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262B1 - 표면처리용 지그 - Google Patents

표면처리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262B1
KR102236262B1 KR1020200099726A KR20200099726A KR102236262B1 KR 102236262 B1 KR102236262 B1 KR 102236262B1 KR 1020200099726 A KR1020200099726 A KR 1020200099726A KR 20200099726 A KR20200099726 A KR 20200099726A KR 102236262 B1 KR102236262 B1 KR 102236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jig
bla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알텍
Priority to KR102020009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0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lytic conversion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19Apparatus for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28Specific elements or parts of the apparatus
    • C23C18/163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25D17/08Supporting racks, i.e. not for suspe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처리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도금이나 도색 등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지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피가공물을 상측 및 하측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편 중에 어느 하나가 파손 또는 고장시 해당 고정편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 안전하게 피가공물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고정편에 충분한 탄성을 제공함은 물론 제한된 범위에서 고정편의 탄성지지날개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편의 파손이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면처리용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면처리용 지그 {Jig for surface treatment}
본 발명은 표면처리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표면에 도금이나 도색 등을 수행하기 위한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표면처리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제품이 제조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더라도 원하는 강도나 부식방지, 표면 색상을 동시에 만족하는 제품의 제조는 거의 불가능하며, 이에 아노다이징, 도금, 도색 등 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부식을 방지 또는 다양한 색상을 표현 등의 후공정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아노다이징(Anodizing; 양극산화)은 금속이나 부품 등을 양극에 걸고 희석-산의 전해액에서 전해하면,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서 소지금속과 대단한 밀착력을 가진 산화피막(산화알미늄: Al2O3)이 형성된다. 양극산화라고 하는 것은 양극(Anode)과 산화(Oxidizing)의 합성어(Ano-dizing)이다. 또한, 전기도금에서 금속부품을 음극에 걸고 도금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양극산화의 가장 대표적인 소재는 알루미늄(Al)이고, 그 외에 마그네슘(Mg), 아연(Zn), 티타늄(Ti), 탄탈륨(Ta), 하프늄(Hf), 니오븀(Nb) 등의 금속소재에도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마그네슘과 티타늄 소재의 아노다이징 처리도 점차 그 용도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알루미늄 소재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처리하는 아노다이징(Anodizing on Aluminum Alloys)은 알루미늄을 양극에서 전해하면 알루미늄 표면이 반은 침식이 되고, 반은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형성된다. 알루미늄 아노다이징(양극산화)은 다양한 전해(처리)액의 조성과 농도, 첨가제, 전해액의 온도, 전압, 전류 등에 따라 성질이 다른 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소재는 지그에 하나 이상 거치시켜 도금(아노다이징), 세척 및 건조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표면에 금속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아노다이징 처리에 사용되는 지그의 일예로 등록실용 제20-0423661호(참고문헌)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펠리클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살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서로 대칭적으로 상하방향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도체인 제1 및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외부의 전원을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에 전달하도록 하는 전극봉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에 제안된 지그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에 고정살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피가공물인 펠리클 프레임을 고정 또는 분리하기 위해 고정살을 탄성(또는 피로)한계를 넘어 과도하게 상하로 벌리는 경우 고정살이 복귀되지 않고 형상이 변형됨은 물론 이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2차적으로 다시 형상을 변형시키더라도 복수의 고정살이 균일한 탄성을 갖기 어려워 일부는 헐겁거나 과도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어 피가공물이 분리되거나 손상 우려가 크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는 고정살을 빈번하게 상측으로 벌리거나 누르는 동작으로 인해 고정살이 부러지는 경우 제1 및 제2 고정부재를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함에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살의 단부는 피가공물의 분리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뽀족한 침부가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고정살을 상하로 직접 손으로 누르거나 당기면서 피가공물인 펠리클 프레임을 고정 또는 분리해야 함에 따라 부상의 위험이 크고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문헌 : 등록실용 제20-0423661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면에 도금이나 도색 등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지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일부 부속의 파손 또는 고장시 교체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표면처리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고정 또는 분리시 부속의 파손 또는 고장을 최소화하면서도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피가공물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표면처리용 지그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고정몸체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게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피가공물을 상측 및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고정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가 양측면으로 개구되며 상하로 긴 형태의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상기 지지대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및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의 제1 및 제2 관통공 가장자리에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의 측면을 감싸며 표면에 제1 및 제2 지지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의 제1 및 제2 지지공과 지지대의 가이드 장공에는 제1 및 제2 조절볼트가 관통되어 제1 및 제2 조절너트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의 상면 및 하면에 제1 및 제2 보강부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고정편은 제1 고정몸체의 가장자리 하면에 일단부가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제1 고정날개와, 상기 제1 고정날개의 타단부에서 제1 고정몸체의 가장자리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피가공물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몸체의 가장자리 표면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제1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제1 주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날개의 표면에는 상기 제1 주지지공을 관통한 상기 제1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제1 주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편은 상기 제2 고정몸체의 가장자리 상면에 일단부가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제2 고정날개와, 상기 제2 고정날개의 타단부에서 제2 고정몸체의 가장자리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피가공물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탄성지지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고정몸체의 가장자리 표면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제2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제2 주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날개의 표면에는 상기 제2 주지지공을 관통한 상기 제2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제2 주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탄성지지날개의 단부에는 제1 침부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2 탄성지지날개의 단부에는 제2 침부가 상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고정몸체의 표면에는 제1 주지지공과 인접하게 제1 보조볼트가 관통하는 제1 보조지지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날개의 표면에는 상기 제1 보조지지공을 관통한 제1 보조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제1 보조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몸체의 표면에는 제2 주지지공과 인접하게 제2 보조볼트가 관통하는 제2 보조지지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날개의 표면에는 상기 제2 보조지지공을 관통한 제2 보조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제2 보조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편의 제1 탄성지지날개에는 상기 제1 고정편을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손잡이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의 제1 및 제2 고정날개에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고정몸체의 표면에는 제1 주지지공과 인접하게 하향돌출되는 제1 보조돌기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1 고정날개의 표면에는 상기 제1 보조돌기가 관통지지되는 제1 돌기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몸체의 표면에는 제2 주지지공과 인접하게 상향 돌출되는 제2 보조돌기가 하향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날개의 표면에는 상기 제2 보조돌기가 관통지지되는 제2 돌기지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편의 제1 고정날개에는 제1 탄성지지날개가 상측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상승할 수 있도록 제1 스토퍼돌기가 하향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편의 제2 고정날개에는 제2 탄성지지날개가 하측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하강할 수 있도록 제2 스토퍼돌기가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에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는 원판, 정사각판, 직사각판, 팔각판, 둥근직사각형 중에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의 가장자리에 하향 및 상향 돌출되게 제1 및 제2 수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은 일단부를 중심으로 태엽 형태로 감은 제1 및 제2 태엽스프링의 중앙에 위치하는 일단부의 양측에 상기 제1 및 제2 수직부에 탈부착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태엽스프링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피가공물의 상측 및 하측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가 마주하도록 연장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은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향 및 상향 돌출되는 제1 및 제2 판스프링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에 탈부착되는 제1 및 제2 고정날개가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판스프링의 타단부에 피가공물의 상측 및 하측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가 마주하도록 연장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도금이나 도색 등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지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피가공물을 상측 및 하측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편 중에 어느 하나가 파손 또는 고장시 해당 고정편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편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 안전하게 피가공물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고, 고정편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탄성을 제공함은 물론 제한된 범위에서 고정편의 탄성지지날개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편의 파손이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에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에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표면처리용 지그(100)는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게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 사이에 위치하는 피가공물(1)을 상측 및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그(100)에 고정되는 피가공물(1)은 아노다이징, 도금, 도색 등 피가공물에 다양한 형태의 표면 처리를 수행하여 원하는 강도를 얻거나 부식을 방지하거나 또는 표면 색상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면처리용 지그(100)는 전체적으로 부식에 강한 금속을 사용하거나 표면처리된 구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지지대(110)는 한쌍의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가 설치되도록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대(110)는 부식에 강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으로 양측면으로 개구되며 상하로 긴 형태의 가이드 장공(112)이 형성된다.
특히 지지대(110)는 피가공물(1)을 아노다이징 또는 도금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는 상기 지지대(110)의 상측 및 하측에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부식에 강하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는 지지대(11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대(110)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및 제2 관통공(122,13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대(110)가 사각단면을 갖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122,132)은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가 지지대(110)를 중심으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제1 및 제2 관통공(122,132) 가장자리에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110)의 측면을 감싸며 표면에 제1 및 제2 지지공(124a,134a)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124,134)가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플랜지(124)는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제1 관통공(12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돌출되어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 측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표면에 제1 지지공(124a)이 형성되어 제1 조절볼트(125)가 상기 제1 플랜지(124)의 제1 지지공(124a)과 지지대(110)의 가이드 장공(112)을 관통하여 제1 조절너트(126)를 나사결합하면 지지대(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플랜지(124)가 서로 당겨지며 지지대(110)의 양측을 강하게 밀착시켜 견고하게 상기 제1 고정몸체(120)를 지지대(1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플랜지(124)는 상부가 탄성을 갖는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ㄴ'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랜지(134)는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제2 관통공(132)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돌출되어 상기 지지대(110)의 하부 측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표면에 제2 지지공(134a)이 형성되어 제2 조절볼트(135)가 상기 제2 플랜지(134)의 제2 지지공(134a)과 지지대(110)의 가이드 장공(112)을 관통하여 제2 조절너트(136)를 나사결합하면 지지대(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플랜지(134)가 서로 당겨지며 지지대(110)의 양측을 강하게 밀착시켜 견고하게 상기 제2 고정몸체(130)를 지지대(110)의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플랜지(134)는 상부가 탄성을 갖는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ㄴ'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및 제2 플랜지(124,134)에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 조절볼트(125,135)와 제1 및 제2 조절너트(126,136)를 느슨하게 풀면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고, 이후 제1 및 제2 조절볼트(125,135)와 제1 및 제2 조절너트(126,136)를 강하게 조이면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 사이의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고정몸체(120)의 상면에는 낮은 원기둥 형태의 제1 보강부(127)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하면에는 낮은 원기둥 형태의 제2 보강부(137)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상면 및 하면에 제1 및 제2 보강부(127,137)를 일체로 구비함에 따라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가 꺾이거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탈부착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피가공물(1)을 상측 및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적으로 상하방향 마주보도록 설치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하면 및 상면에 설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고정편(140)은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가장자리 하면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가장자리 하면에 일단부가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고정볼트(128a)로 고정되는 제1 고정날개(142)와, 상기 제1 고정날개(142)의 타단부에서 제1 고정몸체(120)의 가장자리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피가공물(1)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날개(1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고정편(140)은 상기 제1 고정날개(142)와 제1 탄성지지날개(144)가 '∠'형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제1 탄성지지날개(144)의 단부에는 제1 침부(145)가 하향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가장자리 표면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1 주지지공(128)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날개(142)의 표면에는 상기 제1 주지지공(128)에 대응되는 제1 주나사공(14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볼트(128a)를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상측을 통해 제1 주지지공(128)을 통과시킨 후 제1 주나사공(142a)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제1 고정편(140)을 제1 고정몸체(12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표면에는 제1 주지지공(128)과 인접하게 제1 보조지지공(12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날개(142)의 표면에는 상기 제1 보조지지공(129)에 대응되는 제1 보조나사공(14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보조볼트(129a)를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상측을 통해 제1 보조지지공(129)을 통과시킨 후 제1 보조나사공(142b)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제1 고정편(140)을 제1 고정몸체(12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제1 고정볼트(128a)만으로 고정하는 경우 제1 고정편(140)의 설치 방향이 틀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편(150)은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가장자리 상면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가장자리 상면에 일단부가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 고정볼트(138a)로 고정되는 제2 고정날개(152)와, 상기 제2 고정날개(152)의 타단부에서 제2 고정몸체(130)의 가장자리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피가공물(1)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탄성지지날개(15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 고정편(150)은 제2 고정편(150)과 동일하게 상기 제2 고정날개(152)와 제2 탄성지지날개(154)가 '∠'형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제2 탄성지지날개(154)의 단부에는 제2 침부(155)가 상향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가장자리 표면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2 주지지공(138)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날개(152)의 표면에는 상기 제2 주지지공(138)에 대응되는 제2 주나사공(15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볼트(138a)를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하측을 통해 제2 주지지공(138)을 통과시킨 후 제2 주나사공(152a)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제2 고정편(150)을 제2 고정몸체(13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표면에는 제2 주지지공(138)과 인접하게 제2 보조지지공(13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날개(152)의 표면에는 상기 제2 보조지지공(139)에 대응되는 제2 보조나사공(15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보조볼트(139a)를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하측을 통해 제2 보조지지공(139)을 통과시킨 후 제2 보조나사공(152b)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제2 고정편(150)을 제2 고정몸체(13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제2 고정볼트(138a)만으로 고정하는 경우 제2 고정편(150)의 설치 방향이 틀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편(140)의 제1 탄성지지날개(144)에는 손잡이(146)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손잡이(146)는 제1 탄성지지날개(144)를 직접 들어 올리지 않고서도 돌출된 손잡이(146)만 들어올리면 제1 탄성지지날개(144)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므로 피가공물의 고정 또는 분리시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도 안전하게 제1 탄성지지날개(144)를 들어 올릴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제2 고정편(150)의 제2 탄성지지날개(154)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의 제1 및 제2 고정날개(142,152)에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147,157)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147,157)은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 사이에 피가공물(1)이 지지되는 경우 피가공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를 하측 및 상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 스프링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스프링(147)은 제1 고정편(140)의 제1 고정날개(142)와 제1 탄성지지날개(144)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스프링(147)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고정날개(142)의 하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 탄성지지날개(144)의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프링(157)은 제2 고정편(150)의 제2 고정날개(152)와 제2 탄성지지날개(154)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스프링(157)의 일단부는 상기 제2 고정날개(152)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 탄성지지날개(144)의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상의 구조를 갖는 표면처리용 지그(100)는 손잡이(146)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제1 탄성지지날개(144)가 상승하면서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안전하게 피가공물(1)의 상단 및 하단을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의 제1 및 제2 침부(155)에 지지할 수 있으며, 표면처리용 지그(100)에 피가공물(1)을 고정하는 방식은 일 예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에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제1 실시 예에서의 제1 및 제2 스프링(147,157)이 절곡된 판스프링 구조로서 판스프링의 양단이 지지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에 고정되지만,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스프링(147,157)이 절곡된 판스프링 구조로서 판스프링의 양단이 지지대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에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로서,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표면에는 제1 주지지공(128)과 인접하게 하향돌출되는 제1 보조돌기(129b)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1 고정날개(142)의 표면에는 상기 제1 보조돌기(129b)가 관통지지되는 제1 돌기지지공(142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보조돌기(129b)는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표면 일부를 절개하여 하향 절곡하는 과정을 통해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하면에 제1 고정날개(142)를 밀착시키면 제1 보조돌기(129b)가 제1 돌기지지공(142c)에 끼워지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고정볼트(128a)를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상측을 통해 제1 주지지공(128)을 통과시킨 후 제1 주나사공(142a)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제1 고정편(140)을 제1 고정몸체(12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제1 고정볼트(128a)만으로 고정하더라도 제1 고정편(140)의 설치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1 고정날개(142)의 설치 및 분리가 간단하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표면에는 제2 주지지공(138)과 인접하게 상향 돌출되는 제2 보조돌기(139b)가 하향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날개(152)의 표면에는 상기 제2 보조돌기(139b)가 관통지지되는 제2 돌기지지공(152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보조돌기(139b)는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표면 일부를 절개하여 하향 절곡하는 과정을 통해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상면에 제2 고정날개(152)를 밀착시키면 제2 보조돌기(139b)가 제2 돌기지지공(152c)에 끼워지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고정볼트(138a)를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상측을 통해 제2 주지지공(138)을 통과시킨 후 제2 주나사공(152a)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제2 고정편(150)을 제2 고정몸체(13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제2 고정볼트(138a)만으로 고정하더라도 제2 고정편(150)의 설치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2 고정날개(152)의 설치 및 분리가 간단하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에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제3 실시 예의 변형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보조돌기(129b,139b)는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표면에 용접 또는 볼트(리벳) 등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이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로서, 제1 고정편(140)의 제1 고정날개(142)에는 하향하는 제1 스토퍼돌기(160)가 돌출되어 피가공물(1)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날개(144)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 제1 스토퍼돌기(160)에 의해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 스토퍼돌기(160)는 제1 고정날개(142)의 일단부를 하측으로 절곡하여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토퍼돌기(160)에 의해 제1 탄성지지날개(144)가 상측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상승할 수 있어 제1 탄성지지날개(144) 및 제1 스프링(147)이 탄성한계를 넘어 꺾이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고정편(150)의 제2 고정날개(152)에는 상향하는 제2 스토퍼돌기(162)가 돌출되어 피가공물(1)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탄성지지날개(154)가 하측으로 하강하는 경우 제2 스토퍼돌기(162)에 의해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 스토퍼돌기(162)는 제2 고정날개(152)의 일단부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토퍼돌기(162)에 의해 제2 탄성지지날개(154)가 하측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하강할 수 있어 제2 탄성지지날개(154) 및 제2 스프링(157)이 탄성한계를 넘어 꺾이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제5 실시 예에서의 제1 및 제2 스프링(147,157)이 절곡된 판스프링 구조로서 판스프링의 양단이 지지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에 고정되지만, 본 제6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스프링(147,157)이 절곡된 판스프링 구조로서 판스프링의 양단이 지지대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거나 더 많은 수의 피가공물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직경이 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121,131)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121,131)에 제1 및 제2 주지지공(128,138)과 제1 및 제2 보조지지공(129,139)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을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중심에서 더욱 멀리 고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거나 더 많은 수의 피가공물을 고정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17의 (a) 내지 (d)에서와 같이 정사각판, 직사각판, 팔각판, 둥근직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의 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에 스프링을 별도로 용접 등을 통해 고정하지 않고 스프링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에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가장자리에 하향 및 상향 돌출되게 제1 및 제2 수직부(123,133)를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부(123,133)에 제1 및 제2 나사공(123a,123a)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은 일단부를 중심으로 태엽 형태로 감은 제1 및 제2 태엽스프링(147a,157a)의 중앙에 위치하는 일단부의 양측에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제1 및 제2 수직부(123,133)에 탈부착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143,15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태엽스프링(147a,157a)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가 마주하도록 연장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143,153)에는 제1 및 제2 지지공(143a,153a)이 형성된다. 물론 제1 탄성지지날개(145)에는 손잡이(146)가 일체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의 제1 및 제2 고정부(143,153)를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제1 및 제2 수직부(123,133) 정면에 밀착시킨 후 제1 및 제2 고정나사(128b,158b)를 제1 및 제2 지지공(143a,153a)을 통과시킨 후 제1 및 제2 나사공(123a,123a)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을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에 별도의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더욱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5,155)를 상하로 크게 벌릴 수 있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피가공물을 고정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표면처리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에 스프링을 별도로 용접 등을 통해 고정하지 않고 스프링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표면에는 제1 및 제2 주나사공(123b,133b)과 제1 및 제2 보조 나사공(123c,133c)이 인접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은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향 및 상향 돌출되는 제1 및 제2 판스프링(147b,157b)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에 탈부착되는 제1 및 제2 고정날개(142,152)가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판스프링(147b,157b)의 타단부에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가 마주하도록 연장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날개(142,152)에는 제1 및 제2 주지지공(142c,152c)과 제1 및 제2 보조지지공(142d,152d)이 인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의 제1 및 제2 고정날개(142,152)를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밀착시킨 후 제1 및 제2 고정나사(128b,158b)를 제1 및 제2 주지지공(142c,152c)과 제1 및 제2 보조지지공(142d,152d)을 각각 통과시킨 후 제1 및 제2 주나사공(123b,133b)과 제1 및 제2 보조 나사공(123c,133c)에 나사결합함으로서 제1 및 제2 고정편(1400150)을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의 상면 및 하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더욱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5,155)를 상하로 크게 벌릴 수 있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피가공물을 고정하는데 유리하다.
이상의 제1 내지 제10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한 표면처리용 지그(100)는 알루미늄재질의 피가공물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기 위해 아노다이징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1)이 고정된 상태의 지그(100)를 레일(2)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블록(3)에 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피가공물 100: 표면처리용 지그
110: 지지대 120: 제1 고정몸체
124: 제1 플랜지 130: 제2 고정몸체
134: 제2 플랜지 140: 제1 고정편
142: 제1 고정날개 144: 제1 탄성지지날개
145: 제1 침부 146: 손잡이
147: 제1 스프링 150: 제2 고정편
152: 제2 고정날개 154: 제2 탄성지지날개
155: 제2 침부 157: 제2 스프링

Claims (14)

  1. 수직으로 구비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 사이에 위치하는 피가공물(1)을 상측 및 하측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11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가 양측면으로 개구되며 상하로 긴 형태의 가이드 장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상기 지지대(110)가 통과할 수 있는 제1 및 제2 관통공(122,1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제1 및 제2 관통공(122,132) 가장자리에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110)의 측면을 감싸며 표면에 제1 및 제2 지지공(124a,134a)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124,13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24,134)의 제1 및 제2 지지공(124a,134a)과 지지대(110)의 가이드 장공(112)에는 제1 및 제2 조절볼트(125,135)가 관통되어 제1 및 제2 조절너트(126,136)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상면 및 하면에 제1 및 제2 보강부(127,137)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편(140)은 제1 고정몸체(120)의 가장자리 하면에 일단부가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고정볼트(128a)로 고정되는 제1 고정날개(142)와, 상기 제1 고정날개(142)의 타단부에서 제1 고정몸체(120)의 가장자리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피가공물(1)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날개(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가장자리 표면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제1 고정볼트(128a)가 관통하는 제1 주지지공(128)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날개(142)의 표면에는 상기 제1 주지지공(128)을 관통한 상기 제1 고정볼트(128a)가 나사결합되는 제1 주나사공(142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편(150)은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가장자리 상면에 일단부가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 고정볼트(138a)로 고정되는 제2 고정날개(152)와, 상기 제2 고정날개(152)의 타단부에서 제2 고정몸체(130)의 가장자리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피가공물(1)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탄성지지날개(15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가장자리 표면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제2 고정볼트(138a)가 관통하는 제2 주지지공(138)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날개(152)의 표면에는 상기 제2 주지지공(138)을 관통한 상기 제2 고정볼트(138a)가 나사결합되는 제2 주나사공(15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지지날개(144)의 단부에는 제1 침부(145)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2 탄성지지날개(154)의 단부에는 제2 침부(155)가 상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표면에는 제1 주지지공(128)과 인접하게 제1 보조볼트(129a)가 관통하는 제1 보조지지공(12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날개(142)의 표면에는 상기 제1 보조지지공(129)을 관통한 제1 보조볼트(129a)가 나사결합되는 제1 보조나사공(142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표면에는 제2 주지지공(138)과 인접하게 제2 보조볼트(139a)가 관통하는 제2 보조지지공(13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날개(152)의 표면에는 상기 제2 보조지지공(139)을 관통한 제2 보조볼트(139a)가 나사결합되는 제2 보조나사공(15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편(140)의 제1 탄성지지날개(144)에는 상기 제1 고정편(140)을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손잡이(146)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의 제1 및 제2 고정날개(142,152)에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147,15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몸체(120)의 표면에는 제1 주지지공(128)과 인접하게 하향돌출되는 제1 보조돌기(129b)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1 고정날개(142)의 표면에는 상기 제1 보조돌기(129b)가 관통지지되는 제1 돌기지지공(142c)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몸체(130)의 표면에는 제2 주지지공(138)과 인접하게 상향 돌출되는 제2 보조돌기(139b)가 하향돌출되고, 상기 제2 고정날개(152)의 표면에는 상기 제2 보조돌기(139b)가 관통지지되는 제2 돌기지지공(15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편(140)의 제1 고정날개(142)에는 제1 탄성지지날개(144)가 상측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상승할 수 있도록 제1 스토퍼돌기(160)가 하향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편(150)의 제2 고정날개(152)에는 제2 탄성지지날개(154)가 하측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하강할 수 있도록 제2 스토퍼돌기(162)가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121,131)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121,131)에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는 원판, 정사각판, 직사각판, 팔각판, 둥근직사각형 중에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의 가장자리에 하향 및 상향 돌출되게 제1 및 제2 수직부(123,13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은 일단부를 중심으로 태엽 형태로 감은 제1 및 제2 태엽스프링(147a,157a)의 중앙에 위치하는 일단부의 양측에 상기 제1 및 제2 수직부(123,133)에 탈부착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143,15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태엽스프링(147a,157a)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피가공물(1)의 상측 및 하측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가 마주하도록 연장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편(140,150)은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향 및 상향 돌출되는 제1 및 제2 판스프링(147b,157b)의 일단부에 상기 제1 및 제2 고정몸체(120,130)에 탈부착되는 제1 및 제2 고정날개(142,152)가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판스프링(147b,157b)의 타단부에 피가공물(1)의 상측 및 하측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날개(144,154)가 마주하도록 연장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용 지그.
  14. 삭제
KR1020200099726A 2020-08-10 2020-08-10 표면처리용 지그 KR102236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726A KR102236262B1 (ko) 2020-08-10 2020-08-10 표면처리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726A KR102236262B1 (ko) 2020-08-10 2020-08-10 표면처리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262B1 true KR102236262B1 (ko) 2021-04-05

Family

ID=7546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726A KR102236262B1 (ko) 2020-08-10 2020-08-10 표면처리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2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6895A (ja) * 1994-12-26 1996-07-09 Nec Yamagata Ltd 電解メッキ治具
KR980001181U (ko) * 1998-01-08 1998-03-30 김홍노 조리 용기 도금용 고정 지그의 구조
KR200423661Y1 (ko) 2006-05-29 2006-08-09 주식회사 에프에스티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용 고정지그
KR100796344B1 (ko) * 2006-12-27 2008-01-21 권선용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1629173B1 (ko) * 2015-03-06 2016-06-13 김영진 자동차의 축전지 샐커버용 아노다이징 도금지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6895A (ja) * 1994-12-26 1996-07-09 Nec Yamagata Ltd 電解メッキ治具
KR980001181U (ko) * 1998-01-08 1998-03-30 김홍노 조리 용기 도금용 고정 지그의 구조
KR200423661Y1 (ko) 2006-05-29 2006-08-09 주식회사 에프에스티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용 고정지그
KR100796344B1 (ko) * 2006-12-27 2008-01-21 권선용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1629173B1 (ko) * 2015-03-06 2016-06-13 김영진 자동차의 축전지 샐커버용 아노다이징 도금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262B1 (ko) 표면처리용 지그
US8783672B2 (en) Rack apparatus
DE2328769C3 (de) Verbesserte elektrische Verbindungen für Metallelektroden
DE1467075B2 (de) Anode zur elektrolytischen Herstellung von Chlor
US2999802A (en) Anodizing racks
DE202018102862U1 (de) Innensechskantschlüssel, der eine Schraubenlösung verhindern kann
JP2011080138A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ネジ及びボルトの陽極酸化処理用冶具と、その冶具により製造されたネジ及びボルト
US733602A (en) Metal anode.
AT389664B (de) Spannvorrichtung
DE60010563T2 (de) Anodisier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CN216550789U (zh) 一种零件表面处理用挂具
CN109913921A (zh) 一种铝型材专用夹具及使用方法
DE1965412C3 (de) Elektrolysezellenanordnung
DE842174C (de) Eckverschluss fuer Kisten, Verschlaege und sonstige Verpackungen aus Holz oder Metall, insbesondere fuer Dauerkisten
KR102449453B1 (ko) 간소한 마킹 기능을 갖는 도금용 지그 장치
CN218695436U (zh) 一种转向管柱钣金件焊接定位工装结构
CN112680771B (zh) 一种适用于外螺纹工件表面处理的工装和方法
DE2553276C3 (de) Haltevorrichtung für galvanisch zu behandelnde, insbesondere zu verchromende Kleinteile
JP2005105313A (ja) 摺動部材のめっき構造およびめっき方法
DE3731510C1 (en) Anode and cell for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ferrous metals
CN209816305U (zh) 航空餐车侧板阳极氧化挂具
EP2146809B1 (de)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beulen
DE1467233B2 (de) Anodenhalterung für Anoden in elektrolytischen Alkali-Chlorzellen mit Quecksilberkathode
DE170175C (ko)
DE763660C (de) Metallische Wareneinspann- oder Aufhaengvorrichtung fuer galvanische Ba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