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108B1 - 유산균 곡물발효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 곡물발효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108B1
KR100799108B1 KR1020020044064A KR20020044064A KR100799108B1 KR 100799108 B1 KR100799108 B1 KR 100799108B1 KR 1020020044064 A KR1020020044064 A KR 1020020044064A KR 20020044064 A KR20020044064 A KR 20020044064A KR 100799108 B1 KR100799108 B1 KR 100799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inoculated
lactic acid
acid bacteria
fermentation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005A (ko
Inventor
옥민
Original Assignee
(주)네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네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2004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108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Lactobacillus sp.)를 접종하여, 30-40℃에서 12-72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어지는 유산균 발효액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유산균 발효액은 보습효과와 항산화효과 그리고 각질층의 턴오버(turn over)효과가 뛰어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산균, 프리라디칼, 턴오버

Description

유산균 곡물발효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Fermented fluid from cereals inoculated with Lactobacillus and its beauty care material}
본 발명은 곡물 분말(대두 0.1-30%, 율무 0.1-30%, 수수 0.1-30%)을 0.1-30% 함유하는 배지에 동치미로부터 직접 분리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를 접종하여, 30-40℃에서 12-72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어지는 유산균 발효액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은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유익한 미생물에 속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 전통식품의 김치, 된장, 막걸리, 젓갈류 등의 발효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인체 내에서 유익한 역할을 하는 세균으로서 탄수화물 같은 당을 이용하여 유산을 생성하는 균이다. 지금까지 400여종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 상품성이 있는 것은 18종으로 알려져 있다.
화장품 원료제조에 사용되는 유산균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이퀴(Streptococcus equi), 같은 속의 쥬에피데미쿠스(Streptococcus zooepidermicicus: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4-998호)와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80-146호), 락토코크스(Lactococcu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lus: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92-2112호), 효모(Yeast: FR-2718752) 등이 있고 본 발명은 발명자들이 직접 동치미로부터 분리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를 이용하였다.
발효 배양액 중 유효 물질의 양이 불충분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얻어진 배양액 속의 고분자를 단백질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저분자로 분해시키거나(대한민국 특허공고 92-5642호, 대한민국 특허공고 80-1462호),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저분자화 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4-0000998)이 공지되어 있다. 이런 방법으로 발효액 속에 유효 물질의 양이 증가되기는 하지만 발효, 분해효소 처리의 2단계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영양이 풍부하고 안정하여 곡물 분말(대두, 율무, 수수)이 민간 차원에서 마사지 팩 등으로 이용되고는 있으나 이를 유산균 배지에 첨가하여 그 기능을 증대시킨 유산균 발효액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예는 없다.
Lactobacillus sp.)를 접종하여, 30-40℃에서 12-72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어지는 유산균 발효액이 보습효과와 항산화 효과 그리고 각질층의 턴 오버(turn over)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개선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 다.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 배양액은, 전체 배지를 기준으로 곡물 분말(대두 0.1-30%, 율무 0.1-30%, 수수 0.1-30%)을 0.1-30% 함유하는 배지에 동치미로부터 직접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 sp.)를 접종하여, 30-40℃에서 12-72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어진다.
배지에 첨가하는 곡물 분말(대두 0.1-30%, 율무 0.1-30%, 수수 0.1-30%)은 0.1-30%로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곡물 분말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너무 많으면 발효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배양 배지는 탈지분유를 1-20% 포함할 수 있다.
각 배지 성분을 혼합한 후 80-121℃에서 5-30분간 고압증기 멸균하여 배지를 완성한다.
완성된 배지에 동치미로부터 직접 분리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를 접종하여, 30-40℃에서 12-72시간 동안 배양한다.
동치미로부터 직접 분리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는 의학적 용도나 화장료 제조에 사용된 예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동치미로부터 직접 분리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균주가 곡물 분말 함유 배지를 이용하여 우수한 기능을 나타내는 화장료용 발효액을 얻는데 매우 적합하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배양 후 배양물을 원심분리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유산균 발효액은 보습효과와 항산 화효과 그리고 각질층의 턴 오버(turn over)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고기능성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수, 필코늄에센스, 크림, 팩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 중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 발효액의 함량은 0.01 - 30% (w/w)가 바람직하다. 너무 적은 함량에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한 이상의 함량에서도 효과가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산균 배양액을, 전체 배지를 기준으로 대두 분말 1.5%, 율무 분말 1.5%, 수수 분말 1.5%를 함유하는 배지에 동치미로부터 직접 분리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를 접종하여, 30-40℃에서 12-72시간 동안 배양하여 원심분리 후 여과하여 얻어진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동치미로부터 직접 분리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대신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접종하여, 30-40℃에서 12-72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어진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곡물 분말(대두 분말 1.5%, 율무 분말 1.5%, 수수 분말 1.5%) 대신 탈지분유 8%를 함유하는 배지에 동치미로부터 직접 분리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를 접종하여, 30-40℃에서 12-72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어진다.
제조예
유산균 곡물 발효 추출액을 함유한 크림의 제조예는 표1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스테아린산 2.0
세틸알코올 2.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유동 파라핀 1.0
스쿠알란 1.0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4.0
글리세린 5.0
트리 글리세린 5.0
액상 라눌린 5.0
트리에탄올아민 3.0
모노 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0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제조예 1 (실시예 1 발효액) 10
비교 제조예 1 (비교예 1의 발효액) 10
비교 제조예 2 (비교예 2의 발효액) 10

실험예
보습 능력 실험
실시예 1과 비교예 1, 2에서 얻어진 시료의 보습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람의 팔뚝 안쪽 피부를 사용하였으며 1cm2당 1mg의 시료를 도포하여 30분 후 피부 수분 함유량 정도를 고주파 임피던스 측정 장치(skicon -200)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정제수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당 10번의 반복 실험을 하였다. 결과는 평균값으로 표 2에 나타내었다.
시간(분) 대조군 실시예
1 1 2
실험전 11.0 11.2 11.1 11.0
30분 후 18.4 56.4 32.4 29.5


각 시료 1.0ml에 2×10-4M의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에탄올 용액 1.0ml를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와 DPPH 첨가구의 흡광도를 측정한 값(Sabs)과 시료와 DPPH 대신 증제수를 첨가한 흡광도를 측정한 값(Babs), 시료용액 대신에 증제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한 값(Cabs)을 측정하여 다음의 식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결과는 표3에 표시하였다.
프리라디칼 소거 작용 효과 (%) = [ 1 - (Sabs-Babs) / (Cabs) ] × 100
구분 실시예
1 1 2
프리라디칼 소거율 90.25 32.7 53.2

in vivo 각질층 턴오버(turn over) 속도 촉진 효과 실험
각질층 턴오버(turn over) 속도 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댄실 클로라이드(dansyl chloride)를 이용하여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댄실 클로라이드는 아미노산의 형광표시 시약으로 사용되며, 피부의 단백질을 이 염색 시약으로 염색한 후 소실되는 경시변화를 시각으로 확인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턴오버 속도를 판단하는데 사용되었다.
실험 대상은 나이 31-40세의 건강한 여성 10명이었다.
먼저 댄실 클로라이드를 백색 바셀린에 5% 분산시켜 패취 테스트용 반창고로 피부에 24시간 도포하여 염색하였다. 도포 부위는 실험 대상 10명의 왼팔과 오른팔 안쪽 부위에 각각 4부위였으며, 도포량은 2mg/well이었다.
염색 후 실험 대상자의 왼팔 안쪽 각 부위에 제조예 1과 비교 제조예 1을 각각 2곳씩 도포하였다. 도포 시간은 하루 2회 아침과 저녁이었으며, 10일 도포 후 최초의 댄실 클로라이드로부터 소실된 정도를 3명의 판정자가 판정하여 그 결과는 표4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조예
1 1 2
소실 정도 82.0 31.0 33.0

본 발명에 의하면 보습효과와 항산화 효과 그리고 각질층의 턴오버(turn over)효과가 뛰어난 유산균 발효액과 이를 함유하는 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전체 배지를 기준으로 곡물 분말(대두 0.1-30%, 율무 0.1-30%, 수수 0.1-30%)을 0.1-30% 함유하는 배지에 동치미로부터 직접 분리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를 접종하여, 30-40℃에서 12-72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어지는 유산균 발효액.
  2. 제 1항에 따른 유산균 발효액을 0.01 내지 30 % (w/w)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44064A 2002-07-26 2002-07-26 유산균 곡물발효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799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064A KR100799108B1 (ko) 2002-07-26 2002-07-26 유산균 곡물발효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064A KR100799108B1 (ko) 2002-07-26 2002-07-26 유산균 곡물발효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005A KR20040011005A (ko) 2004-02-05
KR100799108B1 true KR100799108B1 (ko) 2008-01-30

Family

ID=3731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064A KR100799108B1 (ko) 2002-07-26 2002-07-26 유산균 곡물발효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1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24A2 (ko) * 2009-12-30 2011-07-07 Kim Sae Woon 유산균을 이용한 혼합곡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발효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220B1 (ko) * 2009-09-28 2010-01-15 안재현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2442B1 (ko) * 2011-06-21 2013-03-12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발효 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790A (ko) * 1986-05-28 1987-12-18 유주현 효모에 의한 대두와 대두유의 발효법
KR950013395A (ko) * 1993-11-17 1995-06-15 이은선 분리 대두단백질 및 탄수화물 혼합물을 사용한 콩발효유의 신속한 제조방법
KR20010091737A (ko) * 2000-03-17 2001-10-23 이숙영 효소처리한 분리대두단백질을 이용한 대두요구르트 및 그제조방법
KR20020024197A (ko) * 2002-02-02 2002-03-29 김진택 미생물의 순차 발효법에 의해 제조된 고기능성 전분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790A (ko) * 1986-05-28 1987-12-18 유주현 효모에 의한 대두와 대두유의 발효법
KR950013395A (ko) * 1993-11-17 1995-06-15 이은선 분리 대두단백질 및 탄수화물 혼합물을 사용한 콩발효유의 신속한 제조방법
KR20010091737A (ko) * 2000-03-17 2001-10-23 이숙영 효소처리한 분리대두단백질을 이용한 대두요구르트 및 그제조방법
KR20020024197A (ko) * 2002-02-02 2002-03-29 김진택 미생물의 순차 발효법에 의해 제조된 고기능성 전분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24A2 (ko) * 2009-12-30 2011-07-07 Kim Sae Woon 유산균을 이용한 혼합곡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발효용기
WO2011081324A3 (ko) * 2009-12-30 2011-11-10 Kim Sae Woon 유산균을 이용한 혼합곡물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발효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005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736B1 (ko) 히아루론산의 신규 생산방법
CN113773999B (zh) 副干酪乳杆菌发酵滤液、制备方法及其应用
CN113930361B (zh) 一种副干酪乳杆菌的发酵培养基及其应用
KR100302504B1 (ko) 유산균발효액및이를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CN111534455B (zh) 一种乳酸杆菌溶孢产物的制备及其在化妆品的应用
KR101719223B1 (ko)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인삼, 꿀 및 프로폴리스의 발효액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5365B1 (ko) 쌀배아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KR10212531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j2k-185 유산균 균주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자극완화 및 피부진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000078B2 (ja) 皮膚用保湿剤
KR101194226B1 (ko) 파프리카 효모발효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184114B2 (ja) 保湿剤
KR100889604B1 (ko) 미백용 화장료
KR100799108B1 (ko) 유산균 곡물발효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3435181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外用剤
JP3533427B2 (ja) 化粧料
KR100302505B1 (ko) 유산균 발효액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1738A (ko) 쌀뜨물 발효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및 보습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5011750A1 (ja) 保湿剤
KR102139000B1 (ko) 발효 식이유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미백 및 항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710740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101768634B1 (ko) 해파리 발효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15194B1 (ko) 누룩으로부터 코직산 발현 및 농축추출방법
KR102627236B1 (ko)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2157B1 (ko) 황 함유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피부 스트레스 개선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혼합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184394B2 (ja) 皮膚用化粧料用原料とこれを配合してなる皮膚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