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382B1 -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자동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자동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382B1
KR100797382B1 KR1020020022145A KR20020022145A KR100797382B1 KR 100797382 B1 KR100797382 B1 KR 100797382B1 KR 1020020022145 A KR1020020022145 A KR 1020020022145A KR 20020022145 A KR20020022145 A KR 20020022145A KR 100797382 B1 KR100797382 B1 KR 10079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rds
pickup
stopp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771A (ko
Inventor
츠치다다모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266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242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664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72973A/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6Card games appurtenances
    • A63F1/14Card deal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3/00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 G07B3/04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from a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카드들을 표시하고 배출하기 위한 카드 자동 배출 장치는 복수의 카드들을를 저장하는 저장 하우징(storage housing)을 포함한다. 유지 부재는 표시를 위해 수직 정렬로 로딩 위치에 최하단의 카드를 동작적으로(operatively) 배치한다. 제어 장치는 카드를 배출하도록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픽업 부재(pickup member)가 카드 표면을 제거가능하게 파지(grasp)하고 소정의 이동 경로를 따라 카드를 유지 부재로부터 해제하도록 배출기 조립체를 작동시킬 수 있다. 스토퍼 부재(stopper menber)는 이동 경로에 장착되어, 카드를 사용자에게 배출할 수 있도록 카드를 픽업 부재로부터 분리하다.
카드 배출 장치, 저장 하우징, 유지 부재, 제어 장치, 스토퍼 부재, 픽업 부재

Description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자동 배출 장치{An automatic card dispensing unit with display cap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우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카드들이 없는 상태의 제 1 실시예를 좌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4는 픽업 디스크(pick up disk)의 단면도.
도 5는 제 1 실시예의 제어 회로의 개략 블록 다이어그램.
도 6은 제 1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은 제 1 실시예의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우측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카드 f : 픽업 위치
h : 카드 홀더 w : 대기 위치
1L, 1r : 측면판 2L, 2r : 섹션
3 : 카드 저장 영역 4 : 배치 장치
6 : 샤프트 7 : 롤러
13 : 지지 바아 14 : 픽업 부재
19 : 스토퍼 부재 32 : 대기 위치 센서
33 : 픽업 위치 센서 40 : 카드 가이드
41 : 카드 센서 50 :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카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시에 카드를 배출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통해 조망하기 위해 카드들의 적층물을 저장하고, 표시된 카드의 표면을 파지(grasp)하며 표시 특징을 방해하지 않고 카드를 해제하기 위한 카드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력 비용이 증가됨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아이템들을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배출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배출 장치들은 사용자가 화폐류(monetary value)를 삽입할 때, 전화 카드, 지하철표, 버스표, 선불 신용 카드, 아케이드 게임 카드(arcade game card), 신형 캐릭터 카드(novelty character card) 등을 배출한다. 통상, 카드들은 카드들의 표면에 기록 및/또는 표시 기호들이 제공되어 있는 얇은 직사각형의 물체들이다. 카드들은 인쇄된 표시물(indicia) 유지성, 소정의 가요성 및 휴대형 크기를 갖는, 수지 재료, 종이 또는 금속 또는 유사한 물질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카드'는 일반적인 기술 용어로서 통상 사용되며, 사용자가 카드 자체 또는 카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게 하는 가치를 갖는 다른 배출 가능한 물체를 지칭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특개평10-283525호에는 유가의 카드류를 배출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캐들릭(Kadlic)의 미국 특허 제 4,377,285호 및 니콜레티(Nicoletti)의 미국 특허 제 4,750,743호에는 트럼프(playing card)를 배출하기 위한 다양한 저장 배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헤네시(Hennessy)의 미국 특허 제 4,654,513호에는 신문 자동 판매기가 개시되어 있다.
명백한 바와 같이, 상이한 형태의 카드들을 배출하고, 배출될 카드들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카드들을 배출하는 자동 판매기가 매우 적합하다. 통상, 이러한 장치들에는 그 외부에 샘플 카드 또는 배출될 카드의 인쇄 견본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로부터 배출되어 사용될 카드가 변경되면, 샘플 카드 및/또는 견본은 배출 장치 내의 현재 카드의 특징에 부합하여 변경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한 방식으로 개별 카드를 구매하거나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배출되는 카드의 현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카드 자동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카드들을 표시하고 배출하는 카드 자동 배출 장치가 제공된다. 카드 자동 배출 장치는 자동 판매기에 일체화될 수 있고, 또는 카드의 표시를 허용하는 적합한 윈도우를 갖는 자동 판매기 내에 설치되도록 채택되는 모듈러 유닛(modular unit)일 수 있다. 저장 하우징은, 복수의 카드들 중 하나를 표시 위치 및 배출을 위한 로딩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유지 부재에 대해 표시 위치로 어레이 방식으로 카드가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복수의 카드를 적합하게 수직 정렬로 저장할 수 있다. 카드 자동 배출 장치는 카드를 배출하도록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며 배출기 조립체를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모터가 로딩 위치에서 카드 표면을 해제 가능하게 파지하며 이후 소정의 이동 경로를 따라 사용자에게 카드를 배출하도록 픽업 부재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적합한 센서가 배출기 조립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스토퍼 부재가 카드를 사용자에게 배출할 수 있도록 픽업 부재로부터 카드를 분리하기 위해 이동 경로에 장착될 수 있다. 스토퍼 부재는 사용자에게 카드를 표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투명인 것이 적합하며, 픽업 부재로부터의 확실한 배출을 보장하도록 마찰 부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카드 자동 배출 장치의 작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초기 작동에서 카드가 배출되지 않은 경우 후속의 작동을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카드 배출 장치가 오작동하는 경우 에러 신호를 또한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픽업 부재는 경제적인 디자인을 보장하도록 걸려있는(suspended) 카드를 기계적으로 포획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그 목적 및 장점은 동일한 부분들을 동일한 도면 부호로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설명은 당 기술 분양의 숙련자들이 본 발명을 실시하고 사용할 수 있 게 하도록 제공되었고, 본 발명을 수행하는 발명자에 의해 고려되는 가장 양호한 모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는 물체를 적층물로부터 배출하고 표시하기 위한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명백한 일이다.
본원에서, 용어 '카드'는 본 발명에 의해 배출되는 적층된 어레이의 아이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용어 '카드'는 본원에 개시된 적합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경제적인 방식으로 자동 판매기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배출될 수 있는 어레이 중 하나를 설명하는 편리한 방식으로서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카드(c)가 카드 홀더(h) 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카드들은 사용자의 조망을 위해 표시될 수 있으며, 그 후 배출기 조립체(d)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홀더(h)는 저부판(1b)과 한 쌍의 수직 측면판(1L, 1r)을 구비한다. 저부판(1b)은 카드의 수직방향의 적층된 어레이의 자중에 의한 흐름을 용이하게 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카드 홀더(h)는 채널 형상이며, 제 1 측면판(1L)과 제 2 측면판(1r)은 저부판(1b)으로부터 상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2)은 자동 판매기 내에 장착될 수 있는 한 쌍의 측방향 플랜지로 하향으로 연장된다.
카드 홀더 또는 저장 하우징의 배출 단부는 수직 정렬 어레이의 최하단 카드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부 지지면(1bt)에서 상향으로 약간 경사진 베이스판을 갖는다.
측면판(1L, 1r)의 하부 단부들은 카드(c)의 수직 적층 어레이의 유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저장 채널 내로 내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맞물림 또는 유지 부재 또는 섹션(2L, 2r)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또는 헤드 카드는 섹션(2L, 2r)과의 맞물림에 의해 정지되어 유지되며, 나머지 카드는 카드 저장 영역(3)에서 헤드 카드(c)의 후방에 배열되며 수평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하부 지지면(1bt) 및 측면 유지 맞물림 섹션(2L, 2r)의 위치 결정은 로딩 또는 픽업 위치(f)를 규정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샤프트(6)와 중앙 롤러(7)를 포함할 수 있는 배치 장치(4)를 구비할 수 있는 유지 부재(e)를 규정한다.
샤프트(6)는 수직의 세장형 구멍(5L, 5r)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감소된 또는 소형 샤프트 단부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6)의 중간부에 고정된 롤러(7)는 고무로 제조될 수 있으며, 롤러(7)의 위치는 픽업 위치(f)에서 최초의 헤드 카드(c)의 상부에 배치된다. 롤러(7)의 표면은 로딩 위치에 카드(c)를 정렬하도록 카드(c)의 상부 에지와의 접촉부를 가질 수 있다.
카드는 중량이 베이스판(1b)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헤드 카드의 후방에 배열된 복수의 카드로부터의 누적 중량 또는 압력은 비교적 작으며, 따라서 카드에 손상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윈도우(u)를 갖는 자동 판매기(v)의 하우징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카드(c)의 디자인과 내용물을 자동 판매기의 외부로부터 조망할 수 있도록, 윈도우(u)는 수직으로 직립되어 있는 카드(c)를 사용자가 조망할 수 있게 한다. 스토퍼 부재(19)는 각각의 좌측 섹션(1L, 1r)의 측면 채널의 연장된 플랜지 상에 배치된다. 스토퍼 부재(19)는 바아 또는 막대 형상이며, 저부판(1b)의 단부(1bt)의 전방에 배치된다. 스토퍼 부재(19)와 단부(1bt) 사이의 거리는 카드(c)의 높이 보다 작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9)는 수직으로 정렬된 카드(c)를 포함하는 수직 평면으로부터 편위되어 있는 수직 평면의 조망 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19)는 사용자의 조망을 방해하지 않도록 투명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c)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카드의 어레이를 로딩 위치로 하향으로 강제 압박하도록 중량 부재(12)가 카드 저장 영역(3)의 저부판(1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 부재(12)는 자중에 의해 저부판(1b) 상으로 하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으며, 저부판(1b)의 각형성된 경사는 중량 부재(12)의 이러한 이동을 허용한다.
배출 장치 또는 조립체(d)는 회전 샤프트(11f) 둘레로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 L 형상의 한 쌍의 아암(12L, 12r)을 구비한다. 지지 바아(13)는 제 1 레버(12L) 및 제 2 레버(12r)의 각각의 단부에 고정된다. 지지 바아(13) 상에 장착된 픽업 부재 또는 디스크(14)는 지지 바아(13)의 중간부에 고정된다. 디스크(14)의 단면도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픽업 디스크(14)는 원추형 형상을 가지며 링 형상을 갖는 연장 디스크(14s)를 지지하는 단부(14t)를 구비하는 원통형 본체(14b)를 갖는다. 디스크(14s)와 단부(14t)의 조합은 공간 영역(14c)을 규정한다. 디스크(14s)는 평활하며 가요성이 있지만 카드 부재와의 반복적인 접촉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가요성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지지 바아는 원통형 본체(14b)의 장착 구멍 또는 보어(14h)를 관통한다. 나사(14n)가 원통형 본체(14b)를 지지 바아(13)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 부재(14)는 카드(c)의 픽업 디스크(14s)의 부착을 허용하는 픽업 위치(f)와 카드(c)의 전방의 수평 평면에 배치되는 대기 위치(w) 사이의 소정의 경로를 가로질러 회전할 수 있다. 대기 위치(w)는 샤프트(11)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픽업 부재(14)는, 로딩 또는 픽업 위치(f)에 배치된 카드(c)로부터 이격되어 단부(1bt)의 하부에 배치된다. 픽업 부재(14)가 대기 위치(w)와 픽업 위치(f) 사이로 이동하면, 픽업 부재는 단부판(1bt)과 스토퍼(1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장치(21)는, 샤프트(11f) 상에 장착된 기어(27)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6)를 회전시키는 기어(25)와 맞물리며 모터에 접속된 샤프트(22) 상에 장착된 피니언 기어(23)를 포함하는 기어 트랜스미션에 의해 상기 샤프트(11f)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일 수 있다. 피니언 기어(23)는 베이스(2)의 내부측에 고정된 감속기(reducer)를 갖는 모터(21)의 출력 샤프트(22)에 고정된다. 기어(25, 26)는 회전 가능하게 샤프트에 고정되며, 또는 베이스(2)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픽업 부재(14)용 위치 검출 장치(30)는 베이스판(2)에 고정되어 있는 L 형상의 장착 브래킷(31)을 구비한다. 대기 위치 센서(32) 및 픽업 위치 센서(33)가 또한 브래킷(31)에 고정된다. 상기 센서들은, 예를 들면 샤프트(11f)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근접 센서, 광전 센서 또는 다른 종래의 센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적합한 실시예에서, 제 2 레버(12r)의 단부에 고정된 연장 부재(34)는 각각의 위치 센서(32, 33)의 채널들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레버(12L) 및 제 2 레버(12r)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대기 센서(32)는 대기 위치(w)에서 스위치 온된다. 각각의 레버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픽업 위치 센서(33)는, 픽업 부재(14)가 카드(c)와의 파지 접촉부를 갖도록 배치되는 픽업 위치(f)에서 스위치 온된다.
단부판(1bt)의 하부에 장착된 카드 가이드(4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판(2)에 고정될 수 있다. 카드 가이드(40)는 스토퍼(19)의 하부에 배치되며 자동 판매기의 개구를 향해 자중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픽업 부재(14)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카드(c)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카드 센서(41)가, 카드 가이드(40)를 통한 카드(c)의 이송을 측정하도록 카드 가이드(40)의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41)는 투과형 광전 센서일 수 있다.
도 5의 개략적인 회로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50)는 MPU(51), RAM(52) 및 ROM(53)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대기 위치 센서(32), 픽업 위치 센서(33), 카드 센서(41)로부터의 입력 신호, 및 사용자에 의해 시작 단계를 통해 진입될 수 있는 배출 신호(pg)를 수신할 수 있다. 모터(21)와 예를 들면 자동 판매기의 외부에 있는 영상 디스플레이(54)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영상 디스플레이(54)는 기계의 상태 및 에러 신호의 발생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작동 정보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겠다. 대기 위치에서, 카드(c)는 베이스판(1bt) 상부의 로딩 위치에서 저장 영역(3)에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최하단 카드는 픽업 위치(f)에 수직으로 정렬되며, 각각의 좌측 및 우측 맞물림 부재(2L, 2r)에 의해 형성된 유지 부재와 맞물린다. 롤러(7)는 카드의 상부면과 맞물린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동 판매기의 하우징의 적절한 조망 윈도우를 통해 카드의 표면을 관찰할 수 있다. 다음, 확인을 원하는 사용자는 자동 판매기를 작동시켜, MPU(51)에 제공될 수 있는 배출 신호(pg)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배출 신호(pg)를 제공하는 자동 판매기에 코인을 삽입함으로써 전화 카드를 구매할 수 있다. 다음, MPU(5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신호(pg)에 응답하여 제어 프로그램을 작동시킨다.
결정 단계s1은 카드 배출용 배출 신호(pg)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배출 신호가 수신된 경우, 단계s2는 모터(21)의 시동을 개시하며, 이에 의해 제 1 아암(12L)과 제 2 아암(12r)은 도 7에 도시한 원호 경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히 감속된 속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픽업 부재(14)는 로딩 위치에 배치된 카드(c)의 표면을 향해 상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픽업 위치 센서(33)는 작동 부재(34)의 진입을 검출하고 단계s3에서 픽업 디스크의 작동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한다. 다음, 제어 신호는 단계s4에서 모터(21)가 정지되었음을 나타낸다. 카드(c)의 표면의 중앙부는 공간(14c)의 진공도 하강에 의해 부착되어 픽업 부재(14)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어 프로그램은 단계s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 동안 모터(21)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며, 그 후 배출 조립체의 각각의 제 1 레버(12L) 및 제 2 레버(12r)가 도 7에 도시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단계s6에서 모터(21)를 역회전시킨다. 제 1 레버(12L)와 제 2 레버(12r)가 수평 레벨 위치로 이동되면, 대기 위치 센서(32)는 단계s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 부재(34)를 검출하고 적절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모터는 단계s8에서 정지된다. 이러한 이동 중에, 카드(c)의 중앙부는 픽업 부재(14)에 의해 충분히 부착되므로, 카드(c)는 상기 카드(c)의 우측 및 좌측 단부가 유지 부재(2r, 2L)로부터 해제되도록 곡선 또는 아치형으로 만곡된다. 카드의 폭은 만곡에 의해 좁아지며, 카드(c)는 제 1 스토퍼(2L) 및 제 2 스토퍼(2r)를 통과하여 상기 스토퍼들로부터 방출된다. 적층된 어레이의 다음의 카드(c)가 중량 부재(12)의 힘에 의해 하향으로 미끄러져서, 로딩 위치에서 제 1 스토퍼(2L)와 제 2 스토퍼(2r)와 재차 맞물린다.
상기 픽업 부재(14)에 부착된 카드는 단부(1bt)와 접촉하며, 또한 스토퍼 부재(19)와 접촉한다. 픽업 부재(14)는 해제되며, 그 결과 카드(c)가 배출되며 반작용에 의해 튀어오르며 단부(1bt)로부터 또한 배출되어, 카드(40)가 낙하되어 사용자에게 인도되기 위한 출구 위치로 안내된다. 배출된 카드의 하단부가 단부(1bt)로부터 배출되어 카드 가이드(40)의 상단부에 접촉하는 경우, 카드(c)는 카드 가이드(40)의 상단부와 스토퍼(19)에 의해 정지되며, 픽업 디스크(14)는 카드(c)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되어 카드가 배출되어 카드 출구로 안내된다.
카드(c)가 카드 가이드(40)를 통해 낙하될 때, 카드 센서(41)는 카드(c)의 통과를 검출하며 검출 신호(pf)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을 재차 참조하면, 카드의 배출이 단계s9에서 검출되면, 배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그러나, 신호(pf)가 1회만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어 프로그램은 단계s2로 복귀되며 카드(c)를 제거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재시도된다. 신호(pf)가 2회 수신되는 경우에는, 출력 신호는 이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단계s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스템이 차단된다. 상기 이상 신호는 예를 들면, LCD와 같은 영상 디스플레이(54)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범주 및 정신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 홀더(h)의 저부판(1b)은 경사지기 보다는 수평 레벨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중량 부재(12)는 카드의 어레이를 수직 로딩 위치를 향해 압박하기 위한 스프링 편향판으로 교체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픽업 부재(14)는 카드(c)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 흡착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카드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제 1 측면판(1L)과 카드 가이드(4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제 1 가이드판(gL)과, 제 2 측면판(1r)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제 2 가이드판(gr)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카드(c)가 튀어올라 미끄러지면, 상기 카드(c)는 제 1 가이드판(gL)과 제 2 가이드판(gr)에 의해 안내되며, 카드 가이드(40)로 안내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제 2 실시예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며,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부품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토퍼(19)는 고마찰 섹션을 제공하도록 튜브(10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튜브(100)는 예를 들면, 매우 투명할 수 있는 실리콘 검(gum)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구매자 또는 사용자가 자동 판매기 표시 윈도우를 통해 카드(c)를 조망하는 것을 여전히 허용한다. 선택적으로, 튜브(100)는 매우 투명하지는 않은 폴리우레탄 또는 MBR로 제조될 수 있다.
고마찰 섹션 튜브는 스토퍼(19)의 표면에 직접 파우더형 검을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스토퍼(19)는 그 표면에 소정의 불균일한 구조의 양각부 또는 마찰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작동시에, 제 1 레버(12L)와 제 2 레버(12r)가 레벨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1 실시예의 단계s7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픽업 장치(14)가 로딩 위치에서 카드와 접촉하면, 모터(21)는 역회전되며 어레이로부터 배출되는 카드(c)의 하부 에지는 단부(1bt)에 의해 정지되며 상부 에지는 스토퍼(19)에 의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카드(c)는 단부(1bt)에 의해 유지되며 스토퍼(19) 상의 튜브(100)의 마찰면과 접촉한다. 픽업 부재가 더욱 후퇴됨에 따라, 카드(c)의 상부 섹션은 고마찰 섹션과 접촉하며 따라서 튜브(10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다. 게다가, 카드(c)는 만곡될 수 없으며, 그 결과 픽업 부재(14)는 카드(c)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데, 이는 단부(1bt)와 스토퍼(19)에서의 유지력이 픽업 부재(14)에 의해 인가되는 픽업력 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드(c)는 카드 가이드(40)로 낙하되어 카드 배출구로 안내된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범주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적합한 실시예의 다양한 적용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 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시에 카드를 배출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통해 조망하기 위해 카드의 적층물을 저장하며, 표시된 카드의 표면을 파지하며 표시 특징을 방해하지 않고 카드를 배출하기 위한 카드 자동 배출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

  1. 카드들을 표시하고 배출하기 위한 카드 자동 배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카드들을 저장하는 저장 하우징;
    상기 저장 하우징에 동작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카드들 중 하나를 카드 표면을 표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유지 부재;
    카드를 배출하도록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제어 장치;
    카드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카드 표면을 제거 가능하게 파지(grasp)하고 소정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카드를 상기 유지 부재로부터 해제하는 픽업 부재를 구비하는 배출기 조립체; 및
    상기 이동 경로에 장착되어, 상기 카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카드를 상기 픽업 부재로부터 분리하는 스토퍼 부재(stopper member)를 포함하는, 카드 자동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투명한, 카드 자동 배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카드와 접촉하는 마찰 부재(friction member)를 포함하는, 카드 자동 배출 장치.
KR1020020022145A 2001-04-24 2002-04-23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자동 배출 장치 KR100797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6683 2001-04-24
JP2001126683A JP2002324265A (ja) 2001-04-24 2001-04-24 カード類自動取り出し装置
JPJP-P-2001-00266461 2001-09-03
JP2001266461A JP2003072973A (ja) 2001-09-03 2001-09-03 カード類自動取り出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771A KR20020082771A (ko) 2002-10-31
KR100797382B1 true KR100797382B1 (ko) 2008-01-24

Family

ID=2661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145A KR100797382B1 (ko) 2001-04-24 2002-04-23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자동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797382B1 (ko)
CN (1) CN1221921C (ko)
GB (1) GB2382567B (ko)
TW (1) TW5172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0896B2 (en) 2000-04-12 2013-11-26 Shuffle Master Gmbh & Co Kg Card-handling devices and systems
US8011661B2 (en) 2001-09-28 2011-09-06 Shuffle Master, Inc. Shuffler with shuffling completion indicator
US8616552B2 (en) 2001-09-28 2013-12-31 Shfl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n automatic card handling device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ing same
US7677565B2 (en) 2001-09-28 2010-03-16 Shuffle Master, Inc Card shuffler with card rank and value reading capability
JP3897176B2 (ja) * 2004-08-20 2007-03-22 株式会社バンダイ カード販売装置
KR100650495B1 (ko) * 2004-08-30 2006-12-01 박준규 카드 낱장 공급장치
US7764836B2 (en) 2005-06-13 2010-07-27 Shuffle Master, Inc. Card shuffler with card rank and value reading capability using CMOS sensor
CN100501774C (zh) * 2006-02-16 2009-06-17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卡片刮送装置及使用该卡片刮送装置的卡片发送系统
US8342525B2 (en) 2006-07-05 2013-01-01 Shfl Entertainment, Inc. Card shuffler with adjacent card infeed and card output compartments
US8579289B2 (en) 2006-05-31 2013-11-12 Shfl Entertainment, Inc. Automatic system and methods for accurate card handling
US8353513B2 (en) 2006-05-31 2013-01-15 Shfl Entertainment, Inc. Card weight for gravity feed input for playing card shuffler
US8070574B2 (en) 2007-06-06 2011-12-06 Shuffle Master, Inc.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asino card handling with multiple hand recall feature
US8919775B2 (en) 2006-11-10 2014-12-30 Bally Gaming, Inc. System for billing usage of an automatic card handling device
CN101513572B (zh) * 2008-02-20 2012-11-21 曾慈祥 纸牌游戏机的发牌装置
US8800993B2 (en) 2010-10-14 2014-08-12 Shuffle Master Gmbh & Co Kg Card handling systems, devices for use in card handl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8485527B2 (en) 2011-07-29 2013-07-16 Savant Shuffler LLC Card shuffler
NL1039439C2 (nl) * 2012-03-06 2013-09-09 Bridgedrive Products B V Sorteerinrichting voor het sorteren van speelkaarten.
US8960674B2 (en) 2012-07-27 2015-02-24 Bally Gaming, Inc. Batch card shuffling apparatuses including multi-card storage compartments, and related methods
CN103922168B (zh) * 2014-05-08 2017-08-25 深圳市华鑫精工机械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分卡方法与高速分卡装置
CN104015192B (zh) * 2014-05-29 2016-04-13 深圳市亚特安科技有限公司 依靠惯性自动放物的机械手
US9566501B2 (en) 2014-08-01 2017-02-14 Bally Gaming, Inc. Hand-forming card shuffling apparatuses including multi-card storage compartments, and related methods
US9504905B2 (en) 2014-09-19 2016-11-29 Bally Gaming, Inc. Card shuffling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US9993719B2 (en) 2015-12-04 2018-06-12 Shuffle Master Gmbh & Co Kg Card handl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components
US10933300B2 (en) 2016-09-26 2021-03-02 Shuffle Master Gmbh & Co Kg Card handl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components
US10339765B2 (en) 2016-09-26 2019-07-02 Shuffle Master Gmbh & Co Kg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real-time monitoring and display of related data for casino gaming devices
CN109034282B (zh) * 2018-05-28 2022-02-15 深圳市天毅科技有限公司 一种发卡机存卡、发卡方法和装置
US11376489B2 (en) 2018-09-14 2022-07-05 Sg Gaming, Inc. Card-handl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ssemblies, and components
US11338194B2 (en) 2018-09-28 2022-05-24 Sg Gaming, Inc. Automatic card shufflers and related methods of automatic jam recovery
PH12020050309A1 (en) 2019-09-10 2021-03-22 Shuffle Master Gmbh And Co Kg Card-handling devices with defect detection and related methods
US11173383B2 (en) 2019-10-07 2021-11-16 Sg Gaming, Inc. Card-handl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ssemblies, and components
CN111524846B (zh) * 2020-04-28 2022-06-24 福建晶安光电有限公司 一种led蓝宝石衬底的自动装片装置
EP4302845A1 (en) * 2022-07-08 2024-01-10 Angel Group Co., Ltd. Security electronic shoe for casino
CN115565311A (zh) * 2022-10-18 2023-01-03 河北汇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消除自重影响的多级分票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3519A (en) * 1993-01-25 1996-04-02 Schwetz; Anton Apparatus for loading plate-shaped articles
US5505333A (en) * 1994-08-17 1996-04-09 Bandai Co. Ltd. Card vending machine
US5605249A (en) * 1994-12-12 1997-02-25 Gonyea; Gerald Battery operated vending machine having a carousel stacking arrangement and plunger-type dispenser
US5795488A (en) * 1995-09-26 1998-08-18 Lenzing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ransporting a solution of cellulose in an aqueous tertiary amine-oxi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5443A (en) * 1978-03-31 1981-08-25 Winans Eugene P Card dispensing module
US4847473A (en) * 1988-07-14 1989-07-11 The Children'fund Card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3519A (en) * 1993-01-25 1996-04-02 Schwetz; Anton Apparatus for loading plate-shaped articles
US5505333A (en) * 1994-08-17 1996-04-09 Bandai Co. Ltd. Card vending machine
US5605249A (en) * 1994-12-12 1997-02-25 Gonyea; Gerald Battery operated vending machine having a carousel stacking arrangement and plunger-type dispenser
US5795488A (en) * 1995-09-26 1998-08-18 Lenzing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ransporting a solution of cellulose in an aqueous tertiary amine-ox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209018D0 (en) 2002-05-29
GB2382567A (en) 2003-06-04
GB2382567B (en) 2004-08-18
CN1383099A (zh) 2002-12-04
TW517215B (en) 2003-01-11
KR20020082771A (ko) 2002-10-31
CN1221921C (zh)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382B1 (ko)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자동 배출 장치
US4061245A (en) Helical coil dispensing machine apparatus
US6938896B2 (en) Automatic card dispensing unit with display capability
JPH1063933A (ja) 商品供給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遊技機
US4600121A (en) Article vendor
US3912124A (en) Single copy newsstand vendor
US1622262A (en) Newspaper-dispensing machine
JPH06134137A (ja) スロットマシン用コイン貸し機
JP4798733B2 (ja) メダル貸出機
KR100304006B1 (ko) 도서자동판매기
JP2002324265A (ja) カード類自動取り出し装置
WO2005119604A1 (en) Coin storage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recording the total number of coins stored in a shop
JP2002245530A (ja) 移送機構およびこれを使う自動販売機
EP1001395B1 (en) Cash drawer bill dispenser
JP3818515B2 (ja) 硬貨入出金装置
KR102525991B1 (ko) 멀티자동판매기의 상품 배출장치
JP2018193231A (ja) 媒体投出装置
JP2003072973A (ja) カード類自動取り出し装置
JPH08129673A (ja) 自動販売機
KR20000063046A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장치
JPS5920089A (ja) 硬貨払い出し機
JP3959252B2 (ja) 棒金払出し装置
KR20220102458A (ko)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JPH11134542A (ja) 自動販売機
JP2596469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