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739B1 -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739B1
KR101203739B1 KR20100105401A KR20100105401A KR101203739B1 KR 101203739 B1 KR101203739 B1 KR 101203739B1 KR 20100105401 A KR20100105401 A KR 20100105401A KR 20100105401 A KR20100105401 A KR 20100105401A KR 101203739 B1 KR101203739 B1 KR 101203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veying belt
conveyor
storage tank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038A (ko
Inventor
류성열
이재정
김종철
김민철
문진성
이태화
김헌태
허용운
Original Assignee
(주)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 filed Critical (주)유성
Priority to KR2010010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7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7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나 폐비닐과 같은 폐기물을 이송하여 정해진 위치에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정해진 용량의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폐기물이 저장되는 폐기물 저장조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로 이루어지고, 이송벨트의 끝단부가 폐기물 저장조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폐기물 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전달받아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게 되는 컨베이어 및; 이송벨트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폐기물 분배구를 구비하여 폐기물 분배구가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운동하면서 이송벨트의 상부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폐기물의 높이가 균일해지도록 하는 분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는, 이송벨트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전후 왕복운동함으로써 이송벨트 표면에 적재되는 폐기물이 일정 높이 이하로 고르게 퍼지도록 하는 폐기물 분배구가 구비되어 폐기물이 이송벨트 표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면서 이송됨에 따라, 폐기물의 정량공급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A supply equipment of waste material with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슬러지, 폐비닐, 폐합성수지와 같은 각종 폐기물의 처리작업이나 보관 등을 목적으로 폐기물을 정해진 위치에 정량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어를 사용하고, 컨베이어의 이송벨트 상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폐기물이 이송벨트의 표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토목 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는 슬러지(sludge), 폐비닐, 폐합성수지와 같은 각종 폐기물이 수시로 발생됨에 따라, 폐기물을 수집하여 처리해야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한 폐기물의 수집, 폐기물의 이송/공급, 폐기물에 대한 각종 처리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직접 이루어질 수 있으나, 폐기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별도의 장치나 시설을 활용하여 폐기물이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이와 같이 슬러지, 폐비닐과 같은 각종 폐기물에 대한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대만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22126호 "건설 폐기물의 슬러지 재활용 처리시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2935호 "이동형 슬러지 배출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상기 "건설 폐기물의 슬러지 재활용 처리시설"은 건설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파쇄골재 이동 콘베이어를 통해 골재가 세척 수조로 낙하되고, 낙하된 골재는 세척골재 이동 콘베이어를 통하여 골재가 이동되며, 이때 발생된 슬러지는 슬러지 운반 톱니벨트를 통하여 다시 상부로 이동되어 슬러지 수분 제거시설에 의해 수분이 탈수되고, 탈수된 슬러지는 다시 슬러지 이동 콘베이어를 통해 하부에 적재되어 재활용 골재로 사용되며, 그리고 탈수된 수분은 수분 집수탱크로 집수되어 수조 탱크로 다시 이동되어 재사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형 슬러지 배출장치"는 한쪽이 바닥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여 슬러지가 외부로 이송되고, 컨베이어 시스템은 침전조에 투입된 수중모터에 의하여 흡입된 슬러지와 씨앗 등의 이물질들이 이송관을 통하여 이송되며, 이송관과 이격되어 있는 금속판에 의하여 바닥부 전체로 비산되고, 비산된 슬러지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정방향 회전에 의하여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되며, 컨베이어 시스템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물위에 떠있는 씨앗 등의 가벼운 이물질이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희석수에가 본체 후면의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의 탱크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상기 "건설 폐기물의 슬러지 재활용 처리시설"와 "이동형 슬러지 배출장치"는 각종 처리를 위한 폐기물의 이송을 위하여 컨베이어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데, 폐기물에 대한 각종 처리가 이루어지는 위치로 폐기물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될 시 원활한 처리를 위하여 폐기물이 정량 공급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건설 폐기물의 슬러지 재활용 처리시설"와 "이동형 슬러지 배출장치"는 폐기물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폐기물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할 경우,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창출된 것으로서, 이송벨트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전후 왕복운동하면서 이송벨트 표면에 적재되는 폐기물이 일정 높이 이하로 고르게 퍼지도록 하는 폐기물 분배구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이 이송벨트 표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구동모터와 링크결합되는 폐기물 분배구로 이루어지는 분배기를 구비하는 단순 구성으로도 폐기물의 이송과 폐기물의 정량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는, 슬러지나 폐비닐과 같은 폐기물을 이송하여 정해진 위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로서, 정해진 용량의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폐기물이 저장되는 폐기물 저장조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벨트의 끝단부가 상기 폐기물 저장조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폐기물 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전달받아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게 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폐기물 분배구를 구비하여 상기 폐기물 분배구가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폐기물의 높이가 균일해지도록 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컨베이어의 정해진 위치 상에 정해진 높이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축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일단부가 핀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에 타단부가 핀결합되는 링크 바 및;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폐기물 분배구를 포함하여,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상기 회전판의 회전운동이 상기 링크 바를 통해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축과 폐기물 분배구가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전후 왕복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은 외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편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편에 상기 링크 바의 타단부가 핀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기의 폐기물 분배구는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폐기물 분배구와 이송벨트 상부면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기물 저장조는 파분쇄된 폐기물이나 슬러지가 투입되어 저장되는 것이되,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폐기물 저장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폐기물 저장조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스크류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기물 저장조 내부의 슬러지가 상기 이송벨트 상부면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는, 폐기물 분배구의 전후 왕복운동으로 폐기물이 일정 높이 이하로 고르게 퍼져 이송될 수 있음에 따라, 폐기물을 목적하는 위치에 정량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폐기물의 정량 공급이 구동모터와 링크결합되는 폐기물 분배구로 이루어지는 단순 구성의 분배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어 정량 공급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확장이 최소화되어 비용절감과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가 슬러지의 처리에 활용될 시 슬러지가 이송벨트의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슬러지에 대한 각종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가 다종(多種)의 폐기물을 서로 혼합시키는데 활용될 시 서로 교차하는 컨베이어에 적재된 다종의 폐기물 각각이 해당 컨베이어의 이송벨트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이송되면서 서로 혼합될 수 있음에 따라 폐기물 간 혼합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의 주요부 측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를 이루는 분배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를 이루는 분배기가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전후 왕복운동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의 주요부 측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를 이루는 분배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를 이루는 분배기가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전후 왕복운동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100)는 폐기물이 컨베이어(40)에 의해 이송되면서 폐기물에 대한 각종 처리가 이루어지는 정해진 위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이와 같은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100)에 의해 이송되는 폐기물은 슬러지(sludge), 폐비닐, 폐합성수지 등으로서 특정물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공급장치(100)는 도 1에서와 같이 폐기물 저장조(20), 컨베이어(40), 분배기(60), 서브 컨베이어(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폐기물 저장조(20)는 정해진 용량의 저장공간(28)이 형성되어 폐기물이 저장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조(20)는 폐기물이 투입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저장공간(28)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일정량의 폐기물이 저장공간(28)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폐기물 저장조(20)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조(20)는 저장공간(28)을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일측 폐기물 저장조(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스크류(22)가 저장공간(28)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스크류(22)는 액추에이터인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저장공간(28)에 수용된 폐기물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폐기물이 스크류(22)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저장공간(28)로 투입되는 폐기물이 폐비닐이나 폐합성수지와 같이 고체상일 경우 입자 상태로 분쇄된 후 저장공간(28)로 투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로 돌출되는 스크류(22)를 보호하기 위하여 폐기물 저장조(20)의 선단부에는 스크류 보호관체(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스크류 보호관체(24)의 하부에는 도 2의 (a)와 (b)에서와 같이 하측으로 개방된 배출구(242)가 형성되어 스크류(22)를 타고 이동하는 폐기물이 배출구(2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폐기물 저장조(20)는 스크류 보호관체(24)가 형성된 선단부가 컨베이어(40)의 이송벨트(42)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스크류(22)의 회전에 따라 폐기물 저장조(20)의 내부에서 배출구(2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가 이송벨트(42) 상부면으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조(20)는 도 2의 (a)와 (b)에서와 같이 하단에 캐스터 바퀴(32)가 장착된 지지다리(30)에 의해 일정높이로 지지되는 구성임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이는 폐기물 저장조(20)의 저장공간(28)으로 투입되는 폐기물을 용이하게 전달받기 위함이다.
여기서, 캐스터 바퀴(32)는 플로워 락(floor lock)을 구비하여 이동 후 바닥면에 폐기물 저장조(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컨베이어(40)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4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송벨트(42)의 끝단부가 폐기물 저장조(2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폐기물 저장조(20)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전달받아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40)는 슬러지의 이송에 활용되는 것임에 따라, 이송벨트(42)의 양측단이 지지프레임(44)에 의해 일정높이로 밀폐되도록 한다.
분배기(60)는 컨베이어(40)의 이송벨트(42)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6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62), 구동모터(64), 회전판(66), 구동축(68), 링크 바(72), 폐기물 분배구(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프레임(62)은 컨베이어(40)의 정해진 위치 상에 정해진 높이로 설치되어 구동모터(64)와 구동축(68)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슬러지가 배출되는 폐기물 저장조(20)의 배출구(242)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폐기물 저장조(20)의 스크류 보호관체(24)와 간섭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폐기물 저장조(20)로부터 배출되어 이송벨트(42)에 적재되는 폐기물이 이송 초기에 일정 높이 이하로 고르게 이송벨트(42) 표면에 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62)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높이조절용 지지대(624)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구성임에 따라, 고정프레임(62)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모터(64)는 고정프레임(62)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고, 회전판(66)은 구동모터(64)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64)는 감속기(642)와 연결되어 감속기(642)를 통해 회전판(66)이 구동모터(64)의 회전축과 접속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회전판(66)은 원판체로 이루어져 이송벨트(42)의 중앙선 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68)은 고정프레임(62)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구동축(68)의 양단부는 고정프레임(62)에 고정된 베어링(686)에 삽입고정된다.
여기서, 구동축(68)은 외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편(682)을 형성하여 고정편(682)과 링크 바(7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정편(682)은 구동축(68)의 중앙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 바(link bar)(72)는 회전판(66)과 구동축(68)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판(66)의 회전력을 구동축(68)으로 전달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링크 바(72)의 일단부는 회전판(66)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편심 위치)에 핀결합되고, 링크 바(72)의 타단부는 구동축(68)의 고정편(682)에 핀결합된다.
여기서, 링크 바(72)와 구동축(68)의 고정편(682) 사이 핀결합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편(682)은 링크 바(72)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고정편(682) 사이에 링크 바(72)가 삽입되면서 서로 핀결합되도록 한다.
폐기물 분배구(70)는 이송벨트(42)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폐기물 분배구(70)는 구동축(68)와 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분배구(70)는 이송벨트(42)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송벨트(42)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슬러지가 일정 높이 이하로 고르게 퍼지도록 한다.
한편, 폐기물 분배구(70)는 일측면에 강도보강용 지지편(702)을 일종의 힘살로서 형성하여 폐기물 분배구(70)의 회전시 충돌하게 되는 슬러지와 같은 폐기물에 의한 반복적인 반력에도 변형이나 손상없이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분배구(70)는 도 2의 (a)와 (b)에서와 같이 높이가 조절되어 폐기물 분배구(70)와 이송벨트(42) 상부면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높이조절용 지지대(624)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고정프레임(62)의 높이가 조절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기물 분배구(7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음에 따라, 이송벨트(42)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른 폐기물 분배구(70)와 이송벨트(42) 상부면 사이의 적정 간격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폐기물이 슬러지인 경우 폐기물 분배구(70)와 이송벨트(42) 상부면 사이 간격을 좁힐 수 있게 되고, 폐기물이 폐비닐, 폐합성수지와 같은 수지 소재인 경우 폐기물 분배구(70)와 이송벨트(42) 상부면 사이 간격을 넓혀 폐비닐, 폐합성수지 등이 원활하게 폐기물 분배구(70)를 통과하여 이송벨트(42)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이루어지는 분배기(60)는 도 4의 (a)와 (b)에서와 같이 구동모터(64)의 작동에 따른 회전판(66)의 회전운동이 링크 바(72)를 통해 구동축(68)으로 전달되어 구동축(68)이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구동축(68)에 결합된 폐기물 분배구(70)가 이송벨트(42)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송벨트(42)의 상부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폐기물의 높이가 균일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배기(60)는 이송벨트(42)의 이송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송벨트(42)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폐기물이 일정 높이 이하로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작업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서브 컨베이어(40')는 슬러지 이외의 폐기물이 적재되어 이송되는 것으로, 다종(多種)의 폐기물을 동시에 이송시켜 서로 혼합시킬 시 사용되는 이송기구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100)는 분배기(60)를 이루는 폐기물 분배구(70)의 전후 왕복운동에 의해 폐기물이 일정 높이 이하로 고르게 퍼져 이송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폐기물의 이송벨트(42) 표면 상의 분포량이 균일해질 수 있음에 따라 폐기물을 목적하는 위치에 정량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100)는 폐기물이 이송벨트(42)표면 전체에 고루 분포되어 있어 외기(外氣)난 각종 물질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음에 따라 폐기물에 대한 각종 처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40)와 서브 컨베이어(40')가 구비되어 서로 교차되도록 하고, 컨베이어(40)의 이송벨트(42)와 서브 컨베이어(40')의 서브 이송벨트(42') 상에서 폐기물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 간 혼합시 혼합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20 : 폐기물 저장조 22 : 스크류
24 : 스크류 보호관체 242 : 배출구
28 : 저장공간 30 : 지지다리
32 : 캐스터 바퀴 40 : 컨베이어
40' : 서브 컨베이어 42 : 이송벨트
42' : 서브 이송벨트 44 : 지지프레임
44' : 서브 지지프레임 60 : 분배기
62 : 고정프레임 622 : 모터장착단
624 : 높이조절용 지지대 64 : 구동모터
642 : 감속기 66 : 회전판
68 : 구동축 682 : 고정편
684 : 고정핀 686 : 베어링
70 : 폐기물 분배구 702 : 강도보강용 지지편
72 : 링크 바 722 : 고정핀
100 :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Claims (6)

  1. 삭제
  2. 슬러지나 폐비닐과 같은 폐기물을 이송하여 정해진 위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에 있어서,
    정해진 용량의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폐기물이 저장되는 폐기물 저장조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벨트의 끝단부가 상기 폐기물 저장조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폐기물 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전달받아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게 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폐기물 분배구를 구비하여 상기 폐기물 분배구가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폐기물의 높이가 균일해지도록 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되;
    상기 분배기는 상기 컨베이어의 정해진 위치 상에 정해진 높이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축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일단부가 핀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에 타단부가 핀결합되는 링크 바 및;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폐기물 분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상기 회전판의 회전운동이 상기 링크 바를 통해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축과 폐기물 분배구가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전후 왕복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외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편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편에 상기 링크 바의 타단부가 핀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4. 삭제
  5. 삭제
  6. 슬러지나 폐비닐과 같은 폐기물을 이송하여 정해진 위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에 있어서,
    정해진 용량의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폐기물이 저장되는 폐기물 저장조와;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벨트의 끝단부가 상기 폐기물 저장조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폐기물 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폐기물을 전달받아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게 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폐기물 분배구를 구비하여 상기 폐기물 분배구가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전후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폐기물의 높이가 균일해지도록 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되;
    상기 폐기물 저장조는 파분쇄된 폐기물이나 슬러지가 투입되어 저장되는 것이되,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폐기물 저장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폐기물 저장조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스크류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기물 저장조 내부의 슬러지가 상기 이송벨트 상부면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KR20100105401A 2010-10-27 2010-10-27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KR101203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5401A KR101203739B1 (ko) 2010-10-27 2010-10-27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5401A KR101203739B1 (ko) 2010-10-27 2010-10-27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038A KR20120044038A (ko) 2012-05-07
KR101203739B1 true KR101203739B1 (ko) 2012-11-21

Family

ID=4626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5401A KR101203739B1 (ko) 2010-10-27 2010-10-27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503B1 (ko) 2023-12-19 2024-04-22 주식회사 태경엔텍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756B1 (ko) * 2014-07-18 2016-04-29 김봉개 칼로리가 서로 다른 폐기물을 혼합하여 원하는 열량의 폐기물을 제조하기 위한 폐기물 혼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503B1 (ko) 2023-12-19 2024-04-22 주식회사 태경엔텍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038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739B1 (ko) 컨베이어 이송식 정량분배형 폐기물 공급장치
US20160167095A1 (en) Portabl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 to be placed in landfill
WO2021217901A1 (zh) 一种供砂系统及3d打印设备
EP2155456B1 (en) Mobile mixing apparatus
CN206898060U (zh) 一种移动式全集成土壤淋洗快速修复系统
KR101128513B1 (ko) 절삭칩 반송장치
WO2013150362A1 (en) Apparatus to feed inert material in a concrete mixing plant or an asphalt production plant
CN107283636B (zh) 一种混凝土用砂石料多搅拌器的自动计量送料系统
KR20120002198A (ko) 모바일 스크린 플랜트
KR102356312B1 (ko) 건설자재용 컨베이어
CN212294245U (zh) 一种快速上料的撒料总成
CN111792401A (zh) 一种用于砂石输送的装车装置
CN207077619U (zh) 一种带有碎石清洗机构的混凝土搅拌装置
CN202498639U (zh) 移动式水泥混凝土搅拌站
KR101637222B1 (ko)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CN111389900A (zh) 一种污染土壤固化稳定化设备及方法
KR20160045519A (ko) 무축 트롬멜
CN107252816A (zh) 一种移动式全集成土壤淋洗快速修复系统
KR101246253B1 (ko) 이송호퍼용 이물질 제거장치
CN212096851U (zh) 一种水泥管自动生产线
CN214000015U (zh) 一种用于搅拌机的物料输送装置
KR101295593B1 (ko) 트리퍼카용 배출장치
CN203765808U (zh) 移动式砂浆搅拌站
CN213254998U (zh) 一种粉碎机送料装置
JP3658306B2 (ja) 被処理物の連続粒状固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