하여 유용한 원료수지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080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442A KR100803588B1 (ko) 2001-12-27 2001-12-27 폐폴리에스텔 수지를 재활용하여 유용한 원료수지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EP02791089A EP1468034A4 (en) 2001-12-15 2002-12-14 PROCESS FOR RECYCLING POLYESTER WASTE AND MATERIAL THUS RECOVERED
JP2003552832A JP4902102B2 (ja) 2001-12-15 2002-12-14 廃ポリエステル樹脂の再生方法
AU2002366296A AU2002366296A1 (en) 2001-12-15 2002-12-14 Recycled method for a wasted polyester and reclaimed materials thereof
US10/498,920 US7166690B2 (en) 2001-12-15 2002-12-14 Recycled method for a wasted polyester and reclaimed materials thereof
PCT/KR2002/002359 WO2003051956A1 (en) 2001-12-15 2002-12-14 Recycled method for a wasted polyester and reclaimed material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442A KR100803588B1 (ko) 2001-12-27 2001-12-27 폐폴리에스텔 수지를 재활용하여 유용한 원료수지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258A KR20030056258A (ko) 2003-07-04
KR100803588B1 true KR100803588B1 (ko) 2008-02-15

Family

ID=3221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442A KR100803588B1 (ko) 2001-12-15 2001-12-27 폐폴리에스텔 수지를 재활용하여 유용한 원료수지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766B1 (ko) 2004-10-11 2012-07-26 김효성 폴리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6294A (en) * 1977-09-20 1979-04-1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reparation of water-soluble coating resin
JP2000169623A (ja) * 1998-12-10 2000-06-20 Is:Kk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廃棄物のケミカルリサイクル方法
KR20010049926A (ko) * 1999-07-28 2001-06-15 가와무라 시게구니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KR20020018220A (ko) * 2000-09-01 2002-03-08 박우현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6294A (en) * 1977-09-20 1979-04-1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reparation of water-soluble coating resin
JP2000169623A (ja) * 1998-12-10 2000-06-20 Is:Kk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廃棄物のケミカルリサイクル方法
KR20010049926A (ko) * 1999-07-28 2001-06-15 가와무라 시게구니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KR20020018220A (ko) * 2000-09-01 2002-03-08 박우현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258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1081B2 (en) Recycled method for a wasted polymer which is mixed polyester polyamide and reclaimed materials thereof
JP4902102B2 (ja) 廃ポリエステル樹脂の再生方法
CN100497451C (zh) 废聚合物(混合聚酯-聚酰胺)回收方法及其再生材料
KR101815267B1 (ko) 알콜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지 입자 및 전자 사진용 토너
JP6577946B2 (ja) 芳香族分散剤組成物
JP4210212B2 (ja) 水ベース顔料分散物、その製造およびその用途
JP2010508406A (ja) ユニバーサルステア−イン(Stir−in)顔料
KR100765744B1 (ko) 폐 폴리에스테르를 재활용하여 토너, 잉크 및 코팅제용중합체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MX2012009264A (es) Productos oligomericos de tereftalato de polietileno y metodos de fabricación y uso de los mismos.
US11236213B2 (en) Water-soluble or dispersible polyester resins made from terephthalate plastic materials useful as dispersant resins for inks
KR100556017B1 (ko) 미립자형상 착색수지의 제조방법, 미립자형상 착색수지 및물품의 착색방법
KR100803588B1 (ko) 폐폴리에스텔 수지를 재활용하여 유용한 원료수지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CN1445313A (zh) 粉末涂料组合物和方法
KR100803587B1 (ko) 폐폴리에스텔을 재활용하여 산업용으로 유용한 소재를제조하는 방법
KR100765743B1 (ko) 폐폴리에스텔 수지를 재활용하여 첨단 신소재용수지조성물 제조방법
JP3996388B2 (ja) 微粒子状着色樹脂の製造方法、微粒子状着色樹脂および物品の着色方法
KR101215103B1 (ko) 폐폴리에스테르 및 폐폴리아미드를 재활용하여 고기능성중합체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JPH06502926A (ja) 分解性樹脂を含有する静電気乾式トナー
KR20050098385A (ko) 폐폴리머를 재활용한 고기능성 폴리머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TWI273121B (en) Blue colorant with particularly high purity and positive triboelectric control effect
KR100846765B1 (ko) 폐 폴리에스테르를 재활용하여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제조방법
JP2004189852A (ja) 安定型銅フタロシアニン顔料、その製造方法、顔料着色組成物および着色物品
JP4713821B2 (ja) 微粒子状光硬化性樹脂の製造方法、微粒子状光硬化性樹脂および物品の表面処理方法
JP2002265812A (ja) 着色剤およびその使用
JP2001311033A (ja) 顔料組成物の製法及びその顔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