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719B1 - 전자기 진동형 펌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 진동형 펌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719B1
KR100793719B1 KR1020000083081A KR20000083081A KR100793719B1 KR 100793719 B1 KR100793719 B1 KR 100793719B1 KR 1020000083081 A KR1020000083081 A KR 1020000083081A KR 20000083081 A KR20000083081 A KR 20000083081A KR 100793719 B1 KR100793719 B1 KR 100793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electromagnet
vibrator
iron cor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364A (ko
Inventor
오오야이쿠오
가와사키노조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다카쓰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다카쓰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다카쓰키
Publication of KR2001007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4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5/047Pumps having electr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6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sidebranch resonators, e.g. 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01Noise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1개 또는 복수개의 철심으로 구성되는 전자석부와 자성체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체를 갖춘 진동자의 전자기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를 개시한다. 상기 전자석부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수지성형에 의한 프레임부가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생산비용을 저감시키고, 방음효과가 높은 전자기 진동형 펌프를 얻을 수 있다.
전자기 진동형 펌프, 다이어프램, 실린더, 프레임부, 수지성형, 전자석, 철심위치 결정도구, 권선코일, 펌프케이싱, 에어탱크, 방음벽

Description

전자기 진동형 펌프 및 그 제조방법 {ELECTROMAGNETIC OSCILLATING TYPE PU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철심위치 결정도구와 철심의 조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철심위치 결정도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조립이 완료된 철심위치 결정도구와 철심의 종단면도.
도 5는 몰드코일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전자석부에 성형된 프레임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전자석부에 성형된 프레임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철심위치 결정도구를 생략한 경우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철심위치 결정도구를 생략한 경우의 다른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4극4코일형의 전자석부의 단면도.
도 13은 철심위치 결정도구를 생략한 경우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에서 전자석부에 성형된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6은 도 14에서 전자석부에 성형된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9는 도 18에서 전자석부에 성형된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0은 도 18에서 전자석부에 성형된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2는 도 21에서 전자석부에 성형된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도 21에서 전자석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4는 전자석부에서의 대경 철심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5는 전자석부에서의 소경 철심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6은 전자석부에서의 다른 대경 철심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7은 전자석부에서의 다른 소경 철심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8은 도 21에서의 펌프케이싱의 측면도.
도 29는 도21에서의 펌프케이싱의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31은 도 30에서의 펌프케이싱의 좌측면도.
도 32는 도 30에서의 C-C선 단면도.
도 33은 도 30에서의 펌프케이싱의 우측면도.
도 34는 도 33에서의 D-D선 단면도.
도 35는 도 30에서의 밸브시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6은 도 35에서의 밸브시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7은 도 30에서의 실린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8은 도 37에서의 실린더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39는 종래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0은 종래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본 발명은 전자기 진동형 펌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실내용 에어매트 또는 에어베드로의 공기의 흡배기, 양어용 수조 또는 가정용 정화조 등에서의 산소보급, 또는 공해감시에서 검사가스 샘플링 등에 이용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자석과 영구자석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그 영구자석을 갖춘 진동자의 진동을 이용하여 유체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로서, 예를 들면 도 39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다이어프램식 펌프가 있다.
상기 펌프는,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전자석(151)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석부, 영구자석(152)을 갖춘 진동자(153), 진동자(153)의 양단에 연결된 다이어프램(154), 상기 전자석부의 양단측에 각각 고정된 다이어프램대(154a) 및 펌프케이싱(155), 상기 다이어프램과 펌프케이싱(155) 사이에 형성되는 펌프압축실(15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151)은 E형의 철심(157)에 권선된 코일부(158)를 끼워 완성시킨 것으로, 상기 진동자(153)는 철심(157) 사이에 형성시키는 공극부(159)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펌프에서는, 다이어프램(154)에 지지되는 진동자(153)의 진동에 의해, 상기 펌프압축실(156)의 용적이 좌우 반대로 증감변화하고, 이로 인해 좌우 교대로 공기를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펌프에서는 전자석부를 조립할 때에 소정의 철심의 위치결정이 어긋나서 소정의 공극부 치수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펌프부로부터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별도의 차음케이스 내에 수납해야 하므로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전자석부, 다이어프램대 및 펌프케이싱의 3개의 부품을 조립해야 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다른 펌프로서는, 도 4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201)을 지지하고 펌프실(202)을 형성하는 2개의 케이싱(203, 204), 다이어프램(201)에 연결되는 진동자(205), 전자석(206)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석부(207), 필터유지부(208), 및 에어탱크(209)를 갖추고 있는 것이 있다. 케이싱(203, 204)의 사이에는 원통형의 통체(210)가 나사(210a)에 의해 부착되고, 그 중간에 상기 전자석부(207)가 수납되어 펌프본체(211)를 형성하고 있다. 펌프본체(211)는 하우징(212) 내에 수납되고, 하우징(212)의 상부에 상기 필터유지부(208)가 삽입되고 하부에 상기 에어탱크(209)가 나사(212a)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펌프와 마찬가지로, 다이어프램(201)의 강제진동을 이용하여 펌프본체(211) 자신이 진동하는 동시에 커다란 소음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펌프본체(211)를 4개의 단붙이쿠션(213)으로 에어탱크(209)에 지지하여 하우징(212) 내에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펌프본체(211)는 4개의 단붙이쿠션(213)을 통해 에어탱크(209)에 지지시키므로, 펌프본체(211)의 설치가 복잡하여 진동을 충분히 흡수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하우징(212)은 펌프본체에 비하여 대형이고, 가격도 부품 중에 최고가이므로, 비용저감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생산비용을 저감시키고 방음효과가 높은 전자기 진동형 펌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는 1개 또는 복수의 철심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석부와 자성체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체를 갖춘 진동자의 전자기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로서, 상기 전자석부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수지성형에 의한 프레임부 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는 상기 다이어프램이 연결된 진동자 대신에 피스톤이 형성된 진동자를 사용하고, 다이어프램의 설치부 대신에 전자석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실린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은 1개 또는 복수개의 철심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석부와 자성체의 자기적 상호작용을 기초로 하여, 상기 자성체를 갖춘 진동자의 전자기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전자석부를 구성하는 철심을 철심위치 결정도구의 주변에 끼움으로써 전자석부를 조립하는 공정, 상기 조립된 전자석부를 오목부의 중심부에 삽입용 각심(角芯)을 갖는 금형에 배치시키는 공정, 및 상기 금형의 공동에 수지를 주입하고 상기 전자석부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하는 공정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은 1개 또는 복수개의 철심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석부와 자성체의 자기적 상호작용을 기초로 하여, 상기 자성체를 갖춘 진동자의 전자기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전자석부를 구성하는 철심을, 자석을 끼워서 연자성체를 접착한 철심위치 결정도구의 주변에 장착시켜서 전자석부를 조립하는 공정, 상기 조립된 전자석부를 금형에 배치시키는 공정, 상기 금형의 공동에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하는 공정, 및 성형의 완료 후 상기 철심위치 결정도구를 회수하는 공정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은 1개 또는 복수개의 철심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석부와 자성체의 자기적 상호작용을 기초로 하여, 상기 자성체를 갖춘 진동자의 전자기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전자석부를 조립한 후, 그 조립된 전자석부를 오목부의 중심부에 삽입용 각심을 갖는 금형에 배치시키는 공정, 상기 전자석부를 통전하여 전자기력의 흡인력으로 철심을 상기 삽입용 각심에 위치를 정하여 고정하는 공정, 및 그 금형의 공동에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하는 공정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은 상기 다이어프램이 연결된 진동자 대신에 피스톤이 형성된 진동자를 사용하고, 다이어프램의 설치부 대신 전자석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실린더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전자석(1) 및 후술하는 한 쌍의 철심(20)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석부(2)와 전자석(1)의 사이 공극부에 소정의 간격의 형태로 배치되고, 페라이트자석 또는 희토류자석 등의 영구자석(3)을 갖춘 진동자(4)와, 상기 진동자(4)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어프램(5)과, 상기 전자석부(2)의 양단측에 각각 고정되는 펌프케이싱(6)으로 구성되며, 상기 펌프케이싱(6)의 펌프부에서 측면 쪽에 패킹(7a)을 끼워 측면덮개(밸브실덮개)(7)가 고착되어 있다. 측면덮개(7)는 금속재료로 제작되어, 높은 방음성(차음성)을 갖고 있다. 또한, 측면덮개(7)에는 설치부위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설치레그(7b)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펌프케이싱(6)은 추가로 흡입실(8), 토출실(9) 및 압축실(10)로 이루어지는 펌프부를 가지며, 흡입실(8)은 상기 압축실(10)과 연통하기 위해 흡입구(11)와 흡입밸브(12)를, 토출실(9)은 토출구(13)와 토출밸브(14)를 각각 갖추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자석(1)과 영구자석(3)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진동자(4)에 연결된 다이어프램(5)을 진동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토출노즐부(15)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은 샤프트에 직접 설치된 외형 형상이 4각(각주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영구자석(3) 중 한 쪽의 영구자석(3)이 둘레방향의 4개소에 N극과 S극의 극성이 교대로 극이방성자극(極異方性磁極)으로 극성을 띠고, 다른 한 쪽의 영구자석(3)의 극성이 대향하는 영구자석(3)과는 반대로 둘레방향의 4개소에 S극과 N극의 극성이 교대로 극이방성자극으로 극성을 띠고 있다.
상기 전자석부(2)는 4각구멍(16)의 외주부위에 8개의 브릿지부(16a)와 4개의 지지부(17a, 17b, 17c, 17d)가 형성된 십자형상의 철심위치 결정도구(18)가 조립되며, 외표면에는 프레임부(19)가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심위치 결정도구(18)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4각구멍(16)의 4모서리 사이의 바닥판을 생략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을 생략한 철심위치 결정도구(18a)를 사용하는 편이, 바닥판 두께의 편차의 영향이 받지 않게 되어 공극의 정밀도를 확실히 할 수 있다. 상기 철심위치 결정도구(18)의 재질로서는 성형시에 150도의 열에 견디는 내열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체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9)의 재질로서는 성형재료이고 내열성인 저수축률의 BMC(bulk mould compound)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의 BM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1)은 단면이 E형의 철심(20)과, 상기 E형의 철심(20)의 외주오목부에 끼워지는 보빈(bobbin)에 코일을 감은 권선코일부(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심(20)은 외측 요크부(22)와, 상기 외측 요크부(22)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사이드폴부(23)와, 상기 사이드폴부(23) 사이에 배치되는 π형의 센터폴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요크부(22)와 사이드폴부(23)는 1매의 강판, 예를 들면, 규소강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여 상기 사이드폴부(23)의 내주에는 1매의 강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L자형으로 굴곡진 연장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폴부(24)는, 상기 센터폴부(24)의 극부의 자기경로가 개방회로로 되도록 소정의 간격 L만큼 이격된 한 쌍의 자극부(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요크부(22)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간격 L은, 후술하는 나사(27)가 압입될 수 있는 크기인 경우, 구조상 허용되는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자극부(25)의 내주극부에는 서로가 반대방향으로 L자형으로 굴곡진 연장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장부(23a, 25a)는 각각 영구자석(3) 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23a, 25a)에 의해 공극부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공극부의 치수는 철심위치 결정도구(18)의 브릿지부(16a)의 두께치수로 규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권선코일의 리액턴스를 조정할 수 있으며, 권선코일부(21)로의 전류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철심이 강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절곡한 부품을 부착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폴부와 센터폴부가 미리 가공된 규소강판으로 제조된 스테이터코어를 복수개 적층하여 철심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석부(2)의 조립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철심위치 결정도구(18)의 지지부(17a)에 권선코일부(21)가 끼워진 철심(20)의 센터폴부(24)를 끼움과 동시에 4각구멍(16)의 외주홈(26)에 사이드폴부(23)를 삽입하고, 동시에 사이드폴부(23)와 센터폴부(24)의 사이에 브릿지부(16a)를 삽입한 후, 나사(27)를 구멍(28)을 통해 나사구멍(29)에 나사삽입하고, 전자석(1)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지지부(17a)와 대향하는 지지부(17c)에 다른 전자석(1)을 조립한다.
그 다음에, 상기 지지부(17b)에 철심(20)의 센터폴부(24)를 끼움과 동시에 4각구멍(16)의 외주홈(26)에 사이드폴부(23)를 삽입하고, 동시에 사이드폴부(23)와 센터폴부(24)의 사이에 브릿지부(16a)를 삽입한 후, 나사(27)를 구멍(28)을 통해 나사구멍(29)에 나사삽입하고, 철심(2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지지부(17b)와 대향하는 지지부(17d)에 다른 철심(20)을 조립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상기 전자석(1) 내의 철심(20)에는 보빈에 코일을 감 은 권선코일부(21)가 삽입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 내의 철심에 권선의 코일(21a)에만 미리 러그판(21b) 및 러그단자(21c)를 일체로 성형한 성형코일(21d)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권선의 코일만을 성형한 성형코일 사용함으로써, 전자석에 성형수지부를 성형할 때의 성형수지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코일의 직경이 가느다란 경우, 변형에 의한 단선의 염려가 없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되는 전자석부(2)를 성형금형에 배치하여 프레임부(19)를 성형한다. 예를 들면, 도 8∼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금형은 이동측의 상형(30)과 고정측의 하형(31)으로 이루어지며, 상형(30)과 하형(31)의 대향면의 오목부에 철심위치 결정도구(18)에 삽입되는 각심(32)과 4모서리의 나사구멍에 설치되는 삽입너트(33)(도 7 참조)를 수용하는 지지핀(34)이 배치되고, 다이어프램(5)의 설치부(35) 윤곽이 형성된 금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에는 상형(30)과 하형(31)에 형성되는 수지의 주입부(36)와 토출부(37)에 연통하는 주입구(36a)와 토출구(37a)가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금형을 사용하는 경우, 성형시에 전자석부를 성형금형에 배치한 후, 주입부(36)로부터 공동에 수지를 주입하고, 철심(20)의 외측요크부(22)의 사이드폴부(23)에 형성되는 구멍(38)을 이용하여 금형의 핀(도시되지 않음)으로 철심(20)을 고정시키고, 4각구멍(16)의 주변 일부를 남겨서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한다. 이로 인해, 도 6∼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철심위치 결정도구(18)를 삽입한 전자석부(2)에 상기 프레임부(19)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성형시에, 철심(20)이 수지압에 의해 떠오르거나 기울어지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해, 금형의 오목부 내벽에 철심(20)의 외측이 접촉되도록 부호(19a)에 해당하는 돌기(39)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성형이 완료된 전자석부(2)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동자(4)와 다이어프램(5)을 삽입한 후, 양단에 펌프케이싱(6)을 배치하여 측면덮개(7)가 조립용 나사(40)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석부(2)의 외표면에 프레임부(19)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전자석부(2)를 구성하는 철심(20)과 코일이 강력하게 결합되어 헐거워지지 않고, 강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상기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진동이 억제되고, 펌프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석부(2)의 프레임부(19)에 의해, 종래 전자석부의 외주에 배치된 전자재료의 요크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자기회로에 누설회로가 형성되지 않아, 진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철심위치 결정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철심을 금형에 삽입하는 경우, 철심의 유지를 위해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동시에 부착에 많은 공수를 필요로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철심위치 결정도구(18)에 철심(20)을 삽입한 전자석부(2)를 성형금형에 삽입하므로, 철심의 위치결정이 확실해지고,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상기 금형의 구조는 간단해지므로 가격이 낮아서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심위치 결정도구(18)에 의해 영구자석(3)과 철심(20) 사이의 공극부의 치수정밀도 및 4개의 철심의 축방향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19)를 성형할 때에 다이어프램(5)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5)를 동시에 프레임부(19)에 일체화하여 성형하였으므로, 다이어 프램대의 부품이 1개 감소되고, 조립공수를 1공정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9)가 일체로 성형된 전자석부(2)에 펌프케이싱(6)과 측면덮개(7)를 부착하였을 뿐이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철심위치 결정도구에 조립된 4극2코일형의 전자석부에 프레임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것 외에 1개의 링형의 철심으로 구성되는 전자석부, 2극2코일형 또는 도 10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4극4코일형 등의 1개 또는 복수개의 철심으로 구성되는 전자석부에 프레임부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철심위치 결정도구를 생략하여 전자석부에 프레임부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철심위치 결정도구를 생략했을 때의 전자석부에 프레임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석부(2)를 구성하는 철심(20)을, 1개의 자석(41)을 끼워서 2개의 연자성체(42)를 접착한 철심위치 결정도구(43a) 또는 2개의 자석(41)을 끼워서 3개의 연자성체(42)를 접착한 철심위치 결정도구(43b)의 주변에 장착시켜 전자석부(2)를 조립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0∼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일이 장착되어 있는 철심(20)을 상기 자석(41)이 만드는 자계에 의해 흡착하여, 철심(20)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어서, 전자석부(2)를 상하형의 오목부를 갖는 금형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금형의 공동에 수지를 주입하고, 상기 전자석부(2)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수지성형에 의한 프레임부(44)를 성형한다. 그리고, 성형을 완료한 후, 상기 철심위치 결정도구(43a, 43b)를 제거한다. 철심위치 결정도구(43a, 43b)는 계속해서 다음 몰드성형에 사용된다.
그 다음에, 철심위치 결정도구를 생략했을 때의 전자석부에 프레임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다른 제조방법을,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4극4코일형의 전자석부(45)에 프레임부(46)를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부(45)를 구성하는 철심(20)을 상하형의 오목부 중심부에 삽입용 각심(47)을 갖는 금형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전자석부(45)를 통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삽입용 각심(47)과 철심(20) 사이의 전자기력의 흡인력에 의해 철심(20)이 상기 삽입용 각심(47)에 위치가 정해져 고정된다. 그 다음에, 상기 금형 공동에 수지를 주입하고, 상기 전자석부(45)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수지성형에 의한 프레임부(46)를 성형한다. 또한, 이상의 도 10, 11, 12, 13에 도시되는 방식에서도, 도 3에 도시되는 형상의 철심위치 결정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 12, 13의 경우에, 도 3의 위치결정도구를 사용하면 금형에 장착이 용이하다.
다음에,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는 상기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전자석(1) 및 한 쌍의 철심(20)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석부(2), 상기 영구자석(3)을 갖춘 진동자(4), 상기 진동자(4)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어프램(5), 및 상기 전자석부(2)의 양단측에 각각 고정되는 펌프케이싱(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부(2)의 외표면에는 상기 전자석부(2)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펌프케이싱(6)의 외주부위에 설치되는 방음벽(50)이 상기 프레임부(19)와 동시에 일체로 성형된 프 레임부(51)로 되어 있다. 방음벽(50)의 내측에 상기 펌프케이싱(6)을 내장하며, 상기 펌프케이싱(6)의 측면쪽에 패킹(52a)을 끼워 측면덮개(밸브실덮개)(52)가 고착되어 있다. 측면덮개(52)는 금속재료로 제작되며, 높은 방음성(차음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측면덮개(52)에는 용이하게 설치부위에 설치되도록 설치레그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방음벽(50)의 내측에 펌프케이싱(6)을 내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펌프케이싱(6)의 방음벽(50) 내측 및 상기 방음벽(50)의 단면에 고착되는 측면덮개(52)의 내측에 공극(5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음벽(50)을 성형하지 않는 경우, 별도 부품의 방음하우징 등에 의한 2중구조가 필요하게 되나, 공극(53)을 형성하는 펌프케이싱(6) 및 방음벽(50)의 2중구조에 의해, 펌프부로부터의 진동이 공극(53)의 공기에 의해 완화되어, 방음성을 높인 소형의 펌프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석부(2)에 프레임부(51)를 성형할 때에 철심(20)의 구멍(38)을 이용하여 금형의 핀으로 철심(20)을 고정하지 않고, 수지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부(51)의 하부에 소음기 기능을 갖는 적어도 1개의 에어탱크(54)를 동시에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탱크(54)에 의해, 토출노즐부(15)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일단 저장된 후, 배기구(55)로부터 배기되므로, 배기음이 저감된다. 상기 에어탱크(54)에 펠트(felt) 또는 폴리에스테르섬유 등으로 된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공기가 필터 내를 통과할 때에 먼지 등의 불순물이 제거되므로, 청정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에어탱크를 성형하는 경우, 그 중 1개를 흡입구의 필터 삽입부로 사용하며, 다른 에어탱크를 릴레이, 스위치 등의 부품을 수납하는 장소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전자석부(2)에 프레임부(19)를 성형할 때에 상기 소음기 기능을 갖는 에어탱크를 동시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부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펌프부, 즉, 펌프케이싱(6) 내의 공기유입구(60) 및/또는 흡입실에 연통하는 공동부(空洞部)(61)의 격벽(62)에는 흡입음을 낮추기 위한 소음기용 미관(tail pipe)(63)을 내장할 수도 있다. 격벽(62)에 소음기용 미관(63)을 설치하는 경우, 격벽(62)을 일부 잘라내고, 그 잘라낸 부분에 고정되는 미관보호용 부시(64)를 미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8∼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는 상기 다이어프램식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다이어프램이 연결된 진동자 대신에 피스톤(71)이 형성된 진동자(72)를 사용한 피스톤식 전자기 진동형 펌프로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식 전자기 진동형 펌프는 상기 전자석부(73)에 프레임부(74)를 성형할 때에 상기 프레임부(74)에 실린더부(75)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진동자(72)에는 한 쌍의 영구자석(76)이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자(72)를 전자석부(73)의 흡인력과 스프링(77)의 복원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전자석부(73) 및 진동자(72)에 형성되는 흡입구(78, 79)로부터 유체를 흡입한 후, 토출구(80)에서 배출하고 있다.
상기 진동자(72)는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논액티브(non-active)형 펌프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자가 한 쌍의 진동자로 되어 흡인과 반발을 반복하는 액티브형 펌프로 될 수도 있다.
또한, 이제까지는 자석식 진동자의 전자기식 펌프를 설명하였으나, 자석을 사용하지 않는 철 또는 철금속 등의 연자성체의 진동자만을 사용하는 전자석 펌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펌프로는, 전자석의 흡인력과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진동자를 왕복작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1∼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는 도 1에 도시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와는 다른 전자석부(81), 영구자석(3)을 갖춘 진동자(4), 상기 진동자(4)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어프램(5), 및 상기 전자석부(81)의 양단측에 각각 고정되는 펌프케이싱(6)으로 구성되고, 상기 펌프케이싱(6)의 측면쪽에 패킹(7a)을 끼워 측면덮개(밸브실덮개)(7)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부(81)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대경 철심(20) 및 권선코일부(21)로 이루어지는 전자석(1), 한 쌍의 소경 철심(82), 상기 한 쌍의 대경 철심(20) 및 소경 철심(82)의 내부에 삽입되는 십자형상의 철심위치 결정도구(18)로 이루어지고, 외표면에는 프레임부(83)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철심위치 결정도구(18)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4각구멍(16)의 4모서리 사이의 바닥판을 생략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부(83)는 한 쌍의 소경 철심(82)측 외주부위에 소음기 기능을 갖는 오목부(84, 8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4)에는 펌프케이싱(6) 내의 흡입실(8)에 개구하는 통로(86a)와 연통하는 통로(84a)가 형성되며, 오목부(85)에 는 펌프케이싱(6) 내의 토출실(9)에 개구하는 통로(86b)와 연통하는 통로(8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84)에는 흡입부(87a)를 갖는 덮개(87)가 고착되어 있고, 오목부(85)에는 배출부(88a)를 갖는 덮개(88)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덮개(87, 88)의 고착수단은 나사잠금, 접착 또는 용착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나사잠금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84, 85)에 펠트 또는 폴리에스테르섬유 등으로 된 필터를 배치함으로써, 공기가 필터 내를 통과할 때 먼지 등의 불순물이 제거되므로, 청정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부(87a)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오목부(84)에 일단 저장된 후, 통로(84a) 및 통로(86a)를 통해 흡입실(8)로 흡입되므로, 흡입음이 저감된다. 또한, 토출실(9)에 토출된 공기는 통로(86b) 및 통로(84b)를 통해 오목부(85)에 흡입된 후, 상기 오목부(85)에 일단 저장된 다음에, 배출부(88a)로부터 배기되므로, 배기음이 저감된다. 본 실시예의 펌프는 상기 소음기 기능을 갖는 펌프와 비교하여 소음기 기능을 갖는 오목부가 전자석부의 대경 철심의 외경 치수 내로 형성되므로, 펌프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소경 철심(82)측의 외주부위에 오목부(84, 85)가 형성되어 있으나, 한 쌍의 소경 철심(82) 중 적어도 한 쪽의 외주부위에만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흡입음 또는 배기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되는 대경 철심(20)은 도 2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E형인 철심이며, 외측요크부(22), 상기 외측요크부(22)의 양단부위에 배치되는 사이드폴부(23), 및 상기 사이드폴부(23)의 사이에 배치되는 π형의 센터폴부(2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경 철심(82)은 상기 대경 철심(20)과는 높이가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외측요크부(82a), 상기 외측요크부(82a)의 양단부위에 배치되는 사이드폴부(82b), 및 상기 사이드폴부(82b)의 사이에 배치되는 π형의 센터폴부(82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요크부(22, 82a)와 사이드폴부(23, 82b)는 1매의 강판, 예를 들면 규소강판을 프레스가공 함으로써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대경 철심 및 소경 철심이 강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절곡한 부품을 조립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대경 철심에서는, 도 2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리 외측요크부(89a)의 양단부위에 배치되는 사이드폴부(89b)가 가공된 규소강판으로 만든 스테이터코어를 복수개 적층한 것과, 센터폴부(89c)가 가공된 규소강판으로 만든 스테이터코어를 복수개 적층한 것을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소경 철심에서는, 도 2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리 외측요크부(90a)의 양단부위에 배치되는 사이드폴부(90b)와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폴부(90c)가 일체로 가공된 규소강판으로 만든 스테이터코어를 복수개 적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펌프케이싱(6)은 도 28∼2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입실(8)과 토출실(9)이 대략 X자형의 격벽(9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대칭인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9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대칭인 부위에 공동부(9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실(8)과 좌우의 공동부(92)를 구획하는 격벽(91)에는 관통홈(9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홈(93)의 형상은 공동부(92)와 연통하는 형상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깎아낸 홈 또는 구멍이면 된다. 또한, 관통홈(93)의 수에 있어서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알맞게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실(8)과 좌우의 공동부(92)를 각각 1개의 관통홈(93)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다음의 식 (1)의 주파수 f로 흡입음이 흡음된다.
Figure 112000028150796-pat00001
(1)
여기서, k는 관통홈의 단위면적 당의 공동부의 탄성계수이고, M은 단위면적 당의 관통홈의 질량이다. 예를 들면, 펌프의 사양에서 토출압이 10(kPa)이고, 주파수가 50Hz 및 60Hz인 경우의 유량이 각각 22.7 리터/분 및 26.0 리터/분인 펌프를 준비하고, 관통홈의 유무에 의한 소음 레벨(A특성 음압 레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로부터 관통홈이 형성된 펌프케이싱 쪽이 약 10db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
주파수 (Hz) 관통홈 없음 (db) 관통홈 있음 (db)
50 52 40.5
60 54 42.0

본 실시예의 펌프는 펌프케이싱 내에 소음기 기능을 갖는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추가로 흡입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는 예를 들어 외표면에 프레임부(83)가 형성된 전자석부(81)를 공용하고, 성형금형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도 21에 도시되는 다이어프램식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다이어프램이 연결 된 진동자 대신에 피스톤(101)이 형성된 진동자(102)를 사용하고, 내주부에 실린더부(103)가 설치된 펌프케이싱(104)과 상기 펌프케이싱(104)의 펌프부에서의 측면쪽에 패킹(105a)을 끼워 측면덮개(105)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01)은 진동자(102)의 단부에 나사부착되는 나사(106)에 삽입통과된 후 너트(107)에 의해 고착된 피스톤프레임(108)의 외주면에 끼워져 있다. 피스톤프레임(108)의 재질은 알맞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자(102) 및 펌프케이싱(104)은 조립품이므로, 다소의 조립정밀도 오차는 피할 수 없고, 진동자(102) 중 피스톤(101)에 대한 정밀도에서 좌우 실린더부(103)의 동심도(同心度)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실린더부(103)와 피스톤(101)의 첩촉면이 무리없이 섭동할 수 있도록, 굴곡성(고무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EPDM(경도 60°) 또는 가공가능한 최저경도 50°의 우레탄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프레임(108)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경질재료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101)에 굴곡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피스톤(101)의 형상은 예를 들어, 두께를 0.5∼0.75mm로 하는 바닥이 있는 컵 형상이고, 상기 실린더부와 섭동하는 피스톤의 외주단부의 외면을 외측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컵형 피스톤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의 바닥을 피스톤프레임의 단면에 나사잠금되는 컵누름에 의해 억압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101)이 피스톤프레임(108)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있으나,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펌프케이싱(104)은 도 30∼3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자석부(2)의 내 측을 밀봉하기 위해 프레임부(83)의 설치부(35)에 끼워진 O링(109)을 통해 프레임부(83)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부(83)에는 소음기 기능을 갖는 오목부(84, 8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펌프케이싱(104)에는 오목부(84)의 통로(84a)로부터 펌프케이싱(104) 내의 흡입실(110)에 개구하는 통로(104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오목부(85)의 통로(85a)로부터 펌프케이싱(104) 내의 토출실(111)에 개구하는 통로(104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1∼3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입실(110)과 토출실(111)은 내주부위에 형성되는 격벽(112)의 상하방향의 부위가 절결된 개구(112a)에 의해 연통되어 있고, 격벽(112)의 좌우방향의 부위에는 공동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케이싱(104)에서의 펌프부는 흡입실(110), 토출실(111), 및 상기 실린더부(103)의 통기구(114)를 통해 연통하는 압축실(1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실(110)측 및 토출실(111)측에는 도 30 및 도 35∼3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기구(116a)를 갖는 평판형의 밸브시트(116b)와, 예를 들어 밸브시트(116b)의 중앙구멍(116c)에 고착된 밸브(116d)로 이루어지는 밸브체(116)가, 밸브(116d)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펌프케이싱(104)의 내벽부에 형성되는 홈(117)에 각각 끼워져 있다. 압축실(115)에는, 진동자(102)를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118)이 스프링받이(119)를 통해 배치되어 있으며, 스프링(118)의 위치결정은 측면덮개(105)의 구멍으로부터 삽입통과되는 고정나사(120)에 고착된 스페이서(121)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린더부(103)는 도 37∼3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격벽(112)에 끼워붙여지 는 원통형을 나타내며, 통기구(114)와 동일한 축방향의 단부에 절결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22)는 실린더부(103)를 펌프케이싱(104)의 격벽(112)에 끼워넣을 때에 도 30∼3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펌프케이싱(104)의 내주면에서, 흡입실(110) 및 토출실(111)의 형성위치와 동일한 축심방향의 위치에 설치되는 돌기(123)와 맞물리고, 통기구(114)의 위치가 흡입실(110) 또는 토출실(111)의 위치에 오도록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린더부(103)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스톤(102)이 실린더부(103) 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동심도 및 원통도 등의 정밀도를 확보하기 쉽게 가공할 수 있는 금속이며, 상기 금속 중에서도 가격이 낮고 자기윤활성이 우수하고 경량인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의 파이프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체(116)의 밸브시트(116b) 및 펌프케이싱(104)에 설치된 실린더부(103)는 펌프케이싱(104)에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함으로써, 제작상, 내주부위의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기구를 가공할 필요가 없으며, 펌프케이싱의 성형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기 진동형 펌프에서는, 도 21에 도시되는 다이어프램식 전자기 진동형 펌프에서의 프레임부에 소음기 기능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프레임부에 소음기를 갖지 않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다이어프램식 전자기 진동형 펌프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펌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 3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입실(110)과 공동부(113)를 구획하는 격벽(112)에 관통홈(130)을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 입된 외기는 공동부(113)에 일단 저장되었다가 배기되므로, 배기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는, 펌프에 상기 소음기 기능을 갖는 프레임부와 상기 관통홈을 형성하는 펌프케이싱을 적용함으로써, 추가로 방음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방음효과가 높은 전자기 진동형 펌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4)

1개 또는 복수개의 철심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석부와 자성체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체를 갖춘 진동자의 전자기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수지성형에 의한 프레임부가 성형되고,
상기 전자석부의 내주부에, 상기 프레임부의 성형 전에 삽입된 전자석부의 철심을 상기 진동자의 영구 자석에 대하여 소정의 공극부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하는 철심위치 결정도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 내의 철심에 삽입되어 있는 권선의 코일이 상기 철심에 미리 삽입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다이어프램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상기 전자석부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펌프케이싱의 방음벽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적어도 1개의 에어탱크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싱의 방음벽 내측 및 상기 방음벽의 단부면에 고착되는 측면덮개의 내측에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펌프케이싱 내에 소음기용 미관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에서의 복수개의 철심은, 높이가 다른 한 쌍의 대경 철심 및 한 쌍의 소경 철심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소경 철심 중 적어도 한쪽의 소경 철심의 외주부위의 상기 프레임부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펌프케이싱 내의 흡입실과 토출실이 격벽에 의해 상하방향의 부위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좌우방향의 부위로 공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실과 공동부를 구획하는 격벽에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펌프케이싱의 펌프부에서 측면쪽에 고착되는 측면덮개가 금속제이며, 또한 상기 측면덮개에 설치레그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이 연결된 진동자 대신에 피스톤이 형성된 진동자를 사용하고, 다이어프램의 설치부 대신에 전자석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실린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이 연결된 진동자 대신에 피스톤이 형성된 진동자를 사용하고, 상기 전자석부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펌프케이싱의 내주부에 실린더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싱의 펌프부에 있는 흡입실 및 토출실에, 통기구를 갖는 밸브시트와 밸브로 이루어지는 밸브체가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싱 내의 흡입실과 토출실이 격벽에 의해 상하방향의 부위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좌우방향의 부위로 공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실과 공동부를 구획하는 격벽에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
1개 또는 복수개의 철심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석부와 자성체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체를 갖춘 진동자의 전자기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를 구성하는 철심을 철심위치 결정도구의 주변에 끼워서 전자석부를 조립하는 공정, 상기 조립된 전자석부를 오목부의 중심부에 삽입용 각심을 갖는 금형에 배치시키는 공정, 및 상기 금형의 공동에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
1개 또는 복수개의 철심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석부와 자성체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체를 갖춘 진동자의 전자기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석을 끼워서 연자성체를 접착한 철심위치 결정도구의 주변에 상기 전자석부를 구성하는 철심을 장착시켜 전자석부를 조립하는 공정, 상기 조립된 전자석부를 금형에 배치시키는 공정, 상기 금형의 공동에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하는 공정, 및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철심위치 결정도구를 꺼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
1개 또는 복수개의 철심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석부와 자성체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체를 갖춘 진동자의 전자기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자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를 조립한 후 오목부의 중심부에 삽입용 각심을 갖는 금형에 상기 조립된 전자석부를 배치시키는 공정,
상기 전자석부를 통전하여 전자력의 흡인력에 의해 철심을 상기 삽입용 각심에 위치를 정하여 고정하는 공정, 및
상기 금형의 공동에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의 외표면에 수지를 성형할 때에, 상기 다이어프램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일체로 성형할 때에, 상기 전자석부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펌프케이싱의 방음벽을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일체로 성형할 때에, 적어도 1개의 에어탱크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펌프케이싱의 방음벽을 일체로 성형할 때에, 적어도 1개의 에어탱크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에서의 복수개의 철심은, 높이가 다른 한 쌍의 대경 철심 및 한 쌍의 소경 철심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소경 철심 중 적어도 한쪽의 소경 철심의 외주부위의 프레임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이 연결된 진동자 대신에 피스톤이 형성된 진동자가 사용되고, 다이어프램의 설치부 대신에 전자석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실린더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진동형 펌프의 제조방법.
KR1020000083081A 2000-01-06 2000-12-27 전자기 진동형 펌프 및 그 제조방법 KR100793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1006 2000-01-06
JP2000-1006 2000-01-06
JP2000-227302 2000-07-27
JP2000227302 2000-07-27
JP2000-328537 2000-10-27
JP2000328537A JP3370653B2 (ja) 2000-01-06 2000-10-27 電磁振動型ポンプおよびその製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364A KR20010070364A (ko) 2001-07-25
KR100793719B1 true KR100793719B1 (ko) 2008-01-10

Family

ID=2734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081A KR100793719B1 (ko) 2000-01-06 2000-12-27 전자기 진동형 펌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533560B2 (ko)
EP (1) EP1114933A3 (ko)
JP (1) JP3370653B2 (ko)
KR (1) KR100793719B1 (ko)
CN (1) CN1271333C (ko)
HK (1) HK1039512A1 (ko)
TW (1) TW4828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2198B2 (ja) * 2001-02-21 2011-11-24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空気強制供給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並びに空気強制供給型空気電池
JP4365558B2 (ja) * 2002-04-08 2009-11-18 株式会社テクノ高槻 電磁振動型ダイヤフラムポンプ
US10363061B2 (en) 2002-10-25 2019-07-30 Hydrocision, Inc. Nozzle assemblies for liquid jet surgical instruments and surgical instruments for employing the nozzle assemblies
GB0224986D0 (en) 2002-10-28 2002-12-04 Smith & Nephew Apparatus
DE102004062300A1 (de) * 2004-12-23 2006-07-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Linearverdichter
JP4603433B2 (ja) * 2005-07-11 2010-12-22 日東工器株式会社 電磁往復動流体装置
JP4705433B2 (ja) * 2005-08-22 2011-06-2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能動型液封入式防振装置
US20070102233A1 (en) * 2005-11-07 2007-05-10 Eiko Electric Products Corp. Air pumping device with silencing effect for aquarium
US20070217929A1 (en) * 2006-03-17 2007-09-20 Jackey Chiou Diaphragm pumping device
EP1850005B1 (en) * 2006-04-24 2009-10-07 Yasunaga Air Pump, Inc. Diaphragm pump
US20070258835A1 (en) * 2006-05-05 2007-11-08 Yasunaga Air Pump Inc. Diaphragm pump
US7819642B2 (en) * 2006-08-24 2010-10-26 N.A.H. Zabar Ltd. Reciprocatory fluid pump
JP5124219B2 (ja) * 2006-09-27 2013-01-23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電機子ユニット、電機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電機子ユニット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ポンプ
DE602007004546D1 (de) 2006-09-28 2010-03-18 Tyco Healthcare Tragbares Wundtherapiesystem
US8328538B2 (en) * 2007-07-11 2012-12-11 Gast Manufacturing, Inc., A Unit Of Idex Corporation Balanced dual rocking piston pumps
NO334755B1 (no) * 2008-12-08 2014-05-19 Gjerdrum As Ing Drivanordning for pumpe eller kompressor
US20100305402A1 (en) * 2009-05-29 2010-12-02 Magnetecs,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waveguide forming a shaped field employing a magnetic aperture for guiding and controlling a medical device
US20110112396A1 (en) 2009-11-09 2011-05-12 Magnetecs, Inc.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catheter electrodes
DE102009047743A1 (de) * 2009-12-09 2011-06-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dichter mit einem Tragegestell
GB201011173D0 (en) 2010-07-02 2010-08-18 Smith & Nephew Provision of wound filler
US20120020818A1 (en) * 2010-07-20 2012-01-26 Peter Chen Air compressor structure for paint spraying
CN102338071A (zh) * 2010-07-21 2012-02-01 三敏电机股份有限公司 应用于喷漆的空压机的改进结构
GB201015656D0 (en) 2010-09-20 2010-10-27 Smith & Nephew Pressure control apparatus
AU2011333538C1 (en) 2010-11-25 2015-07-30 Bluestar Silicones France Sas Composition I-II and products and uses thereof
GB201020005D0 (en) 2010-11-25 2011-01-12 Smith & Nephew Composition 1-1
JP5849415B2 (ja) * 2011-03-22 2016-01-27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リニア駆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9081B2 (ja) * 2011-03-22 2014-01-15 株式会社テクノ高槻 電磁振動型ダイヤフラムポンプ
US8974200B2 (en) * 2011-07-08 2015-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vice for creating fluid flow
US9084845B2 (en) 2011-11-02 2015-07-21 Smith & Nephew Plc Reduced pressure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50159066A1 (en) 2011-11-25 2015-06-11 Smith & Nephew Plc Composition, apparatus, kit and method and uses thereof
US9427505B2 (en) 2012-05-15 2016-08-30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JP6013791B2 (ja) * 2012-06-12 2016-10-25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電磁式ダイヤフラムポンプ
CN102767508A (zh) * 2012-07-06 2012-11-07 上海应用技术学院 一种隔膜式电磁气泵
JP6050088B2 (ja) * 2012-10-31 2016-12-21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電磁式ダイヤフラムポンプ
CN103089593B (zh) * 2012-11-27 2015-10-07 刘春祥 轴向磁力隔膜泵
US20160120706A1 (en) 2013-03-15 2016-05-05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sealant and use thereof
CN103184995B (zh) * 2013-04-24 2015-08-19 赵德连 磁电动能压缩机
US20150147202A1 (en) * 2013-11-27 2015-05-28 Gardner Denver Thomas, Inc. Pump having interchangeable heads
JP6353771B2 (ja) * 2014-11-25 2018-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ニアモータ及びリニアモータを搭載した圧縮機
JP6991067B2 (ja) 2014-12-22 2022-01-12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陰圧閉鎖療法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60127927A (ko) * 2015-04-28 2016-11-07 임주생 병렬 인버터 회로를 적용한 전자기식 공기 압축기
CN104776007B (zh) * 2015-05-06 2017-09-29 王守福 对置式永磁电磁气泵
US11002270B2 (en) * 2016-04-18 2021-05-11 Ingersoll-Rand Industrial U.S., Inc. Cooling methods for electrically operated diaphragm pumps
CN106567821B (zh) * 2016-11-07 2018-10-30 骆金山 电磁推拉式隔膜泵
CN110005849A (zh) * 2019-04-12 2019-07-12 山东朗高计量泵科技有限公司 用于驱动双泵头计量泵的电磁组件
US20220265993A1 (en) * 2021-02-23 2022-08-25 Ventriflo, Inc. Pulsatile Fluid Pump System
CN113007078A (zh) * 2021-03-31 2021-06-22 中国长江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流体抽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301A (en) * 1986-06-27 1988-10-04 Cartwright Garry E Oscillating electromagnetic pump with one-way diaphragm valves
JPH07127577A (ja) * 1993-10-29 1995-05-16 Techno Takatsuki:Kk 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H07259742A (ja) * 1994-03-25 1995-10-09 Mitsubishi Chem Corp ダイアフラム型エア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35489A (fr) * 1967-04-21 1968-08-09 Perfectionnements aux moteurs à courant continu sans collecteur et à certains dispositifs qui les utilisent
JPS53140603A (en) * 1977-05-16 1978-12-07 Enomoto Maikuroponpu Seisakush Reciprocating type electromagnetic pump
IT1130947B (it) * 1980-03-10 1986-06-18 De Dionigi Manlio Perfezionamenti alle pompe elettromagnetiche alternative in particolare per fluidi non viscosi
JPS58148646A (ja) * 1982-02-24 1983-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ジンモ−ルドモ−タの製造方法
AU6776387A (en) * 1985-12-11 1987-06-30 Saggers, M.J. Improvements in vibratory diaphragm pumps
JPH0694867B2 (ja) * 1986-11-26 1994-11-24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磁式エアポンプ
US5013223A (en) * 1987-08-20 1991-05-07 Takatsuki Electric Mfg. Co., Ltd. Diaphragm-type air pump
JPH0744766Y2 (ja) * 1988-11-10 1995-10-11 日東工器株式会社 空気圧縮装置
JP2531877Y2 (ja) * 1988-12-15 1997-04-09 日東工器株式会社 電磁式ダイアフラムポンプ
US5189782A (en) * 1990-12-20 1993-03-02 Ford Motor Company Method of making integrally formed and tuned fuel rail/injectors
US5490319A (en) * 1992-01-29 1996-02-13 Ebara Corporation Thermotropic liquid crystal polymer composition and insulator
EP0662696B1 (en) * 1994-01-11 1998-03-18 Smc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solenoid device for electromagnetic valves
DE4439823C1 (de) * 1994-11-08 1996-01-18 Richter Siegfried Dipl Ing F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lattförmigen Schwingfeder für elektrische Membranpumpen
DE59502252D1 (de) * 1994-11-14 1998-06-25 Anton Steiger Vorrichtung zum führen und zentrieren eines maschinenelementes
US5567131A (en) * 1995-04-20 1996-10-22 Gorman-Rupp Industries Spring biased check valve for an electromagnetically driven oscillating pump
DE59704658D1 (de) * 1996-02-12 2001-10-25 Vantico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lechpaketen und elektromagnetischen baugruppen
US6012910A (en) * 1997-07-28 2000-01-11 The Gorman-Rupp Company Electromagnetic oscillating pump with self-aligning sprin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301A (en) * 1986-06-27 1988-10-04 Cartwright Garry E Oscillating electromagnetic pump with one-way diaphragm valves
JPH07127577A (ja) * 1993-10-29 1995-05-16 Techno Takatsuki:Kk 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H07259742A (ja) * 1994-03-25 1995-10-09 Mitsubishi Chem Corp ダイアフラム型エア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06472A (ja) 2002-04-10
US6533560B2 (en) 2003-03-18
US20030082056A1 (en) 2003-05-01
HK1039512A1 (en) 2002-04-26
US20010008608A1 (en) 2001-07-19
US6977056B2 (en) 2005-12-20
CN1302960A (zh) 2001-07-11
EP1114933A2 (en) 2001-07-11
TW482874B (en) 2002-04-11
EP1114933A3 (en) 2002-12-18
CN1271333C (zh) 2006-08-23
JP3370653B2 (ja) 2003-01-27
KR20010070364A (ko)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719B1 (ko) 전자기 진동형 펌프 및 그 제조방법
KR100332818B1 (ko) 리니어 압축기의 고정자 고정구조
JP3492228B2 (ja) 鉄心および該鉄心を用いる電磁駆動機構
KR20070075888A (ko) 리니어 압축기의 조립구조
GB1560908A (en) Electromagnetically driven diaphragm pump
JPH0694867B2 (ja) 電磁式エアポンプ
JP2703515B2 (ja) 電磁振動型のダイヤフラム式エアポンプの消音タンク
KR20100112474A (ko) 리니어 압축기
JP2002371968A (ja) 電磁振動型ポンプおよびポンプユニット
JP2000299971A (ja) 電磁駆動機構および該機構を用いた電磁振動型ポンプ
JP2006307813A (ja) 電磁振動型ダイヤフラムポンプ
CN109862490A (zh) 扬声器
JP2609066B2 (ja) 振動型ポンプ
JP3485551B2 (ja) 電磁振動型ポンプ
JP3500365B2 (ja) 電磁石部
KR102424602B1 (ko) 리니어 압축기
JP3643635B2 (ja) リニア式コンプレッサ
KR20040105080A (ko) 리니어 압축기의 아우터 스테이터 조립 구조
KR20070075905A (ko) 리니어 압축기의 리니어 모터
JP4462913B2 (ja) 電磁振動型ダイヤフラムポンプ
KR102424604B1 (ko) 리니어 압축기
CN115580796A (zh) 一种多功能发声装置
CN202203090U (zh) 电磁振动型隔膜泵
JP2004036404A (ja) 電磁振動形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S5915835Y2 (ja) 原動機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