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222B1 -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222B1
KR101637222B1 KR1020140094087A KR20140094087A KR101637222B1 KR 101637222 B1 KR101637222 B1 KR 101637222B1 KR 1020140094087 A KR1020140094087 A KR 1020140094087A KR 20140094087 A KR20140094087 A KR 20140094087A KR 101637222 B1 KR101637222 B1 KR 10163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ermentation tank
transfer line
fermenter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330A (ko
Inventor
유진상
Original Assignee
유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상 filed Critical 유진상
Priority to KR102014009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2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성폐기물을 발효시켜 퇴비 등을 생산할 때 사용하는 장방형 호기성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넓이를 가지는 발효조(1); 상기 발효조(1)의 장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동레일(3); 상기 이동레일(3)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이동레일(3)을 따라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이동대(7); 상기 주이동대(7)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방에 있는 피처리물(P)을 퍼서 후방으로 넘기는 것으로서, 상기 주이동대(7)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교반기(9,11); 상기 피처리물(P)을 상기 발효조(1)의 일측에 투여하기 위한 피처리물 공급부(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Fermentation Equipment For Organic Waste}
본 발명은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성폐기물을 발효시켜 퇴비 등을 생산해낼 때 사용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성소재를 이용하여 퇴비 또는 사료 등을 재생산하기 위한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발효장치에 설치되는 교반장치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설치되는 피처리물 공급장치에 대한 개선을 제시한다.
종래의 발효장치에서 피처리물을 교반하는 교반장치는 발효조를 따라 이동하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 있는데(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76282호 참조), 종래에는 이 에스컬레이터가 한 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발효조에 공급되는 유기성소재는 로다 작업 또는 스크류 컨베이어식에 의해 발효조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 투입 다음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발효장치는 연속적 작업을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자동화라인을 구축할 수 없다. 왜냐하면 발효조의 일측에 공급되어 쌓여있는 유기성소재를 후방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새로 받을 수 있는 빈 공간을 마련하는 동안에는 유기성소재의 공급을 멈추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작업인 단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기성소재를 공급하기 위한 종래의 소재공급부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이용한 방식을 널리 사용하는데 이는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소재의 공급속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모래, 곡물 등 입자상의 물질을 관체를 이용하여 압송하여 공급하는 산업상 설비에 있어서 입자의 충격력에 의해 이송라인이 손상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종래의 이송라인은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관체로 되어 있으며, 변곡부분도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가진 연결관(엘보우 형태의 관체)이 사용된다. 이 연결관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이 부분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이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너무 컸다. 연결관의 가격도 적지 않은데다가 교체작업이 쉽지 않은 것이 그 이유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05588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7628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로 된 유기성소재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자동화를 위한 연속적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방형 호기성 발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재공급장치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소재의 연속적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구성부품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유지관리에 소되는 제반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자상 물질을 공기압으로써 압송하는 이송라인에 있어서 변곡 부분에 발생되는 손상에 대하여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을 교반하면서 발효시키기 위한 발효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넓이를 가지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의 장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이동대; 상기 주이동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방에 있는 피처리물을 퍼서 후방으로 넘기는 것으로서, 상기 주이동대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교반기;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발효조의 일측에 투여하기 위한 피처리물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교반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는 에스컬레이터식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대 상면에는 상기 이동레일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횡방향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횡방향레일에는 보조이동대가 안착되어 횡방향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보조이동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발효조의 단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교반기는;
상기 주이동대 상부에 안착되며 바퀴를 통해 상기 이동레일과 연결되는 차대;
일단이 상기 차대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발효조의 바닥을 향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타단을 들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상기 컨베이어의 타단이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인접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컨베이어 리프팅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피처리물공급부는
피처리물 저장조; 일단은 상기 피처리물 저장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효조 상측에 연장되는 이송라인; 상기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조에 담긴 피처리물을 압송하는 로타리펌프; 상기 이송라인으로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상기 발효조의 내부의 몇 곳에 분산 공급하기 위한 분배조정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발효조의 일단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관; 상기 횡관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발효조의 개구부를 향해 분기 연장되는 복수 개의 토출관; 상기 토출관이 설치된 지점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횡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횡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밸브기구; 상기 토출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관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제2밸브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라인은 단면이 사각형인 제1각관; 상기 제1각관에 45 ~ 135˚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제2각관; 상기 제1,2각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관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체는 상기 제1각관과 관이음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2각관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변곡지점의 등부위는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도로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커버가 상기 제1각관의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를 갖도록 상기 플랜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래, 곡물 기타 입자상 물질을 이송시키기 위한 입자상 물질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관로를 제공하는 이송라인은;
단면이 사각형인 제1각관; 상기 제1각관에 45 ~ 135˚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제2각관; 상기 제1,2각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관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체는 상기 제1각관과 관이음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2각관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변곡지점의 등부위는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도로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커버가 상기 제1각관의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를 갖도록 상기 플랜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 물질의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발효조 위를 기동하는 이동대 상에 2대의 교반기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교반능력이 배가되게 되고, 따라서 발효조 내부에 피처리물을 쏟아 부울 수 있는 공간에 여우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피처리물 공급부는 발효조 내부에 피처리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결국 연속공정이 이루어지는 자동화설비가 갖추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발효조 내부에 여러 곳에 피처리물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밸브장치를 조작함으로써 간편하게 원하는 곳으로 피처리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강한 압력으로 이송되는 피이송물에 의해 이송라인의 곡관부위에 타격이 가해져 해당 부위가 손상되어도, 해당부위된 보호커만을 교체함으로써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으로 파손부위를 복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효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며, 도 2는 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교반기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효장치의 피처리물 공급부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효장치의 피처리물 공급부의 이송라인의 변곡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관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효장치는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을 교반하면서 발효시킴으로써 퇴비나 사료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피처리물(P)에는 각종의 부자재가 혼입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사항이므로 여기서는 단지 피처리물(P)이라 칭하기로 한다.
발효가 이루어지게 되는 발효조(1)는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장방형으로 된 사각 통체이다. 발효조(1)는 통상 시멘트벽돌로 축조 형성되며, 폭은 6 ~10m, 길이는 수십미터에 달한다. 피처리물(P)은 발효조(1)의 일측에 투입되며 수십일 간 타측까지 천천히 이송되면서 발효가 완결된다. 발효조(1)의 깊이는 1 ~2m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는 아니한다.
이동레일(3)이 발효조(1)의 장방향(W1)을 따라 설치된다. 이동레일(3)은 측벽(5) 위에 안착 설치될 수 있다. 주이동대(7)는 이동레일(3) 위에 안착됨으로써 이동레일(3)을 따라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교반기(9,11)가 주이동대(7)의 상부에 나란히 안착 설치된다. 교반기(9,11)는 주이동대(7)와 함께 화살표(A1)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발효조(1)를 이동하면서 전방에 있는 피처리물(P)을 퍼서 후방으로 넘기는 작용을 한다. 교반기(9,11)는 발효조 위에서 장방향(W1)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있다.
교반기(9,11)는 에스컬레이터식으로서, 공지된 사항이므로 그 구성에 대하여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교반기(9,11)는 주이동대(7) 상부에 안착되며, 바퀴(13)를 통해 이동레일(3)과 연결되는 차대(15)와, 일단이 주이동대(7) 상의 차대(15)에 연결되며, 타단이 발효조(1)의 바닥을 향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컨베이어(17,17')와, 컨베이어(17,17')의 타단을 들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컨베이어(17,17')의 타단이 발효조(1)의 바닥에 인접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컨베이어 리프팅수단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리프팅수단은 유압실린더(19,19')가 될 수 있다. 컨베이어(17,17')는 이송면(21)을 제공하는 리프터(22)와 리프터의 양측에 설치된 스프로킷(24)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이송면(21)을 따라 기동하는 체인(26) 및 다수의 버킷(23)을 포함한다. 버킷(23)이 발효조(1)에 쌓인 피처리물(P)을 경사진 이송면(21)을 따라 퍼올려 후방으로 보내게 된다(도 2 참조).
교반기(9,11)가 화살표(A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상복귀될 때는 컨베이어(17,17')는 피처리물(P)에 닿지 않도록 들려져 있게 된다(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교반기(9,11)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동시에 구동시킬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각 교반기(9,11)를 발효조(1)의 단방향(W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주이동대(7)의 상면에는 이동레일(3)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횡방향레일(25)이 설치되고, 횡방향레일(25)에는 보조이동대(27)가 안착되어 횡방향레일(25)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교반기(9,11)는 보조이동대(27)에 설치됨으로써 발효조(1)의 단방향(W2)을 따라, 즉 좌우방향으로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반기(9,11)는 좌우로 움직이면서 피처리물(P)이 발효조(1) 내부 어디에 공급되더라도 이를 발효조(1)의 타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교반기(9,11)는 발효조(1)의 일측에 공급된 피처리물을 컨베이어(17,17')를 이용하여 퍼서 후방으로 넘기면서 발효조(1)의 타측을 향해 조금씩 이동된다. 그리고 교반기(9,11) 2대의 컨베이어(17,17')가 동시에 기동하므로 피처리물(P)을 이송시킴으로써 비어 있게 되는 공간의 면적을 2배로 늘일 수 있게 된다. 피처리물 공급부(29)는 교반기(9,11)가 발효조(1)의 타측까지 왕복하는 시간 동안 넓어진 공간(K, 도 3 참조)에 연속적으로 피처리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피처리물 공급부(29)를 멈추지 않고 계속 가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발효조(1)의 타측에는 이송되어 온 피처리물(P)을 후속공정으로 보내기 위한 배출수단이 마련된다. 통상의 배출수단은 발효조의 바닥에 마련되는 배출공(31)이 될 수 있다. 피처리물(P)은 배출공(31)으로 낙하되어 발효조(1)를 빠져나가게 된다. 이하에서는 피처리물 공급부(29)에 대해 설명한다.
피처리물공급부(29)는 피처리물(P)을 발효조(1)의 일측에 투여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이다.
이하,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피처리물공급부(29)를 설명한다. 피처리물공급부(29)는 피처리물(P)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33)와 여기에 저장된 피처리물(P)을 발효조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클론 원리로써 피처리물을 공급하는데, 이를 위해 외기와 차단된 이송라인(35)이 필요하게 된다. 이송라인(35)은 일단은 저장조(33)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효조(1) 상측까지 연장된다.
로타리펌프(37)는 이송라인(35) 상에 설치되어 저장조(33)에 담긴 피처리물(P)을 압송한다. 이송라인(35)은 하나의 직관으로 구성될 수 없으며 불가피하게 절곡된 부분(B)을 포함한다. 분배조정수단은 이송라인(35)으로 공급되는 피처리물(P)을 발효조(1)의 내부 몇 곳에 분산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라인(35)은 발효조(1)의 일단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관(39)과 횡관(39)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발효조(1)의 개구부를 향해 분기 연장되는 복수 개의 토출관(41)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저장조(33)와 횡관(39)을 연결하는 수직관(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밸브기구(45)가 횡관에 설치된다. 제1밸브기구(45)는 토출관(41)이 설치된 지점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횡관(39)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토출관(41)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토출관(41)마다 제2밸브기구(47)가 설치된다.
제1,2 밸브기구(45,47)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실린더(49)와 밸브실린더(49)에 연결되어 기동하면서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판(51)을 포함한다. 밸브판(51)은 게이트 밸브와 같이 관로를 가로질러 기동하게 되며, 밸브판(51)이 기동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해 밸브판 가이드(미도시됨)가 횡관(39)과 토출관(41)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제1밸브기구(45)는 관로에 대하여 45˚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는 피처리물(P)이 횡관(39)으로 유입된 제1밸브기구(45)의 밸브판(51)에 부딪힌 다음 방향을 바꿔 토출관(41)으로 빠져나가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기구(45)의 제1-1밸브판(45-1)이 개방되고 제2밸브기구(47)의 제2-1밸브판(47-2)이 닫히게 되면, 피처리물(P)은 제1밸브기구(45)의 제1-2밸브판(45-2)에 부딪혀 방향이 전환된다. 도시된 것처럼 제2밸브기구(47)의 2-2밸브판(47-2)이 개방되어 있다면, 피처리물(P)은 제2토출관(41)을 통해서 하방으로 분출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떤 토출관(41)을 통해 피처리물(P)이 토출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교반기(9,11)와 제1,2 밸브기구(45,47)는 자동화를 위하여 서로 연동하여 기동되도록 할 수 있다. 피처리물(P)은 반드시 한 토출관을 통해서만 배출되지 않고 복수 개의 토출관(41)을 통해서 동시에 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토출관(41)의 하단에는 발효조(1)를 향한 방향으로 개구된 팽창관(53)이 연결된다. 팽창관(53)은 타공망체로 형성되며, 토출관(41) 말단의 압력을 저하시켜 피처리물(P)이 강하게 분출되지 않고 저속으로, 즉 정숙하게 발효조(1) 내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이송라인(35)에 대한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라인(35)은 단면이 사각형인 제1각관(35a)과; 제1각관(35a)에 45 ~ 135˚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제2각관(35b)과, 제1,2각관(35a,35b)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관체(5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피처리물(P)에 의해 이송라인의 절곡 부분(B, 도 3 참조)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피처리물(P)은 비록 굳기가 약할지라도 연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을 받는 부분은 마모 또는 손상되기 마련이다. 본 실시예는 충격이 크게 가해지는 절곡 부분(B)에 보호커버(57)를 설치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보호커버(57)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송라인(35)은 언급한 것처럼 단면이 사각형으로 된 관체로 구성한다. 그리고 절곡 부분(B)에는 관로에 대하여 45 ~ 135˚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로 플랜지(59)를 부착하고, 이 플랜지(59)를 통해 보호커버(57)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제1각관(35a)과 제2각관(35b)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플랜지(59)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들 사이에 미리 만들어진 연결관체(55)를 개입시킴으로써 시공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연결관체(55)는 제1각관(35a)과 관이음되는 제1연결관(61)과 제2각관(35b)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63)을 포함한다. 이들의 각 연결부위는 도시된 것처럼 플랜지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플랜지에 의한 연결방식 이외에 용접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연결관(61)과 제2연결관(63)의 변곡지점의 등(back)부위는 관로에 대하여 30 ~ 60˚의 경사도(b)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59)가 설치되어 있다. 가장자리에 볼트끼움공(65)이 마련되어 있는 보호커버(57)가 제1각관(35a)의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를 갖도록 플랜지(59)에 결합된다.
보호커버(57)는 수명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교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떠한 소재인지의 여부에 따라 교체 주기가 결정될 것이다. 보호커버(57)는 단순한 형태의 평판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지 않고 교체작업도 매우 용이하다.
보호커버(57)를 가지는 이송라인의 구조(즉, 각관을 사용하며 변곡부분의 등 부위에 보호커버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구조)는 본 발명의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이외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래, 목분, 곡물 등을 이송시키기 위한 각종의 입자상 물질 이송장치의 이송라인에 적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보호커버(57)는 플랜지와 접합하는 가장자리는 평편한 판재로 되어 있으되, 피이송물과 부딪히게 되는 중간 부분은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반구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발효조 3 : 이동레일
5 : 측벽 7 : 주이동대
9 ,11 : 교반기 15 : 차대
17,17' : 컨베이어 19,19' : 유압실린더
21 : 이송면 23 : 버킷
25 : 횡방향레일 27 : 보조이동대
29 : 피처리물공급부 31 : 배출공
33 : 저장조 35 : 이송라인
35a, 35b : 제1,2각관 37 : 로타리펌프
39 : 횡관 41 : 토출관
43 : 수직관 45,47 : 제1,2밸브기구
49 : 밸브실린더 51 : 밸브판
53 : 팽창관 55 : 연결관체
57 : 보호커버 59 : 플랜지
61,63 : 제1,2연결관 65 : 볼트끼움공
P : 피처리물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축분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을 교반하면서 발효시키기 위한 발효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발효조; 상기 발효조의 장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이동대;
    상기 주이동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전방에 있는 피처리물을 퍼서 후방으로 넘기는 것으로서, 상기 주이동대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에스컬레이터식 교반기;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발효조의 일측에 투여하기 위한 피처리물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 공급부는;
    피처리물 저장조; 일단은 상기 피처리물 저장조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효조 상측에 연장되는 이송라인; 상기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저장조에 담긴 피처리물을 압송하는 로타리펌프; 상기 이송라인으로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상기 발효조의 내부의 몇 곳에 분산 공급하기 위한 분배조정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라인은;
    단면이 사각형인 제1각관; 상기 제1각관에 45 ~ 135˚의 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단면이 사각형인 제2각관; 상기 제1,2각관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관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체는 상기 제1각관과 관이음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2각관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변곡지점의 등부위는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도로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커버가 상기 제1각관의 관로에 대하여 30 ~60˚의 경사를 갖도록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발효조의 일단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관(39)과 상기 횡관(39)을 따라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발효조의 개구부를 향해 분기 연장되는 복수 개의 토출관(41)을 가지되;
    상기 토출관의 하단에는 상기 발효조를 향한 방향으로 개구된 팽창관이 더 연결되며;
    상기 팽창관은 타공망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KR1020140094087A 2014-07-24 2014-07-24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KR10163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087A KR101637222B1 (ko) 2014-07-24 2014-07-24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087A KR101637222B1 (ko) 2014-07-24 2014-07-24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785A Division KR20160013514A (ko) 2015-10-08 2015-10-08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330A KR20160013330A (ko) 2016-02-04
KR101637222B1 true KR101637222B1 (ko) 2016-07-08

Family

ID=5535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087A KR101637222B1 (ko) 2014-07-24 2014-07-24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708B1 (ko) 2018-06-11 2019-08-27 엠코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33B1 (ko) 2007-03-21 2008-01-31 (주)동광기업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KR100828741B1 (ko) 2007-04-28 2008-05-16 김태환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KR101017719B1 (ko) 2008-04-30 2011-02-25 김경화 교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588U (ko) 1998-08-31 2000-03-25 이형도 유압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아마츄어
JP4622313B2 (ja) 2003-08-26 2011-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33B1 (ko) 2007-03-21 2008-01-31 (주)동광기업 에스컬레이터 교반기
KR100828741B1 (ko) 2007-04-28 2008-05-16 김태환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KR101017719B1 (ko) 2008-04-30 2011-02-25 김경화 교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708B1 (ko) 2018-06-11 2019-08-27 엠코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330A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411900U (zh) 土壤修复处理装置
CN206552858U (zh) 定量给料机
CN103252343A (zh) 一种用于黏性污染土壤修复的装置和方法
KR101637222B1 (ko)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CN207076767U (zh) 一种用于工业土壤重金属污染快速深度稳定化处理的设备
CN202286172U (zh) 一种酱腌菜前处理生产线
CN203593404U (zh) 皮带机调节物料落料点装置
CN210787002U (zh) 一种生态肥制作设备
CN205857740U (zh) 一种混凝土输送装置
KR20160013514A (ko)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CN206842366U (zh) 一种物料输送装置
CN215755277U (zh) 一种原料场系统
KR101387307B1 (ko) 유기성 폐기물의 교반 발효 장치
CN106701529B (zh) 一种高效连续好氧生物反应器系统
CN210313954U (zh) 一种污泥处理设备
CN219682637U (zh) 一种建筑垃圾就近处置装置
CN216856543U (zh) 一种有机肥高效低耗生产线
KR101203739B1 (ko)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CN209078921U (zh) 一种生活垃圾焚烧炉渣再生集料制砖系统
CN210795092U (zh) 一种储存式装车料仓
KR20110020030A (ko) 폐비닐 세절기
CN203568515U (zh) 一种石油钻井污泥自动装车装置
CN116037635B (zh) 污染土壤修复喷洒装置
CN220008387U (zh) 一种塑料颗粒混料装置
CN216234878U (zh) 用于输送蒸汽砖粉末原料的风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