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895B1 - 셔터부착광커넥터 - Google Patents

셔터부착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895B1
KR100794895B1 KR1020020009013A KR20020009013A KR100794895B1 KR 100794895 B1 KR100794895 B1 KR 100794895B1 KR 1020020009013 A KR1020020009013 A KR 1020020009013A KR 20020009013 A KR20020009013 A KR 20020009013A KR 100794895 B1 KR100794895 B1 KR 10079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nector
shutter
opening
spac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124A (ko
Inventor
오오바야시요시아키
미네케이지
나카가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77Protection agains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e.g.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02B2006/4297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having protection means, e.g. protecting humans against accidental exposure to harmful laser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의 콤펙트성을 손상하는 일없고, 특히 그 높이치수나 가로폭치수를 길게하는 일이 없이, 셔터를 구비시키고 플러그 미삽입시의 삽발구(揷拔口)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이나 광누설을 방지할수있도록 한다. 셔터를 착색해 둠으로써, 광커넥터의 종류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수있게 하는것을 과제로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은, 플러그P의 삽발구(12) 및 플러그P의 삼입공간(13)을 가진 보디(1)에 광소자(2)를 설치한다. 삽입공간(13)에, 삽발구(12)의 옆쪽(側方)으로 달아낸 빈곳(空所)(15)을 부설하고, 그 빈곳(15)에 지지축(支軸)을 개재해서 셔터(5)를 부착한다. 셔터(5)를 폐쇄방향으로 탄발부세(彈發付勢)해두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셔터부착광커넥터{OPTICAL CONNECTOR HAVING SHUTTE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셔터부착광커넥터의 구성부품을 개략으로 표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의 플러그 미삽입상태에서의 횡단평면도.
도 3은, 광커넥터의 플러그 삽입상태에서의 횡단평면도.
도 4는, 광커넥터의 보디의 종단측면도.
도 5는, 광커넥터의 정면도.
도 6은, 커버에 프리쿠션스프링을 구비시킨 사례의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커버에 프리쿠션스프링을 구비시킨 다른 사례의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커버에 프리쿠션스프링을 구비시킨 또 다른 사례의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디 2: 광소자
3: 프리쿠션스프링 4: 지지축(支軸)
5: 셔터 12: 삽발구
13: 삽입공간 15: 빈곳
16: 개방구 71,72,73: 스프링 조각
P: 플러그
본 발명은, 셔터부착광커넥터에 관한것이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광 디지털 케이블에는 각형(角形)과 원형(丸形)의 2개의 타입이 있고, 각형광디지털케이블에는 각형광커넥터가 사용되고, 원형광디지털케이블에는 원형광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중, 각형광커넥터에 속하는 광 커넥터에는, 상대방 광커넥터인 플러그의 삽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를 구비하고, 그 셔터에 의해서 플러그 미삽입시의 상기 삽발구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이나 광누설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한것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에 속하는 광커넥터는, 삽발구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이나 광누설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셔텨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또, 상기한 각 형광커넥터에 비해서 외형치수가 작기대문에, 작은 기기하우징에의 장착에 적합하다. 이와같은 원형광커넥터에서는, 플러그미삽입시의 십발구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이나 광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삽발구에 고무캡을 착탈할수 있도록 한것이 있었다. 그리고, 원형광커넥터는, 통상, 전기접점을 구비하고있고, 이 전기접점의 장착스페이스가, 보디의 플러그 삽입공간의 옆쪽으로 달아낸 형태로 부 설된 빈곳에 의해서 확보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각형광커넥터는, 셔터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에 불구하고, 외형치수가 크기 때문에, 작은 기기하우징에의 실장(實裝)이 곤란하였다. 또, 원형광커넥터는, 셔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때문에 플러그 미삽입시의 상기 삽발구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이나 광누설등을 방지하는 기능이 떨어지고, 그 기능을 보충하기 위해서 고무캡을 사용하는것으로는, 고무캡의 착탈이 수고스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원형광커넥터는 전기접점을 구비하고 있기때문에 각형광커넥터에 비해서 고가 이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현상에 비추어서 이루어진것이다. 즉, 본 발명은, 현상의 원형광커넥터(원형광리셉터클)의 콤펙트성을 손상하는 일없고, 특히 그 높이치수나 가로폭치수를 길게하는 일없이, 그 원형광커넥터에 삽발구를 개폐하는 기능을 구비한 셔터를 구비시킴으로써, 플러그 미삽입시의 삽발구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이나 광누설을 방지할수있는 셔터부착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또, 본 발명은 당해 광커넥터가 종류의 식별, 예를들면, 송신용인가 수신용인가의 구별, 광전송속도의 구별등을 용이하게 식별할수있게해서, 사용자에 의한 오용을 미연에 방지할수있는 셔터부착광커넥터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에 관한 셔터부착광커넥터는, 상대방 광커넥터로서의 플러그가 삽발되는 삽발구 및 이 삽발구에 연통하는 상기 플러그의 삽입공간을 가진 보디에, 상 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플러그의 끝부분에 대향하는 광소자가 설치되고, 플러그의 삽입공간에, 상기 삽발구의 옆쪽으로 달아낸 빈곳이 부설되어있다.
이 구조를 구비한 보디는, 서두에서 설명한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에 채용되고 있던 보디와 동일한 구조의 것이며,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에서는, 플러그의 삽입공간에 부설되어 상기 삽발구의 옆쪽으로 달아낸 상기 빈곳이, 전기접점의 장착스페이스로서 활용되고있었던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빈곳에 배치 설비된 지축에, 그 지축을 중심으로해서 상기 삽입공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삽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빈곳으로 퇴피해서 상기 삽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움직임이 가능하고 또한 폐쇄위치쪽으로 향해서 상시 탄발부세(彈發付勢)된 셔터가 장착되어있다. 이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셔터부착 광커넥터에 의해서는, 상기 빈곳이, 셔터의 부착스페이스 및 셔터의 개방시의 퇴피스페이스로서 활용되고있다. 그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셔터부착광커넥터는, 삽발구로부터의 먼지의 진입이나 광누설을 방지할수있는데도 불구하고,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와 동등한 콤펙트성(높이치수와 가로폭치수)을 유지할수있게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공간의 긴쪽방향중간부분에, 그 삽입공간에 삽입된 플러그의 외주면에 탄력접촉하는 프리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리쿠션스프링은, 보디의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대방 광커넥터로서의 플러그의 덜컹거림을 억제하거나, 그 플러그에 대전하고 있는 플러스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어어드접편으로서 이용하는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축의 축선방향이 상기 보디의 두께방향으로 일치해 있는것이 바람직하고, 이와같이해두면, 셔터의 개폐움직임을 허용하는 빈곳의 높이치수나 가로폭치수를 최소한도로 억제해서 당해 광커넥터의 콤펙트성을 가장 양호하게 유지하는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셔터의 개폐움직임을 허용하는 빈곳이 상기 보디의 상부면에서 개방되어 있어도되고, 이렇게 해두면, 당해 빈곳을 보디의 상부벽으로 둘러싼 경우에 비해서 그 상부벽의 두께분만큼 보디의 높이치수가 낮아지므로, 당해 광커넥터의 키낮아짐(低背化)이 촉진된다. 또, 상기 삽입공간 및 상기 빈곳 중의 보디의 상부면에서 개방된 개방구가, 보디에 장착된 커버에 의해서 씌워져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한 당해 광커넥터의 콤펙트성을 가장 양호하게 유지할수있는데도 불구하고, 보디의 상부면에서 개방된 개방구로부터의 먼지의 진입이 커버에 의해서 방지되고, 당해 광커넥터의 광학특성이 진입한 먼지에 의해서 손상 되는 일이 없어진다.
보디에 커버를 장착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상기 프리쿠션스프링으로서, 상기 커버의 일부를 잘라 일으켜서 형성된 스프링편(片)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의하면, 부품점수를 감소시켜서 가격을 염가로 억제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셔터가 착색되어있고, 그 착색이 상기 삽발구를 통해서 보이도록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이면, 셔터의 착색을 당해 광커넥터의 종별에 따라서 다르게 해두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렇게 해둠으로써, 삽발 구를 통해서 셔터의 색을 분별하는것만으로 그 광커넥터가 어느 종별에 속하는가를 용이하게 판별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그때문에, 예를들면, 송신용인지 수신용인지의 구별, 광전송속도의 구별등을 용이하게 식별할수있게되고, 사용자에 의한 오용이 미연에 방지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셔터부착광커넥터의 구성부품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커넥터의 플러그미삽입상태에서의 횡단평면도, 도 3은 광커넥터의 플러그삽입상태에서의 횡단평면도, 도 4는 광커넥터의 보디(1)의 종단측면도, 도 5는 광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이 셔터부착광커넥터는, 앞끝에 짧은 통부분(11)이 돌출설치된 평면시(視), 측면시 및 정면시가 직사각형의 편평한 보디(1)를 가진다. 도 2∼도 4에서 볼수있는 바와같이, 이 보디(1)에 있어서, 통부분(11)의 내부공간은 상대방광커넥터로서의 플러그P가 삽발되는 삽입구(12)로서 형성되어있고, 이 삽입구(12)의 직경은 플러그P의 외주 직경보다도 약간 긴 치수로 되어있다. 또, 보디(1)에는 상기 삽발구(12)에 연통하는 플러그P의 삽입공간(13)이 전후방향으로 똑바고 형성되어있고, 그 뒤끝을 향해서 광소자 장착스페이스(14)가 형성되어있다. 이 광소자 장착스페이스(14)에는 아래쪽으로부터 삽입된 광소자(2)가 그 광소자장착스페이스(14)에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삽발구(12)를 통과해서 삽입공간(13)에 삽입된 플러그P의 끝부분 P1이 광소자(2)에 대향해서 광전변환(光電變換)이 행해지게 되어있다. 또, 상기 삽입공간(13)의 긴쪽방향(전후방향)의 중간부에는, 그 좌우로 달아낸 움푹한곳(凹所)(14)이 구비되어있고, 이 움푹한곳(14) 을 활용해서 프리쿠션스프링(3)이 장착되어있다. 이 프리쿠션스프링(3)은, 좌우 1쌍의 탄성편(彈性片)(31),(31)을 가지고있다. 그리고, 이들 탄성편(31),(31)이, 삽입공간(13)에 삽입되어 소정위치에 세트된 플러그P의 외주면에 좌우양측으로부터 탄력접촉함으로써, 플러그P의 덜컹거림을 억제하는 위치결정스프링으로서, 혹은, 그 플러그P에 대전하고 있는 플러스전기를 제거하기위한 어어드접편으로서 이용되고있다.
상기 삽입공간(13)에는, 삽발구(12)의 옆쪽으로 달아낸 빈곳(15)이 부설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13)과 이 빈곳(15)에 의해서 모양지어져있는 평면으로보아 부채형의 부분이, 보디(1)의 상부면에서 개방되어, 그 개방개소가 개방구(16)로되어 있다.또, 상기 빈곳(15)에는 두꺼운부분(17)이 형성되어있고, 이 두꺼운부분(17)에 형성된 구멍부분(18)에 가는 샤프트로 이루어진 지축(4)의 아래끝을 압입형상으로 질러넣어 장착하고있다. 이 때문에, 상기 지축(4)의축선방향이 보디(1)의 두께방향으로 일치하고있다.
(5)는 셔터이고, 그 기부(基部)에 형성된 축구멍(51)을 상기 지축(4)에 삽입함으로써 그 지축(4)에 장착되어있다. 이 장착상태에서는, 셔터(5)가, 지축(4)을 중심으로해서 삽입공간(13)을 횡단하는 형태로 삽발구(12)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도 2 참조)와 상기 빈곳(15)에 퇴피해서 삽발구(1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3 참조)와의 사이에서 개폐움직임이 가능하다. 또, 셔터(4)에는, 비틀림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비틀림스프링(6)이 장착되고, 이 비틀림스프링(6)에 의해서 셔터(5)가 폐쇄위치쪽을 향해서 상시 탄발부세되어있다.
도 1 또는 도 5에 표시한 바와같이, 보디(1)에는 그 위쪽으로부터 커버(7)가 장착되어있고, 이 커버에 의해서 상기 개방구(16)가 씌워져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셔터부착광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미삽입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비틀림스프링(6)에 의해서 탄발부세되어 폐쇄위치에 폐동(閉動)하고있는 셔터(5)가, 삽입구(12)를 보디(1)의 안쪽으로부터 완전히 막고있으므로, 이 삽입구(12)로부터 먼지가 삽입공간(15)등에 진입하는 일은없고, 또, 광소자(2)의 발행(發行)이 삽입구(12)로부터 외부에 노출하는 일도없다. 이 셔터(5)는, 삽발구(12)를 통해서 삽입공간(13)에 플러그P를 삽입했을때에, 그 플러그P에 의해서 밀려서 개방되고, 플러그P가 삽입공간(13)에 삽입되어 소정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삽입공간(13)의 옆부분의 빈곳(15)에 퇴피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쿠션스프링(3)을 단독부품으로서 형성하고 있으나, 이점은, 이 프리쿠션스프링을, 커버(7)의 일부를 잘라 일으켜서 형성된 스프링편에 의해서 형성 해두어도 된다. 도 6에 그 일예를 표시하고 있고, 동 도면의 것으로는, 커버(7)의 좌우의 측벽의 일부를 안쪽으로 잘라 일으켜서 좌우1쌍의 스프링편(71),(71)을 형성하고, 이들 스프링편(71),(71)이, 보디(1)의 삽입공간(13)의 좌우양쪽에 형성된 결제부분(欠除部)(19),(19)에 배치설비 되도록하고 있다. 또, 도 7에 다른예를 표시하고있고, 동 도면의 것으로는, 커버(7)의 상부벽의 일부를 안쪽으로 잘라일으켜서 한쪽지지 대들보형상(片持梁狀)의 스프링편(72)을 형성하고, 이 스프링편(72)이, 보디(1)의 삽입공간(13)의 위쪽에 형성된 결제부분(19)에 배치 설비되도록하고있다. 도 8에 또 다른 예를 표시하고있고, 동도의 것으로는, 커버(7)의 상부벽의 일부를 안쪽으로 잘라일으켜서 양쪽지지대들보형상(兩持梁狀)의 스프링편(73)을 골형(谷形)으로 형성하고, 이 스프링편(73)이, 도 7에 표시한 것과 동일형상 내지 구조의 보디(1)의 삽입공간(13)의 위쪽에 형성된 결제부(19)에 배치 설비되도록 하고있다. 또한, 도 8에 표시한 스프링편(73)에서는, 그 골바닥부분에 폭방향으로 뻗는 리브형상의 만곡조(灣曲條)(74)를 하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되고있고, 이 만곡조(74)에 의해서 스프링편(73)의 폭방향으로서의 강성을 높이고, 또한, 그 만곡조(74)를 사이에 둔 양쪽 개소의 탄성을 높이고있다. 이때문에, 스프링편(73)이 양쪽지지대들보형상이고 폭방향에서의 강성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만곡조(74)를 사이에 둔 양쪽개소가 탄성이풍부하게되므로, 도 3 등에 표시한 삽입공간(13)에 삽입되어 소정위치에 세트된 플러그P의 외주면에 상기 만곡조(74)를 큰힘으로 탄성접촉 시키는 일이 가능하게된다. 이리하여, 스프링편(73)에, 플러그P의 덜컹거림을 억제하는 위치결정스프링으로서의 뛰어난 기능이나, 그 플러그P에 대전하고있는 플러스전기를 제거하기위한 어어드접편으로서의 뛰어난 기능을 가지게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
도 1∼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광커넥터에 있어서, 보디(1)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에 채용되고있던 보디와 동일한 구조의 것이다. 즉,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에서는, 플러그의 삽입공간에 부설되어 상기 삽발구의 옆쪽으로 달아낸 상기 빈곳이 형성되어있고, 그 빈곳이 전기 접점의 장착 스페이스로서 활용되고있었으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삽입공간(13)과 그 옆부분의 빈곳(15)이 평면으로보아 부채형을 모양 짓도록 형성되어있고, 그 부채형의 부분 중에서 셔터(5)를 개폐움직임 시키고, 또한 그 빈곳(15)을 활용해서 셔터(5)를 보디(1)에 부착해있다. 그때문에, 보디(1) 나아가서는 당해 광커넥터의 가로폭치수가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와 동일치수의 범위내에 수납되어있다. 또, 보디(1) 나아가서는, 당해 광커넥터의 높이치수에 대해서도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와 동일치수의 범위내에 수납되고있다. 따라서, 당해 광커넥터는,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와 동등한 콤펙트성을유지하고 있는 것이면서, 셔터(5)에 의해서 먼지의 진입방지기능이나 광누설방지기능이 발휘되도록 되어있다.
도 1∼도 4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광커넥터에 있어서, 셔터(5)를 적색이나 황색등의 임의의색으로 착색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해두면, 셔터(5)의 색이 삽발구(12)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보이므로, 셔터(5)의 착색을, 당해 광커넥터의 종별에 따라서 다르게해두면, 삽발구(5)를 통해서 셔터(5)의 색을 분별하는것만으로 그 광커넥터가 어느 종별에 속하는 것인가를 용이하게 판별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들면, 송신용인가 수신용인가의 구별, 광전송속도의 구별등을 용이하게 식별할수있게되고, 사용자에 의한 오용이 미연에 방지되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원형광커넥터의 콤펙트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특히 그 높이치수나 가로폭치수를 길게하는일없고, 셔터를 구비시켜서 플러Ⅰ미삽입시의 삽발구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이나 광누설을 방지할수있게된다. 또, 셔터를 착색해둠으로써, 당해 광커넥터의 종류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수있게되고, 그 일이 사용자에 의한 오용방지에 도움이 된다.

Claims (7)

  1. 상대방 광커넥터로서의 플러그가 삽발되는 삽발구 및 이 삽발구에 연통하며,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진 보디에,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플러그의 끝부분에 대향하는 광소자가 설치되고,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에, 상기 삽발구의 옆쪽으로 달아낸 빈곳(空所)이 부설되어있는 셔터부착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빈곳에 배치설비된 지축에, 그 지축을 중심으로해서 상기 삽입공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삽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빈곳으로 퇴피해서 상기 삽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움직임이 가능하고 또한 폐쇄위치쪽으로 향해서 상시 탄발부세(彈發付勢)된 셔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 부착광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의 긴쪽방향중간부분에, 그 삽입공간에 삽입된 플러그의 외주면에 탄력접촉하는 프리쿠션스프링이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부착광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축의 축선방향이 상기 보디의 두께방향으로 일치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부착광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 및 상기 빈곳 중 상기 셔터의 개폐이동경로를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보디의 상부면에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부착광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 및 상기 빈곳중의 보디의 상부면에서 개방된 개방구가, 상기 보디에 장착된 커버에 의해서 씌워져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부착광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쿠션스프링이, 상기 커버의 일부를 잘라 일으켜서 형성된 스프링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부착광커넥터.
  7.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착색되어있고, 그 착색이 상기 삽발구를 통해서 보이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셔터부착광커넥터.
KR1020020009013A 2001-02-23 2002-02-20 셔터부착광커넥터 KR100794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48178A JP2002250845A (ja) 2001-02-23 2001-02-23 シャッタ付き光コネクタ
JPJP-P-2001-00048178 2001-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24A KR20020069124A (ko) 2002-08-29
KR100794895B1 true KR100794895B1 (ko) 2008-01-14

Family

ID=1890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013A KR100794895B1 (ko) 2001-02-23 2002-02-20 셔터부착광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45210B2 (ko)
JP (1) JP2002250845A (ko)
KR (1) KR100794895B1 (ko)
TW (1) TWM24445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4493B2 (ja) 2001-06-13 2007-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7025609B2 (en) * 2002-04-30 2006-04-1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utter member
JP3946081B2 (ja) * 2002-05-02 2007-07-18 Smk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ソケット
US7144163B2 (en) * 2003-01-27 2006-12-05 Fujikura Ltd. Optical connector with shutter, shutter unit, and inner piece
JP4084764B2 (ja) 2004-03-12 2008-04-30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ャッター付き光コネクタ
US7883276B2 (en) * 2008-10-14 2011-02-08 Sonosite, Inc. Optical transmission coupling
CN101872041B (zh) * 2009-04-27 2012-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光电连接器
US8727636B2 (en) * 2010-03-19 2014-05-20 Corning Incorporated Fiber optic interface device with positionable cleaning cover
US8579518B2 (en) * 2010-03-19 2013-11-12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receptacles and systems and devices including optical receptacles
KR101066879B1 (ko) * 2010-07-27 2011-09-26 레이트론(주)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TWI449267B (zh) * 2010-09-30 2014-08-11 Hon Hai Prec Ind Co Ltd 連接器組件
US8897611B2 (en) 2012-09-06 2014-11-25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interfaces comprising light blocking elements and illumination systems comprising light blocking elements
US9581767B2 (en) 2013-09-30 2017-02-28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Optical blind-mate connector and adapter
KR101655541B1 (ko) * 2014-10-14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CN105044851B (zh) * 2015-04-30 2018-01-1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连接器壳体及光纤连接器
JP6277167B2 (ja) * 2015-10-19 2018-02-07 片山工業株式会社 モールの取付構造
US10194565B2 (en) * 2017-06-05 2019-01-29 Cisco Technology, In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apparatus
US10424863B1 (en) 2018-11-13 2019-09-2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receptacle and tamper-resistant shutter assembly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824A (ko) * 1997-08-28 1999-03-15 조민호 금속의 부식방지 및 수중이온의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수처리 프로그램 및 수처리 방법
US5909526A (en) * 1998-04-08 1999-06-01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6004043A (en) * 1997-12-19 1999-12-21 The Whitaker Corporation Shuttered connector receptacle
US6179479B1 (en) * 1999-07-09 2001-01-30 Veam S.R.L. Fiber optic connector with self-closing shutt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8606A (en) 1981-03-26 1982-09-30 Fujitsu Ltd Light shielding device
US4875753A (en) * 1986-07-02 1989-10-24 Kalomiris Vasilios E Fiber optic connectors
JP2654538B2 (ja) * 1994-05-24 1997-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半導体モジュールとその接続構造
JPH0843681A (ja) 1994-07-26 1996-02-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シャッタ機構付きコネクタ
JPH1123899A (ja) * 1997-06-27 1999-01-29 Ando Electric Co Ltd 光ファイバ位置決め装置及びこの位置決め装置を備える光コネクタ
US6081647A (en) * 1998-01-05 2000-06-27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receptacle
JP3207159B2 (ja) * 1998-06-05 2001-09-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ャッタ付き光コネクタ
JP2000028866A (ja) * 1998-07-09 2000-01-28 Alps Electric Co Ltd 光ファイバ固定装置
US6352375B1 (en) * 1999-04-02 2002-03-0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Connector adapter
US6471412B1 (en) * 2000-02-04 2002-10-29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receptacle
TW495624B (en) * 2000-02-25 2002-07-21 Sharp Kk Light transmission device
US6450697B1 (en) * 2000-08-24 2002-09-17 Berg Technology, Inc. Optical connector having a combined guide pin lock and grounding contact
US6595696B1 (en) * 2001-03-14 2003-07-22 Amphenol Corporation Internal shutter for optical adapters
TW493760U (en) * 2001-11-30 2002-07-01 Hon Hai Prec Ind Co Ltd Optical fiber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824A (ko) * 1997-08-28 1999-03-15 조민호 금속의 부식방지 및 수중이온의 스케일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수처리 프로그램 및 수처리 방법
US6004043A (en) * 1997-12-19 1999-12-21 The Whitaker Corporation Shuttered connector receptacle
US5909526A (en) * 1998-04-08 1999-06-01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6179479B1 (en) * 1999-07-09 2001-01-30 Veam S.R.L. Fiber optic connector with self-closing sh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18931A1 (en) 2002-08-29
JP2002250845A (ja) 2002-09-06
KR20020069124A (ko) 2002-08-29
US6845210B2 (en) 2005-01-18
TWM244457U (en)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895B1 (ko) 셔터부착광커넥터
US8858260B2 (en) Shielded connector
US4767179A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US10490937B1 (en) High-speed push-pull self-lock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3803859B2 (ja) 光コネクタのリセプタクル
JP4297279B2 (ja) 光コネクタ
US8303331B2 (en) Power receptacle, power plug and power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path
US5839909A (en) Shutter device for closing off the compartments of a power socket
US817257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ust-proof shutter driven by magnetic force
EP180193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717626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2009001769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mechanism for preventing incorrect insertion of a smaller sized mating connector
WO2016125668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8033739B2 (en) Optical connector with improved retaining element
US6109968A (en) Compound type connector
US20130164969A1 (en) C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strain relief
US6494741B2 (en) Modular jack
JP2001006782A (ja) 基板用コネクタの接続部構造
JP6200184B2 (ja) 防塵キャップ
EP1209774B1 (en) Modular jack and an attaching structure of a modular jack
TW201932892A (zh) 可多方向插拔之光纖連接器
JP4562643B2 (ja) 光コネクタ
US5248267A (en) Telephone jack
US2012010075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CN213026782U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