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933B1 -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933B1
KR100799933B1 KR1020070027468A KR20070027468A KR100799933B1 KR 100799933 B1 KR100799933 B1 KR 100799933B1 KR 1020070027468 A KR1020070027468 A KR 1020070027468A KR 20070027468 A KR20070027468 A KR 20070027468A KR 100799933 B1 KR100799933 B1 KR 10079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ub
clamp
mai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식
Original Assignee
(주)동광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기업 filed Critical (주)동광기업
Priority to KR102007002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3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movable by mechanical means, e.g. hoisting systems, grippers or lift tru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는 퇴적장의 옹벽 양측 단부에 설치한 메인 가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이동부와, 상기 메인이동부에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한 한 쌍의 서브가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퇴적장 내부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하는 서브 이동부와, 상기 서브이동부의 서브가드레일에 각각 연결클램프를 고정시켜 상기 연결클램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실린더와 회전클램프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회전되는 중심부를 가상의 수직선상으로 일치시킨 다음 복수개의 교반날개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시키는 교반수단의 상부를 회전클램프에 연결하고, 교반수단의 중심부를 연결실린더를 결합시킨 교반부와, 상기 서브가드레일에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클램프의 양측에 각각 실린더 로드를 힌지 결합하여 실린더에 의해 회전클램프를 회전시 교반부를 예각 범위에서 회전 제한 되도록 하고, 연결클램프와 교반수단의 중심부에 결합시킨 연결실린더에 의해 교반부를 둔각 범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뇨, 에스컬레이터, 교반, 무한궤도, 퇴적장, 각도 전환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교반기{escalator a mixer}
도 1a,b,c는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퇴적장 100 :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110 : 메인이동부 111 : 메인가드레일
112 : 메인베이스 113 : 캐스터
115 : 모터 116 : 스프라켓
117 : 체인 120 : 서브이동부
121 : 서브가드레일 122 : 서브베이스
123 : 캐스터 130 : 교반부
131 : 연결클램프 132 : 연결실린더
133 : 회전클램프 134 : 장착클램프
135 : 회전제한바 135a : 롤러
136 : 모터 137 : 교반수단
137a : 교반날개 137b : 밸트
137c : 풀리 140 : 회전부
141 : 실린더 141a : 실린더 로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퇴적장에 적재된 분뇨를 교반 시키는 교반수단을 퇴적장에서 종,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면서, 교반수단의 이동성 및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도 전환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농촌의 토양은 지나친 화학적 비료의 시비(施肥)로 인하여 산성화되어 지력(地力)이 떨어져 곡물의 수확량이 저하되고 있으며, 가축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다량으로 발생되는 가축의 분뇨인 유기질 폐기물을 적재하여 방치하므로 인해 침출수가 하천으로 흘러가 하천을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가축의 분뇨는 유기질 비료성분(질소, 인산, 칼륨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축산 분뇨를 발효시킬 경우 산성화된 토양을 원래의 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발생된 축산 슬러지를 대형 탱크(직경 약 10mm, 높이 약 3m 정도)의 내부에 저장하여 일정 기간(약 6개월 정도) 발효시킨 다음 퇴비로 활용하므로 축산 슬러지의 방류에 따른 하천 오염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퇴비용도의 가축의 분뇨와 같은 수분이 많은 유기성 폐기물은 톱밥이나 왕겨와 같은 수분조절제와 혼합하여 발효조에 저장시킨 다음 이를 인공적으로 호기성 발효를 시키고, 그 발효열로 건조시켜서 퇴비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대형 탱크에 담겨진 축산 슬러지를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축산 슬러지가 발효되지 않고 부패되어 퇴비로 활용할 수 없게 되므로 주기적(약 1개월에 1번, 20-30분 동안)으로 슬러지를 교반시켜 호기성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여야만 된다.
그러나 교반시키지 않고 자연적으로 발효시키지 않을 경우 주로 혐기성 세균의 발효에 의해 각종 부폐 세균 등이 번식하여 악취가 심하며, 이러한 상태로 퇴비화하여 사용하면 농작물이 병들고 잡초가 무성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의 특허공개 10-2005-0055115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가축분뇨를 교반시키기 위한 발효 교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송대(200)의 상면 일측과 교반프레임(100)의 일측을 힌지부(230)로 결합하여 교반프레임(100)이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이송대(200)의 상면 타측에 구비된 유압유니트(210)와 상기 교반프레임(100)의 상측에 설치된 커버체(110)를 실린더(220)로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220)의 로드 전후진에 따라 교반프레임(100)의 교반방향과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교반프레임 (100)의 외측둘레를 따라 설치된 교반앵글(130)은 상기 커버체(110)에 설치된 구동모터(120)에 의해 정회전과 역회전이 선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가축분뇨 발효 교반장치는 상부이동대차의 세로프레임 양쪽에 힌지부로서 힌지결합된 교반기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 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양방향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기의 상측은 실린더에 의해 유압유니트와 연결되도록 한 것인데, 이러한 경우 교반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실린더로부터 피스톤로드가 길게 빠져나와 피스톤로드의 노출길이가 길어지면 교반기가 교반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등의 외력이 상기 신장된 피스톤로드와 실린더에 영향을 주게 되면서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가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거나, 실린더의 실링부위가 쉽게 손상되면서 누유가 되어 교반기의 회전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교반기가 양방향으로 회전은 어느정도 가능하지만 실린더의 위치 및 운전의 한계로 인하여 한 방향에 비하여 다른 방향으로 진행될 경우에는 유기성 폐기물의 교반깊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비 또는 그 외의 필요에 따라 하부이동대차를 발효조의 한쪽 또는 반대쪽 끝부분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교반기가 발효조 내의 유기성 폐기물에 걸리지 않도록 교반기를 수평상태로 들어올려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들어올려지는 교반기가하부이동대차의 양쪽 세로프레임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세로프레임간의 간격이 넓게 제작되면서 하부이동대차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어 설비의 제작 및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의 소모가 많고, 설치공간의 확보면에서도 불리하게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교반기가 세로프레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교반기의 길이가 제한될 경우 발효조의 처리깊이에 한계가 생기게 되면서 유기성 폐기 물의 교반처리량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6-0088861호에서 제시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교반장치는 발효조(400)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며, 가로프레임(120)과 세로프레임(110)으로 구성된 하부이동대차(100)와; 상기 하부이동대차(100) 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부이동대차(200); 상기 상부이동대차(200)의 양쪽 하부프레임(230) 상에 설치된 힌지부(24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게 설치되며, 교반구(320)가 정역회전되는 교반기(300);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교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동대차(200)의 상부프레임(220)에는 한쌍의 제1,2실린더(250)(260) 상단을 힌지부(270)(271)로서 간격이 있게 설치하고, 그 끝단인 제1,2피스톤로드(251)(261)는 교반기(300) 상부의 한 접점인 힌지부(272)에 의해 설치하여 제1,2피스톤로드(251)(261)가 상대적으로 신축됨에 따라 교반기(300)가 힌지부(240)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수평상태까지 각도 조절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교반장치는 힌지부에 한 쌍의 실린더의 길이 신장에 의해 교반기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 한 쌍의 실린더 로드가 교반기의 중앙에 집중되도록 연결됨에 따라, 실린더의 작동시 과부하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한 쌍의 실린더가 교번적으로 실린더 로드를 연장시켜 길이를 신장시킬 때 교반기가 회전되는 힘의 중심부에 집중되기 때문에 교반기를 통하여 분뇨를 교반시 분뇨의 점성과 교반기의 무게에 의해 실린더에 과부하가 발생시켜 실린더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실린더를 통하여 무한궤도 방식의 교반수단의 각도전환을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교반수단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클램프의 회전에 의해 교반수단의 상부를 회전시켜 상기 교반수단의 하부가 각도 전환을 가능하도록 하여 실린더의 구동력이 회전클램프를 통하여 교반수단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린더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 및 연결실린더를 통하여 교반수단을 예각 또는 둔각 범위로 나누어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교반수단의 각도 가변을 각각 나누어 분담시킴으로써, 실린더 또는 연결실린더의 구동효율을 향상시켜 교반수단 각도 가변에 따른 과부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를 장착한 장착클램프가 교반수단과 연동하여 각도 전환되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되는 각도의 범위를 회전제한바를 통하여 제한시켜 각도 전환되는 교반수단에 모터의 구동력을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이동부와 서브이동부를 통하여 퇴적장에서 교반수단을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위치에 적재되어 있는 분뇨를 더욱 효과적으로 교반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스컬리이터 교반기는 퇴적장에서 분뇨를 교반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반기에 있어서, 퇴적장의 옹벽 양측 단부에 설치한 메인 가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이동부와, 상기 메인이동부에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한 한 쌍의 서브가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퇴적장 내부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하는 서브 이동부와, 상기 서브이동부의 서브가드레일에 각각 연결클램프를 고정시켜 상기 연결클램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실린더와 회전클램프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회전되는 중심부를 가상의 수직선상으로 일치시킨 다음 복수개의 교반날개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시키는 교반수단의 상부를 회전클램프에 연결하고, 교반수단의 중심부를 연결실린더를 결합시킨 교반부와, 상기 서브가드레일에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클램프의 양측에 각각 실린더 로드를 힌지 결합하여 실린더에 의해 회전클램프를 회전시 교반부를 예각 범위에서 회전 제한 되도록 하고, 연결클램프와 교반수단의 중심부에 결합시킨 연결실린더에 의해 교반부를 둔각 범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이동부는 메인가드레일의 상부에 굴림 회전 가능한 캐스터를 하부에 장착한 메인베이스를 안착시켜 메인가드레일을 따라 교반부를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베이스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서브가드레일에 굴림 회전 가능한 캐스터를 장착한 서브베이스를 안착시켜 서브가드레일을 따라 교반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교반부는 회전클램프 상부 중심에 장착클램프와 힌지 연결하고 상기 장착클램프는 서브가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롤러를 장착한 회전제한바와 힌지 연결시켜 장착클램프가 회전클램프와 일체로 연동하면서 회전제한바에 지지되어 과도한 각도변경이 방지되도록 하여 상기 장착클램프에 설치한 모터가 교반수단의 교반날개를 복수개로 장착한 벨트의 양측에 설치된 풀리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브가드레일과 메인가드레일에는 모터를 각각 장착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캐스터의 중심축에 스프라켓을 결합하고 체인으로 전동 이음시켜 메인이동부와 서브이동부를 자동으로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a,b,c는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1a,b,c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는 분뇨가 적재된 퇴적장(10)에서 분뇨를 교반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반기에 있어서, 퇴적장(10)의 옹벽 양측 단부 따라 설치되어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이동부(110)와, 메인이동부(110)에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서브이동부(120)와, 상기 서브이동부(120)에 탑재되어 무한궤도방식으로 교반날개(137a)를 회전시켜 분뇨를 교반시키는 교반부(130)와, 상기 교반부(130)의 각도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메인이동부(110)는 퇴적장(10)의 옹벽 양측 단부에 설치한 메인 가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메인가드레일(111)의 상부에 굴림 회전 가능한 캐스터(113) 하부에 장착한 메인베이스(112)를 안착시켜 메인가드레일(111)을 따라 교반부(130)를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서브이동부(120)는 상기 메인이동부(110)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한 한 쌍의 서브가드레일(1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퇴적장(10)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굴림 회전 가능한 캐스터(123)를 장착한 서브베이스(122)(120)를 서브가드레일(121)에 안착시켜 상기 서브가드레일(121)을 따라 교반부(130)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메인가드레일(111)과 서브가드레일(121)에는 모터(115)를 각각 장착하고, 상기 모터(115)의 회전축과 캐스터(113,123)의 중심축에 스프라켓(116)을 결합하고 체인(117)으로 상호 전동 이음시켜 메인이동부(110)와 서브이동부(120)를 자동으로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교반부(130)는 밸트(137b)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교반날개(137a)를 장착하고 상기 밸트(137b)의 양측에 풀리(137c)를 결합하여 무한궤도 방식으로 교반날개(137a)를 회전시켜 분뇨를 교반하는 교반수단(137)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수단(137)을 연결클램프(131)와 연결실린더(132)에 의해 서브가드레일(121)에서 둔각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서브이동부(120)의 서브가드레일(121)에 각각 수직 하향으로 연결클램프(131)를 고정시켜 상기 연결클램프(1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실린더(132)와 회전클램프(13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회전되는 중심부를 가상의 수직선상으로 일치시킨 다음 교반수단(137)의 상부는 회전클램프(133)에 연결하고, 교반수단(137)의 중심부는 연결실린더(132)에 결합시켜 회전클램프(133)의 회전에 의해 연결실린더(132)와 결합된 교반수단(137)을 둔각 범위로 전환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교반부(130)는 회전클램프(133) 상부 중심에 장착클램프(134)와 힌지 연결하고 상기 장착클램프(134)는 서브가드레일(1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135a)를 장착한 회전제한바(135)와 힌지 연결시켜 장착클램프(134)가 회전클램프(133)와 일체로 연동하면서 회전제한바(135)에 지지되어 과도한 각도변경이 방지되도록 하여 모터(136)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이 교반수단(137)으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회전부(140)는 서브가드레일(121)에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클램프(133)의 양측에 각각 실린더 로드(141a)를 힌지 결합하여 실린더(141)를 통하여 회전클램프(133)를 일정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연결실린더(132)와 의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교반수단(137)을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실린더(141)에 의해 교반수단(137)가 둔각 범위 즉 45°각도 이내 범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연결실린더(132)를 통하여 예각범위 즉 45°이상 범위로 교반수단(13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퇴적장(10)에서 에스컬레이터 교반기(100)는 메인이동부(110)와 서브이동부(120)를 통하여 종,횡 방향으로 자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위치에 적재된 분뇨를 교반 시킬 수 있다.
즉, 메인이동부(110)의 모터(115)를 구동시켜 상기 모터(115)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프라켓(116)과 이에 전동 이음되는 체인(117)을 통하여 메인베이스(112) 하부에 장착된 캐스터(113)와 일체로 고정된 스프라켓(116)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퇴적장(10)의 종방향으로 서브이동부(120)와 교반부(130)가 탑재된 메인베이스(112)를 이동시킨다.
또한, 서브이동부(120)는 메인이동부(110)의 구동수단과 동일한 방법으로 서브가드레일(121)에서 서브베이스(122)를 이동시켜 퇴적장(10)에서 교반부(130)를 탑재한 서브가드레일(121)을 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퇴적장(10)에서 종, 횡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교반부(130)의 구동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부(130)의 모터(136)를 구동시키면 일정 길이로 이격된 한 쌍의 풀리(137c)에 감겨져 있는 밸트(137b))가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밸 트(137b))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고정된 교반날개(137a)가 분뇨를 교반시킨다.
이후, 에스컬레이터 교반기(1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거나, 분뇨 교반 작업 이후 교반부(130)의 부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교반부(130)의 각도를 수평각도에 가깝게 전환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서브베이스(122) 하부에 한 쌍으로 대칭되게 장착한 한 쌍의 실린더(141) 중 교반부(130)의 각도 전환 방향의 실린더로드(141a)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동시에 반대방향에 장착된 실린더(141)의 실린더로드(141a)의 길이를 연장시켜 회전클램프(133)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클램프(133)의 각도 전환에 의해 교반수단(137)은 연결클램프(131)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연결실린더(132)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교반수단(137)의 상부가 각도 전환되는 회전클램프(133)의 상부와 연동하여 교반수단(137)를 45˚이내 각도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모터(136)을 장착한 장착클램프(134)는 회전되는 교반수단(137)으로 용이하게 모터(136)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회전제한바(135)에 의해 교반부(130)와 별개로 전환되는 각도의 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교반수단(137)의 각도 전환 시 회전제한바(135)는 일측이 장착클램프(134)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에 설치한 롤러(135a)가 서브베이스(12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교반수단(137)의 각도 전환시 가상의 호 형상으로 위치 및 각도가 변경되는 장착클램프(134)는 회전제한바(135)에 지지되어 급격한 각도 전환이 없도록 함에 따라 모터(136)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용이하게 교반수단(137)측 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반수단(137)을 45˚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실린더의 구동이후 연결실린더(132)를 구동시켜 상기 연결실린더(132) 로드를 수직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시켜 연결실린더(132)의 로드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교반수단(137)의 중심 부분를 기준으로 45˚~ 90°각도 범위로 가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교반수단(137)의 각도 전환방법은 서브가드레일(121))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교반수단(137)의 각도 전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는 실린더를 통하여 무한궤도 방식의 교반수단의 각도전환을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교반수단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클램프의 회전에 의해 교반수단의 상부를 회전시켜 상기 교반수단의 하부가 각도 전환을 가능하도록 하여 실린더의 구동력이 회전클램프를 통하여 교반수단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린더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실린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는 실린더의 과부하를 방지함에 따라 적은 용량 및 부피의 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어, 교반기의 제조단가를 절감 및 설비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는 모터를 장착한 장착클램프가 교반수단과 연동하여 각도 전환되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되는 각도의 범위를 회전제한바를 통하여 제한시켜 각도 전환되는 교반수단에 모터의 구동력을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교반수단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는 메인이동부와 서브이동부를 통하여 퇴적장에서 교반수단을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특정 위치에 적재되어 있는 분뇨를 더욱 효과적으로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교반기는 실린더 및 연결실린더를 통하여 교반수단을 예각 또는 둔각 범위로 나누어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교반수단의 각도 가변을 각각 나누어 분담시킴으로써, 실린더 또는 연결실린더의 구동효율을 향상시켜 교반수단 각도 가변에 따른 과부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퇴적장에서 분뇨를 교반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반기에 있어서,
    퇴적장의 옹벽 양측 단부에 설치한 메인 가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이동부와,
    상기 메인이동부에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한 한 쌍의 서브가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퇴적장 내부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하는 서브 이동부와,
    상기 서브이동부의 서브가드레일에 각각 연결클램프를 고정시켜 상기 연결클램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실린더와 회전클램프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회전되는 중심부를 가상의 수직선상으로 일치시킨 다음 복수개의 교반날개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시키는 교반수단의 상부를 회전클램프에 연결하고, 교반수단의 중심부를 연결실린더를 결합시킨 교반부와,
    상기 서브가드레일에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클램프의 양측에 각각 실린더 로드를 힌지 결합하여 실린더에 의해 회전클램프를 회전시 교반부를 예각 범위에서 회전 제한 되도록 하고, 연결클램프와 교반수단의 중심부에 결합시킨 연결실린더에 의해 교반부를 둔각 범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이동부는 메인가드레일의 상부에 굴림 회전 가능한 캐스터를 하부에 장착한 메인베이스를 안착시켜 메인가드레일을 따라 교반부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베이스의 상부에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서브가드레일에 굴림 회전 가능한 캐스터를 장착한 서브베이스를 안착시켜 서브가드레일을 따라 교반부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회전클램프 상부 중심에 장착클램프와 힌지 연결하고 상기 장착클램프는 서브가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롤러를 장착한 회전제한바와 힌지 연결시켜 장착클램프가 회전클램프와 일체로 연동하면서 회전제한바에 지지되어 과도한 각도변경이 방지되도록 하여 상기 장착클램프에 설치한 모터가 교반수단의 교반날개를 복수개로 장착한 벨트의 양측에 설치된 풀리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가드레일과 메인가드레일에는 모터를 각각 장착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캐스터의 중심축에 스프라켓을 결합하고 체인으로 전동 이음시켜 메인이 동부와 서브이동부를 자동으로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KR1020070027468A 2007-03-21 2007-03-21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KR100799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468A KR100799933B1 (ko) 2007-03-21 2007-03-21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468A KR100799933B1 (ko) 2007-03-21 2007-03-21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933B1 true KR100799933B1 (ko) 2008-01-31

Family

ID=3921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468A KR100799933B1 (ko) 2007-03-21 2007-03-21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9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330A (ko) * 2014-07-24 2016-02-04 유진상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KR101641495B1 (ko) 2015-02-17 2016-07-21 왕기연 에스컬레이터 퇴비 교반기
KR20180082048A (ko) * 2017-01-09 2018-07-18 김기찬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장치
KR20180082046A (ko) * 2017-01-09 2018-07-18 김기찬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조 교반설비의 에스컬레이터
KR101924307B1 (ko) 2018-11-07 2018-11-30 김기찬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조 교반설비의 에스컬레이터
CN109078539A (zh) * 2018-08-29 2018-12-25 湖州吴兴双德输送机械有限公司 一种搅拌更加均匀的搅拌机
KR20190113319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폐기물의 수분 저감 건조공정의 교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119B1 (ko) * 2002-12-16 2004-03-04 이래성 축산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KR100461559B1 (ko) * 2002-02-20 2004-12-14 양사헌 발효교반차의 구조
KR100503598B1 (ko) * 2003-12-05 2005-07-26 주식회사 다나 바이오시스템 가축분뇨 발효 교반장치
KR100586090B1 (ko) * 2004-05-01 2006-06-08 양사헌 유기성 폐기물의 위치 측정식 발효교반 시스템
KR100717718B1 (ko) * 2006-10-18 2007-05-11 이수룡 유기질비료 제조용 발효물질 교반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59B1 (ko) * 2002-02-20 2004-12-14 양사헌 발효교반차의 구조
KR100421119B1 (ko) * 2002-12-16 2004-03-04 이래성 축산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KR100503598B1 (ko) * 2003-12-05 2005-07-26 주식회사 다나 바이오시스템 가축분뇨 발효 교반장치
KR100586090B1 (ko) * 2004-05-01 2006-06-08 양사헌 유기성 폐기물의 위치 측정식 발효교반 시스템
KR100717718B1 (ko) * 2006-10-18 2007-05-11 이수룡 유기질비료 제조용 발효물질 교반 이송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330A (ko) * 2014-07-24 2016-02-04 유진상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KR101637222B1 (ko) 2014-07-24 2016-07-08 유진상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KR101641495B1 (ko) 2015-02-17 2016-07-21 왕기연 에스컬레이터 퇴비 교반기
KR20180082048A (ko) * 2017-01-09 2018-07-18 김기찬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장치
KR20180082046A (ko) * 2017-01-09 2018-07-18 김기찬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조 교반설비의 에스컬레이터
KR101963750B1 (ko) * 2017-01-09 2019-03-29 주식회사 우신이엔지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장치
KR20190113319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폐기물의 수분 저감 건조공정의 교반장치
KR102043991B1 (ko) * 2018-03-28 2019-11-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폐기물의 수분 저감 건조공정의 교반장치
CN109078539A (zh) * 2018-08-29 2018-12-25 湖州吴兴双德输送机械有限公司 一种搅拌更加均匀的搅拌机
KR101924307B1 (ko) 2018-11-07 2018-11-30 김기찬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조 교반설비의 에스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933B1 (ko)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KR20180006139A (ko) 더블 로터리 방식의 발효조 교반장치
KR100717718B1 (ko) 유기질비료 제조용 발효물질 교반 이송장치
JP2916814B2 (ja) 好気発酵施設及び該施設による堆肥の製造方法
KR100909866B1 (ko) 오염토양 복원용 자동 경작 장치
PT706504E (pt) Sistema de cura de composto
CN115677389A (zh) 一种畜禽粪便用的微生物降解装置
KR100495479B1 (ko) 축산분뇨,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의 발효처리장치
CN112189393A (zh) 一种用于农业改良土壤的农业设备
JP5005452B2 (ja) 発酵堆肥化処理法及び装置
KR100799934B1 (ko) 분뇨 로터리 교반기
KR102178081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 발효를 위한 교반시스템
KR100810885B1 (ko) 유기성 폐기물 퇴비제조용 에스컬레이터식 교반장치의교반기 회전구조
KR200313550Y1 (ko) 부산물퇴비 및 유기성 폐기물의 통풍 및 이동식 교반장치
CN211141922U (zh) 一种用于堆肥的倒翻机构
KR100503598B1 (ko) 가축분뇨 발효 교반장치
JP3574358B2 (ja) オープン式発酵処理装置
JP2002013156A (ja) 自走式土質改良機及び土質改良システム
JP2008214129A (ja) 発酵堆肥化処理法及び装置
JP4171669B2 (ja) 自走式培養土生産機
JP3194141B2 (ja) 攪拌機
CN211462953U (zh) 一种往复式搅拌的禽粪降解槽
CN216786009U (zh) 一种药材有机肥用翻动机
CN221235480U (zh) 一种市政管道污泥用好氧发酵装置
FI88994C (fi) Anordning foer blandning av kompoststackar eller tillsats blandningsmedel i jordma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