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326B1 -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 Google Patents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326B1
KR100799326B1 KR1020060119497A KR20060119497A KR100799326B1 KR 100799326 B1 KR100799326 B1 KR 100799326B1 KR 1020060119497 A KR1020060119497 A KR 1020060119497A KR 20060119497 A KR20060119497 A KR 20060119497A KR 100799326 B1 KR100799326 B1 KR 100799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rtical
screen
platform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광선
류준형
김명룡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19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4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가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에 설치된 도어를 버티칼 타입으로하여 상기 스크린의 출입구 폭을 넓힐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동차가 정상위치로부터 벗어남에 따른 승객의 승하차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는 승강장의 연단부에 장치되어 상기 승강장과 선로를 구획하는 스크린과, 승객이 상기 스크린을 통해 전동차에 승차하거나 전동차로부터 하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버티칼 도어 및 상기 스크린의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버티칼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은 상기 승강장의 종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정렬되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선로가 보이지 않도록(차폐),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은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장, 스크린, 도어, 버티칼, 도어 플레이트, 보조 플레이트

Description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Vertical type platform screen do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도어 플레이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차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보조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도어 플레이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동차 110: 출입문
200: 승강장 400: 스크린
410: 버티칼 도어 411, 411': 도어 플레이트
412, 412': 중심축 413: 보조 플레이트
413': 단턱 420a~420d: 걸림편
421: 가이드 홈 430: 걸림돌기
440: 로드 450: 플레이트회전 당김부재
본 발명은 전동차가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에 설치된 도어를 버티칼 타입으로하여 상기 스크린의 출입구 폭을 넓힐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동차가 정상위치로부터 벗어남에 따른 승객의 승하차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동차가 승강장에 완전히 정차한 후 스크린에 장치된 도어가 열리도록 함에 따라 승객이 승강장에서 선로로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함은 물론, 승강장측과 선로측을 분리하여 승강장 측의 냉난방 효율 향상 및 쾌적한 환경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지하철 등의 승강장에는 스크린 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가 설치 사용되어지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차(100)가 역사 내에 진입하여 승강장(200)에 완전히 정차하면 스크린(300)에 설치된 도어(310)가 열린 후 전동차(100)의 출입문(110)이 열려 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면 스크린(300)에 설치된 도어(310) 및 전동차(100)의 출입문(110)이 닫히 후 전동차(100)가 출발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짐에 있어, 특히 자동운전제어방식을 이용하는 전동차(100)의 제동은 선로상에 장치된 지상자(미도시)로부터 제동 신호를 입력받아 회생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전기제동 또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압제동장치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동장치의 응답 속도가 늦는 경우에는 전동차(100)가 정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벗어나 정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스크린(300)에 설치된 도어(310)의 출입폭(b)을 전동차 출입문(110)의 폭(a)보다 넓게 확보하여 소정 오차범위 이내로 전동차(100)가 정차한 경우에는 승객의 편리한 승하차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전동차 출입문(110)의 폭(a)이 130[Cm]인 대전과 광주 등에서는 스크린(300)의 출입폭(b)을 200[Cm]로 하여 양측에 35[Cm] 씩의 여유 공간(c)을 더 부여함에 따라 전동차(100)가 정위치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35[Cm] 오차를 가지고 정차하더라도 전동차 출입문(110)의 개방시 승객이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스크린 도어(310)는 미닫이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동차(100)가 정차하여 도어(310)가 열린 경우 당해 도어(310)가 스크린(3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어야 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여유 공간(c)을 부여함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
그 결과, 전동차(100)가 정위치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35[Cm]를 초과하여 정차하는 경우에는 당해 전동차 출입문(110)과 스크린(300)의 도어(310)가 중첩되어 승객이 출입하기 위한 폭이 줄어들어 불편함이 초래되는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동차가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를 제공하되, 스크린에 설치된 도어를 버티칼 타입으로함으로써 도어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스크린의 출입구 폭을 넓힐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동차가 정상위치로부터 벗어남에 따른 승객의 승하차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도어 플레이트들이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전동차가 승강장에 정차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승강장으로부터 선로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가 가능함은 물론, 승강장과 선로의 분리특성을 향상시켜 미세물질이 승강장 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장 측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는, 승강장의 연단부에 장치되어 상기 승강장과 선로를 구획하는 스크린과 승객이 상기 스크린을 통해 전동차에 승차하거나 전동차로부터 하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버티칼 도어 및 상기 스크린의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버티칼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버티칼 도어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 중 일부는 일측으로 나머지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양방향 개폐타입이거나,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 전부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일방향 개폐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이 상기 승강장의 종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정렬되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선로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은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장의 종단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은 각각의 일측면 종단부에는 보조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장의 종단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 각각은 양측 종단부에 서로 대칭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내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걸림편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각 걸림편의 가이드 홈마다 두 개의 도어 플레이트의 축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인접하는 상기 걸림편들의 종단부는 서로 중첩되도록 하며, 종단에 위치한 걸림편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버티칼 도어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로드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의 축에는 각각 그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회전 돌기가 서로 대향하게 두 개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회전 돌기에는 플레이트 회전 당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도어 플레이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는 지하철 등의 승강장(200) 연단부를 따라 설치되어 승강장(200)과 선로를 구획함은 물론 승객의 선로 추락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스크린(400)과, 전동차(100)가 승강장(200)에 정차시 승객이 스크린(400)의 일정부분을 통해 전동차(100)에 승차하거나 전동차(100)로부터 하차할 수 있도록 승강장(200)의 각 출입부에 해당하는 스크린(400)의 소정 부분마다 각각 설치되되,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411)에 의해 버티칼 타입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버티칼 도어(410), 및 스크린(400)의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버티칼 도어(410)가 개폐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개폐부(도 7 참조)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티칼 도어(410)는 각각 그 내부에 중심축(도 7의 412참조)이 설치된 판 형상의 도어 플레이트(411)들이 승강장(200)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고, 도어 플레이트(411)들의 상하부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중심축(412)은 스크린(4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레일(미도시)과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차(100)가 역사 내에 진입하여 승강장(200)에 완전히 정차하면 버티칼 도어(410)는 도어 플레이트(411)들이 각각 좌우측으로 밀착하는 방식으로 열리게 되고, 그 후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면, 도 3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티칼 도어(410)는 도어 플레이트(411)들이 각각 중심측으로 활개하는 방식으로 닫히게 되고, 그와 동시에 혹은 그 후에 전동차 출입문(110)이 닫힌 후 당해 전동차(100)가 출발하여 다음 역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400)에 설치된 도어를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411)로 이루어진 버티칼 도어(410)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의 스크린 도어(310)가 미닫이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동차(100)가 정차하여 도어(310)가 열린 경우 당해 도어(310)가 스크린(4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어야 했던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넓은 여유 공간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스크린 도어(310)가 열릴 때 당해 스크린 도어(310)가 스크린(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스크린(300)에는 최소한 상기 스크린 도어(310)의 폭 만큼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공간 확보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지 도어 플레이트(411)의 두께(t)를 합한 만큼의 공간만을 필요로 하므로, 스크린(400)의 각 부분에 형성된 출입공간을 더욱더 넓게 활용하여 전동차(100)가 정위치로부터 벗어나 정차할 수 있는 한계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되며, 승객의 승하차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전동차가 승강장에 정차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버티칼 도어에 의해 승강장으로부터 전동차가 주행하는 선로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차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보조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도어 플레이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는 전동차(100)가 역을 빠져나가 승강장(200)에 정차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411)들에 의해 승강장(200)으로부터 선로가 보이지 않도록 회전한다.
즉,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승강장(200)의 종단면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된 도어 플레이트(411)에 의하면 승강장(200)으로부터 선로가 보여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 도어 플레이트(411)들 사이의 틈새에 신체의 일부나 각종 소지품 등이 끼일 염려가 있으므로, 도어 플레이트(411) 축을 중심으로 당해 도어 플레이트(411)들을 회전시켜 승강장(200)의 종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정렬함에 따라 승강장(200)으로부터 선로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술한 신체의 일부나 각종 소지품이 끼일 염려가 없도록 한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플레이트(411)들을 회전시킬 경우 정렬된 도어 플레이트(411)들 사이에는 당해 도어 플레이트(411)들의 회전 공간을 위한 미세한 틈새가 존재하여 먼지 등과 같은 미세물질이 선로로부터 승강장(200)으로 확산되거나, 냉난방을 위한 승강장(200)과 선로와의 분리가 여전히 미비하게 된다.
이에,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플레이트(411)의 회전방향에 해당하는 각 도어 플레이트(411)들의 일측면 종단부에는 보조 플레이트(4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보조 플레이트(413)는 고무 재질 등의 고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인접하는 도어 플레이트(411)와의 밀착력을 높임에 따라 승강장(200)과 선로의 분리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보조 플레이트(413)를 설치 사용하는 대신에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 플레이트(411') 자체를 양측 종단부에 서로 대칭되는 단턱(413')이 형성된 형상을 갖도록 하여 당해 도어 플레이트(411')가 중심축(412')을 중심으로 회전시 서로 인접하는 도어 플레이트(411')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도 있다. 단, 도 6에서는 단턱(413')이 1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 상도 계단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도어 플레이트(411')들이 회전하여 양측 종단이 서로 접할 시 당해 양측 종단부가 서로 밀착될 수만 있다면 다단의 단턱 또는 저면이 평평한 계단형상 이외에 저면이 볼록한 형상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승강장(200)으로부터 선로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정렬된 도어 플레이트(411, 411')들 사이의 미세한 틈새가 제거되어 미세물질이 선로로부터 승강장(200)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냉난방 효율을 상승 시키기 위한 승강장(200)과 선로와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가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버티칼 도어의 개폐 및 도어 플레이트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부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 이하에서는 양측으로 개폐되는 버티칼 도어는 그 양방향의 구조가 서로 동일할 것이므로, 일측의 버티칼 도어를 일 예로 도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의 개폐부는, 먼저 버티칼 도어(410)의 개폐를 위해 내측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421)이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편(420a 내지 420d) 및 상기 걸림편(420a 내지 420d) 중 최외각에 위치한 걸림편(420d)과 결합되되 공압식 실린더 등의 구동장치(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버티칼 도어(410)의 개폐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로드(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스크린(400)에 인접한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첫번째부터 다섯번째까지의 도어 플레이트(411)들을 각각 제 1 도어 플레이트(411a) 내지 제 5 도어 플레이트(411e)라 하고, 그와 유사하게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첫번째부터 네번째 까지의 걸림편(420a 내지 420d)을 제 1 걸림편(420a) 내지 제 4 걸림편(420d)이라 할 경우, 제 1 도어 플레이트(411a)와 제 2 도어 플레이트(411b)의 일측 종단면으로부터 돌출된 중심축(412)에 제 1 걸림편(420a)이 장치되고, 제 2 도어 플레이트(411b) 중심축(412)이 장치된 제 1 걸림편(420a)의 일측 상부와 제 3 도어 플레이트(411c) 중심축(412)에 제 2 걸림편(420b)이 장치되고(즉, 제 1 걸림편(420a)과 제 2 걸림편(420b)의 일측은 서로 중첩됨), 제 3 도어 플레이트(411c) 중심축(412)이 장치된 제 2 걸림편(420b)의 일측 상부와 제 4 도어 플레이트(411d)의 중심축(412)에 제 3 걸림편(420c)이 장치되며, 그와 유사하게 제 4 걸림편(420d)이 제 4 도어 플레이트(411d)와 제 5 도어 플레이트(411e)에 장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걸림편(420d)에 로드(440)를 결합함에 따라 구동장치에 의해 로드(440)가 당겨지면 제 1 내지 제 5 도어 플레이트(411a 내지 411e)들이 각각 일측으로 밀착되어 버티칼 도어(410)가 열리도록 하고, 버티칼 도어(410)가 닫힐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로 구동장치에 의해 로드(440)를 밀어 제 1 내지 제 5 도어 플레이트(411a 내지 411e)들이 활개되어 버티칼 도어(410)가 닫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버티칼 타입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로드(440)는 얇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당해 스크린(400)의 내부 상측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작 음은 물론, 서로 인접하는 버티칼 도어(410)들을 개폐하기 위한 각각의 로드(440)들은 그 높이 방향으로 서로 적층이 가능할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스크린 도어(도 1의 310)들의 폭을 합한 만큼의 공간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더욱더 스크린의 출입폭(b)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버티칼 도어(410)의 차폐를 위해서 도어 플레이트(411a 내지 411e)들의 중심축(412)에는 당해 중심축(412)의 측면(혹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플레이트 회전돌기(430)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플레이트 회전돌기(430)들에는 도어 플레이트(411)에 의한 차폐 및 해제를 위한 플레이트 회전 당김부재(450)가 결합되어 있어, 회전 당김부재(450)의 일측 방향으로 당기면 도어 플레이트(411)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차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도어 플레이트(41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차폐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도어 플레이트(411a 내지 411e)들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 회전돌기(430)를 단지게 구비된 도어 플레이트(411a 내지 411e)들 중 제일 상부에 위치하는 도어 플레이트(411e)에 형성된 플레이트 회전돌기(430)와 나머지 도어 플레이트(411a 내지 411d)들의 상부에 형성된 플레이트 회전돌기(430)들의 돌출 높이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 후 회전 당김부재(450)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 당김부재(450)를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선택하여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 플레이트(411a 내지 411e)들은 회전을 하면서 차폐 또는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에 의해 버티칼 도어(410)의 개폐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차폐 역시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상에서는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 중 일부는 일측으로 나머지는 타 측으로 이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양방향 개폐타입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 전부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일방향 개폐타입 역시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에 의하면, 전동차가 정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를 제공하되, 스크린에 설치된 도어를 버티칼 타입으로하여 상기 스크린의 출입구 폭을 넓힐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동차가 정상위치로부터 벗어남에 따른 승객의 승하차시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 플레이트들이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차폐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조 플레이트를 부착하거나 단턱이 형성된 도어 플레이트를 제공함에 따라, 승강장과 선로의 분리특성을 향상시켜 미세물질이 승강장 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승강장 측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승강장의 연단부에 장치되어 상기 승강장과 선로를 구획하는 스크린과;
    승객이 상기 스크린을 통해 전동차에 승차하거나 전동차로부터 하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버티칼 도어; 및
    상기 스크린의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버티컬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되,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이 상기 승강장의 종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정렬되어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은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승강장의 종단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은 각각의 일측면 종단부에 보조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칼 도어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 중 일부는 일측으로 나머지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양방향 개폐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칼 도어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 전부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일방향 개폐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의 종단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들 각각은 양측 종단부에 서로 대칭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7.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내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걸림편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각 걸림편의 가이드 홈마다 두 개의 도어 플레이트의 축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인접하는 상기 걸림편들의 종단부는 서로 중첩되도록 하며, 종단에 위치한 걸림편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버티칼 도어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로드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어 플레이트의 축에는 각각 그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회전 돌기가 서로 대향하게 두 개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회전 돌기에는 플레이트 회전 당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KR1020060119497A 2006-11-30 2006-11-30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KR100799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497A KR100799326B1 (ko) 2006-11-30 2006-11-30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497A KR100799326B1 (ko) 2006-11-30 2006-11-30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326B1 true KR100799326B1 (ko) 2008-01-30

Family

ID=3921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497A KR100799326B1 (ko) 2006-11-30 2006-11-30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3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5047A (ja) 2000-11-14 2002-05-22 Toyo Electric Mfg Co Ltd ホームドア装置
JP2004169540A (ja) 2002-10-29 2004-06-17 Nabco Ltd ダブルスライド式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
JP2004196040A (ja) 2002-12-16 2004-07-15 Kobe Steel Ltd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04352034A (ja) 2003-05-28 2004-12-16 Kawasaki Heavy Ind Ltd 連接ホームドア駆動装置
KR20060076921A (ko) * 2004-12-29 2006-07-0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동개폐식 루버차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5047A (ja) 2000-11-14 2002-05-22 Toyo Electric Mfg Co Ltd ホームドア装置
JP2004169540A (ja) 2002-10-29 2004-06-17 Nabco Ltd ダブルスライド式プラットホームゲート
JP2004196040A (ja) 2002-12-16 2004-07-15 Kobe Steel Ltd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04352034A (ja) 2003-05-28 2004-12-16 Kawasaki Heavy Ind Ltd 連接ホームドア駆動装置
KR20060076921A (ko) * 2004-12-29 2006-07-0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동개폐식 루버차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603B1 (ko) 광고판 겸용 비상도어를 형성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
EP1996783B1 (en) Platform screen door system
US11192755B2 (en) Device for actuating a car or shaft door of an elevator system
CN210598671U (zh) 一种直线电机铁路站台安全门活动门组
KR100866415B1 (ko) 가이드 홈의 보호 덮개를 구비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CN110203212A (zh) 一种高铁车站站台门
GB2418221A (en) Platform screen door system
WO2011152278A1 (ja) 噛合チェーン式ドア開閉装置
KR101937137B1 (ko) 슬라이딩 인출 구조를 갖는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0799326B1 (ko) 버티칼 타입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KR102085902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중력방향 가변수단
KR100656844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가이드 장치
KR102497920B1 (ko) 비상도어 기능을 갖는 광고판 설치 승강장 스크린 도어
CN113799802B (zh) 一种大开度轨道交通站台门
KR20130049069A (ko) 난간형 스크린도어
KR20050026464A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
JP200010888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CN213898719U (zh) 一种轨道交通用站台门
CN104144840A (zh) 带有前部弯曲滑动门的轨道车辆和用于使轨道车辆联接和分离的方法
KR100806525B1 (ko) 다단 슬라이딩 스크린 도어장치
CN110589667A (zh) 防杂物防脱离的电梯安全地坎
KR100799341B1 (ko) 적응형 버티칼 타입 스크린 도어
KR20210075596A (ko)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 지지 조립체
KR20210008721A (ko) 스크린도어 가이드 장치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