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674B1 - 좌석벨트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좌석벨트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674B1
KR100801674B1 KR1020060052745A KR20060052745A KR100801674B1 KR 100801674 B1 KR100801674 B1 KR 100801674B1 KR 1020060052745 A KR1020060052745 A KR 1020060052745A KR 20060052745 A KR20060052745 A KR 20060052745A KR 100801674 B1 KR100801674 B1 KR 100801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receiving space
latch
hou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757A (ko
Inventor
제임스 엘. 웨버
마이클 티. 모우리
데이빗 쥐. 흘라바티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2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2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Return motion lock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좌석벨트 버클과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버클 삽입 부재를 갖는 좌석벨트 웨빙(webbing)을 차량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1 위치 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바이어스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biasing) 부재;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변위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래치(latch)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 버튼을 구비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가 제공된다.
좌석벨트(seat belt), 웨빙(webbing), 앵커(anchor), 신속 연결 기구(quick connect mechanism)

Description

좌석벨트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eat belt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를 갖춘 좌석벨트의 설치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를 갖춘 좌석벨트의 작동위치에서의 설치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의 설치도면으로, 프리텐션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 6-6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라인 7-7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의 래치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텅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언-래치 상태에서의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래치 상태에서의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위치에서의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의 작동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 상태에서의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앵커의 바이어스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그 내부에 래치 부재가 배치된 도 19의 바이어스 부재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좌석벨트 구성요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좌석벨트 구성요소를 차량에 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좌석벨트 시스템은 2개의 기본요소 즉, 버클(buckle)부 및 상기 버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걸쇠(clasping)부를 갖는 인출 가능한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버클부는 일반적으로 웨빙(webbing) 또는 케이블 등에 의해 차량 또는 좌석(seat) 구조에 장착되는데, 상기 웨빙 또는 케이블 등은 그 일단이 버클부에, 그 타단이 차량에 결합된다.
상기 인출 가능한 벨트는 일반적으로 리트랙션 기구(retraction mechanism)에 연결되는데, 상기 리트랙션 기구도 사용되는 벨트 타입에 따라 (예: 랩 벨트(lap belt) 또는 하네스(shoulder harness)) 차량 또는 좌석 구조에 장착된다. 하네스를 적용하는 경우, 리트랙션 기구는 일 지점에서 차량에 결합되고, 벨트의 일단은 다른 앵커(anchor) 지점에서 차량에 결합되는데, 걸쇠부는 리트랙션 기구와 상기 앵커 지점 사이에 위치한 좌석벨트 웨빙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앵커 지점은 탑승자의 아래에 있고 리트랙션 기구는 탑승자이 어깨 위치 또는 그 위에 있다. 또한, 리트랙션 기구와 앵커 지점은 좌석의 같은 측면에 위치하고 버클부는 다른 측면에 위치하므로, 벨트는 버클부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좌석을 가로질러 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석벨트를 착용하려면, 사용자는 리트랙터(retractor)로부터 웨빙을 충분히 인출될 때까지 벨트를 잡아당기고, 걸쇠부는 앵커 지점에 대해 좌석의 반대 측면에 위치한 버클부에 결합된다. 더구나, 차량 구속 시스템(vehicle restraint systems)은 또한 프리-텐셔너(pre-tensioners)와 같은 작동장치를 포함하는데, 전술한 시스템 타입에서 앵커 지점과 동일한 위치의 좌석 내 또는 아래에 위치하므로, 프리-텐셔너의 작동은 앵커 지점에서 좌석벨트의 느슨해진 부분을 프리-텐셔너에 의해 당겨지게 할 것이다.
좌석벨트의 웨빙을 앵커 지점에서 차량에 결합하기 위해서, 앵커 볼트 또는 앵커 리벳을 차량 또는 좌석 프레임에 체결하도록 공기 공구(pneumatic tool)가 사용/요구된다. 그러나 앵커 지점에서는 일반적으로 좌석벨트를 결합하기 위해 공구를 사용하기에 공간이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좌석이 분리 또는 이동 가능한 미니-밴(mini-vans)과 같은 대형 차량에서, 좌석벨트 웨빙의 일단이 좌석 구조에 분리 가능하지 않게 장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최소량의 설치 공구를 사용하여 인출 가능한 좌석벨트 웨빙을 차량에 신속/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석벨트 버클과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버클 삽입 부재를 갖는 좌석벨트 웨빙(webbing)의 텅(tongue)부를 차량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앵커(anchor)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1 위치 내 에 유지될 수 있도록 바이어스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biasing) 부재;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변위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래치(latch)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 버튼을 구비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좌석용 좌석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일단에는 리트랙터(retractor)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텅부가 결합된 연장단을 갖는 좌석벨트 웨빙; 및 상기 연장단을 차량에 매달기 위한 신속 연결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신속 연결 기구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 부재;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변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텅부의 맞물림 개구부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래치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반대쪽 단부가 차량에 결합된 케이블을 하우징에 결합하는 마운팅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마운팅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 버튼을 구비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석벨트 웨빙의 텅 부재를 차량에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텅 부재의 일부분을 앵커의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텅 부재가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래치 부재의 돌출부와 접촉할 때까지 상기 수용공간 내의 상기 텅 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돌출부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텅 부재로 상기 돌출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변위되며 상기 텅 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와 정렬되고,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 상기 제1 위치로 되돌리는 힘이 가해지며 상기 돌출부의 일면이 상기 텅 부재의 개구부의 일면과 맞물려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텅 부재를 견고히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는 상기 바이어스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 버튼을 구비하지 않으며, 상기 웨빙은 상기 웨빙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좌석벨트 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석벨트 텅은 좌석벨트 버클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부재 결합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좌석벨트 웨빙을 차량 내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더 상세하게는, 좌석벨트 시스템의 인출 가능한 웨빙부에 좌석벨트 텅(tongue)이 결합되는 경우, 텅을 부착하기 위한 견고한 부착 지점을 제공하는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quick connect mechanism)에 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는 작은 공간에서 공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텅을 수용하는 신속한 연결 방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앵커는 차량 내에서 좌석이 분리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차량좌석(11)에 사용되는 좌석벨트 부착 어셈블리(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부착 에셈블리(10)는 케이블(12), 웨빙부(16)를 케이블(12)을 통해 차량에 결합시키는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를 포함한다. 버클, 텅, 래치(latches) 등의 좌석벨트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결합되는 버클 및 상기 버클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삽입부재 또는 텅을 갖는 인출 가능한 웨빙부를 구비한다. 일부 시스템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부(16)는 탑승자의 어깨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된 리트랙터(13)(개략적 도시)에 결합되고, 단부(15)는 차량 또는 차량좌석에 결합되는데, 버클 삽입부재, 래치판 또는 텅(17)이 단부(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텐션 장치(19)는 상기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프리텐션 장치(19) 및 리트랙터는 차량좌석의 같은 측면에 결합되는 반면에, 텅(17)을 위한 버클은 좌석의 다른 측면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 공구(power tool)를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 또는 차량좌석에 단부(15)를 결합시키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텐션 장치(19)가 분리 가능한 좌석의 일체형 부품인 경우, 차량좌석이 분리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차량좌 석로부터 단부(15)를 분리시키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은 프리텐션 장치(19)가 차량에 결합되며 단부(15) 및 케이블(12)이 차량좌석을 통한 경로에 있고 케이블(12)로부터 단부(15)를 분리시키지 않고는 좌석을 분리시킬 수 없는 경우에도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는 단부(15)가 신속하고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견고한 위치를 제공하며, 일부 다른 실시예는 또한 웨빙(16)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웨빙(16)은 리트랙터(13) 및 앵커 또는 기구(14)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텅(17)은 좌석의 다른 측면에 배치된 좌석벨트 버클(미 도시)에 좌석벨트 웨빙(16)을 연결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텅(17)과 같은 좌석벨트 구성요소는 웨빙(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단부(15)는 텅(26)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텅(26)은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에 래치되도록 구성된다.
미국특허 6,340,176호, 6,513,747호 및 6,572,147호에는 프리텐션 기구(예: 리트랙터 및 좌석벨트 버클, 좌석벨트 및 좌석벨트 앵커용 프리텐셔너)의 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6,725,509호에는 좌석벨트 버클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6,438,810호에는 좌석벨트 프리텐셔너와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된 좌석 구속 버클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차량 탑승자가 좌석벨트 구성요소를 사용하지 않을 때, 비-작동 위치에 있는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 및 웨빙(16)을 도시한다. 도 2는 작동 위치에 있는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 및 웨빙(16)을 도시한 것으로, 차량 탑승자의 무릎과 어깨를 가로질러 텅(17), 웨빙(16) 및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이 인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는 프리텐션 장치(19)(도 3 참조)에 연결될 수 있는 케이블(12)에 의해 차량구조의 일부분에 연결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프리텐션 장치(19)는 미리 정해진 작동 사건 중에 케이블(12)의 길이 및 텐션을 조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4는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의 분해 조립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는 하우징(20), 래치 부재(22) 및 바이어스 부재(biasing member) 또는 스프링(24)을 포함하는데,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텅 부재(26)를 신속히 결합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마운팅 부재(28)은 케이블(12)의 일단에 하우징(20)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요구되는 공차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강(steel)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래치 부재(22), 바이어스 부재(24), 마운팅 부재(28) 및 텅 부재(2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20)은 하우징(20)의 텅 수용단(32)에 위치한 수용공간(30)을 구비한 다. 수용공간(30)은 텅 부재(26)의 일부분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14)의 수용공간(30)은 스탬핑(stamping) 등의 가공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20)은 하우징(20)의 바닥면(36)에 배치된 제1 개구부(34)를 구비한다. 또한 제1 개구부는 래치 부재(22)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데, 텅 부재가 맞물리는 위치와 동일하다. 하우징(20)은 제1 개구부(34)와 떨어진 위치에 제2 개구부(38)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2 개구부(38)는 하우징(20)의 내부면(40)에 관통하여 바닥면(36)에 배치된다. 제2 개구부(38)은 하우징(20)에 케이블(12)을 연결하는 마운팅 부재(2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개구부 및 내부면(40)은 케이블(12)을 하우징(20)에 연결하는 다른 타입의 마운팅 부재 또는 패스너(28)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도 7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40)의 양각부(raised portion)(42)가 제2 개구부(38)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제2 개구부(38)은 수용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용부(44)는 제2 개구부의 접시머리부(countersunk portion)이다. 양각부(42) 및/또는 수용부(44)는 마운팅 부재(28)를 수용하도록 포함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20)의 바닥면(36)을 넘어 돌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마운팅 부재(28)는 스냅-인(snap-in) 타입의 패스너로 구성되는데, 제2 개구부(38) 및/또는 수용부(44)는 스냅-인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의 일부분이 하우징(20)의 바닥면(36)과 내부면(40) 사이의 제2 개구부(38) 내에 록킹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20)은 제2 개구부(38)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내부(46)는 제2 개구부(38)에 인접하는 케이블(12)의 단부를 안내/유지하도록 배치/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5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데, 사각형 안내부(46)는 제2 개구부(38)의 양측에 배치되고 내부면(40)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개구부(38)에 인접하는 케이블(12)의 단부를 안내/유지하도록 배치/구성되는 안내홈(recess)(96)을 구비한다.
도 8은 래치 부재(22)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래치 부재(22)는 바이어스 부재(24)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래치 부재(22)는 마운팅부(48) 및 돌출부(50)를 구비한다. 마운팅부(48)는 바이어스 부재(24)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52)을 갖는다. 돌출부(50)는 마운팅부(48)로부터 연장되며, 하우징(20)의 제1 개구부(34) 및 수용공간(30)으로 돌출하여 텅 부재(26)의 래치 개구부 또는 맞물림 개구부(5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0)는 멈춤면(56)을 구비하는데, 상기 멈춤면(56)은 텅 부재(26)가 래치 상태에 배치될 때 텅 부재(26)의 래치 개구부(54)의 앞면(58)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9 및 도 13 내지 도 15는 바이어스 부재(24)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바이어스 부재(24)는 하우징(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이어스 부재(24)는 래치 부재(22)를 제1 위치에 유지/가압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5는 제1 위치에 있는 래치 부재(22)를 도시한 것으로, 래치 부재(22)의 돌출부(50)는 하우징(20)의 제1 개구부(34) 및 수용공간(30)에 배치된다. 제2 위치라 함은, 텅 부재(26)가 수용공간(30) 내로 이동하여, 도 14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30)으로부터 돌출부(50)를 가압하는 위치를 말한다. 래치 상태라 함은,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 부재(26)가 수용공간(30) 내로 이동하여, 텅 부재(26)의 래치 개구부(54)가 하우징(20)의 제1 개구부(34)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때까지 돌출부(50)를 변위시켜, 바이어스 부재(24)가 돌출부(50)를 래치 개구부(54)와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언-래치 상태라 함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부재(22)가 제1 위치에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텅 부재(26)가 돌출부(50)를 이동시키더라도 돌출부(50)가 래치 개구부(54)와 맞물리지 않을 때도 언-래치 상태라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 부재(24)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부(60) 및 상기 맞물림부(60)로부터 이격되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 수용부(62)를 구비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맞물림부(60)는 복수의 다리(legs)(61)로 이루어지며, 래치 수용부(62)는 단일의 다리(62)로 이루어진다. 도 13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60, 61)는 또한 하우징(20)의 텅 수용단(32)에서 내부면(64)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맞물림부(60)가 하우징(20)의 내부면(64)에 고정된 상태로 있는 반면에, 래치 수용부(62)는 래치 부재(22)의 마운팅부(48)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바이어스 부재(24)와 래치 부재(22)는, 바이어스 부재(24)가 하우징(20)에 결합되면, 돌출부(50)가 하우징(20)의 제1 개구부(34)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도 11 및 도 13 참조). 일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부재(24)는 탄성재료 제조되는데, 이는 돌출부(50)가 하우징(20)으로부터 변위되었을 때, 제1 위치로 가해지는 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바이어스 부재 또는 스프링(24)은 스프링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구성되는데, 일정한 힘에 의해 돌출부(50)와 바이어스 부재(24)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한 후,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바이어스 부재(24)의 탄성력은 돌출부(50)를 다시 제1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다.
텅 부재(26)가 하우징(20)에 삽입됨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 부재(26)는 내부면(64) 아래의 위치로 돌출부(50)를 밀어주고, 래치 수용부(62)와 래치 부재(22)는 텅 부재(26)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힘이 가해진다. 텅 부재(26)의 래치 개구부(54)가 돌출부(50)에 정렬되면, 바이어스 부재(24)는 돌출부(50)가 래치 개구부(54)와 맞물리는 위치로 래치 부재(22)에 힘을 가한다(도 15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스 부재(24)의 맞물림부(60)는 맞물림부(60)로부터 각지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속부 또는 탭(tab)(66)을 갖는다. 탭(66)은 제1 개구부(34)의 물림면(68)의 일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3개의 구속부(66)는 물림면(68)의 일부분과 맞물리도록 배치/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속부(66)는 바이어스 부재(24)가 하우징(20)의 내부면(6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20)의 물림면(68)은 적어도 하나의 홈(7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홈(70)은 맞물림부(60)를 내부면(64)에 더 구속하는 방식으로 구속부(6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부재(24)는 래치 부재(22)를 바이어스 부재 내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9,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수용부(62)는 래치 부재(22)를 유지시키고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면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지면(72) 및 제2 유지면(74)은 래치 수용부(62)로부터 연장되며, 래치 부재(22)의 마운팅부(48)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마운팅부(48)의 앞면(76)은 바이어스 부재(24)의 제1 유지면(72)와 접촉하고, 제2 유지면(74)은 래치 부재(22)의 마운팅부(48)의 개구부 또는 홈(75)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래치 수용부(62)는 바이어스 부재(24)로부터 래치 부재(22)를 분리시키도록 개구부(78)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부(78)는 마운팅부(48)를 래치 수용 부(62)에 연결하기 위해 스크루 또는 리벳과 같은 패스너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텅 부재(26)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텅 부재(26)는 하우징(20)의 수용공간(3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텅 부재(26)는 선단면(80), 래치 개구부(54) 및 웨빙 개구부(82)를 구비한다. 선단면(80)은 래치 부재(22)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가압하기 위해, 래치 부재(22)의 돌출부(50)의 뒷면(84)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개구부(54)는, 바이어스 부재(24)가 래치 부재(22)를 하우징(20)의 제1 개구부(34)를 통해 제1 위치로 다시 기울게 할 때, 래치 부재(22)의 돌출부(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개구부(82)는 텅 부재를 좌석벨트 웨빙에 연결하기 위해, 웨빙(16)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텅 부재(26)의 선단면(80) 및 래치 부재(22)의 돌출부(50)의 뒷면(84)은, 래치 부재(22)가 텅 부재(26)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위될 때, 래치 부재(22)의 변위에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4, 도 8, 도 10 및 도 14에서 도시된다. 뒷면(84)은 텅 부재(26)의 상보적으로 경사진 선단면(80)에 의해 수용되는 램프 프로파일(ramped profile)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용공간(30)과 텅 부재(26)는, 텅 부재(26)가 래치 상태 동안 일정 방향으로 수용공간(3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은 웨빙(16)이 리트랙터로부터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로 움직일 때, 웨빙(16)의 비틀어짐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에는 상기 실시예의 예가 도시되는데, 텅 부재(26)는 제1 면(89) 및 제2 면을 구비하고, 제1 면은 제2 면보다 개구부(91)에 가깝게 배치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구석면(87)을 갖는 수용공간(30)을 구비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석면(87)과 제1, 제2 면(89, 91)은, 텅 부재(26)가 한 방향으로 래치 상태에서 수용공간(30) 내에 배치되는 것만 가능하도록 배치/구성된다. 여기서, 텅 부재의 래치 상태(도 15 참조)는 제1 면(89)이 제2 면에 앞서 수용공간(30)에 진입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텅 부재가 반대 방향으로 수용공간(30)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텅 부재(26)는 래치 상태가 되지 않는다. 텅 부재(26)가 반대 방향으로 수용공간(30)에 삽입되면, 제1 면(89)은 하우징(20)의 외부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돌출부(50)는 텅 부재(26)의 개구부(54)와 맞물리지 않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는 구석면(87)이 없고, 텅 부재(26)의 상보성 측면(8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비대칭면(86)을 갖는 수용공간(30)을 구비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는 텅 부재(26)가 한 방향으로만 수용공간(30)과 맞물리게 하기 위해, 래치 개구부(54)에 인접하는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탭부(tab portion)(98)를 갖는 텅 부재(26)를 구비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L-형상 다리(90)는 하우징(20)의 내부면(64)과 겹쳐져 수용공간(30)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래치 부재(22)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크루드라이버의 블레이드와 같은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30)은 해제 개구부(92)를 구비하는데, 이에 의해 하우징(20)으로부터 텅 부재(26)의 해제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좌석을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내에서 좌석을 이동 또는 완전히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20)의 제1 개구부(34)는 사각 형상이고 개구부(34)의 측벽을 이루는 물림면(68)을 구비한다. 물림면 또는 측벽(68)은 경사진 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물림면(68)은 래치 부재(22)의 상보성 뒷면(94)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텅 부재(26)가 삽입된 후에 수용공간(30)으로부터 텅 부재(26)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래치 상태에서, 텅 부재(26)에 인장력(tension force)이 가해지면, 개구부(54)의 앞면(58)은 멈춤면(56)과 접촉하고 물림면(68)을 향해 래치 부재(22)를 이동시킨다. 수용공간(30)으로부터 텅 부재(26)를 잡아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할 때, 물림면(68)과 뒷면(94)은 인장력에 반응하고 개구부(54) 내의 돌출부(50)의 맞물림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더 상세하게, 물림면(68)이 뒷면(94)에 대해 잡아 당겨지면, 래치 부재는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것이다. 따라서, 텅 부재(26)는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 결합된다.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 물림면(68)과 뒷면(94)은 경사지고 평행한 관계에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하우징에 대해 래치 부재를 잡아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할 때 물림면(68)이 개구부(54) 내의 돌출부(50)와 계속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우징(20)은 개구부(38)에 인접하는 케이블(12)의 단부를 안내하도록 배치/구성된 안내홈(96)을 구비한다. 또한, 텅 부재(26)는 래치 개구부(54)에 인접하는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탭부(98)를 구비한다. 탭부(98)는 텅 부재(26)가 요구되는 방향으로 수용공간(3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구성된다. 또한, 탭부(98)는 래치 상태에서 외부물체의 침입 또는 의도되지 않은 충격으로부터 래치 부재(22)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탭부(98)는 래치 개구부(54)의 상당한 부분과 겹쳐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부재(24)의 2개의 외부 다리(61)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다리(61)보다 길게 구성된다. 2개의 외부 다리(61)는 하우징(20)에 맞물림부(60)를 구속하기 위해, 내부면(64)과의 맞물림 접촉을 더 견고히 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결합된 케이블에 조립과 결합이 용이한 앵커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는 텅 부재를 견고히 수용하고 맞물리도록 구성되므로, 챠량에 좌석벨트 버클을 결합하기 위한 신속/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한 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앵커 또는 신속 연결 기구는 최소량의 설치 공구를 사용하여 인출 가능한 좌석벨트 웨빙을 차량에 신속/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5)

  1. 좌석벨트 버클과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버클 삽입 부재를 갖는 좌석벨트 웨빙(webbing)의 텅(tongue)부를 차량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앵커(anchor)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1 위치 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바이어스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biasing) 부재;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변위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래치(latch)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마운팅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마운팅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로 병진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와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상기 래치 부재의 마운팅부와 상기 바이어스 부재의 마찰 맞물림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각각 구성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면은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바이어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텅부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멈춤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물림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림면을 향한 상기 래치 부재의 상기 일면의 이동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텅부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상기 래치 부재를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부는 한 방향으로만 상기 수용공간 내에 래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배치/구성된 일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텅부는 제2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면은 상기 제2 면에 앞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진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부는, 한 방향으로만 상기 수용공간 내에 래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상보면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배치/구성된 제1 면 및 제2 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부는 한 방향으로만 상기 수용공간 내에 래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배치/구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텅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텅부의 래치 개구부의 일부분과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텅부의 일면과 맞물리도록 배치/구성된 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제1 다리(leg)부 및 상기 제1 다리부와 이격되어 연결된 제2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는 상기 하우징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다리부는 상기 래치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는 상기 바이어스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속 탭(ta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는 한 쌍의 유지 다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리부는 상기 바이어스 부재를 상기 래치 부재의 일부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 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텅부의 개구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래치 부재에 손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래치-접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텅부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6. 맞물림 개구부가 있는 텅부과, 좌석벨트를 좌석벨트 버클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는 래치판을 갖는 좌석벨트 웨빙을 차량에 결합된 앵커 케이블에 매달기 위한 신속 연결 기구(quick connect mechanism)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1 위치 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바이어스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 부재;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변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텅부의 맞물림 개구부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래치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마운팅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마운팅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케이블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로 병진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와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상기 래치 부재의 마운팅부와 상기 바이어스 부재의 마찰 맞물림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각각 구성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면은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바이어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텅부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멈춤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경사진 물림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경사진 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림면을 향한 상기 래치 부재의 상기 일면의 이동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텅부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상기 래치 부재를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텅부는 한 방향으로만 상기 수용공간 내에 래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배치/구성된 일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텅부는 제2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면은 상기 제2 면에 앞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진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텅부는, 한 방향으로만 상기 수용공간 내에 래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상보면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배치/구성된 제1 면 및 제2 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텅부는 한 방향으로만 상기 수용공간 내에 래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배치/구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텅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텅부의 래치 개구부의 일부분과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텅부의 일면과 맞물리도록 배치/구성된 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1 다리부와 이격되어 연결된 제2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는 상기 하우징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다리부는 상기 래치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는 상기 바이어스 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속 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리부는 상기 바이어스 부재를 상기 래치 부재의 일부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3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래치 부재에 손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래치-접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텅부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3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운팅 개구부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 또는 안내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부재 또는 안내홈은 상기 마운팅 부재를 향해 상기 케이블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연결 기구.
  32. 좌석벨트 웨빙의 텅 부재를 차량에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텅 부재의 일부분을 앵커의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텅 부재가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래치 부재의 돌출부와 접촉할 때까지 상기 수용공간 내의 상기 텅 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돌출부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텅 부재로 상기 돌출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변위되며 상기 텅 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와 정렬되고,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 상기 제1 위치로 되돌리는 힘이 가해지며 상기 돌출부의 일면이 상기 텅 부재의 개구부의 일면과 맞물려 상기 수용공간 내에 상기 텅 부재를 견고히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로 병진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로 가압되고, 상기 웨빙은 상기 웨빙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 좌석벨트 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석벨트 텅은 좌석벨트 버클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 부재 결합방법.
  33. 차량좌석용 좌석벨트 시스템에 있어서,
    일단에는 리트랙터(retractor)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텅부가 결합된 연장단을 갖는 좌석벨트 웨빙; 및
    상기 연장단을 차량에 매달기 위한 신속 연결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신속 연결 기구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바이어스 부재;
    상기 바이어스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바이어스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변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될 때 상기 텅부의 맞물림 개구부와 맞물리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래치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반대쪽 단부가 차량에 결합된 케이블을 하우징에 결합하는 마운팅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마운팅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 부재는 상기 텅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로 병진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프리텐션(pretension) 장치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 시스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벨트 텅은 상기 웨빙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신속 연결 기구와 상기 리트랙터가 배치되는 좌석의 측면과 반대인 측면에 배치된 좌석벨트 버클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속 연결 기구와 리트랙터는 좌석의 같은 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 시스템.
KR1020060052745A 2005-06-10 2006-06-12 좌석벨트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01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51,157 2005-06-10
US11/151,157 US7699401B2 (en) 2005-06-10 2005-06-10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eat belt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757A KR20060128757A (ko) 2006-12-14
KR100801674B1 true KR100801674B1 (ko) 2008-02-11

Family

ID=3752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745A KR100801674B1 (ko) 2005-06-10 2006-06-12 좌석벨트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99401B2 (ko)
KR (1) KR100801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639B1 (ko) 2010-06-30 2017-09-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에서 안전 벨트의 차량 고정 단부를 위한 신속 해제 체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8166B1 (en) 2010-05-20 2013-07-17 Volvo Car Corporation Seat belt anchor
WO2012134345A2 (ru) * 2011-03-25 2012-10-04 Voinov Vladimir Petrovich Замок ремня (варианты)
KR101459969B1 (ko) * 2013-11-19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장치
KR101674508B1 (ko) 2014-07-10 2016-1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KR101674493B1 (ko) 2014-07-10 2016-1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KR101674507B1 (ko) 2014-07-23 2016-1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KR101718688B1 (ko) 2014-08-01 2017-03-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KR101647447B1 (ko) 2014-11-05 2016-08-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버클 장치
KR101614495B1 (ko) 2014-11-05 2016-04-2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US10351096B2 (en) * 2017-06-20 2019-07-16 Cecil D. Trahan Automobile seat belt holder
JP7365229B2 (ja) * 2019-12-27 2023-10-19 株式会社Subaru シートベルト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502A (en) 1997-01-15 1999-08-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ring height adjuster
JP2001187559A (ja) 1999-12-28 2001-07-10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US6481750B1 (en) 2001-11-27 2002-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eat belt restraint system for vehicle occupants with automatic belt tension compensation
JP2004090667A (ja) 2002-08-29 2004-03-25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2152A (en) * 1963-12-24 1965-10-19 Gen Motors Corp Seat belt buckle
US3237265A (en) * 1964-05-19 1966-03-01 Florian Raymond Ralph Safety release devices
US3765701A (en) * 1971-12-23 1973-10-16 Gen Motors Corp Vehicle occupant restraining belt system
US4432119A (en) * 1978-09-08 1984-02-21 Allied Corporation Electrically released seat belt buckle
US5279021A (en) * 1992-08-26 1994-01-18 Edgin Howard L Article retaining apparatus having pull-release/push-retain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US6141840A (en) * 1999-06-02 2000-11-07 Artisan Tool & Die Corporation Buckle for retractable restrai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502A (en) 1997-01-15 1999-08-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ring height adjuster
JP2001187559A (ja) 1999-12-28 2001-07-10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US6481750B1 (en) 2001-11-27 2002-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eat belt restraint system for vehicle occupants with automatic belt tension compensation
JP2004090667A (ja) 2002-08-29 2004-03-25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639B1 (ko) 2010-06-30 2017-09-1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에서 안전 벨트의 차량 고정 단부를 위한 신속 해제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757A (ko) 2006-12-14
US7699401B2 (en) 2010-04-20
US20060279130A1 (en)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674B1 (ko) 좌석벨트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913801B2 (ja) ショルダーアジャスタ
US20090183348A1 (en) Buckle assemblies and associated connectors for use with child seats and other restraint systems
US9120403B2 (en) Restraint harness assembly for a child safety seat
US7520036B1 (en) Multi-point buckle for restraint system
US20080296944A1 (en) Child seat anchoring device and child seat
WO2004004507A1 (en) Infant buckle
US7073235B2 (en)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systems
CN100531612C (zh) 带扣装置
US5023980A (en) Free running cinching latch plate
CN211354108U (zh) 扣具
JP200409066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6902194B2 (en) Detachable interlocking seat belt anchorage apparatus and method
US7144086B1 (en) Shoulder belt clip for child safety seats and child carriers
US4358878A (en) Plug-in fastener for motor vehicle safety belts
JP3455428B2 (ja) バックル用スイッチ及びバックル
JP2008523916A (ja) 非慣性開放型安全拘束ベルトバックル
JP2001046117A (ja) バックル装置
US3877115A (en) Pushbutton release connector
WO2022090917A1 (en) Seat belt connecting device
KR101647447B1 (ko) 버클 장치
JP4097115B2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
KR101614495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ES2170974T3 (es) Hebilla para cinturon de seguridad de tres correas destinado a asientos de seguridad para niños transportados en vehiculos de motor y similares.
KR101605810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