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44B1 -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 Google Patents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44B1
KR100796344B1 KR1020060135173A KR20060135173A KR100796344B1 KR 100796344 B1 KR100796344 B1 KR 100796344B1 KR 1020060135173 A KR1020060135173 A KR 1020060135173A KR 20060135173 A KR20060135173 A KR 20060135173A KR 100796344 B1 KR100796344 B1 KR 10079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llicle frame
support member
pair
anodiz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선용
Original Assignee
권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선용 filed Critical 권선용
Priority to KR102006013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06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노다이징 공정 다음의 도금 공정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펠리클 프레임과의 사이의 통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지지바아(20)에 각각 결합되어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이 각각 끼워지는 지지홈(32)이 형성된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바아(20)와 지지부재(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접촉된 상태로 개재되어 상기 지지바아(20)의 표면에서 상기 지지부재(30)를 공간부(g)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페이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아노다이징 공정 다음의 도금 공정에서 도금풀에 채워진 도금액에 영향을 주어 펠리클 프레임의 표면에 도금 얼룩이 생기는 경우를 방지함과 더불어 아노다이징 지그와 펠리클 프레임 사이의 통전성을 높여 아노다이징 효율을 향상시키므로, 펠리클 프레임의 고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도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지부재, 스페이서, 티타늄, 지지홈, 점첩촉

Description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Pellicle frame anodizing jig}
도 1은 본 발명의 아노다이징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지지부재와 펠리클 프레임의 접촉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재의 지지홈 부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걸이부재 20. 지지바아
30. 지지부재 32. 지지홈
본 발명은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노다이징 공정 다음의 도금 공정에서 도금풀에 채워진 도금액에 영향을 주어 펠리클 프레임의 표면에 도금 얼룩이 생기는 경우를 방지함과 더불어 아노다이징 지그와 펠리클 프레임 사이의 통전성을 높여 아노다이징 효율을 향상시키므로, 펠리클 프레임의 고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펠리클 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펠리클 프레임의 일면에 박판 형태의 펠리클(pellicle)을 부착하여 반도체, LCD의 사진식각 공정에서 포토마스크나 레티클 표면을 대기중 분자나 다른 형태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이때, 펠리클 프레임은 통상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도금을 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도금 공정 이전에 아노다이징(anodizing: 양극산화) 공정을 거친다. 아노다이징이란 금속(부품)을 플러스전극봉에 걸고 전해액(황산, 인산, 수산 등의 희석산 전해액)에서 전해시켜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소재 금속과 대단한 밀착력을 가진 산화피막(산화알미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펠리클 프레임에 단단히 밀착되어 있는 양극피막(즉, 산화피막)은 모든 도금 시스템에서 화학적으로 활성표면을 제공하여 도장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에 도금을 행하기 이전에 필수적으로 아노다이징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아노다이징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아노다이징용 지그에 펠리클 프레 임을 고정하여 아노다이징 지그를 플러스극에 걸어주게 된다. 최근에,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06-14414호로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용 고정지그"가 출원된 바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6-14414호는 일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된 전극봉의 상하측에 대향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안착바가 구비되고, 제1 및 제2안착바에 제1 및 제2고정부재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제1 및 제2고정부재의 선단부에는 쐐기형 요입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6-14414호에 의하면, 제1 및 제2고정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요입부에 펠리클 프레임의 양측을 걸어서 설치하고, 전극봉의 절곡부를 아노다이징용 풀의 상측에 수평 설치된 전극에 걸어서 아노다이징 풀에 채워진 아노다이징 용액에 펠리클 프레임을 담근 다음, 전극봉에 전원을 인가하면 펠리클 프레임이 아노다이징 처리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6-14414호는 제1 및 제2고정부재의 표면이 제1 및 제2안착바의 표면에 붙어 있는 상태로 되어, 아노다이징 작업시에 제1 및 제2고정부재와 제1 및 제2안착바 사이에 희석산 전해액이 축적되어 다음의 도금 공정에서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재가 안착바에서 이격되지 않고 붙었는 상태가 되어, 아노다이징 공정 중에 희석산 전해액이 고정부재와 안착바 사이에 축적되며, 이렇게 축적된 희석산 전해액은 다음 도금공정 수행시 도금용 풀(pool)에 섞인 화학성분과 반응하여 도금약품의 질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도금 공정 수행시 펠리클 프레임(1) 표면에 얼룩이 생겨서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6-14414호는 아노다이징 공정중에 희석산 전해액의 황산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같이 녹아들게 되며, 이처럼 볼트와 너트가 같이 녹아들면 반복적인 아노다이징 작업 수행시에 통전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펠리클 프레임에 얼룩 반점이 생기는 등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노다이징 공정 후의 도금 공정에서 펠리클 프레임의 표면에 도금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펠리클 프레임의 고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노다이징 지그와 펠리클 프레임 사이의 통전성을 높여 아노다이징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펠리클 프레임의 표면에 얼룩이나 반점이 생겨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새로운 구성의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지지바 아(20)에 각각 결합되어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이 각각 끼워지는 지지홈(32)이 형성된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바아(20)와 지지부재(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접촉된 상태로 개재되어 상기 지지바아(20)의 표면에서 상기 지지부재(30)를 공간부(g)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페이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스페이서(50)는 통공(h)이 형성된 와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40)에 상기 스페이서(50)를 끼워서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 사이에 개재시키며, 상기 볼트(40)에 체결되는 너트(45)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50)가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의 표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페이서(50)와 볼트(40) 및 너트(45)는 티타늄으로 제작되어,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에 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재(10)와 지지바아(20) 및 지지부재(30)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홈(32)은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을 기준으로 외향으로 갈수록 대칭되게 벌어진 한 쌍의 경사부(32a)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경사부(32a)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모서리부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면취부(1a)가 각각 접촉되고, 상기 지지홈(32)의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과 각 경사부(32a) 사이의 각도는 상기 펠리클 프 레임(1)의 양측 면취부(1a)의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홈(32)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과 각 경사부(32a) 사이의 각도 30°이고, 상기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면취부(1a)의 각도는 상기 지지홈(32)의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과 나란한 직선(L1)에 대해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홈(32)을 형성하는 상기 한 쌍의 경사부(32a)에는 상기 지지편(30s)의 서로 마주하는 면인 안쪽면에서 바깥쪽면 방향으로 갈수록 거리가 좁혀지도록 만곡된 단면 형태의 점접촉부(32b)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32)의 한 쌍의 대향되는 각 경사부(32a)에 펠리클 프레임(1)의 모서리부 양측에 형성된 면취부(1a)가 점접촉(P)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향 경사진 제1절곡부(36)와, 상기 제1절곡부(36)의 선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절곡부(36)보다 상대적으로 더 내향으로 경사진 제2절곡부(3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절곡부(36)의 각도는 상기 지지부재(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L2)과의 각도가 30°이고, 상기 제2절곡부(38)의 각도는 상기 제1절곡부(36)의 선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재(3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L3)에 대해 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는 적어도 두 개의 와이어(60)에 의해 서로 연결 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이에 접속 장착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0) 사이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60)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중간의 연결부(31)에 의해 복수개의 지지부재(30)가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60)의 양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연결부(31) 외측면에서 상기 지지바아(20)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바인딩 절곡부(62)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60)의 바인딩 절곡부(62)가 상기 지지바아(20)와 지지부재(30)의 연결부(31)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를 상호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60)에는 경사절곡부(6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재(10)는 단면 직사각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아(20)가 접속되는 일면에는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안착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10)의 안착홈(22)에 상기 지지바아(20)를 예비적으로 안착시켜서 용접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노다이징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지지부재와 펠리클 프레임의 접촉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이 걸이부재(10) 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이 지지바아(20)에 볼트(40)와 너트(45)에 의해 고정된 지지부재(30)와, 이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50)를 갖는다.
상기 걸이부재(10)는 단면 직사각형의 알루미늄바아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일단부에 걸이부(12)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재(10)의 일면에는 네 군대의 안착홈(22)이 형성되어, 이 안착홈(22)에 후술할 지지바아(20)가 예비적으로 안착되어 알곤용접에 의해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네 개의 지지바아(20)가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두 쌍의 서로 마주보는 지지바아(20)가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바아(20)는 단면 직사각형의 알루미늄바아로 제작되어 걸이부재(10)의 안착홈(22)에 안착되어 알곤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지지바아(20)의 긴 변이 걸이부재(10)의 안착홈(22) 상측으로 세워진 형태로 용접 고정된다. 즉, 지지바아(20)의 양측 넓은면이 걸이부재(10)의 일면에 대해 직각으로 세워진 형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바아(20)의 외측면에는 각각 한 쌍의 지지부재(30)가 볼트(40)와 너트(45)로 고정된다. 이때, 지지부재(30)는 지지바아(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되는 중간의 연결부(31)에 복수개의 지지부재(30)가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30)의 연결부(30)와 지지바아(20)를 관통하여 너트(45)로 고정되는 볼트(40)에 의해 복수개의 지지부재(30)가 지지바아(20)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재(30)는 서로 마주보는 선단부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이 접촉되어 끼워지는 지지홈(32)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30)는 지지바아(20)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 다시 말해, 도 1을 참조할 때 지지바아(20)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바아(20)를 기준으로 대향 연장된 각 지지부재(30)의 선단부에 지지홈(3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할 때, 지지바아(20)를 기준으로 한 쌍의 지지부재(30)와 지지부재(30)가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각 지지부재(30)가 지지바아(2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대항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나라한 지지바아(20)가 걸이부재(10)의 상하 방향으로 두 셋트를 이루어 장착되고, 두 쌍의 지지바아(20)에 한 쌍의 나란한 지지부재(30)가 네 셋트를 이루어 장착된다.
상기 스페이서(50)는 지지바아(20)와 지지부재(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접촉된 상태로 개재되어 지지바아의 표면에서 지지부재를 공간부(g)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서(50)는 통공(h)이 형성된 와셔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스페이서(50)의 통공(h)이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40)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볼트(40)에 체결되는 너트(45)에 의해 스페이서(50)가 지지부재(30), 구체적으로, 연결부(31)와 지지바아(20)의 표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50)가 지지부재(20)를 지지바아(20)의 표면에 직접 닿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50)는 티타늄으로 제작되어, 스페이서(50)에 의해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가 서로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스페이서(50)와 지지부재(30) 및 지지바아(20)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볼트(40)와 너트(45)도 티타늄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10)와 지지바아(20) 및 지지부재(30)는 모두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30) 선단부에 형성된 각 지지홈(32)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을 끼운 다음, 걸이부재(10) 일단부의 걸이부(12)를 아노다이징 풀(anodizing pool : 희석산 전해액이 채워진 풀) 상측의 플러스 전극봉(미도시)에 걸어서 펠리클 프레임(1)을 희석산 전해액에 담근 다음 아노다이징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아(20)와 지지부재(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스페이서(50)가 개재되어, 지지부재(30)가 지지바아(20)의 표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공간(g)을 형성한다.
이처럼 스페이서(50)에 의해 지지부재(30)를 지지바아(20)의 표면에서 이격시켜 공간(g)을 형성하는 이유는 아노다이징 작업시에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 사이에 희석산 전해액이 축적되어 다음의 도금 공정에서 악영향을 주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가 이격되지 않고 서로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되면, 아노다이징 공정 중에 미량의 희석산 전해액이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 사이에 축적되며, 이렇게 축적된 희석산 전해액은 다음 도금공정 수행시 도금용풀(pool)에 섞인 화학성분과 반응하여 도금약품의 질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도금 공정 수행시 펠리클 프레임(1) 표면에 얼룩이 생겨서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이 저하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지지바아(20)와 지지부재(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티타늄으로 제작된 스페이서(50)가 개재되어, 지지부재(30)가 지지바아(20)의 표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기 때문에,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의 사이에 희석산 전해액이 축적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추후 펠리클 프레임(1) 도금 공정 중에 축적된 전해액이 도금용 풀에 담긴 도금용액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이로 인해, 펠리클 프레임(1) 표면에 얼룩이 생겨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50)는 와셔 형상으로 제작되어 지지부재(30)을 지지바아(20)에 고정하는 볼트(40)의 둘레부에 끼워진다. 따라서, 지지부재(30)를 볼트(40)와 너트(45)에 의해 지지바아(20)에 고정할 때 와셔 형태의 스페이서(50)를 볼트(40)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50)는 티타늄으로 제작되고, 스페이서(50)와 지지부재(30)를 지지바아(20)에 고정하는 볼트(40)와 너트(45)도 티타늄으로 제작된다.
스페이서(50)와 볼트(40) 및 너트(45)를 티타늄으로 제작하는 이유는 아노다이징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스페이서(50)와 볼트(40) 및 너트(45)가 같이 녹는 경우를 방지하여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즉, 아노다이징 공정은 펠리클 프레임(1)이 고정된 아노다이징 지그를 인산, 황산 등의 희석산 전해액에 담가서 수행하게 되는데, 통전성을 고려하면 볼트(40)와 너트(45) 및 스페이서(50)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볼트(40)와 너트(45) 및 스페이서(50)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면, 아노다이징 공정중에 희석산 전해액의 황산에 의해 볼트(40), 너트(45), 스페이서(50)가 같이 녹아들게 되며, 이처럼 볼트(40), 너트(45), 스페이서(50)가 같이 녹아들면 반복적인 아노다이징 작업 수행시에 통전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펠리클 프레임(1)에 얼룩 반점이 생기는 등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볼트(40)와 너트(45) 및 스페이스(50)를 티타늄으로 제작하여, 희석산 전해액 속에서의 반복적으로 아노다이징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볼트(40), 너트(45), 스페이서(50)가 녹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과의 사이에 통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 저하나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주요부인 걸이부재(10)와 지지바아(20) 및 지지부재(30)를 모두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 아노다이징 지그와 펠리클 프레임(1)과 사이의 통전성을 높여 아노다이징 효율을 향상시키며, 이로 인해,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통전성이 저하됨으로 인하여 펠리클 프레임(1)의 표면에 얼룩이나 반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므로,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0) 선단부의 지지홈(32)은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을 기준으로 외향으로 갈수록 대칭되게 벌어진 한 쌍의 경사부(32a)에 의해 브이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경사부(32a)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모서리부가 각각 접촉되고, 상기 지지홈(32)의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과 각 경사부(32a) 사이의 각도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모서리부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면취부(1a)의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홈(32)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과 각 경사부(32a) 사이의 각도는 30°이고,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면취부(1a)의 각도는 지지홈(32)의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과 나란한 직선(L1)에 대해 45°이다.
이때, 펠리클 프레임(1)의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1a)를 형성하는 이유는 취급시에 펠리클 프레임(1)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에 의해 손을 베이는 등의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하는 것과, 펠리클 프레임(1)의 전후면에 글루(접착풀)를 발라서 펠리클막을 부착할 때 펠리클 프레임(1)의 모서리에 형성된 면취부(1a)로 글루가 충전되어 펠리클 프레임(1)의 외부로 퍼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30) 선단부의 지지홈(32)을 구성하는 각 경사부(32a)와 지지홈(32)의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 사이의 각도가 펠리클 프레 임(1)의 양측 모서리부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면취부(1a)의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아노다이징 공정중에 아노다이징되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시켜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즉, 펠리클 프레임(1)을 잡아주는 아노다이징 지그와 펠리클 프레임(1) 사이에 접촉되는 부분이 많으면 그만큼 아노다이징되지 않는 면적이 늘어나게 되며, 이로 인해, 추후 도금 공정에서 펠리클 프레임(1)의 도금되지 않는 부분이 그만큼 많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홈(32)의 각 경사부(32a)와 지지홈(32)의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 사이의 각도가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모서리부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면취부(1a)의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홈(32)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모서리가 점접촉(P)되기 때문에, 아노다이징시의 통전성은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아노다이징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시켜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각도 θ1은 30°이고 각도 θ2는 45°로서 상기 지지홈(32)의 각 경사부(32a)가 펠리클 프레임(1)의 면취부(1a)의 바깥쪽 포인트에 점접촉(P)되어, 아노다이징시의 통전성은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아노다이징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을 점접촉(P) 부분으로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홈(32)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경사부(32a)에는 지지부재(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인 안쪽면에서 바깥쪽면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거 리가 좁혀지는 단면 형태의 점접촉부(32b)가 형성되어, 지지홈(32)의 한 쌍의 대향되는 각 경사부(32a)에 형성된 각 점접촉부(32b)에 펠리클 프레임(1)의 모서리부 양측에 형성된 면치부가 점접촉된다.
다시 말해, 펀치에 의해 지지부재(30)의 선단부를 펀칭하여 지지부재(30)의 선단부에 지지홈(32)을 형성하는데, 펀치를 지지부재(30)의 안쪽면(즉,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바아(20)에 한 쌍의 지지부재(30)를 대향되도록 부착하였을 때 각 지지부재(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서 바깥쪽면 방향으로 작동시켜 지지홈(32)을 형성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인 안쪽면에서 바깥쪽면 방향으로 갈수록 거리가 좁혀지도록 만곡된 단면 형태의 점접촉부(32b)가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홈(32)의 한 쌍의 대향되는 각 경사부(32a)에 형성된 점접촉부(32b)에 펠리클 프레임(1)의 모서리부 양측에 형성된 면취부(1a)가 점접촉되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에서 아노다이징되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향 경사진 제1절곡부(36)와, 상기 제1절곡부(36)의 선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절곡부(36)보다 상대적으로 더 내향 경사진 제2절곡부(3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절곡부(36)의 각도는 지지부재(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L2)에 대해 30°이고, 상기 제2절곡부(38)의 각도는 상기 제1절곡부(36)의 선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재(3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L3)에 대해 60°이다.
상기 제1절곡부(36)와 제2절곡부(38)는 펠리클 프레임(1)의 외표면이 지지부재(30)의 안쪽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의 외표면이 아노다이징되지 않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는 물론, 이중 절곡 구조로 인하여 펠리클 프레임(1)을 잡아주는 힘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2절곡부(38)는 제1절곡부(36)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각도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홈(32)에 펠리클 프레임(1)의 모서리부가 점접촉되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0)의 지지홈(32)을 구성하는 양측 경사부(32a)의 점접촉부(32b)의 최하측 끝에 펠리클 프레임(1)의 면취부(1a) 끝이 점접촉(P)되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에서 아노다이징되지 않는 부분을 점으로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30)는 알루미늄에 의해 단면 평철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중에 대향하는 지지부재(30) 사이의 장력이 저하된 경우, 알루미늄 평철 형상의 지지부재(3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당하게 굽혀줌으로써, 펠리클 프레임(1)을 잡아주는 장력을 손쉬운 방식으로 적절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는 적어도 두 개의 알루미늄 와이어(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이에 접속된 한 쌍의 지지부재(30)의 서로 마주하는 각 지지부재(30) 사이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알루미늄 와이어(60)에 의해 펠리클 프레임(1)과 지지부재(30) 사이의 통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바아(20)는 네 면을 갖는 단면 사각형의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와이어(60)의 양단부에는 지지바아(20)의 네 면중에서 지지부재(30)와 마주하는 외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세 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지지부재(30)의 연결부(31)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절곡된 바인딩 절곡부(62)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와이어(60)의 양단 바인딩 절곡부(62)가 지지바아(20)의 네 면중에서 지지부재(30)와 마주하는 외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세 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지지부재(30)의 연결부(31) 외측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아노다이징 지그와 펠리클 프레임(1) 사이의 통전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60)의 대략 중앙부에는 경사절곡부(64)가 더 형성되어, 이 경사절곡부(64)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지지바아(20)와 지지부재(30) 사이의 장력을 유지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중에 대향하는 지지바아(20)와 지지부재(30) 사이가 벌어져 장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알루미늄 와이어(60) 중간 부분의 경사절곡부(64)를 파지하여 각 지지바아(20)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당겨주는 방향으로 비틀어주면, 각 지지바아(20)와 이에 부착된 지지부재(3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혀지면서 장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장력 조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이부재(10)는 단면 직사각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아(20)가 접속되는 일면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안착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10)의 안착홈(22)에 지지바아(20)를 예비적으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알곤 용접 고정할 수 있으므로, 지지바아(20) 조립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 는 효과도 있다. 즉, 용접중에 지지바아(20)가 좌우 방향으로 틀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용접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6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양측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에 형성된 홈(3)에 포인트 접촉되는 제1지지핀(70)과 제2지지핀(80)이 구비된 거치프레임(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핀(70)과 제2지지핀(80)의 선단부에는 원뿔형 포인트 접점부(72a,82a)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제1지지핀(70)은 거치프레임(90)의 일측부에 나사식으로 전후진되도록 결합되고, 제2지지핀(80)은 거치프레임(90)의 타측부에 스프링(83)에 의해 탄성적으로 전후진되도록 결합된다. 즉, 제2지지핀(80)은 거치프레임(90)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둘레부에 걸림턱(86)이 구비되어, 이 제2지지핀(80)의 둘레부에 끼워진 스프링(83)이 거치프레임(90)의 타측부 내측면과 제2지지핀(80)의 걸림턱(86)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프레임(90)의 안쪽에 펠리클 프레임(1)을 배치하고, 제2지지핀(80)의 포인트 접점부(82a)를 펠리클 프레임(1)의 일측부의 홈(3)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제1지지핀(70)의 포인트 접점부(72a)를 펠리클 프레임(1) 타측부의 홈(3)에 끼워서 제1지지핀(70)을 나사식으로 조여주면, 상기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가 제1 및 제2지지핀(70,80)에 의해 지지되어 펠리클 프레임(1)이 상기 거치프레임(90) 안쪽에 통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리클 프레임(1)을 걸어준 거치프레임(90)의 양측부를 각각 서로 마주하는 지지부재(30)의 지지홈(32)에 끼워서 걸어준 다음, 아노다이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핀(80)은 스프링(83)에 의해 탄성적으로 전후진 되도록 구성되어, 제1지지핀(70)을 과도하게 조여서 펠리클 프레임(1)이 과도한 힘에 의해 휘어지려고 하는 순간에 제2지지핀(80)이 후퇴하면서 과도한 힘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을 조여서 걸어줄 때 펠리클 프레임(1)이 휘어지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홈(32)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홈(32)이 곡면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홈(32)은 지지부재(30)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선 D-D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원호부(32a)에 의해 곡면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아노다이징 공정 후의 도금 공정에서 펠리클 프레임의 표면에 도금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펠리클 프레임의 고품질 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노다이징 지그와 펠리클 프레임 사이의 통전성을 높여 아노다이징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펠리클 프레임의 표면에 얼룩이나 반점이 생겨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새로운 구성의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8)

  1.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지지바아(20)에 각각 결합되어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을 각각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홈(32)이 형성된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바아(20)와 지지부재(3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접촉되도록 개재되어 상기 지지바아(20)의 표면에서 상기 지지부재(30)를 공간부(g)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페이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50)는 통공(h)이 형성된 와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40)에 상기 스페이서(50)를 끼워서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 사이에 개재시키며, 상기 볼트(40)에 체결되는 너트(45)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50)가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의 표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50)와 볼트(40) 및 너트(45)는 티타늄으로 제작되어, 상기 볼트(40)와 너트(45)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50)가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30)와 지지바아(20)를 서로 통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10)와 지지바아(20) 및 지지부재(30)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 선단부의 지지홈(32)은 브이홈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곡면홈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홈(32)은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을 기준으로 외향으로 갈수록 대칭되게 벌어진 한 쌍의 경사부(32a)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경사부(32a)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모서리부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면취부(1a)가 각각 접촉되고, 상 기 지지홈(32)의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과 각 경사부(32a) 사이의 각도는 상기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면취부(1a)의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제(3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향 경사진 제1절곡부(36)와, 상기 제1절곡부(36)의 선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절곡부(36)보다 상대적으로 더 내향 경사진 제2절곡부(3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36)의 각도는 상기 지지부재(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L2)과의 각도가 30°이고, 상기 제2절곡부(38)의 각도는 상기 제1절곡부(36)의 선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재(3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L3)에 대해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는 적어도 두 개의 와이어(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이에 접속 장착된 상기 한 쌍 의 지지부재(30) 사이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60)에는 경사절곡부(6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10)는 단면 직사각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아(20)가 접속되는 일면에는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안착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10)의 안착홈(22)에 상기 지지바아(20)를 예비적으로 안착시켜서 용접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2.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지지바아(20)에 각각 결합되어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이 각각 끼워지는 지지홈(32)이 형성된 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걸이부재(12)와 지지바아(20) 및 지지부재(30) 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홈(32)은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을 기준으로 외향으로 갈수록 대칭되게 벌어진 한 쌍의 경사부(32a)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경사부(32a)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면취부(1a)가 각각 접촉되고, 상기 지지홈(32)의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C)과 각 경사부(32a) 사이의 각도는 상기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 면취부(1a)의 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 선단부의 지지홈(32)은 브이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곡면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5.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지지바아(20)에 각각 결합되어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 는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을 각각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홈(32)이 형성된 지지부재(30)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양측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에 형성된 홈(3)에 포인트 접촉되는 제1지지핀(70)과 제2지지핀(80)이 구비된 거치프레임(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핀(70)은 거치프레임(90)의 일측부에 나사식으로 전후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핀(80)은 상기 거치프레임(90)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둘레부와 상기 거치프레임(90)의 타측부 안쪽면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83)에 의해 탄성적으로 전후진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이징 지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핀(70)과 제2지지핀(80)의 선단부에는 원뿔형 포인트 접점부(72a,82a)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 선 단부의 지지홈(32)은 브이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곡면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20060135173A 2006-12-27 2006-12-27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079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173A KR100796344B1 (ko) 2006-12-27 2006-12-27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173A KR100796344B1 (ko) 2006-12-27 2006-12-27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344B1 true KR100796344B1 (ko) 2008-01-21

Family

ID=3921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173A KR100796344B1 (ko) 2006-12-27 2006-12-27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44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44B1 (ko) * 2012-02-28 2013-11-26 주식회사 동원하이텍 대형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1423416B1 (ko) * 2013-01-25 2014-07-24 케이씨케미칼 주식회사 공작물 표면처리용 지그
KR101629173B1 (ko) * 2015-03-06 2016-06-13 김영진 자동차의 축전지 샐커버용 아노다이징 도금지그
CN105780080A (zh) * 2016-05-20 2016-07-20 河北鑫东瑞合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方孔管件的阳极氧化挂具及装挂方法
CN105803504A (zh) * 2016-05-20 2016-07-27 河北鑫东瑞合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圆形工件的阳极氧化挂具及装挂方法
KR101831194B1 (ko) * 2017-06-23 2018-02-22 김영진 자동차 축전지 샐커버 세척용 지그
KR102236262B1 (ko) * 2020-08-10 2021-04-05 주식회사 삼원알텍 표면처리용 지그
KR20210141083A (ko) 2020-05-15 2021-11-23 디케이알텍(주) 메탈카드용 아노다이징 도금 지그
KR20210141082A (ko) * 2020-05-15 2021-11-23 디케이알텍(주) 이중 아노다이징에 의한 메탈카드의 다색 착색 방법
KR20210141081A (ko) * 2020-05-15 2021-11-23 디케이알텍(주) 알루미늄 합금 메탈카드의 제조 방법
KR102373957B1 (ko) * 2021-08-04 2022-03-11 김재일 표면처리용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KR102406931B1 (ko) * 2021-08-04 2022-06-08 김재일 표면처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KR102449453B1 (ko) * 2022-02-11 2022-09-29 조준명 간소한 마킹 기능을 갖는 도금용 지그 장치
KR20230036362A (ko) 2021-09-07 2023-03-14 디케이알텍(주) 메탈 카드용 도금 지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011A (ko) * 1997-09-20 1999-04-06 김창국 반도체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내식성의 도금층을갖는 알루미늄 금속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011A (ko) * 1997-09-20 1999-04-06 김창국 반도체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내식성의 도금층을갖는 알루미늄 금속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44B1 (ko) * 2012-02-28 2013-11-26 주식회사 동원하이텍 대형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1423416B1 (ko) * 2013-01-25 2014-07-24 케이씨케미칼 주식회사 공작물 표면처리용 지그
KR101629173B1 (ko) * 2015-03-06 2016-06-13 김영진 자동차의 축전지 샐커버용 아노다이징 도금지그
CN105780080A (zh) * 2016-05-20 2016-07-20 河北鑫东瑞合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方孔管件的阳极氧化挂具及装挂方法
CN105803504A (zh) * 2016-05-20 2016-07-27 河北鑫东瑞合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圆形工件的阳极氧化挂具及装挂方法
KR101831194B1 (ko) * 2017-06-23 2018-02-22 김영진 자동차 축전지 샐커버 세척용 지그
KR20210141082A (ko) * 2020-05-15 2021-11-23 디케이알텍(주) 이중 아노다이징에 의한 메탈카드의 다색 착색 방법
KR20210141083A (ko) 2020-05-15 2021-11-23 디케이알텍(주) 메탈카드용 아노다이징 도금 지그
KR20210141081A (ko) * 2020-05-15 2021-11-23 디케이알텍(주) 알루미늄 합금 메탈카드의 제조 방법
KR102342754B1 (ko) * 2020-05-15 2021-12-23 디케이알텍(주) 메탈카드용 아노다이징 도금 지그
KR102366288B1 (ko) * 2020-05-15 2022-02-23 디케이알텍(주) 이중 아노다이징에 의한 메탈카드의 다색 착색 방법
KR102366287B1 (ko) * 2020-05-15 2022-02-23 디케이알텍(주) 알루미늄 합금 메탈카드의 제조 방법
KR102236262B1 (ko) * 2020-08-10 2021-04-05 주식회사 삼원알텍 표면처리용 지그
KR102373957B1 (ko) * 2021-08-04 2022-03-11 김재일 표면처리용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KR102406931B1 (ko) * 2021-08-04 2022-06-08 김재일 표면처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
KR20230036362A (ko) 2021-09-07 2023-03-14 디케이알텍(주) 메탈 카드용 도금 지그
KR102449453B1 (ko) * 2022-02-11 2022-09-29 조준명 간소한 마킹 기능을 갖는 도금용 지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344B1 (ko)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0796345B1 (ko)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JPH10306398A (ja) 内面めっき方法及び内面めっき用補助極
US8771026B2 (en) Conductive assembly having a clamp structure
JP2835287B2 (ja) ニッケルチタン合金部材のめっき方法
KR20120058965A (ko) 동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셀 탭 연결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JPWO2007058204A1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13142169A (ja) 電気めっき用保持具およびこの保持具を用いた電気めっき装置
KR200439607Y1 (ko)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20100130333A (ko)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2344B1 (ko) 대형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1232408B1 (ko) 무테안경용 결합부
KR200448759Y1 (ko) 마그네슘합금 제품의 아노다이징용 지그
US20110051324A1 (en)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R3073327A1 (fr) Module de barre de bus et barre de bus
JP2002246011A (ja) 蓄電池の端子構造
CN211789352U (zh) 储能浸胶蓄电池的极群返修装置
KR100533848B1 (ko) 동 전해정련용 음극판의 결합구조
KR200385368Y1 (ko) 동 전해정련용 음극판의 결합구조
JP3122585B2 (ja) 給電用クリップ
KR101366155B1 (ko)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JPS5913239Y2 (ja) 電極組立体
US3429799A (en) Fluid-tight electrical connections for electrolytic cells
JP5256059B2 (ja) コンデンサ素子固定治具及びコンデンサ素子製造方法
JP7489697B2 (ja) アルマイト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