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546B1 - 백색화 커피 농축액 - Google Patents

백색화 커피 농축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546B1
KR100796546B1 KR1020000021156A KR20000021156A KR100796546B1 KR 100796546 B1 KR100796546 B1 KR 100796546B1 KR 1020000021156 A KR1020000021156 A KR 1020000021156A KR 20000021156 A KR20000021156 A KR 20000021156A KR 100796546 B1 KR100796546 B1 KR 10079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ncentrate
whitened
solids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791A (ko
Inventor
세발로스아구스틴
히밀올리버
문쯔샤이러다니엘라도리스
크놉리히크리스틴
보덴슈탑슈테판
쿠스리스마르티나스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1001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6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약 25 중량% 이상의 고형물 함량을 갖는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 상기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우유 고형물, 가용성 커피 고형물, 및 커피 향의 혼합물이며, 상기 커피 향은 농축액을 안정화시킨다. 커피 농축액은 1회분 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색화 커피 농축액 {A WHITENED COFFEE CONCENTRATE}
본 발명은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및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용성 커피 고형물 및 우유 고형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커피 제품은 통상 두가지 형태; 즉, 가용성 음료 분말 및 즉시 마실 수 있는(ready-to-drink) 액체 음료로서 발견된다. 이들 제품이 단순한 것처럼 보여도, 이들을 제조하기 위해 심각한 문제점들이 극복될 것이 요구된다. 특히, 커피와 우유의 혼합물이 매우 불안정하다는데에 문제가 있다.
가용성 음료 분말에 있어서, 통상적인 문제점은 음료가 물로 재구성되었을 때, 응집되는 우유 단백질의 외관이다. 응집된 우유 단백질은 소비자 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커피 음료 내에서 우유 단백질의 응집 문제는, 가공시 우유 단백질이 응집하는 단계를 제어함으로써 만족스럽게 처리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처리 후, 재구성된 음료 내에서 임의의 응집된 우유 단백질은 보이지 않을 만큼 적다. 이러한 방법은 US 특허 5,620,733 에 기재되어 있다.
우유 단백질 응집 문제 외에, 즉시 마실 수 있는 액체 음료에 있어서, 음료 내의 지질이 소구체 형태로 음료의 표면에 떠오르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소구체는 크림층으로서 공지된 덩어리진 백색층을 형성하며, 이러한 현상은 크리밍(creaming)으로서 알려져 있다. 용기를 흔들면, 상기 소구체는 통상 음료 내로 재분산된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가시적인 백색 고리가 용기 상에서 액체 음료 및 그 위의 기체 사이의 계면에 잔존한다. 소비자들은 통상 이러한 고리의 존재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가공 기법 및 안정화제가 요구된다.
안정성 문제는 백색화 커피 제품이 액체 농축액 형태로 배합화될 때 더욱 분명해진다. 일반적으로, 농축액의 커피 성분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성이 증가한다. 산성의 증가는 농축액으로부터 재구성된 제품의 맛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외에, 우유 성분의 응유(curdling)를 일으킨다. 또한, 겔화 및 침전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농축액에 의해 제공되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허용가능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이 시판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 25 중량% 이상의 고형물 농도를 가지며, 농축 우유 성분, 농축 가용성 커피 고형물 및 커피 향(aroma)을 함유하는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제공한다.
놀랍게도, 커피 향의 첨가가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안정화시킴이 발견되었 다. 사실상, 이는 커피 향이 통상 우유 농축액 또는 커피 농축액보다 불안정하기 때문에 놀라운 일이다.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80 중량%, 예를 들면, 약 70 내지 약 75 중량% 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건조물 기준으로 약 1 : 0.7 미만, 예를 들면, 약 1 : 0.1 내지 약 1 : 0.6 의 우유 고형물 : 커피 고형물 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슈거(sugar) 약 50 내지 약 60 %, 비유지방 고형물 약 15 내지 약 25 %, 가용성 커피 고형물 약 8 내지 약 15 %, 및 유지방 약 8 내지 약 15 % 를 함유한다.
커피 향은 바람직하게는 저온 응축된 향을 포함한다. 또한, 커피 향은 바람직하게는 방향화 커피 농축액 형태로 제공된다. 방향화 커피 농축액은 바람직하게는 향이 고농축된 것이며, 예를 들면, 약 300 ㎎/방향화 커피 농축액 100 g 이상의 총 유기물 함량 (TOC) 을 갖는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바람직하게는 봉지(sachet) 또는 스틱(stick) 팩 형태로 제공된다. 이 형태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커피 한 잔을 재구성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약 25 중량% 이상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 안정화된 커피 농축액을 제공하기 위해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커피 향을 함유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농축 가용성 커피 고형물 및 농축 우유 성분을 함유하는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방향화 커피 농축액을 혼입하고; 상기 농축액을 균질화하고; 균질화된 농축액을 용기에 충전하여, 약 25 중량% 이상의 고형물 함량을 갖는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단지 예로서 주어진다. 본 발명은 약 25 중량% 이상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제공한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농축 우유 성분, 농축 가용성 커피 고형물, 및 커피 향의 안정화 양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놀랍게도 커피 향은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안정화시킨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장기간 보관 조건하에서 안정성 및 향의 유의한 저하의 문제 없이 저장할 수 있다.
농축 가용성 커피 고형물은 적절한 베이스 커피 농축액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커피 농축액은 2 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에서, 가용성 커피 분말은 목적하는 농도로 물에 용해시킬 수 있다. 두번째 방법에서는 커피 추출 가공으로부터 수득한 커피 추출액을 목적하는 커피 농도로 농축할 수 있다. 커피 추출액은 볶은 커피콩을 추출함으로써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추출 공정의 고안 및 선택은 기호의 문제이며, 본 발명에서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므로 임의의 적절한 추출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임의의 적절한 농축 공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역시 농축 공정의 고안 및 선택이 기호의 문제이며, 본 발명에 대한 결정적인 영향은 없기 때문이다.
희망한다면, 농축 커피 성분은 효소적, 예를 들면 감마나제 (gamanase)를 사용한 가수분해를 수행할 수 있다. 감마나제를 사용한 가수분해는 침전과 같은 안정성 문제를 추가로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커피 향은 매우 방향화된 커피 농축액 형태로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방향화된 커피 농축액은 커피 농축액에 커피 향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커피 향은 가용성 커피 분말의 제조 동안 수집될 수 있는 천연 커피 향 성분 형태이다. 이는 커피 향 성분을 수집하기 위한 표준 공정에 의해, 또는 표준 공정을 적절히 수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커피 향 성분은 매우 휘발성인 향 성분을 포함한다. 매우 휘발성인 향 성분은 약 0 ℃ 미만의 온도에서 응축하는 것들이다. 매우 휘발성인 향 성분을 포획하기 위해, 표준 공정은 통상 질소와 같은 불활성 담체 기체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동안 커피로부터 휘발성 향 성분을 플러슁(flushing)해야한다. 향을 부여받은 담체 기체는 이어서 약 - 40 ℃ 미만, 때때로 약 - 195 ℃ 미만의 낮은 온도로 냉각하여, 향 성분이 응축되도록 한다. 이어서, 응축된 향 성분을 수집한다. 커피 향을 포획하기 위한 적절한 공정은 예를 들면 US 특허 3823241, 5030473 및 5222364 에 기재되어 있다 (각 공보는 참고로 여기서 인용한다).
충분한 커피 향을 커피 농축액에 첨가하여, 약 300 ㎎/방향화 농축액 100 g 이상의 총 유기물 농도 (TOC) 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방향화 농축액은 약 350 ㎎/100 g 내지 약 450 ㎎/방향화 농축액 100 g 의 TOC 를 갖는다. 방향화 커피 농축액은 바람직하게는 약 35 중량% 내지 약 45 중량% 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다.
농축 우유 성분은 적절한 우유 농축액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우유 농축액은 종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적절한 하나의 공정은 제조된 응축 우유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선택된 고형물 함량을 갖는 표준화 용액을 탈지 우유 고형물, 유지방, 물 및 슈거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필수는 아니지만, 희망한다면, 부가적인 우유 단백질 공급원, 예컨대 유장 또는 카제인을 첨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우유 농축액은 우유를 적절히 농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우유 농축액이 사용되는 경우, 우유 농축액은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 이상의 우유 고형물 함량을 갖는다. 예를 들면, 우유 농축액은 약 50 중량% 내지 약 85 중량% 의 고형물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농축 우유 성분, 농축 커피 성분 및 커피 향으로부터 몇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농축 커피 성분 및 커피 향을 배합한 다음, 농축 우유 성분을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혼합물은 우유 농축액 형태로 농축 우유 성분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농축 우유 성분, 농축 커피 성분 및 커피 향을 한 단계로 배합할 수 있다. 적절한 혼합기를 상기 성분들을 배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을 배합하여 제조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건조물 기준으로, 약 1 : 0.7 미만, 예를 들면, 약 1 : 0.2 내지 약 1 : 0.6 의 우유 고형물 : 커피 고형물의 비를 갖는다.
희망에 따라, 부가 성분을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혼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하기를 함유할 수 있다:
- 완충액, 예컨대 중탄산 나트륨 및 칼륨, 인산 이나트륨 및 이칼륨, 시트르산 나트륨 및 칼륨, 및 이들 완충액의 각종 조합물,
- 적절한 감미제, 예컨대 말토덱스트린, 사카린, 시클라메이트, 아세토술팜, 수크랄로스, L-아스파르틸 기재 감미제, 예컨대 아스파르탐, 및 이들 감미제의 혼합물,
- 적절한 향료, 예컨대 바닐라, 버본, 위스키, 쵸콜렛 등,
- 적절한 유화제, 예컨대 글리세롤 및 지방산의 모노- 및 디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톨 모노스테아레이트,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와의 카르복실산 또는 에스테르,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의 모노소듐 포스페이트 유도체, 레시틴,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의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에스테르(데이타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의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에스테르, 숙시닐화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아세틸화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히드록실화 레시틴,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및 디에스테르, 지방산의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지방산의 락틸 에스테르, 및 이들 유화제의 혼합물.
만약 백색화 커피 농축액이 목적하는 고형물 농도를 갖지 않을 경우, 이는 표준화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약 65 내지 약 8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0 중량% 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다. 예를 들면,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약 70 내지 약 75 중량% 의 고형물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약 30 내지 약 35 중량% 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의 수분 활성은 약 0.80 내지 약 0.95 이다. 또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의 pH 는 약 6.0 내지 약 7.0, 예를 들면 약 6.5 일 수 있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희망에 따라 콜로이드 분쇄를 수행할 수 있다. 통상, 콜로이드 분쇄는 약 50 중량% 미만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는 불필요하다. 콜로이드 분쇄는 상승된 온도 조건, 예를 들면 약 100 내지 약 150 ℃ 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콜로이드 분쇄하기 위한 시간은 희망에 따라, 예를 들면 약 1 분 내지 약 20 분으로 선택할 수 있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이 무균적으로 용기에 충전되는 경우, 가공 단계에서 가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약 115 ℃ 초과; 예를 들면 약 120 ℃ 내지 약 150 ℃ 의 온도에서 초고온 (UHT) 처리할 수 있다. 혼합물은 약 5 분; 때때로 약 4 이상의 F0 값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승온에서 방치한다. 예를 들면,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약 120 ℃ 내지 약 135 ℃ 범위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약 5 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가열처리되건 되지 않건,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이어서 균질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2 단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콜로이드 분쇄된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대한 균질화는 약 5 MPa 내지 약 25 MPa 에서 제 1 단계, 이어서 약 1 MPa 내지 약 5 MPa 에서 제 2 단계를 수행한다. 콜로이드 분 쇄를 수행하지 않은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대한 균질화는 약 15 MPa 내지 약 30 MPa 에서 제 1 단계, 이어서, 약 3 MPa 내지 약 10 MPa 에서 제 2 단계를 수행한다.
이어서, 충전하기 전에 열처리하거나 하지 않고,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적절한 용기에 충전한다.
하나의 대안으로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약 80 내지 약 100 ℃ 의 온도로 약 1 분 미만의 가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이어서, 뜨거운 농축액을 적절한 용기에 고온 충전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으로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적절한 용기에 무균 충전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으로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적절한 용기에 충전한 다음, 레토르트 처리할 수 있다.
또다른 대안으로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동결시켜 적절한 용기에 충전할 수 있다.
용기는 가공 조건 및 목적 생성물의 종류에 따라 가요성, 반강성 또는 강성일 수 있다. 적절한 용기는 스틱 팩; 봉지(sachet); 판지기재 육면 팩 (밀폐가능 또는 불가능); 단일충전 팩; 압착가능 플라스틱 병; 스탠드업 파우치 (standup pouch); 플라스틱 컵 등을 포함한다. 팩을 제조하기 위한 장비 및 재료는 상업적으로 시판된다. 용기는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대한 수증기, 산소 및 광 투과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도록 차단성을 제공해야 한다.
1회분 용기로서 적절하게는 봉지 또는 스틱 팩이다. 스틱 팩은 좁고 긴 봉지로 고려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알루미늄/폴리에틸렌층을 함유하는 필름이 충분히 높은 차단성을 제공하는 필름의 예이다. 수직형 충전기 및 밀봉기를 사용할 수 있다. 편리하게는, 봉지 또는 스틱 팩은 놋치(notch), 팬시 컷(fancy cut) 또는 레이저 컷(laser cut)에 의한 통상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절개부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편리한 1회분 팩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소비자는 팩을 개봉하여, 농축액을 컵에 붓고 짜낸 후, 물을 첨가하기만 하는 것을 요구한다. 스틱 팩은 약 20 내지 약 50 g 의 농축액을 함유할 수 있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으로 제조된 음료는 떫은 산성 없이 우수한 향 및 풍미 프로필을 갖는다. 또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며, 저장 조건 하에서 연장된 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을 부가로 예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체예를 하기에 기재한다.
실시예 1
US 특허 5222364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새로 분쇄한 커피로부터 커피 향을 수집하여, 저온 응축한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 커피 추출액의 증기 스트리핑(stripping)으로부터 수성 향 증류액을 수득한다. 이어서, 응축된 향 및 수성 향 증류액을 약 50 중량% 의 커피 고형물 농도를 갖는 커피 농축액에 혼합한다. 생성 방향화 커피 농축액은 약 39 중량% 의 고형물 농도 및 약 382 ㎎/커피 농축액 100 g 의 TOC 를 갖는다.
가용성 커피 고형물을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베이스 커피 농축액을 제조한다. 베이스 커피 농축액은 약 25 내지 약 30 중량% 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다.
이어서, 베이스 커피 농축액 및 방향화 커피 농축액을 5 : 1 의 중량비로 혼합기 내에서 배합한다. 생성 커피 농축액은 약 25 내지 약 30 중량% 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다.
우유 농축액 성분 (탈지유 고형물 약 22 건조중량%, 버터 지방 약 12 건조중량%, 슈거 약 66 건조중량%) 을 혼합기 중의 생성 커피 농축액에 첨가하여,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제공한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 중의 비유지방 고형물 : 커피 고형물의 비는 약 1 : 0.58 이다. 인산 이나트륨 소량 (약 0.4 건조중량%) 을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포함한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약 72 중량% 의 고형물 함량, 약 0.83 의 수분 활성 및 약 6.5 의 pH 로 표준화한다.
이어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콜로이드 분쇄한다. 분쇄된 농축액을 2 단계로 균질화 한다; 약 10 MPa 에서 제 1 단계, 이어서 약 3 MPa 에서 제 2 단계. 균질화된 농축액을 증기를 직접 주입함으로써 약 93 ℃ 에서 약 45 초 동안 가열한다. 뜨거운 농축액을 백색화 커피 농축액 약 20 g 씩을 함유하도록 스틱 팩에 충전한다. 수직형 충전기 및 밀봉기가 사용된다. 필름은 폴리에스테르/알루미늄/폴리에틸렌 필름이다. 스틱 팩은 레이저 절단기에 의해 제공된 절개부를 갖는다.
스틱 팩을 개봉하고, 내용물을 컵에 짜낸다. 뜨거운 물 약 150 ㎖ 를 첨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한다. 즉석에서 재구성되어, 백색화 커피 음료가 수득된다. 어떠한 우유 응집도 발견되지 않으며, 덩어리 또는 기타 용해되지 않은 물질이 측정되지 않는다. 음료의 맛을 보고, 부드러운 커피 맛을 발견하였으며, 감지할만한 쓴맛 및 산성은 발견하지 못하였고, 풍부한 커피 향이 있다. 음료는 어떠한 모래같은 질감 또는 먼지같은 조직감도 없이 우수한 식감을 갖는다.
실시예 2
어떠한 커피 향도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혼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의 방법을 반복한다. 스틱 팩을 A 군으로 라벨링한다. 실시예 1 의 스틱 팩은 1 군으로 라벨링한다. 모든 스틱 팩을 20 ℃ 에서 저장한다. 각 군으로부터의 샘플을 1 개월 후, 및 그 후 총 5 개월 저장 동안 매달 개봉한다. 농축액의 점도 및 침전을 측정한다. 결과는 하기 표 1 과 같다:
시간 (개월) 점도 (mPa/s) 침전 (㎜)
A 1 2800 0.4
2 3100 1.9
3 4800 2.9
4 5700 3.9
5 ND 7.0
1 1 2000 0.4
2 1600 0.4
3 1800 1.9
4 2000 1.9
5 2200 1.9
상기 결과는 커피 향을 함유하는 백색화 커피 농축액이 실질적으로 더욱 일정한 점도를 유지하며, 겔화에 덜 민감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침전이 덜하다.
실시예 3
커피 향을 첨가하기에 앞서, 베이스 커피 농축액을 감마나제 1.5 ℓ를 사용하여 효소적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의 방법을 반복한다.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함유하는 스틱 팩을 9 개월까지 저장한다. 약 9 개월 후, 크리밍(creaming), 덩어리짐, 침전 및 겔화 같은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여, 허용불가능한 수준에 이른다. 가수분해되지 않은 커피 고형물을 함유하며, 커피 향을 함유하지 않는 백색화 커피 농축액은 1 내지 3 개월 후 허용불가능한 안정성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에 따라, 가용성 음료 분말에 통상적으로 나타나는 재구성시 응집, 크리밍 등과 같은 문제점 없이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농축 우유 성분, 농축 가용성 커피 고형물, 및 커피 향을 함유하며, 25 중량% 이상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으로서,
    상기 커피 향이 상기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유효량으로 첨가되는 것인 백색화 커피 농축액.
  2.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물 기준으로, 유지방 (fat milk) 및 비유지방 (non-fat milk) 고형물을 함유하는 우유 성분 : 가용성 커피 고형물의 비가 1 : 0.1 내지 1 : 0.7 인 농축액.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피 향이 방향화 커피 농축액 형태로 제공되는 농축액.
  4. 제 3 항에 있어서, 방향화 커피 농축액이 300 ㎎/방향화 커피 농축액 100 g 이상의 총 유기물 함량 (TOC) 을 갖는 농축액.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건조 중량 기준으로, 유지방 8 내지 15 %, 비유지방 고형물 15 내지 25 %, 슈거 (sugar) 50 내지 60 % 및 가용성 커피 고형물 8 내지 15 % 를 함유하고, 상기 유지방 및 비유지방 고형물은 우유 성분으로 함유되는 것인 농축액.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형물 농도가 70 내지 80 중량% 인 농축액.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농축 가용성 커피 고형물이 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되는 농축액.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농축액을 함유하는 1회분 봉지 (sachet).
  9. 하기를 포함하는 백색화 커피 농축액의 안정화 방법:
    안정화된 커피 농축액을 제공하기 위하여 커피 향을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첨가하며, 상기 백색화 커피 농축액이 25 중량% 이상의 고형물 농도를 갖는 것임.
  10. 하기를 포함하는,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의 제조방법으로서:
    방향화 커피 농축액을, 농축 가용성 커피 고형물 및 농축 우유 성분을 함유하는 백색화 커피 농축액에 혼입하고,
    상기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균질화하고,
    균질화된 농축액을 용기에 충전하여, 25 중량% 이상의 고형물 함량을 갖는 안정한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제공함;
    커피 향이 상기 백색화 커피 농축액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유효량으로 첨가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000021156A 1999-04-26 2000-04-21 백색화 커피 농축액 KR100796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108164A EP1048220B1 (en) 1999-04-26 1999-04-26 A whitened coffee concentrate
EP99108164.7 1999-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791A KR20010014791A (ko) 2001-02-26
KR100796546B1 true KR100796546B1 (ko) 2008-01-21

Family

ID=823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156A KR100796546B1 (ko) 1999-04-26 2000-04-21 백색화 커피 농축액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6447830B1 (ko)
EP (1) EP1048220B1 (ko)
JP (1) JP4287571B2 (ko)
KR (1) KR100796546B1 (ko)
CN (1) CN1286387C (ko)
AU (1) AU776774B2 (ko)
BR (1) BR0002123A (ko)
CA (1) CA2303653C (ko)
ES (1) ES2395257T3 (ko)
HU (1) HUP0001630A3 (ko)
IN (1) IN190420B (ko)
MX (1) MXPA00003935A (ko)
MY (1) MY128936A (ko)
PL (1) PL197604B1 (ko)
RU (1) RU2264120C2 (ko)
SG (1) SG87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29808T3 (es) * 1999-01-28 2005-04-16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rema en polvo soluble aromatizada.
EP1048220B1 (en) * 1999-04-26 2012-10-1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A whitened coffee concentrate
US7640843B2 (en) * 2003-01-24 2010-01-05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20070207241A1 (en) * 2004-09-20 2007-09-06 Corsa Beheer B.V. Combination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Drink
US7479333B2 (en) * 2004-12-13 2009-01-20 Hyteon, Inc. Fuel cell stack with multiple groups of cells and flow passes
US9894910B2 (en) 2006-03-20 2018-02-20 A.C. Dispensing Equipment, Inc. Beverage whitening composition and method
US8420148B2 (en) * 2006-03-20 2013-04-16 A.C. Dispensing Equipment, Inc. Beverage whitening composition and method
US20070237857A1 (en) * 2006-04-10 2007-10-11 Silver Richard S Stabilized Enzyme Compositions
JP4995145B2 (ja) * 2008-05-26 2012-08-08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コーヒーエキスの製造方法
US9173417B2 (en) 2008-10-27 2015-11-03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Coffee and dairy liquid concentrates
US8273634B2 (en) * 2008-12-04 2012-09-2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substrates
GB2469627A (en) * 2009-04-20 2010-10-27 Coca Cola Co Beverage comprising an ammonium salt
PL2775863T3 (pl) * 2011-11-11 2023-11-27 Richard Hirschauer Napój wielosmakowy
US9445686B2 (en) 2011-11-16 2016-09-20 Bunn-O-Matic Corporation Liquid beverage dispenser
RU2015131083A (ru) 2012-12-28 2017-02-02 Нестек С.А. Система эмульгаторов
EP3054778B1 (en) * 2013-10-11 2017-06-14 Nestec S.A. Method of producing a coffee beverage powder
JP2017522014A (ja) * 2014-07-03 2017-08-10 クラフト・フーズ・グループ・ブランズ・エルエルシー 低含水コーヒーおよび茶飲料濃縮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97019A (ko) * 2014-12-19 2017-08-25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커피 아로마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0989A (en) * 1941-10-30 1944-02-08 Salkin Bernard Beverage concentrate
US2801920A (en) * 1954-12-09 1957-08-06 Standard Brands Inc Prevention of gel in frozen coffee extract
GB1415844A (en) * 1972-11-03 1975-11-26 Unilever Ltd White coffee concentrate
WO1989004282A1 (en) * 1987-11-06 1989-05-18 Koska & Watts Limited Package for water-containing substan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55956A (de) * 1946-04-23 1948-07-31 E Osswald F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ollständig löslichen, aromatischen Kaffee-Extraktes in Pastenform.
GB1130129A (en) * 1967-06-08 1968-10-09 Thomas Wolf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oncentrated coffee and milk
US3823241A (en) 1970-09-21 1974-07-09 Procter & Gamble Cryogenic aromatization of instant coffee
US5030473A (en) 1985-05-01 1991-07-09 Nestec S.A. Cryogenic aroma recovery
FR2610174A1 (fr) * 1987-02-04 1988-08-05 Ventrella Antonio Concentre de cafe sucre et techniques d'elaboration et d'utilisation
US4983408A (en) * 1988-12-07 1991-01-08 Colton Ralph L Method for producing coffee extracts
US5222364A (en) 1991-09-16 1993-06-29 Nestec S.A. Recovery of aroma gases
EP0679338B1 (fr) 1994-04-02 1999-07-0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composition pour boisson
GB2301015B (en) * 1996-03-12 1997-04-23 Nestle Sa Soluble coffee beverage product
DE69807992T2 (de) * 1997-06-19 2003-05-28 Nestle Sa Löslicher Getränkeaufheller
CA2241489A1 (en) * 1997-07-25 1999-01-25 Kraft Foods, Inc. High concentration aromatized liquid coffee extract and liquid coffee made therefrom
EP1048220B1 (en) * 1999-04-26 2012-10-1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A whitened coffee concentr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0989A (en) * 1941-10-30 1944-02-08 Salkin Bernard Beverage concentrate
US2801920A (en) * 1954-12-09 1957-08-06 Standard Brands Inc Prevention of gel in frozen coffee extract
GB1415844A (en) * 1972-11-03 1975-11-26 Unilever Ltd White coffee concentrate
WO1989004282A1 (en) * 1987-11-06 1989-05-18 Koska & Watts Limited Package for water-containing subst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6387C (zh) 2006-11-29
RU2264120C2 (ru) 2005-11-20
JP4287571B2 (ja) 2009-07-01
EP1048220A1 (en) 2000-11-02
CA2303653C (en) 2010-06-08
HUP0001630A2 (hu) 2001-02-28
KR20010014791A (ko) 2001-02-26
HUP0001630A3 (en) 2001-03-28
US20020192351A1 (en) 2002-12-19
US6447830B1 (en) 2002-09-10
CN1277810A (zh) 2000-12-27
MXPA00003935A (es) 2002-03-08
CA2303653A1 (en) 2000-10-26
ES2395257T3 (es) 2013-02-11
AU776774B2 (en) 2004-09-23
PL339896A1 (en) 2000-11-06
AU2894300A (en) 2000-11-02
BR0002123A (pt) 2001-05-22
SG87098A1 (en) 2002-03-19
MY128936A (en) 2007-03-30
PL197604B1 (pl) 2008-04-30
JP2000316477A (ja) 2000-11-21
US6548101B2 (en) 2003-04-15
IN190420B (ko) 2003-07-26
HU0001630D0 (en) 2000-06-28
EP1048220B1 (en)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546B1 (ko) 백색화 커피 농축액
KR100903757B1 (ko) 마끼아또 커피 농축물 시스템
JP3702176B2 (ja) 乳入りコーヒー飲料
KR101465282B1 (ko) 캡슐로부터 크림형 우유-기반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및 그러한 준비를 위한 키트
US20080317924A1 (en) Bever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681074C (en) Coffee and dairy liquid concentrates
US20070178215A1 (en) De-bittering creamer
AU2009287839B2 (en) Milk composition and milk-added beverage, both having lower whey protein content
JP3432791B2 (ja) 乳成分入り飲料
CN117940021A (zh) 咖啡饮料及其制造方法
JP6760752B2 (ja) 容器詰乳成分含有酸性飲料用添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