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032B1 -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0032B1 KR100870032B1 KR1020070026455A KR20070026455A KR100870032B1 KR 100870032 B1 KR100870032 B1 KR 100870032B1 KR 1020070026455 A KR1020070026455 A KR 1020070026455A KR 20070026455 A KR20070026455 A KR 20070026455A KR 100870032 B1 KR100870032 B1 KR 100870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ne
- cross frame
- wheel
- frame
- support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0—Undercarriages or bogies, e.g. end carriages, end bogies
- B66C9/12—Undercarriages or bogies, e.g. end carriages, end bogies with load-distributing means for equalising wheel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28—Cranes on rails or on rail vehicles
- B66C2700/035—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n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내레일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균형을 유지하게 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크레인의 주행을 안내하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의 상측에서 안내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휠; 상기 휠의 측방에 위치하여 상기 휠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휠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각각의 상기 안내레일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서 지지프레임의 주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교차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교차프레임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교차프레임의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유지부재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에 의하면, 크레인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크레인, 포스트, 교차프레임, 지지프레임, 균형, 탄성, 베어링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전체 외형을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포스트 하단부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포스트 하단부를 보인 부분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수평빔 120. 트롤리
140. 호이스트 160. 안전난간
180. 후크 200. 포스트
210. 좌측포스트 220. 우측포스트
310. 교차프레임 320. 지지프레임
330. 휠커버 340. 휠
350. 안내레일 360. 구동부
본 발명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내레일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균형을 유지하게 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무거운 물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옮기거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기기가 크레인이다. 이러한 크레인은 그 목적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인 크레인에는 하중을 지지하는 포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호이스트가 구비된다.
주로 항만 등에는 컨테이너 등의 무거운 물체를 하역하거나 적재하기 위하여 갠트리(Gantry)크레인이 사용된다. 이러한 갠트리크레인에는 두 개의 포스트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포스트 상단부를 서로 이으면서 상기 호이스트와 호이스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빔(Girder)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빔을 따라 상기 트롤리가 안내되면서, 상기 포스트의 사이를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무거운 물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는 주행장치가 구비되어 포스트를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크레인의 작업 범위가 확장된다. 즉, 상기 주행장치에 의해 크레인 전체가 주행하게 되고, 그 주행범위만큼 크레인의 작업 범위가 확장되어 사용자가 무거운 물체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갠트리크레인은 상기 주행장치에 의해 전체가 이동하면서 컨테이너 등의 무거운 물체를 상기 호이스트가 상하 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컨테이너 등의 무거운 물체를 하역하거나 적재하는데 사용되는 대형 크레인의 일종이다.
그리고, 갠트리크레인에 구비되는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주행장치의 하측에는 주행장치를 안내하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레일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안내레일을 따라 주행장치가 이동하면서 무거운 물건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크레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주행장치가 구비되고, 그 주행장치는 바퀴로 형성되어 지면을 따라 크레인을 이동시키게 되거나, 지면에 형성되는 안내레일을 따라 주행하면서 크레인을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지면 또는 안내레일을 따라 주행하게 되는 크레인은 안내레일의 높낮이 차에 의해 크레인 전체의 균형에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지면의 변형에 의해서도 크레인 전체의 균형에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지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또는 크레인의 설치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반 침하 등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변형된 지면에 의해 고르지 않은 안내레일을 따라 주행하게 되는 크레인은 주행방향 또는 주행 반대 방향으로 집중적인 하중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크레인 전체의 균형에 영향을 받게 되면서, 지상으로 높이 올라갈수록 더 큰 기울기를 가지게 되어 크레인의 상단부는 상당한 기울기를 가지면서 균형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크레인의 상단부가 상당한 기울기를 가지면서 균형을 이루지못하게 됨으로써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게 될 때, 일 방향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크레인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짐 현상 등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전복될 위험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크레인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크레인의 수리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수리 기간 동안 무거운 물체의 위치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지반의 변형에 따라 크레인을 재설치하거나 지반을 보수하여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행환경의 변화에도 균형을 유지하게 되는 크레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른 제안으로는 지면 및 안내레일의 변화에도 안정성이 유지되는 크레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제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주행을 안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휠; 상기 휠의 마주보는 측에 위치하여 상기 휠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휠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각각의 상기 안내레일 상측의 상기 지지프레임 상측에서, 상기 안내레일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교차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교차프레임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교차프레임의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유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물체를 상하 운동시키는 호이스트; 상기 호이스트를 수평 방향으로 운동시키는 트롤리가 놓이는 수평빔; 상기 수평빔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하측에 제공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포스트와 교차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프레임; 상기 교차프레임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교차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교차프레임과 교차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교차프레임의 사이에 제공되어,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유지부재;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주행을 위하여 구름 운동하는 휠; 상기 휠의 구름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에 의하면, 크레인의 지반 변형에 의한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갠트리(Gantry) 크레인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상단부에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빔(100)이 소정의 단면적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수평빔(100)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 마련되어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기도 하며, 정비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평빔(100)의 상면과 내부 공간에는 다음에 설명할 트롤리(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와이어를 권취하는 드럼 등이 구비되며, 수평빔(100)의 상면이 하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수평빔(100) 상면의 전후방향 폭이 하면의 전후방향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빔(100)의 상면에는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무거운 물체를 상하 방향으로 운동시키게 되는 호이스트(140)가 구비되며, 상기 호이스트(140)는 수평빔(100)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트롤리(120)가 이동함에 따라 트롤리(120)의 이동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무거운 물체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트롤리(120)는 적어도 두 개가 설치되어, 물체의 크기 또는 무게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트롤리(120)를 운전하기 위한 운전실이 수평빔(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빔(100)의 상면에는 상기 트롤리(120)가 수평빔(10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트롤리(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레일을 따라 트롤리(120)는 수평빔(100)의 상면을 이동하면서 무거운 물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도면에서 볼 때 상기 트롤리(120)는 상기 수평빔(100)의 상면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무거운 물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수평빔(100)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인원 및 장비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용 안전난간(1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안전난간(160)에 의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빔(100)의 하면 양 측단부에는 수평빔(100)을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200)가 제공된다. 상기 포스트(200)의 양 측단부는 수평빔(100)의 양 측단부보다 측방으로 더 돌출되지 않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수평빔(100)의 가로 방향 길이가, 상기 포스트(200)의 이격 거리와 같거나 길게 형성된다. 이는 포스트(200)의 상단부가 상기 수평빔(100)을 지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이격되어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포스트(200)의 상면에 상기 수평빔(100)의 하면 좌측 끝 부분과 우측 끝 부분이 놓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평빔(100)의 상면을 따라 상기 트롤리(120)가 이동하면서 무거운 물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롤리(120)에는 하방의 무거운 물체를 상하 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상하 운동시키게 되는 호이스트(140)가 제공되어 무거운 물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들어올린 다음 트롤리(120)가 상기 수평빔(100)의 상면을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트롤리(120)가 이동된 다음 상기 호이스트(140)는 들어 올려진 무거운 물체를 하방으로 내려놓게 됨으로써 무거운 물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호이스트(140)에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무거운 물체를 매달 수 있도록 후크(180)가 제공되며, 상기 후크(180)는 호이스트(140)에 와이어 또는 체인 등으로 연결되어 호이스트(140)에서 와이어 또는 체인을 감거나 풀어주게 됨으로써 후크(180)는 상하 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후크(180)에 물체를 감싸 는 로프 등을 걸어 줌으로써 후크(180)의 상하 운동에 따라 물체가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상기 수평빔(100)은 상면과 하면의 중앙부가 일정 부분 절제됨으로써 절제된 부분을 통해 상기 호이스트(140)와 연결되는 상기 후크(180)가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수평빔(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호이스트(140)의 일부가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에 후크(180)가 위치하게 되면서 후크(180)가 상하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빔(10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상기 트롤리(120)에 상기 호이스트(140)가 제공되고, 호이스트(140)에 와이어 또는 체인 등으로 연결되는 상기 후크(18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수평빔(10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 물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스트(200)는 상기 수평빔(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단면적을 가지면서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포스트(200)는 수평빔(100)의 하면 좌측(도면에서 볼 때)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좌측포스트(210)와, 수평빔(100)의 하면 우측(도면에서 볼 때)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우측포스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포스트(210)와 우측포스트(2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좌측포스트(21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단면적을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 로 긴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수평빔(10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고, 하방으로 일정 부분 연장된 다음에는 그 단면적이 일정 비율로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면적이 일정 비율로 감소하도록 형성된 다음에는 하단부에서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좌측포스트(210)의 하단부에는 좌측포스트(210)의 하중을 지지하는 교차프레임(31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교차프레임(310)은 상기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좌측포스트(210)와 교차되도록 형성되면서 좌측포스트(21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즉, 좌측포스트(210)로부터 하방으로 작용하게 되는 하중을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으로 분산시키면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차프레임(310)은 상기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교차프레임(310)은 상면과 하면이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누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과 일정 정도의 각을 형성하도록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교차프레임(310)은 상기 좌측포스트(2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우측포스트(22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단면적을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수평빔(100)의 하면을 지지하 게 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하나는 후방(도면에서 볼 때)으로 다른 하나는 전방(도면에서 볼 때)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우측포스트(220)는 전체적으로 측방(도면에서 볼 때)에서 보면 대략 "Λ" 형상으로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빔(100)의 하면 우측 끝 부분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과 수평빔(1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동시에 지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좌측포스트(210)는 상면이 상기 수평빔(100)의 하면 좌측 끝 부분의 하중을 자체 강도에 의해 지지하게 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교차프레임(310)과 체결되어 수평빔(100)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게 된다.
상기 우측포스트(220)는 상면이 상기 수평빔(100)의 하면 우측 끝 부분의 하중을 수평빔(1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서로 다른 포스트에 의해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지지하게 되고, 이러한 우측포스트(220)의 하단부에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이 체결되어 수평빔(100)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한 번 더 분산시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포스트(220)의 하단부가 상기 수평빔(1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은 크레인의 안정성을 기하기 위한 것으로, 외력이 수평빔(1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크레인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며, 외력이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게 되면, 상기 교차프레임(310)에 의해 지지되면서 크레인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상기 좌측포스트(210)와 우측포스트(2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또는 상기 트롤리(120)의 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포스트(200)를 이동시키는 주행장치가 제공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좌측포스트 하단부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좌측포스트(21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좌측포스트(210)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평빔(100)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교차프레임(31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교차프레임(310)은 상기 포스트(200)의 하단부에 상기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체결된다. 교차프레임(310)은 포스트(2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포스트(200)의 하단부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좌측포스트(210)의 하면에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홈에 교차프레임(3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좌측포스트(210)와 교차프레임(310)이 좌측포스트(210)의 하단부와 체결되며 이때, 교차프레임(310)은 체결부재의 하나인 핀(Pin)에 의해 체결된다.
즉, 도면에서 보면, 상기 좌측포스트(210)의 하면 전단부와 후단부가 하방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교차프레임(310)이 수용되는 것을 안내하게 되고,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포스트(210)의 하면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교차프레임(310)이 끼워지면서 위치하게 되며, 체결부재인 핀이 좌측포스트(210)의 하면 전단부를 통과하여 교차프레임(310)을 관통하고 후단부를 통과 하면서 좌측포스트(210)의 하단부에 교차프레임(310)이 체결된다.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상면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좌측포스트(210)의 하단부는 중앙부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좌측포스트(210)의 하면과 교차프레임(310)의 상면이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교차프레임(310)이 수평 상태가 되지 않게 되더라도 좌측포스트(210)의 균형을 체결부재인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좌측포스트(21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좌측포스트(210)가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좌측포스트(2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수평빔(100)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길이 방향 양쪽 하면 하측에는 교차프레임(3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32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교차프레임(310)의 하중을 교차프레임(3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분산시키면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길이 방향 양쪽 하면 하측에는 교차프레임(3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위치하게 되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가 교차프레임(310)의 길이 방향 하면 양쪽 끝 부분 하측에 위치하면서 교차프레임(310)과 체결된다. 이처럼, 교차프레임(310)의 길이 방향 양쪽 하면 하측에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가 위치하게 되면서 체결됨으로써 하나의 교차프레임(310)의 하측에는 지지프레임(320)이 쌍으로 제공된 다.
또한,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한 쌍으로 제공되지 않고, 그 이상의 수량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교차프레임(310)의 하측에 세 개 이상의 수량으로 지지프레임(320)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이상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당한 수량으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수량은 무관하다 할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상기 교차프레임(310)으로부터 가해지는 분산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며, 지지프레임(320)의 하측에는 지지프레임(32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다음에 설명할 휠(Wheel)을 커버하는 휠커버(33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휠커버(330)는 상기 휠(340)의 상면과 양 측면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휠커버(330)의 단면을 보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휠커버(330)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길이 방향 하면 끝 부분에 제공되며, 이러한 휠커버(330)에 의해 지지프레임(320)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면서 지지된다. 또한, 휠커버(330)는 지지프레임(320)의 길이 방향 하면 끝 부분에 각각 제공되기도 하고, 지지프레임(320)의 길이 방향 하면에 다수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휠커버(330)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량으로 제공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 제공되어 지지프레임(320)의 하중을 분산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휠커버(330)는 지지프레임(320)의 하측에 다수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휠커버(330)는 상기 휠(34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 휠(340)의 일정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휠(340)을 보호하게 되며, 상기 지지프레임(320)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일정 정도 분산시킴으로써 휠(340)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휠(340)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원통 형상의 둘레를 따라 중앙부가 중심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면서, 함몰 부분에 안내레일(350)이 수용되면서 안내레일(350)을 따라 휠(340)이 구름 운동하게 된다. 안내레일(350)을 따라 휠(340)이 구름 운동하게 되면, 휠(340)의 구름 운동으로 인해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주행하게 되고, 지지프레임(3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교차프레임(310)과 포스트(200)가 주행하게 된다.
상기 포스트(200)의 주행에 의해 크레인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크레인을 사용하기 위한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크레인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까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는 크레인의 작업범위가 넓어지게 되어 크레인 의 활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350)은 지면에의 하측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적어도 쌍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안내레일(350)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놓이게 된다. 이러한 안내레일(350)의 종단면은 대략 "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와 하단부는 중앙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안내레일(35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휠(340)의 둘레 중앙부에 수용되면서, 휠(340)의 구름 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하단부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하단부를 보인 부분 정면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좌측포스트(210)의 하측에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이 위치하게 되고, 교차프레임(310)의 좌우(도면에서 볼 때) 방향 하면 양쪽 끝 부분 하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휠커버(330)에는 상기 휠(340)이 구름 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6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360)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구동력인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발생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휠(340)이 상기 안내레일(350)을 따라 안내되면서 구름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60)는 각각의 상기 안내레일(350)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휠(340)의 마주보는 면에 위치하여 휠(340)에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 라서, 휠(340)의 중심축과 구동부(360)의 중심축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이처럼 교차되는 중심축 사이에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구동부(360)와 상기 휠(340)은 그 회전 중심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구동부(360)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이 휠(340)로 전달된다. 이때, 휠(340)과 구동부(360) 사이의 연결부는 교차되는 축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휠(340)과 상기 구동부(360)는 기어에 의해 회전 동력이 전달되기도 하며, 벨트에 의해 구동부(360)에서 발생하게 되는 회전 동력이 휠(340)로 전달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60)의 위치가 상기 휠(340)의 마주보는 면에 위치하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는 구동부(360)가 상기 휠커버(330)의 외측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휠(340)의 구름 운동에 의해 휠커버(330)가 이동하게 되더라도 외측 부분에 어떠한 장애물이 형성되더라도 주행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360)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주행 공간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크레인의 사용에 따른 공간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부(360)가 내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구동부(360)의 파손 및 구동부(360)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좌측 끝 부분 하측과 우측 끝 부분 하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지지프레임(320)에 의해 교차프레임(310)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지지된다.
도면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좌측 끝 부분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와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사이에는 교차프레임(3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균형유지부재(400)가 제공된다.
상기 균형유지부재(400)는 상기 교차프레임의 한쪽 끝 부분에 제공되는 제1균형유지부재와, 다른 쪽 끝 부분에 제공되는 제2균형유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는 베어링, 상세하게는 러버베어링 등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는 체결부재, 상세하게는 핀(Pin) 등으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와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는 서로 동일한 부재 다시 말해, 제1균형유지부재(410)와 제2균형유지부재(420)가 러버베어링과 같은 베어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핀과 같은 체결부재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좌측 끝 부분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와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사이에는 교차프레임(3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균형유지부재(400)가 제공된다.
상기 균형유지부재(400)는 상기 교차프레임의 한쪽 끝 부분에 제공되는 제1균형유지부재와, 다른 쪽 끝 부분에 제공되는 제2균형유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는 베어링, 상세하게는 러버베어링 등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는 체결부재, 상세하게는 핀(Pin) 등으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와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는 서로 동일한 부재 다시 말해, 제1균형유지부재(410)와 제2균형유지부재(420)가 러버베어링과 같은 베어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핀과 같은 체결부재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와 제2균형유지부재(420)가 서로 다른 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제1균형유지부재(410)는 베어링으로 구비되고, 제2균형유지주배(420)는 핀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삭제
그리고, 각각의 상기 안내레일(350) 상측에 다수의 상기 휠(340)이 안내레일(350)에 의해 안내되면서 구름 운동하게 되면, 휠(34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휠커버(330)가 주행하게 되고, 휠커버(330)의 주행에 의해 휠커버(3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주행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측에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이 상기 안내레일(350) 사이 간격을 가로질러 위치하게 되면서 교차프레임(310)이 주행하게 되고, 교차프레임(310)의 주행에 의해 교차프레임(3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포 스트(200)가 주행하게 된다.
상기 포스트(200)의 주행에 의해 포스트(2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수평빔(100)이 주행하게 되면서 상기 휠(340)의 구름 운동으로 인해 크레인 전체가 주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레일(350)의 이격된 간격을 가로질러 위치하게 되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좌측 끝 부분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와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사이에는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가 제공되고,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우측 끝 부분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와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사이에는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안내레일(350)의 이격된 간격을 가로질러 위치하게 되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좌측 끝 부분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와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사이에는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가 제공되고,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우측 끝 부분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와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사이에는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가 제공된다.
삭제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는 다양한 부재가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러버베어링이 사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러버베어링은 베어링의 일종으로 중앙부에 구비되는 베어링의 외부가 러버(Rubber, 고무)에 의해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베어링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러버 즉,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균형유지부재(400)는 일정 정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자체 탄성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균형유지부재(400)의 자체 탄성으로 하중을 일정부분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하방에서 하중이 가해저더라도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균형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세하게는 지면의 평탄도 및 상기 안내레일(350)의 설치 상태에 따라 하방에서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1균형유지부재(410)의 자체 탄성에 의해 하중을 일정 부분 흡수하게 되어 제1균형유지부재(4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러버베이링은 베어링의 일종으로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 부재가 자체 탄성이 뛰어난 합성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에 의해 감싸지게 되며, 이처럼, 회전 부재를 감싸는 외부가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탄성 소재로 형성되면서 베어링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는 휠(340)이 구름 운동하게 될 때, 지면이 평탄하지 않아 발생하게 되는 상기 안내레일(350)의 높낮이의 차이에 따라 하방에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여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내레일(350)이 놓이게 되는 지면이 시간의 경과 또는 외부의 영향에 의해 침하되거나 융기되어 평탄하지 않게 됨으로써 높낮이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안내레일(350)은 길이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거나 상향 경사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휠(340)이 상기 안내레일(350)을 따라 구름 운동하게 되면, 휠(34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휠커버(330)와 휠커버(330)의 상측에 위치하 게 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안내레일(350)이 기울어지는 경사만큼 상향 또는 하향 경사를 가지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일정 각도를 가지면서 기울어지게 되면, 지지프레임(3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의 탄성에 의해 지지프레임(320)이 기울어지면서 상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흡수된다. 따라서, 제1균형유지부재(410)의 상측에 놓이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은 일정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다른 쪽 끝 부분 하측에 놓이는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에 의해 상기 휠(340)이 상기 안내레일(350)을 따라 주행하게 되는 부분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서 볼 때,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우측 끝 부분 하측에는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가 제공된다. 제2균형유지부재(420)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위치하게 된다. 즉,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다른 끝 부분 하측에는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가 제2균형유지부재(42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제2균형유지부재(420)는 체결부재의 하나인 핀으로 제공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중앙부가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우측 끝 부분 하측에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와 체결되면, 지지프레임(320)의 하면 전단부 하측과 후단부 하측에는 상기 휠커버(330)의 상면 중앙부가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휠커버(330)는 지지프레임(320)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면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휠커버(330)의 내측에는 상기 휠(340)이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안내레일(350)을 따라 구름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한쪽 끝 부분에는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가 제공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은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와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가 제공되면서 크레인 전체가 더욱 안정적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균형유지부재(400)가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양쪽 끝 부분 하측에 모두 제공되지 않고, 한쪽 끝 부분에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한쪽 끝 부분 하측이 상기 지지프레임(320)과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에 의해 체결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에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가 체결되는 구성뿐만 아니라, 교차프레임(310)의 한쪽 끝 부분 하측에는 제1균형유지부재(410)가 제공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 하측은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 상기 균형유지부재(400)가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끝 부분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하방 또는 상방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일정 부분 흡수하면서 교차프레임(310)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키게 되고, 하중의 감소로 인해 교차프레임(310)은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균형유지부재(400)가 제공되지 않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다른 쪽 부분은 교차프레임(310)과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안내레일(350)이 놓이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게 되면, 지면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내레일(350)이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지 않게 되고,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지 않는 안내레일(350)을 따라 안내되는 상기 휠(340)이 일정한 높이로 구름 운동하지 않게 된다.
즉, 지면의 평탄도에 따라 상기 안내레일(350)의 높이가 달라지며, 안내레일(350)에 의해 안내되면서 구름 운동하게 되는 상기 휠(340)이 주행하는 높이가 달라지게 됨으로써 휠(340)의 일정 부분을 감싸고 있는 상기 휠커버(330)가 지면의 경사에 따라 기울어지게 되고, 기울어지는 휠커버(3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기울어지게 되면, 지지프레임(3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에 일정 방향의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처럼, 교차프레임(310)이 하방에서 일정 방향의 하중을 받게 되면, 하중을 받는 쪽의 교차프레임(310)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향하게 되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교차프레임(310)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면서 기울어지게 되면, 교차프레임(310)의 중앙부와 상기 포스트(200)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상기 균형유지부재(40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균형유지부재(400)를 중심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게 됨으로써 교차프레임(310)과 체결되는 포스트(200)는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지면의 평탄도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안내레일(350)의 높낮이 차가 발생하게 되고, 안내레일(350)의 높낮이 차로 인해 상기 휠(340)이 주행하면서 휠(340)의 회전 중심이 높낮이 차를 가지게 되고, 휠(340)의 회전 중심이 높낮이 차를 가지게 됨으로써 휠(340)의 일정 부분을 감싸는 상기 휠커버(330)가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한쪽 끝 부분에는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가 제공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은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와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가 제공되면서 크레인 전체가 더욱 안정적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균형유지부재(400)가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양쪽 끝 부분 하측에 모두 제공되지 않고, 한쪽 끝 부분에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한쪽 끝 부분 하측이 상기 지지프레임(320)과 상기 제1균형유지부재(410)에 의해 체결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에 상기 제2균형유지부재(420)가 체결되는 구성뿐만 아니라, 교차프레임(310)의 한쪽 끝 부분 하측에는 제1균형유지부재(410)가 제공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 하측은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 상기 균형유지부재(400)가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끝 부분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하방 또는 상방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일정 부분 흡수하면서 교차프레임(310)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키게 되고, 하중의 감소로 인해 교차프레임(310)은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균형유지부재(400)가 제공되지 않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다른 쪽 부분은 교차프레임(310)과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안내레일(350)이 놓이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게 되면, 지면의 상측에 설치되는 안내레일(350)이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지 않게 되고,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지 않는 안내레일(350)을 따라 안내되는 상기 휠(340)이 일정한 높이로 구름 운동하지 않게 된다.
즉, 지면의 평탄도에 따라 상기 안내레일(350)의 높이가 달라지며, 안내레일(350)에 의해 안내되면서 구름 운동하게 되는 상기 휠(340)이 주행하는 높이가 달라지게 됨으로써 휠(340)의 일정 부분을 감싸고 있는 상기 휠커버(330)가 지면의 경사에 따라 기울어지게 되고, 기울어지는 휠커버(3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기울어지게 되면, 지지프레임(3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에 일정 방향의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처럼, 교차프레임(310)이 하방에서 일정 방향의 하중을 받게 되면, 하중을 받는 쪽의 교차프레임(310)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향하게 되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교차프레임(310)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면서 기울어지게 되면, 교차프레임(310)의 중앙부와 상기 포스트(200)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상기 균형유지부재(40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균형유지부재(400)를 중심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게 됨으로써 교차프레임(310)과 체결되는 포스트(200)는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지면의 평탄도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안내레일(350)의 높낮이 차가 발생하게 되고, 안내레일(350)의 높낮이 차로 인해 상기 휠(340)이 주행하면서 휠(340)의 회전 중심이 높낮이 차를 가지게 되고, 휠(340)의 회전 중심이 높낮이 차를 가지게 됨으로써 휠(340)의 일정 부분을 감싸는 상기 휠커버(330)가 일정 기울기를 가지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삭제
상기 휠커버(330)의 기울기에 의해 휠커버(3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기울어지게 되고, 지지프레임(320)의 기울기에 의해 상기 교차프레임(310)이 상기 균형유지부재(40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포스트(200)는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을 설명하도록 한다. 원 실시예와 비교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달라지지 않은 부분은 원 실시예에 따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전방에서 볼 때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평빔(100)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빔(100)의 하면 좌측 끝 부분과 우측 끝 부분에는 수평빔(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포스트(200)가 제공된다. 상기 포스트(200)의 하단부에는 크레인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시키도록 하는 주행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크레인이 설치되는 지면에는 크레인의 주행을 안내하는 안내레일(350)이 적어도 쌍으로 놓이며, 상기 안내레일(350)의 따라 상기 주행장치가 주행하게 되면서, 크레인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빔(100)에는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물체를 상하 방향으로 운동시키게 되는 호이스트(140)와 상기 호이스트(140)를 이동시키게 되는 트롤리(120)가 제공된다. 상기 호이스트(140)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물체는 상기 트롤리(120)가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물체를 이동시키게 되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 물체를 호이스트(140)가 내려놓게 되어 물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게 된다.
이때, 상기 트롤리(120)의 이동 범위를 벗어난 위치 즉, 상기 수평빔(1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물체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호이스트(140)에 의해 물체를 들어올린 다음 상기 주행장치를 가동하여 크레인을 상기 안내레일(350)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크레인을 위치시킨 다음 트롤리(120)를 이동시킴으로써 물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롤리(120)와 상기 주행장치에 의해 크레인의 사용 범위가 넓어지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포스트(200)의 하단부에는 포스트(2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교차프레임(310)이 체결된다. 상기 교차프레임(310)은 상기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교차프레임(310)은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교차프레임(310)은 상기 포스트(200)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됨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면서 포스트(200)와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즉, 도면에서 볼 때 가로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가로 방향으로 긴 원기둥의 형상이나, 팔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하측에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0)이 제공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상면 중앙부가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양쪽 끝 부분에 위치하도록 제공되며, 이처럼, 지지프레임(320)의 상면 중앙부가 교차프레임(310)의 하면 양쪽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지지프레임(320)은 교차프레 임(3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공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상기 교차프레임(3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공되면, 상기 수평빔(1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교차프레임(310)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320)은 하나가 아닌 다수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며, 지지프레임(320)이 다수 제공되면 상방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너무 많은 지지프레임(320)이 제공되면, 생산비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적절한 지지프레임(320)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하측에는, 상기 안내레일(350)을 따라 안내되면서, 구름 운동하게 되는 다수의 휠(340)을 보호하는 휠커버(330)가 제공되며, 상기 휠커버(330)에 의해 지지프레임(320)이 지지된다.
한편, 상기 교차프레임(310)과 지지프레임(320)의 사이에는 교차프레임(3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균형유지부재(500)가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균형유지부재(500)는 베어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균형유지부재(500)가 러버베어링 또는 실드베어링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러버베어링 또는 실드베어링은 내부에 회전부재가 구비되고, 회전부재의 외부를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하 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교차프레임(310)과 지지프레임(320)의 사이에는 교차프레임(3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균형유지부재(500)가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균형유지부재(500)는 베어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균형유지부재(500)가 러버베어링 또는 실드베어링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러버베어링 또는 실드베어링은 내부에 회전부재가 구비되고, 회전부재의 외부를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하 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균형유지부재(500)에 의해 지면의 변형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상기 안내레일(350)의 높낮이로 인해 가해지는 하중이 일정 정도 흡수되어 상기 교차프레임(31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상기 포스트(200)의 하단부와 상기 교차프레임(310)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부재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교차프레임(310)이 일정 각도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예를 들면, 핀(Pin)이나 베어링 등으로 체결되어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교차프레임(310)이 체결부재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게 형성되면, 적어도 하나의 쌍으로 놓이는 상기 안내레일(350) 각각의 높이 차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교차프레임(310)의 양쪽 끝 부분 높이 차는 교차프레임(310)이 일정 각도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포스트(200)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예를 더 제안할 수 있다.
상기 균형유지부재(500)가 베어링이 아니어도 탄성을 가지는 다른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상기 휠(340)이 다수 제공되어 그 휠(340)이 장착되는 축에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안내레일(350)의 높낮이 차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하중을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포스트(200)의 하단부와 체결되는 상기 교차프레임(310)이 상기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체결되고, 교차프레임(310)의 하측 에 제공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수평빔(100)의 길이 방향으로 체결되어 포스트(200)를 지지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기재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고, 상기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서로 부분적으로 병합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한 제안을 할 수 있으나, 그 역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에 의하면, 시간의 경과 및 하중의 집중 등에 의해 지면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안내레일의 높낮이 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그 높낮이 차이에 의해 포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크레인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크레인의 안정성이 향상되면, 지면 변화 또는 안내레일의 변화에 따른 크레인의 재설치가 요구되지 않게 되어 크레인의 재설치 비용이 절감되며, 크레인의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면 변형에 따른 크레인의 안정성이 향상됨으로써 크레인의 사용 범위가 넓어지게 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안내레일 상에 일정 크기의 이물질이 위치하게 되더라도 이물질에 의한 크레인의 전복 또는 기울어짐이 예방되어 크레인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 주행을 안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되는 안내레일;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휠;상기 휠의 마주보는 측에 위치하여 상기 휠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상기 휠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각각의 상기 안내레일 상측의 상기 지지프레임 상측에서, 상기 안내레일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교차프레임; 및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교차프레임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교차프레임의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유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크레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균형유지부재는,상기 교차프레임의 한쪽 끝 부분에 제공되는 제1균형유지부재와,상기 교차프레임의 다른 쪽 끝 부분에 제공되는 제2균형유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크레인.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1균형유지부재는 베어링으로 제공되고,상기 제2균형유지부재는 핀으로 제공되는 크레인.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1균형유지부재와 제2균형유지부재는 베어링으로 제공되는 크레인.
- 물체를 상하 운동시키는 호이스트;상기 호이스트를 수평 방향으로 운동시키는 트롤리가 놓이는 수평빔;상기 수평빔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하측에 제공되는 포스트;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포스트와 교차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프레임;상기 교차프레임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교차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교차프레임과 교차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교차프레임의 사이에 제공되어,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유지부재;상기 지지프레임의 주행을 위하여 구름 운동하는 휠;상기 휠의 구름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크레인.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균형유지부재는 러버베어링으로 형성되는 크레인.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균형유지부재는 핀으로 형성되는 크레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6455A KR100870032B1 (ko) | 2007-03-19 | 2007-03-19 | 크레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6455A KR100870032B1 (ko) | 2007-03-19 | 2007-03-19 | 크레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5262A KR20080085262A (ko) | 2008-09-24 |
KR100870032B1 true KR100870032B1 (ko) | 2008-11-21 |
Family
ID=4002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6455A KR100870032B1 (ko) | 2007-03-19 | 2007-03-19 | 크레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00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2691B1 (ko) | 2023-03-03 | 2024-02-01 | 이진규 | 겐트리크레인의 축결합용 보강부재 용접 지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76633B (zh) * | 2014-09-05 | 2016-08-17 |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 一种超大型门式起重机的双轨台车组运行机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519611A (ja) * | 2000-01-10 | 2003-06-24 | デマーク・モービル・クレーンズ・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クレーン軌道支持架構 |
JP2004051263A (ja) * | 2002-07-17 | 2004-02-19 | Kito Corp | 格納型クレーン |
-
2007
- 2007-03-19 KR KR1020070026455A patent/KR1008700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519611A (ja) * | 2000-01-10 | 2003-06-24 | デマーク・モービル・クレーンズ・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 クレーン軌道支持架構 |
JP2004051263A (ja) * | 2002-07-17 | 2004-02-19 | Kito Corp | 格納型クレーン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2691B1 (ko) | 2023-03-03 | 2024-02-01 | 이진규 | 겐트리크레인의 축결합용 보강부재 용접 지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5262A (ko) | 2008-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L229790B1 (pl) | Ruchoma dźwignica | |
CN212151381U (zh) | 一种可自动平衡电动葫芦重量的单梁桥式起重机 | |
CN107161891A (zh) | 一种起重运输机械手动调整转向机构 | |
CA2049158C (en) | Anti-sway reeving system | |
KR101994063B1 (ko) | 자유주행 및 조향 기능을 갖는 갠트리 크레인 | |
US4949855A (en) | Anti-sway crane reeving apparatus | |
CA2615871C (en) | Overhead crane with rotatable jib and travelling hoist attached thereto | |
KR100870032B1 (ko) | 크레인 | |
CN107406239B (zh) | 用于iso集装箱的跨车装置 | |
CN113200446B (zh) | 一种方便对货物进行夹持的起重机 | |
KR20160028457A (ko) | 크레인 | |
CN111016933B (zh) | 车架以及空中运输车辆 | |
CN112623950A (zh) | 一种高效防爆型桥式起重机 | |
US4332328A (en) | Mobile crane | |
CN212740481U (zh) | 一种轮胎门式起重机 | |
CN210458947U (zh) | 一种桥梁混凝土护栏浇筑台车 | |
CN216997373U (zh) | 一种大跨度专用门式起重机 | |
US3547277A (en) | Double jib gantry crane | |
RU2483017C2 (ru) | Способ замены ходовых колес балансирных тележек мостового кра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JP6969736B2 (ja) | 門型クレーン | |
CN205772953U (zh) | 电力专用起重设备 | |
CN108249327A (zh) | 一种起重机支腿升降结构 | |
CN220078373U (zh) | 一种上旋转刚性防摇摆物料搬运起重机 | |
KR20160051110A (ko) | 농업용 고소 작업차 | |
CN216889796U (zh) | 一种门式起重机的可移动司机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