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56B1 - 프레임을 갖춘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장착한 스타터 - Google Patents

프레임을 갖춘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장착한 스타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56B1
KR100796356B1 KR1020027006453A KR20027006453A KR100796356B1 KR 100796356 B1 KR100796356 B1 KR 100796356B1 KR 1020027006453 A KR1020027006453 A KR 1020027006453A KR 20027006453 A KR20027006453 A KR 20027006453A KR 100796356 B1 KR100796356 B1 KR 100796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ube
switch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527A (ko
Inventor
엠마뉘엘 베르몽
귀 포꽁
알렝 루마네
에릭 또라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에끼쁘망 엘렉뜨리끄 모뙤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에끼쁘망 엘렉뜨리끄 모뙤르 filed Critical 발레오 에끼쁘망 엘렉뜨리끄 모뙤르
Publication of KR2002006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1)을 갖추고 있는 유형의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자속이 통과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되며, 이동축(3)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기부와, 고정축(2)의 지지를 위한 버팀턱(14), 및 상기 기부 반대편에서 상기 버팀턱보다 축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덮개(6)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는, 상기 프레임(1)이 구멍이 형성된 횡단 방향의 기부(11)와 끼움부(13)와 버팀턱(14)을 포함하는 축방향 튜브(10)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10)는 기부(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임을 갖춘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장착한 스타터 {COIL FRAME IGNITION SWITCH FOR MOTOR VEHICLE AND STARTER PROVIDED WITH SAME}
본 발명은 프레임을 갖춘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장착한 스타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는 정지 및 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다. 정지위치에서 접속부는 자동차의 전극접지에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부품에 접촉되어 있으며, 반대로 운동위치에서 접속부는 전류의 입구 접속단자와 스타터 전기모터 전력공급단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실행시킨다. 운동위치에서 전기모터 축은 구동휠을 갖춘 작동기를 회전하게 만들며, 작동기는 자동차의 열모터에 회전 연결되어 있는 스타터링과 맞물려 돌아가게되는데 이는 상기 모터에 시동을 걸기위한 것이다. 입구 및 출구 접속단자는 절연물질로 만들어진 덮개를 형성하는 움푹파인 형태의 지지블록으로 지탱되어 있다.
스위치는 스위치 이동축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자기유도코일을 포함하고 있는 감긴 코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은 그 결과로서 한편으로는 스타터 전기모터의 전력공급을 야기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동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작동기와 연결될 회전 포크를 통해 스타터 구동휠의 이동을 야기시키는데, 이 이동은 스타터 구동휠을 기어부를 갖춘 스타터 링과 맞물리게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스위치는 자기 물질, 일반적으로 순수한 또는 용해된 부드러운 철로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이 프레임은 덮개에 의해 방수 폐쇄되는 원통형 통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자기유도코일을 포함하는 환형으로 감긴 코일이 장착되게 되며, 프레임과 덮개는 스위치 내부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접지회로를 형성한다. 환형의 코일은 여기전류가 통할 때 스위치에 축방향 자기장을 유발하는데, 특히 코일의 축방향 일 단부에 장착되어 고정축을 형성하는 극체(polar mass)로 인해 야기되는 현상이다. 이때 코일은 고정축과 함께 자기 물질로 된 이동축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할 수 있다.
이처럼 이동축은, 스위치의 프레임 축방향 일 단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통과하여 밀려난 휴지 위치와 코일에 의해 유발된 자기장의 영향으로 코일 내부로 삽입된 운동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
프레임의 축방향 일 단부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기부로 형성되고, 횡단 방향의 상기 기부의 외주면에는 축방향 원통부가 연결된다.
기부의 코일 반대편 외면에는 나선형의 압축 스프링이 지지되어 이동축을 탄성적으로 휴지 위치로 회복시킨다. 기부는 또한 중앙 구멍을 통하여 유도 튜브의 지지부로 작용한다. 이 유도 튜브는 또한 코일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유도 튜브는 내주면이 원통형의 이동축 외주면과 접촉한다. 상기 이동축의 중앙부에는 조정 레버와 스프링의 홈통을 형성하는 막힌 구멍이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이동축과 레버의 헤드 부분 사이에서 움직이며, 레버의 헤드 부분은 스타터 작동기에 연결되어 있는 스타터 포크용 링크 축을 지지하기 위해 이동축을 통과한다.
상기 프레임은 기부의 반대편 단부에서 덮개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덮개는, 덮개의 배치와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원통형 테두리와 스위치를 축방향으로 폐쇄하는 횡단 원판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커버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단자들은 덮개의 원판부 위에서 지름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즉 스위치의 대칭축에 대해 대칭으로 놓이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접속단자는 접속 헤드와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데, 접속 헤드는 스위치 내부에서 덮개의 횡단 원판부에 맞대어져 있고, 연결 단자는 부분적으로 골이 형성되어 있고 횡단 원판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어 스위치 외부로 뻗어 있다.
첫 번째 접속단자는 일반적으로 키 컨택트(key contact)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작동하는 차단장치에 의해 자동차 축전지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연결될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접속단자는 스타터 전기모터의 전력공급 케이블을 받아들일 것이다.
덮개는 프레임의 단부에 크림핑(crimping)에 의해 방수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은 원통부의 자유단에 고정축의 지지를 위한 횡단 버팀턱과 고정축의 중심배치를 위한 원통부를 포함하며, 덮개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또한 끼움부라고도 불리는 두께가 얇은 원통부를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끼움부의 단부는 버팀턱과 덮개의 자유단 사이에 고정축이 끼워질 수 있도록 덮개의 원뿔 형태의 외부로 단차진 부분에 접하는 부분이 안으로 꺽어져 있다. 상기 끼움부는 기부의 반대쪽 축방향으로 버팀턱을 초과하여 연장된다.
하나의 판으로 형성되는 이동 접속부는 환형 내벽과 덮개의 원판부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의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즉 고정축과 맞닿는 휴지 위치와 자동차 축전지 배터리에서 야기된 전류를 스타터 모터에 공급해 주는 전기적 연결이 두 개의 접속단자들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접속단자들의 헤드부에 맞닿는 활동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이동 접속부의 축방향 이동은 축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제어 레버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어 레버의 이동은 이동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미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이동 접속부는 제어 레버 위에서 미끌어지도록 장착된다.
제어 레버는, 일단이 제어 레버의 버팀턱에 닿아있고 타단은 이동 접속부의 뒤쪽 횡단면에 닿아있는 접속 스프링을 통하여 이동 접속부를 휴지 위치에서 활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회복 스프링에 의해 제어 레버와 이동 접속부가 휴지 위치로 되돌아온다.
회복 스프링은 덮개의 횡단 원판부의 중앙에 위치된 원형 홈통의 바닥에 닿아 있으며, 금속 와셔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와셔는 제어 레버의 두 번째 버팀턱과 접속단자와 함께 작동하는 이동 접속부의 앞쪽 횡단면에 닿아있다.
휴지 위치에서 이동 접속부는 돌출부를 구비한 고정축과 접촉한다.
스위치의 코일을 통해 동력이 공급되는 전자 제어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자 회로를 통해 스위치의 이동축의 이동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는 전자화되며 전자식 구성부품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장착하고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유럽특허 EP A 0 751 545와 1999년 7월 30일자로 프랑스에 특허 출원된 FR 99 09977에 기술되어 있는 것처럼, 고정 축과 방수벽으로 된 횡단벽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방수벽은 플라스틱 주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역시 동일 물질로 제조된 덮개 내에 힘을 주어 끼워넣을 수 있다. 방수성은 상기 물질의 변형을 통해 획득된다.
이처럼, 자기 이동축을 이동 접속부에 연결시켜주는 제어 레버는 방수벽의 축방향 원통형 통을 축방향으로 가로지른다.
상기 통은 직경방향으로 층지게 잘려 있으며 프랑스 특허 FR 99 09977에 기술되어 있는 것처럼 전후 원통부를 가진다.
환형의 축방향 후방 원통부는 고정축 구멍에 삽입되며, 고정축과 함께 방수처리된다.
금속 연결체가 방수벽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금속 연결체를 통해 이동 접속부가 유지 위치에 있을 때 고정축과 이동 접속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연결체는 축방향으로 벽의 전방을 통과하며, 이동 접속부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이동 접속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보장하기 위해 벽의 전방 횡단면을 따라 뻗어있는 방사상으로 접힌는 리드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는 통 벽의 축방향 후방 환형 원통부가 축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둥근 쇠고리 형태의 기판에 연결되어 있다. 기판은 고정축과의 전기적 접속을 보장한다. 이를 위하여, 통의 벽은 리드의 통행을 위한 구멍을 포함한다. 이 구멍은 통 벽의 전방 원통부와 후방 원통부 사이의 직경의 변화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버팀턱 내에 형성된다(좀 더 명확한 정보를 위해서는 상기한 프랑스 특허 R 99 09977을 참조).
이동 접속부는 휴지 위치에서 특히 스위치 내부에 전자 기판이 없는 경우에는 고정축과 접속되거나, 또는 고정축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부품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방수벽과 접속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에 따라, 프레임의 기부 및 원통부의 두께는 자속 통행의 필요성에 따라 정해질 필요가 있다. 과도한 전류 소비를 피하고 코일에 과도하게 구리 함량을 높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자기회로를 과도하게 포화시키지 않아야 한다. 즉 충분한 자속 통행 부위를 가져야 한다.
기부는 3 - 6 mm 정도의 비교적 큰 두께를 가진다. 원통부의 두께는 이보다 얇은데, 이는 자속 통행 부위가 더 넓은 주변 부위로 퍼져있기 때문이며, 그 두께는 2 - 4 mm 정도이다. 이러한 두께들은 철판의 드로우잉 금형작업을 통한 프레임 제작에 상응하는 두께들이다.
끼움부는 통상 0.4 - 1 mm의 두께를 가지며, 원통부는 내부에 세 개의 다른 직경을 포함하는데 이는 특히 직경의 변화를 이용한 버팀턱의 형성을 위한 것이다.
프레임은 첫 번째 단계에서 금형작업을 행하고, 이어 두 번째 단계에서 가공 작업을 행하며,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에서 부식 방지와 특히 스타터가 자동차에 장착시 프레임의 외관을 고려한 표면처리를 행하여 형성된다.
가공 작업은 특히 프레임의 길이를 맞추고 버팀턱과 끼움부의 형성을 위해 원통부의 직경을 따라 내부에 단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표면처리는, 기부의 외면(후방면)이 코일의 접지회로로 사용되기 때문에 우수한 전기 전도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상기 코일은 스타터 전기모터가 작동하기 시작하고 이동 접속부가 폐쇄된 후에 이 이동 접속부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는 전자화된 스위치의 경우에는 전기회로의 접지회로 기능을 한다. 부수적으로, 기부는 스타터 케이스 위에 스위치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세 단계는 과도한 투자를 요구하는 작업이며, 특히 드로우잉 금형작업이 그러하다. 또한 상기 세 단계는 특히 작업의 상이성으로 인해 같은 장소에서 실현되기가 대단히 어려운 작업들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단순화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된 유형의 자기 물질로 된 프레임을 구비한 스위치는, 프레임이 하기의 두 종류의 부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는 구멍이 형성된 횡단 방향의 기부이며, 둘째는 끼움부와 버팀턱을 포함하는 축방향 튜브이다. 상기 튜브는 기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해, 각각의 기본 구성 요소들은 그 생산 방법이 간단해지고 비용이 절약된다.
본 발명은 철판의 특별한 제련 기술을 필요로 하는 드로우잉 금형작업과 비교해 볼 때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프레스 방법을 통한 프레임 생산 방법과 비교해 볼 때 그 투자비용이 적게드는 방법이다.
또한, 첫 번째 부품을 구성하는 기부는 자속의 원활한 통행을 위해 원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부의 두께는 튜브 두께 보다 1.3 - 2 배에 이른다. 그 결과 기부의 두께는 종래기술에서 보다 더욱 두꺼워질 수 있다.
튜브는 표면 처리 작업이 미리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부는 튜브에 비해 잘 보이지 않는 부위이기 때문에 미관상의 표면 처리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다. 튜브는 특히 부식 방지를 위해 도색 및 외벽의 표면 처리가 되어 있다. 그 결과 튜브의 표면 처리를 위한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또한, 기부는 전기 모터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타터 케이스와 닿아 있기 때문에 기부에 대한 표면 처리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스타터 케이스가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어 있어 부식의 위험 정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만일 스타터가 부식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놓이거나 그 보호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미적 관점과는 상관 없이 가장 적합한 처리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튜브는 원하는 길이로 절단되며, 버팀턱과 끼움부의 형성은 차후의 가공 작업을 피하기 위해 기부와 튜브의 고정 작업 전에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는 전자화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는 덮개의 길이 및 끼움부의 길이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은 표준화를 용이하게 한다. 튜브는 이러한 길이의 변화에 맞추어지는 부품이며, 적용 방식에 따라 끼움부의 길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다소간 돌출된다. 이 점이 바로 저장할 부품의 수를 줄이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최장 길이의 끼움부를 가진 튜브를 먼저 제조하고, 이후 적용 방식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같은 작업 장소에 이러한 생산 도구들을 모두 모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운송 및 생산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튜브는 미리 버팀턱과 끼움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어떠한 2차 가공 작업도 필요치 않다. 또한 각 부품에 대한 어떠한 드로우잉 금형작업도 필요치 않다.
튜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부의 외주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기부의 외주면이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기부와 튜브을 미리 위치를 잡아줌으로써 서로에 대한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기부를 구성하는 첫 번째 부품은 단순한 둥근 쇠고리 형태이다. 변이형으로서, 기부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는 튜브의 대응하는 단부 또는 튜브 전체를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튜브는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다각형 또는 기타 형태 등을 취할 수 있다.
기부에 대한 튜브의 고정은 튜브의 내부에서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을 확고히 하고 미관을 높이기 위해 프레임의 내부에서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한가지 실시 형태에서, 기부와 튜브는 간접적 열 전달을 통해, 특히 프레임의 내부에서 용접될 때 튜브의 외주면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부분적으로만 가열할 수 있는 레이저 용접 또는 전자 빔 용접을 통해 상호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 방법은 어떠한 금속 물질의 지원도 필요하지 않고, 자기 회로의 우수한 내구성과 함께 용접 선의 돌출이 배제되는 단단하고 방수성을 지닌 고정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접은 기부의 외부 가장자리 쪽으로 향하는 비스듬한 용접 방식을 통해 튜브의 내부에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스위치가 적용된 스타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의 원통형 프레임은 종래기술의 프레임을 대치하는 프레임이다. A-A 대칭 축을 중심으로 표시된 이 프레임은 종래기술의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자속 통행을 용이하게 하며, 각각의 단순하고 경제성 있는 자기 물질로 된 부품들을 포함한다.
좀 더 명확히 말하자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프레임(1)은 하기의 두 가지 부품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품은 횡단 방향의 부품으로서 구멍이 있는 기부(11)이고, 두 번째 부품은 일 단부에 덮개가 끼워지는 끼움부(13)와 종래기술의 고정축이 지지되는 버팀턱(14)을 포함하는 축방향 튜브(10)이다. 기부(11)의 두께는 튜브(10)의 두께보다 두껍다.
상기 두 개의 부품(11, 10)은 부드러운 쇠로 된 철판 제품이다. 도면에서 튜브(10)는, 고정축의 외주면에 접하는 원통형 가이드 및 중심 배치 부위를 형성하고 버팀턱(14)에 의해 한정되는 원통형 가이드 및 중심 배치 부위 보다 두께가 더 얇은 원통형 끼움부(13)를 형성하는 단차진 내경을 갖는 축방향 일 단부(10a)를 제외하고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튜브(10)는 도 3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축방향 단부(10b)에서 기부(11)에 고정된다.
기부(11)는 종래기술의 기부에 대응하며, 이동축의 통행을 위해 중앙에 구멍이 나 있다. 이 기부(11)는 종래기술의 기부와 같은 두께를 가지며, 여기서는 단순한 쇠고리 형태로 되어 있다. 튜브(10)는 종래기술의 원통부에 대응하며,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내부 직경 및 외부 직경을 가진다.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단부(10b)와 버팀턱(14) 사이의 두께는 종래기술의 원통부의 두께와 동일하다.
튜브(10)의 끼움부(13)의 두께와 길이는 덮개가 끼워져 고정축에 닿아 고정될 수 있는 종래기술의 해당 부위와 동일하다.
튜브(10)의 원통형 가이드 및 중심 배치 부위의 내부 직경 및 길이는 종래기술의 가이드 및 중심 배치 부위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튜브(10)의 길이가 한정된다. 여기서 튜브(10)는 원형이다.
변이형으로서, 끼움부(13) 및 중심 배치 부위는 그 내부 직경의 크기가 같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부(10a)는 버팀턱(14)까지 뻗어있는 끼움부에 의해 한정되는 하나의 끼움 통만을 포함함다. 이 변이형에 있어서, 고정축의 외부 직경이 증대되어진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외부 튜브(10)의 단부(10a)는 끼움부(13)를 구성하기 위해 버팀턱(14)보다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기부(11)의 반대편으로 뻗어있다.
튜브(10)는 기부(11)와 고정축 간의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튜브(10)의 길이는 종래기술의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한 축 길이를 가지도록, 즉 끼움부(13)의 자유 단부가 같은 축상 위치를 가지도록 조절된다.
기부(11)와 튜브(10)의 결합과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튜브(10)는 기부(11)를 둘러싸고 덮는다. 도 3에서, 튜브(10)는 축방향 단부(10b)의 내주면에서 기부(11)의 외부 가장자리와 접촉하며, 따라서 기부(11)는 미적 양상 및 부식 방지를 위해 미리 표면 처리되어 있는 튜브(10)에 의해 가려진다. 작업의 질 및 그 비용의 측면에 있어서 이러한 처리 방법을 선택할 가능성은 종래기술의 프레임을 선택할 가능성 보다 높아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튜브(10)와 기부(11)가 같은 부품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다.
기부(11)는 알루미늄으로 된 스타터 케이스와 닿게되므로 부식의 위험이 적기 때문에 표면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사용할 곳의 기후 조건이 나쁜 경우에는 미관을 고려하지 않은 채 기부에 표면 처리를 할 수 있다.
부품들(10, 11)을 결합한 후에는 어떠한 사후 처리도 요구되지 않는다.
이들의 결합은 튜브(10)의 단부(10b)를 기부(11)에 고정하여 실행되며, 단부(10b)의 내주면과 쇠고리 형태의 기부(11)의 외주면을 닿게 함으로써 그 결합이 용이해진다. 이에 의하여 고정 작업에 앞서 미리 두 부품들(10, 11)의 중심 배치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면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튜브(10) 내에 버팀턱을 형성하기 위해 기부(11)와 단부(10b)의 직경을 어느 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단부(10b)와 튜브(10)의 기본 부위 사이의 직경의 변화 수준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경우 단부(10b)를 늘일 수 있으며, 이 단부의 전방면에서 상기 버팀턱과 접촉되는 기부(11)의 후방면에 닿아 있는 지점에서 상기 단부를 꺽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현 형태에 있어서, 부품들(10, 11) 간의 고정은 끼우기 작업을 통해 실행되어진다. 필요할 경우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용접 지점이 기부(11)의 후방면과 단부(10b)의 꺽인 부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부품들(10, 11)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회전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서, 기부(11)에 대한 튜브(10)의 고정은 도면부호 12로 표시된 것과 같이 축방향 용접에 의해 실현되는데, 예컨대 레이저 또는 전자 빔을 이용한 간접 열 전달을 통해 기부(11)의 후방면에서 기부(11)의 외주면과 튜브(10)의 축방향 단부(10b)의 내주면 사이에 고정이 실현된다. 이러한 유형의 용접(12)은 그 변이형으로서 기부(11)에 속하는 횡단면과 튜브(10)의 대응하는 단부(10b)에 속하는 횡단면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이 변이형에 있어서, 기부(11)는 헤드와 몸통을 지닌 마개의 형태를 취하는데, 헤드는 기부의 대응 횡단면을 한정하며, 몸통은 단부(10b)의 내주면에 닿아 있는 튜브(10) 안에 삽입된다. 상기 단부의 끝 부분은 또 다른 횡단면을 형성한다.
또 다른 변이형으로서, 튜브(10)의 단부(10b)는 도 3에서 나타나듯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부(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작업은 특히 미적 양상을 위해 그리고 외적 침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기부(11) 전방면의 외주면 및 대응하는 단부(10b)의 내주면에서 튜브(10) 및 프레임의 내부에서 실현된다. 이러한 고정은 용접을 통해 실현된다. 전술된 용접(12)은 기부(11)의 전방면 외주면에서 기부(11) 및 프레임의 내부에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실현된다.
이러한 실현 형태들에 있어서, 면적은 증가되지 않으며, 부품들(10, 11)은 단순한 형태를 가지게 되며, 고정 작업은 레이저 유형의 순수 용접(12) 또는 전자 빔 용접 등의 간접 열 전달 방식을 통해 국지적으로 실현된다. 이러한 유형의 용접 시 사용되는 에너지 밀도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용접 부위에 있어서 표면 처리가 손상되어 용접을 방해하지 않는다. 가열되는 부분은 상당히 국부적이며 관련된 부품의 나머지 표면 처리에는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특히 튜브(10)의 외주면은 용접에 불구하고 미적 상태를 그대로 보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프레임의 크기를 유지하고 용접 부위의 돌출을 막기 위해 금속물의 지원없이 행해지는 용접 방법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용접 또는 전자 빔 용접 등의 간접 열 전달 방식의 용접이 이러한 효과를 위해 바람직하다.
튜브(10)는 원통 부재로 형성되며, 변이형으로서 둥글게 말아 용접된 통 또는 둥글게 말아 죔쇠로 고정된 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또한 기부(11)를 지나는 자속의 통행 부위를 강화시켜주는데 사용된다. 물론 기부(11)의 고정 이후 차후 가공 작업을 피하기 위해 버팀턱(14)과 끼움부(13)를 미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구비한 스위치는 기술된 실시 방법에 따라 자동차의 스타터에 장착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기부(11)의 두께를 튜브(10)의 두께 보다 1.3 - 2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고정에 있어서도 또 다른 고정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쉽게 조작하고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튜브(10) 및 기부(11)가 쉽지 분리되지 않게 만들면 된다.
변이형으로서, 튜브(10)가 기부를 둘러싸지 않고, 튜브(10)의 기부(11)에 대한 고정은 방사상 용접(12)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부(11)의 외부 가장자리에서, 기부(11)의 전방면과 튜브(10) 단부(10b) 사이에 레이저 또는 전자 빔 유형의 간접 열 전달 방식의 용접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변이형에 있어서, 기부(11) 및 튜브(10)의 외부 직경은 동일하다.
면적, 특히 축 방향 면적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지 않을 경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튜브(10)는 기부(11)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으며, 또한 기부(11)의 후방면에 대해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기부(11)에 대한 튜브(10)의 고정은 기부(11) 후방면의 외부 가장자리와 튜브(10)의 인접한 단부(10b)의 내주면 사이에서 비스듬하게 행해지는 튜브(10) 내부의 용접을 통해 실현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기부의 방수성을 위해서, 자기 회로의 연속성을 위해서, 그리고 부품들(10, 11) 간의 단합성을 위해서 용접선이 연속적인 것이 좋다.

Claims (10)

  1. 자속이 통과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된 프레임(1)으로서, 이동축(3)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기부와, 고정축(2)의 지지를 위한 버팀턱(14), 및 상기 기부 반대편에서 상기 버팀턱보다 축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덮개(6)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1)을 구비한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구멍이 형성된 횡단 방향의 기부(11)와 끼움부(13)와 버팀턱(14)을 포함하는 축방향 튜브(10)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10)는 기부(1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기부(11)의 외주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는 끼움부(13)의 반대편 단부(10b)에서 기부(11) 외부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11)와 튜브(10)는 간접적 열 전달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11)와 튜브(10)는 레이저 용접 또는 전자 빔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11)와 튜브(10)는 튜브(10) 내부에서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은 기부(11)의 외부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실행되는 레이저 용접 또는 전자 빔 용접을 통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는 부식 방지 및 미감을 위해 표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11)의 두께는 튜브(10)의 두께 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타터.
KR1020027006453A 2000-09-25 2001-09-21 프레임을 갖춘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장착한 스타터 KR100796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2144 2000-09-25
FR0012144A FR2814590B1 (fr) 2000-09-25 2000-09-25 Contacteur a carcasse po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et demarreur muni d'un tel conta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527A KR20020065527A (ko) 2002-08-13
KR100796356B1 true KR100796356B1 (ko) 2008-01-21

Family

ID=885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453A KR100796356B1 (ko) 2000-09-25 2001-09-21 프레임을 갖춘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장착한 스타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230661B1 (ko)
KR (1) KR100796356B1 (ko)
BR (1) BRPI0107167B1 (ko)
DE (1) DE60127650T2 (ko)
ES (1) ES2284701T3 (ko)
FR (1) FR2814590B1 (ko)
WO (1) WO200202567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8672A (en) 1941-11-26 1943-05-11 Gen Motors Corp Solenoid switch
EP0768695A1 (fr) * 1995-10-12 1997-04-16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Contacteur de démarreur portant des contacts fixes perfectionnés et démarreur de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un tel contacteu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8672A (en) 1941-11-26 1943-05-11 Gen Motors Corp Solenoid switch
EP0768695A1 (fr) * 1995-10-12 1997-04-16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Contacteur de démarreur portant des contacts fixes perfectionnés et démarreur de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un tel contac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27650D1 (de) 2007-05-16
ES2284701T3 (es) 2007-11-16
FR2814590A1 (fr) 2002-03-29
EP1230661A1 (fr) 2002-08-14
EP1230661B1 (fr) 2007-04-04
DE60127650T2 (de) 2007-12-20
WO2002025679A1 (fr) 2002-03-28
KR20020065527A (ko) 2002-08-13
BRPI0107167B1 (pt) 2016-02-10
FR2814590B1 (fr) 2002-10-18
BR0107167A (pt) 200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3551A (en) Starter contactor having an electronic control circuit, and a vehicle starter having such a contactor
CN100428569C (zh) 屏蔽电线、与其连接的箱体,它们的连接方法及屏蔽电线单元
CA2369011A1 (en) Armature for an electromotive device
JP3998730B2 (ja) スタータのための接続リレー
JPH09162030A (ja) ソレノイドおよび自動車車両のクランキング装置
KR100796356B1 (ko) 프레임을 갖춘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장착한 스타터
JP2003244898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スリップリング装置
KR100824747B1 (ko) 프레임을 갖춘 자동차 스타터용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장착한 스타터
CN206727022U (zh) 接触器、汽车电机驱动系统和车辆
US5757256A (en) Starter and contactor therefor
US574597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tary electric machine
US7305751B2 (e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in varnished wires of the secondary winding of an ignition coil
FR2793272B1 (fr) Serrure comprenant un actionneur electrique, en particulier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P0416704B1 (en) Method of connecting a conductor wire to a hook-shaped element, and rotor and/or stator for an electrical machine in which the method is used
EP0874445B1 (en) Armature for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welded joint between upper and lower coil conductors
KR100771740B1 (ko) 자동차의 시동 접촉기용 단자 조립체
CN210489399U (zh) 自防护型电感
CN220797136U (zh) Pcb组件及天线
JPH10227306A (ja) アース取り装置
EP0859393B1 (fr) Contacteur pour un démarreur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refectionné de centrage d'un noyau fixe
KR200270921Y1 (ko) 휴대용 인버터 용접기
CN209993467U (zh) 一种汽车点火线圈的铁芯结构
JP2005014008A (ja) 溶接端子
DE102009054376A1 (de) Hochdruckentladungslampe
KR100752014B1 (ko) 부싱 접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점화 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