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45B1 -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 Google Patents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45B1
KR100796345B1 KR1020060135175A KR20060135175A KR100796345B1 KR 100796345 B1 KR100796345 B1 KR 100796345B1 KR 1020060135175 A KR1020060135175 A KR 1020060135175A KR 20060135175 A KR20060135175 A KR 20060135175A KR 100796345 B1 KR100796345 B1 KR 10079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llicle frame
support member
groov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선용
Original Assignee
권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선용 filed Critical 권선용
Priority to KR102006013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펠리클 프레임과의 사이에 통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펠리클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접속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일측부를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홈(34)이 형성된 제1지지부재(30)와,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진되는 형태로 가변되는 탄성지지부(45)가 형성된 제2지지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펠리클 프레임과의 사이에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켜 아노다이징 되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펠리클 프레임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펠리클 프레임과의 사이에 통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펠리클 프레임의 고품질 아노다이징 효과를 보장할 수 있고, 펠리클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펠리클 프레임, 통전성, 규격, 호환성, 아노다이징

Description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Pellicle frame anodizing jig}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에 의해 펠리클 프레임을 걸어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걸이부재 20. 지지바아
30. 제1지지부재 40. 제2지지부재
본 발명은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노다이징 지그와 펠리클 프레임 사이의 접촉 면적으로 최소화시키면서도 통전성을 높여서 아노다이징 효율을 향상시키고 펠리클 프레임의 고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펠리클(pellicle)을 부착하기 위한 펠리클 프레임은 통상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도금을 하여 사용하는데, 도금 공정 이전에 아노다이징(anodizing: 양극산화) 공정을 거친다. 아노다이징이란 금속(부품)을 플러스전극봉에 걸고 전해액(황산, 인산, 수산 등의 희석산 전해액)에서 전해시켜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소재 금속과 대단한 밀착력을 가진 산화피막(산화알미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펠리클 프레임에 단단히 밀착되어 있는 양극피막(즉, 산화피막)은 모든 도금 시스템에서 화학적으로 활성표면을 제공하여 도장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에 도금을 행하기 이전에 필수적으로 아노다이징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아노다이징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아노다이징용 지그에 펠리클 프레임을 고정하고, 아노다이징 지그를 플러스극에 걸어주게 된다. 즉, 펠리클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두 개 정도의 지그결합홈을 형성하여, 이 지그결합홈에 아노다이 징 지그의 지그핀을 끼워서 펠리클 프레임을 아노다이징 지그에 고정한다.
그런데, 종래의 아노다이징 지그는 펠리클 프레임과 지그 사이에 접촉되는 면적이 비교적 많아서 아노다이징되지 않는 부분의 면적이 그만큼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펠리클 프레임에서 아노다이징 및 도금되지 않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의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에는 펠리클 프레임의 사이즈에 따라 각각 다른 규격의 아노다이징 지그를 이용해야 하므로, 경제성 면에서 불리한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펠리클 프레임과의 사이에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켜 아노다이징 되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펠리클 프레임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펠리클 프레임과의 사이에 통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펠리클 프레임의 고품질 아노다이징 효과를 보장할 수 있고, 펠리클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접속되 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일측부를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홈(34)이 형성된 제1지지부재(30)와,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진되는 형태로 가변되는 탄성지지부(45)가 형성된 제2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기단부는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연장부(3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40)는 복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30)는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연장부(3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40)의 기단부는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하게 연장된 가로연장부(4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지지부재(40)의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재(10)와 지지바아(20) 및 제1지지부재(3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제2지지부재(40)의 재질은 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40)는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마주하는 면에 코일스프링(43)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3)의 선단부는 브이홈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과 마주하는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를 형성하 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스프링(43)은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마주하는 상기 제2지지부재(40)에 일체화된 돌출부(49)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에 상기 제2지지부재(40)의 탄성지지부(45)가 마주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스프링(43)과 돌출부(49)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스프링(43)의 선단부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절곡부(34a)에 의해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를 형성하되, 상기 한 쌍의 절곡부(34a)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4a) 끝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43)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 보조절곡부(34b)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 사이에는 각각 스페이서(55)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30) 선단부의 지지홈(34)은 브이홈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곡면홈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접속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에 각각 교차되는 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전후진되는 형태로 가변되는 탄성지지부(45)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재(40)는 복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된 티타늄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40)의 재질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40)의 기단부는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 연장부(4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40)의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40)의 재질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40)는 복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된 티타늄판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40)는 기단부가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연장부(4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됨과 동시에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40)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코일스프링(43)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3)의 선단부는 브이홈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재(40)의 서로 마주하는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스프링(43)은 상기 지지부재(4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일체화된 돌출부(49)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3) 선단부의 탄성지지부(45)가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43)과 돌출부(49)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 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지지바아(20)에 각각 결합되어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을 각각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홈(34)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30,40)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양측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에 형성된 홈(3)에 포인트 접촉되는 제1지지핀(60)과 제2지지핀(70)이 구비된 거치프레임(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재(30) 선단부의 지지홈(34)은 브이홈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곡면홈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에 의해 펠리클 프레임을 걸어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이 걸이부재(10)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1지지부재(30)와, 다른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지지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걸이부재(10)는 단면 직사각형의 알루미늄바아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일단부에 걸이부(12)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재(10)의 일면에는 네 군대의 안착홈(13)이 형성되어, 이 안착홈(13)에 후술할 지지바아(20)가 예비적으로 안착되어 용접에 의해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네 개의 지지바아(20)가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두 셋트의 서로 마주보는 지지바아(20)가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지지바아(20)는 단면 직사각형의 알루미늄바아로 제작되어 상기 걸이부재(10)의 안착홈(13)에 안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되, 지지바아(20)의 긴 변이 걸이부재(10)의 안착홈(13) 상측으로 세워진 형태로 용접 고정된다. 즉, 지지바아(20)의 양측 넓은면이 걸이부재(10)의 일면에 대해 직각으로 세워진 형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바아(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바아(20)에는 제1지지부재(30)가 볼트(56)와 너트(57)로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바아(20)에는 제2지지부재(40)가 볼트(56)와 너트(57)로 고정된다. 즉,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 두 셋트가 걸이부재(10)에 두 셋트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걸이부재(10)에 두 셋트의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가 통전 가능하게 구비된 형태가 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30)는 지지바아(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되는 가로연장부(32)의 양측에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복수개의 제1지지부재(30)의 기단부가 일체화된 가로연장부(32)가 지지바아(20)의 외측면 위치된 상태에서 가로연장부(32)와 지지바아(20)를 볼트(56)가 관통하고, 이 볼트(56)에 너트(57)가 체결되어, 복수개의 제1지지부재(30)가 지지바아(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1지지부재(30)의 기단부는 중간의 가로연장부(32)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일체화된 형상이므로, 상기 지지바아(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양측 위치에 복수개의 제1지지부재(30)가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지지부재(30)는 선단부에 펠리클 프레임(1)의 일측부가 접촉되어 끼워지는 지지홈(34)이 형성된다. 이 지지홈(34)은 브이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할 때, 지지바아(20)를 기준으로 제1지지부재(30)가 양측 방향으로 대항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브이홈 형상의 지지홈(34)이 지지바아(20)를 기준으로 할 때 양측 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40)는 제1지지부재(3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3에 제2지지부재(40)와 제1지지부재(30)가 서로 마주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40)는 제1지지부재(30)와 마주하는 면에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진되는 형태로 가변되는 탄성지지부(45)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재(40)는 복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가로연장부(42)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멍(41)이 대칭되도록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제1지지부재(30)와 마주하도록 다른 지지바아(20)에 볼트(56)와 너트(57)로 고정된다. 즉, 다른 지지바아(20)의 외측면에 제2지지부재(4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2지지부재(40)의 가로연장부(42)와 다른 지지바아(20)를 볼트(56)가 관통하고, 이 볼트(56)에는 다른 지지바아(20)의 내측면에서 너트(57)가 체결되므로, 제2지지부재(40)가 다른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40)는 제1지지부재(30)와 마주하는 면에 코일스프링(43)이 구비되고, 코일스프링(43)의 선단부는 브이홈 형태로 한 쌍의 절곡부(45a)가 형성되어 제1지지부재(30,40)의 지지홈(34)과 마주하는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를 형성한다. 부호 45b는 보조절곡부이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43)은 제1지지부재(30)와 마주하는 제2지지부재(40)에 일체화된 돌출부(49)에 끼움 결합되어,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에 제2지지부재(40)의 탄성지지부(45)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43)과 돌출부(49)는 티타늄판으로 이루어진 제2지지부재(40)와 마찬가지로 티타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43)의 선단부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절곡부(34a)에 의해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를 형성하되, 코일스프링(43) 선단부의 한 쌍의 절곡부(34a)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4a) 끝단에는 코일스프링(43)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 보조절곡부(34b)가 더 구비된다.
또한, 제2지지부재(40)는 어느 하나의 지지바아(20)와 마주하는 두 개의 다른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두 셋트의 제2지지부재(40)가 두 셋트의 제1지지부재(30)와 마주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걸이부재(10)에는 두 셋트의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가 통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두 셋트의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에 펠리클 프레임(1)을 두 열로 끼워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부재(30,40)의 지지홈(34)과 제2지지부재(40)의 탄성지지부(45)에 각각 펠리클 프레임의 양측부를 끼운 다음, 걸이부재(10) 일단부의 걸이부(12)를 아노다이징풀(anodizing pool : 희석산 전해액이 채워진 풀) 상측의 전극봉(미도시)에 걸어서 펠리클 프레임(1)을 희석산 전해액에 담근 다음 아노다이징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브이홈 형상의 지지홈(34)과 제2지지부재(40)의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구체적으로, 코일스프링(43) 선단부의 한 쌍의 절곡부(34a)에 의해 형성된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에 각각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가 포인트 접촉되어, 펠리클 프레임(1)의 아노다이징되지 않는 부분을 최소화시키므로, 펠리클 프레임(1)의 고품질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제1지지부재(30)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경사부에 의해 브이홈 형상의 지지홈(34)이 형성되어, 이 브이홈 형상의 지지홈(34)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가 포인트(P) 접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40)의 탄성지지부(45)는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코일스프링(43)에 의해 형성되어, 다른 규격의 펠리클 프레임(1)에 따라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과 제2지지부재(40)의 탄성지지부(4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의 규격에 맞추어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재(30)는 제2지지부재(40) 방향으로 내향 경사진 제1절곡부(36)와, 제1절곡부(36)의 선단부에서 제2지지부재(40)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내향 경사진 제2절곡부(37)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36)와 제2절곡부(37)는 펠리클 프레임(1)의 외표면이 지지편(30)의 안쪽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의 외표면이 아노다이징되지 않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는 물론, 이중 절곡 구조로 인하여 펠리클 프레임(1)을 잡아주는 힘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2절곡부(37)는 제1절곡부(36)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각도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홈(34)에 펠리클 프레임(1)의 모서리부가 포인트(P)(도 2에 도시됨) 접촉되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30)의 브이자형 지지홈(34) 최단 끝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끝이 점접촉(P)되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에서 아노다이징되지 않는 부분을 점으로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재(30)는 알루미늄에 의해 단면 평철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중에 대향하는 제1지지부재(30)의 장력이 저하된 경우, 알루미늄 평철 형상의 제1지지부재(30)를 제2지지부재(40) 방향으로 적당하게 굽혀줌으로써, 펠리클 프레임(1)을 잡아주는 장력을 손쉬운 방식으로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제2지지부재(40)는 장력이 저하되지 않는 티타늄판으로 제작되고, 제2지지부재(40)에 구비된 코일스프링(43)도 티타늄으로 제작되므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 사이의 장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더 확실하게 방지하며, 이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펠리클 프레임에 접촉되는 부분의 장력 저하 로 인한 통전성 저하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40)를 지지바아(2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56)와, 이 볼트(56)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57)는 티타늄으로 제작된다.
볼트(56)와 너트(57)를 티타늄으로 제작하는 이유는 아노다이징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볼트(56)와 너트(57)가 같이 녹는 경우를 방지하여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즉, 아노다이징 공정은 펠리클 프레임(1)이 고정된 아노다이징 지그를 인산, 황산 등의 희석산 전해액에 담가서 수행하게 되는데, 볼트(56)와 너트(57)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면, 아노다이징 공정중에 희석산 전해액의 황산에 의해 볼트(56)와 너트(57)가 같이 녹아들게 되며, 이처럼 볼트(56)와 너트(57)가 같이 녹아들면 반복적인 아노다이징 작업 수행시에 통전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펠리클 프레임(1)에 얼룩 반점이 생기는 등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볼트(56)와 너트(57)를 티타늄으로 제작하여, 희석산 전해액 속에서의 반복적으로 아노다이징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볼트(56)와 너트(57)가 녹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과의 사이에 통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 저하나 불량을 초래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제2지지부재(40) 및 지지바아(2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별도의 스페이서(55)가 개재되어,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가 지지바아(20)의 표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공간(g)을 형 성한다.
이처럼 스페이서(55)에 의해 지지부재(30,40)를 지지바아(20)의 표면에서 이격시켜 공간(g)을 형성하는 이유는 아노다이징 작업시에 지지부재(30,40)와 지지바아(20) 사이에 희석산 전해액이 축적되어 다음의 도금 공정에서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지지부재(30,40)과 지지바아(20)가 이격되지 않고 서로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되면, 아노다이징 공정 중에 미량의 희석산 전해액이 지지부재(30,40)와 지지바아(20) 사이에 축적되며, 이렇게 축적된 희석산 전해액은 다음 도금공정 수행시 도금용풀(pool)에 섞인 화학성분과 반응하여 도금약품의 질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도금 공정 수행시 펠리클 프레임(1) 표면에 얼룩이 생겨서 펠리클 프레임(1)의 품질이 저하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지지바아(20)와 지지부재(30,4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티타늄으로 제작된 별도의 스페이서(55)가 개재되어, 지지부재(30,40)가 지지바아(20)의 표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기 때문에, 각각의 지지부재(30,40)와 지지바아(20)의 사이에 희석산 전해액이 축적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추후 펠리클 프레임(1) 도금 공정 중에 축적된 전해액이 도금용풀에 담긴 도금용액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결국, 펠리클 프레임(1) 표면에 얼룩이 생겨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55)는 티타늄으로 제작되는데, 스페이서(55)를 티타늄으로 제작하는 이유는 볼트(56)와 너트(57)를 티타늄으로 제작하는 이유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페이서(55)는 와셔 형상으로 제작되어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를 지지바아(20)에 고정하는 볼트(56)의 둘레부에 끼워진다. 따라서, 각 지지부재(30,40)를 볼트(56)와 너트(57)에 의해 지지바아(20)에 고정할 때 와셔 형태의 스페이서(55)를 볼트(56) 둘레부에 끼워서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는 적어도 두 개의 알루미늄 와이어(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이에 접속된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 사이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알루미늄 와이어(60)에 의해 펠리클 프레임(1)과 지지편(30) 사이의 통전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바아(20)는 네 면을 갖는 단면 사각형의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와이어(60)의 양단부에는 지지바아(20)의 네 면중에서 각 지지부재(30,40)와 마주하는 외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세 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제1지지부재(30)를 연결하는 가로 연장부(32)와 제2지지부재(40)의 가로 연장부(42)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절곡된 바인딩 절곡부(62)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와이어(60)의 양단 바인딩 절곡부(62)가 지지바아(20)의 네 면중에서 각 지지부재(30,40)와 마주하는 외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세 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1지지부재(30)의 가로 연장부(32)와 제2지지부재(40)의 가로 연장부(42)의 외측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아노다이징 지그와 펠리클 프레임(1) 사이의 통전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걸이부재(10)는 단면 직사각형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아(20)가 접속되는 일면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안착홈(13)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10)의 안착홈(13)에 지지바아(20)를 예비적으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알곤 용접 고정할 수 있으므로, 지지바아(20) 조립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즉, 용접중에 지지바아(20)가 좌우 방향으로 틀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용접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아노다이징 지그는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접속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한 쌍의 지지바아(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일측부를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홈(34)이 형성된 제1지지부재(30)와, 이 제1지지부재(4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도록 구성된 제2지지부재(40)로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제2지지부재(40)는 기단부가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하게 연장된 가로연장부(4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된다. 동시에, 제2지지부재(40)의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지지부재(40)와 코일스프링(43)은 모두 티타늄으로 이루어지고, 코일스프링(43)이 끼워지는 돌출부(49)도 티타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이 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과 제2지지부재(40)의 탄성지지부(45)에 각각 펠리클 프레임의 양측을 끼운 다음, 걸이부재(10) 일단부의 걸이부(12)를 아노다이징풀 상측의 전극봉(미도시)에 걸어서 펠리클 프레임(1)을 희석산 전해액에 담근 다음 아노다이징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2지지부재(40)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지고, 제2지지부재(40)의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을 끼울 때에는 제2지지부재(40)의 자유단을 외측으로 더 쉽게 밀 수 있으므로, 펠리클 프레임(1)을 더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한편, 제2지지부재(40)와 코일스프링(43)이 티타늄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유지하므로, 보다 견고하게 펠리클 프레임(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이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접속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한 쌍의 지지바아(20)에 각각 교차되는 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전후진되는 형태로 가변되는 탄성지지부(45)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0)는 복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된 티타늄판으로 구성되되, 구멍(41)은 가로연장부(42)를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코 일스프링(43)이 구비되고, 코일스프링(43)의 선단부에는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40)와 코일스프링(43) 및 돌출부(49)는 모두 티타늄으로 제작된다.
한편, 도 5에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5에 의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40)의 각각의 탄성지지부(45)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를 끼워서 걸어준 다음, 걸이부재(10) 일단부의 걸이부(12)를 아노다이징풀 상측의 전극봉(미도시)에 걸어서 펠리클 프레임(1)을 희석산 전해액에 담근 다음 아노다이징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는 코일스프링(43)에 의해 형성된 양측 탄성지지부(45)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를 걸어서 지지하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을 보다 용이하게 걸어줄 수 있음은 물론, 펠리클 프레임(1)의 규격에 따라 거리를 보다 더 넓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펠리클 프레임(1)의 규격 선택폭이 보다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6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40)의 재질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46)는 모두 가로연장부(42)에 기단부가 일체화되고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각 지지부재(40)에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 코일스프링(43) 선단의 탄성지지부(45)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를 끼워서 걸어주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7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부재(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40)는 복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된 티타늄판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40)는 가로연장부(42)에 기단부가 일체화되고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각 지지부재(4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구비된 코일스프링(43) 선단의 탄성지지부(45)에 각각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를 끼워서 걸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43)의 선단부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절곡부(34a)에 의해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절곡부(34a)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4a) 끝단에는 코일스프링(43)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 보조절곡부(34b)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절곡부(34b)는 펠리클 프레임(1)을 코일스프링(43)의 양측 절곡부(34a)에 의해 형성된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에 걸어줄 때, 펠리클 프레임(1)의 걸어주는 힘을 보다 강하게 보강하므로, 보다 더 안정적으로 펠리클 프레임(1)을 걸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절곡부(34b)는 아노다이이징 지그에 펠리클 프레임(1)을 걸어줄 때 코일스프링(43)의 절곡부(34a) 끝단에 펠리클 프레임(1)이 긁혀서 흠집이 생기는 경우나 작업자가 펠리클 프레임(1)을 걸어줄 때 절곡부(34a)의 끝단에 긁혀 상처를 입는 것 등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에 의한 본 발명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양측부에는 펠리클 프레 임(1)의 양측부에 형성된 홈(3)(펠리클 프레임을 척에 끼워서 걸기 위해 미리 펠리클 프레임의 양측 외면에 형성된 홈)에 포인트 접촉되는 제1 및 제2지지핀(60,70)이 구비된 거치프레임(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핀(60)과 제2지지핀(70)의 선단부에는 원뿔형 포인트 접접부(62,72)가 구비된다. 또한, 제1지지핀(60)은 거치프레임(80)의 일측부에 나사식으로 전후진되도록 결합되고, 제2지지핀(70)은 거치프레임(80)의 타측부에 스프링(85)에 의해 탄성적으로 전후진되도록 결합된다. 즉, 제2지지핀(60)은 거치프레임(80)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둘레부에 걸림턱(74)이 구비되어, 이 제2지지핀(60)의 둘레부에 끼워진 스프링(85)이 거치프레임(80)의 타측부 내측면과 제2지지핀(70)의 걸림턱(74)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프레임(80)의 안쪽에 펠리클 프레임(1)을 배치하고, 제2지지핀(70)의 포인트 접점부(72)를 펠리클 프레임(1)의 일측부의 홈(3)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제1지지핀(60)의 포인트 접점부(62)를 펠리클 프레임(1) 타측부의 홈(3)에 끼워서 제1지지핀(60)을 나사식으로 조여주면, 상기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가 제1 및 제2지지핀(60,70)에 의해 지지되어 펠리클 프레임(1)이 상기 거치프레임(80)의 안쪽에 통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리클 프레임(1)을 통전 가능하게 걸어놓은 거치프레임(80)을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아노다이징 지그에 걸어준 다음, 아노다이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핀(70)은 스프링(83)에 의해 탄성적으로 전후진 되도록 구성되어, 제1지지핀(60)을 과도하게 조여서 펠리클 프레임(1)이 과도한 힘에 의해 휘어지려고 하는 순간에 제2지지핀(70)이 후퇴하면서 과도한 힘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펠리클 프레임(1)을 조여서 걸어줄 때 펠리클 프레임(1)이 휘어지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부재(3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0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30) 선단부의 지지홈(34)은 곡면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지지부재(30)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지나는 가상선 D-D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는 원호부(34a)에 의해 상기 곡면홈 형상의 지지홈(34)이 형성되어, 상기 곡면홈 형상의 지지홈(34)에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가 포인트(P) 접촉된다. 도 10의 미설명 부호 38은 지지부재(30)의 제2절곡부를 나타내고, 부호 1a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에 형성된 면취부를 나타낸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펠리클 프레임과 점접촉된 상태로 펠리클 프레임을 지지하여 걸어줄 수 있으므로, 펠리클 프레임과의 사이에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켜 펠리클 프레임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펠리클 프레임과의 사이에 통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펠리클 프레임의 고품질 아노다이징 효과를 보장할 수 있고, 펠리클 프레임의 규격에 따라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8)

  1.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접속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일측부를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홈(34)이 형성된 제1지지부재(30)와,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른 하나의 지지바아(20)에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진되는 형태로 가변되는 탄성지지부(45)가 형성된 제2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기단부는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연장부(3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40)는 복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0)는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한 방 향으로 연장된 가로연장부(3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40)의 기단부는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하게 연장된 가로연장부(4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지지부재(40)의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10)와 지지바아(20) 및 제1지지부재(3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제2지지부재(40)의 재질은 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40)는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마주하는 면에 코일스프링(43)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3)의 선단부는 브이홈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과 마주하는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43)은 상기 제1지지부재(30)와 마주하는 상기 제2지지부재(40)에 일체화된 돌출부(49)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30)의 지지홈(34)에 상기 제2지지부재(40)의 탄성지지부(45)가 마주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43)과 돌출부(49)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43)의 선단부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절곡부(34a)에 의해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를 형성하되, 상기 한 쌍의 절곡부(34a)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34a) 끝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43)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 보조절곡부(34b)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제1 및 제2지지부재(30,40) 사이에는 각각 스페이서(55)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0) 선단부의 지지홈(34)은 브이홈 형 상으로 구성되거나 곡면홈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1.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접속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바아(20)에 각각 교차되는 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전후진되는 형태로 가변되는 탄성지지부(45)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는 복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된 티타늄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40)의 재질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40)의 기단부는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 연장부(4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40)의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40)의 재질은 티타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40)는 복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된 티타늄판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40)는 기단부가 상기 지지바아(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연장부(42)의 적어도 일측에 일체화됨과 동시에 선단부는 자유단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코일스프링(43)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3)의 선단부는 브이홈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재(40)의 서로 마주하는 브이홈 형상의 탄성지지부(45)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43)은 상기 지지부재(4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일체화된 돌출부(49)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3) 선단부의 탄성지지부(45)가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43)과 돌출부(49)는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7. 적어도 일단부에 걸이부(12)가 형성된 걸이부재(10)와, 상기 걸이부재(10)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바아(20)와, 상기 지지바아(20)에 각각 결합되어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선단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을 각각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홈(34)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재(30,40)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양측부에는 펠리클 프레임(1)의 양측부에 형성된 홈(3)에 포인트 접촉되는 제1지지핀(60)과 제2지지핀(70)이 구비된 거치프레임(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 선단부의 지지홈(34)은 브이홈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곡면홈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20060135175A 2006-12-27 2006-12-27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079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175A KR100796345B1 (ko) 2006-12-27 2006-12-27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175A KR100796345B1 (ko) 2006-12-27 2006-12-27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345B1 true KR100796345B1 (ko) 2008-01-21

Family

ID=3921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175A KR100796345B1 (ko) 2006-12-27 2006-12-27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4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20B1 (ko) * 2009-10-12 2012-05-10 주식회사 유앤비오피씨 아노다이징 지그
KR101145111B1 (ko) 2011-09-15 2012-05-14 영신미다스 주식회사 피가공물의 표면처리를 위한 래크장치
KR101260899B1 (ko) * 2010-09-01 2013-05-06 신후진 알루미늄 와이어 및 그 제조 방법과 장치
KR101327933B1 (ko) * 2013-06-27 2013-11-13 지정헌 도금용 지그
KR200472532Y1 (ko) 2012-11-19 2014-05-07 (주)건홍지오메트 컵을 갖는 로드의 방청피막 처리용 지그
KR200485735Y1 (ko) * 2016-11-25 2018-02-14 디에스솔텍(주) 차량용 배터리 셀 커버의 애노다이징 가공용 지그
KR20190004929A (ko) 2017-07-05 2019-01-15 디케이알텍(주) 아노다이징 처리용 행거의 알루미늄 파이프 자동 장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561A (ja) * 1993-01-29 1994-08-19 Shin Etsu Chem Co Ltd リソグラフィー用ペリクル膜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561A (ja) * 1993-01-29 1994-08-19 Shin Etsu Chem Co Ltd リソグラフィー用ペリクル膜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20B1 (ko) * 2009-10-12 2012-05-10 주식회사 유앤비오피씨 아노다이징 지그
KR101260899B1 (ko) * 2010-09-01 2013-05-06 신후진 알루미늄 와이어 및 그 제조 방법과 장치
KR101145111B1 (ko) 2011-09-15 2012-05-14 영신미다스 주식회사 피가공물의 표면처리를 위한 래크장치
KR200472532Y1 (ko) 2012-11-19 2014-05-07 (주)건홍지오메트 컵을 갖는 로드의 방청피막 처리용 지그
KR101327933B1 (ko) * 2013-06-27 2013-11-13 지정헌 도금용 지그
KR200485735Y1 (ko) * 2016-11-25 2018-02-14 디에스솔텍(주) 차량용 배터리 셀 커버의 애노다이징 가공용 지그
KR20190004929A (ko) 2017-07-05 2019-01-15 디케이알텍(주) 아노다이징 처리용 행거의 알루미늄 파이프 자동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344B1 (ko)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0796345B1 (ko)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1327933B1 (ko) 도금용 지그
US8771026B2 (en) Conductive assembly having a clamp structure
US20120168998A1 (en) Rack apparatus
KR102403151B1 (ko) 아노다이징 래킹지그
KR200439607Y1 (ko)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1332344B1 (ko) 대형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KR101232408B1 (ko) 무테안경용 결합부
KR200448759Y1 (ko) 마그네슘합금 제품의 아노다이징용 지그
KR101366155B1 (ko) 펠리클 프레임 아노다이징 지그
US6843698B2 (en) Arc tub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7489697B2 (ja) アルマイト処理方法
CN101592819A (zh) 背光模块
JP3157913U (ja) 鍍金処理用リード線
CN220063572U (zh) 用于制作双金属标准腐蚀样件的装置
KR200155651Y1 (ko) 음극선관용 홀더
CN214641386U (zh) 电枢点焊电极及电枢点焊装置
KR102556649B1 (ko) 수직형 전해연마장치
CN219586917U (zh) 一种拼接装配式钢结构
KR200142993Y1 (ko) 전압인가장치
KR102663093B1 (ko) 전해연마용 음극판 고정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연마장치
CN212011571U (zh) 一种折弯机
CN211160529U (zh) 一种便于拼装的烘箱箱体骨架
CN210859489U (zh) 一种金属r型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