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807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807B1
KR100801807B1 KR1020060039208A KR20060039208A KR100801807B1 KR 100801807 B1 KR100801807 B1 KR 100801807B1 KR 1020060039208 A KR1020060039208 A KR 1020060039208A KR 20060039208 A KR20060039208 A KR 20060039208A KR 100801807 B1 KR100801807 B1 KR 10080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vable contact
contact piece
fixed contac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646A (ko
Inventor
야스히로 키요노
토시히로 나루오
야스히로 사카시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4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the contact forming a part of a coil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45Spring wir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0Contact mounted so that its contact-making surface is flush with adjoin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2001/5888Terminals of surface mounted devices [SM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된 동작 특성을 가지며, 작은 조작력으로 조작할 수 있고, 수명이 길고, 생산이 용이한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베이스와,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접촉편과,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구동부에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베이스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일부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을 가압하면, 상기 가동 접촉편이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코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공통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한다.
스위치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도 1A는 본원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1B는 베이스에 인서트 성형된 접점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A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1A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평면도, 도 3B 및 도 3C는 도 3A의 B-B선 개략 단면도 및 도 C-C선 개략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A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동작 전 및 동작 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1A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동작 전, 동작중 및 동작 후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도 1A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동작 전, 동작중 및 동작 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 단면도, 도 7B 및 도 7C는 제 2 실시 형태 및 제 3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면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B에 도시한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베이스 및 접점 단자의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7B에 도시한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의 동작 전 및 동작 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도 7B에 도시한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의 동작 전, 동작중 및 동작 후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도 7B에 도시한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의 동작 전, 동작중 및 동작 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본원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 4, 제 5 및 제 6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본원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 7, 제 8 및 제 9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본원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 10, 제 11 및 제 12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위치, 특히, 프린트 기판에 실장 가능한 박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프린트 기판에 실장 가능한 박형 스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과, 일단은 하우징 외부에 마련되고. 타단은 하우징 내부에 마 련됨과 함께, 접촉 홈을 갖는 접촉부가 마련되는 제 1 고정 단자와, 일단은 하우징 외부에 마련되고, 타단은 하우징 내부에 마련됨과 함께 접촉부가 마련되는 제 2 고정 단자와,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일단에는 제 1 고정 단자의 접촉 홈에 계지(係止)함으로써 제 1 고정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되는 고정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제 2 고정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가동부가 마련되고, 중간부는 코일 스프링부를 형성하고, 비틀림 방향 및 압축 방향으로 가세되는 접촉편과, 기단은 하우징 내부에 마련됨과 함께, 요동 중심이 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타부는 지지부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함과 함께, 접촉편과 맞대여지는 가압면이 마련되고, 요동함으로써 접촉편을 비틀림 방향으로 가압 가능한 조작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있다(특허 문헌1 참조).
특허 문헌 1 : 특개2004-327115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스위치에서는, 조작체(60)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접촉편(50)의 일단부인 가동부(50e)를 직접 가압하고, 접촉편(50)을 비틀면서, 조작체 접촉부(50g)가 제 2 고정 단자(40)의 접촉부(40c) 위를 활주한다. 이 때문에, 조작체(60), 접촉편(50) 등 외형 치수 및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있으면, 예를 들면, 가동부(50e)가 휘는 등의 예상 이외 탄성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이 결과, 접촉부(40c)에 대한 조작체 접촉부(50)의 접점압에 편차가 생기기 쉽고, 동작 특성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따라서 소망하는 동작 특성을 확보하려고 하면, 전술한 스위치에서는 높은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고, 생산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전술한 스위치에서는, 접점의 전환을 행하기 위해서는, 가동부(50e)의 비틀림 각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큰 조작력이 필요함과 함께, 접촉편(50)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가 커저서, 피로하기 쉽고, 수명이 짧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정된 동작 특성을 가지며, 작은 조작력으로 조작할 수 있음과 함께, 수명이 길고, 생산이 용이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스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접촉편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재된 구동부에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베이스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일부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여 비틀림 모멘트를 부여함에 의해, 상기 가동 접촉편이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편의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공통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구동부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 접촉편의 타단부에 상정하는 외 의 탄성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소정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나 조작 레버 등의 치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있어도, 가동 접촉편이 탄성 변형하여 오차를 흡수하기 때문에, 높은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가동 접촉편은,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회동하면서, 그 타단부가 활주하기 때문에, 가동 접촉편 전체의 비틀림 각도가 종래예보다 작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 접촉편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가 작고,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과 함께, 피로 파괴가 생기기 어렵고, 수명이 긴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고정 접점이, 상개(normally opened) 고정 접점, 상폐(normally closed) 고정 접점, 또는, 상개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품 선택의 자유도가 넓어지고, 용도가 넓은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다른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베이스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접촉편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재된 구동부에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베이스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일부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여 비틀림 모멘트를 부여함에 의해, 상기 가동 접촉편이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공통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편의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구동부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 접촉편의 타단부에 상정하는 외의 탄성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소정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나 조작 레버 등의 치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있어도, 가동 접촉편이 탄성 변형하여 오차를 흡수하기 때문에, 높은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가동 접촉편은,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회동하면서, 그 타단부가 활주하기 때문에, 가동 접촉편 전체의 비틀림 각도가 종래예보다 작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 접촉편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가 작고,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과 함께, 피로 파괴가 생기기 어렵고, 수명이 긴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고정 접점이 상개 고정 접점, 상폐 고정 접점, 또는, 상개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품 선택의 자유도가 넓어지고, 용도가 넓은 스위 치를 얻을 수 있다.
다른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베이스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접촉편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재된 구동부에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베이스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일부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여 비틀림 모멘트를 부여함에 의해, 상기 가동 접촉편이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편의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 위를 활주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구동부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 접촉편의 타단부에 상정하는 외의 탄성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소정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나 조작 레버 등의 치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있어도, 가동 접촉편이 탄성 변형하여 오차를 흡수하기 때문에, 높은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가동 접촉편은,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회동하면서, 그 타단부가 활주하기 때문에, 가동 접촉편 전체의 비틀림 각도가 종래예보다 작다. 이 때문에, 상 기 가동 접촉편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가 작고,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과 함께, 피로 파괴가 생기기 어렵고, 수명이 긴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이, 공통 고정 접점 및 상개 고정 접점, 공통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 또는, 공통 고정 접점, 상개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품 선택의 자유도가 넓어지고, 용도가 넓은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다른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베이스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접촉편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재된 구동부에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베이스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일부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여 비틀림 모멘트를 부여함에 의해, 상기 가동 접촉편이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편의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압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구동부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 접촉편의 타단부에 상정하는 외 의 탄성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소정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코일부가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하기 때문에, 접점압에 편차가 생기기 어렵고, 동작 특성이 보다 한층 안정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나 조작 레버 등의 치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있어도, 가동 접촉편이 탄성 변형하여 오차를 흡수하기 때문에, 높은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이, 공통 고정 접점 및 상개 고정 접점, 공통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 또는, 공통 고정 접점, 상개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품 선택의 자유도가 넓어지고, 용도가 넓은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4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접점 단자(20, 21)를 인서트 성형한 평면 사각형의 베이스(10)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편(30)과, 상기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레버(40)와, 상기 베이스(10)를 피복하는 커버(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제로 조립한 제품의 한 예로서는, 전체 높이 0.9㎜, 베이스의 폭 3.0㎜, 길이 3.5㎜의 외형 치수를 갖 고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그 상면 주변 연부에 따라 개략 U자 형상으로 측벽(11, 12, 13)을 연속적으로 돌설함과 함께, 대향하는 측벽(11, 13)에 고정 접점 단자(20, 21)를 각각 인서트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접점 단자(20, 21)를 인서트 성형한 측벽(11, 13)의 외측면에 위치 결정용 단부(11a, 13a)를 각각 마련하고 있는 한편, 상기 측벽(11, 13)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벽(12)의 외측면에 위치 결정용 오목부(12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접점 단자(21)를 인서트 성형한 측벽(13)의 상면 내측 연부에 한 단 낮은 단부(13b)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단부(13b)에 상기 가동 접촉편(30)의 일단부(32)를 계지하는 계지 구멍(14)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접점 단자(20)를 인서트 성형한 측벽(11)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 단자(20)의 공통 고정 접점(20a)이 노출하고 있는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돌설한 돌조(15)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접점 단자(21)의 상개 고정 접점(21a)이 노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측벽을 마련하지 않은 상면 외주 연부중, 이웃하는 구석에 후술하는 조작 레버(40)를 지지하는 지축부(16, 17)를 각각 돌설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지축부(16, 17)의 사이에 조작 레버(40)를 빠짐방지하는 빠짐방지용 돌기(18)를 돌설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편(30)은, 코일부(31)의 상단부로부터 연재되고, 또한, 굴곡한 일단부(32)가 상기 베이스(10)의 계지 구멍(14)에 계지함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한편, 가동 접점으로서 기능하는 굴곡한 타단부(33)가 상기 공통 고정 접점(20a)에 항상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접 촉편(30)은, 가동 접점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코일부(31)가 상기 베이스의 돌조(15)의 표면을 활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21a)에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레버(40)는, 평면 개략 부채꼴 형상의 중심 위치에 상기 베이스(10)의 지축부(16, 17)에 회동 가능하게 감합되는 축 구멍(41)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축 구멍(41)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부(42)와 구동부(43)가 소정의 각도로 연재되고, 상기 조작부(42)와 상기 구동부(43)를 보강용 리브(44)로 연결함에 의해, 상기 축 구멍(4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홈(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40)의 축 구멍(41)은, 상기 베이스(10)의 지축부(16, 17)의 어느 쪽에도 감합 가능함과 함께, 상기 구동부(43)는, 상기 조작 레버(40)를 어느 지축부(16, 17)에 지지한 경우라도, 상기 가동 접촉편(30)을 적절하게 구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커버(50)는, 상기 베이스(10)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단, 필요에 응하여, 상기 커버의 천정면에는 절연 시트(도시 생략)를 접착 일체화하여 있어서도 좋다. 그리고, 상기 커버(50)는, 이웃하는 3변의 외주 연부로부터 수직하게 절곡하여 계합 설편(51(도시 생략), 52, 53)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계합 설편(51, 52, 53)의 하단 연부로부터 절곡 가능한 폴부(51a(도시 생략), 52a, 53a)가 각각 연재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고정 접점 단자(20, 21)를 인서트 성형한 베이스(10)의 계지 구멍(14)에 가동 접촉편(30)의 일단부(32)를 계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수납한다. 이로써, 가동 접촉편(30)의 타단부(33)가 공통 고정 접 점(20a)에 접촉함과 함께, 코일부(31)가 돌조(15)의 상면에 활주 가능하게 재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10)의 지축부(17)에 조작 레버(40)의 축 구멍(41)을 감합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계속해서, 상기 베이스(10)에 커버(50)를 씨워서 가압함에 의해, 계합 설편(51, 53) 및 계합 설편(52)을 위치 결정용 단부(11a, 13a) 및 오목부(12a)에 각각 계합하여 위치 결정한다. 이로써, 상기 코일부(31)가 압축되고, 상기 코일부(31)의 최하단면이 고정 접점(21a)에 소정의 접점압으로 접촉 가능해진다. 이 상태 그대로로, 가동 접촉편(3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 레버(40)를 안쪽에 압입하면, 구동부(43)가 빠짐방지용 돌기(18)를 타고넘어서, 원호 홈(45) 내로 상기 돌기(18)가 계지한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40)가 가동 접촉편(30)에 바깥쪽으로 가세되어도, 빠짐방지됨과 함께, 가동 접촉편(30)의 타단부(33)가 공통 고정 접점(20a)에 소정의 접점압으로 압접한다. 그 후, 상기 계합 설편(51, 52, 53)의 계합 폴부(51a, 52a, 53a)를 안쪽으로 절곡하고, 베이스(10)에 커버(50)을 고정함에 의해,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다음에, 상기 스위치의 조작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조작 레버(40)에 조작력이 부하되지 않은 경우, 가동 접촉편(30)의 코일부(31)가 베이스(10)와 커버(50)로 압축,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부(31)의 최하단면이 돌조(15)의 표면에 소정의 접점압으로 압접하고 있다. 또한, 가동 접촉편(30)에 미리 부하된 비틀림 작용에 의해 생긴 스프링력에 의거하여, 타단부(33)가 공통 고정 접점(20a)에 압접하고 있다. 또한, 조작 레버(40)에 바깥쪽으로 압출하는 가세력이 작용하고 있지만, 빠짐방지용 돌기(18)로 빠짐방지되어 있 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40)의 조작부(42)를 압입하면, 구동부(43)이 코일부(31)를 가압한다. 이 때문에, 상기 코일부(31)가 비틀림 모멘트가 증대하고, 가동 접촉편(3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 레버(40)가 지축부(17)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함과 함께, 타단부(33)가 공통 고정 접점(20a) 위를 활주하면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 접촉편(30)의 코일부(31)가 돌조(15)의 표면에 따라 활주하고, 코일부(31)의 최하면이 고정 접점(21a)에 접촉한다.
상기 조작 레버(40)의 부하를 해제하면, 가동 접촉편(30)의 스프링력으로 조작 레버(40)가 바깥쪽으로 눌려 되돌려진다. 이 때문에, 가동 접촉편(30)의 일단부(32)를 지점으로 하여 전술한 것의 역방향으로 상기 가동 접촉편(30)이 회동하고, 그 타단부(33)가 고정 접점(20a) 위를 활주함과 함께, 코일부(31)의 최하단면이 고정 접점(21a) 위를 활주하여 개리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동 접촉편(30)이 탄성 변형하면서 회동하고, 접점을 개폐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높은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성이 높고, 안정된 동작 특성을 갖는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가동 접촉편(30)의 타단부(33)가 고정 접점(20a) 위를 활주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가동 접촉편(30)에 생기는 비틀림 각도가 작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 접촉편(30)에 생기는 내부 응력이 작고, 피로 파괴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반시계 회전 방향의 조작뿐만 아니라,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40)를 지축부(16)에 감합함에 의해, 시계 회전 방향의 조작에도 대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금형으로 대응할 수 있고,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1종류의 금형으로 3방향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 2 실시 형태는, 도 7B 및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저면에 상폐 고정 접점을 배치한 상폐 접점 타입이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저면에 돌설한 돌조(15)의 표면에 상폐 고정 접점(21b)이 노출하고 있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40)를 압입하면, 코일부(31)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가 증대하고, 타단부(33)가 공통 고정 접점(20a)을 활주하면서, 코일부(31)가 돌조(15)의 표면 위를 활주한다. 이 때문에, 상폐 고정 접점(21b)에 압접하고 있던 가동 접촉편(30)의 코일부(31)가, 상기 고정 접점(21b)으로부터 개리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40)의 부하를 해제하면, 상기 가동 접촉편(30)의 스프링력으로, 상기 조작 레버(40)가 눌려 되돌려저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기타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 형태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11)의 내측면에 공통 고정 접점(20a)을 노출시키는 한편, 베이스(10)의 저면에 상폐 고정 접점(21b) 및 상개 고정 접점(22a)을 배치한 경우이다.
따라서 조작 레버(40)를 압입하면, 가동 접촉편(30)의 코일부(31)에 작용하 는 비틀림 모멘트가 증대하고, 일단부(32)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함에 의해, 타단부(33)가 공통 고정 접점(20a)을 활주함과 함께, 상폐 고정 접점(21b)에 압접하고 있던 가동 접촉편(30)의 코일부(31)가 상개 고정 접점(22a)에 접촉하고, 접점을 전환한다. 기타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 형태는,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저면에 공통 고정 접점(20b) 및 상개 고정 접점(21a)을 배치한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공통 고정 접점(20b)과 상기 상개 고정 접점(21a)이 베이스(10)의 저면에 동일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고정 접점(20b, 21a)에 가동 접촉편(30)의 코일부(31)가 거의 동일한 접점압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동작 특성에 편차가 생기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공통 고정 접점(20b)과 상폐 고정 접점(21b)을 동일 높이로 배치하고 있어서도 좋다(제 5 실시 형태). 또한,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공통 고정 접점(22b), 상폐 고정 접점(20c), 및, 상개 고정 접점(21a)을 배치하고 있어서도 좋다(제 6 실시 태). 제 5, 제 6 실시 형태도 전술한 제 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점압에 편차가 생기지 않고, 안정된 동작 특성을 갖는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제 4 내지 제 6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가동 접촉편(30)의 타단부(33)는 베이스(10)의 내측면에 마련한 고정 접점을 활주할 필요가 없다. 이 때 문에, 도 13A 내지 도 13C에 각각 도시한 제 7 실시 형태 내지 제 9 실시 형태와 같이, 가동 접촉편(30)의 타단부(33)를 굴곡하지 않고, 곧바로에 편 채의 상태라도 좋다.
제 10 실시 형태는,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저면에 공통 고정 접점(21c)을 마련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측벽(11)의 내측면에 상개 고정 접점(20d)을 마련한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레버(40)를 압입함에 의해, 그 구동부(43)가 코일부(31)을 압입하기 때문에, 상기 코일부(31)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가 증대한다. 이 때문에, 일단부(32)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코일부(31)가 회동하면서, 공통 고정 접점(21c)을 활주함과 함께, 타단부(33)가 상기 상개 고정 접점(20d)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40)에 대한 부하를 해제하면, 가동 접촉편(30)의 스프링력에 의해 조작 레버(40)가 복귀한다. 기타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 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4B 또는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측벽(11)의 내측면에 상폐 고정 접점(20e)를 마련하여 두어도 좋고(제 11 실시 형태), 상폐 고정 접점(20e) 및 상개 고정 접점(22c)을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제 12 실시 형태).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10)에 대한 조작 레버(40)의 장착 위치를 변경함에 의해, 시계 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의 어느 조작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접촉편의 상방으로부터 연재되는 일단부를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하방으로부터 연재되는 타단부를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여도 좋다.
본원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전술한 실시 형태 이외의 스위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구동부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 접촉편의 타단부에 상정하는 외의 탄성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소정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나 조작 레버 등의 치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있어도, 가동 접촉편이 탄성 변형하여 오차를 흡수하기 때문에, 높은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가동 접촉편은,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회동하면서, 그 타단부가 활주하기 때문에, 가동 접촉편 전체의 비틀림 각도가 종래예보다 작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 접촉편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가 작고,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과 함께, 피로 파괴가 생기기 어렵고, 수명이 긴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품 선택의 자유도가 넓어지고, 용도가 넓은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구동부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 접촉편의 타단부에 상정하는 외의 탄성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소정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나 조작 레버 등의 치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있어도, 가동 접촉편이 탄성 변형하여 오차를 흡수하기 때문에, 높은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가동 접촉편은,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회동하면서, 그 타단부가 활주하기 때문에, 가동 접촉편 전체의 비틀림 각도가 종래예보다 작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 접촉편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가 작고,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과 함께, 피로 파괴가 생기기 어렵고, 수명이 긴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구동부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 접촉편의 타단부에 상정하는 외의 탄성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소정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나 조작 레버 등의 치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있어도, 가동 접촉편이 탄성 변형하여 오차를 흡수하기 때문에, 높은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가동 접촉편은,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회동하면서, 그 타단부가 활주하기 때문에, 가동 접촉편 전체의 비틀림 각도가 종래예보다 작다. 이 때문에, 상 기 가동 접촉편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가 작고,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음과 함께, 피로 파괴가 생기기 어렵고, 수명이 긴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품 선택의 자유도가 넓어지고, 용도가 넓은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구동부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 접촉편의 타단부에 상정하는 외의 탄성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소정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코일부가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하기 때문에, 접점압에 편차가 생기기 어렵고, 동작 특성이 보다 한층 안정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나 조작 레버 등의 치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에 편차가 있어도, 가동 접촉편이 탄성 변형하여 오차를 흡수하기 때문에, 높은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품 선택의 자유도가 넓어지고, 용도가 넓은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베이스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접촉편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재된 구동부에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베이스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일부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여 비틀림 모멘트를 부여함에 의해, 상기 가동 접촉편이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편의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공통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고정 접점이, 상개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고정 접점이, 상폐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2개의 고정 접점을 구비하며, 각각의 고정접점은 상개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베이스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접촉편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재된 구동부에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베이스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일부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여 비틀림 모멘트를 부여함에 의해, 상기 가동 접촉편이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공통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편의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고정 접점이, 상개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노출하는 고정 접점이, 상폐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노출하는 2개의 고정 접점을 구비하며, 각각의 고정접점은 상개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9. 베이스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접촉편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재된 구동부에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베이스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일부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여 비틀림 모멘트를 부여함에 의해, 상기 가동 접촉편이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편의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 위를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이, 공통 고정 접점 및 상개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이, 공통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3개의 고정 접점을 구비하며, 각각의 고정접점은 공통 고정 접점, 상개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3. 베이스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 접촉편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연재된 구동부에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베이스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코일부를 압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 레버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를 가압하여 비틀림 모멘트를 부여함에 의해, 상기 가동 접촉편이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코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 위를 활주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편의 타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에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이, 공통 고정 접점 및 상개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 접점이, 공통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노출하는 3개의 고정 접점을 구비하며, 각각의 고정접점은 공통 고정 접점, 상개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060039208A 2005-05-02 2006-05-01 스위치 KR100801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4231A JP4062319B2 (ja) 2005-05-02 2005-05-02 スイッチ
JPJP-P-2005-00134231 2005-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646A KR20060114646A (ko) 2006-11-07
KR100801807B1 true KR100801807B1 (ko) 2008-02-11

Family

ID=3684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208A KR100801807B1 (ko) 2005-05-02 2006-05-01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65283B2 (ko)
EP (1) EP1720186A3 (ko)
JP (1) JP4062319B2 (ko)
KR (1) KR100801807B1 (ko)
CN (1) CN10046131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621B1 (ko) 2011-07-04 2012-03-28 김선기 전자파 차폐 케이스용 금속 스트립 어셈블리, 이를 적용한 차폐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5152380B1 (ja) 2011-09-15 2013-02-27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JP5835037B2 (ja) 2012-03-14 2015-12-24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CN112038151B (zh) * 2020-09-11 2022-09-30 贵州振华华联电子有限公司 一种单边锁定钮子开关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5538A (ja) * 1994-08-11 1996-02-27 T K R:Kk 検出スイッチ
JPH10188726A (ja) 1996-11-08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釦スイッチ
JP2000149715A (ja) 1998-11-06 2000-05-30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スイッチ
JP2002042610A (ja) 2000-07-28 2002-02-08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US6797904B1 (en) 2004-01-06 2004-09-28 Zippy Technology Corp. Microswitc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1623A (ja) 1984-08-20 1986-03-14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S6171934A (ja) 1984-09-10 1986-04-12 Daihatsu Motor Co Ltd ワ−クの搬送用パレツト
DE3535137A1 (de) 1985-10-02 1987-04-02 Bayer Ag Kautschukmischung und daraus hergestellte covulkanisate
JPS6423823U (ko) 1987-07-31 1989-02-08
TW381279B (en) * 1997-08-22 2000-02-01 Alps Electric Co Ltd Knob switch device
AU2001296017A1 (en) * 2000-10-31 2002-05-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mall switch
JP3089932U (ja) * 2002-05-14 2002-11-22 新巨企業股▲ふん▼有限公司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構造
US6768069B1 (en) * 2003-04-08 2004-07-27 Shin Jiuh Corp. Micro switch
JP4195634B2 (ja) * 2003-04-22 2008-12-10 Smk株式会社 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5538A (ja) * 1994-08-11 1996-02-27 T K R:Kk 検出スイッチ
JPH10188726A (ja) 1996-11-08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釦スイッチ
JP2000149715A (ja) 1998-11-06 2000-05-30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スイッチ
JP2002042610A (ja) 2000-07-28 2002-02-08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US6797904B1 (en) 2004-01-06 2004-09-28 Zippy Technology Corp. Micro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0186A3 (en) 2007-12-26
EP1720186A9 (en) 2008-03-05
KR20060114646A (ko) 2006-11-07
US20060254889A1 (en) 2006-11-16
CN1858876A (zh) 2006-11-08
CN100461319C (zh) 2009-02-11
EP1720186A2 (en) 2006-11-08
JP2006310228A (ja) 2006-11-09
JP4062319B2 (ja) 2008-03-19
US7365283B2 (en) 200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6314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TWI405229B (zh) Push push switch
JP493547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852839B1 (ko) 스위치
KR100801807B1 (ko) 스위치
JP4692410B2 (ja) スイッチ
US20080099321A1 (en) Switch
EP1223593A2 (en) Switch device
WO2014155920A1 (ja) 押釦スイッチ
WO2002037517A1 (fr) Commutateur de dimension reduite
US20080099320A1 (en) Switch
CN115699237A (zh) 按压开关及按压开关系统
JP4150380B2 (ja) スイッチ装置
WO2020184308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4457097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3155402U (ja) スイッチ装置
JP4201682B2 (ja) 二段押圧スイッチ
EP2747112B1 (en) Switch
JP2004200002A (ja) スイッチ装置
JPH1021790A (ja) レバー操作式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H1114456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2005310518A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2006331699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