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859B1 - 미용 기기 - Google Patents

미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859B1
KR100795859B1 KR1020067006442A KR20067006442A KR100795859B1 KR 100795859 B1 KR100795859 B1 KR 100795859B1 KR 1020067006442 A KR1020067006442 A KR 1020067006442A KR 20067006442 A KR20067006442 A KR 20067006442A KR 100795859 B1 KR100795859 B1 KR 10079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capacitor
discharge lamp
curr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627A (ko
Inventor
울프 피터 홀조
요시요 와다
Original Assignee
스칸디나비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칸디나비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칸디나비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8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Upper parts of the skin, e.g. skin peeling or treatment of wri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6Hair foll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2018/18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ight other than laser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미용 기기는 발광부와, 캐패시터와, 전류 제어부를 구비한다. 발광부는 방전 램프 및 방전 램프로부터의 광을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갖는다. 캐패시터는 방전 램프에 통전하는 전류를 공급한다. 전류 제어부는 캐패시터로부터 방전 램프에 통전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그리고, 전류 제어부는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조사의 말기까지는 방전 램프에 통전되는 전류를 정전류 제어하고, 조사의 말기에는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방전 램프에 통전한다.
미용기기, 피부, 광빔, 방전 램프, 발광부, 캐패시터, 전류 제어부. 정전류(定電流), 펄스

Description

미용 기기{COSMETIC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광빔에 의해 피부의 기미, 주근깨, 주름을 제거하거나, 탈모를 실시하거나 하기 위한 미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광빔을 이용한 미용 기기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 2892642호에 개시된 기기가 알려져 있다. 이 미용 기기는 할로겐 램프로부터의 광빔 조사와, 방전에 의한 오존 조사에 의해, 기미, 주근깨 등의 제거나 탈모 등의 미용을 실시한다.
최근, 방전 램프로부터의 광을 피부에 조사하여 국부 가열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런 점에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광을 조사 가능한 미용 기기에 대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이하의 과제를 발견하였다.
즉, 이러한 미용 기기에서는 방전 램프를 발광시켜 피부에 충분한 국부 가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일시 보존하기 위하여 캐패시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캐패시터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단순히 방전 램프를 발광시킨 것으로는, 방전에 따라 캐패시터 전압이 저하하여 통전되는 전류가 저하하기 때문에 광의 조사의 초기와 말기에서 발광량이 달라지게 된다. 그 결과, 일정한 가열치를 연속하여 피부에 가할 수 없어, 조사의 초기에는 양호한 가열치였어도 말기에는 가열치가 너무 낮아 미용 효과가 저감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미용에 적합한 강도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미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캐패시터로부터의 통전을 전류 제어 소자에 의해 정전류 제어하는 것을 생각해 내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전류 제어하면 전류 제어 소자에 대하여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이 부하를 저감하여 소자의 파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런 점에서,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조사의 말기까지는 정전류 제어하고, 조사의 말기에는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제어함으로써, 전류 제어 소자에 대한 부하를 저감하면서 미용에 적합한 강도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기기는 발광부와, 캐패시터와, 전류 제어부를 구비한다. 발광부는 방전 램프 및 방전 램프로부터의 광을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갖는다. 캐패시터는 방전 램프에 통전하는 전류를 공급한다. 전류 제어부는 캐패시터로부터 방전 램프에 통전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전류 제어부는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조사의 말기까지는 방전 램프에 통전되는 전류를 정전류 제어하고, 조사의 말기에는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방전 램프에 통전한다.
이 미용 기기에서는 1회의 조사 기간내에 있어서, 전류 제어부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하면서 미용에 적합한 강도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미용 기기는 방전 램프에 통전하는 전류를 펄스 전류화하기 위한 펄스 생성부를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전류 제어부는 펄스 생성부로부터의 펄스군에 기초하여 캐패시터로부터의 전류를 펄스 전류화하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짧은 펄스폭의 광을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같은 부위에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펄스광이 조사 부위를 적절한 정도로 가열하면서 광이 조사되지 않는 주변 부위로의 열의 확산이 저감되어, 조사 부위의 가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펄스 생성부는 각 펄스의 펄스폭이 동일한 펄스군을 생성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각 펄스마다의 발광량을 동등하게 하여, 각 펄스마다 균일한 가열치로 가온할 수 있게 된다.
미용 기기는 방전 램프로부터의 발광량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설정 수단에 있어서 설정된 발광량에 기초하여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결정하는 충전 전압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시술에 필요한 발광량에 따라 캐패시터를 충전할 수 있다.
미용 기기는 설정 수단에 있어서 설정된 발광량에 기초하여, 캐패시터에 인가하는 충전 전압보다도 높은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결정하는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 결정 수단과, 캐패시터에 인가되고 있는 캐패시터 전압을 검지하는 캐패시터 전압 검지 수단과, 캐패시터 전압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캐패시터 전압이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초과할 때, 캐패시터 전압을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보다도 저하시키는 전압 저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젓번 시술에서의 광의 조사로부터 발광량을 변경하여 시술할 때, 충전 전압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충전 전압이, 이미 충전되어 있는 캐패시터의 캐패시터 전압보다도 훨씬 밑도는 설정값으로 정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방전 램프를 그대로 발광시키면, 전류 제어부를 구성하는 소자의 최대 정격(허용 부하 용량(예를 들면 최대 콜렉터 손실))을 초과하여 소자를 파손할 우려가 있다. 이 때,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 결정 수단에 의해 캐패시터에 인가하는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결정하고, 이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보다도 캐패시터 전압이 크면, 전압 저하 수단에 의해 캐패시터 전압을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보다도 저하시킴으로써 전류 제어부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하여, 소자의 파손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미용 기기는 방전 램프에 인가되는 램프 전압에 기초하여 램프 전압의 정상 및 이상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류 제어부는 판정 수단에 의해 램프 전압이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방전 램프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방전 램프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쇼트되었을 때나, 방전 램프가 파손하여 쇼트되는 등의 이상이 발생했을 때,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른 미용 기기의 제어 장치는 캐패시터와, 전류 제어부를 구비한다. 캐패시터는 방전 램프에 통전하는 전류를 공급한다. 전류 제어부는 캐패시터로부터 방전 램프에 통전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전류 제어부는,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조사의 말기까지는 방전 램프에 통전하는 전류를 정전류 제어하고, 조사의 말기에는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방전 램프에 통전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의해 한층 더 충분히 이해 가능해진다. 이들은 단지 예시를 위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시의 편의상,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하는 것과 반드시 일치하 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는 발광부(12)과 본체부(미용 기기의 제어 장치)(14)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부(12)는 T자형의 조작 핸들(16)과, 이 조작 핸들(16) 내에 설치된 Ⅹe 램프 등의 방전 램프(도 2의 18)와, 방전 램프(18)로부터의 광을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20)를 가지고 있다. 조작 핸들(16)에는 발광 지시를 위한 버튼(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버튼(22)을 누름으로써 방전 램프(18)가 발광하고, 라이트 가이드(20)에 의해 가이드된 광이 출사면(20a)으로부터 출사된다.
본체부(14)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체 내에 각종 장치를 짜 넣어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4)의 상부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의 표시 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 장치(24)는 시술을 위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터치 패널식의 설정 수단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본체부(14)와 발광부(12)는 케이블을 내장하는 플렉시블 관로(26)를 통하여 접속되고 있어, 발광부(12)를 시술 부위까지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발광부(12)의 방전 램프(18)는 가는 관 형상을 이루며, 관 지름에 비해 긴 방전 길이를 가지고 있다.이 방전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은 약 380∼950nm 정도이다.
라이트 가이드(20)는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방전 램프(18)의 방전 길이와 거의 비슷한 폭과, 관 지름보다도 큰 두께를 가지고 있다. 라이트 가이드(20)의 단면은 경면 연마 마무리되어 있으며, 입사면에서 방전 램프(18)로부터의 광을 손실 적게 수광하여 가이드하고, 출사면(20a)에서 출사한다.
방전 램프(18)의 광이 입사되는 라이트 가이드(20)의 입사면측에는 그 단면과 거의 비슷한 단면 형상을 갖는 광필터(20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출사면(20a)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은 약 540∼950nm 정도가 된다.
라이트 가이드(20)는 광을 출사하는 출사면(20a)의 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피부의 시술 부위의 면적이 클 때, 출사면(20a)의 면적이 작으면 조사를 반복할 필요가 있어 효율이 나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라이트 가이드(20)의 출사면(20a)의 치수는 폭 20mm×두께 10mm나, 폭 35mm×두께 10mm나, 폭 55mm×두께 10mm가 채용된다. 폭 20mm의 라이트 가이드(20)에 광을 출사하는 방전 램프(18)로는 폭 20mm에 걸쳐 발광 강도 밀도에 얼룩이 적은 광을 부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라이트 가이드(20)의 폭과 거의 비슷한 방전 길이를 갖는 방전 램프(18)가 사용된다.
이 라이트 가이드(20)는 광을 수속(收束)시키는 일 없이 광을 전파한다. 이것은 출사면(20a)이 크다는 것, 조작 핸들(16)을 손바닥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하기 위하여 방전 램프(18)의 크기를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어 큰 방전 램프(18)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에 따른 것이다. 이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20)에는 광의 수속 작용이 없기 때문에, 방전 램프(18)는 상기한 바와 같은 출사면(2Oa)의 면적으로, 적절한 정도의 가열 효과를 가져오는 발광량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4)는 방전 램프(18)에 통전하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캐패시터(28)를 가지고 있다. 캐패시터(28)는 피부의 시술 부위에 충분한 국부 가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력을 보존한다. 이 캐패시터(28)는 충전된 대용량 전력을 한꺼번에 방전하여 방전 램프(18)를 발광시킨다.
캐패시터(28)에는 충전을 위한 전원부(3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전원부(30)는 일반적인 교류(AC) 상용 배전 계통으로부터 정류하여, 직류(DC)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30)는 후술하는 전압 제어 오차 비교 증폭기(32)에 의한 제어에 의해 출력 전압이 가변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전원부(30)는 출력 전압이 설정값이 되면 충전을 완료하고, 캐패시터(28)로의 충전 전류의 유입을 저지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캐패시터 전압이 설정값 이상일 때도 캐패시터(28)로의 충전 전류의 유입을 저지하도록 제어된다.
캐패시터(28)에는 전류 제어 소자(3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전류 제어 소자(34)는 캐패시터(28)로부터 방전 램프(18)에 통전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전류 제어 소자(34)로는 전압에 의해 통전 전류를 제어 가능한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파워 트랜지스터, MOS-FET, IGBT 등이 바람직하다. 전류 제어 소자(34)에 의한 전류 제어로서 IGBT를 이용한 시리즈 제어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에서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콜렉터 전류가 소자에 인가 되는 콜렉터, 에미터 간의 전압이 증대하여도 변화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한다. 콜 렉터 전류는 게이트 전압을 바꿈으로써 변화된다. 게이트 전압을 바꿈으로써 콜렉터 전류가 변하는 실용적인 콜렉터 전류의 범위가 리니어한 동작 범위이다. 게이트 전압이 더욱 높아지면 콜렉터 전류는 더욱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실용적으로는 스위치 ON과 동등한 상태에 이른다. 스위치 ON과 동등한 상태에서는 소자 동작은 리니어한 제어 상태라고는 말할 수 없으며, 포화 상태로 간주된다. 이 미용 기기(10)에서는 이러한 전류 제어 소자(34)의 리니어한 동작 상태와 포화된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방전 램프(18)에 통전하는 전류를 제어한다.
전류 제어 소자(34)의 하류에는 방전 램프(18)에 통전되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출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류 검출부(36)는 예를 들어 홀 소자를 이용한 커렌트 트랜스 등으로 구성되며, 방전 램프(18)로의 배선과는 절연되면서도 전류를 검출한다. 이 전류 검출부(36)는 후술하는 부귀환 제어계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 전류 검출부(3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펄스 전류를 검지하지만, 새그(sag)를 발생시키지 않는 부귀환 제어계를 구성하기 위하여, DC로부터 고주파수 대역까지의 광대역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트리거 트랜스(38)는 전류 검출부(36)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이 트리거 트랜스(38)는 방전 램프(18)가 발광하기 위해서 필요한 고압 트리거 펄스를 방전 램프(18)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리거 트랜스(38)는 직렬식으로 방전 램프(18)의 통전 전극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트리거 트랜스(38)에는 트리거 발진기(40)가 접속되어 있다. 트리거 발진기(40)는 방전 램프(18)를 여기시킬 때, 고압 트리거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트리거 트랜스(38)에 보낸다. 방전 램프(18)가 여기한 후에는 트리거 발진기(40)는 자동적으로 발진을 정지한다.
또한 트리거 트랜스(38)에는 미소 전류 공급 전원부(42)가 접속되어 있다. 이 미소 전류 공급 전원부(42)는 방전 램프(18)가 여기한 후, 미소 발광을 계속하기 위한 미소 전류를 방전 램프(18)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방전 램프(18)를 항상 미소 발광시켜 둠으로써, 전류 제어 소자(34)가 작동하여 캐패시터(28)로부터의 전류가 방전 램프(18)에 유입하면 방전 램프(18)에 대전류가 흘러 들어 순간 대발광한다. 또한 미소 전류를 항상 흘려 둠으로써 방전 램프(18)가 항상 방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순간 대발광할 때마다 트리거 펄스를 방전 램프(18)에 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전류 제어 오차 증폭기(44)는 전류 검출부(36)에서 검출된 전류값을 후술하는 전류 설정기(46)에서 세트된 통전 전류의 설정값과 비교하고, 그 차분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는 펄스 생성부(5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군을 받아 들여, 통전 전류를 펄스 전류화하도록 전류 제어 소자(34)을 제어한다. 이 때,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는 전류 제어 오차 증폭기(44)로부터의 출력을 받아, 방전 램프(18)에 흐르는 펄스 전류의 전류값이 전류 설정기(46)에서 설정된 설정값이 되도록 전류 제어 소자(34)를 제어한다.
드라이브 출력 제어 스위치(52)는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와 전류 제어 소자(34)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소위 전자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이 드라이브 출력 제어 스위치(52)는 통상은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로부터의 신호를 전류 제어 소자(34)에 통하게 하고 있지만, 이상 검출 증폭기(54)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으면,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로부터의 신호가 전류 제어 소자(34)에 전달되지 않도록 신호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전류 제어 소자(34), 전류 검출부(36), 전류 제어 오차 증폭기(44),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 및 드라이브 출력 제어 스위치(52)에 의해, 캐패시터(28)로부터 방전 램프(18)에 통전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부(56)로서의 부귀환 전류 제어계가 구성되어 있다.
광출력 설정 입력부(설정 수단; 58)는 미용 내용에 맞춘 원하는 발광량이 얻어지도록 방전 램프(18)로부터의 발광량을 설정 입력하는 입력부이다.
설정 입력 처리부(60)는 광출력 설정 입력부(58)에서 입력된 발광량을 정하는 파라미터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된 발광량을 정하는 파라미터로서, 방전 램프(18)에 흘리는 전류값, 펄스 파형(펄스폭 및 펄스 간격) 및 펄스 발광 시간을 출력한다. 또한 설정 입력 처리부(60)는 광출력 설정 입력부(58)에서 설정된 값을 도 1의 표시 장치(24)에 표시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는 기억 소자와 연산자를 가지고 있다. 이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는 설정 입력 처리부(60)로부터 받은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캐패시터(28)에 인가하는 충전 전압을 결정하고, 제 1 전압 설정기(64)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캐패시터(28)에 인가하는 충전 전압의 결정은 전류 제어부(56)가 조사의 말기까지를 정전류 제어하고, 조사의 말기에는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제어하는데 중요하다. 상기 파라미터와 충전 전압의 관계는 방전 램프(18)의 방전 특성과, 통전하는 설정 전류값과, 통전 시간과의 관계로부터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의 기억 소자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는 이 관계로부터 충전 전압을 결정한다.
제 1 전압 설정기(64)는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의 출력에 따라, 캐패시터(28)에 인가하는 충전 전압의 설정 기준값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설정 입력 처리부(60),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 및 제 1 전압 설정기(64)에 의해 캐패시터(28)의 충전 전압을 결정하는 충전 전압 결정 수단이 구성된다.
제 1 전압 검출기(66)는 캐패시터(28)에 인가되어 있는 캐패시터 전압을 지연 시간 적게 검출하여, 전압 제어 오차 비교 증폭기(32)에 출력한다. 전압 제어 오차 비교 증폭기(32)는 제 1 전압 설정기(64)로부터의 설정 기준값과 제 1 전압 검출기(66)로부터의 캐패시터 전압을 비교하여, 캐패시터 전압이 설정 기준값이 되도록 전원부(30)을 제어한다.
펄스 설정기(68)는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펄스 발광의 펄스폭, 펄스 간격 및 펄스 발생 시간을 정하고, 이 펄스 발광을 실현하기 위한 신호를 펄스 생성부(50)에 출력한다.
펄스 생성부(50)는 펄스 설정기(6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지정된 내용의 펄스군을 생성한다. 이 펄스 생성부(50)는 발광 지시부(70)의 지시에 의해 작동하여, 펄스군이 일어난다.
발광 지시부(70)는 펄스 생성부(50)의 출력을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 에 공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지시부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핸들(16)에 설치된 발광 지시를 위한 버튼(22)이 이 발광 지시부(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류 설정기(46)는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방전 램프(18)에 통전하는 정전류의 설정값을 출력한다. 이 설정값이 전류 제어 오차 비교 증폭기(44)에 입력된다.
설정 보정 제 2 기억부(72)는 기억 소자와 연산자를 가지고 있다. 이 설정 보정 제 2 기억부(72)는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에서 결정된 충전 전압에 따라, 전류 제어 소자(34)가 펄스 통전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 범위가 되는 지점의, 캐패시터(28)에 인가하는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결정한다. 펄스 설정기(68) 및 전류 설정기(46)에서 설정한 통전량으로 하도록 전류 제어 소자(34)는 통전 전류를 제어하는데, 전류 제어 소자(34)는 직렬 제어이기 때문에 전류 제어 소자(34)에 부하가 가해진다. 전류 제어 소자(34)에 걸리는 부하는 캐패시터 전압이 클수록 커지며, 허용할 수 있는 부하량을 초과한 시점에서 소자가 파괴된다. 따라서, 전류 제어 소자(34)는 허용할 수 있는 부하량의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설정 보정 제 2 기억부(72)가 설치되어 있다.
설정 보정 제 2 기억부(72)의 기억 소자에는 전류 제어 소자(34)의 허용할 수 있는 부하량이 기억되어 있다. 연산자는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에서 결정된 충전 전압과 허용할 수 있는 부하량에 기초하여 전류 제어 소자(34)가 파괴되기 직전의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결정하고, 제 2 전압 설정기(74)를 구동하는 신호 를 출력한다.
제 2 전압 설정기(74)는 설정 보정 제 2 기억부(72)의 지시에 따라, 전류 제어 소자(34)가 파괴되기 직전의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참조 전압으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설정 입력 처리부(60),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 설정 보정 제 2 기억부(72) 및 제 2 전압 설정기(74)에 의해, 캐패시터(28)에 인가하는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결정하기 위한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 결정 수단이 구성된다.
제 2 전압 검출기(캐패시터 전압 검지 수단;76)는 캐패시터(28)에 인가되고 있는 캐패시터 전압을 광역 노이즈 필터하여 검출한다.
전압 오차 비교 증폭기(78)는 제 2 전압 검출기(76)로부터의 캐패시터 전압과 제 2 전압 설정기(74)로부터의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비교하여, 캐패시터 전압이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 이상이면 출력 제어 스위치(80)를 작동시켜 캐패시터(28)에 부하 저항기(82)를 접속한다. 이 부하 저항기(82)는 캐패시터(28)가 과충전되어 있을 때에 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캐패시터(28)의 방전이 수행되어 캐패시터 전압이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보다도 저하한다.
출력 제어 스위치(80)는 전압 오차 비교 증폭기(78)의 출력을 받아 부하 저항기(82)와 캐패시터(28)를 접속하거나 접속을 해제하여 캐패시터(28)의 방전을 제어한다. 또한 캐패시터(28)가 부하 저항기(82)를 통하여 방전하고 있는 동안에는, 출력 제어 스위치(80)는 방전 램프(18)가 발광하지 않도록 발광 지시부(70)를 제어하여, 발광 지시부(70)가 발광 지시를 하여도 방전 램프(18)가 발광하지 않도록 제 어한다.
이와 같이 전압 오차 비교 증폭기(78), 출력 제어 스위치(80) 및 부하 저항기(82)에 의해, 캐패시터 전압을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보다도 저하시키는 전압 저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기준 전압 생성부(84)는 방전 램프(18)에 인가되고 있는 램프 전압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기준 전압은 미소 전류 공급 전원부(42)로부터 미소 전류가 방전 램프(18)에 흐르고 있을 때의 방전 램프(18)에 가해지고 있는 전압보다도 낮다.
전압 비교 검출기(판정 수단;86)는 트리거 트랜스(38)를 통하여 입력된 방전 램프(18)에 가해지고 있는 램프 전압과 기준 전압 생성부(84)로부터의 기준 전압을 비교한다. 그리고, 램프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일 때에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램프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도 낮을 때에는 방전 램프(18)가 발광할 수 없는 상태임을 검지하여 이상 검출 증폭기(54)에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검출 증폭기(54)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검출 신호를 논리합으로서 출력한다. 하나는 전압 비교 검출기(8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드라이브 출력 제어 스위치(52)를 구동하여,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로부터의 신호가 전류 제어 소자(34)에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계통이다. 다른 하나는 전류 검출부(36)에서 전류를 검지하여, 전류 제어 소자(34)가 이상하게 큰 전류를 흘려 보내려고 하고 있을 때 이를 검지하여 드라이브 출력 제어 스위치(52)를 구동하고,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로부터의 신호가 전류 제어 소자(34)에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계통이다. 이들 두 개의 서로 다른 검출 신호는 모두 드라이브 출력 제어 스위치(52)를 구동하도록 작용하므로, 논리합으로서 일체화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이 미용 기기(10)의 제어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전류 제어부(56)가 방전 램프(18)에 통전되는 전류를 제어하지 않아, 캐패시터(28)로부터의 전류가 직접 방전 램프(18)에 공급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때, 캐패시터 전압은 방전에 따라서 저하하기 때문에, 방전 램프(18)에 흐르는 전류 및 램프 전압은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조사의 초기에 크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감소하여 조사의 말기에는 격감한다. 따라서, 방전 램프(18)의 발광량도 조사의 초기에는 크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감소하여, 조사의 말기에는 격감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캐패시터 전압은 방전에 따라서 저하하기 때문에 램프 전압은 포락선(af)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한다. 따라서, 조사의 초기와 말기에서는 발광량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그 결과, 일정한 가열치를 연속하여 피부에 가하지 못하고, 조사의 말기에는 가열치가 너무 낮아 미용 효과가 저감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에서는 전류 제어부(56)에 의해, 1회의 조사 기간(멀티 펄스 발광 기간) 내에 있어서 조사의 말기까지는 방전 램프(18)에 통전되는 전류를 정전류 제어하고, 조사의 말기에는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방전 램프(18)에 통전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각각의 펄스가 거의 일정한 가열치를 연속하여 피부에 가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TO)부터 (T2)까지의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시각(TO)부터 (Tl)까지는 방전 램프(18)에 통전되는 전류를 정전류 제어한다. 이로 인해 시각(TO)에 있어서 캐패시터 전압은 점(a)에 있지만, 램프 전압은 점 (b)로 제어된다. 또한, a, b간의 전압은 램프에 직렬로 들어갔을 때 전류 제어 소자(34)에 가해지는 전압이며, 이 전압과 유입 전류와 유입 시간과의 곱이 전류 제어 소자(34)의 부하가 된다.
시간의 경과와 함께 캐패시터 전압은 저하하여, 시각(Tl)에 있어서 캐패시터 전압은 점(c)에 있고, 램프 전압도 대략 점(c)에 있다. 이로 인해 시각(Tl)에 있어서는 전류 제어 소자(34)의 콜렉터 에미터간의 전압이 미소 전압이 되고, 소자(34)의 기능은 포화하여, 스위치 소자와 동등하게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각(Tl)부터 (T2)까지의 조사의 말기에 있어서,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방전 램프(18)에 통전한다. 이로 인해 램프 전압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라 거의 포락선(c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하한다.
또한, 점(b), 점(c), 점(d)는 전압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램프 전압이 커지면 전류도 커지기 때문에, 이들을 전류와 대체하여도 거의 지장이 없다. 또한 점(d) 및 점(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의 조사 기간은 같은데도 점(f) 쪽이 전압 저하가 큰 것은, 포락선(af)으로 나타내어지는 통전 쪽이 포락선(bc)로 나타내어지는 제어보다도 조사의 초기에 있어서 통전 전류가 크기 때문에, 1회의 조사 기간 내에서의 방전량이 포락선(af)으로 나타내어지는 통전 쪽이 커지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점(a), 점(b), 점(c)로 둘러 싸인 범위는 전류 제어 소자(34)에 걸리는 부하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 부하량은 시간(TO)부터 (Tl) 사이의 각 펄스에 대하여, ac 포락선값에서 점(b)의 전압을 뺀 값에, 점(b)의 전압에 상당하는 전류값과 각각의 펄스 통전 시간을 곱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 전류 제어 소자(34)에 가해진 부하량이 소자의 최대 정격(허용할 수 있는 부하량(예를 들면 최대 콜렉터 손실))보다도 크면, 전류 제어 소자(34)는 파괴된다.
1회의 모든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완전하게 일정한 가열치를 연속하여 피부에 가하는 관점에서는 도 3의 포락선(pm)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간(TO)에서의 캐패시터 전압을 높게 설정하고, 1회의 조사 기간 내의 전부를 정전류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어하면 전류 제어 소자(34)에 걸리는 부하량이 증대하여, 전류 제어 소자(34)는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때,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하였다. 즉, 미용에 적합한 가열치는 짧은 펄스폭의 펄스를 멀티 펄스로 하여,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각 펄스가 동일한 발광량으로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용상으로는 마지막까지 완전하게 동일한 발광량일 필요는 없으며, 조사의 말기에 발광량이 다소 저하하여도 미용 효과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에서는, 조사의 말기에는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방전 램프(18)에 통 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시각(TO)에서의 캐패시터 전압을 낮출 수 있어 전류 제어 소자(34)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저감되므로, 전류 제어 소자(34)가 파괴될 가능성을 저감하면서 미용에 적합한 발광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점(c)가 점(b)에 가까우면 점(a)의 전압을 낮출 수 있고, 점(a), 점(b), 점(c)로 둘러 싸이는 면적이 작아져, 전류 제어 소자(34)에 걸리는 부하량이 저하한다. 그러나, 점(c)가 점(b)에 가까우면 정전류 제어의 시간이 짧아져, 피부에 조사되는 전체 발광량이 적아진다. 따라서, 점(c)는 전류 제어 소자(34)에 걸리는 부하량과 시술에 필요한 발광량의 밸런스를 감안하여 결정되고, 시각(Tl)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간(T2-Tl)의 1회의 조사 기간(T2-TO)에 대한 비율은 0 .4 이하가 되도록 정해진다. 이렇게 하여 정해진 시간(Tl)부터 (T2)까지의 기간이 「조사의 말기」이다. 조사의 말기가 이 정도의 기간이면, 발광량이 저하하여도 전체적으로 미용 효과에 실질적인 영향은 없다. 또한, 전형적으로는 1회의 조사 기간은 4밀리초∼80밀리초 정도이며, 1회의 조사 기간을 60밀리초로 하면, 조사의 말기는 24밀리초 이하가 된다.
여기에서, 1회의 조사 기간(T2-TO)이 짧은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a, b, c의 면적이 작아져 전류 제어 소자(34)로의 부하가 작아지기 때문에, 조사의 말기(T2-Tl)의 비율을 작게 하여도 지장이 없다. 한편, 1회의 조사 기간(T2-TO)이 긴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a, b, c의 면적이 커져 전류 제어 소자(34)로의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조사의 말기(T2-Tl)의 비율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회의 조사 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조사의 말기의 비율을 작게 하고, 반면 1 회의 조사 기간이 긴 경우에는 조사의 말기의 비율을 크게 하도록 시각(Tl)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면, 시술에 있어서 높은 효과를 얻으면서 전류 제어 소자(34)로의 부하를 낮게 억제하는데 유효하다.
또한, 시술에 있어서 1회의 조사 기간(T2-TO)이 긴 경우에는 멀티 펄스의 각펄스의 발광량이 종기(終期) 가까이에서 다소 저감하여도 실용상 지장이 없다. 반대로, 1회의 조사 기간(T2-TO)이 짧은 경우에는 멀티 펄스의 펄스수도 적어지므로, 각 펄스의 발광량이 민감하게 시술 효과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 경우, 각 펄스의 발광량이 모두 같은 수준에 있을 때 가장 시술 효과가 높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미용 기기(10)의 전원을 넣는다. 그러면, 트리거 트랜스(38)의 권취선 1차측에 트리거 발진기(40)로부터 펄스 전류가 가해져, 2차측에 고압 펄스가 발생한다. 트리거 트랜스(38)는 발생한 약 12kV∼20kV의 펄스 전압을 방전 램프(18)에 인가한다. 이로 인해 방전 램프(18)가 여기된다.
이미 일어나 있는 미소 전류 공급 전원부(42)는 높은 내부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다. 방전 램프(18)가 여기하고 있지 않을 때, 이 전원부는 고전압을 출력하여, 방전 램프(18)의 여기을 위해 램프 내에 스트리머가 일어난 후의 방전을 보조한다. 여기 직후의 방전이 일어나면 방전 램프(18) 내부의 램프 임피던스는 저하한다. 미소 전류 공급 전원부(42)는 높은 내부 임피던스 때문에, 부하인 램프 임피던스의 저하에 따라 출력 전압이 저하하고, 방전 램프(18)가 미약 발광을 계속하는 정도로 방전을 계속하는 출력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방전 램프(18)는 미약 발광으로 방전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방전 램프(18)에 인가되는 전압이 높아지면 대전류가 흘러 대발광한다. 이 때 이미 방전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새롭게 고압의 트리거 펄스를 인가하여 방전 램프(18)를 재(再)여기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방전 램프(18)에 미약 전류가 계속하여 흐르는 상태가 되면, 트리거 발진기(40)는 발진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1의 표시 장치(24)를 통하여, 광출력 설정 입력부(58)에 미용에 적합한 광가열값을 얻기 위한, 피부에 적합한 원하는 발광량 관련값을 설정 입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24)는 액정을 이용한 터치 패널식으로 표시장치이다. 표시부에는 예를 들면 각각의 기능에 대응하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고, 이 윈도우를 터치함으로써 기능의 선택이나 동작 상태의 설정이 입력된다.
예를 들면 미용의 내용에 관한 항목으로서 피부의 기미, 주름, 늘어짐이나 탈모 등의 미용 내용에 관한 설정 입력이 있으며, 이에 대한 윈도우를 선택해서 입력한다. 이 미용 목적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서로 다른 펄스 파형이 설정된다.
또한, 예를 들면 개개인의 피부색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피부의 광반사값은 개인마다 다르다. 따라서, 유효한 가열치를 얻기 위해서는 광반사값을 고려하여 발광량을 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발광량 관련값으로서 일반적인 피부색을 기준값으로 하여 0값을 정하고, 이에 대하여 피부가 희어서 광반사값이 큰 쪽을 대상으로 +5, 반대로 피부의 광반사값이 작은 쪽을 대상으로 -5의 수치가 마련된다. 이것을 -5부터 +5까지 1수치씩 단계적으로 수치 변경함으로써 방전 램프(18)의 전 류값이 설정 변경된다. 이 예에 있어서는, +5가 전류량의 최대값에 대응하고, -5가 전류량의 최소값에 대응한다. 또한, 이 수치 표시에 대해서는, 다른 관련된 수치라도 좋으며, 예를 들어 J/㎠ 단위의 수치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털의 색, 털의 짙기에 대한 설정값도 입력의 대상으로 하여 설정 윈도우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직접적으로 털의 색, 짙기라고 표현할 필요는 없으며, 다른 관련된 수치, 또는 표현으로 표현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발광량 관련값으로서 일반적인 털의 짙기를 기준으로 하여 0값을 취하고, 털이 옅은 쪽을 대상으로 +5, 반대로 털이 짙은 쪽을 대상으로 -5의 수치가 마련된다. 이것을 -5부터 +5까지 1수치씩 단계적으로 수치 변경함으로써 방전 램프(18)의 주입하는 펄스수가 설정 변경된다. 이 예에서는 +5가 펄스수가 가장 많고, -5가 펄스수가 가장 적다.
이들 입력된 설정값을 표시 장치(24)에 윈도우로서 남김과 동시에, 설정값을 설정 입력 처리부(60)에 입력한다. 이들 설정값의 입력에 의해, 방전 램프(18)로부터의 발광량이 설정된다.
상기한 표시 장치(24)로는 이들의 목적으로 준비되어 있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표시 터미널 등이 적합하다. 또한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을 갖지 않는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응용하여도 같은 설정을 할 수 있다.
설정 입력 처리부(60)는 광출력 설정 입력부(58)로부터의 설정값을 디지털 신호로 받아, 기억 소자에 기억되어 있는 조건에 맞추어 원하는 발광량을 정하는 파라미터를 출력한다. 표시 장치(24)로부터의 미용 목적의 설정 입력에 대해서는 설정 관련값에 대해 기억 소자부가 기동하여, 대응하는 펄스의 형상, 펄스 간격을 정하는 관련 디지털 신호가 형성된다. 발광량 관련값으로서 입력된 광반사율에 대응하는 단계적인 수치 레벨에 대응하여 방전 램프(18)에 흘리는 전류값이 변화된다. 방전 램프(18)로부터의 발광량은 펄스파형, 펄스수, 펄스폭, 펄스 전류량에 따라 다르며, 또한 피부에 대한 가열 효과는, 같은 가열값이라도 순간적으로 조사한 경우와, 발광량을 낮추어 장시간에 걸쳐 조사한 경우에서는 피부에 대한 작용 효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미용 목적, 피부의 반사량, 털의 짙기 등의 파라미터에 따라 방전 램프(18)에 주입하는 전류량, 펄스파형, 펄스수, 펄스폭, 펄스 간격의 변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는 설정 입력의 파라미터를 받으면, 미리 기억 소자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조건에 따라 전류량, 펄스파형, 펄스수, 펄스폭, 펄스 간격이 서로 관련된 값을 가지고 원하는 발광량이 되도록 기능한다. 예를 들면 같은 발광량을 얻는 경우라도 펄스수가 증가하면 전류량이 적어지고, 펄스수가 작으면 전류량이 증대한다. 같은 발광량을 얻는 경우에도 펄스 간격이 서로 다르면 미용에 관한 작용 효과가 서로 다르다. 미용에 관한 작용 효과는 이들 각 인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는 미용 목적에 대응한 최적의 상기 각 인자를 기억 소자를 통하여 결정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들 기억 소자 및 제어 장치로서는, 이들 목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프로그 램 컨트롤러를 소프트 제어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 목적을 위하여 CPU를 포함시켜 로직 회로를 형성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기억 및 제어에 관련되는 계통을 퍼스널 컴퓨터를 소프트 제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는 설정 입력 처리부(60)로부터 수취한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캐패시터(28)에 인가할 충전 전압을 결정하고, 제 1 전압 설정기(64)를 구동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캐패시터(28)에 인가하는 충전 전압의 결정은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의 기억소자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기 파라미터와 충전 전압과의 관계를 참조하여 수행된다. 이로 인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 제어부(56)에 의한 전류(전압)의 제어가 점(b), 점(c), 점(d)로 설명한 움직임이 되도록 점(a)에 대응하는 캐패시터(28)의 충전 전압이 결정된다.
램프 전류가 클 때에는 방전 램프(18)에 인가하는 전압이 높아 b점의 전압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점(a)에 대응하는 캐패시터(28)의 충전 전압은 높게 결정된다. 반대로, 램프 전류가 작을 때에는 방전 램프(18)에 인가하는 전압이 낮아 b점의 전압값이 낮아지기 때문에 점(a)에 대응하는 캐패시터(28)의 충전 전압은 낮게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류 제어부(56)에 의한 전류(전압)의 제어가 점(b), 점(c), 점(d)로 설명한 움직임이 되도록 점(a)에 대응하는 캐패시터(28)의 충전 전압이 결정된다.
제 1 전압 설정기(64)는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에서 결정된 충전 전압을 얻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설정 기준값을 디지털 신호로 생성하고, 이것을 아날로그 변환하여 유지한다. 그리고, 전압 제어 오차 비교 증폭기(32)에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전압 검출기(66)는 캐패시터(28)에 인가 되고 있는 캐패시터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 제어 오차 비교 증폭기(32)에 출력한다. 그리고, 전압 제어 오차 비교 증폭기(32)는 캐패시터 전압이 설정 기준값이 되도록 전원부(30)를 제어한다. 이로 인해, 전원부(30)는 전류 제어부(56)에 의한 전류의 제어가 점(b), 점(c), 점(d)로 설명한 움직임이 되는 적정한 충전 전압으로 캐패시터(28)를 충전한다.
한편, 펄스 설정기(68)는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펄스파형, 펄스폭, 펄스 간격 및 펄스 발광 시간(1회의 조사 기간)을 결정한다. 펄스 생성부(50)는 펄스 설정기(68)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원하는 펄스군을 생성한다.
전류 설정기(46)는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방전 램프(18)에 통전하는 정전류의 설정값을 디지털 신호로 생성하고, 이것을 아날로그 변환하여 유지한다. 그리고,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전류 제어 오차 증폭기(44)에 출력한다.
캐패시터(28)의 충전이 완료한 후, 조작 핸들(16)을 쥐고 발광부(12)를 이동시켜 시술을 행하는 부위에 라이트 가이드(20)의 출사면(20a)을 접촉시킨다. 여기에서 라이트 가이드(20)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피부를 적당한 정도로 가열하기 위해서는, 라이트 가이드(20)의 출사면(20a)의 광강도 밀도 분포의 편차가 적고, 피부의 면과 출사면(20a)과의 사이는 균일하게 근접하여 경사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점에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시술 부위에 투명한 크림을 도포하고, 그 위에 라이트 가이드(20)를 밀착시킨다. 이로 인해 라이트 가이드(20)가 매끄럽게 피부면에 접촉하여 시술 부위에 조사되는 광밀도의 불균일성이 해소된다.
조작 핸들(16)의 버튼(22)을 눌러 발광 지시부(70)로부터의 발광 지시가 펄스 생성부(50)에 입력되면, 펄스 생성부(50)는 생성한 펄스군을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에 출력한다.
전류 검출부(36)는 방전 램프(18)에 통전되는 전류값을 검출하여 전류 제어 오차 증폭기(44)에 출력한다. 전류 제어 오차 증폭기(44)는 전류 검출부(36)에서 검출된 전류값을 전류 설정기(46)에서 세트된 통전 전류의 설정값과 비교하고, 그 차분을 증폭해서 출력한다.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는 펄스 생성부(5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군을 받아 들여, 통전 전류를 펄스 전류화하도록 전류 제어 소자(34)를 제어한다. 이 때 부귀환 전류 제어 조정부(48)는 전류 제어 오차 증폭기(44)로부터의 출력을 받아, 방전 램프(18)에 흐르는 펄스 전류의 전류값이 전류 설정기(46)에서 설정된 설정값이 되도록, 원하는 게이트 전압으로 전류 제어 소자(34)를 제어한다.
이로 인해, 캐패시터(28)로부터 방전되고 전류 제어 소자(34)에 이르러, 원하는 전류값으로 설정된 펄스 전류가 방전 램프(18)에 공급되어 방전 램프(18)가 펄스 발광한다. 그리고, 조작 핸들(16)을 통해 라이트 가이드(20)의 출사면(20a)이 대어진 피부의 시술 부위에 대하여 짧은 펄스폭의 펄스광이 간격을 두고 반복 조사된다. 이와 같이 짧은 펄스폭의 펄스광을 조사하면, 시술 부위의 주변으로의 열의 확산이 저감되어 시술 부위의 가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광을 펄스화 하지 않고 연속 조사하면, 조사된 순간 시술 부위는 국소 가열되지만,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가열 부위의 열이 주변으로 확산되어 시술 부위의 온도가 저하한다. 미용을 위해서는 시술 부위만을 가온하고자 하지만, 이와 같이 주변으로 열이 확산되면 가온의 효과가 저감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과 같이 상당히 짧은 펄스광을 반복하여 연속으로 조사함으로써 미용에 적합한 가온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일예로서, 2밀리초 조사로 2밀리초 간격을 둔 펄스를 6∼15펄스 정도 조사함으로써 미용에 효과적인 가온이 수행된다. 또한, 미용을 위한 시술로서 탈모를 실시할 때에는 상기한 조건 하에서 12∼30J/㎠ 정도의 발광량을 피부에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피부의 기미, 주근깨, 주름을 제거할 때에는 10∼25J/㎠ 정도의 발광량을 피부에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광은 피부에 대하여 표면층보다 아래의 심부(深部)에까지 감쇠하면서 도달한다. 따라서, 피부에 조사된 광은 피부의 표면층뿐만 아니라, 그 아래의 심부에도 작용하여 피부의 미용 효과가 달성된다.
이와 같이 순간의 대발광이며 비교적 큰 면적을 가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방전 램프(18)에 투입되는 전기량은 대용량이며 전류도 크다. 일예로서, 상기한 발광량 관련값이 일반적인 피부색을 기준으로 한 0값인 경우, 방전 램프(18)에는 300A 정도의 전류가 투입된다.
지금, 방전 램프(18)가 발광하는 발광량은 방전 램프(18)에 흐르는 전류, 전압 및 발광 시간에 의해 정해진다. 램프 전류는 방전 램프(18)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해 변화되며, 램프 전압이 클수록 램프 전류도 커진다.
캐패시터(28)로부터의 방전에 따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패시터 전압은 저하한다. 이에 따라 방전 전류도 저하한다. 시각(TO)부터 (Tl)에 있어서, 전류 설정기(46)에서 정해진 전류값으로 방전 램프(18)를 발광시킬 때, 방전 램프(18)에는 이 전류값에 따른 전압이 인가된다.
캐패시터 전압이 전류 제어 소자(34)의 콜렉터-에미터간 포화 전압에 램프 전압을 더한 전압보다도 클 때, 전류 제어 소자(34)는 리니어한 작동 상태에 있으며, 전류 제어 소자(34)는 설정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전류를 제어한다. 이로 인해, 조사의 말기까지(시각(TO)부터 (Tl)까지)는 방전 램프(18)로의 통전 전류는 정전류 제어되어 동등한 발광량의 펄스광이 시술 부위에 반복 조사된다.
시각(Tl)에 있어서, 전류 제어 소자(34)는 포화하여 콜렉터-에미터간 전압이 포화한 상태에 있다. 이 때의 캐패시터 전압은 램프 전압과, 콜렉터-에미터간 전압을 가산한 값이 된다. 콜렉터-에미터간 전압은 소자에 따라 다르지만, 2V 정도이다.
캐패시터(28)로부터의 방전이 더 계속되면 캐패시터 전압은 더욱 저하한다. 그러나, 시각(Tl)에 있어서 전류 제어 소자(34)는 이미 포화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 설정기(46)로부터의 신호가 전류 제어 오차 비교 증폭기(44)에 출력되어도 부귀환 제어계는 리니어 작동하지 않고, 전류 제어 소자(34)가 단순한 스위치 ON의 상태와 동등해져 캐패시터(28)로부터의 전류를 방전 램프(18)에 그대로 통전한다. 이와 같이 조사의 말기(시각(Tl)부터 (T2))에서는, 전류 제어 소자(34)는 정전류 제 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방전 램프(18)에 통전한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램프(18)에 인가되는 전압도 저하하여 발광량이 저하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조사의 말기에서 발광량이 다소 저하하여도 미용 효과에는 실질적으로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한 1회의 조사 기간에 있어서 전류 제어 소자(34)에 걸리는 부하량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a), 점(b), 점(c)로 둘러싸인 범위의 면적으로 나타내어진다. 이 부하량은 도 3에서 포락선(pm)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의 조사 기간 내를 모두 정전류 제어할 때의 부하량보다도 충분히 저감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전류 제어 소자(34)가 파괴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에서는, 전류 제어부(56)는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조사의 말기까지는 방전 램프(18)에 통전되는 전류를 정전류 제어하고, 조사의 말기에는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방전 램프(18)에 통전하기 때문에, 전류 제어부(56)의 전류 제어 소자(34)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하면서 미용에 적합한 강도의 펄스광을 연속해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이상적인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전류 제어 소자(34)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허용할 수 있는 부하량이 작고 저렴한 소자를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류 제어 소자(34)가 내는 발열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냉각을 위한 장치를 소형화함으로써 미용 기기(10)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부(30)는 캐패시터(28)의 대전류의 순간 방전에 대하여 저전류로 시간을 들여 충전하기 때문에, 캐패시터(28)에 대해서는 전원 내부 임피던스가 높다. 따라서, 전원부(30)는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램프 전압과 전류가 저하하는 것을 보충하기에 충분한 파워를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조사의 종료 후, 전류 제어부(56)가 통전을 OFF로 하여 방전 램프(18)로의 통전이 정지되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충전 전압으로 될 때까지 전원부(30)는 캐패시터(28)를 충전한다.
한편, 시술 중에 발광량을 변경할 필요가 있어 광출력 설정 입력부(58)를 통해 새로운 설정값을 입력하면, 설정 입력 처리부(60)에 의해 새로운 설정값이 생성되고, 이에 대응한 충전 전압으로 캐패시터(28)를 충전하려고 한다. 이 새로운 발광량의 설정값은 미용 목적, 피부의 반사량, 털의 짙기 등의 파라미터를 변경시킴으로써 방전 램프(18)에 주입하는 전류량, 펄스파형, 펄스수, 펄스폭, 펄스 간격이 변경된다. 이 새로운 파라미터의 상호 관련에 따라, 설정 입력 처리부(60),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 제 1 전압 설정기(64)가 새로운 설정 전압값을 정한다.
이 재입력에 의한 새로운 설정값이 이미 충전되어 있는 캐패시터(28)의 캐패시터 전압보다도 훨씬 밑도는 설정 전압값으로 정해질 때, 방전 램프(18)를 그대로 발광시키면, 전류 제어 소자(34)의 최대 정격의 허용 가능한 부하량를 넘는 조건 하에서는 소자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캐패시터 전압을 미리 저하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포락선(gk)은 요구되는 제어(b, c, d)에 대하여, 전류 제어 소자(34)가 허용할 수 있는 순간 허용 콜렉터 손실(후술한다)의 전압 범위이다. 따 라서, 재설정 후의 이미 충전되어 있는 전압이 점(g)의 전압 이상이면 점(g)의 전압값을 강하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이미 충전되어 있는 전압이 점(g) 이하이면 전압을 일부러 강하시킬 필요는 없다.
설정 보정 제 2 기억부(72)는 이 점(g)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연산하여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한다. 점(g)의 전압값은 설정 보정 제 1 기억부(62)에서 원하는 발광량에 기초하여 충전 전압(a)이 결정된 것을 받고, 또한 펄스파형, 펄스수, 펄스폭, 펄스 간격이 정해져 시각(Tl; 도3참조)이 결정된 것을 받아 들여, g, b, c, d, k에 걸친 부하 용량이 설정 보정 제 2 기억부(72)에 기억되어 있는 전류 제어 소자(32)가 허용할 수 있는 부하량 이하로 되도록 연산하여 g의 전압값을 얻는다. 또한, 허용할 수 있는 부하량이 큰 전류 제어 소자(34)를 사용하여 제어에 충분히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a에 있는 이미 설정된 고정 전압값을 가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점(g)의 전압값을 정하고 나서, 제 2 전압 설정기(74)에 설정값을 디지털 신호로 출력한다.
제 2 전압 설정기(74)는 이에 따라, 점(g)에 대응하는 비교 제어를 위한 기준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생성하고, 이것을 아날로그 변환하여 유지한다. 그리고,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전압 오차 비교 증폭기(78)에 출력한다.
제 2 전압 검출기(캐패시터 전압 검지 수단; 76)는 캐패시터 전압을 광역 노이즈 필터하여 검출한다. 광역 노이즈 필터는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노이즈로 제 2 전압 검출기(76), 전압 오차 비교 증폭기(78), 출력 제어 스위치(80), 부하 저항기(82) 및 제 2 전압 설정기(74)로 구성되는 계열이 과잉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광역 노이즈 필터를 추가함으로써 이 계열에 다소의 지연 시간이 생기지만 이 계통의 작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전압 오차 비교 증폭기(78)는 캐패시터 전압과 점(g)에 대응하는 참조 전압을 비교한다. 캐패시터 전압이 참조 전압 이상일 때에는 출력 제어 스위치(80)를 작동시켜 캐패시터(28)에 부하 저항기(82)를 접속하고, 캐패시터(28)를 방전시켜 캐패시터 전압을 점(g)의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보다도 저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량의 재입력에 의해 결정된 점(a)의 충전 전압까지 캐패시터 전압을 낮추고 있다. 점(g)의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보다도 캐패시터 전압이 저하하면, 출력제어 스위치(80)를 작동 정지시켜 캐패시터(28)와 부하 저항기(82)의 접속을 해제한다.
출력제어 스위치(80)는 전압 오차 비교 증폭기(78)의 신호를 받아 캐패시터(28)의 방전을 수행한다. 직류를 방전하기 때문에 스위치의 종류는 반도체 릴레이가 뛰어나다. 또한 캐패시터(28)가 부하 저항기(82)를 통하여 방전하고 있는 동안에는 방전 램프(18)가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발광 지시부(70)에 출력한다. 이 결과, 발광 지시부(70)에 접속된 조작 핸들(16)의 버튼(22)이 눌려도 방전 램프(18)는 발광하지 않는다. 점(g)보다도 충전 전압이 저하하면 발광을 정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는 해제되어, 조작 핸들(16)의 버튼(22)이 눌리면 발광하게 된다.
또한, 캐패시터 전압이 점(g)과 점(a) 사이에 있을 때, 통상적으로는 1회의 발광이 있으면 방전에 의해 캐패시터 전압은 점(a)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가 많아, 2회째 이후의 발광은 점(a)까지 충전하는 통상의 동작에 들어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에서는 광출력 설정 입력부(58)에 입력된 발광량에 기초하여 캐패시터(28)에 인가할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결정하고, 이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보다도 캐패시터 전압이 크면 캐패시터 전압을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보다도 저하시키고 있기 때문에, 전류 제어 소자(34)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하여 소자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들 기억 소자 및 제어 장치로는 이들의 목적으로 준비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를 소프트 제어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 목적을 위하여 CPU를 포함시켜 로직 회로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전류 제어 소자(34)의 최대 정격인 허용 가능한 부하량을 고려한 전류 제어 소자(34)의 선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포락선(gk)은 요구되는 제어(b, c, d)에 대하여 전류 제어 소자(34)가 허용할 수 있는 최대 부하의 전압 범위이다. 캐패시터 전압이 포락선(gk)과 같이 변화될 때, 전류 제어 소자(34)는 b, c,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O)부터 (T2)의 1회의 조사 기간에 있어서 항상 정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이 경우의 전류 제어 소자(34)가 부담하는 부하 용량은 각 펄스에 대하여 gk 포락선값으로부터 점(b)의 전압을 뺀 전압에, 점(b)에 따른 전류값과 각각의 펄스 통전 시간을 곱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펄스 발광에 있어서는 발광이 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류 제어 소자(34)에 통전하는 시간은 매우 짧다. 일반적으로 공표되어 있는 최대 정격 최대 콜렉터 손실은 연속적으로 전류를 계속 흘려 보냈을 경우의 최대 콜렉터 손실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순간 통전의 경우의 순간 콜렉터 손실과는 서로 다르다. 이 순간 콜렉터 손실은 사용하는 케이스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소자의 실사용 회로에 의한 실험으로부터 구하며, 파괴에 이르는 허용값을 실험상에서 대략의 값으로서 얻었다. 그 결과, 샘플의 IGBT에 대해서는, 공표되어 있는 최대 콜렉터 손실 다에 대하여 약 10배의 순간 부하를 허용할 수 있는 부하량으로 하여도 지장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에서는 공표되어 있는 최대 콜렉터 손실이 전류 제어 소자(34)에 작용할 수 있는 최대 부하 용량의 1/10 정도인 소자를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류 제어 소자(34)를 2개 병렬로 했을 때의 실용상 허용할 수 있는 부하량은 1개인 경우와 비교해 약 2배가 되는 것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류 제어 소자(34)를 여러 개 병렬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방전 램프(18)가 어떠한 이유로 파손되었을 때나, 출력 부하 계통이 쇼트했을 때 등의 이상시에는 기기를 파괴로부터 지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는 이러한 이상시에 기기가 파괴될 우려를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 저감하고 있다.
미소 전류 공급 전원부(42)로부터의 미소 전류가 방전 램프(18)에 공급되고 있을 때, 방전 램프(18)에는 순간 발광시보다도 낮은 전압이 가해지고 있다. 이 때의 전압은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점(b)의 전압의 1/4 정도이다.
방전 램프(18)가 파손되면, 경우에 따라 접속하는 전선이 쇼트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어떠한 이유로 인해 방전 부하 계통이 쇼트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방전 램프(18)에 인가되는 램프 전압은 비정상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이 전압의 이상 저하를 검출하면 방전 부하 계통의 쇼트 현상의 유무를 알 수 있다.
전압 비교 검출기(86)에는 트리거 트랜스(38)를 통하여 램프 전압이 입력된다. 또한 전압 비교 검출기(86)에는 기준 전압 생성부(84)로부터의 기준 전압이 입력된다. 그리고, 램프 전압과 기준전압이 비교되어, 램프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일 때에는 전압 비교 검출기(86)는 정상이라고 판정하여 어떠한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램프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도 낮을 때에는 전압 비교 검출기(86)는 비정상이라고 판정하여, 이상 검출 증폭기(54)에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전류 제어 소자(34)가 비정상적으로 큰 전류를 흘려 보내려고 할 때, 전류 검출부(36)의 내부에 설치된 과대 전류를 판별하는 기능에 의해(도시하지 않음) 과대 전류를 비정상이라고 판정하여 이상 검출 증폭기(54)에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00A 정도 이상을 비정상이라고 판정하고 있다.
그리고, 전압 비교 검출기(86)로부터의 이상 신호와 전류 검출부(36)로부터의 이상 신호는 이상 검출 증폭기(54)에 있어서 논리합으로서 드라이브 출력 제어 스위치(52)에 출력되어, 양자 중 어느 한 쪽에 이상이 있어도 전류 제어 소자(34)가 동작하지 않도록 드라이브 출력 제어 스위치(52)를 제어한다. 이로 인해, 방전 부하 계통이 쇼트하는 등의 이상이 생겼을 때,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방전 램프(18)에는 수명이 있어, 사용에 따라 서서히 전류값이나 발광 량이 변화되기 때문에 정기적인 교환이 필요하다. 또한, 방전 램프(18)에는 제품마다 방전 특성에 편차가 있어, 정전류 제어없이 동일한 전압을 인가했을 때, 주입 전류에 편차가 생겨 발광량이 서로 달라져 가열값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동일한 피시술자가 램프 교환을 한 후 시술을 받을 때, 전 번에 이용한 제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설정을 변경해야만 하므로 번거롭다.
그런 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용 기기(10)에서는 방전 램프(18)에 유입하는 전류량과 발광량에는 강한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에 착목하여, 발광량의 관리를 전류량의 제어로 관리를 대행하고 있다. 정전류 제어하지 않을 때, 방전 램프(18)의 발광량은 램프 제조의 편차나 사용 중의 변화에 따라 발광량이 다르고, 이에 따라 전류량도 다르다. 이에 대하여, 전류값이 서로 다른 램프라도 정전류 제어함으로써 설정한 전류값으로 통전하게 된다. 그 결과, 방전 램프(18)의 편차나 사용 중의 변화에 따른 발광량의 차이는 대폭 축소되어, 동일한 피시술자가 램프 교환이나 재시술의 인터벌를 포함하여 시술을 받을 때, 그 전에 이용한 제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술의 제반 설정값은 피시술자에게 있어 고유한 값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방전 램프(18)의 편차나 사용 변화에 따른 방전 특성의 차이에 의해 정전류 제어의 기간(도 3의 TO∼Tl)에 다소의 차가 생기지만, 이로 인한 1회의 조사 기간 내에서의 발광량의 차이는 미세하여 실용상 지장이 없는 범위에 들어간다. 이것은 방전 램프(18)에 주입하는 전류값이 정전류 하에서 동일화된 결과, 방전 램프(18)마다의 편차의 크기가 사용상 압축되어 균일한 방전 램프를 사용하고 있는 것과 비 슷한 효과를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에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정전류 제어하는 시간 내에서의 발광량을 방전 램프(18)의 방전 특성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어 램프 교환에 따른 가열값의 차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동일한 피시술자가 램프 교환을 한 후 시술을 받을 때에도 그 전에 이용한 제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시각(Tl)부터 (T)2까지의 조사 말기의 기간은 방전 램프(18)의 편차, 사용 중의 특성 변화에 따라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정전류 제어의 기간보다도 충분히 짧기 때문에, 이러한 제어를 수행하여도 전체적으로 미용상의 가열 효과는 시술상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또한 정전류 제어하는 시간 내의 각 펄스의 발광량이 같아 조사의 초기와 말기의 가열값은 거의 같기 때문에, 1회의 조사 기간 동안 미용에 적합한 강도의 광을 안정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날 수 없으며, 모든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개량은 이하의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미용에 적합한 강도의 광을 안정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미용 기기가 제공된다. 그 결과, 이상적인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방전 램프 및 상기 방전 램프로부터의 광을 가이드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갖는 발광부와,
    상기 방전 램프에 통전(通電)하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캐패시터와,
    상기 캐패시터로부터 상기 방전 램프에 통전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 제어부는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조사의 말기까지는 상기 방전 램프에 통전되는 전류를 정전류(定電流) 제어하고, 조사의 말기에는 상기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이 방전 램프에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전 램프에 통전하는 전류를 펄스 전류화하기 위한 펄스 생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펄스 생성부로부터의 펄스군에 기초하여 상기 캐패시터로부터의 전류를 펄스 전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부는 각 펄스의 펄스폭이 동일한 펄스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기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램프로부터의 발광량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 있어서 설정된 발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결정하는 충전 전압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에 있어서 설정된 발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캐패시터에 인가하는 상기 충전 전압보다도 높은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결정하는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 결정 수단과,
    상기 캐패시터에 인가되고 있는 캐패시터 전압을 검지하는 캐패시터 전압 검지 수단과,
    상기 캐패시터 전압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캐패시터 전압이 상기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을 초과할 때, 상기 캐패시터 전압을 상기 최대 캐패시터 설정 전압보다도 저하시키는 전압 저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기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램프에 인가되는 램프 전압에 기초하여 이 램프 전압의 정상 및 이상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램프 전압이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방전 램프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기기.
  7. 방전 램프에 통전하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캐패시터와,
    상기 캐패시터로부터 상기 방전 램프에 통전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 제어부는 1회의 조사 기간 내에 있어서 조사의 말기까지는 상기 방전 램프에 통전되는 전류를 정전류 제어하고, 조사의 말기에는 상기 정전류 제어에서의 전류보다도 낮은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전류로 이 방전 램프에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미용 기기 제어 장치.
KR1020067006442A 2004-04-28 2004-05-21 미용 기기 KR100795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33858A JP4054004B2 (ja) 2004-04-28 2004-04-28 美容機器
JPJP-P-2004-00133858 2004-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627A KR20060085627A (ko) 2006-07-27
KR100795859B1 true KR100795859B1 (ko) 2008-01-21

Family

ID=3518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442A KR100795859B1 (ko) 2004-04-28 2004-05-21 미용 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91222B2 (ko)
EP (1) EP1632266B1 (ko)
JP (1) JP4054004B2 (ko)
KR (1) KR100795859B1 (ko)
CN (1) CN100560160C (ko)
AT (1) ATE489134T1 (ko)
DE (1) DE602004030238D1 (ko)
DK (1) DK1632266T3 (ko)
WO (1) WO2005105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0856B2 (en) * 2003-08-25 2014-10-28 Cutera, Inc. Method for heating skin using light to provide tissue treatment
US7722600B2 (en) * 2003-08-25 2010-05-25 Cutera, Inc.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skin using light to provide tissue treatment
US8915906B2 (en) * 2003-08-25 2014-12-23 Cutera, Inc. Method for treatment of post-partum abdominal skin redundancy or laxity
JP5369410B2 (ja) * 2007-09-05 2013-1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動機の駆動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機器
US20090177190A1 (en) * 2007-11-16 2009-07-09 Seung Yoon Lee Lowering skin melanin appearance with red light radiation and red light radiation kit therefor
CN101468344A (zh) * 2007-12-24 2009-07-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光强检测功能的光固化机
WO2009128570A1 (en) * 2008-04-14 2009-10-22 Seung Yoon Lee Treating erythematotelangiectatic rosacea or papulopustular rosacea with narrow-band infrared light radiation and radiation kits therefor
ES2425103T3 (es) 2009-10-16 2013-10-11 Shaser, Inc. Suministro de energía para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rmatológico basado en luz
KR20110043410A (ko) 2010-06-04 2011-04-27 고영산 싸이리스터를 이용하여 에너지레벨 조절이 가능한 아이피엘 기기
BR112013009799B1 (pt) * 2010-10-25 2021-07-27 Koninklijke Philips N. V. Método para a operação de um sistema para o tratamento de pele e sistema para o tratamento de pele
CN105617541B (zh) * 2015-12-25 2019-07-05 上海微智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激光仪及其控制方法
CN108853728B (zh) * 2018-06-11 2021-11-09 广州美锐健康产业股份有限公司 基于模拟生物微电流的美容方法
JP2021007632A (ja) * 2019-07-01 2021-01-28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照射型美容機器
JP2023108894A (ja) * 2022-01-26 2023-08-07 株式会社ニコリオ 美容機器
EP4299027A1 (en) * 2022-06-28 2024-01-03 Koninklijke Philips N.V. Hair treatmen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642B1 (ja) * 1998-05-22 1999-05-17 功之 高橋 美容機器
JP2004511315A (ja) * 2000-10-18 2004-04-15 アイシーエヌ フォトニックス リミテッド 皮膚症状の照明照射治療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1262A (en) * 1978-12-28 1993-03-02 Nilssen Ole K Extra cost-effective electronic ballast
US4687971A (en) * 1984-11-08 1987-08-18 Fuji Xerox Company, Limited Power supply for discharge lamp
DE69205885T2 (de) * 1991-05-15 1996-06-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pparat für den Betrieb von Entladungslampen.
US5683380A (en) * 1995-03-29 1997-11-04 Esc Medical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pilation using pulsed electromagnetic radiation
US5720772A (en) * 1992-10-20 1998-02-24 Esc Medical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apeutic electromagnetic treatment
US5357174A (en) * 1992-11-05 1994-10-18 General Electric Company Feedback-controlled circuit and method for powering a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US5871479A (en) * 1996-11-07 1999-02-16 Cynosure, Inc. Alexandrite laser system for hair removal and method therefor
US8313480B2 (en) * 2004-10-02 2012-11-20 Joseph Neev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disorders with thermal energy
JPH1176434A (ja) * 1997-09-09 1999-03-23 Atom Medical Kk 光線治療器
EP1238449B1 (en) * 1999-12-06 2008-06-25 Candela Corporation Multipulse dye laser
US7327095B2 (en) * 2000-05-24 2008-02-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JP3436252B2 (ja) * 2000-06-30 2003-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圧放電ランプ
US20040147985A1 (en) * 2003-01-27 2004-07-29 Altus Medical, Inc. Dermatological treatment flashlamp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642B1 (ja) * 1998-05-22 1999-05-17 功之 高橋 美容機器
JP2004511315A (ja) * 2000-10-18 2004-04-15 アイシーエヌ フォトニックス リミテッド 皮膚症状の照明照射治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632266T3 (da) 2011-03-14
JP4054004B2 (ja) 2008-02-27
JP2005312641A (ja) 2005-11-10
ATE489134T1 (de) 2010-12-15
WO2005105210A1 (ja) 2005-11-10
US20050245997A1 (en) 2005-11-03
CN100560160C (zh) 2009-11-18
EP1632266A4 (en) 2008-03-05
KR20060085627A (ko) 2006-07-27
EP1632266B1 (en) 2010-11-24
EP1632266A1 (en) 2006-03-08
US7491222B2 (en) 2009-02-17
DE602004030238D1 (de) 2011-01-05
CN1812823A (zh)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859B1 (ko) 미용 기기
US4601037A (en) Pulsed laser system
US8439927B2 (en) Method of using a multi-probe laser device
KR101089106B1 (ko) 싸이리스터를 이용하여 에너지레벨 조절이 가능한 아이피엘 기기
US4590598A (en) Pulsed laser system
JP4107532B2 (ja) レーザ装置
US20140214136A1 (en)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for Battery-Powered Laser Device
US6355905B1 (en) Laser processing apparatus
JPS6123376A (ja) パルス・レ−ザ−・システム
TW201145396A (en) Laser anneal process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laser anneal processing body and laser anneal processing program
US92826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stant current pulse wave, medical operation method using same, and light generating apparatus
US8613741B1 (en) Voltage bucking circuit for driving flashlamp-pumped lasers for treating skin
US7795819B2 (en) Discharge lamp controls
EP0817544B1 (en) Irradiating device
US20030108078A1 (en) Medical laser system
US20170325888A1 (en) Skin treatment system
JP2010534387A (ja) 放電ランプコントローラ
JPH07154013A (ja) パルスレーザ装置
JPH0280062A (ja) レーザ装置
JPH065800B2 (ja) パルスレ−ザの電源装置
JPH1126860A (ja) パルスレーザ制御装置
JPH06326398A (ja) 銅蒸気レーザー装置とその制御装置
HU188788B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led incitement of the lasers operated by pulses economizing on the power
JPH02265573A (ja) レーザ装置
JP2000101180A (ja) 半導体レーザ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