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047B1 -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 Google Patents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047B1
KR100798047B1 KR1020027008916A KR20027008916A KR100798047B1 KR 100798047 B1 KR100798047 B1 KR 100798047B1 KR 1020027008916 A KR1020027008916 A KR 1020027008916A KR 20027008916 A KR20027008916 A KR 20027008916A KR 100798047 B1 KR100798047 B1 KR 100798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crane
support
gird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194A (ko
Inventor
무쏘카파스야니스
템펠헬게-에케하르트
Original Assignee
고트발트 포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트발트 포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고트발트 포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1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2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 B66C7/04Trackway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Jib Cran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트랙(track)을 운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용, 특히 두 개의 트랙을 운행하는 브리지 크레인(bridge crane)(14)용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craneway supporting framework)(10)는, 진행 방향으로 길게 있고 철근 콘크리트, 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로 된 적어도 하나의 거더 섹션(girder section)(60)으로 이루어지는 트랙 거더(track girder)(12), 상단부는 각각 헤드부(head part)(84)를 통해 상기 거더 섹션(60)을 지지하고 하단부는 각각 기저부(foot part)(34)를 통해 바닥에 고정되는 철근 콘크리트 서포트(support)(30)로 이루어지는 지지 시스템(support system), 상기 서포트(30)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는 트랙의 바람직한 진행에 맞추어 상기 트랙 거더(12)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84) 및/또는 상기 기저부(34') 영역에 조절 베어링(bearing)을 각각 포함한다.
트랙, 크레인, 브리지 크레인,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트랙 거더

Description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SUPPORTING FRAMEWORK FOR A CRANEWAY}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트랙을 운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용, 특히 두 개의 트랙을 운행하는 브리지 크레인(bridge crane)용 크레인 지지골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크레인 트랙 시스템은 특히 예를 들어 컨테이너 창고, 터빙(tubbing) 창고(터널 갱목용 철근 콘크리트 어셈블리 유닛), 화물 창고, 종이 창고 등 자동화된 창고의 구동에 활용할 수 있다.
US-A-3225703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지지 골조는 진행 방향으로 길게 있는 철근 콘크리트 트랙 거더(track girder) 및 철근 콘크리트 서포트(support)로 이루어지는 지지 시스템(supporting system)을 구비하며, 철근 콘크리트 서포트의 상단부는 각각 헤드부(head part)를 통해 거더 섹션(girder section)을 지지하고 그 하단부는 각각 기저부(foot part)를 통해 바닥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elasticity)은 작지만 정적 및 동적 부하 용량(static and dynamic loading capacity)이 크고 지지 폭(suppoting width)도 가능한 한 큰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행 방향으로 길게 있고 철근 콘크리트, 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로 된 적어도 하나의 거더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트랙 거더, 상단부는 각각 헤드부를 통해 거더 섹션의 단부를 지지하고 하단부는 각각 기저부를 통해 바닥에 고정되는 철근 콘크리트 서포트로 이루어지는 지지 시스템, 서포트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는 트랙의 바람직한 진행에 맞추어 트랙 거더를 조정하기 위해 헤드부 및/또는 기저부 영역에 각각 조절 베어링을 포함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에 의해 달성된다.
철근 콘크리트 서포트 및 철근 콘크리트 거더 섹션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는 정적인 면(중량)에서 뿐만 아니라 동적인 면(크레인 제동 동작 및 가속 동작; 풍력(wind power))에서도 필요한 강성 및 기계적 부하 용량을 제공한다.
특히 프레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 섹션을 사용하면 지지 폭이 커질 수 있다(예를 들어 20m). 서포트의 높이(예를 들어 13.5m)에 상응하면, 예를 들어 트럭, 특히 컨테이너 차량이 서포트 사이의 영역을 주행할 수 있다. 자동화된 창고의 구동에서 트랙을 정확하게 조절하고 구동 중에 크게 변화하지 않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라 트랙 거더를 상응하게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은 오직 개별 서포트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트랙을 전체 트랙 길이에 걸쳐 트랙 거더에 맞게 조절하는 것과 비교할 때 조절 비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부하가 클 때 금속으로 된 크레인 레일이 유리하다고 입증되었다고 해서 트랙으로 금속 크레인 레일만을 고집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인 레일은 트랙이 금속, 주로 철제로 된 크레인 레일로 형성되고, 트랙 거더와 관계 있는 크레인 레일의 열 팽창 및 수축 운동이 허용될 정도로 트랙 거더에 설치된다. 질량에 따라 차이가 나는 팽창 속도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철근 콘크리트 및 레일 금속의 열역학적 속성(표면 색,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 기하학적 표면 형태)의 차이 때문에 2차 벤딩(secondary bending)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트랙 섹션의 철근 콘크리트에 임계 기계적 부하, 특히 인장 하중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레인이 크레인 레일 상에 가한 제동력 및 가속력을 즉시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에 유도할 수 있으려면, 크레인 레일을 오직 한 위치에, 주로 레일의 길이 중앙에, 트랙 방향에 있는 트랙 거더와 관계 있는 크레인 레일 운동과 연관하여 트랙 거더에 고정시켜야 한다. 또한 크레인 레일은 양쪽 레일 단부에 있는 단부 스토퍼(end stopper) 사이를 왕복할 수 있고, 이때 동작의 편차(motion clearance)는 어떤 조건 하에서도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고정 클램프(이하에서 다룰 것임)의 수가 많기 때문에, 레일은 정상 구동일 때 전혀 움직이지 않거나 또는 약간 밀릴 뿐이다.
또한 크레인 레일은 고정 클램프에 의해 트랙 거더에 설치되고, 고정 클램프는 크레인 레일을 측면 방향에서 고정시킴으로써 이탈되지 않게 해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한편으로는 크레인 제동 및 가속이 정상이고 레일 운동이 전반적으로 억제될 때 트랙 거더와 관계되는 크레인 레일은 열에 따라 대체로 자유로운 팽창 및 수축 운동을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자동 구동에서 중요한 크레인 레일의 정확한 측면 방향이 확실히 정해진다. 이때 고정 클램프는 일종의 장공-볼트(long hole bolt) 결합을 통해, 결합을 조이기 전에 측면에서 운동의 편차를 갖는 트랙 거더를 구비할 수 있어서 제조 시의 부정확성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모멘트에 대해 안정시키는 크로스 본드(cross bond)를 구비할 필요 없게 만드는 서포트의 안정성을 높이려면, 기저부를 주로 4개의 파일(deep foundation pile)―램 파일(ram pile)이 가장 바람직함―에 의해 바닥에 고정시켜야 한다.
기저부와 서포트 사이의 제1 결합에서는, 직경이 확대된 서포트의 푸트 섹션(foot section)이 기저부에 놓여있고, 앵커 부재(anchor element)에 의해 서포트와 결합하면서 주로 조절 베어링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기저부가 서포트 하단부용 케이싱(casing)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방향 및 높이 방향에서 조절 베어링이 서포트 상단부 영역에 자리잡는 것이 가장 좋다. 이로써 서포트 하단부와 바닥에 고정된 기저부의 결합은 특히 기저부의 케이싱 형태 때문에, 특히 간단하면서도 모멘트의 전달에 관한 한 특히 안정적일 수 있다. 또한 조절 운동의 영향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서포트를 현장 혼합형 콘크리트부(mix-in-site concrete part)로 제조할 수 있는 경우, 대개 기저부는 서포트와 통합된다. 적어도 크레인 시설이 비교적 클 때에는, 서포트를 완성형 콘크리트부로 제조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이로써 기저부는 현장 혼합형 콘크리트부일 수 있지만, 완성형 콘크리트부일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측면과는 무관하지만 공동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거더 섹션으로 이루어지는 길이가 긴 트랙 거더, 상단부는 헤드부를 통해 거더 섹션의 세로 단부를 지지하고 하단부는 각각 기저부를 통해 바닥에 고정되는 서포트들로 이루어지는 지지 시스템, 거더 섹션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는 트랙의 바람직한 진행에 맞추어 거더 섹션을 조정하기 위해 헤드부 및/또는 기저부 영역에 조절 베어링을 포함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를 제안한다. 이때 헤드부 영역에 있는 서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는 서포트 및 트랙 거더 사이에 미끄럼 베어링을 구비하고, 서포트는 크레인 위치 확인 시스템용 기준점을 갖는다.
특히 자동화된 창고의 경우, 상응하게 정확하게 조절되는 트랙을 따라 각각의 크레인을 정확하게 유도하는 것뿐만 아니라, 순간 순간의 크레인 위치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트랙 거더 또는 트랙에 고정된 측정 거리의 도움으로, 예를 들어 측정 휠(measuring wheel)을 통해 크레인 레일을 검색함으로써 크레인 위치를 탐색한다면, 트랙 거더 또는 크레인 레일의 불가피한 열 팽창 및 수축 운동 때문에 위치 결정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점은 이러한 운동과 무관하다. 이는 또한 미끄럼 베어링을 통해 열에 의한 트랙 거더 성형과 무관한 서포트에 기준점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철근 콘크리트 서포트를 구비하는 지지 골조가 형태의 안정성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선호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이런 관점은 순전히 철판으로 된 지지 골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기준점은 광학 크레인 위치 확인 시스템, 특히 레이저 시스템의 광학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적용하는 많은 경우에, 예를 들어 안개가 낀 옥외에 위치한 컨테이너 시설의 경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파(wireless wave), 특히 레이더파를 통해 간격 측정을 함으로써 적어도 무선통신이 활발한 공항 또는 항구에서 마찬가지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적어도 이런 경우에서는, 기준점을 트랙 길이의 적어도 한 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스캐닝 부재용 고정 위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캐닝 부재는 대체로 트랙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므로, 스캐닝 부재의 직접적인 기계적 스캐닝 또는 예를 들어 유도 측정 유닛(induction measuring unit)에 의해 짧은 거리에 작용하는 간접적인 스캐닝이 문제된다. 본 발명의 특히 선호되는 실시형태에서는 스캐닝 부재가 캡슐(capsule)화됨으로써, 스캐닝 부재는 날씨의 영향으로부터 전반적으로 무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실시형태에서는, 크레인과 결합된 측정 유닛의 기어가 맞물리는 체인이 스캐닝 부재를 형성한다. 이때 기어의 스캐닝 동작은 기어와 회전에 강하도록 결합된 앵글 인코더(angle encoder)에 의해 파악되고, 크레인 위치 확인 장치에 계속 전해진다. 스캐닝 부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두 서포트의 상대 위치와 무관하게 스캐닝 부재의 초기 응력(prestress)을 너무 작지도 너무 크지도 않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준점에서 멀리 떨어진 스캐닝 부재의 단부를 초기 응력 부재를 통해 서포트들 중 하나와 결합해야 한다.
각각 차례로 이어지는 다수의 스캐닝 부재를 각 트랙마다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하나의 스캐닝 부재에서 다른 스캐닝 부재로 스캐닝 장치가 넘어갈 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스캐닝 부재를 중앙 서포트 기준점의 중앙 에 고정시키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스캐닝 부재를 트랙의 양쪽 단부 서포트에 고정시키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써 단 하나의 간격 바(distance bar)만으로 트랙의 길이 전체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스캐닝 부재의 스캐닝은 많은 경우에 용이해지는데, 이는 스캐닝 부재의 어떤 고정 위치도 스캐닝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를 적어도 두 개의 브리지 크레인을 갖는 비교적 큰 시설에 적용할 때에 비용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를 위해 평행하게 나란히 그리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적어도 3개의 트랙 거더를 구비하고, 트랙 거더에 두 개의 브리지 크레인이 결합되어야 한다. 이때 중앙의 트랙 거더는 한쪽 브리지 크레인용 트랙 및 다른 쪽 브리지 크레인용 트랙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호 무관하게 구동 가능한 브리지 크레인의 수(n)를 위해서는 오직 트랙 거더의 수(n+1)만 필요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하기에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3개의 트랙 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의 개략적인 부분사시도.
도 2는 개별 서포트의 측면도(도 1의 절단선 II - II).
도 3은 기둥 하단부의 확대단면도(도 2의 절단선 III - III).
도 4는 도 2에 상응하지만, 변형된 실시형태에서는 서포트 하단부 영역에서만 상응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 상응하는 확대단면도(도 4의 절단선 V - V).
도 6은 트랙 거더의 부분을 보여주는 것으로, 부속 지지 시스템과 함께 좌측에 트랙 거더 단부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은 서포트 상단부를 구비하는 트랙 거더의 횡단면도(도 10의 절단선 VII - VII).
도 8은 선 VIII - VIII에 따라 도 10의 배열을 수평으로 절단한 도면.
도 8a는 선 VIIIA - VIIIA에 따라 도 8의 배열을 수직으로 절단한 도면.
도 9는 선 IX - IX에 따라 도 10의 배열을 다시 수직으로 절단한 도면.
도 10은 도 7의 배열의 측면도(주시방향 X).
도 11은 절단선 XI - XI를 갖는 도 10에 따른 배열을 수직으로 절단한 도면.
도 12는 단부 서포트 영역에, 그리고 단 하나의 크레인 레일만을 지지하는 에지 트랙 거더(edge-track girder)를 구비하는, 도 11에 상응하는 도면.
도 13은 측정 체인(measuring chain), 측정 체인을 주사하는 측정 유닛 및 단부 서포트 우측 체인 단부의 기준점 고정 위치를 간단하게 나타내는 단부 서포트의 측면도.
도 14는 트랙 거더의 고정 위치를 갖는 크레인 레일을 간소화한 횡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는 도 1에 따른 개략도에서는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된다. 도 1은 평행하게 나란히 놓여 있는 다수의 트랙 거더로 이루어지고 이에 상응하게 서로 무관하게 구동 가능한 다수의 브리지 크레인을 구비하는 상당히 큰 전체 시설 중 한 부분을 절단한 단면을 보여준다. 이러한 브리지 크레인(14)은 도 1에서 긴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암시된다. 브리지 크레인(14)의 브리지(16)는 양쪽 브리지 단부에 있는 각각 2개 이상의 레일 휠(rail wheel)(18)에 의해, 각각의 트랙 거더(12)의 크레인 레일(20) 상에서 트랙 방향(이중 화살표 LR)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브리지(16)에서는 다시 크래브(crab)(22)가 브리지 방향(화살표 BR)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하중 수용 수단, 예를 들어 스프레더(spreader)는 4개의 지지 케이블(bearer cable)에 의해 크래브에 매달려 있고, 높이 방향(이중 화살표 HR)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스프레더는 예를 들어 선박 컨테이너(ISO-Container)(28)처럼 적재되는 크레인 하중과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각각의 트랙 거더(12)는 한쪽의 브리지 크레인(14) 및 다른 쪽의 브리지 크레인(14)을 위해 2개의 크레인 레일(20)을 갖는다. 두 개의 외부 트랙 거더(12)의 경우에만 단 하나의 크레인 레일(20)이 설치되어야 한다(도 12 참조).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10)는 따라서 서로 무관하게 구동 가능한 브리지 크레인(40)의 수(n)를 위해 트랙 거더(12)의 수(n+1)를 필요로 한다. 간단한 변형에서 브리지 크레인(14)이 서로 무관하게 작동할 수 있다는 사실을 포기하는 경우에도, 트랙 거더(12)마다 트랙 레일을 단 하나만 구비할 수 있으며, 그런 경우에 2개의 브리지 크레인(14)이 하나의 트랙 레일 상에서 동시에 운행할 수 있다. 크레인 형태는 브리지 크레인 형태와는 상관없다. 포털 크레인(portal crane)처럼,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10)를 구비하는 창고 시스템에 따라 다른 크레인 형태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은, 서포트(30)로 이루어지는 지지 시스템(앞으로 언급될 것임)의 크레인 거더(12)가 즉각 크래브(22)의 바람직한 작용 높이에 적응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이때 기계적 안정성 및 강성이 충분해지므로, 많은 경우에 비용이 많이 드는 포털 크레인의 구조를 포기할 수 있다. 트럭이 통행할 수 있는 바닥 표면(32) 위에 소정의 높이 간격(HA)을 두고 트랙 거더(12)를 지지하는 서포트(30)는 그 자체로 기저부(34)에 고정된다. 기저부(34)(첫 번째 변형(3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고, 두 번째 변형(3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됨)는 기초 파일, 여기에서는 램 파일(36) 형태에 의해 바닥에 고정된다. 기저판(34)마다 각각 4개의 램 파일(36)을 구비하고, 램 파일은 수평으로 배열된 대체로 정사각형 판으로 형성되는 기저부의 에지 영역에 토대를 두고 기둥축(38)을 기준으로 하여 하향 및 반경 외부로 기운 채 연장된다. 이로써 안정적이고도 높은 토크를 바닥으로 이끄는 구조를 얻을 수 있는데, 이 구조는 예를 들어 컨테이너 무게 때문에 발생하는 인접 바닥의 약간의 침하(weighing down)와 무관하다.
램 파일의 제조 비용이 바닥이 적합할 때 적게 든다 할지라도, 램 파일 대신 보어 파일(bore pile)을 사용할 수도 있다. 현장 혼합용 콘크리트부가 아무리 선호된다 하더라도 기저부는 완성형 콘크리트부일 수 있다. 이로써 파일들과의 결합이 보다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기저부는 파일들(36)의 위로 돌출한 철근에만 콘크리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닥에 압력이 균일하게 분배되는 것은 기저부(34) 아래 면의 보조판(40)(도 2 내지 도 5에 암시됨) 때문이다. 기저부(34)는 또한 파일 헤드판(pile head plate)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따른 변형에서 기저부(34')는 서포트(30)의 직경이 확대된 바닥부(42)를 위한 지지부 역할을 하기 위해 정사각형판으로 형성된다. 기저부(34')에 주입된 고정 부재(anchoring element)(44)는 외부로 돌출하는 바닥부(42) 에지의 내폭(inside width)(46)을 관통하고, 바닥부(42) 위로 돌출하는 단부에서 고정 수단, 예를 들어 인장 너트(tension nut)(48)를 이용하여 바닥부(42)에 고정될 수 있다.
기둥 및 기저부(34') 사이의 이러한 결합 때문에 약간의 제한은 있지만 기저부(34')에 비해 서포트(30)의 조절이 가능한데, 그것도 수평 차원만이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가능하다. 도 3에 암시된 두 개의 내실(50)은 유압 프레스(hydraulic press)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유압 프레스에 의해 서포트(30)가 기저부(34')에 대해 일시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으므로, 기둥은 측면으로,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각도 조절(angle adjustment)을 위해 높이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높이 및 각도의 조절을 위한 조절 패널(adjusting panel)이 서포트(30)와 기저부(34') 사이에 삽입된 후 인장 너트(48)가 조여진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변형에서는 기저부(34") 영역에 이러한 조절 가능성이 없는데, 서포트(30)의 상단부에서 조절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서포트(30)의 하단부(직경이 확장되는 바닥부가 없음)는 기저부(34')의 케이싱 형태의 수용 개구부(receiving opening)(52)에 삽입되고 그곳에서 주조된다. 수용 개구부(52)의 유도 높이를 크게 하기 위해, 기저부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위로 돌출하는 칼라(collar)(5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서 점선(41)으로 암시된 다른 변형에서는, 서포트(30)가 현장 혼합형 콘크리트부로서 기저부(34')(마찬가지로 현장 혼합형 콘크리트부임)에 콘크리트 결합된다. 도 6에 암시된 것처럼, 시설이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서포트(30) 사이의 영역은 코팅(coating)(56)(예를 들어 아스팔트 코팅, 콘크리트 코팅)을 구비하고, 코팅은 도 2 및 도 3에 따른 바닥부 또는 도 4 및 도 5에 따른 칼라(54)의 윗면과 단단히 결합한다. 트랙(12)은 이중-T자형과 비슷한 횡단면 형태(예를 들어 도 7 참조)를 갖는 거더 섹션(60) 열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부는 아랫쪽 T-헤드 영역에 다수의 스트랜드(strand)(62)(ST1 570/5770은 각각 93㎜이고 7개의 개별 스트랜드로 이루어짐)로 이루어지는 연강 철근(mild-steel reinforcement) 외에, 두 개의 인장 스트랜드(tension strand)(66)(ST1 570/1770은 41㎜2이고 5개의 개별 스트랜드로 이루어짐)로 이루어지는 초기 응력 스틸(prestressing steel)을 구비한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스트랜드 수용 채널(strand receiving channel)(64)은 인장 스트랜드(66)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에는 이와 같은 채널(64) 두 개가 2개의 인장 스트랜드(66)용으로 제공된다. 두 채널은 거더 섹션(60)의 전면 단부를 향해 개방되고 직경이 확대된 인장 수단 챔버(tension means-chamber)(68)에서 출발하여, 도 11에 따른 이중-T-횡단면 형태의 상부 T-헤드 및 T-푸트(T-foot) 사이의 중간 영역(transiton area)에 연장된다. 거더 섹션(60)은 길이 중앙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단부 서포트(30')를 넘어서 돌출하는 마지막 거더 섹션(60')을 제외하고, 전체 거더 섹션(60)은 양쪽 단부에 각각 하나의 헤드 섹션(head section)(70)을 구비한다. 헤드 섹션은 도 7 및 도 11에서 절단되고 예를 들어 도 12에서처럼 나머지 횡단면 형태와 비교하면, 이중-T-횡단면 형태의 아래 쪽 헤드에 플랜지형 확장부(72)를 구비한다. 따라서 헤드 섹션(70)마다 2개의 고정 볼트(74)가 확장부(72)의 상응하는 관통구멍(76)을 통해 삽입되고, 확장부(72)를 통해 위로 돌출하는 단부에 인장 너트(78) 형태의 고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볼트(74)가 관통될 때 각 서포트(30)의 상단부 역시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직경이 커지는 헤드부(84)를 구비한다. 그러나 4개의 고정 볼트(74)가 서포트(30)의 횡단면 내부에 남기 때문에, 서포트(30)는 상단부 영역에 에지 리세스(82)(앞의 도면들에서 마찬가지로 볼 수 있음)를 추가로 구비한다. 위쪽 인장 너트(78') 및 아래쪽 인장 너트(86)는 콘크리트 재료에 주입된 베이스판(base plate)(88)에 각각 지지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거더 섹션(60) 및 거더 섹션을 지지하는 서포트(30)가 서로 대면하는 단부 사이에, 전체적으로 4개의 탄성판(elastomer plate)(90)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탄성 베어링(elastomeric bearing)(89)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높이 조절 및 측면 조절을 (거더 섹션(60)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8a에 도시되는 조절판(92)은 탄성판(90)을 지니고, 힘을 횡 방향(QR)으로 전달하기 위해, 캐리어 섹션에 고정된 위쪽 판(94)―거더 섹션에 고정된 판―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위쪽 판(94)은 횡 방향(QR)과 평행한 벤딩 에지(bending edge)를 갖고 아래쪽으로 휘는 러그(lug)(94a) 2개를 구비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위쪽으로 휘는 조절판(92)의 러그(92a) 맞은편의 조절판(92) 에지에 형성되는 삽입판(92b)은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면서 두 개의 조절 플레이트(96) 사이에 맞물린다. 양쪽 조절 플레이트(96)는 횡 방향(QR)에서 일직선으로 배열된다. 이 조절 플레이트는 횡 방향(QR)에서 조절 가능한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불연속적이다. 또한 조절 플레이트는 각각 두 개의 볼트 개구부(96a)를 구비하고, 볼트 개구부는 상응하는 조절 볼트(96b)에 의해 베이스판(98)의 상응하는 볼트 개구부(98a)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판(98)은 헤드부(84) 윗면에 주입되고, 이때 베이스판(98)의 아래쪽으로 휘는 러그(98b) 때문에 횡 방향(QR)으로 부하 용량이 충분해진다. 또한 구멍(96a, 98a)의 모듈러 치수(modular dimension)에서 가장 낮은 보폭(step size)에 맞게 판을 조절하는 것도 전적으로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단지 양쪽 조절 플레이트(96)를, 상응하게 움직이는 구멍용 마스터 게이지(master gauge for holes)를 갖는 조절 플레이트로 대체하면 된다. 서포트(30)의 헤드부(84) 윗면 및 각 거더 섹션(60)의 아래면 사이에 유압 프레스를 삽입하여 측면 조절이 보다 용이해지면, 유압 프레스가 거더 섹션(60)을 들어올리기 위해 작동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프레스 스탠드면(100)이 원으로 둘러싸인다. 프레스는 또한 높이 조절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조절은 하나의 탄성판(90)을 바람직한 두께를 갖는 다른 탄성판으로 교환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삽입 층(intermediate layer)에 의해 또는 간격판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삭제
거더 섹션(60) 단부의 측면 조절 및 높이 조절은, 크레인 레일(20)의 조절이 불필요할 정도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거더 섹션(60)의 스팬(span)이 클 수 있기 때문에(예를 들어 20m), 조절 작업은 조절 부위의 수가 적을수록 줄어든다.
앞서 설명된 베어링 배열은, 거더의 세로 방향과 같은 진행 방향(LR)에서 거더 섹션(60) 및 서포트(30) 사이의 상대 운동을 제한적으로 허용한다. 서로 맞물리는 러그형 삽입판(92a 및 94a)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구조 때문에 이러한 운동이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복원력은 탄성판(90)의 전단 강성(shear stiffness)에 의해 결정된다.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10)를 운행하는 브리지 크레인(14)의 자동 운행을 위해서는, 각각의 브리지 크레인(14)의 순간적인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기준점으로는 크레인 레일(20)이나 트랙 거더(12)의 어떤 지점이 선택되는 것이 아니고, 서포트(30)들 중 하나의 서포트 상의 지점(RP), 바람직하게는 양쪽 끝단 서포트(30) 중 하나의 서포트 상의 지점이 선택된다. 도 13에서 볼 때, 이는 우측 서포트(30")이다. 여기에 체인(102)의 한쪽 단부가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초기 응력 부재(여기에서는 가압 스프링(pressure spring)(104))에 의해 다른 쪽 끝단 서포트(3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대체로 L자형 윤곽을 지닌 단부판(end plate)(106)이 양쪽 서포트(30') 헤드부(84)의 서로 멀리 떨어진 측면에 각각 하나씩 고정된다(고정 볼트(108)). 도 13 우측의 판(106)은, 베어링 블록(110')을 가지고, 체인(102) 우측 단부를 지지하여 이로써 기준점(RP)을 나타낸다. 도 13의 좌측 체인(102)의 단부는 핀(112)에 고정된다. 이 핀이 단부판(106)을 관통하여 핀 플레이트(112a)에서 끝난다. 핀 플레이트(112a) 및 단부판(106) 사이에 이미 언급된 가압 스프링(104)이 삽입된다. 양쪽 끝단 서포트(30') 사이의 간격이 상황에 따라 약간 달라지는 것과는 무관하게, 압력 스프링은 대체로 일정한 장력을 받는 상태로 체인(102)을 위치시킨다. 체인(102)과 맞물리는 기어(110)를 가지는 측정 유닛이 위치가 기록되는 브리지 크레인의 스트랜드에 연결된다. 기어(110)의 각각의 각도 위치는 각도 센서(112')에 의해 기록되고, 각도 센서는 측정된 각도를 데이터 라인(data line)(114)(일점쇄선으로 암시됨)을 통해 크레인 조절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계속 전달한다. 체인(102)은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캡슐로 밀폐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이러한 경우, 빗물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캡슐 프로필(capsule profile)을 아래쪽으로 열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어는 아래쪽에서부터 체인과 맞물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점(RP)의 위치를 트랙 거더(12)의 열변형에 의한 운동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기 위해, 트랙 거더(12)는 미끄럼 베어링(114')을 통해 서포트(30")의 헤드부(84)에 지지된다. 체인 장력을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다른 쪽 끝단 서포트(30')에도 미끄럼 베어링이 구비된다. 크레인 레일(20)은 고정 클램프(120)에 의해 트랙 거더(12)의 거더 섹션(60)에 설치된다. 고정 클램프는 레일(20)의 측면 고정을 위해, 레일 푸트(rail foot)(20a)와 대면하는 수직 측면(120a)을 구비한다. 고정 클램프는 또한 돌기부(lug)(120b)에 의해 상기 레일 푸트(20a)와 부분적으로 겹친다. 이때 고정 클램프는 돌기부-경사면(120c)을 갖고, 돌기부-경사면은 레일 푸트(20a)의 경사면 상에 놓이거나 레일 푸트의 경사면과 약간의 간격을 가진다. 이로써 레일(20)은 트랙 거더(12)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장소의 기복을 조절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레일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추가로 약간 조절하기 위해, 레일 푸트(20a) 및 지지판(supporting plate)(122) 사이에 삽입 층(124')을 삽입한다. 판(122)의 윗면은 거더 섹션(60) 윗면과 같은 높이로 배치된다. 이 판은 거더 섹션(60)에 주입되는 2개의 앵커 볼트(124)에 의해 관통된다. 볼트는 크레인 레일(20) 양쪽에 있는 두 개의 고정 클램프(120)의 내폭(120d)을 관통한다. 내폭(210d)은, 제조 및 설치의 부정확성을 고려하여 고정 클램프(120)의 측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약간 큰 치수를 가진다. 고정 클램프는 인장 나사(straining screw)(130) 및 플랫 스프링(flat spring)(132)에 의해 거더 섹션(60)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고정 방식은 크레인 레일(20)과 거더 섹션(60) 간의 열에 의한 상대 운동을 허용한다. 그러나 클램프 한 쌍마다의 약간의 잔여 마찰 저항(rest friction resistance) 및 크레인 레일(20)의 다수의 클램프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체 마찰 저항은 레일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크레인의 힘(가속력 또는 제동력) 보다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레인 레일이 이동된다면, 크레인 레일은 트랙 거더의 양쪽 단부에 배치된 스토퍼(140)에 의해 제한된다(도 13 참조). 스토퍼는 각도가 있게 형성되며, 고정 나사(142)에 의해 각각의 거더 섹션과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크레인 레일(20)은 서로 맞닿은 판(122) 상에 연속적으로 놓여 있거나, 판들(122) 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불연속적으로 놓여 있다. 또한 크레인 레일(20)을 한 점,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즉 트랙 거더(12)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렇게 해도 고정 지점 양쪽에서 트랙 거더(12)에 대한 크레인 레일(20)의 열적 상대 운동이 방해받지 않기 때문이다. 도 11과 관련하여, 관통하는 케이블 채널(140)을 트랙 섹션(60) 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초 파일 및 트랙(12)의 파일 가이드에 의해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10)는 쌓여있는 창고 화물, 특히 컨테이너들의 중량에 의해 발생되는 인접 트랙 거더(12)들 사이의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하의 영향을 대체로 받지 않는다는 특별한 장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레일이 바닥에 있을 때에는, 바닥의 침하로 레일의 위치 변화도 발생하기 때문에 영역 전체가 보수되어야 한다.
상기 내용 참고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트랙상에서 운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용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craneway supporting framework)(10)로서,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거더 섹션(girder section)(60)으로 이루어지며, 트랙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트랙 거더(track girder)(12);
    상단부는 각각 헤드부(head part)(84)를 통해 상기 거더 섹션(60)을 지지하고 하단부는 각각 기저부(foot part)(34)를 통해 바닥(ground)에 고정되는, 철근 콘크리트 서포트(support)(30)로 이루어지는 지지 시스템(support system); 및
    트랙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트랙 거더(12)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서포트(30) 중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30)의 상기 헤드부(84) 영역에 배치되는 조절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트랙은 상기 트랙 거더(12) 상에 장착되는 금속의 크레인 레일(20)로 형성되어, 상기 크레인 레일(20)이 상기 트랙 거더(12)에 대해 열팽창 및 열수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인 것을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레일(20)은, 레일의 양쪽 단부에 있는 단부 스토퍼(end stopper) 사이에서 이동가능 하거나, 상기 트랙 거더(12)에 대해 상기 크레인 레일(20)의 열변형에 의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트랙 방향의 한 지점에서 상기 트랙 거더(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레일(20)은 고정 클램프(120)에 의해 상기 트랙 거더(12) 상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클램프(120)는 상기 크레인 레일(20)을 측면 방향에서 고정시켜 상기 크레인 레일(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레일(20)은 상기 트랙 거더(12)에 콘크리트 결합되는 지지판(122)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34)는 기초 파일(deep foundation pile)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30)에서 직경이 확대된 바닥부(42)는 상기 기저부(34')에 놓이고, 고정 부재(anchoring element)(44)에 의해 상기 기저부(34')에 콘크리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34")는 상기 서포트(30)의 하단부용 케이싱(casing)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베어링은 적어도 높이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30)는 현장 혼합형 콘트리트 또는 사전 제조된 콘트리트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베어링은, 상기 서포트(30) 중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30')의 헤드부(84)와 상기 거더 섹션(60) 사이에 배치되는 미끄럼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30')는 크레인 위치 확인 시스템용 기준점(RP)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RP)은 트랙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센서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점이고, 상기 센서 부재는 캡슐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크레인에 연결되는 측정 유닛의 기어(110)가 맞물리는 체인(10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RP)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기 센서 부재의 단부는 초기 응력 부재(prestress element)에 의해 상기 서포트(30) 중 하나의 서포트(3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102)은 상기 트랙 거더(12)의 양쪽 끝단 서포트(3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16. 제1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그리고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3개의 트랙 거더(12)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 거더에 2개의 브리지 크레인(14)이 제공되며, 가운데 트랙 거더(12)는 한쪽 브리지 크레인(14)용 트랙 및 다른 쪽 브리지 크레인(14)용 트랙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는 2개의 트랙 상에서 운행하는 브리지 크레인(14)용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KR1020027008916A 2000-01-10 2001-01-10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KR100798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00445A EP1116683B1 (de) 2000-01-10 2000-01-10 Kranbahntragwerk
EP00100445.6 2000-01-10
PCT/DE2001/000129 WO2001051402A1 (de) 2000-01-10 2001-01-10 Kranbahntragwe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194A KR20030015194A (ko) 2003-02-20
KR100798047B1 true KR100798047B1 (ko) 2008-01-28

Family

ID=816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916A KR100798047B1 (ko) 2000-01-10 2001-01-10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66094B2 (ko)
EP (1) EP1116683B1 (ko)
JP (1) JP2003519611A (ko)
KR (1) KR100798047B1 (ko)
AT (1) ATE304987T1 (ko)
DE (1) DE50011209D1 (ko)
DK (1) DK1116683T3 (ko)
ES (1) ES2250027T3 (ko)
WO (1) WO2001051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3505B2 (en) * 2003-01-06 2009-05-19 Henderson Allan P Pile anchor foundation
CN1793514A (zh) * 2005-08-29 2006-06-28 李勇 牛拱
KR100870032B1 (ko) * 2007-03-19 2008-11-21 주식회사씨티씨 크레인
US8066200B2 (en) * 2008-03-12 2011-11-29 Hilltrac, Inc. Hollow structural members, a rail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CA2665597A1 (en) * 2008-05-14 2009-11-14 Richard J. Epp Grain bin with person elevator
DE102009036470B4 (de) * 2009-08-03 2011-07-28 UPZ Logistik & Consulting GmbH, 06796 Mobiles Haltesystem für Kabeltröge
US20110197521A1 (en) * 2010-02-16 2011-08-18 Michael Robert Courtney System of modular construction and assembled structure
US8341902B2 (en) * 2010-03-19 2013-01-01 Trisna Widjaja Kusuma Multi-story buildings from prefabricated concrete components
CN101806161B (zh) * 2010-03-31 2013-11-13 天津天大天久科技股份有限公司 大型塔器中的空间网架支撑装置
US8827232B2 (en) 2011-01-13 2014-09-09 Quick-Sling, Llc Support apparatus
US9226575B2 (en) * 2011-01-13 2016-01-05 Quick-Sling, Llc Support apparatus
US9010553B2 (en) 2011-01-13 2015-04-21 Quick-Sling, Llc Support apparatus
WO2013182728A1 (es) * 2012-06-06 2013-12-12 Gestamp Hybrid Towers, S.L. Cimentación nervada de superestructuras y procedimiento de realización de la cimentación
KR101421212B1 (ko) * 2013-02-14 2014-08-13 우성이엠씨(주)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CN103231985B (zh) * 2013-04-03 2015-02-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起重轨道结构
WO2014171695A1 (ko) * 2013-04-15 2014-10-23 Lee Keun Ho 철도레일의 변위측정장치
US10113769B2 (en) 2014-10-30 2018-10-30 Quick-Sling, Llc Wall mount bracket for outdoor equipment
GB201503159D0 (en) * 2015-02-25 2015-04-08 Fosbe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glass furnace structures
EP3378605B1 (de) 2017-03-23 2019-10-30 IPR-Intelligente Peripherien für Roboter GmbH Robotersystem mit tragschiene und roboterplattform
EP3441524A1 (de) * 2017-08-11 2019-02-13 IPR-Intelligente Peripherien für Roboter GmbH Tragschiene für eine translativ verfahrbare roboterplattform
TWI632104B (zh) * 2017-08-31 2018-08-11 潤弘精密工程事業股份有限公司 用於廠房內固定天車軌道之裝置及使用該裝置之載物系統
DE202017005815U1 (de) 2017-11-09 2019-02-12 Iws System Gmbh Krananlage
US10415206B1 (en) * 2018-09-11 2019-09-17 James Henry Beam and base for supporting structures
GB202016081D0 (en) * 2020-08-14 2020-11-25 Ocado Innovation Ltd Track assembly for a storage system
CN112479028B (zh) * 2021-01-07 2022-05-06 北京云中未来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门式双梁起重机
CN113023563A (zh) * 2021-02-22 2021-06-25 阳春新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重工业液压润滑电机转移装置
WO2022184470A1 (en) * 2021-03-01 2022-09-09 Autostore Technology AS Improved cooling air distribution in an automated storage system
US20240166437A1 (en) * 2021-03-01 2024-05-23 Autostore Technology AS An automated storag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5703A (en) 1963-09-18 1965-12-28 Wegematic Monorail beamways
US4181995A (en) 1977-10-11 1980-01-08 Zur Henry C Modular structure for bridges, overpasses and roadways
EP0247962A2 (de) * 1986-05-29 1987-12-02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Abstützung eines Träger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3653Y1 (ko) * 1967-06-07 1972-07-28
US3613600A (en) * 1969-03-03 1971-10-19 Projects General Of America Rail expansion joint
JPS5288157A (en) * 1976-01-08 1977-07-23 Kubota Ltd Straw treating device of combine
US4042308A (en) * 1976-02-18 1977-08-1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odular roadway for a transportation system
US4200054A (en) * 1976-12-10 1980-04-29 Elliston Thomas L Stabilized hoist rig for deep ocean mining vessel
US4274336A (en) * 1978-08-11 1981-06-23 Hendrik Pater Monorail guideway assembly
US4665829A (en) * 1983-02-04 1987-05-1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Guideway construction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4707956A (en) * 1985-08-12 1987-11-24 Shimizu Construction Co., Ltd. Earthquake insulating building structure
US5231931A (en) * 1992-01-23 1993-08-03 J. Muller International Rapid transit viaduct system
NO300583B1 (no) * 1992-07-10 1997-06-23 Norsk Hydro As Medbringersystem for dreiing av svivel
US5411374A (en) * 1993-03-30 1995-05-02 Process Systems International, Inc. Cryogenic fluid pump system and method of pumping cryogenic fluid
US5511488A (en) * 1994-04-25 1996-04-30 Powell; James R. Electromagnetic induction ground vehicle levitation guideway
KR0164452B1 (ko) * 1996-03-23 1999-02-18 김인기 Prt 제동 시스템
US5946867A (en) * 1997-10-29 1999-09-07 Ericsson, Inc. Modular earthquake support for raised floor
US6321657B1 (en) * 1998-03-03 2001-11-27 William E. Owen Rail transit system
US6571717B2 (en) * 1998-04-08 2003-06-03 Einar Svensson Y-shaped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rail-vehicle guideway
US6564516B1 (en) * 1998-04-08 2003-05-20 Einar Svensson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railed-vehicle guideway
US6665990B1 (en) * 2000-03-06 2003-12-23 Barr Engineering Co. High-tension high-compression foundation for tower struct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5703A (en) 1963-09-18 1965-12-28 Wegematic Monorail beamways
US4181995A (en) 1977-10-11 1980-01-08 Zur Henry C Modular structure for bridges, overpasses and roadways
EP0247962A2 (de) * 1986-05-29 1987-12-02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Abstützung eines Trä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04987T1 (de) 2005-10-15
KR20030015194A (ko) 2003-02-20
US20040182025A1 (en) 2004-09-23
DE50011209D1 (de) 2006-02-02
ES2250027T3 (es) 2006-04-16
US7066094B2 (en) 2006-06-27
DK1116683T3 (da) 2006-02-20
WO2001051402A1 (de) 2001-07-19
EP1116683A1 (de) 2001-07-18
EP1116683B1 (de) 2005-09-21
JP2003519611A (ja) 200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047B1 (ko) 크레인 트랙 지지 골조
CA2687832C (en) Girder element for concrete formwork comprising a structure for automatically compensating bending strains
KR101293285B1 (ko) 교량 구조물의 고정 주행 트랙
KR100699413B1 (ko) 처짐 보정이 가능한 채널 브리지 시공방법
JPH06261427A (ja) 磁気浮上式車両のための軌道構造およびこの軌道構造を構築するための方法
US7182023B2 (en) Track structure of the rapid track transit
KR200202345Y1 (ko) 탄성빔을 이용한 구조물 내하력 증진 보강장치
US4854028A (en) Method of locating operational surfaces of a track for electromagnetically levitated vehicles
CN1335429A (zh) 高速轨道交通的轨道结构
US8584963B2 (en) Support structure
EP1639203B1 (en) Gantry with auto-adjusting prestressing
CN113215991B (zh) 钢箱梁快速架设装置及其施工方法
CN110291264B (zh) 分段结构设计的支承件
JP2750556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桁の製造方法
KR200384998Y1 (ko) 매입형 합성 에이치 형강 거더교
JP4654075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受け梁構造
JP4329124B2 (ja) 床スラブ補強装置
JP4492422B2 (ja) 連続i桁橋の中間支点近傍の構造
CN209894497U (zh) 一种可调式结构力学试验平台
JPH0542553B2 (ko)
EP3805067A1 (en) Yunitsky transport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10700122A (zh) 一种用于矩形独柱墩桥梁的抗倾覆加固结构
EP0666940B1 (en) composite bridge structure consisting of steel girders carrying a deck made of steel case profiles and concrete
USRE35165E (en) Pile driving apparatus
KR102668675B1 (ko)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응력집중 방지 자동형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