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452B1 - 변좌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변좌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452B1
KR100793452B1 KR1020060070558A KR20060070558A KR100793452B1 KR 100793452 B1 KR100793452 B1 KR 100793452B1 KR 1020060070558 A KR1020060070558 A KR 1020060070558A KR 20060070558 A KR20060070558 A KR 20060070558A KR 100793452 B1 KR100793452 B1 KR 100793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guide shaft
bearing portion
seat uni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357A (ko
Inventor
요시아키 테라다
마모루 야마오카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5174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990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5174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990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517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027844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변좌승강장치는 양식화장실의 변기본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변좌유닛이 부착되는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기구를 갖는 변좌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기 가동부재를 전동에 의해 승강구동가능한 구동기구와, 상기 가동부재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변좌승강장치{AN APPARATUS FOR LIFTING CLOSE STOOL}
도 1(a)(b)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를 이용한 양식화장실유닛에 있어서 변좌를 내린 상태의 설명도 및 변좌를 변기본체에서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a)(b)(c)(d)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의 평면도, 정면도, 도 2(a)의 A-A'선의 개략 단면도 및 도 2(a)의 B-B'선의 개략단면도.
도 3(a)(b)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로부터 가동플레이트 및 좌측슬라이더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 및 도 3(a)의 C-C'선에서의 개략단면도.
도 4(a)(b)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의 우측슬라이더를 우측에서 봤을 때의 설명도 및 도 4(a)의 E-E'선의 단면도.
도 5(a)(b)(c)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의 좌측슬라이더를 좌측에서 봤을 때의 설명도, 도 5(a)의 F-F'선의 단면도 및 도 5(a)의 G-G'선의 단면도.
도 6(a)(b)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에 있어서 변좌유닛을 탑재한 가동부재가 최하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및 가동부재가 최상위치에 있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변좌승강장치 2: 고정플레이트(고정부재)
3: 스토퍼플레이트 5: 구동기구
6: 가동플레이트(가동부재) 7: 스텝핑모터
8: 출력차 9: 가동기구
10: 변좌유닛 11: 변기본체
12: 변좌 14: 퍼텐션미터(위치검출수단)
15: 센서치차 22: 수직면(받이면)
41: 우측가이드축(제 1가이드축)
42: 좌측가이드축(제 2가이드축)
51: 우측슬라이더 52: 좌측슬라이더
53: 랙 70: 감속윤열
71,72,73: 제1, 제2, 제3 감속차 80: 출력피니온
91: 제 1스토퍼 92: 제 2스토퍼
510: 우측베어링부(제 1베어링부) 520: 좌측베어링부(제 2베어링부)
511: 우측관통공(제 1관통공) 521: 좌측관통공(제 2관통공)
525: 볼록부
본 발명은 양식변기의 변좌를 승강시키기 위한 변좌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식변기에 있어서는 변좌나 변기뚜껑이 안쪽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평복자세 및 기립자세가 된다. 이 때문에 변기본체윗면의 안쪽을 청소하려고 해도 변기본체와 변좌 사이에는 극히 좁은 공간밖에 비어있지 않아 그 부분을 청소하고싶어도 손이 들어가지 않는다. 그래서 수동으로 변좌유닛을 변기본체로부터 상승한 상태로 할 수 있는 변좌승강장치가 안출되고 있다(예를들어 일본국 특개평 8-17710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변좌승강장치와 같이 수동으로 변좌유닛을 들어올리는 구성에서는 청소전 더러운 변좌유닛을 손으로 들어올리는 것에 대해 심리적인 저항감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화장실이라는 좁은 공간에서 사람손으로 변좌유닛을 들어올리는 작업은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행해져야 하므로 간단한 작업은 아니다. 또한 변좌유닛에 대해 변좌가 자체무게로 경도(傾倒)할 때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댐퍼장치나 변기뚜껑을 전동으로 개폐시키는 전동기구 등을 부하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기구도 한번에 들어올려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무겁고 상당히 불편한 작업이다.
그래서 모터를 구동원으로서 구비한 전동식의 구동기구에 의해 변좌유닛을 승강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동식의 구동기구를 채용한 경우에는 어떠한 이상으로 변좌유닛의 승강동작이 중간에 정지하게 된 경우 그것을 모르고 청소를 행하면 작업중에 변좌유닛의 승강이 급격히 재개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또 변기유닛을 손으로 내릴 때 항력을 발생시키는 댐퍼기구가 없으면 과대한 힘으로 변좌유닛을 힘차게 내렸을 때 변좌나 변기본체를 파손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와같은 댐퍼기구를 부가한 경우에는 변좌승강장치가 대형화 됨과 동시에 원가가 증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변좌승강장치에서는 가이드축과 베어링구멍으로 이루어지는 2쌍의 가이드부분의 양쪽을 둥근봉과 스트레이트구멍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예를들어 변좌 또는 변기뚜껑이 기립하거나 또는 평복하고 있는 가에 따라 가동기구의 중심위치가 어긋나 베어링구멍에 전후좌우로의 토오크가 걸렸을 때 가이드축과 베어링구멍 사이에서 걸림이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는 각 부품에 있어서 또한 조립공정에 있어서 가이드축 및 베어링구멍의 평행도, 치수, 위치를 높은 정밀도로 하면 해소할 수 있지만 이와같은 대책을 채용하면 원가가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걸림을 해소하기 위해 가이드축과 베어링구멍의 공차를 크게 설정하면 2쌍의 가이드부분에 가해지는 부분의 밸런스가 크게 무너지게 되는 결과 예를들어 가동기구를 전동으로 승강시키고자 할 경우에 여유를 보고 큰 토오크를 발생할 수 있는 대형이고 고가인 모터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가동기구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치차열과 가동부재측과의 맞물림이 벗어난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변좌유닛을 전동으로 승강시키는 경우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변좌승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변좌유닛을 변기본체로부터 뜨게할 때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댐퍼기구를 부가하지 않아도 변좌유닛을 수동으로 강하시킬 때 변좌나 변기본체가 파손될 염려가 없는 변좌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가이드축과 베어링부를 높은 정밀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변좌유닛의 스무스한 승강이 실현가능한 변좌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제 1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식화장실의 변기본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변좌유닛이 부착되는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기구를 갖는 변좌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기 가동부재를 전동에 의해 승강구동가능한 구동기구와, 상기 가동부재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변좌유닛이 부착된 가동부재를 전동으로 상승구동하는 구동기구가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변기본체나 변좌밑면의 안쪽을 청소할 때 변좌유닛을 손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다. 따라서 양식변기를 청소할 때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소하기 전에 변좌유닛에 닿는 것으로부터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또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가동부재의 승강위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부재가 소정위치에 도달할 예정임에도 불구하고 거기에 가동부재가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여 중간에서 정지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통지(報知) 또는 그 후의 동작을 클리어하는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도중정지한 상태에서의 청소작업 등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승강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센서치차를 갖고,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센서치차의 회전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가동부재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센서치차의 회전은 가동부재의 승강에 연동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부재의 승강위치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센서치차이므로 가동부재의 승강거리에 관계없이 소정 개소에 멈추어 회전할 뿐이므로 작은 공간내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가동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치차열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치차는 상기 치차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치차 중 하나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저원가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치차는 상기 가동부재가 최하위치로부터 최상위치까지 상승하는 동안에 1회전 미만의 회전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센서치차의 각도위치를 검출하는 것 만으로 가동부재의 전 이동범위에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각도위치의 변위를 저항변화로 검출하는 퍼텐션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퍼텐션미터의 로터리부를 센서치차와 일체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위치검출수단을 저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양식화장실의 변기본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변좌유닛이 부착되는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기구를 갖는 변좌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기 가동부재를 전동에 의해 상승구동가능한 구동기구를 갖고, 또한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스텝핑모터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변좌승강장치는 상기 가동부재를 수동으로 강하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변좌유닛이 부착된 가동부재를 전동으로 상승구동하는 구동기구가 구성되므로 양식변기를 청소할 때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소하기 전의 변좌유닛에 닿는 것으로부터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또 역전시에 역전류가 발생하여 큰 토오크가 발생하는 DC모터와 달리 역회전시에 로터가 공전하여 탈조가 일어나는 스텝핑모터를 구동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이용했기 때문에 상승한 변좌유닛을 내리는 작업을 수동으로 행할 때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전동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 급정지 또는 역전시키는 과대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스텝핑모터가 탈조하므로 변좌나 변기본체, 구동기구를 파손하는 경우가 없다.
또 구동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스텝핑모터를 이용했기 때문에 상승한 변좌유닛을 내리는 작업을 수동으로 행할 때 스텝핑모터의 디텐트 토오크가 항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상승한 변좌유닛을 내릴 때 변좌유닛이 천천히 하강하므로 댐퍼기구를 마련하지 않아도 변좌나 변기본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또 잘못하여 과대한 힘을 가한 경우라도 스텝핑모터의 로터가 탈조하여 공전하므로 구동기구를 파손하지 않음과 동시에 잘못하여 손 등을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에 끼운 경우라도 대하중을 받지 않고 정지하므로 안전하다. 게다가 변좌승강장치의 사용편이를 높여도 댐퍼기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변좌승강장치의 소형화 및 저원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스텝핑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가동부재에 감속하여 전달하는 감속윤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변좌유닛을 적절한 속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상승한 변좌유닛을 수동으로 내릴 때 감속윤열의 감속비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부하가 스텝핑모터의 디텐트 토오크와 함께 적당한 항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상승한 변좌유닛을 내릴 때 변좌유닛이 천천히 하강하므로 댐퍼기구를 마련하지 않아도 변좌나 변기본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없다. 또 잘못하여 과대한 힘을 가한 경우라도 스텝핑모터의 로터가 탈조하여 공전하므로 구동기구를 파손하지 않음과 동시에 잘못하여 손 등을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에 끼운 경우라도 대하중을 받지 않고 정지하므로 안전하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양식화장실의 변기본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측의 좌우양측에서 위쪽으로 대략 평행하게 뻗는 제 1가이드축 및 제 2가이드축과, 상기 제 1가이드축 및 상기 제 2가이드축이 들어가는 제 1베어링부 및 제 2베어링부가 형성되어 변좌유닛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가이드축 및 상기 제 2가이드축을 따라 승강하는 가동기구를 갖는 변좌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베어링부는 상기 제 1가이드축에 대해 횡방향 및 전후방향 양쪽에 있어서 접촉상태에 있고, 상기 제 2베어링부는 상기 제 2가이드축에 대해 전후방향에서는 접촉상태에 있는 한편 횡방향에서는 상기 제 2가이드축에 대해 접촉 또는 분리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베어링부는 제 2가이드축에 대해 횡방향에서는 접촉 또는 분리 가능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횡방향에 있어서는 가동기구의 자세에 의해 접촉한 상태 또는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부와의 접촉상태는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부에 의해 규정된 가동기구의 자세에 추종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축 및 베어링구멍의 평행도, 치수, 위치의 정밀도가 다소 낮아도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부 사이 및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부 사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 가동기구에 전후 좌우의 토오크가 가해졌을 때에도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부와의 사이 및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부 사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게다가 변좌유닛을 승강시킬 때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구멍 사이 및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구멍 사이에서 걸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변좌유닛의 움직임이 스무스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구 중 상기 제 2베어링 보다도 상기 제 1베어링부에 가까운 위치에 대해 상하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변좌유닛을 전동으로 승강할 수 있기 때문에 양식변기를 청소할 때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소하기 전의 변좌유닛에 닿는 것으로부터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또 가동기구의 위치를 규정하는 기능을 중심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제 1베어링부에 가까운 쪽에서 가동기구에 구동력을 전달하므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치차열과 가동기구측과의 맞물림이 풀리는 경우는 없다. 또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부와의 접촉상태는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부에 의해 규정된 가동기구의 자세에 추종하므로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부 사이 및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부 사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필요최소한의 토오크를 발생할 수 있는 모터를 이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축 및 상기 제 2가이드축의 모두가 둥근봉 또는 둥근파이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베어링부에 대해서는 상기 가동기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관통공의 둥근부분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 2베어링부에 대해서는 상기 가동기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관통공 중 장축을 횡방향으로 장원부분 또는 타원부분으로 구성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베어링부는 상기 제 2관통공 중 윗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베어링부에서의 아래부분은 상기 제 2가이드축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부의 접촉부분을 필요최소한으로 억제하면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부와의 접촉상태는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부에 의해 규정된 가동기구의 자세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변좌유닛의 움직임을 더욱 스무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구의 뒷면에는 횡방향 중 상기 제 2베어링부가 형성되는 측에서의 하측부분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 정부재는 상기 가동기구의 뒤쪽에서 이 가동기구의 하단측이 뒤쪽으로 기울었을 때 상기 볼록부를 받는 받이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제 2베어링부가 형성되는 측에 있어서 가동기구의 하단부가 뒤쪽으로 흔들린 경우라도 그 흔들림은 가동기구측의 볼록부가 가동부재측의 받이면에 닿음으로써 어느 범위내로 억제된다. 따라서 가동기구는 크게 기울어지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기구의 일예를 설명한다.
(화장실유닛의 구성)
도 1(a)(b)은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를 이용한 양식화장실유닛에 있어서, 변좌를 내린 상태의 설명도 및 변좌를 변기본체로부터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a)와 같이 본 형태의 양식화장실유닛은 양식의 변기본체(11)와, 이 변기본체(11)상에서 개폐되는 변좌(12)와, 이 변좌(12)상에서 개폐되는 변기뚜껑(13)을 갖고 있고 변좌(12) 및 변기뚜껑(13)은 안쪽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평복자세 및 기립자세가 된다. 여기서 변좌(12) 및 변기뚜껑(13)은 변좌유닛(10)으로서 일체화 되고 있으며, 이 변좌유닛(10)에는 필요에 따라 변좌(12) 및 변기뚜껑(13)이 자체무게로 평복할 때의 속도를 완화하는 댐퍼장치나 변기뚜껑을 전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전동장치가 내장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형태의 양식화장실유닛에는 도 1(b)과 같이 변좌유닛(10)을 변기본체(11)로부터 부상시켜 변기본체(11)의 윗면을 안쪽까지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의 변좌승강장치(1)가 구성되고 있다.
(변좌승강장치의 구성)
도 2(a)(b)(c)(d)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의 평면도, 정면도, 도 2(a)의 A-A'선의 개략 단면도 및 도 2(a)의 B-B'선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b)은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로부터 가동후드 및 좌측슬라이더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 및 도 3(a)의 C-C'선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b)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의 우측슬라이더를 우측에서 봤을 때의 설명도 및 도 4(a)의 E-E'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a)(b)(c)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의 좌측슬라이더를 좌측에서 봤을 때의 설명도, 도 5(a)의 F-F'선의 단면도 및 도 5(a)의 G-G'선의 단면도이다.
도 2(a)~(c) 및 도 3(a)(b), 도 4(a) 및 도 5(a)와 같이 본 형태의 변좌승강장치(1)는 변기본체(11)(도 1참조)의 윗면부분으로의 고정면(21)을 구비한 고정플레이트(2)("고정부재"라고도 한다)와, 고정플레이트(2)의 후단에서 위쪽으로 절곡된 수직면(22)("받이면"이라고도 한다)의 상단부분에 고정된 역 L자형상의 스토퍼 플레이트(3)와, 스토퍼 플레이트(3)의 수평부분(31)과 고정플레이트(2)의 고정면(21)과의 사이에 걸쳐진 원주모양의 우측 가이드축(41)("제1 가이드축"이라고도 한다) 및 좌측 가이드축(42)("제2 가이드축"이라고도 한다)을 갖고 있다.
좌우측 가이드축(41)(42)을 통틀어 "가이드 기구"라고도 하며 각각 이들의 가이드축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한 우측슬라이더(51) 및 좌측슬라이더(52)가 지지되고 있다. 또 좌우측 슬라이더(51)(52)의 앞면 및 윗면을 피복하도록 가동플레이트(6)("가동부재"라고도 한다)가 부착되고 있으며 좌우측 슬라이더(51)(52) 및 가동플레이트(6)는 그것들이 일체의 가동기구(9)를 구성하고 있다.
우측슬라이더(51) 및 좌측슬라이더(52)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우측가이드축(41) 및 좌측가이드축(42)이 각각 꽂혀져 들어가는 우측관통공(511)("제 1관통공"이라고도 한다) 및 좌측관통공(521)("제 2관통공"이라고도 한다)을 갖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우측가이드축(41)은 도 4(a)(b)와 같이 둥근파이프로 구성되며 그 외주형상은 둥글다. 또 우측관통공(511)은 우측가이드축(41)과 대략 동일한 내경치수를 갖는 원이며 그 축선방향에서의 전체가 우측가이드축(41)에 접하는 우측베어링부(510)("제 1베어링부"라고도 한다)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우측베어링부(510)는 우측가이드축(41)의 전 둘레에 걸쳐 접촉상태에 있다.
이에 대해 도 5(a)(b)와 같이 좌측관통공(521)에서는 윗부분이 좌우방향으로 장축을 향하는 장원형상 또는 타원형상의 좌측베어링부(520)("제 2베어링부"라고도 한다)가 되고 있으며, 이 좌측베어링부(520)는 좌측가이드축(42)에 대해 전후방향에서는 접촉상태에 있지만 횡방향에서는 좌측가이드축(42)에 대해 접촉 또는 분리 가능한 상태에 있다. 즉 좌측베어링부(520)는 횡방향에서는 좌측가이드축(42)과의 사이에 큰 공차가 확보되고 있으며 가동기구(9)의 자세에 의해 접촉한 상태 또는 떨어진 상태가 된다. 또 좌측관통공(521)은 도 5(a)(c)와 같이 좌측베어링부(520)보다도 아래부분(522)은 좌측가이드축(42)보다 대경인 원부분으로 되며 좌측가이드축(42)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 좌측슬라이더(52)의 뒷면에는 제 2베어링부(520)가 형성되는 측에서의 하 단부분에서 뒤쪽으로 볼록부(525)가 돌출되는 한편 고정 플레이트(2)에서는 수직면(22)에 의해 가동기구(9)의 하단측이 뒤쪽으로 기울었을 때 볼록부(525)를 받는 받이면이 구성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변좌승강장치(1)에 있어서 가동플레이트(6)는 그 윗면(60)에 변좌유닛(10)이 고정된다. 이 때문에 좌우측슬라이더(51)(52)가 좌우측가이드축(41)(42)을 따라 상하이동하면 가동플레이트(6)에 고정된 변좌유닛(10)도 일체로 상하이동하게 된다.
또 본 형태에서는 우측슬라이더(51)에 대해 이 우측슬라이더(51)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동식의 구동기구(5)가 구성되고 있으며, 이 구동기구(5)에 의해 우측슬라이더(51)가 상하로 구동되었을 때 좌측슬라이더(52), 가동플레이트(6) 및 변좌유닛(10)도 상하로 이동한다.
이와같은 구동기구(5)로서 본 형태에서는 우선 우측슬라이더(51)의 좌면에는 상하방향의 전 범위에 걸쳐 랙(53)이 형성되고 있다.
또 좌우측가이드축(41)(42)에 의해 끼워진 공간에는 구동기구(5)의 구동원으로서의 정역 쌍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스텝핑모터(7), 이 스텝핑모터(7)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감속윤열(70) 및 이 감속윤열(70)을 통해 회전구동하는 출력피니온(80)이 배치되고 있으며 이 출력피니온(80)은 우측슬라이더(51)의 랙(53)과 맞물리고 있다. 스텝핑모터(7)는 스토퍼 플레이트(3)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있고 출력피니온(80)은 변좌승강장치(1)의 높이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감속윤열(70)은 스텝핑모터(7)의 회전축에 구성된 피니온과 맞물리는 대경치차를 구비한 제 1감속차(71)와, 이 제 1감속차(71)와 맞물리는 대경치차를 구비한 제 2감속차(72)와, 이 제 2감속차(72)의 소경치차와 맞물리는 대경치차를 구비한 제 3감속차(73)와, 이 제 3감속차(73)의 소경치차와 맞물리는 대경치차(81)를 구비한 출력차(8)를 구비하고 있고, 이 출력차(8)의 한쪽 단부에 대해 출력피니온(80)이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우측슬라이더(51)와 좌측슬라이더(52)에는 그 앞면 및 윗면을 피복하도록 가동플레이트(6)가 부착되고 있기 때문에 우측슬라이더(51)의 승강에 따라 좌측슬라이더(52) 및 가동플레이트(6)는 일체가 되어 종동한다.
(변좌유닛의 위치검출수단의 구성)
도 3(b)과 같이 출력차(8)에는 대경치차(81)를 끼우고 출력피니온(80)과 반대측의 단부에 소경치차(82)가 구성되고 있으며, 이 소경치차(82)의 아래쪽 위치에는 소경치차(82)와 맞물리는 센서치차(15)가 배치되고 있다. 이 센서치차(15)의 회전축(105)의 단부는 고정플레이트(2)의 수직면(22)에서 배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회전축(105)의 돌출부분(101)은 단면형상이 D자형이고 이 돌출부분(101)에는 퍼텐션미터(14)의 로터리부의 D자형상의 구멍이 감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센서치차(15)의 회전축(105)이 회전하면 퍼텐션미터(14)의 로터리부가 일체로 회전한다.
여기서 센서치차(15)는 출력피니온(80)이 우측슬라이더(51)의 랙(53)의 전 범위를 구동하는 동안에 그 회전이 1회전 미만으로 들어가는 톱니수로 구성되고 있 다. 그 때문에 퍼텐션미터(14)는 센서치차(15)의 회전축(로터리부)의 각도위치의 변위를 저항변화로 검출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므로 우측슬라이더(51)의 상하방향의 위치 즉 변좌유닛(10)의 승강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스토퍼의 구성)
도 2(c)(d), 도 4(a) 및 도 5(a)와 같이 좌우측 슬라이더(51)(52)의 배면측에는 고정플레이트(2)의 수직면(22)과 대향하는 부분에서 각(角)구멍(55)이 각각 개구하고 있다. 이들의 각구멍(55)의 내부에는 각각 결합부재(95)가 수평방향으로 진퇴가능하도록 배치되고, 그 안쪽에는 결합부재(95)를 고정플레이트(2)의 수직면(22)을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96)이 배치되고 있다. 이에 대해 고정플레이트(2)의 수직면(22)에는 좌우측 슬라이더(51)(52)를 상하로 했을 때 결합부재(95)가 통과하는 선상 중 그 아래쪽위치에 결합부재(95)의 선단부가 들어가는 하측오목부(97)가 좌우로 형성된다. 한편 위쪽위치에는 결합부재(95)의 선단부가 들어가는 상측오목부(98)가 좌우로 형성되고 있다.
이 때문에 좌우측 슬라이더(51)(52)의 결합부재(95) 및 스프링(96)과, 고정플레이트(2)의 수직면(22)측의 하측오목부(97)는 변좌(12)(변좌유닛)를 강하시켰을 때의 좌우측 슬라이더(51)(52)의 유지위치를 규정하는 제 1스토퍼(91)로서 기능한다. 또 좌우측 슬라이더(51)(52)의 결합부재(95) 및 스프링(96)과, 고정플레이트(2)의 수직면(22)측의 상측오목부(98)는 변좌(12)(변좌유닛)을 상승시켰을 때의 좌우측 슬라이더(51)(52)의 유지위치를 규정하는 제 2스토퍼(92)로서 기능한다. 또 제 1스토퍼(91) 및 제 2스토퍼(92)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결합부재(95)가 하 측오목부(97) 및 상측오목부(98)에 결합했을 때 클릭감을 발생시킨다.
(변좌의 승강동작의 설명)
도 6(a)(b)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변좌승강장치에 있어서, 변좌유닛을 탑재한 가동부재가 최하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및 가동부재가 최상위치에 있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6(a)(b)는 도 2(a)의 A-A'선에서의 단면에 상당한다.
본 형태의 변좌승강장치(1)는 고정플레이트(2)를 변기본체(11)(도 1을 참조)의 윗면부분에 고정하는 한편 가동플레이트(6)의 윗면(60)에 변좌유닛(10)을 부착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청소 등을 개시하기 전은 도 6(a)과 같이 변좌(12)는 변기본체(11)의 윗면에 있고, 변좌유닛(10) 및 가동플레이트(6)는 최하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결합부재(95)의 선단부가 고정플레이트(2)의 수직면(22)의 하측오목부(97)에 결합하고 제 1스토퍼(91)로서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이 최하위치에서는 제 1스토퍼(91)에서의 결합력, 스텝핑모터(7)의 디텐트 토오크 및 변좌유닛(10)의 자체무게에 의해 변좌유닛(10)이 예기치 못하게 상승하는 경우는 없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퍼텐션미터(14)는 변좌유닛(10)이 최하위치에 있다는 뜻의 출력을 행한다.
이 상태에서 청소를 개시하기 위해 변좌유닛(10)을 상승하고자 하는 경우에 소정의 스위치동작을 행하면 스텝핑모터(7)는 소정의 스텝수, 또는 소정의 시간,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스텝핑모터(7)의 회전운동력은 감속윤열(70)을 통해 출력피니온(80)에 전달되고 도 6(b)과 같이 출력피니온(80)은 랙(53)을 통해 우측슬라이더(51)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제 1스토퍼(91)에서의 결합이 해제되고 좌 측슬라이더(52), 가동플레이트(6) 및 변좌유닛(10)은 우측슬라이더(51)와 일체로 상승한다.
그리고 제 2스토퍼(92)에서의 결합이 행해질 때 까지 변좌유닛(10)이 상승한 후 스텝핑모터(7)는 정지한다. 그 동안에 출력차(8)의 소경치차(82)는 센서치차(15)를 회전시키고 퍼텐션미터(14)의 출력이 변화하므로 그 출력으로부터 변좌유닛(10)이 소정의 위치까지 상승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변좌유닛(10)이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한 것은 제 2스토퍼(92)에서 발생하는 클릭음으로 통지(報知)할 수 있다. 또한 변좌유닛(10)이 최상위치에서 정지한 상태에서는 제 2스토퍼(92)에서의 결합력 및 스텝핑모터(7)의 디텐트 토오크에 의해 변좌유닛(10)은 자체무게로 낙하하게 되는 경우가 없다.
여기서 하강구동될 예정인 변좌유닛(12)이 소정시간 또는 소정스텝수 구동된 시점에서도 최하위치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떠한 상황에서 변좌유닛(10)이 상승도중 정지하게 되지만 이와같은 문제의 발생은 제 2스토퍼(92)에 의한 클릭음이 발생하지 않는 것에도 알 수 있지만 퍼텐션미터(14)의 출력치에 의해서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는 퍼텐션미터(14)에서의 검출결과를 기초로 그 뜻을 통보할 수 있다. 또 퍼텐션미터(14)의 출력을 스텝핑모터(7)의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에 피드백함으로써 그 후의 동작이 동작이 불필요하게 개시되지 않도록 스텝핑모터(7)의 동작을 리셋하는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수동에 의한 변좌유닛의 하강동작)
본 형태의 변좌승강장치(1)에서는 청소가 종료한 후 최상위치에 있는 변좌유 닛(10)을 수동으로 최하위치까지 내릴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텝핑모터(7)에 공급시키지 않고 사람 힘으로 변좌유닛(10)을 밀어내린다.
그 때 우측슬라이더(51)의 하강은 랙(53)을 통해 출력피니온(80)을 통해 감속윤열(70)을 통해 스텝핑모터(7)에 전달되지만 본 형태에서는 구동원으로서 이용한 모터가 스텝핑모터(7)이므로 스텝핑모터(7)에 있어서 탈조가 일어난다. 또 본 형태에서는 구동원으로서 이용한 모터가 스텝핑모터(7)이며 또한 스텝핑모터(7)로부터 출력피니온(80)까지 사이에 감속윤열(70)로 접속되므로 수동으로 변좌유닛(10)을 하강시킬 때에는 스텝핑모터(7)의 디텐트 토오크와, 감속윤열(70)의 부하가 과도한 응력으로서 작용하므로 변좌유닛(10)이 천천히 하강한다.
이와같은 수동에 의한 변좌유닛(10)의 하강동작을 행한 경우도 변좌유닛(10)이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한 것은 제 1스토퍼(91)에서 발생하는 클릭음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 퍼텐션미터(10)의 출력에서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퍼텐션미터(10)의 출력결과를 기초로 변좌유닛(10)의 정상으로 하강한 뜻을 통지할 수 있다.
(본 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형태의 변좌승강장치(1)에서는 구동기구(5)의 구동원으로서 용이하게 탈조가 일어나는 스텝핑모터(7)를 이용했기 때문에 DC모터를 이용한 경우와 달리 전동동작시에 과대한 힘을 가하면 용이하게 동작을 멈출 수 있다. 또 구동원으로서 스텝핑모터(7)를 이용하고 또한 스텝핑모터(7)로부터 출력피니온(80)까지의 사이가 감속윤열(70)로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변조유닛(10)을 하강시킬 때에는 스텝핑모터(7)의 디텐트 토오크와, 감속윤열(70)의 부하가 적당한 항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상승한 변좌유닛(10)을 수동으로 내릴 때 변좌유닛(10)이 천천히 하강하므로 댐퍼기구를 마련하지 않아도 변좌(12)나 변기본체(11)가 파손되지 않고 또한 안전하다. 또 잘못하여 과대한 힘을 가한 경우라도 스텝핑모터의 로터가 탈조하여 공전하므로 구동기구를 파손하지 않음과 동시에 잘못하여 손 등을 고정부재와 가동부재 사이에 끼운 경우라도 대하중을 받지 않고 정지하므로 안전하다. 게다가 변좌승강장치(1)의 사용편이도를 높여도 댐퍼기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변좌승강장치(1)의 소형화 및 저원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센서치차(15)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퍼텐션미터(14)에 의해 변좌유닛(10)의 위치를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승강동작이 정상으로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그 뜻의 통지 또한 적절한 처치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변좌유닛(10)의 승강이 도중 정지된 상태에서의 청소작업 등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동후드(6)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센서치차(15)를 이용하여 퍼텐션미터는 센서치차(15)의 회전을 검출한다. 따라사 가동후드(6)의 위치, 즉 변좌유닛(10)의 위치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퍼텐션미터(14)이면 그 로터리부를 센서치차(15)와 일체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변좌유닛(10)의 위치를 저가 구성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센서치차(15)이면 가동플레이트(6)(변좌유닛(10))의 승강거리에 관계없이 소정개소에 멈춰 회전할 뿐이므로 작은 공간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센서치차(15)는 가동플레이트(6)(변좌유닛(10))가 최하위치에서 최상위치까지 상승하는 동안에 1회전 미만의 회전을 행하므로 센서치차(15)의 각도위치를 검출하는 것 만으로 가동플레이트(6)의 전 이동범위에 있어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의 변좌승강장치(1)에서는 구동기구(5)의 구동원으로서 용이하게 탈조가 일어나는 스텝핑모터(7)를 이용했기 때문에 DC모터를 이용한 경우와 달리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수동으로 변좌유닛(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 구동원으로서 스텝핑모터(7)를 이용하고 또한 스텝핑모터(7)로부터 출력피니온(80)까지의 사이가 감속윤열(70)로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변좌유닛(10)을 하강시킬 때에는 스텝핑모터(7)의 디텐트토오크와, 감속윤열(70)의 부하가 적당한 항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상승한 변좌유닛(10)을 수동으로 내릴 때 변좌유닛(10)이 천천히 하강하므로 댐퍼기구를 마련하지 않아도 변좌(12)나 변기본체(11)가 파손되지 않으며 또한 안전하다. 또 잘못하여 과대한 힘을 가한 경우라도 스텝핑모터(7)의 로터가 탈조하여 공전하므로 구동기구(5)를 파손하지 않음과 동시에 잘못하여 손 등을 고정부재와 가동부재와의 사이에 끼운 경우라도 대하중을 받지 않고 정지하므로 안전하다. 게다가 변좌승강장치(1)의 사용편이를 높여도 댐퍼기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변좌승강장치(1)의 소형화 및 저원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센서치차(15)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퍼텐션미터(14)에 의해 변좌유닛(10)의 위치를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승강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그 뜻의 통지 또한 적절한 처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강동작을 행할 때 우측베어링부(510)는 우측가이드축(41)에 대해 그 전 둘레에 있어서 접촉하고, 좌측베어링부(520)는 좌측가이드축(42)에 대해 전후방 향으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기구(9)의 위치는 전후방향 및 횡방향의 양쪽에 있어서 규정된다.
여기서 좌측베어링부(520)는 좌측가이드축(42)에 대해 횡방향에서는 접촉 또는 분리 가능한 상태에 있다. 즉 좌측베어링부(520)는 횡방향에 있어서는 가동기구(9)의 자세에 의해 접촉한 상태 또는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좌측가이드축(42)과 좌측베어링부(520)의 접촉상태는 우측가이드축(41)과 우측베어링부(510)에 의해 규정된 가동기구(9)의 자세에 추종한다. 따라서 각 부품에 있어서 또는 조립공정에 있어서 좌우측 가이드축(41)(42) 및 좌우측 베어링부(510)(520)의 평행도, 치수, 위치의 정밀도가 다소 낮아도 우측가이드축(41)과 우측베어링부(510)와의 사이 및 좌측가이드축(42)과 좌측베어링부(520) 사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 가동기구(9)에 전후좌우의 토오크가 가해졌을 때에도 우측가이드축(41)과 우측베어링부(510) 사이 및 좌측가이드축(42)과 좌측베어링부(520)사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게다가 변좌유닛(10)을 승강시킬 때 우측가이드축(41)과 우측베어링부(510) 사이 및 좌측가이드축(42)과 좌측베어링부(520) 사이에서 걸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변좌유닛(10)의 움직임이 스무스하다.
또 좌측관통공(521)에 있어서 좌측베어링부(520)에서 아래부분(522)은 좌측가이드축(42)보다도 큰 내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좌측가이드축(42)과 좌측베어링부(520)의 접촉부분을 필요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가이드축(42)과 좌측베어링부(520)와의 접촉상태는 우측가이드축(41)과 우측베어링부(510)에 의해 규정된 가동기구(9)의 자세에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변좌유닛(10)의 움직임을 더욱 스무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기구(9)의 좌측에 있어서 하단부가 뒤쪽으로 흔들린 경우라도 그 흔들림을 가동기구(9)측의 볼록부(525)가 고정부재(2)의 수직면(22)에 닿음으로써 어느 범위내로 억제된다. 따라서 설령 변좌(12)나 변기뚜껑(13)의 개폐상태에 의해 가동기구(9)의 중심이 변동되어도 가동기구(9)가 크게 기울어지지 않는다.
또 가동기구(9)를 전동으로 승강시키는 구동기구(5)가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양식변기를 청소할 때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소하기 전의 변좌유닛(10)에 닿는 것으로부터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5)는 가동기구(9) 중 좌측베어링부(520)보다도 우측베어링부(510)가 형성되는 우측슬라이더(51)에 대해 상하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우측베어링부(510)는 가동기구(9)의 위치를 규정하는 기준으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스텝핑모터(7)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출력피니온(80)과, 우측슬라이더(51)의 랙(53)과의 맞물림이 풀리는 경우는 없다. 또 전동으로 가동기구(9)를 승강시킬 때 좌측가이드축(42)과 좌측베어링부(520)와의 접촉상태는 우측가이드축(41)과 우측베어링부(510)에 의해 규정된 가동부재(9)의 자세에 추종하므로 우측가이드축(41)과 우측베어링부(510)사이 및 좌측가이드축(42)과 좌측베어링부(520)사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필요최소한의 토오크를 발생할 수 있는 스텝핑모터(7)를 이용하면 된다.
또 본 형태의 변좌승강장치(1)에서는 구동기구(5)의 구동원으로서 용이하게 탈조가 일어나는 스텝핑모터(7)를 이용했기 때문에 DC모터를 이용한 경우와 달리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수동으로 변좌유닛(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 구동원으로서 스텝핑모터(7)를 이용하고 또한 스텝핑모터(7)로부터 출력피니온(80)까지의 사이가 감속윤열(70)로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변좌유닛(10)을 하강시킬 때에는 스텝핑모터(7)의 디텐트토오크와, 감속윤열(70)의 부하가 적당한 항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상승한 변좌유닛(10)을 수동으로 내릴 때 변좌유닛(10)이 천천히 하강하므로 댐퍼기구를 마련하지 않아도 변좌(12)나 변기본체(11)가 파손되지 않아 안전하다. 또 전동동작시에 과대한 힘을 가한 경우에도 스텝핑모터(7)의 로터가 탈조하여 공전하므로 구동기구를 파손하지 않음과 동시에 잘못하여 손 등을 고정플레이트(2)와 가동플레이트(6) 사이에 끼운 경우라도 대하중을 받지 않고 정지하므로 안전하다. 게다가 변좌승강장치(1)의 사용편이를 높여도 댐퍼기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변좌승강장치(1)의 소형화 및 저원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센서치차(15)를 움직임을 검출하는 퍼텐션미터(14)에 의해 변좌유닛(10)의 위치를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승강동작이 정상으로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그 뜻의 통보, 또한 적절한 처치를 행할 수 있다.
(그 외 실시예)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센서치차(15)의 움직임을 퍼텐션미터(14)로 검출할 변좌유닛(10)의 위치를 감시하는 구성이었지만 감속윤열(70)을 구성하는 제1, 제2, 제3 감속차(71)(72)(73)중 어느 하나의 회전각도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변좌유닛(10)의 위치를 감시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센서치차는 감속윤열(70)을 구성하는 다수의 치차 중 하나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저원가화 및 소 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승강구동되는 우측슬라이더(51)의 상하방향의 위치 또는 출력피니온(8)의 회전으로부터 변좌(12)의 위치정보를 얻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변좌유닛(10)의 위치를 감시하는 데 퍼텐션미터(14)를 이용했지만 홀 IC등의 센서에 의해 변좌유닛(10)의 위치를 감시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우측베어링부(510)는 우측가이드축(41)의 전 둘레에 걸쳐 접촉하는 구성이 되지만 우측가이드축(41)에 대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만으로 접촉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우측베어링부(510)에 대해서는 우측가이드축(41)의 축선방향의 2개소에서만 우측가이드축(41)에 접촉하는 구조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변좌유닛이 부착된 가동부재를 전동으로 상승구동하는 구동기구가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양식변기의 청소시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소하기 전의 변좌유닛에 닿는 것으로부터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또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가동부재의 승강위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여 중간에서 정지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한 뜻의 통지, 또는 그 후의 동작을 클리어하는 등의 처치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중간정지한 상태에서의 청소작업 등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변좌유닛이 부착된 가동부재를 전동으로 상승구동하는 구동기구가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양식변기를 청소할 때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소하기 전의 변좌유닛에 닿는 것으로부터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또 역전시에 역전류가 발생하여 큰 토오크가 발생하는 DC모터와 달리 역회전시에 모터가 공전하여 탈조가 일어나는 스텝핑모터를 구동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이용했기 때문에 상승한 변좌유닛을 내리는 작업을 수동으로 행할 때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구동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스텝핑모터를 이용했기 때문에 상승한 변좌유닛을 내리는 작업을 수동으로 행할 때 스텝핑모터의 티텐트토오크가 항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상승한 변좌유닛을 내릴 때 변좌유닛이 천천히 하강하므로 댐퍼기구를 마련하지 않아도 변좌나 변기본체가 파손되지 않는다. 또 잘못하여 과대한 힘을 가한 경우라도 스텝핑모터의 로터가 탈조하여 공전하므로 구동기구를 파손하지 않음과 동시에 잘못하여 손 등을 고정부재와 가동부재와의 사이에 끼운 경우라도 대하중을 받지 않고 정지하므로 안전하다. 게다가 변좌승강장치의 사용편이를 높여도 댐퍼기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변좌승강장치의 소형화 및 저원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2베어링부는 횡방향에 있어서 가동기구의 자세에 의해 접촉한 상태 또는 떨어진 상태가 되므로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부와의 접촉상태는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부에 의해 규정된 가동기구의 자세에 추종한다. 따라서 가이드축 및 베어링구멍의 평행도, 치수, 위치의 정밀도가 다소 낮아도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부 사이 및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부와의 사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 가동기구에 전후좌우의 토오크가 가해졌을 때에도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부 사이 및 제 2가이드축과 제 2베어링부사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게다가 변좌유닛을 승강시킬 때 제 1가이드축과 제 1베어링구멍 사이 및 제 2가이드축 및 제 2베어링구멍 사이에서 걸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변좌유닛의 움직임이 스무스하다.

Claims (5)

  1. 양식화장실의 변기본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측의 좌우양측에서 위쪽으로 평행하게 뻗는 제 1가이드축 및 제 2가이드축과, 상기 제 1가이드축 및 상기 제 2가이드축이 들어가는 제 1베어링부 및 제 2베어링부가 형성되어 변좌유닛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가이드축 및 상기 제 2가이드축을 따라 승강하는 가동기구를 갖는 변좌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베어링부는 상기 제 1가이드축에 대해 횡방향 및 전후방향 양쪽에 있어서 접촉상태에 있고,
    상기 제 2베어링부는 전후방향에서는 상기 제 2가이드축과의 접촉상태에 있는 한편 횡방향에서는 상기 제 2가이드축에 대해 접촉 또는 분리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구 중 상기 제 2베어링부 보다도 상기 제 1베어링부에 가까운 위치에 대해 상하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승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축 및 상기 제 2가이드축은 모두 둥근봉 또는 둥근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제 1베어링부는 상기 가동기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관통공의 둥근부분이며,
    상기 제 2베어링부는 상기 가동기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관통공 중 장축을 횡방향으로 향하는 장원부분 또는 타원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승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베어링부는 상기 제 2관통공 중 윗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베어링부에서의 아래부분은 상기 제 2가이드축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승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구의 뒷면에는 횡방향 중 상기 제 2베어링부가 형성되는 측에서의 하측부분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가동기구의 뒤쪽에서 이 가동기구의 하단측이 뒤쪽으로 기울었을 때 상기 볼록부를 받는 받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승강장치.
KR1020060070558A 2003-05-29 2006-07-27 변좌승강장치 KR100793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51741 2003-05-29
JPJP-P-2003-00151743 2003-05-29
JP2003151741A JP4299057B2 (ja) 2003-05-29 2003-05-29 便座昇降装置
JPJP-P-2003-00151473 2003-05-29
JPJP-P-2003-00151742 2003-05-29
JP2003151742A JP4299058B2 (ja) 2003-05-29 2003-05-29 便座昇降装置
JP2003151743A JP4027844B2 (ja) 2003-05-29 2003-05-29 便座昇降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179A Division KR100673094B1 (ko) 2003-05-29 2004-05-21 변좌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357A KR20060101357A (ko) 2006-09-22
KR100793452B1 true KR100793452B1 (ko) 2008-01-14

Family

ID=345275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179A KR100673094B1 (ko) 2003-05-29 2004-05-21 변좌승강장치
KR1020060070558A KR100793452B1 (ko) 2003-05-29 2006-07-27 변좌승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179A KR100673094B1 (ko) 2003-05-29 2004-05-21 변좌승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0673094B1 (ko)
CN (1) CN131542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2920A1 (en) * 2009-05-18 2010-11-25 Michael Corbell An actuator
CN106419708A (zh) * 2016-08-31 2017-02-22 浙江高翔工贸有限公司 一种能升降的马桶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580A (ja) * 1995-04-19 1996-10-29 Nippon Cable Syst Inc 便座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58892A (en) * 1977-09-22 1980-01-09 Yu Hsiang Liu Control mechanism for automatic lid and seat lifting and flushing of a water-closet
DE4123026A1 (de) * 1991-07-12 1993-01-14 Lepel Freifrau Von Barbara Hygienetoilette mit elektromotorantrieb
US5400442A (en) * 1993-09-08 1995-03-28 Pendlebury; James L. Automatic toilet seat and lid lowering device
JPH08177104A (ja) * 1994-12-27 1996-07-09 Aisin Seiki Co Ltd 衛生洗浄装置
JPH10248755A (ja) * 1997-03-13 1998-09-22 Canon Precision Inc 便器の便座・便蓋自動開閉装置
JP2000051122A (ja) * 1998-08-11 2000-02-22 Canon Precision Inc ギヤードモータ
CN1336473A (zh) * 2000-07-27 2002-02-20 章金泉 马桶座自动清洁装置
CN2471279Y (zh) * 2001-04-02 2002-01-16 段卫东 马桶坐垫坐圈自动升降控制装置
CN2506192Y (zh) * 2001-11-06 2002-08-21 周石统 坐圈和盖自动起落的坐便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580A (ja) * 1995-04-19 1996-10-29 Nippon Cable Syst Inc 便座昇降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8-280580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2204A (zh) 2005-02-02
KR100673094B1 (ko) 2007-01-22
CN1315423C (zh) 2007-05-16
KR20060101357A (ko) 2006-09-22
KR20040104389A (ko) 200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392B1 (ko) 변좌 승강 장치
US7975790B2 (en) Wheel driving assembly of a moving apparatus
JP5404086B2 (ja) 便座昇降装置
KR100793452B1 (ko) 변좌승강장치
DK2242940T3 (en) ACTUATOR
KR100688855B1 (ko) 변좌 승강 장치
JP2022523438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4932673B2 (ja) 便座昇降装置および洋式トイレ
JPWO2006025245A1 (ja) ハンドル接続構造
KR100773887B1 (ko) 모니터가 승강하는 컴퓨터 책상
SE442948B (sv) Anordning for att stoppa nedsenkningsrorelser hos motordrivna lyftaggregat
JP4299057B2 (ja) 便座昇降装置
JP4299058B2 (ja) 便座昇降装置
KR100627945B1 (ko) 변좌 승강 장치
JP4027844B2 (ja) 便座昇降装置
CN216569820U (zh) 清洁组件及清洁设备
JP2007215823A (ja) 医療・介護用ベッド
KR100647393B1 (ko) 변좌 승강 장치
KR200286649Y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2173000B1 (ko) 웜기어 캠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JP6567958B2 (ja) オートクローズ機構を備えた調理器
JP2021059884A (ja) 排水栓装置
JP2018042921A (ja) 開閉装置
KR20090055210A (ko) 승강기용 케이지의 바닥 회전구조
JP2007092879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