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741B1 -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 Google Patents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741B1
KR100828741B1 KR1020070041657A KR20070041657A KR100828741B1 KR 100828741 B1 KR100828741 B1 KR 100828741B1 KR 1020070041657 A KR1020070041657 A KR 1020070041657A KR 20070041657 A KR20070041657 A KR 20070041657A KR 100828741 B1 KR100828741 B1 KR 100828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fermentation
pipe
supply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181A (ko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8166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287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102007004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74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는 축분뇨에 의해 이송파이프의 분사공이 쉽게 막히게 되면서 축분뇨 공급살포의 효율성 및 발효교반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이송파이프의 청소 및 유지 관리가 어렵고, 비용의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효조(100)의 일측에 형성된 축분뇨 저장조(200)와, 상기 축분뇨 저장조(200)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300)와, 상기 펌프(300)와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프레임(600)에 설치되는 이송파이프(400)를 포함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이프(40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분배파이프(410)를 설치하고, 상기 분배파이프(410)의 하단은 직각형태의 바닥부(810)와 차단벽(820)으로 이루진 확산판(800)에 고정부재(830)로 연결시켜 구성하므로서, 이송파이프(400)로 이송된 축분뇨가 분배파이프(410)를 거쳐 확산판(800)의 바닥부(810)에 떨어져 확산되면서 발효조(100)에 공급됨에 따라 축분뇨의 공급효율성 및 발효교반작업성과 축분뇨 살포작업성이 향상되고,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청소 및 유지와 관리를 저렴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R1020070041657
발효교반시설, 발효교반차, 축분뇨, 파이프, 확산판, 밸브, 발효조, 펌프

Description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Supply sprinkling device for a livestock excretions and saprophytic of a fermentation agitation equipment}
도 1 은 종래의 발효교반시설에 구비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교반시설에 설치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확산판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확산판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교반시설에 설치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교반시설에 설치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효조 200 : 축분뇨 저장조
300 : 펌프 400 : 이송파이프
410 : 분배파이프 411 : 개폐밸브
421 : 개폐용 밸브 440 : 메인밸브
700 : 발효교반차 710 : 축분뇨 저장탱크
800 : 확산판 810 : 바닥부
820 : 차단벽 830 : 고정부재
본 발명은 발효교반시설에 설치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발효교반차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축분뇨를 발효조로 공급하는 이송파이프에 분배파이프와 확산판을 설치하여 축분뇨가 발효조에 효과적이면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축분뇨 공급살포의 효율성 및 발효교반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이송파이프의 청소 및 유지와 관리를 저렴하면서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분뇨와 같이 수분이 많은 유기성 폐기물은 수분조절제와 혼합하여 발효조에 저장시킨 다음 이를 인공적으로 호기성 발효를 시키고, 그 발효열로 건조시켜서 안전한 퇴비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교반시키지 않고 자연적으로 발효시키는 것은 주로 혐기성 발효로서 각종 부패 세균 등이 번식하여 악취가 심하며, 이러한 상태로 퇴비화하여 사용하면 농작물이 병들고 잡초가 무성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온풍에 의해 강제 건조시키는 것 역시 악취가 심하고 온풍발생에 따른 유지비가 많이 소모되며, 농지에 투입하였을 때 그때 농지에서 발효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발효열로 식물들이 죽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축분뇨에 톱밥이나 왕겨등의 수분조절제를 혼합한 다음 발효조에 투입하고 교반시켜서 호기성 발효가 촉진되게 하는 발효교반시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발효교반시설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분뇨가 교반되면서 발효되는 다수개의 발효조(10)와, 상기 발효조(10)의 축분뇨를 교반시켜주기 위해 발효조(10)의 상부를 따라 이동되는 발효교반차(70)와, 상기 발효조(10)의 내부로 축분뇨를 공급하기 위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에 관해 자세히 살펴보면, 발효조(10)의 일측 또는 서로 인접한 발효조(10)의 사이에 축분뇨 저장조(20)가 형성되고, 상기 축분뇨 저장조(20)에는 축분뇨가 저장되며, 상기 축분뇨 저장조(20)의 내부에는 펌프(30)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30)는 이송파이프(40)의 일단과 연결되며, 이송파이프(40)의 타단은 발효조(10)의 상부를 가로지르면서 위치할 수 있도록 발효교반차(70)가 설치된 프레임(6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파이프(40)의 아래쪽에는 발효조(10)의 내부를 향해 축분뇨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출공(41)이 형성됨에 따라 축분뇨 저장조(20)의 펌프(30)가 작동되면 축분뇨 저장조(20)의 축분뇨가 이송파이프(40)를 통해 이동된 후 배출공(41)으로 배출되면서 발효조(10)의 내부에 균일하게 공급살포되는 것이다.
한편,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다른 타입으로서, 축분뇨를 발효조(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축분뇨 저장조(20) 대신에 발효교반차(70)가 설치된 프레임(60)에 축분뇨 저장탱크(도면중 미도시)를 형성한 후 상기 축분뇨 저장탱크에 축분뇨가 저장되도록 하여 상기 축분뇨 저장탱크의 축분뇨가 상기 축분뇨 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30)에 의해 이송파이프(40)로 이동된 후 배출공(41)을 통해 발효조(1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형태의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는 타입에 관계없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인접한 발효조(10)의 사이에 형성된 축분뇨 저장조(20) 또는 발효교반차(70)에 설치된 축분뇨 저장탱크의 축분뇨가 펌프(30)에 의해 이송파이프(40)로 이동된 후 배출공(41)을 통해 발효조(10)의 내부로 배출될 때 축분뇨속에 포함된 덩어리, 가축털, 찌꺼기 등이 상기 배출공(41)에 쉽게 걸리게 되면서 축분뇨의 배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축분뇨 공급살포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발효교반작업 및 축분뇨 살포작업의 효율성 또한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축분뇨의 덩어리, 가축털, 찌꺼기 등에 의해 배출공(41)이 여러개가 막히는 경우 발효교반작업 및 축분뇨 살포작업을 중지하고 이송파이 프(40)의 내부를 청소해주어야 함에 따라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청소 및 유지와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고 비용의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펌프(30)는 항시 일정한 압력으로 축분뇨를 펌핑하게 되며, 펌핑된 축분뇨는 이송파이프(40)의 배출공(41)을 통해 발효조(10)로 전량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공(41)이 축분뇨에 의해 막히면서 이송파이프(40)의 내부에 축분뇨, 가축털, 찌꺼기 등이 계속 쌓이게 되면 결국 펌프(30)에 부하가 걸리게 되면서 펌프(30)가 쉽게 잦은 고장이 생기고, 이송파이프가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효교반시설에 설치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를 통해 공급살포되는 축분뇨가 발효조에 효과적이면서 원활하게 공급 및 살포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축분뇨 공급의 효율성과 발효교반작업 및 축분뇨 살포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청소 및 유지와 관리를 저렴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조(100)의 일측에 형성된 축분뇨 저장조(200)와, 상기 축분뇨 저장조(200)에서 발효교반차(700)를 따라 이동되면서 축분뇨를 펌핑하는 펌프(300)와, 상기 펌프(300)와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발효교반차(700)의 프레임(6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펌프(300)로 펌핑되는 축분뇨를 발 효조(100)에 공급하는 이송파이프(400)를 포함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또는
발효교반차(700)의 프레임(600)상에 탑재되는 축분뇨 저장탱크(710)와, 상기 축분뇨 저장탱크(710)의 내부에서 축분뇨를 펌핑하는 펌프(300)와, 상기 펌프(300)와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발효교반차(700)가 설치된 프레임(6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펌프(300)로 펌핑되는 축분뇨를 발효조(100)에 공급하는 이송파이프(400)를 포함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이프(40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배파이프(410)와;
바닥부(810)는 부채꼴형상을 이루고, 그 바닥부(810) 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차단벽(820)이 형성되며, 상기 분배파이프(410)의 하단과 바닥부(810) 상면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고정부재(830)로 고정되어 축분뇨를 확산 공급하는 확산판(800)을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송파이프로 이송된 축분뇨가 이송파이프의 하부에 연결된 분배파이프를 거쳐 확산판에 떨어진 후 확산판의 바닥부에 의해 펼쳐지면서 발효조에 공급살포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축분뇨의 공급효율성 및 발효교반작업 및 축분뇨 살포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유지 및 관리가 저렴해지면서 더욱 용이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발효교반시설에 설치된 발효조와 발효교반차와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라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이송파이프와 연결된 분배파이프와 결합되는 확산판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라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이송파이프와 연결된 분배파이프와 확산판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교반시설에 설치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효조(100)의 일측에 형성된 축분뇨 저장조(200)와, 상기 축분뇨 저장조(200)에서 발효교반차(700)를 따라 이동되면서 축분뇨를 펌핑하는 펌프(300)와, 상기 펌프(300)와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발효교반차(700)의 프레임(6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펌프(300)로 펌핑되는 축분뇨를 발효조(100)에 공급하는 이송파이프(400)를 포함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또는
발효교반차(700)의 프레임(600)상에 탑재되는 축분뇨 저장탱크(710)와, 상기 축분뇨 저장탱크(710)의 내부에서 축분뇨를 펌핑하는 펌프(300)와, 상기 펌프(300)와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발효교반차(700)가 설치된 프레임(6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펌프(300)로 펌핑되는 축분뇨를 발효조(100)에 공급하는 이송파이프(400)를 포함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이프(40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일측의 개폐밸브(411)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다수개의 분배파이프(410) 와;
바닥부(810)는 부채꼴형상을 이루고, 그 바닥부(810) 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차단벽(820)이 형성되며, 상기 분배파이프(410)의 하단과 바닥부(810) 상면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고정부재(830)로 고정되어 축분뇨를 확산 공급하는 확산판(800)을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420)은 이송파이프(40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축분뇨 저장조(200) 또는 축분뇨 저장탱크(710)로 연결되는 퇴수파이프이고, (421)은 상기 퇴수파이프(420)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용 밸브이며, (430)은 이송파이프(400)의 끝단에 설치되어 이송파이프(400)의 청소시에만 개방되는 청소용밸브이고, (440)은 이송파이프(400)에서 분배파이프(410)로 이동되는 축분뇨를 분배파이프(410)에 형성된 개폐밸브(411)로 일일이 제어할 필요없이 한꺼번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메인밸브이며, (500)은 발효조(100)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축분뇨를 이송파이프(400)로 이송시킨 후 발효조(100)의 내부로 일정하게 배출시키는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이프(400)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분배파이프(410)를 연결하고, 상기 분배파이프(410)에는 확산판(800)을 설치하여 축분뇨가 이송파이프(400)와 분배파이프(410)를 거쳐 확산판(800)에 의해 확산되면서 발효조(100)의 내부에 배출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축분뇨가 이송파이프(400)에서 막히지 않고 발효조(100)에 원활하면서 효과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축분뇨의 공급효율성 및 발효교반작업과 축분뇨 살포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청소 및 유지와 관리를 보다 저렴하면서 용이 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발효조(100)의 사이에는 축분뇨가 저장되는 축분뇨 저장조(200)가 형성되며, 상기 축분뇨 저장조(200)의 내부에는 펌프(3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펌프(300)에는 이송파이프(400)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송파이프(400)의 타단은 발효교반차(700)가 설치된 프레임(600)의 전면 또는 필요에 따라 후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이송파이프(40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분배파이프(410)를 수직방향으로 교차되게 관통시켜 설치한 것이며, 상기 분배파이프(410)의 하단에는 확산판(800)을 연결하여 설치한 것이다.
한편, 상기 확산판(800)을 도 3a 와 도 3b 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부채꼴의 형상을 가지는 바닥부(810)와, 상기 바닥부(810)의 후방을 감싸듯 바닥부(810)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차단벽(820)과, 상기 분배파이프(410)의 하단을 차단벽(820)의 내부 중앙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분배파이프(410)의 끝단이 상기 바닥부(810)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록 하여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830)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송파이프(400)를 거쳐 분배파이프(410)로 이동된 축분뇨는 확산판(800)의 바닥부(810) 상면에 떨어지게 되며, 그 후 축분뇨는 상기 바닥부(810)에 전체적으로 퍼지게 되면서 전방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축분뇨가 발효 조(100)의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면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부(810)의 앞부분을 발효조(100)를 향해 어느정도 기울여 형성하므로서 분배파이프(410)를 통해 바닥부(810)에 떨어진 축분뇨가 바닥부(810)에 머무르지 않고 신속하게 발효조(1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바닥부(810)의 중앙부위를 그 양측보다 어느정도 돌출되도록 형성하므로서 바닥부(810)에 떨어진 축분뇨가 바닥부(810)의 어느 한쪽면으로 집중되면서 배출되지 않고, 바닥부(810)의 양쪽으로 충분히 분산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는 축분뇨 저장조(200)가 발효조(100)의 일측 또는 인접한 발효조(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타입에 적용될 수도 있지만 도 4 에서와 같이 발효교반차(700)의 프레임(600)상의 축분뇨 저장탱크(710)가 설치되어 있는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파이프(40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각각의 분배파이프(410)에는 개폐밸브(411)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개폐밸브(411)에 의해 분배파이프(410)의 개폐를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발효조(100)에 공급되는 축분뇨의 공급량이 개폐밸브(411)로서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분배파이프(410)에 개폐밸브(411)가 설치되면서 분배파이프(410)가 전체적으로 개방되지 않고, 발효조(100)의 한정된 필요한 부위에만 축분뇨가 공급살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느 일부의 분배파이프(410)만 개방시키고, 나머지 분배파이프(410)는 개폐밸브(411)에 의해 폐쇄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분배파이프(410)를 전체가 아닌 일부분만 개방시키는 경우 펌프(300)의 정해진 압력에 의해 펌핑되는 축분뇨가 분배파이프(410)를 발효조(100)로 전량 배출되지 못하게 되면서 상기 펌프(300)에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발효조(100)에 축분뇨 저장조(200)가 설치되어 있는 타입의 경우 이송파이프(400)의 일측에 상기 축분뇨 저장조(200)와 연결되는 퇴수파이프(420)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퇴수파이프(420)에는 퇴주조절을 위한 개폐용 밸브(421)를 설치하며, 프레임(600)상에 축분뇨 저장탱크(710)가 설치된 타입은 이송파이프(400)의 일측에 상기 축분뇨 저장탱크(710)와 연결되는 퇴수파이프(420)를 설치하고, 상기 퇴수파이프(420)에는 퇴수조절을 위한 개폐용 밸브(421)를 설치하므로서, 분배파이프(410)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퇴수파이프(420)의 개폐용 밸브(421)는 닫혀있는 상태가 되며, 분배파이프(410)중 일부만이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퇴수파이프(420)의 개폐용 밸브(421)를 열어 축분뇨의 일부는 상기 일부 개방된 분배파이프(410)를 통해 확산판(800)을 거쳐 발효조(100)에 공급살포되도록 하고, 오버되는 축분뇨의 나머지는 상기 퇴수파이프(420)를 거쳐 축분뇨 저장조(200) 또는 축분뇨 저장탱크(710)로 다시 회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600)상에 축분뇨 저장탱크(710)가 설치된 타입의 경우 축분뇨 저장탱크(710)의 축분뇨를 이송파이프(400)로 이동시키는 것을 펌프(300)에 의해 펌핑시켜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펌프(300)를 사용하지 않고, 축분뇨 저장탱크(710)와 이송파이프(400)의 높이차이를 이용하여 축분뇨 저장탱크(710)의 축분뇨가 이송파이프(400)로 자연낙하될 수 있도 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퇴수파이프(420)의 개폐용 밸브(421)는 물론 분배파이프(410)의 개폐밸브(411)를 구성할 때, 상기 개폐용 밸브(421) 또는 개폐밸브(411)를 퇴수파이프(420)의 개방 또는 폐쇄중 어느하나가 선택되는 획일적인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개방 또는 폐쇄의 범위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형태로 사용하면 축분뇨의 공급량 조절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파이프(400)의 끝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청소용밸브(4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평상시에는 상기 청소용밸브(430)는 폐쇄된 상태이며, 상기 이송파이프(400)의 내부청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청소용밸브(430)를 열고 개방된 끝단을 통해 청소용 도구를 집어넣어 이송파이프(400)의 내부청소를 간단하면서 효과적으로 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효교반시설에 구비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에 있어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이송파이프로 이송된 축분뇨가 이송파이프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된 분배파이프를 통해 확산판에 떨어져 분산되면서 발효조에 공급살포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축분뇨가 축분뇨 공급살포장치의 어느 한 부분에서 막히면서 축분뇨의 공급이 부정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분배파이프의 개폐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발효조에 공급되는 축분뇨의 공급부위와 공급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송파이프의 청소 및 유지 관리를 저렴하면서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발효조(100)의 일측에 형성된 축분뇨 저장조(200)와, 상기 축분뇨 저장조(200)에서 발효교반차(700)를 따라 이동되면서 축분뇨를 펌핑하는 펌프(300)와, 상기 펌프(300)와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발효교반차(700)의 프레임(6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펌프(300)로 펌핑되는 축분뇨를 발효조(100)에 공급하는 이송파이프(400)를 포함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또는
    발효교반차(700)의 프레임(600)상에 탑재되는 축분뇨 저장탱크(710)와, 상기 축분뇨 저장탱크(710)의 내부에서 축분뇨를 펌핑하는 펌프(300)와, 상기 펌프(300)와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발효교반차(700)가 설치된 프레임(6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펌프(300)로 펌핑되는 축분뇨를 발효조(100)에 공급하는 이송파이프(400)를 포함한 축분뇨 공급살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이프(40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배파이프(410);
    바닥부(810)는 부채꼴형상을 이루고, 그 바닥부(810) 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차단벽(820)이 형성되며, 상기 분배파이프(410)의 하단과 바닥부(810) 상면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고정부재(830)로 고정되어 축분뇨를 확산 공급하는 확산판(80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파이프(410)에 개폐밸브(411)를 설치하여 분배파이프(410)를 통과하는 축분뇨의 양이 상기 개폐밸브(41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송파이프(400)의 일측에는,
    개폐용 밸브(421)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면서 하단이 축분뇨 저장조(200)와 축분뇨 저장탱크(710)를 향하도록 퇴수파이프(4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이프(400)에는,
    끝단에 청소용밸브(430)가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분뇨 저장탱크(710)에 저장된 축분뇨는,
    축분뇨 저장탱크(710)에서 이송파이프(400)로 자연낙하되어 분배파이프(410) 을 통해 발효조(100)에 공급살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KR1020070041657A 2007-04-28 2007-04-28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KR10082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657A KR100828741B1 (ko) 2007-04-28 2007-04-28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657A KR100828741B1 (ko) 2007-04-28 2007-04-28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554U Division KR200419607Y1 (ko) 2006-04-11 2006-04-11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181A KR20070101181A (ko) 2007-10-16
KR100828741B1 true KR100828741B1 (ko) 2008-05-16

Family

ID=3881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657A KR100828741B1 (ko) 2007-04-28 2007-04-28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330A (ko) * 2014-07-24 2016-02-04 유진상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886A (ja) 2001-08-24 2003-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有機性廃棄物の資源化装置および資源化方法
JP2003145098A (ja) 2001-11-12 2003-05-20 Shinyo Sangyo Kk 廃水又は海水利用の湿式有機廃棄物発酵分解処理機
KR20050106362A (ko) * 2005-09-06 2005-11-09 장순석 목걸이 형태의 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텔레코일 리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886A (ja) 2001-08-24 2003-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有機性廃棄物の資源化装置および資源化方法
JP2003145098A (ja) 2001-11-12 2003-05-20 Shinyo Sangyo Kk 廃水又は海水利用の湿式有機廃棄物発酵分解処理機
KR20050106362A (ko) * 2005-09-06 2005-11-09 장순석 목걸이 형태의 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텔레코일 리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330A (ko) * 2014-07-24 2016-02-04 유진상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KR101637222B1 (ko) 2014-07-24 2016-07-08 유진상 유기성 피처리물의 발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181A (ko) 200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079B1 (ko)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1049150B1 (ko) 친환경 방제 시스템
US20160316712A1 (en) Livestock production facility
US20050244957A1 (en) Regenerating tank
MXPA06011334A (es) Convertidores de biomasa y procesos.
KR102239916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 발효를 위한 에어공급시스템
KR100852873B1 (ko) 유기물을 함유한 폐기물 및 배설물을 자원화 하는 방법과장치
KR102077211B1 (ko) 악취 저감형 돈사
KR101229735B1 (ko) 축산분뇨의 비료화 처리장치
KR100828741B1 (ko)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JP2020006325A (ja) 有機廃棄物発酵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200419607Y1 (ko) 발효교반시설의 유기성폐기물 및 축분뇨 공급살포장치
KR100796379B1 (ko) 유기성폐기물의 발효건조 시스템
KR20140016711A (ko) 양돈분뇨 속성 분해발효 방식을 이용하는 자연순환방식 양돈분뇨 처리 구조물
KR20200006300A (ko) 고온발효 악취 저감형 분뇨 처리 장치
JP2932921B2 (ja) 有機質廃物の発酵方法および発酵装置
KR200188524Y1 (ko) 자연건조식 분뇨처리장을 갖는 돼지 사육용 축사
KR100988556B1 (ko) 축산 분뇨 자원화 시스템
US200401492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waste from animal production facilities
CN209376396U (zh) 一种循环种养殖的生态基地
JP2000281473A (ja) 堆肥発酵処理装置
KR0164203B1 (ko) 가축 분뇨 발효 건조장치
WO2023035388A1 (zh) 一种立体养殖粪污沼液循环利用系统及立体养殖房
KR20220162274A (ko) 퇴비 발효 장치
CN217340285U (zh) 一种畜禽粪污清洁回用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22

Effective date: 20110103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524

Effective date: 2011102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1117

Effective date: 20120413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503

Effective date: 201208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831

Effective date: 201210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